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306B1 -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 Google Patents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306B1
KR102564306B1 KR1020210147708A KR20210147708A KR102564306B1 KR 102564306 B1 KR102564306 B1 KR 102564306B1 KR 1020210147708 A KR1020210147708 A KR 1020210147708A KR 20210147708 A KR20210147708 A KR 20210147708A KR 102564306 B1 KR102564306 B1 KR 102564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ad
chipping
photovoltaic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2976A (ko
Inventor
정연수
최지선
나옥빈
임창근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
Priority to KR1020210147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306B1/ko
Publication of KR2023006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hydroj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50Methods or devices for preventing dust by spraying or su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 대상도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에 장착되어, 태양광발전도로를 시공하는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에 관한 것으로, 이동체의 이동방향 전방에 배치되고, 이동체의 이동방향 전방의 시공 대상도로에 물을 고압 분사시켜 시공 대상도로를 치핑(Chipping)하여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치핑부와 이동체의 치핑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치핑부의 치핑에 의해 생성된 잔여물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이동체의 흡입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복수의 태양광모듈이 소정 간격 이격 고정된 매쉬망이 적재되어, 복수의 태양광모듈의 수광영역이 상부를 향하도록 적재된 복수의 태양광모듈이 고정된 매쉬망을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에 공급시키는 공급부와 이동체의 공급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복수의 태양광모듈이 고정된 매쉬망이 안착된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 영역에 포장재를 타설하는 타설부 및 이동체의 타설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복수의 태양광모듈의 수광영여기 포장재의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타설부에 의해 타설된 포장재의 타설 높이를 레벨링하는 레벨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SOLAR POWER GENERATION ROAD CONSTRUCTION VEHICLE}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주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화석연료는 매장량이 한정되어 점차 고갈되고 있고, 그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인해 비용부담이 점점 증가되고 있다.
특히 연소 중, 다량의 공해물질이 배출되어 환경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는 등 많은 문제가 있으며, 이를 대체하기 위한 청정 에너지원의 개발에 많은 노력이 모아지고 있다.
이 중에서 태양광 발전은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셀(Solar-cell)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것으로, 공해를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일정 수준 이상의 일조량을 확보할 수 있는 곳이면 적용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제약이 많은 풍력이나 조력 발전 등에 비해 우수한 청정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다만, 이러한 태양광발전은 발전량이 일광 면적과 비례하기 때문에, 발전 시스템의 구축 시에 별도의 부지에 시스템을 구축하기 보다는 기존의 구조물을 이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특히, 차량이 통과하는 도로에 적용시키기 위한 기술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4537호(출원일: 2017.11.20., 공고일: 2019.01.02.,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태양광발전을 위한 발전 단위체가 단일의 블록 형태로 마련되고, 표면의 정리, 블록의 안착, 불록간 결선 및 고정 등의 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며, 블록식 결합구조는 블록 간 간극에 의해 침수에 취약함에 따라 지속적인 침수에 의한 지반 소실을 유발할 수 있을 뿐더러 지반 소실 시의의 결합 안정성 또한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시공 이후의 유지보수에도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태양광발전도로의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태양광발전 시공 장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시공 대상도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에 장착되어, 태양광발전도로를 시공하는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 전방의 시공 대상도로에 물을 고압 분사시켜 시공 대상도로를 치핑(Chipping)하여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치핑부; 상기 이동체의 상기 치핑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치핑부의 치핑에 의해 생성된 잔여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이동체의 상기 흡입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의 태양광모듈이 소정 간격 이격 고정된 매쉬망이 적재되어, 상기 복수의 태양광모듈의 수광영역이 상부를 향하도록 적재된 상기 복수의 태양광모듈이 고정된 매쉬망을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에 연속적으로 공급시키는 공급부; 상기 이동체의 상기 공급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태양광모듈이 고정된 매쉬망이 안착된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 영역에 포장재를 타설하는 타설부; 및 상기 이동체의 상기 타설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태양광모듈의 수광영역이 포장재의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타설부에 의해 타설된 포장재의 타설 높이를 레벨링하는 레벨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복수의 태양광모듈이 소정간격 이격 고정된 매쉬망이 릴 형태로 권취되는 릴부분; 상기 릴부분에 권취된 복수의 태양광모듈이 소정 간격 이격 고정된 매쉬망을 릴리즈 하는 릴리즈부분; 및 상기 릴리즈부에 의해 릴리즈된 매쉬망에 고정된 복수의 태양광 모듈을 상기 시공대상도로의 바탕면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매쉬망에 고정된 복수의 태양광 모듈이 상기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 표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복수의 태양광 모듈을 정렬시키는 정렬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릴리즈부분은 상기 이동체의 속도 및 상기 릴부분의 잔여 권취량에 따라 릴리즈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릴부분에 권취된 복수의 태양광모듈이 소정간격 이격 고정된 매쉬망을 릴리즈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공 대상도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에 장착되어, 태양광발전도로를 시공하는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 전방의 시공 대상도로에 물을 고압 분사시켜 시공 대상도로를 치핑(Chipping)하여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치핑부; 상기 이동체의 상기 치핑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치핑부의 치핑에 의해 생성된 잔여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이동체의 상기 흡입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매쉬망에 복수의 태양광 모듈이 소정 간격 이격 고정된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개의 적재단위체가 적재되며, 적재된 적재단위체를 상기 복수의 태양광모듈의 수광영역이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에 공급 안착시키는 공급부; 상기 이동체의 상기 공급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부에 의해 적재단위체가 공급 안착된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 영역에 포장재를 타설하는 타설부; 및 상기 이동체의 상기 타설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태양광모듈의 수광영역이 포장재의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타설부에 의해 타설된 포장재의 타설 높이를 레벨링하는 레벨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는, 복수개의 적재단위체가 적층 적재되는 적재부분; 상기 적재부분에 적재된 적재단위체를 상기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에 공급 안착시키는 공급부분; 및 상기 공급부분에 의해 상기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에 안착된 적재단위체를 상기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분은,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적재단위체의 길이를 초과하는 기준거리만큼 이동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적재부분에 적재된 적재단위체를 상기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에 공급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는 이동체에 장착된 상태로, 치핑부, 흡입부, 공급부, 타설부 및 레벨링부가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 정리, 이물질 제거, 태양광모듈의 공급과 배치, 타설 및 레벨링(=표면 다짐)을 이동체의 시공대상 도로의 통과와 함께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태양광발전도로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에 따른 비용(Cost)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적재단위체는 전극망 역할을 수행하는 매쉬망의 상부에 수광영역이 상방을 향하는 복수의 태양광 모듈이 열을 이루되 인접한 열의 복수의 태양광 모듈과는 지그재그형태로 배치 고정되어 복수의 태양광모듈이 고정된 매쉬망이 릴 형태로 권취된 형태로 마련되거나, 소정의 길이단위를 이루는 매쉬망 상에 수광영역이 상방을 향하는 복수의 태양광 모듈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 고정된 형태로 마련되며, 수광영역 또한 내부에 위치한 태양광패널에 태양광(=일광)이 투과 제공되도록 광 투과성 재질로 마련되는 하우징 또는 태양광패널에 태양광이 투과되는 보호필름 등의 형태로 마련되는 입사영역으로 이해되어져야할 것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100)는, 시공 대상도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M)에 장착되며, 치핑부(110), 흡입부(120), 공급부(130), 타설부(140) 및 레벨링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치핑부(110)는 이동체(M)의 이동방향 전방에 배치되고, 이동체(M)의 이동방향 전방의 시공 대상도로에 물을 고압 분사시켜 시공 대상도로를 치핑(Chipping)하여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을 정리할 수 있다. 여기서, 치핑부(110)는 이동체(M)의 이동방향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물이 고압 분사되는 고압 분사노즐의 분사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이동체(M)에 연결되는 제어반(미도시)을 통해 작업자로부터 입력된 입력 값에 따라 치핑 깊이 및 영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치핑부(110)는 태양광발전 도로 시공에 앞서, 시공 대상도로에 기 적용된 포장재를 파쇄 또는 절삭하는 치핑을 수행하여, 이동체(M)의 이동방향 전방에 해당하는 영역의 시공 대상도로 표면을 평활하고 균일하게 정리하여 바탕면(B)을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치핑부(110)의 치핑 과정에서는 시공 대상도로로부터 파쇄 또는 절삭 과정에서 생성된 잔여물(W)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일정양은 치핑부(110)의 분사압에 의해 이동체(M)의 이동방향 전방 또는 전방 측면으로 이탈될 수 있으나, 소정의 잔여물(W)은 바탕면(B) 표면상에 남아 있을 수 있으며, 후술할 흡입부(120)는 이러한 바탕면(B) 표면에 잔존하는 잔여물(W)을 흡입하여 바탕면(B)으로부터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흡입부(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체(M)의 치핑부(110)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치핑부(110)의 치핑에 의해 생성된 잔여물(W)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흡입부(120)는 치핑부(110)의 치핑과정에서 생성된 잔여물(W)과 치핑부(110)로부터 분사된 물 중 일부를 흡입하여 바탕면(B) 상의 잔여물(W)을 포함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흡입된 고체와 액체를 분리 저장시키도록 내부에서 흡입물을 싸이클론 형태로 회전시켜 하중과 입자 크기에 따라 분리 저장시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흡입된 물만을 분리 배출시킬 수도 있다. 이때, 흡입부(120)는 흡입된 물을 이동체(M) 이동영역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관형의 배출부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130)는 이동체(M)의 흡입부(120)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고, 매쉬망(Sn)에 복수의 태양광모듈(Sm)이 소정 간격 이격 고정된 상태로 릴 형상으로 감겨진 적재단위체(S)가 적재되어, 복수의 태양광모듈(Sm)의 수광영역이 상부를 향하도록 적재된 복수의 태양광모듈(Sm)이 고정된 매쉬망(Sn)을 이동체(M)의 이동에 따라 풀어내어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에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릴부분(132), 릴리즈부분(134) 및 정렬부분(136)을 포함할 수 있다. 릴부분(132)은 릴 형상으로 감겨진 적재단위체(S)의 중심에 삽입되어, 후술할 릴리즈부분(134)에 의해 릴 형상으로 감기어진 적재단위체(S)가 풀리며 제공될 수 있도록 적재단위체(S)가 삽입되는 릴 뭉치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적재단위체(S) 자체가 릴 뭉치 형태로 마련되고 릴부분(132)이 릴 뭉치의 중심에 삽입되어 릴리즈 방향으로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축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릴리즈부분(134)은 회전 축 또는 릴 뭉치형태로 마련된 릴부분(132)을 회전시켜 적재단위체(S)의 복수의 채양광 모듈이(Sm)의 수광영역이 상방을 향하도록 적재단위체(S)를 풀어내는 릴리즈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릴리즈부분(134)은 동일 속도로 릴부분(134)을 회전시킬 경우, 원의 반지름이 줄어들수록 호의 길이 또한 비례하여 감소하므로, 동일 회전량 대비 릴부분(134)에 감겨진 형태로 적재된 적재단위체(S)의 잔여권취량에 따라 적재단위체(S)의 릴리즈양 또한 줄어들게 되므로, 릴리즈부분(134)은 이동체(M)의 차륜 또는 캐터필러 등의 회전 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이동체(M)의 이동거리에 따라 릴부분(132)의 릴리즈 속도를 제어하여 적재단위체(S)의 잔여권취량과 상관없이 언제나 동일 길이로 적재단위체(S)를 풀어낼 수 있다. 정렬부분(136)은 릴리즈부분(134)에 의해 릴부분(132)으로부터 복수의 태영광모듈(Sm)의 수광영역이 상부를 향하도록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매쉬망(Sn)이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과 밀착되고, 매쉬망(Sn)의 상부에 고정된 복수의 태양광 모듈(Sm)이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 (B)표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복수의 태양광 모듈(Sm)을 정렬시킬 수 있다. 이때, 정렬부분(136)은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분(미도시)과 가압부분(미도시)으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을 완충시켜주는 패드부분(미도시)이 결합된 형태로 마련되어, 릴리즈부분(134)에 의해 릴부분(132)으로부터 복수의 태양광모듈(Sm)의 수광영역이 상방을 향하도록(= 매쉬망 방향이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을 향하도록) 매쉬망(Sn)이 풀어져 제공되면, 매쉬망(Sn)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방을 향해 돌출된 태양광모듈(Sm)의 수광영역을 가압하여 매쉬망(Sn)이 시공 대상도로의 표면 상에 평활하게 전개되도록 도움과 동시에, 복수의 태양광 모듈(Sm)을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을 기준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정렬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타설부(140)는 이동체(M)의 공급부(130)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복수의 태양광모듈(Sm)이 고정된 매쉬망(Sn)이 안착된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에 포장재(P)를 타설할 수 있다. 이때, 타설부(140)에 의해 타설되는 포장재(P)는 고유동의 콘크리트 또는 몰탈로 마련되는 경화형 타설재(P1)이며, 타설량(또는 타설속도)은 릴리즈부분(140)과 마찬가지로 이동체(M)의 이동속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한편, 타설부(140)는 연속적인 타설재(P1)의 타설을 위해 이동체(M)의 상방으로 개방되어 타설재(P1)가 유입되는 호버(Hopper) 형상의 유입구인 호퍼부분(140a)이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100)가 장착된 이동체(M)의 측방에서 타설재(P1) 공급 차량이 이동체(M)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지속적으로 호퍼부분(140a)을 통해 타설재(P1)를 공급하여 연속적인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또한 가능해진다.
레벨링부(150)는 이동체(M)의 타설부(140)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복수의 태양광모듈(Sm)의 수광영역이 포장재의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타설부(140)에 의해 타설된 타설재(P1)의 타설 높이를 레벨링할 수 있으며, 롤러부분(152) 및 그라인딩부분(154)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분(152)은 타설부(140)에서 타설된 타설재(P1)의 높이를 정렬부분(136)에 의해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과 수직을 이루며 정렬 배치된 복수의 태양광모듈(Sm)의 상면(=수광영역)이 이루는 높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타설재(P1)를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P1)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퍼뜨리는 타설재(P1) 다짐을 수행할 수 있다. 그라인딩부분(154)은 타설재(P1)의 타설 표면과 접촉하는 브러쉬 형태로 마련되어, 타설재(P1)가 타설된 표면의 미끄럼 방지의 처리와 더불어, 태양광모듈(Sm)의 수광영역(=상면)에 달라붙은 타설재(P1)를 1차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한편,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시, 이동체(M)는 미리 설정된 이동속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치핑부(110)의 분사압력, 흡입부(120) 흡입압력, 릴리즈부분(134)의 잔여권취량 대비 릴리즈속도, 타설부(140)의 타설량 및 타설속도는 설정된 이동체(M)의 이동속도에 따라 작동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100)는 이동체(M)에 장착된 상태로,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 정리, 이물질 제거, 태양광모듈의 공급과 배치, 타설 및 레벨링의 각 단계를 이동체(M)의 시공대상 도로 이동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태양광발전도로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에 따른 비용(Cost)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태양광발전도로 시공장비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100′)는, 시공 대상도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M)에 장착되며, 치핑부(110′), 흡입부(120′), 공급부(130′), 타설부(140′) 및 레벨링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제1 실시예에서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100)의 구성 설명에서 언급된 치핑부(110′), 흡입부(120′)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명칭은 동일하나 차이점을 가지는 공급부(130′), 타설부(140′) 및 레벨링부(150′)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치핑부(110′)는 이동체(M)의 이동방향 전방에 배치되고, 이동체(M)의 이동방향 전방의 시공 대상도로에 물을 고압 분사시켜 시공 대상도로를 치핑(Chipping)하여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을 정리할 수 있다.
흡입부(120′)는 이동체(M)의 치핑부(110′)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치핑부(110′)의 치핑에 의해 생성된 잔여물(W)을 흡입할 수 있다.
공급부(130′)는 이동체(M)의 흡입부(120′)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매쉬망(Sn′)에 복수의 태양광 모듈(Sm′)이 소정 간격 이격 고정된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개의 적재단위체(S′)가 적재되며, 적재된 적재단위체(S′)를 복수의 태양광모듈(Sm′)의 수광영역이 상부를 향하도록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에 안착 공급할 수 있으며, 적재부분(132′), 공급부분(134′) 및 고정부분(136′)을 포함할 수 있다. 적재부분(132′)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매쉬망(Sn′)의 상부에 고정된 복수의 태양광 모듈(Sm′)의 수광영역(상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적층 적재된 복수의 적재단위체(S′)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공급부분(134′)은 적재부분(132′)에 적층 적재된 복수의 적재단위체(S′) 중 최하단에 위치한 적재단위체(S′)를 하방으로 이송시켜,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에 공급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공급부분(134′)은 적재단위체(S′)의 매쉬망(Sn′)을 파지하는 로드(미도시)가 적재부분(132′)의 수직방향을 따라 인입되는 암(Arm, 미도시)가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공급부분(134′)은 이동체(M)의 차륜 또는 캐터필러의 회전수에 따라 이동체(M)의 이동거리를 확인하고, 이동체(M)가 적재단위체(S)의 매쉬망(Sn′)이 이루는 길이를 초과하여 이동한 경우에 한하여, 적재부분(132′)에 적재된 적재단위체를 수직 하방의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에 공급 안착시킬 수 있다. 고정부분(136′)은 공급부분(134′)에 의해 매쉬망(Sn′)이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 방향을 향하도록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에 적재단위체(S′)가 안착 공급되면, 고정부재(F)를 통해 매쉬망(Sn′)을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 상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바탕면(B)에 압입되는 후크(Hook)를 가지는 팩(Peg) 형상의 고정부재(F)를 통해 매쉬망(Sn′)을 바탕면(B)의 상방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분(136′)은 공급부분(134′)의 로드(미도시)에 결합되며, 공압 또는 화약을 통해 고정부재(F)의 걸림영역이 매쉬망(Sn′)에 걸린 형태로 고정부재(F)를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 방향으로는 발사시켜 압입시키는 네일-건(Nail-gun)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타설부(140′)는 이동체(M)의 공급부(130′)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공급부(130′)에 의해 적재단위체(S′)가 공급 안착된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의 일 영역에 포장재(P)를 타설할 수 있으며, 제1 타설부분(142′) 및 제2 타설부분(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설부분(142′)은 공급부(130′)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적재단위체(S′)가 공급 안착된 영역에 해당하는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에 고유동의 콘크리트 또는 몰탈로 마련되는 경화형 타설재(P1)를 타설할 수 있다. 제2 타설부분(144′)은 제1 타설부분(142′)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1 타설부분(142′)에 의해 타설된 경화형 타설재(P1)의 타설 표면에 골재(P2)를 타설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타설부분(144′)으로부터 타설되는 골재(P2)는 경화형 타설재(P1)의 경화를 돕고, 태양광발전도로의 시공 이후의 포장재(P)에 의해 형성된 표면에 마찰력을 부여하여, 태양광발전도로의 미끄러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타설되며, 제1 타설부분(142′) 및 제2 타설부분(144′)은 이동체(M)의 상방으로 노출되며, 각각 경화형 타설재(P1), 골재(P2)가 개별 유입되는 호퍼 형상의 제1 및 제2 호퍼부분(142a′, 144a′)이 마련될 수 있다.
레벨링부(150′)는 이동체(M)의 타설부(140′)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복수의 태양광모듈(Sm′)의 수광영역이 포장재(P)의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타설부(140′)에 의해 타설된 포장재(P)의 타설 높이를 레벨링할 수 있다. 여기서, 레벨링부(150′)는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분(미도시)과 가압부분(미도시)으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을 완충시켜주는 패드부분(미도시)이 결합된 형태로 마련되어, 가압부분(미도시)이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B)에 고정된 적재단위체(S)의 복수의 태양광모듈(Sm′)의 수광영역(=상면)이 이루는 높이만큼 패드부분(미도시)을 하강 가압시켜, 제1 및 제2 타설부분(142′, 144′)으로부터 타설된 경화형 타설재(P1) 및 골재(P2)가 태양광모듈(Sm′)의 수광영역(=상면)에 달라붙은 채로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경화형 타설재(P1)와 골재(P2)가 적재단위체(S′) 고정 영역에 골고루 유입되도록 표면 다짐을 수행한다. 한편, 레벨링부(150′)는 가압부분(미도시) 후방에 배치되어 표면 다짐된 포장재(P)의 표면에 경화형 타설재(P1)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키는 급결제를 도포하는 도포부분(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는 이동체에 장착된 상태로, 치핑부, 흡입부, 공급부, 타설부 및 레벨링부가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 정리, 이물질 제거, 태양광모듈의 공급과 배치, 타설 및 레벨링(=표면 다짐)을 이동체의 시공대상 도로의 통과와 함께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태양광발전도로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에 따른 비용(Cost)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110: 치핑부
120: 흡입부
130: 공급부
132: 릴부분
134: 릴리즈부분
136: 정렬부분
140: 타설부
140a: 호퍼부분
150: 레벨링부
152: 롤러부분
154: 그라인딩부분
100′: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110′: 치핑부
120′: 흡입부
130′: 공급부
132′: 적재부분
134′: 공급부분
136′: 고정부분
140′: 타설부
142′: 제1 타설부분
142′a: 제1 호퍼부분
144′: 제2 타설부분
144′a: 제2 호퍼부분
150′: 레벨링부
B: 시공도로 바탕면
W: 잔여물
S, S′: 적재단위체
Sm, Sm′: 태양광모듈
Sn, Sn′: 매쉬망
F: 고정부재
P: 포장재
P1: 타설재
P2: 골재

Claims (6)

  1. 시공 대상도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에 장착되어, 태양광발전도로를 시공하는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 전방의 시공 대상도로에 물을 고압 분사시켜 시공 대상도로를 치핑(Chipping)하여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치핑부;
    상기 이동체의 상기 치핑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치핑부의 치핑에 의해 생성된 잔여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이동체의 상기 흡입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의 태양광모듈이 소정 간격 이격 고정된 매쉬망이 적재되어, 상기 복수의 태양광모듈의 수광영역이 상부를 향하도록 적재된 상기 복수의 태양광모듈이 고정된 매쉬망을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에 연속적으로 공급시키는 공급부;
    상기 이동체의 상기 공급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태양광모듈이 고정된 매쉬망이 안착된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 영역에 포장재를 타설하는 타설부; 및
    상기 이동체의 상기 타설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태양광모듈의 수광영역이 포장재의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타설부에 의해 타설된 포장재의 타설 높이를 레벨링하는 레벨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복수의 태양광모듈이 소정간격 이격 고정된 매쉬망이 릴 형태로 권취되는 릴부분;
    상기 릴부분에 권취된 복수의 태양광모듈이 소정 간격 이격 고정된 매쉬망을 릴리즈 하는 릴리즈부분; 및
    상기 릴리즈부에 의해 릴리즈된 매쉬망에 고정된 복수의 태양광 모듈을 상기 시공대상도로의 바탕면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매쉬망에 고정된 복수의 태양광 모듈이 상기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 표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복수의 태양광 모듈을 정렬시키는 정렬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부분은 상기 이동체의 속도 및 상기 릴부분의 잔여 권취량에 따라 릴리즈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릴부분에 권취된 복수의 태양광모듈이 소정간격 이격 고정된 매쉬망을 릴리즈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4. 시공 대상도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에 장착되어, 태양광발전도로를 시공하는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 전방의 시공 대상도로에 물을 고압 분사시켜 시공 대상도로를 치핑(Chipping)하여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치핑부;
    상기 이동체의 상기 치핑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치핑부의 치핑에 의해 생성된 잔여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이동체의 상기 흡입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매쉬망에 복수의 태양광 모듈이 소정 간격 이격 고정된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개의 적재단위체가 적재되며, 적재된 적재단위체를 상기 복수의 태양광모듈의 수광영역이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에 공급 안착시키는 공급부;
    상기 이동체의 상기 공급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부에 의해 적재단위체가 공급 안착된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 영역에 포장재를 타설하는 타설부; 및
    상기 이동체의 상기 타설부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태양광모듈의 수광영역이 포장재의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타설부에 의해 타설된 포장재의 타설 높이를 레벨링하는 레벨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복수개의 적재단위체가 적층 적재되는 적재부분;
    상기 적재부분에 적재된 적재단위체를 상기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에 공급 안착시키는 공급부분; 및
    상기 공급부분에 의해 상기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에 안착된 적재단위체를 상기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분은,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적재단위체의 길이를 초과하는 기준거리만큼 이동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적재부분에 적재된 적재단위체를 상기 시공 대상도로의 바탕면에 공급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KR1020210147708A 2021-11-01 2021-11-01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KR102564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708A KR102564306B1 (ko) 2021-11-01 2021-11-01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708A KR102564306B1 (ko) 2021-11-01 2021-11-01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976A KR20230062976A (ko) 2023-05-09
KR102564306B1 true KR102564306B1 (ko) 2023-08-04

Family

ID=8640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708A KR102564306B1 (ko) 2021-11-01 2021-11-01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3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401B1 (ko) 2018-05-15 2019-02-13 김민성 어닝타입 태양전지모듈발전장치
KR102083793B1 (ko) 2019-08-07 2020-03-03 주식회사 오에이티엠엔씨 가열식 방수시공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573B1 (ko) * 2011-01-31 2013-01-04 (주)삼우아이엠씨 콘크리트 노면의 줄눈부 칩핑용 차량
KR101817121B1 (ko) * 2016-03-28 2018-01-10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방수시트 시공장치
KR102312370B1 (ko) * 2019-11-15 2021-10-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KR102382255B1 (ko) * 2020-04-16 2022-04-0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롤러블 태양전지모듈을 갖는 지붕형 태양광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401B1 (ko) 2018-05-15 2019-02-13 김민성 어닝타입 태양전지모듈발전장치
KR102083793B1 (ko) 2019-08-07 2020-03-03 주식회사 오에이티엠엔씨 가열식 방수시공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976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62994A (zh) 倾斜面上的作业装置及其应用在光伏电站的清扫方法
CN212742123U (zh) 一种道路工程管理养护装置
CN101250877A (zh) 滑动模板平行移动混凝土衬砌机及其施工方法
KR102564306B1 (ko)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CN104234012A (zh) 一种砼堆石坝超长混凝土滑模体及其施工方法
CN107893353A (zh) 一种碾压混凝土道路的施工方法
CN109733842A (zh) 农业基础设施建设用输料装置及其操作方法
CN103382773A (zh) 水泥地面整平机
CN110552279A (zh) 一种太阳能发电路面光伏组件板铺设与预压的施工工艺
CN106049878A (zh) 一种楼地面混凝土施工振捣装置及振捣方法
KR20060127329A (ko) 교량의 상부구조 시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교량의상부구조 시공방법
KR101174428B1 (ko) 친환경 폐아스콘 재생설비
KR100625888B1 (ko) 반강성포장용 시멘트 페이스트 충전장치
CN115749332A (zh) 一种建筑施工混凝土覆膜养护装置
KR100687137B1 (ko) 교량의 상부구조 시공용 철근대차
CN112031001A (zh) 一种水土流失综合治理方法
CN112281571B (zh) 一种无尘灌浆复合抗车辙路面施工方法
CN208250877U (zh) 一种路沿石的铺设装置
CN205894709U (zh) 一种楼地面混凝土施工振捣装置
CN215204951U (zh) 一种轻便型防水卷材运输设备
CN204753338U (zh) 一种沥青路面摊铺机
CN104929077A (zh) 一种用于路面融雪除冰的涂料喷洒车
CN217923412U (zh) 一种履带水渠成型机
CN220301511U (zh) 一种市政道路排水清淤装置
CN2793156Y (zh) 渠道坡面自动混凝土布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