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923B1 -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923B1
KR102564923B1 KR1020210162505A KR20210162505A KR102564923B1 KR 102564923 B1 KR102564923 B1 KR 102564923B1 KR 1020210162505 A KR1020210162505 A KR 1020210162505A KR 20210162505 A KR20210162505 A KR 20210162505A KR 102564923 B1 KR102564923 B1 KR 102564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valve
cooling water
hol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5874A (ko
Inventor
강재구
정구범
Original Assignee
(주)엠투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투엔 filed Critical (주)엠투엔
Priority to KR102021016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923B1/ko
Publication of KR20230075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22Motor-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유로를 갖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된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1000)는, 측면에 방사방향으로 유로구멍(1110)과 폐쇄유로홈(1120)들이 구비된 바디(1100)와, 바디의 유로구멍에 연통되는 복수개의 호스연결구(1200)와, 바디의 측면에 형성된 유로구멍으로 냉각수를 압송하도록 된 워터펌프(1300)와, 유로구멍과 폐쇄유로홈에 선택적으로 유로가 구성되도록 밸브체유로구멍(1411a)들이 외주면에 관통되어 구비됨과 더불어 내부에 구비된 제1,2유로격벽(1412,1413)에 의해 밸브체유로구멍들이 3개의 구획유로챔버부를 갖추는 한편, 이 구획유로챔버부의 축중심방향 상부에는 엑츄에이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회전축부(1414)가 구비된 멀티밸브유로조립체(1400)와, 바디의 상부에 밀착되어 냉각수 유로챔버를 형성하는 미들커버(1500)와, 미들커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미들커버와 바디를 일체로 고정되는 탑커버(1600)와, 멀티밸브유로조립체의 회전축부에 끼워짐과 더불어 미들커버와 실링이 이루어지는 한편, 탑커버의 상부에 밀착되는 상태로 안착된 홀더(1700)와, 멀티밸브유로조립체의 회전축부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고정된 엑츄에이터(18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Radial multi-valve for electric vehicle coolan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유로를 갖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된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친환경 자동차 보급 확대 정책과 고연비 차량 선호가 맞물려 친환경차가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 자동차 중 전기 자동차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운행하고,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가 회전하며 자동차를 구동시키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유해물질의 배출이 없고 소음이 작으며 에너지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종래 엔진 동력을 사용하는 자동차는 엔진의 폐열을 이용하여 차내 난방 시스템을 가동하였으나, 전기자동차는 엔진이 없으므로 전기를 사용하여 히터를 가동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서 전기 자동차는 난방시 주행거리가 많이 감소하는 결점이 있으며,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자동차의 공조 시스템과 열관리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방안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또 배터리 모듈은 최적의 온도환경에서 사용하여야 최적의 성능과 긴 수명을 유지할 수 있으나 구동중 발생하는 열과 외부의 온도변화에 의해 최적의 온도환경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종래에는 배터리를 냉각하는 배터리냉각라인과 전장부품을 냉각하는 전장부품냉각라인의 냉각수 유동을 각각의 라인에 포함된 밸브로 제어함에 따라 부품 수가 증가되고, 이에 따른 제어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배터리냉각라인과 전장부품냉각라인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멀티 포트가 구비된 밸브에 대해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다양한 유로를 갖추는 것이 곤란함은 물론,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99300호 발명의 명칭 "차량 통합 열관리 멀티포트 밸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사항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유로를 갖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된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로구멍으로 냉각수가 유입되거나 유출됨과 동시에, 제1,2유로격벽에 의해 3개의 구획유로챔버부를 갖추어 엑츄에이터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부에 회전력이 일정각도 인가되면 구획유로챔버부에 의해 다양한 유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멀티밸브유로조립체의 회전축부에 구비된 스토퍼와 홀더의 스토퍼걸림홈에 의해 멀티밸브의 유로를 세팅하기 용이하게 됨과 더불어 회전축부가 엑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할 때 안전하게 회전 범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실링수단을 구성하는 개방형테프론실과 밀폐형테프론실에 의해 멀티밸브유로조립체의 각각의 유로가 실링이 우수하도록 된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는, 측면에 방사방향으로 유로구멍이 구비됨과 더불어, 이 유로구멍의 사이사이 내측면에 폐쇄유로홈이 구비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유로구멍에 연통되도록 조립된 복수의 호스연결구와, 상기 바디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구멍과 연통되어 냉각수를 압송하도록 설치된 워터펌프와, 상기 유로구멍과 폐쇄유로홈에 선택적으로 유로가 구성되도록 복수의 밸브체유로구멍이 외주면에 관통되어 구비됨과 더불어 내부에 구비된 제1,2유로격벽에 의해 밸브체유로구멍들이 3개의 구획유로챔버부를 갖추는 한편, 이 구획유로챔버부의 축 중심방향 상부에는 엑츄에이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회전축부가 구비된 멀티밸브유로조립체와, 상기 바디의 상부에 밀착되어 바디와 함께 냉각수 유로챔버를 형성하는 미들커버와, 상기 미들커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미들커버와 바디를 체결수단으로 일체로 고정되는 탑커버와, 상기 멀티밸브유로조립체의 회전축부에 끼워짐과 더불어 미들커버와 실링이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탑커버의 상부에 밀착되는 상태로 안착된 홀더와, 상기 멀티밸브유로조립체의 회전축부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지는 체결수단에 의해 홀더와 함께 탑커버에 체결되어 홀더 및 탑커버와 함께 일체로 고정된 엑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밸브유로조립체는, 하부는 개구되어 수용부를 갖추도록 상부와 측면을 갖춘 원통형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원통형 측면에는 등간격으로 밸브체유로구멍이 형성된 유로챔버부와, 상기 밸브체유로구멍중 어느 하나의 밸브체유로구멍과 180도 이격된 위치의 밸브체유로구멍 및 이 밸브체유로구멍에서 좌,우측으로 30도 각도로 이격된 위치의 밸브체유로구멍들간에 서로 중앙유로가 형성되는 한편, 이 중앙유로의 좌,우측으로 분리된 각각 밸브체유로구멍들간에 서로 좌,우측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제1,2유로격벽과, 상기 유로챔버부의 개구부측 반대쪽 축중심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엑츄에이터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된 회전축부로 이루어진 멀티유로체와; 상기 유로챔버부의 하부에 개구가 밀폐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밸브체유로구멍과 제1,2유로격벽에 의해 3개의 구획유로챔버부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멀티유로챔버바닥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홀더의 축중심에 형성된 회전축부끼움구멍으로 끼워져 일정길이 돌출되어 엑츄에이터에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홀더의 축중심에서 실링이 이루어지진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는 외주면 소정위치에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의 회전축부끼움구멍에는 상기 스토퍼가 걸리도록 된 스토퍼걸림부가 구비된다.
한편, 축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외주면에는 쿼드링이 끼워지는 한편, 상기 바디의 축중심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멀티밸브유로조립체의 원통면과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개방형테프론실이 바디의 유로구멍에 설치되고, 상기 바디의 폐쇄유로홈에 바디의 축중심에 설치된 멀티밸브유로조립체의 원통면과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밀폐형테프론실을 포함하는 실링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에 의하면, 다양한 유로를 갖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에 의하면, 유로구멍으로 냉각수가 유입되거나 유출됨과 동시에, 제1,2유로격벽에 의해 3개의 구획유로챔버부를 갖추어 엑츄에이터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부에 회전력이 일정각도 인가되면 구획유로챔버부에 의해 다양한 유로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에 의하면, 멀티밸브유로조립체의 회전축부에 구비된 스토퍼와 홀더의 스토퍼걸림홈에 의해 멀티밸브의 유로를 세팅하기 용이하게 됨과 더불어 회전축부가 엑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할 때 안전하게 회전 범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에 의하면, 실링수단을 구성하는 개방형테프론실과 밀폐형테프론실에 의해 멀티밸브유로조립체의 각각의 유로가 실링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1의 저면도,
도 6은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7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멀티밸브유로조립체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멀티밸브유로조립체와 홀더의 회전상태가 홀더에 의해 제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가 다양한 유로를 갖춘 상태로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1000)는,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디(1100)와, 호스연결구(1200), 워터펌프(1300), 멀티밸브유로조립체(1400), 미들커버(1500), 탑커버(1600), 홀더(1700), 엑츄에이터(1800) 및 실링수단(19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바디(1100)는, 측면에 방사방향으로 60도 간격으로 유로구멍(1110)이 구비됨과 더불어, 이 유로구멍의 사이사이 내측면에 폐쇄유로홈(1120)이 구비된다.
따라서 각각의 상기 유로구멍(1110)의 외측면쪽에는 다양한 모양의 호스연결구(1200)가 조립되어 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폐쇄유로홈(1120)에는 실링수단(1900)을 구성하는 밀폐형테프론실(1920)이 축방향 중심을 향해 탄력적으로 조립되어 상기 멀티밸브유로조립체(1400)의 측벽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연결구(1200)는, 상기 바디(1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로구멍(1110)에 오링(1210)을 매개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각각 다양한 모양으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호스연결구(1200)를 통해 바디(1100)의 유로구멍(1110)으로 냉각수가 유입되거나 또는 유로구멍(1110)을 통해 호스연결구(1200)로 냉각수가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워터펌프(1300)는, 상기 호스연결구(1200)중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1100)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구멍(1110)과 연통되어 냉각수를 압송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워터펌프(1300)는 유로구멍(1110)쪽의 냉각수를 외부로 압송하거나 또는 상기 워퍼펌프(1300)을 또 다른 호스연결구(1200)에 설치하여 외부의 냉각수를 유로구멍(1110)쪽으로 압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멀티밸브유로조립체(1400)는, 상기 유로구멍(1110)과 폐쇄유로홈(1120)에 선택적으로 유로가 구성되도록 복수개의 밸브체유로구멍(1411a)이 외주면에 관통되어 구비됨과 더불어, 내부에 구비된 제1,2유로격벽(1412,1413)에 의해 밸브체유로구멍(1411a)이 3개의 구획유로챔버부를 갖추는 한편, 상기 밸브체유로구멍(1411a)이 형성된 유로챔버부(1411)의 축중심방향 상부에는 엑츄에이터(18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일정길이의 회전축부(141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구멍(1110)으로 냉각수가 유입되거나 유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1,2유로격벽(1412,1413)에 의해 3개의 구획유로챔버부를 갖추어 엑츄에이터(1800)로부터 0도에서 90도까지 30도 간격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부(1414)에 회전력이 일정각도 인가되면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2유로격벽(1412,1413)으로 이루어진 구획유로챔버부에 의해 다양한 유로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멀티밸브유로조립체(140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는 개구되어 수용부(1411b)를 갖추도록 상부와 측면을 갖춘 원통형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원통형 측면에는 30도 간격으로 밸브체유로구멍(1411a)이 형성된 유로챔버부(1411)와, 상기 밸브체유로구멍(1411a)중 어느 하나의 밸브체유로구멍(1411a)과 180도 이격된 위치의 밸브체유로구멍(1411a) 및 이 밸브체유로구멍(1411a)에서 좌,우측으로 즉,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30도 각도로 이격된 위치의 밸브체유로구멍(1411a)들 간에 서로 3개의 구획유로챔버부중에서 하나인 중앙유로(S1)가 형성되는 한편, 이 중앙유로의 좌,우측으로 각각 4개의 밸브체유로구멍(1411a)들간에 서로 3개의 구획유로챔버부중에서 남은 2개의 구획유로챔버부인 좌,우측유로(S2,S3)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제1,2유로격벽(1412,1413)과, 상기 유로챔버부(1411)의 개구부측 반대쪽 축중심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엑츄에이터(1800)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된 회전축부(1414)로 이루어진 멀티유로체(1410)와; 상기 유로챔버부(1411)의 개구된 하부에 밀폐되도록 레이져융착으로 고정되어 상기 밸브체유로구멍(1411a)과 제1,2유로격벽(1412,1413)에 의해 3개의 구획유로챔버부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멀티유로챔버바닥부재(142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멀티유로체(1410)를 구성하는 유로챔버부(1411)의 하부에 멀티유로챔버바닥부재(1420)가 레이져융착 등으로 고정되게 되면, 상기 중앙유로(S1) 또는 좌,우측유로(S2,S3)중에서 어느 하나의 밸브체유로구멍(1411a)으로 들어오는 냉각수는 제1,2유로격벽(1412,1413)에 의해 구비된 중앙유로(S1) 또는 좌,우측유로(S2,S3)의 각각의 어느 하나의 밸브체유로구멍(1411a)으로 배출되어 유로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로챔버부(1411)의 상부면에는 미들커버(1500)의 하부면에 선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환형돌기(1415)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멀티밸브유로조립체(1400)가 엑츄에이터(1800)에 의해 회전할 때 상기 환형돌기(1415)에 의해 미들커버(1500)와 선접촉이 이루어져 큰 마찰이 없이 지지되면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1414)는, 상기 홀더(1700)의 축중심으로 끼워져 일정길이 돌출되어 엑츄에이터(1800)에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홀더(1700)의 축중심에 순차적으로 끼워진 테프론링(1414a)과 쿼드링(1414b)에 의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조립되는 한편, 상기 회전축부(1414)는 외주면 소정위치에 돌출된 스토퍼(1414c)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부(1414)가 엑츄에이터(1800)에 의해 30도 간격으로 회전하여 도 10에서 도 11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1414c)가 홀더(1700)의 스토퍼걸림홈(1720)에서 0도에서 90도 각도로 정역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이때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중앙유로(S1) 또는 좌,우측유로(S2,S3)에 의해 냉각수의 배출과 유입 경로가 바뀌게 된다.
또한, 도 11의 상태에서 도 10의 상태로 회전축부(1414)가 엑츄에이터(1800)에 의해 30도 간격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15에서 도 12로 역순으로 냉각수의 배출과 유입경로가 바뀌게 된다.
상기 멀티유로챔버바닥부재(14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유로챔버부(1411)의 원주면과 제1,2유로격벽(1412,1413)부의 하부면이 레이져융착으로 융착이 용이하도록 안착되는 융착부(142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미들커버(1500)는, 상기 바디(1100)의 상부에 패킹(1510)을 매개로 밀착되어 탑커버에서 체결되는 체결수단으로 탑커버(1600)와 미들커버(1500) 및 바디(1100)가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냉각수유로챔버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1100)의 내부에 멀티밸브유로조립체(1400)가 회전가능하게 안착됨과 더불어 상부에 체결되는 미들커버(1500)에 의해 냉각수 챔버가 구성되어, 상기 바디(1100)의 밸브체유로구멍(1411a)으로 들어오고 나가는 냉각수가 멀티밸브유로조립체(1400)의 회전에 의해 유로가 변경되게 된다.
또한 상기 탑커버(1600)는, 상기 미들커버(1500)의 상부에 위치하여 미들커버와 바디(1100)를 체결나사등의 체결수단으로 일체로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탑커버(1600)가 미들커버(1500)와 함께 바디(1100)에 고정됨과 더불어 후술하는 홀더(1700)와 함께 전기신호로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엑츄에이터(1800)가 고정되어 냉각수가 흐르는 챔버가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1700)는, 상기 멀티밸브유로조립체(1400)의 회전축부(1414)에 끼워짐과 더불어 상기 미들커버(1500)와 실링이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탑커버(1600)의 상부에 밀착되는 상태로 안착되며 상기 엑츄에이터(1800)의 상부로 체결되는 체결수단에 의해 엑츄에이터가 홀더 및 탑커버에 순차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엑츄에이터(1800)가 홀더(1700)에 지지되어 탑커버(1600)에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1700)의 축중심에는 상기 회전축부(1414)가 끼워지는 회전축부끼움구멍(1710)이 형성된 소정위치에 연통되어 스토퍼(1414c)가 90도 각도로 회전하여 걸리도록 스토퍼걸림홈(172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1700)의 회전축부끼움구멍(1710)에 끼워짐과 더불어 엑츄에이터(1800)에 끼워진 회전축부(1414)가 엑츄에이터에 의해 30도 각도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도 10에서 상기 회전축부(1414)가 반시계방향으로 30도씩 회전하여 도 11과 같이 90도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부(1414)에 구비된 스토퍼(1414c)가 회전축부끼움구멍(1710)에 연통되게 형성된 스토퍼걸림홈(1720)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이때 상기 멀티밸브유로조립체(1400)는 도 12에서 30도 간격으로 도 15까지 다양하게 냉각수 유로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멀티밸브유로조립체(1400)의 회전축부(1414)에 구비된 스토퍼(1414c)와 홀더(1700)의 스토퍼걸림홈(1720)에 의해 멀티밸브의 유로를 세팅하기 용이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회전축부(1414)가 엑츄에이터(1800)에 의해 회전할 때 안전하게 회전 범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링수단(1900)은, 상기 바디(1100)의 유로구멍(1110)에는 축방향으로 관통구멍(1911)이 형성됨과 더불어 외주면에는 쿼드링(1912)이 끼워지는 한편, 상기 바디(1100)의 축 중심방향에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개방형테프론실(1910)과, 상기 바디(1100)의 폐쇄유로홈(1120)에 바디의 축 중심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밀폐형테프론실(19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개방형테프론실(1910)과 밀폐형테프론실(1920)의 내측 끝 부분이 멀티밸브유로조립체(1400)의 원주면에 밀착되어 기밀이 유지되도록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개방형테프론실(1910)과 밀폐형테프론실(1920)은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을 이용하여 멀티밸브유로조립체(1400)의 축 중심방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있으나, 탄성을 갖춘 부재라면 스프링을 대신할 수 있고, 또 상기 개방형테프론실(1910)과 밀폐형테프론실(1920)가 멀티밸브유로조립체(1400)의 원주면에 밀착되는 부분은 곡면으로 가공하여 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방사형 멀티밸브 1100: 바디
1110: 유로구멍 1120: 폐쇄유로홈
1200: 호스연결구 1210: 오링
1300: 워터펌프 1400: 멀티밸브유로조립체
1410: 멀티유로체 1411: 유로챔버부
1411a: 밸브체유로구멍 1411b: 수용부
1412: 제1유로격벽 1413: 제2유로격벽
1414: 회전축부 1414a: 테프론링
1414b: 쿼드링 1414c: 스토퍼
1415: 환형돌기 1420: 멀티유로챔버바닥부재
1500: 미들커버 1600: 탑커버
1700: 홀더 1710: 회전축부끼움구멍
1720: 스토퍼걸림홈 1800: 엑츄에이터
1900: 실링수단 1910: 개방형테프론실
1920: 밀폐형테프론실

Claims (5)

  1. 측면에 방사방향으로 유로구멍(1110)이 구비됨과 더불어, 이 유로구멍의 사이사이 내측면에 폐쇄유로홈(1120)이 구비된 바디(1100)와,
    상기 바디의 유로구멍에 연통되도록 조립된 복수개의 호스연결구(1200)와,
    상기 바디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구멍과 연통되어 냉각수를 압송하도록 설치된 워터펌프(1300)와,
    하부는 개구되어 수용부(1411b)를 갖추도록 상부와 측면을 갖춘 원통형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원통형 측면에는 등간격으로 밸브체유로구멍(1411a)이 형성된 유로챔버부(1411)와, 상기 밸브체유로구멍(1411a)중 어느 하나의 밸브체유로구멍과 180도 이격된 위치의 밸브체유로구멍 및 이 밸브체유로구멍에서 좌,우측으로 30도 각도로 이격된 위치의 밸브체유로구멍들간에 서로 중앙유로가 형성되는 한편, 이 중앙유로의 좌,우측으로 분리된 각각 밸브체유로구멍들간에 서로 좌,우측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제1,2유로격벽(1412,1413)과, 상기 유로챔버부(1411)의 개구부측 반대쪽 축중심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엑츄에이터(1800)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받으면서 홀더(1700)의 축중심에 형성된 회전축부끼움구멍(1710)으로 끼워져 일정길이 돌출되어 엑츄에이터(1800)에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홀더의 축중심에서 실링이 이루어지면서 외주면 소정위치에 스토퍼(1414c)가 구비된 회전축부(1414)로 이루어진 멀티유로체(1410)와; 상기 유로챔버부(1411)의 하부에 개구가 밀폐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밸브체유로구멍과 제1,2유로격벽에 의해 3개의 구획유로챔버부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멀티유로챔버바닥부재(1420)로 이루어진 멀티밸브유로조립체(1400)와,
    상기 바디의 상부에 밀착되어 바디와 함께 냉각수 유로챔버를 형성하는 미들커버(1500)와,
    상기 미들커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미들커버와 바디를 체결수단으로 일체로 고정되는 탑커버(1600)와,
    상기 멀티밸브유로조립체의 회전축부에 끼워짐과 더불어 미들커버와 실링이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탑커버의 상부에 밀착되는 상태로 안착됨과 더불어 회전축부끼움구멍(1710)에는 상기 스토퍼(1414c)가 걸리도록 된 스토퍼걸림부(1720)가 구비된 홀더(1700)와,
    상기 멀티밸브유로조립체의 회전축부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지는 체결수단에 의해 홀더와 함께 탑커버에 체결되어 홀더 및 탑커버와 함께 일체로 고정된 엑츄에이터(1800)와,
    축방향으로 관통구멍(1911)이 형성됨과 더불어 외주면에는 쿼드링(1912)이 끼워지는 한편, 상기 바디(1100)의 축중심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멀티밸브유로조립체(1400)의 원통면과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개방형테프론실(1910)이 바디(1100)의 유로구멍(1110)에 설치되고, 상기 바디의 폐쇄유로홈에 바디의 축중심에 설치된 멀티밸브유로조립체(1400)의 원통면과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밀폐형테프론실(1920)을 포함하는 실링수단(19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62505A 2021-11-23 2021-11-23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 KR102564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505A KR102564923B1 (ko) 2021-11-23 2021-11-23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505A KR102564923B1 (ko) 2021-11-23 2021-11-23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874A KR20230075874A (ko) 2023-05-31
KR102564923B1 true KR102564923B1 (ko) 2023-08-09

Family

ID=86542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505A KR102564923B1 (ko) 2021-11-23 2021-11-23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9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853B1 (ko) 2018-05-16 2019-01-09 지엠비코리아(주) 멀티웨이밸브 장치
KR102115927B1 (ko) * 2019-12-05 2020-05-27 주식회사 코렌스 냉각수 제어밸브 조립체
KR102134220B1 (ko) 2019-08-02 2020-07-16 주식회사 유니크 멀티 포트 밸브
KR102166939B1 (ko) * 2019-08-23 2020-10-19 주식회사 유니크 멀티 포트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3951Y2 (ja) * 1992-08-27 1998-03-04 新明和工業株式会社 5ポート4位置切換弁及び吸引車の管路切換装置
US10344877B2 (en) * 2015-12-01 2019-07-09 Tesla Motors, Inc. Multi-port valve with multiple operation modes
CN207974879U (zh) * 2018-02-01 2018-10-16 认知控管株式会社 车辆用多阀装置
KR102299299B1 (ko) * 2019-11-19 2021-09-08 현대위아(주) 차량 통합 열관리 멀티포트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853B1 (ko) 2018-05-16 2019-01-09 지엠비코리아(주) 멀티웨이밸브 장치
KR102134220B1 (ko) 2019-08-02 2020-07-16 주식회사 유니크 멀티 포트 밸브
KR102166939B1 (ko) * 2019-08-23 2020-10-19 주식회사 유니크 멀티 포트 밸브
KR102115927B1 (ko) * 2019-12-05 2020-05-27 주식회사 코렌스 냉각수 제어밸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874A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3791B1 (en) Rotary valve
KR102115927B1 (ko) 냉각수 제어밸브 조립체
CN113227620B (zh) 多端口多平面阀
CN109139222B (zh) 控制阀
US11105430B2 (en) Control valve
KR102299299B1 (ko) 차량 통합 열관리 멀티포트 밸브
JP2017003064A (ja) 流量制御弁
US20210381607A1 (en) Multi-port multi-mode valve
CN111750137B (zh) 控制阀
CN110366654B (zh) 控制阀
US11698140B2 (en) Ball valve with multi-angular sealing for coolant control regulator
CN117881915A (zh) 多端口阀门、具有该多端口阀门的热管理系统及其应用
KR102299300B1 (ko) 차량 통합 열관리 멀티포트 밸브
KR102564923B1 (ko)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
KR102521910B1 (ko)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원통형 멀티밸브
WO2022070839A1 (ja) バルブ装置
US20210291621A1 (en) Control valve
JP2018204744A (ja) 流量制御弁
WO2024058030A1 (ja) バルブ装置
JP2008089041A (ja) 回転軸部材のシール構造
WO2023176379A1 (ja) 流路切替弁
KR102476791B1 (ko) 멀티웨이밸브 장치
CN221097557U (zh) 一种九通流体阀
US20240133471A1 (en) Valve device with multiple flow passages
KR20230039801A (ko) 멀티 포트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