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235B1 - 중공샌드위치판넬 - Google Patents

중공샌드위치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235B1
KR102564235B1 KR1020210144566A KR20210144566A KR102564235B1 KR 102564235 B1 KR102564235 B1 KR 102564235B1 KR 1020210144566 A KR1020210144566 A KR 1020210144566A KR 20210144566 A KR20210144566 A KR 20210144566A KR 102564235 B1 KR102564235 B1 KR 102564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low
panel
panels
ou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0170A (ko
Inventor
최재용
Original Assignee
최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용 filed Critical 최재용
Priority to KR1020210144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235B1/ko
Publication of KR20230060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1/00Sheets, panel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proportions; Constructions comprising assemblies of such members
    • F16S1/10Composite members, e.g. with ribs or flanges attach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1/00Sheets, panel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proportions; Constructions comprising assemblies of such members
    • F16S1/12Sheets, panel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proportions; Constructions comprising assemblies of such members of substantial thickness, e.g. with varying thickness, with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002/348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frame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외부판부(10), 판연결부(20),물통부(30) 중 적어도 한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물(액체기체 등의 유동성물질을 대표하는 명칭으로 사용 됨)샌드위치판넬은
판넬의 외부를 구성하는 외부판부(10)와 외부판부의 상판(11)과 하판(12)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판연결부(20)와 판연결부와 외부판(10)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물통부(30)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필요 시에만 내부에 필요한 만큼의 물을 넣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샌드위치판넬
외부판부(10)와 판연결부(20)는 크기와 모양을 다양화하여, 장난감이나 학습용 블럭식 판넬, 타일크기나 모양의 타일식 판넬, 장식용, 보온용판넬, 책상 침대, 평상 등의 다양한 비품을 제작할 수 있는 공업용판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샌드위치판넬

Description

중공샌드위치판넬{The sandwich pannal with space in the middle}
본 발명은 중공샌드위치판넬과 관련된 기술이다. 더 상세히는 샌드위치 판넬의 중간 부분에 공간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필요 시 물과 알코올, 액체질소 같은 액체나 공기, 수소, 헬륨, 질소 등의 기체 또는 다양한 고체 물질을 삽입할 수 있도록 제작된 중공샌드위치판넬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의 샌드위치판넬은 주로 내부에 스티로폼을 사용하여 판넬 내부에 빈 공간이 없이 제작되어서 조립식 건물을 짓거나 내부 칸막이용 등의 건설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었다.
이런 종래의 샌드위치는 가운데가 두껍고 꽉차있기 때문에 너무 무겁고 부피가 커서 휴대용이나 이동식으로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많이 있었다.
또한 크기나 모양을 변경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판넬이나 사용자가 판넬의 내부 또는 외부를 마음대로 꾸미면서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이를 극복하고자 더 가볍고 부피가 작으며, 이동과 조립이 쉬운 샌드위치 판넬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하였다. 또한 크기나 모양을 달리하여 판넬의 용도는 물론 불럭식 장난감 판넬, 타일판넬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판넬의 필요성이 절실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이 판넬을 꾸며 예술적으로 가치가 있는 판넬을 제작할 필요성을 개닫게 되었다.
이런 발명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종래의 기존 발명품을 검색하여 보았으나 판넬의 가운데 부분을 공간으로 비워놓고 필요에 따라 기체, 액체 고체의 물질을 선택적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만든 샌드위치 판넬, 판넬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장난감이나 타일, 블럭 등으로 사용되는 판넬, 사용자가 마음대로 꾸며 예술적으로 가치가 있는 판넬은 찾기가 어려웠다.
특허 검색사이트(www.kipris.or.kr) 기타 인터넷 상의 어느 사이트에서도 유사상품은 찾을 수 없었다.
특허 심사과정에서 보내온 '의견제출통지서'에 제시한 유사 선행발명은 다음과 같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06396(2000.12.01)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평7-256804호(1995.10.09)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146588호(2005. 06.09)
여기서 제시한 선행발명은 다음의 사항에서 본 발명과 다른 점을 찾을 수 있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06396(2000.12.01)은
이중으로 된 판넬 내측에 보강재를 끼운 상태에서 간이 간판으로 제작함으로써, 바람이나 기타 외부 압력에의해 쉽게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도록한 플라스틱 판넬에 관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야영 시 필수로 사용되는 텐트와 같은 간이 거주지를 만들거나 벽을 장식하기 위한 것을 주용도로 하여 휴대와 이동 및 조립이 간편하도록 하고 크기나 모양을 쉽게 변형할 수 있는 등의 목적으로 한 발명인바 보강재를 끼워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도록 하는 간판을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발명과는 목적부터 상이한 발명임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고안은 간이 간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하판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11)에 일정한 간격마다 중간 격변(12)이 형성된 플라스틱페널에 있어서 상기중공부(11) 사이사이에 다양한 단명 형상을 갖는 보강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밝히고 있다.
본 발명도 상하판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고 중공부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기술적으로 유사한 면이 있으나 중공부에서는 커다란 차이점이 있다.
상기 발명은 외부압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도록 중공부(11)에 일정한 간격마다 중간격벽(12)이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발명의 명칭에서 밝힌 것처럼 중공부(30)를 말그대로 비워두어 필요에 따라 액체나 기체 고체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 점에서 커다란 차이가 난다. 본 발명은 중간을 비우기 위해 중간 격변을 사용하지 않는다. 액체가 흘러나오지 않을 정도로 외부만을 감싸는 정도로판연결부(20)를 사용하는 것이다. 중간격벽이 있으면 부피를 조절하거나 이동을 하거나 조립을 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주로 외부를 막을 수 있는 용도를 겸한 연결부로 중공부 내부에 액체나 기타 물체를 담을 수 있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강력한 보강재와 단단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유연한 투명 플라스틱을 주로 사용하여 부피를 줄 일 수 있고 두루마리처럼 감아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플라스틱 판넬과는 목적이나 방법 모든 면에서 판이한 발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평7-256804호(1995.10.09)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146588호(2005. 06.09)
상기 2개의 일본 발명도 상판과 하판 사이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중공부에 다양한 모양의 판연결부를 만들어 판넬을 구성하였다는 점에서는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두 발명 모두 공통적으로 판연결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일정한 모양을 형성할 수 있는 격변을 끼워 견고한 판넬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 현저한 차이를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평상 시에는 이동이나 휴대가 편리하도록 중공부(30)를 비워두며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는 외부판부(10)도 견고한 재료가 아닌 유연한 재료를 주로 사용한다는 점과
판연결부(30)도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 중공부에 넣는 액체가 흘러나오지 않게 할 목적으로 외부만을 감쌀 정도로 최소의 중공외부를 형성하는 연결부(30)를 사용한다는 점, 그래서 부피를 줄이고 늘일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찾을 수 있다.
종래의 샌드위치 판넬은 고정형으로 제작되어 무겁고, 부피가 크며, 다루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런 단점을 해결하고
최대한 부피를 줄이고 가벼우며 이동이 쉽고, 다루기 편한 조립식 샌드위치판넬을 제작하고자 한다.
또한 샌드위치의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을 만들어 놓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물질을 기체, 액체, 고체의 상태로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하여, 판의 색깔과 견고성, 무게, 부피 등의 조정이 가능한 샌드위치 판넬을 만들고자 한다..
또한 내부 공간에 어떤 물질을 넣느냐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색깔의 예술적효과나 장식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판넬을 만들고자 한다.
또한 샌드위치 판넬 내부에 추가로 호스나 원형, 각관 등을 넣어 보일러 판넬로도 사용할 수 있고, 판넬끼리 상호 연결이나 조립이 수월한 조립식 다용도 판넬을 만들고자 한다.
또한 판넬의 모양이나 크기를 다양화하여 조립식 장난감 블럭, 타일용 판넬, 장식용 판넬, 보온용판넬 등 다양한 용도의 판넬을 만들고자 한다.
외부판부(10), 판연결부(20),중공부(30) 중 적어도 한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중공(가운데 일부가 비어있는)샌드위치판넬은
판넬의 외부를 구성하는 외부판부(10)와 외부판부의 상판(11)과 하판(12) 사이를 연결하면서, 추후 내부에 주입하는 액체나 기타 물질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중공 내부를 감쌀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내부 감싸개 용도의 판연결부(20)와 판연결부와 외부판(10)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중공부(30)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필요 시에만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물질을 넣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샌드위치판넬을 만든다.
삭제
또한 외부판부(10)는 다양한 재질로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그 내부의 중공부(30)에는 별도로 관이나 호스 등은 물론 다양한 무늬의 이물질을 투입하여 예술적 요소나 판넬의 온도 등을 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샌드위치판넬을 만든다
중공부(30)에는 관을 삽입하여 판넬끼리 서로 연결하여 조립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샌드위치판넬을 만든다.
또한 외부판부(10)와 판연결부(20)는 크기와 모양을 다양화하여, 장난감이나 학습용 블럭식 판넬, 타일크기나 모양의 타일식 판넬, 장식용, 보온용판넬, 책상 침대, 평상 등의 다양한 비품을 제작할 수 있는 공업용판넬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샌드위치판넬을 만든다.
본 발명품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다.
첫째, 다양한 모양, 크기, 재료, 두께를 사용한 중공샌드위치의 제작이 가능해일반 건축용 조립식 판넬은 물론 장난감이나 학습용 블럭식 판넬, 타일식 판넬 장식용판넬, 공업용판넬 등으로 다용도 판넬이 만들어질 것이다.
둘째, 내부에 넣는 재료의 종류와 양 등의 조정으로 판넬의 부피와 무게, 온도, 색깔의 조절이 가능하고, 이동과 휴대, 조립이 용이해지고 사용자가 직접 장식할 수 있는 예술적 판넬이 만들어질 것이다. ..
도 1 은 본 발명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품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소개한다.
도 1은 본 발명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수직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본 발명품의 구성은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외부판부(10), 연결부(20) 중공부(30)로 구성된다.
외부판부(10)는 상판부(11) 하판부(12)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중공샌드위치 판넬의 외부를 구성하는 재료는 알루미늄, 주석, 양철 등의 다양한 합금이나 pet, pvc 등의 다양한 합성수지 기타 방수가 되는 섬유 등 얼마든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의 일 예를 들면 내부의 물의 색깔이나 내부의 모양을 잘 볼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의 투명한 pet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예가 될 것이다.
또한 외부판부는 목적에 따라 규격, 모양, 두께 등을 다양화 할 수 있다.
규격에서 두께는 외부판부의 두께와 중공의 두께에 따라 결정되며 사용용도에 따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다.
모양규격에서 판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1200*2400을 사용할 수도 있고, 목적에 따라 120*240으로 작게하여 장난감이나 학습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판의 모양 또한 다양화 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각형은 물론 삼각형,오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타일 크기로 타일판넬을 만들어 타일처럼 사용하거나 보도블럭, 보온용 내부 판넬 장식용 판넬 등의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외부판부(10)는 판넬의 특성상 상판부(11)와 하판부(12)로 구분된다.
상판부와 하판부는 일반적으로는 같은 물질 같은 규격을 사용할 수 있으나 목적에 따라 재료도 달리하고 두께도 달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한 좋은 사용 예로 상판은 투명하게 하판은 불토명하게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판연결부(20)는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상판과 하판과 같은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가지 사용 예로 상판과 하판은 합성수지이고 판연결부(20)는 알루미늄이나 주석과 같은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고 심지어 나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아름다음을 위하여 한옥문살, 꽃모양, 나무모양, 그림, 판화 등의 다양한 무늬를 새겨 넣는 것도 가능하다.
판연결부(20)는 내부판부(21)와 상판 접착부(22) 하판 접착부(23) 판연결관(24)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판연결부(20)는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판의 외부와 내부를 분리하며 연결부 내부의 중공을 형성하고 중공에 별도의 삽입물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하는 기능을 하도록 한다.
연결부의 폭이 내부 공간의 크기와 직결되며 샌드위치의 두께를 결정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내부판부(21)는 상부에 상판접착부(22)와 하판 접착부(23)를 구성하여 쉽게 상판과 하판을 접착할 수 있고도록 하며 동시에 내부 공간에 넣은 물질이 잘 수납될 수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상판접착부(22)와 하판접착부(23)의 표면에는 강력한 접착제나 기타 재료를 이용하여 잘 접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판연결관(24)은 샌드위치 판넬의 골격과 같은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 형태를 유지하고 견고하게 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다른 샌드위치판넬과 연결을 하는 기능을 한다.
판연결관은 1자형 연결, 기역자형 연결이 쉽도록 나사를 박아 나사를 돌림으로서 결합이 될 수 있도록 사용하는 것도 한 가지 바람직한 사용 예가 될 것이다.
보통 판넬은 내부에 스티로폼을 넣고 외부에 알루미늄이나 주석 함석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태를 유지하고 연결을 위해서는 별도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그 위부에 판넬을 결합하여 프레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판넬을 연결한다.
하지만 본 중공판넬은 내부에 판연결관이 있어 샌드위치 판넬의 연결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2를 보면 중공부의 모양을 잘 볼 수 있도록 결합하기 전의 모습으로 조립이전의 모양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중공부(30)는 외부판부(10)와 판연결부(20)로 둘러 쌓인 공간으로 추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물질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중공부(30)는 공간부(31)과 주입구(32)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공간부(31)는 크기조절이 가능하고 샌드위치 판넬의 부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
또한 중공부(30)의 내부에는 다양한 전기조명장치를 하여 더 아름답게 꾸미고 사용 용도를 다양화 하는 것도 바람직한 사용 예가 될 것이다.
이런 목적의 사용에는 투명한 외부판부의 사용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주입구(32)는 액체나 기체 물질을 넣고 빼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주로 판의 하단부나 판연결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을 설치한다.
바람직한 사용 예의 한가지로 중공부에 물을 넣는 사용 예를 가지고 자세히 설명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물은 특성 상 그릇에 따라 모양이 달라지지만 부피가 줄어들지 않는 관계로 바람직한 사용예가 될 것이다. 또한 온도나 색깔 양 등을 조절하고 구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조립식 판넬의 경우 물이 없는 상태에서 조립하고 추후 물을 넣으면 부피에 비해 튼튼하며,온도 조절도 가능하고, 색깔을 넣어 미적 효과까지 누릴 수 있어 좋은 사용 예가 될 것이다.
또한 중간에 넣는 물질의 종류나 양에 따라 무게조절, 부피 조절이 쉽고 외판을 투명하게 만들었을 경우 한 사용 예로 물을 넣을 때는 위에 주입구를 만들고 물을 뺄 때에는 주입구를 가장 낮은곳에 설치하여 물이 잘 빠지도록 하는 것도 상식에 속하는 일이다.
또한 기체를 넣을 때는 기체가 한 방향으로 주입되고 일부러 기체를 빼지않는 한 기체가 빠지지않도록 주입구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이런 기술은 종래의 차바퀴나 자전거 바퀴 튜브 등에서 사용되는 기체주입기술이 있으므로 이를 사용하면 무난할 것이다.
본 발명품은 샌드위치 판넬에 한해 설명을 하였으나 판넬 이외의 본 중공샌드위치 판넬을 둥굴게 말아 라운드 형으로 사용하는 등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품에 속하는 발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10 외부판부 : 11 상판부 12 하판부
20 판연결부 : 21 내부판부, 22 상판 접착부 23 하판 접착부 24 판연결관
30 중공부 : 31 공간부 32 물질주입구

Claims (4)

  1. 외부판부(10), 판연결부(20),중공부(30) 중 적어도 한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중공(가운데 일부가 비어있는)샌드위치판넬은
    판넬의 외부를 구성하는 외부판부(10)와 외부판부의 상판(11)과 하판(12) 사이를 연결하면서, 추후 내부에 주입하는 액체나 기타 물질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중공 내부를 감쌀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내부 감싸개 용도의 판연결부(20)와 판연결부와 외부판(10)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중공부(30)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필요 시에만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물질을 넣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샌드위치판넬
  2. 위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판부(10)는 다양한 재질로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그 내부의중공부(30)에는 별도로 관이나 호스 등은 물론 다양한 무늬의 이물질을 투입하여 예술적 요소나 판넬의 온도 등을 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샌드위치판넬
  3. 위 청구항 1에 있어서
    중공부(30)에는 연결관을 삽입하거나 외부판(10)끼리 연결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판넬끼리 서로 연결하여 조립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샌드위치판넬.
  4. 위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판부(10)와 판연결부(20)는 크기와 모양을 다양화하여, 장난감이나 학습용 블럭식 판넬, 타일크기나 모양의 타일식 판넬, 장식용, 보온용판넬, 책상 침대, 평상 등의 다양한 비품을 제작할 수 있는 공업용판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샌드위치판넬



KR1020210144566A 2021-10-27 2021-10-27 중공샌드위치판넬 KR102564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566A KR102564235B1 (ko) 2021-10-27 2021-10-27 중공샌드위치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566A KR102564235B1 (ko) 2021-10-27 2021-10-27 중공샌드위치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170A KR20230060170A (ko) 2023-05-04
KR102564235B1 true KR102564235B1 (ko) 2023-08-04

Family

ID=8637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566A KR102564235B1 (ko) 2021-10-27 2021-10-27 중공샌드위치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2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396Y1 (ko) * 2000-04-19 2000-12-01 이유선 플라스틱 판넬
JP2005146588A (ja) * 2003-11-13 2005-06-09 Meiko:Kk 連結式トラスパネル型芯材とその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4755B2 (ja) * 1994-03-18 1998-02-16 旭土建株式会社 立体構造状複合材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396Y1 (ko) * 2000-04-19 2000-12-01 이유선 플라스틱 판넬
JP2005146588A (ja) * 2003-11-13 2005-06-09 Meiko:Kk 連結式トラスパネル型芯材とその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170A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55528U (zh) 一种建筑用的墙体单元板
KR102564235B1 (ko) 중공샌드위치판넬
KR100732252B1 (ko) 축소 모형-표면 분할을 이용한 테마 건축 물용 유연성거푸집의 제조방법
CN204456983U (zh) 三合一轻体写真画面板拼装池
CN202596023U (zh) 一种立式木塑中空墙板
CN205872208U (zh) 一种拖挂式房车外壳
CN205502361U (zh) 透光保温混凝土砌块
CN203613703U (zh) 一种建筑复合墙体砌块及其墙体
CN201874302U (zh) 艺术围栏
CN208202344U (zh) 五星状塑木立柱
CN221002125U (zh) 一种装配式建筑结构
CN2138028Y (zh) 复层钢塑胶空心型材
JPS62258061A (ja) 潜水用プ−ル
AU2008100853B4 (en) Multifunction, Decorative Water Tank III
CN2407071Y (zh) 玻璃钢小型游泳池
CN201093935Y (zh) 一种玩具水枪
CN201027355Y (zh) 一种新型隔断用的轻型砖及其镶嵌式隔断
CN2404832Y (zh) 具中段装饰窗的双管式瓶体
CN206942223U (zh) 一种新型房屋结构
CN204715654U (zh) 一种微晶玻璃耐火楼梯扶手
CN207790454U (zh) 一种木屋式可移动房车保温墙体
CN208501901U (zh) 一种可快速构建简易建筑的组件
CN2603147Y (zh) 菱镁微孔聚氨脂复合保温板
CN206681247U (zh) 一种装修使用的墙体装置
CN105863156A (zh) 一种模块化集成石竹复合新型墙体构件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