KR102565030B1 -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 Google Patents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030B1
KR102565030B1 KR1020230074142A KR20230074142A KR102565030B1 KR 102565030 B1 KR102565030 B1 KR 102565030B1 KR 1020230074142 A KR1020230074142 A KR 1020230074142A KR 20230074142 A KR20230074142 A KR 20230074142A KR 102565030 B1 KR102565030 B1 KR 102565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wire
electric vehicle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1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철
권영빈
이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산이앤지
권영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산이앤지, 권영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산이앤지
Priority to KR1020230074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0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0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부에 권취된 와이어부가 전기자동차 하부에 위치되는 매트부의 측부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를 상방으로 승강시키는 구조를 채택하여 시스템 설치를 위해 기존의 주차라인 범위 내에서 새로운 장소나 면적이 요구되지 않으며, 배터리가 물에 맞닿기 위한 최소한의 수조 크기만을 형성하는 구조이므로 다수의 수량이 불요하며, 장치 구성의 간소화로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 structure in which a wire wound on a roller unit is connected to the side of a mat unit located at the bottom of an electric vehicle or a tarpaulin spread under the mat unit is moved upward. Adopted to install the system, no new place or area is required within the range of the existing parking line, and since the structure forms only the minimum water tank size for the battery to contact water, a large number of water is unnecessary, and the devic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부에 권취된 와이어부가 전기자동차 하부에 위치되는 매트부의 측부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를 상방으로 승강시키는 구조를 채택하여 시스템 설치를 위해 기존의 주차라인 범위 내에서 새로운 장소나 면적이 요구되지 않으며, 배터리가 물에 맞닿기 위한 최소한의 수조 크기만을 형성하는 구조이므로 다수의 수량이 불요하며, 장치 구성의 간소화로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 structure in which a wire wound on a roller unit is connected to the side of a mat unit located at the bottom of an electric vehicle or a tarpaulin spread under the mat unit is moved upward. Adopted to install the system, no new place or area is required within the range of the existing parking line, and since the structure forms only the minimum water tank size for the battery to contact water, a large number of water is unnecessary, and the devic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최근에는 전기자동차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으며 전기자동차 충전소 또한 점차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자동차가 충전소에서 충전하는 도중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지하 주자창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밀폐된 공간에서 급속도로 증가하는 유독 가스와 화재 확산으로 거주자들에게 치명적인 위협이 발생될 수 있다.In recent years, electric vehicles have rapidly spread,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are gradually increasing. However, a fire often occurs while an electric vehicle is being charged at a charging station, which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In particular, when a fire breaks out in an underground garage, a fatal threat to residents may occur due to rapidly increasing toxic gas and fire spread in an enclosed space.

전기자동차 화재의 경우, 매우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열폭주(flash over) 및 차체 하부에 장착된 배터리까지 소화약제가 닿지 않아 기존의 자동소화시스템(스프링쿨러)이나 소화기로는 소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an electric vehicle fir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impossible to extinguish the fire with the existing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sprinkler) or fire extinguisher because the flash over occurred in a very short time an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did not reach the battery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body.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31474호에서는 수조를 형성하여 수조 내에 채워지는 물에 배터리를 담가 소화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수조 형성 장치는 설치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으며, 튜브가 주차라인을 감싸야 하는 구조이므로 튜브를 설치하기 위한 여분의 장소 및 면적이 요구되어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실제로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431474 proposed a method of forming a water tank and immersing the battery in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to extinguish the fire. However, the conventional water tank forming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production cost is high, and since the tube has to cover the parking line, an extra place and area for installing the tube are required, which is actually due to space constraints. has problems with installation.

또한, 튜브 내의 단면적 전체에 물을 채워넣어야 하므로 다량의 수량 확보가 필요하여 단가 문제가 있으며, 수조에 물을 채워넣어 배터리를 물에 잠기게 하는데 시간이 다수 소요되어 실효성에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entir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ube must be filled with water, a large amount of water must be secured, resulting in a unit cost problem,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submerge the battery in water by filling the water tank, resulting in a problem in effectivenes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31474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431474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부에 권취된 와이어부가 전기자동차 하부에 위치되는 매트부의 측부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를 상방으로 승강시키는 구조를 채택하여 시스템 설치를 위해 기존의 주차라인 범위 내에서 새로운 장소나 면적이 요구되지 않으며, 배터리가 물에 맞닿기 위한 최소한의 수조 크기만을 형성하는 구조이므로 다수의 수량이 불요하며, 장치 구성의 간소화로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 structure in which a wire wound on a roller unit is connected to the side of a mat unit located at the bottom of an electric vehicle or a tarpaulin spread under the mat unit is moved upward. Adopted to install the system, no new place or area is required within the range of the existing parking line, and since the structure forms only the minimum water tank size for the battery to contact water, a large number of water is unnecessary, and the devic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은 지면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서 수직되도록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기둥부에 결합되는 제1 롤러부; 지면에 놓여지되, 전기자동차를 지지하는 매트부; 상기 롤러부에 일단이 결합되는 와이어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와이어부를 지지하는 제2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의 타단은 상기 매트부의 측부와 연결된 방수포의 일 지점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롤러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부가 권취되면, 상기 와이어부의 타단과 결합된 상기 방수포의 일 지점이 상방으로 승강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측부에서 격벽을 형성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ank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llar portion coupled to the ground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Doedoe coup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pillar portion, the frame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roller unit coupled to the pillar unit; Doedoe placed on the ground, the mat portion supporting the electric vehicle; a wire par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ller part; and a second roller part coupl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rame part and supporting the wire part,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wire part is coupled to a point of a tarpaulin connected to a side of the mat part, and the first When the roller unit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wire unit is wound, a portion of the tarpaulin combined with the other end of the wire unit moves upward to form a partition at the side of the electric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은 상기 프레임부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와이어부를 지지하는 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부의 회전으로 상기 와이어부가 상기 제1 롤러부에 권취되면, 상기 와이어부의 이동으로 인해 상기 핀부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탈거된다.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rame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pin portion supporting the wire portion, and the wire portion rotates to form the first roller portion. 1 When the roller part is wound, the pin part is separated from the frame part due to the movement of the wire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의 상기 프레임부의 단면은 하부가 개방되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가 연장 형성된 형상된다.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frame por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in which a hollow portion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while the lower portion is ope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은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3 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제1 롤러부에 권취되어 상기 제2 롤러부 및 상기 제3 롤러부에 의해 지지된다.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roller uni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illar unit, and the wire unit is wound around the first roller unit to form the second roller unit and the third roller unit. It is supported by a roller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은 상기 제1 롤러부에 결합되는 핸들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ank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andle part coupled to the first roller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의 상기 와이어부 및 상기 제2 롤러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롤러부는 상기 프레임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와이어부는 일단이 모두 상기 제1 롤러부에 결합되되, 복수 개의 상기 제2 롤러부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복수 개의 상기 와이어부의 타단은, 상기 매트부의 측부와 연결된 상기 방수포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지점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 롤러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부가 권취되면, 상기 방수포의 복수 개의 지점이 상방으로 승강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측부에서 격벽을 형성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wire part and the second roller par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ank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and the second roller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frame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rality of One end of each of the wire parts is coupled to the first roller part,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econd roller parts, and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wire parts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tarpaulin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t part. are coupled to a plurality of poi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when the first roller part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wire parts are wound, the plurality of points of the tarpaulin elevate upward to form a bulkhead at the side of the electric vehicl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의 상기 기둥부, 상기 프레임부, 상기 제1 롤러부,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롤러부는 하나의 모듈로 구비되고, 상기 모듈은 한 쌍으로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In addition, the pillar part, the frame part, the first roller part, the plurality of wire part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oller parts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ank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as one module, and the module Doedoe formed as a pair,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 시스템 설치를 위해 기존의 주차라인 범위 내에서 새로운 장소나 면적이 요구되지 않으며, 배터리가 물에 맞닿기 위한 최소한의 수조 크기만을 형성하는 구조이므로 다수의 수량이 불요하며, 장치 구성의 간소화로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 new place or area is required within the range of the existing parking lin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hydrogen system, and since the battery forms only the minimum size of the water tank for contact with water, a large number of water is unnecessary, and the device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전기자동차에 화재가 발생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으로 수조를 생성하는 과정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으로 수조가 완성된 모습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프레임부 내부의 일부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복수 개의 와이어부가 제1 롤러부에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side view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ank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show a process of generating a water tank with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occurs in an electric vehicle from the side.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water tank completed with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inside of the frame unit.
6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 parts are coupled to a first roller part.
7 show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ank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bers indic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7 show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ank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shows a side view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ank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7,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은 기둥부(100), 프레임부(200), 제1 롤러부(300), 매트부(400), 와이어부(500), 제2 롤러부(600), 핀부(700), 핸들부(800) 및 제3 롤러부(900)를 포함한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ank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llar part 100, a frame part 200, a first roller part 300, a mat part 400, a wire part 500, and a second roller part 600. , It includes a pin part 700, a handle part 800 and a third roller part 900.

이때,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은 도 7과 같이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모듈화된 한 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느 하나의 모듈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특히, 하나의 모듈에서 복수 개의 와이어부가 구비되나,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어느 하나의 와이어부만의 동작을 도시하여 설명하였다.At this tim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ank gener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a modular pair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Therefo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is based on any one module, and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wire parts are provided in one module, but in FIGS. 1 to 3, the operation of only one wire part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

기둥부(100)는 지면(1)에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지면(1)과 수직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둥부(100)와 지면(1)의 결합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둥부(100) 하부에 별도의 패널부(110)가 결합될 수 있다.The pillar portion 100 is coupled to the ground (1), and preferably has a pillar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1). At this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combined bearing force between the pillar part 100 and the ground 1, a separate panel part 11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pillar part 100.

본 발명에서 '수직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이며,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이며, '폭 방향'이라 함은 길이 방향과 같은 평면 상에서 수직되는 방향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direction' refers to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 1,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fers to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 1, and the 'width direction' refers to a vertical direction on the same plane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direction

프레임부(200)는 기둥부(100)의 상부 일 지점에서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기둥부(100)와 직교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ame part 200 is coupled at one point on the top of the pillar part 100, and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pillar portion 100 .

프레임부(200)는 하부가 개방되며, 중공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ㄷ'자 프레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롤러부(600) 및 핀부(700)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후술하도록 한다.The frame portion 200 preferably has a 'c'-shaped frame shape with a lower portion open and a hollow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to explain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second roller unit 600 and the pin unit 700.

제1 롤러부(300)는 기둥부(100)의 하부의 일 지점에 결합된다. 제1 롤러부(300)에는 후술할 와이어부(500)의 일단이 결합된다. 또한, 제1 롤러부(300)는 기둥부(10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제1 롤러부(300)의 일 방향의 회전으로 인해 와이어부(500)가 제1 롤러부(300)에 권취되는 구조가 형성된다.The first roller part 300 is coupled to a point on the lower part of the pillar part 100 . One end of a wire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first roller unit 300 . In addition, the first roller unit 300 is coupled to be rotatable at the bottom of the pillar unit 100, and the wire unit 50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unit 300. ) is formed.

매트부(400)는 지면(1)에 놓여 진다. 매트부(400)는 일 예로 단면적이 직사각형인 매트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매트부(400)가 지면(1)에 놓여 진 상태로, 전기자동차(2)가 매트부(400) 위에 놓여 져 주차되는 방식으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후술하겠지만 수조를 형성하는 매트부(400)가 전기자동차(2) 하부에 위치되기만 하면 되므로(매트부(400)가 놓여 지는 면적은 구조 상 전기자동차가 주차되기 위한 면적이므로, 전기자동차가 주차를 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면적이다), 종래와는 달리 주차라인을 따라 튜브가 설치되기 위한 새로운 장소나 면적이 추가로 요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실제로 지하주차장에 설치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형태인 것이다.The mat unit 400 is placed on the ground (1). The mat unit 400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mat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for exampl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build in such a way that the electric vehicle 2 is placed on the mat 400 and parked in a state where the mat 400 is placed on the ground 1. For this reas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mat portion 400 forming the water tank only needs to be positioned below the electric vehicle 2 (the area where the mat portion 400 is placed is structurally an area for the electric vehicle to park, the electric vehicle is an essential area that must inevitably be secured for parking), and unlike the prior art, a new place or area for installing the tube along the parking line is not additionally required. Therefore, unlike the prior art, it is an effective form that can actually be installed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매트부(400)의 측부에 방수포(402)를 결합시키거나 결합된 방수포(402)를 매트부의 아래에 위치시킨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기자동차(2)를 지지하는 매트부(400)의 부분을 매트부 본체(401)라 지칭하면, 매트부 본체(401)의 측부에 방수포(402)가 결합되거나 결합된 방수포(402)가 매트부 본체(401)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The waterproof fabric 402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mat portion 400 or the combined tarpaulin 402 is placed under the mat por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f the part of the mat part 400 supporting the electric vehicle 2 is referred to as the mat part body 401, the waterproof cloth 402 is coupled or coupled to the side of the mat part body 401. The tarpaulin 402 is located under the mat body 401.

좀 더 상세하게는, 작동 전에는 매트부 본체(401)의 가장자리에 방수포(402)가 접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수포(402)가 주차라인 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 방수포(402)의 복수 개의 지점과 연결된 와이어부(500)가 권취되면, 방수포(402)가 매트부 본체(401)의 하부에서 이탈하여 승강하면서 격벽을 형성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tarpaulin 402 is folded at the edge of the mat unit body 401 before operatio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arpaulin 402 is positioned within the parking line.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wire portion 50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oints of the tarpaulin 402 is wound, the tarpaulin 402 separat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mat body 401 and moves up and down to form a partition wall.

와이어부(500)는 일단이 제1 롤러부(300)에 결합되고, 타단이 매트부(400)의 측부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402)의 일 지점에 결합된다. 도 1을 기준으로, 와이어부(500)는 매트부(400)의 측부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402)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롤러부(300)의 회전에 따라 제1 롤러부(300)에 권취되며, 복수 개 형성된다. 이에 관한 내용은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One end of the wire part 500 is coupled to the first roller part 3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t part 400 or coupled to a point of the tarpaulin 402 laid under the mat part. Referring to FIG. 1 , the wire part 50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t part 400 or coupled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tarpaulin 402 laid under the mat part. As described above, the wire unit 500 is wound around the first roller unit 30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unit 300, and is formed in plurality. Details regarding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제2 롤러부(600)는 프레임부(200)에 결합된다. 제2 롤러부(600)는 와이어부(5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2 롤러부(600)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부(200)에 결합된다.The second roller unit 600 is coupled to the frame unit 200 . The second roller unit 600 serves to support the wire unit 500 and may be formed in plurality. The second roller unit 600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frame unit 200 .

핀부(700)는 프레임부(200)에 결합된다. 핀부(700)는 와이어부(5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핀부(700)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롤러부(600)와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in unit 700 is coupled to the frame unit 200 . The pin part 700 serves to support the wire part 500 and may be formed in plural. The pin part 700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preferably installed adjacent to the second roller part 600 in the length direction.

제3 롤러부(900)는 기둥부(100)의 상부 일 지점에 결합되며, 와이어부(5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ㄱ'자 형태로 꺾인 기둥부(100)와 프레임부(200)의 접점 부근에 형성되어 와이어부(500)를 도 1과 같은 형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역할로 활용된다. 제3 롤러부(900)는 회전 가능하며, 제3 롤러부(900)에 와이어부(500)가 안착되되, 권취되지는 않는 형태이다.The third roller unit 90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illar unit 100 and serves to support the wire unit 500 . In addition, it is formed near the junction of the pillar part 100 bent in the shape of 'L' and the frame part 200, and is used as a role for maintaining the wire part 500 in the same shape as shown in FIG. The third roller unit 900 is rotatable, and the wire unit 500 is seated on the third roller unit 900, but is not wound.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2 롤러부(600) 및 핀부(700)의 구조와 와이어부(500)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프레임부(200) 내부의 일부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Referring to FIGS. 1 and 5 , the structure of the second roller unit 600 and the pin unit 700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wire unit 500 will be described. 5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inside of the frame unit 200 .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제2 롤러부(600) 및 핀부(700)의 구조와 와이어부(500)의 지지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structure of the second roller unit 600 and the pin unit 700 and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wire unit 500 will be described.

제2 롤러부(600)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롤러 형태로, 프레임부(200) 내의 중공부(201)에 위치되며, 양 단부가 각각 프레임부(200)의 한 쌍의 측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핀부(700) 또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로, 제2 롤러부(600)에 길이 방향으로 인접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핀부(700)는 외압에 의해 프레임부(200)로부터 탈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roller unit 600 has a roller shap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located in the hollow part 201 in the frame unit 200, and both ends are rotatable on a pair of side surfaces of the frame unit 200, respectively. combined to do The fin unit 700 also has a structur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preferably located adjacent to the second roller unit 6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formed in plural.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in unit 700 is installed to be detached from the frame unit 200 by external pressure.

제3 롤러부(900)에 의해 지지되는 와이어부(5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다가, 제2 롤러부(600)에 감기도록 지지되어 방향이 전환된다. 또한, 방향이 전환된 와이어부(5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핀부(700)의 상부와 맞닿아 핀부(70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된다.The wire part 500 supported by the third roller part 90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upported so as to be wound around the second roller part 600, and the direction is changed. In addition, the wire part 500 whose direction is changed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a structure supported by the pin part 700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pin part 700 .

이후, 후술할 복수 개의 제2 롤러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기둥부(10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다가, 기둥부(100)의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지면(1) 부근에서 절곡되어 다시 지면(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단부가 매트부(400)의 측부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402)의 일 지점(410)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조가 유지되기 위하여 별도의 탈거 가능한 핀 등 고정 장치가 기둥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Thereafter, while being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econd roller parts to be described later, it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pillar part 100, extend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illar part 100, and is bent in the vicinity of the ground 1 again to the ground ( It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1), and the end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t part 400 or coupled to one point 410 of the tarpaulin 402 laid under the mat part. In order to mainta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 separate detachable fixing device such as a pin may be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100 .

따라서, 도 1과 같은 구조로 와이어부(500)가 설치되며, 전기자동차(2)가 주차되는 과정에서 와이어부(500)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외관 상 와이어부(500)를 최소한으로 노출할 수 있어 미관성이 향상되며,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수명을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wire unit 500 is installed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1,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nterference of the wire unit 500 does not occur while the electric vehicle 2 is park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inimize exposure, improving aesthetics, minimizing malfunctions, and increasing lifespan.

전기자동차(2)가 주차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 시 별도의 감지 센서 및 제어 시스템(미도시)을 통해서 제1 롤러부(300)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 2 및 도 3은 전기자동차에 화재가 발생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으로 수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When a fire occurs while the electric vehicle 2 is parked, the first roller unit 300 is rotated through a separate detection sensor and a control system (not shown). 2 and 3 show a process of creating a water tank with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occurs in an electric vehicle.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일 예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제1 롤러부(300)가 회전하게 되면, 와이어부(500)의 일단은 제1 롤러부(300)에 권취된다. 이때, 권취되는 과정에서 와이어부(500) 전체가 제1 롤러부(300) 방향으로 당겨지는 구조가 형성된다. 특히, 제2 롤러부(600)를 통해 방향이 전환된 이후의 와이어부(500)는 롤러에 의해 구속되지 않고 단지 핀부(700)에 의해 지지될 뿐이므로, 와이어부(500) 전체가 당겨지는 경우, 제2 롤러부(600)를 통해 방향이 전환된 이후의 와이어부(500)는 제2 롤러부(600)를 향해 다가가도록 위치가 변경되며, 이를 지지하고 있던 핀부(700)는 와이어부(500)가 당겨지는 힘에 의해 탈거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매트부(400)의 측부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402)의 일 지점(410)에 와이어부(500)의 타단이 결합되어 있는 바, 매트부(400)의 측부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402)의 일 지점(410) 또한 와이어부(500)의 이동에 따라 대응하여 이동하게 되며, 도 2와 같이 제2 롤러부(600)를 향하여 상방으로 승강하도록 매트부(400) 일부 및 매트부(400)의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402)의 구조가 일부 변경된다.First, referring to FIG. 2 , for example, when the first roller unit 300 rotates counterclockwise, one end of the wire unit 500 is wound around the first roller unit 300 . At this time, a structure in which the entire wire portion 500 is pulled toward the first roller portion 300 during the winding process is formed. In particular, since the wire unit 500 after being changed in direction through the second roller unit 600 is not constrained by the roller and is only supported by the pin unit 700, the entire wire unit 500 is pulled.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wire part 500 after the direction is changed through the second roller part 600 is changed to approach the second roller part 600, and the pin part 700 supporting it is the wire part. 500 is removed by a pulling force.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end of the wire part 500 is coupled to one point 410 of the tarpaulin 402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t part 400 or laid under the mat part, so the mat part 400 A point 410 of the tarpaulin 402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t or laid under the mat also moves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wire part 500, and upward toward the second roller part 600 as shown in FIG. The structure of a part of the mat part 400 and the connection of the mat part 400 or the tarpaulin 402 laid under the mat part is partially changed so as to move up and down.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일정 길이 만큼 와이어부(500)가 제1 롤러부(300)에 권취되면, 와이어부(500)는 텐션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2 롤러부(600)와 매트부(400)의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402)의 일 지점(410) 사이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402)의 일 지점(410)은 도 2의 상태보다 더욱 수직 방향으로 승강한 상태이며, 이를 통해 전기자동차(2)의 측면에서 매트부(400)의 일부 및 매트부(400)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402)를 통해 격벽을 형성하게 된다.Next, referring to FIG. 3 , when the wire unit 500 is wound around the first roller unit 300 by a certain length, the wire unit 500 is tensioned between the second roller unit 600 and the mat unit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formed. It is located between a point 410 of a tarpaulin 402 connected to or laid under a mat portion of 400. In this state, a point 410 of the tarpaulin 402 connected or laid under the mat part is in a state of being lifted in a mor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state of FIG. 2, and through this, the mat part 400 ) and the mat part 400 or connected to the tarpaulin 402 laid under the mat part to form a partition wall.

따라서, 제1 롤러부(30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어부(500)가 권취되는 동작만으로 매트부(400)의 일부 및 매트부(400)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402)가 들려 수조 생성을 위한 격벽이 형성되는 것이다.Therefore, a part of the mat part 400 and a tarpaulin 402 connected to the mat part 400 or laid under the mat part 402 are formed only by an operation in which the first roller part 300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wire part 500 is wound. is heard to form a barrier for creating a water tank.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부(500)는 복수 개 형성되며, 제2 롤러부(600) 또한 와이어부(50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핀부(700) 또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wire units 500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second roller units 600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wire units 500 . Also, a plurality of fin units 700 may be formed.

제2 롤러부(600)는 일 예로 3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1 롤러부(610), 제2-2 롤러부(620), 제2-3 롤러부(630)로 구성된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와이어부(500) 또한 일 예로 3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와이어부(510), 제2 와이어부(520), 제3 와이어부(530)로 구성된다. 다만, 개수는 일 예에 불과하다. 또한, 도 4에서의 각 제2 롤러부들의 수직 방향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는 와이어부 간 겹침으로 인해 도면 표현의 오류의 우려로 설명의 편의상 일부 이격되도록 그린 것이다.The second roller unit 600 may be provided with three, for example, and is composed of a 2-1 roller unit 610, a 2-2 roller unit 620, and a 2-3 roller unit 630. Correspondingly, as an example, three wire units 500 may also be provided, and include a first wire unit 510 , a second wire unit 520 , and a third wire unit 530 . However, the number is only an example. In addition, although the vertical positions of the second roller parts in FIG. 4 are shown to be different, this is drawn to be partially spaced apar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due to concerns about errors in drawing representation due to overlap between wire parts.

제2-1 롤러부(610) 내지 제2-3 롤러부(630)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프레임부(200)에 결합된다. 또한, 제1 와이어부(510)는 제2-1 롤러부(610)에, 제2 와이어부(520)는 제2-2 롤러부(620)에, 제3 와이어부(530)는 제2-3 롤러부(630)에 의해 각각 지지되며, 각 롤러부 사이에 복수 개의 핀부(710, 720, 7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부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제2 롤러부 전후로 와이어부의 일부가 프레임부로부터 이탈되어야 하므로, 인접하는 제2 롤러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일 예로 제2-1 롤러부(610)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와이어부(510)는 제2-2 롤러부(620) 부근에서 제2-2 롤러부(620)의 상부가 아닌 하부로 지나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2-1 roller unit 610 to the 2-3 roller unit 630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frame unit 200 . In addition, the first wire part 510 is attached to the 2-1 roller part 610, the second wire part 520 is attached to the 2-2 roller part 620, and the third wire part 5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3 Each is supported by the roller unit 630, and a plurality of pin units 710, 720, and 730 may be formed between each roller unit. At this time, since a part of the wire part must be separated from the frame part before and after the second roller part in the process of winding the wire par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adjacent second roller part, for example, supported by the 2-1 roller part 61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wire part 510 is designed to pass under the 2-2 roller part 620 instead of the upper part in the vicinity of the 2-2 roller part 620 .

또한, 제1 와이어부(510)의 타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매트부(400)의 측부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402)의 일 지점(410) 중 단부 부근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와이어부(510)의 타단은 전술한 일 지점(410)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부근의 매트부(400)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402)의 일 지점(4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원리로 제3 와이어부(510)의 타단 또한 제1 와이어부(510)의 타단이 결합된 부근(410)의 맞은 편 단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매트부(400)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402)의 일 지점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복수 개의 와이어부(500)의 타단이 각각 결합되는 구조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와이어부(500)의 일단이 제1 롤러부(300)에 권취될 시, 도 4와 같이 매트부(400)의 측부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402) 전체를 승강시켜 수조를 생성하기 위한 격벽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portion 51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t portion 400 or coupled to one point 410 of the tarpaulin 402 laid under the mat portion near the end, ,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part 510 is connected to the mat part 400 in the vicinit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aforementioned one point 410 or a point of the tarpaulin 402 laid under the mat part 420, and in the same principle, the other end of the third wire part 5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part 510 are preferably coupled to the opposite end of the vicinity 410. Due to this structure, one point of the tarpaulin 402 connected to the mat part 400 or laid under the mat part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ength direction, so that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wire parts 5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tructure is formed, and when one end of the plurality of wire parts 500 is wound around the first roller part 300, as shown in FIG. 4, a tarpaulin 402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t part 400 or laid under the mat part By raising and lowering the whole, it is possible to form a partition wall for creating a water tank.

도 6은 복수 개의 와이어부가 제1 롤러부(300)에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롤러부(300)는 제1-1 롤러부(310), 제1-2 롤러부(320), 제1-3 롤러부(330)로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모두 단일의 회전축을 공유하게 된다. 제1-1 롤러부(310), 제1-2 롤러부(320), 제1-3 롤러부(330)에는 각각 6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 parts are coupled to the first roller part 300 . Preferably, the first roller unit 3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1-1 roller units 310, 1-2 roller units 320, and 1-3 roller units 330, All share a single axis of rotation. The 1-1 roller unit 310, the 1-2 roller unit 320, and the 1-3 roller unit 330, respectively

이때, 제1-1 롤러부(310), 제1-2 롤러부(320), 제1-3 롤러부(330)는 각각 단면의 직경이 상이하며, 제1 와이어부(510), 제2 와이어부(520) 및 제3 와이어부(530)가 각각 결합된다. 이때, 제1 와이어부(510), 제2 와이어부(520) 및 제3 와이어부(530)의 길이가 각각 상이한 바, 제1-1 롤러부(310), 제1-2 롤러부(320), 제1-3 롤러부(330)의 단면의 지름 또한 상이하며, 바람직하게는 제1-1 롤러부(310), 제1-2 롤러부(320), 제1-3 롤러부(330)로 갈수록 단면의 지름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와이어부(510)에서 제3 와이어부(530)로 갈수록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1-1 roller unit 310, the 1-2 roller unit 320, and the 1-3 roller unit 330 each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diameters, and the first wire unit 510, the second The wire unit 520 and the third wire unit 530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since the lengths of the first wire part 510, the second wire part 520, and the third wire part 530 are different, the 1-1 roller part 310 and the 1-2 roller part 320 ), the diame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1-3 roller unit 330 is also different, preferably the 1-1 roller unit 310, the 1-2 roller unit 320, and the 1-3 roller unit 330 ),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cross section decreases as the value increases. This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first wire part 510 becomes relatively short as it goes from the third wire part 530 .

제1 롤러부(300)의 측부 일 지점에는 제1 롤러부(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부(8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핸들부(800)와 제1 롤러부(300)는 축(810)에 의해 연결 및 결합된다.A handle part 800 for rotating the first roller part 300 may be coupled to a point on the side of the first roller part 300, and the handle part 800 and the first roller part 300 may be coupled to a shaft ( 810) are connected and combined.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부(100), 프레임부(200), 제1 롤러부(300), 복수 개의 와이어부(500), 복수 개의 제2 롤러부(600), 복수 개의 핀부(700)는 하나의 모듈이며, 모듈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도 7과 같이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illar part 100, the frame part 200, the first roller part 300, the plurality of wire parts 500, the plurality of second roller parts 600, and the plurality of pin parts 700 It is one modul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modules are provided in pairs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7 .

따라서, 맞은 편의 복수 개의 와이어부(510a, 520a, 530a)의 타단은 각각 전술한 매트부의 측부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의 복수 개의 지점의 폭 방향의 맞은 편의 지점(410a, 420a, 430a)과 결합되며, 한 쌍의 모듈의 각각의 제1 롤러부(300)가 회전하게 되면, 도 7과 같이 전기자동차(2)를 중심으로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한 쌍의 격벽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격벽 사이의 구간에는 매트부(400)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의 승강으로 인해 별도의 외력없이도 도 7과 같이 자연스럽게 승강된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전기자동차(2)의 양 측부 및 전면, 후면을 매트부(400)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402)가 감싸는 수조가 형성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wire parts 510a, 520a, and 530a on the opposite side ar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above-described mat part or points 410a, 420a, and 430a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oints of the tarpaulin laid under the mat part. ), and when each of the first roller units 300 of the pair of modules rotates, as shown in FIG. 7, a pair of partition wall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centered on the electric vehicle 2 this is formed At this time, the section between the bulkheads is naturally elevated as shown in FIG. 7 without a separate external force due to the elevation of the tarpaulin connected to the mat unit 400 or laid under the mat unit. Therefore, as a result, a water tank is formed in which both sides,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electric vehicle 2 are connected to the mat part 400 or covered by the tarpaulin 402 laid under the mat part.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의 경우에는 전기자동차의 주차 라인을 따라 튜브 전체가 격벽을 형성하여 수조를 구축해야 했으며, 이는 전기자동차의 주차 라인을 따라 형성된 단면적 전체에 물이 채워져야 화재 발생 중인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물을 맞닿게 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수의 수량이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 entire tube along the parking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had to form a bulkhead to build a water tank, which requires water to be filled in the entire cross-sectional area formed along the parking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to prevent fire in the event of a fire. Since water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amount of water must be secured.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매트부(400)의 측부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402)만이 와이어부(500)에 의해 승강되어 전기자동차(2)를 감싸면서 격벽을 형성하는 구조이므로(매트부(400)와의 연결로 인해, 매트부 본체(401) 일부가 승강될 수 있다), 측면에서 보았을 때 매트부(400)와 연결되거나 매트부 아래에 깔린 방수포(402)의 하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상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역사다리꼴 형상이 구축된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전기자동차(2)가 주차된 주차 라인의 단면적보다 적은 면적의 단면적만으로 수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수조 전체의 부피가 종래의 기술보다 작아지면서 화재 발생 중인 배터리에 물을 맞닿게 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보다 수량이 적게 요구되며, 운영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waterproof fabric 402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t part 400 or laid under the mat part is lifted by the wire part 500 to form a barrier while surrounding the electric vehicle 2 (mat Due to the connection with the unit 400, a part of the mat unit body 401 can be lifted),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length of the lower part of the tarpaulin 402 connected to the mat unit 400 or laid under the mat unit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the length of which is short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upper portion, is constructed. Therefore, unlike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form a water tank with only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parking line where the electric vehicle 2 is parked, and as a result, the entire volume of the water tank becomes small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preventing the battery in the event of a fire. It can extinguish a fire by contacting it with water. Therefore, fewer quantities are required than in the prior art,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reducing operating costs.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will find the spirit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기둥부,
200 : 프레임부,
300 : 제1 롤러부,
400 : 매트부,
500 : 와이어부,
600 : 제2 롤러부,
700 : 핀부,
800 : 핸들부,
900 : 제3 롤러부.
100: column part,
200: frame part,
300: first roller unit,
400: mat part,
500: wire part,
600: second roller unit,
700: pin part,
800: handle part,
900: third roller unit.

Claims (7)

지면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서 수직되도록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기둥부에 결합되는 제1 롤러부;
지면에 놓여지되, 전기자동차를 지지하는 매트부;
상기 롤러부에 일단이 결합되는 와이어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와이어부를 지지하는 제2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의 타단은 상기 매트부의 측부와 연결된 방수포의 일 지점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롤러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부가 권취되면,
상기 와이어부의 타단과 결합된 상기 방수포의 일 지점이 상방으로 승강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측부에서 격벽을 형성하는 것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
A pillar portion coupled to the ground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Doedoe coup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pillar portion, the frame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roller unit coupled to the pillar unit;
Doedoe placed on the ground, the mat portion supporting the electric vehicle;
a wire par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ller part; and
A second roller unit that is coupl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rame unit and supports the wire unit;
The other end of the wire part is coupled to one point of the tarpaulin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t part,
When the first roller part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wire part is wound,
One point of the tarpauli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part is lifted upward to form a partition wall at the side of the electric vehicl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와이어부를 지지하는 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부의 회전으로 상기 와이어부가 상기 제1 롤러부에 권취되면,
상기 와이어부의 이동으로 인해 상기 핀부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탈거되는 것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in portion coupl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rame portion and supporting the wire portion,
When the wire part is wound on the first roller part by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part,
The pin part is separated from the frame part due to the movement of the wire par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단면은 하부가 개방되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가 연장 형성된 형상인 것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ross-section of the frame portion is of a shape in which the lower part is open and a hollow part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3 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제1 롤러부에 권취되어 상기 제2 롤러부 및 상기 제3 롤러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roller uni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illar unit;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wire portion is wound around the first roller portion and supported by the second roller portion and the third roller portio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부에 결합되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andle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roller portio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 및 상기 제2 롤러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롤러부는 상기 프레임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와이어부는 일단이 모두 상기 제1 롤러부에 결합되되, 복수 개의 상기 제2 롤러부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복수 개의 상기 와이어부의 타단은, 상기 매트부의 측부와 연결된 상기 방수포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지점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 롤러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부가 권취되면,
상기 방수포의 복수 개의 지점이 상방으로 승강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측부에서 격벽을 형성하는 것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 part and the second roller part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The second roller part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rame 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l ends of the plurality of wire parts are coupled to the first roller part and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econd roller parts, respectively.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wire part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a plurality of point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tarpaulin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t part,
When the first roller part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wire parts are wound,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tarpaulin are lifted upward to form a bulkhead at the side of the electric vehicl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 상기 프레임부, 상기 제1 롤러부,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롤러부는 하나의 모듈로 구비되고,
상기 모듈은 한 쌍으로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인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pillar part, the frame part, the first roller part, the plurality of wire part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oller parts are provided as one module,
The module is formed in a pair,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KR1020230074142A 2023-06-09 2023-06-09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KR102565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142A KR102565030B1 (en) 2023-06-09 2023-06-09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142A KR102565030B1 (en) 2023-06-09 2023-06-09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030B1 true KR102565030B1 (en) 2023-08-08

Family

ID=87560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142A KR102565030B1 (en) 2023-06-09 2023-06-09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03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474B1 (en) 2022-06-17 2022-08-11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Fire suppression water tank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KR102503331B1 (en) * 2022-10-26 2023-02-24 주식회사 케이제이지아이티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fire suppression system
KR20230048258A (en) * 2023-03-23 2023-04-11 황의석 System for Detecting and Suppressing Fires Dur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KR102530655B1 (en) * 2022-07-08 2023-05-10 주식회사 칸정보기술 Vehicle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KR20230082268A (en) * 2021-12-01 2023-06-08 한국소방산업기술원 Cooling tank to stabilize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in which a fire occurre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268A (en) * 2021-12-01 2023-06-08 한국소방산업기술원 Cooling tank to stabilize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in which a fire occurred
KR102431474B1 (en) 2022-06-17 2022-08-11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Fire suppression water tank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KR102530655B1 (en) * 2022-07-08 2023-05-10 주식회사 칸정보기술 Vehicle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KR102503331B1 (en) * 2022-10-26 2023-02-24 주식회사 케이제이지아이티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fire suppression system
KR20230048258A (en) * 2023-03-23 2023-04-11 황의석 System for Detecting and Suppressing Fires Dur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553B1 (en) Automatic control type tunnel entrance blocking apparatus
JP2005533948A (en) Retractable automatic rotating blinds
KR102565030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KR102565044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ater tank generation system that is easy to support the frame part
KR101117490B1 (en) Loosening equipment of drum cable
CN110667642B (en) Rail weld detection device for rail transit fault diagnosis
KR102579072B1 (en) Rail Mobile Electric Vehicle Fire Fighting System
JP2016088391A (en) Balloon mooring device, balloon storage box, and balloon transport device
KR101259521B1 (en) Apparatus for implementing curved opening / closing lines of fire screen shutters that open and close vertically
KR100595476B1 (en)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radiation shielding door
KR100711860B1 (en) Method of maintenance the inner space of gas storage tank and an apparatus therefore
JP2008110863A (en) Car top safety fence device of elevator
KR101841695B1 (en) Fence
KR101547894B1 (en) screen shutter for fire prevention
KR102079927B1 (en) Underground Cable Cast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KR102596906B1 (en) Fire control device and fir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334716B1 (en) Fire shutter enhancing thermal insulation
JP3754047B2 (en) Space variable device
KR102251354B1 (en) Height adjustable soundproofing walls
JP2007259646A (en) Cable laying device
JP3753838B2 (en) Parking equipment
CN215632643U (en) Electric door hanging mud-blocking roller shutter device with cleaning function
CN221049536U (en) Lifting type new energy automobile fills electric pile
KR102613474B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2611735B1 (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 an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method of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