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858B1 -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858B1
KR102563858B1 KR1020210052113A KR20210052113A KR102563858B1 KR 102563858 B1 KR102563858 B1 KR 102563858B1 KR 1020210052113 A KR1020210052113 A KR 1020210052113A KR 20210052113 A KR20210052113 A KR 20210052113A KR 102563858 B1 KR102563858 B1 KR 102563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belt
transferred
transfe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5963A (ko
Inventor
조창현
박해균
Original Assignee
한국소니전자(주)
조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소니전자(주), 조창현 filed Critical 한국소니전자(주)
Priority to KR1020210052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85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8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문틀의 패킹을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신속하게 이송하여 공급시킬 수 있는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는 클립 공급수단과, 제1이송수단과, 제2이송수단과, 제1이송제어수단과, 제2이송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클립 공급수단은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클립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가진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클립을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송시킨다. 상기 제1이송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에서 이송되는 클립을 일단에서 공급받는 제1벨트와, 상기 일단으로 공급된 클립을 상기 제1벨트의 타단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벨트를 구동시키는 제1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제2이송수단은 상기 제1벨트의 타단에서 이송되는 클립을 일단에서 공급받는 제2벨트와, 상기 제2벨트의 일단으로 공급된 클립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벨트를 구동시키는 제2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2벨트의 축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제어수단은 상기 제1벨트의 타단에서 상기 클립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와, 상기 제1감지센서에서 상기 클립이 감지되지 않을 때부터 상기 제1벨트로 공급되는 상기 클립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제1카운팅센서와, 상기 제1카운팅센서에서 일정 개수 만큼 카운팅되면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제1벨트로 상기 클립이 이송되지 않도록 닫히고 아니면 상기 제1벨트로 상기 클립이 이송되도록 열리는 제1스토퍼부와, 상기 제1카운팅센서에서 상기 일정 개수 만큼 카운팅되면 상기 클립이 상기 제1벨트에서 상기 제2벨트로 공급되도록 오픈되고 아니면 상기 클립이 상기 제2벨트로 공급되지 않도록 닫히는 제2스토퍼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이송제어수단은 상기 제1벨트에서 상기 제2벨트로 상기 클립이 이송되면 상기 클립이 상기 제2벨트에서 더 이상 진행되지 않게 막도록 닫히고 상기 제1벨트에서 상기 클립이 이송되지 않으면 상기 제2벨트로 이송된 클립을 이송시킬 수 있게 오픈되는 제3스토퍼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Clip supply apparatus for fixing packing of doorframe of car}
본 발명은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문틀의 패킹을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신속하게 이송하여 공급시킬 수 있는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 차량 문틀의 안쪽에는 차량 내부로 빗물 등이 스며들지 않도록 고무 패킹이 장착된다. 이때 고무 패킹을 차량의 문틀에 고정하기 위하여 클립이 사용된다. 클립을 고무 패킹에 삽입시킨 후 클립을 차량의 문틀에 고정시켜서 고무 패킹을 차량의 문틀에 장착한다.
클립을 고무 패킹에 삽입시키는 클립 삽입장치에 클립을 공급하기 위하여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가 사용된다. 이때 클립 공급장치가 클립을 공급하는 속도에 따라서 클립 삽입장치가 클립을 고무 패킹에 장착하는 속도가 좌우된다. 그래서 클립 공급장치에서 클립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74313호(등록일자 2014년 08월 29일) 등록특허 제10-1954738호(등록일자 2019년 02월 27일) 등록특허 제10-1400100호(등록일자 2014년 05월 21일) 등록특허 제10-1398704호(등록일자 2014년 05월 16일)
종래의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는 클립을 신속하게 공급하지 못하므로 클립 공급속도가 늦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클립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는 클립 공급수단과, 제1이송수단과, 제2이송수단과, 제1이송제어수단과, 제2이송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클립 공급수단은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클립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가진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클립을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송시킨다. 상기 제1이송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에서 이송되는 클립을 일단에서 공급받는 제1벨트와, 상기 일단으로 공급된 클립을 상기 제1벨트의 타단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벨트를 구동시키는 제1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제2이송수단은 상기 제1벨트의 타단에서 이송되는 클립을 일단에서 공급받는 제2벨트와, 상기 제2벨트의 일단으로 공급된 클립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벨트를 구동시키는 제2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2벨트의 축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제어수단은 상기 제1벨트의 타단에서 상기 클립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와, 상기 제1감지센서에서 상기 클립이 감지되지 않을 때부터 상기 제1벨트로 공급되는 상기 클립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제1카운팅센서와, 상기 제1카운팅센서에서 일정 개수 만큼 카운팅되면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제1벨트로 상기 클립이 이송되지 않도록 닫히고 아니면 상기 제1벨트로 상기 클립이 이송되도록 열리는 제1스토퍼부와, 상기 제1카운팅센서에서 상기 일정 개수 만큼 카운팅되면 상기 클립이 상기 제1벨트에서 상기 제2벨트로 공급되도록 오픈되고 아니면 상기 클립이 상기 제2벨트로 공급되지 않도록 닫히는 제2스토퍼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이송제어수단은 상기 제1벨트에서 상기 제2벨트로 상기 클립이 이송되면 상기 클립이 상기 제2벨트에서 더 이상 진행되지 않게 막도록 닫히고 상기 제1벨트에서 상기 클립이 이송되지 않으면 상기 제2벨트로 이송된 클립을 이송시킬 수 있게 오픈되는 제3스토퍼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클립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부가 오픈되어 상기 제1벨트에서 상기 제2벨트로 상기 클립이 이송되면 상기 제1모터 및 상기 제2모터는 상기 제1벨트 및 상기 제2벨트를 같은 속도로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클립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제어수단은 상기 제3스토퍼부가 오픈되면 상기 제3스토퍼부에 위치한 상기 클립을 이송시키기 위한 블로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이송수단은 상기 블로우로 이송되는 상기 클립을 차량 문틀의 패킹에 삽입시키기 위하여 낙하시키도록 안내하도록 상기 제2벨트의 타단에 위치한 가이드레일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는 제1이송수단 및 제2이송수단으로 분리되고 제2이송수단이 전후진할 수 있다. 그래서 제2이송수단이 전진하여 클립을 패킹에 삽입하는 삽입장치에 클립을 제공할 때 이와 동시에 공급수단에서 제1이송수단으로 클립을 이송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이송수단으로 클립 이송이 완료되면 이송된 클립을 삽입장치에 모두 공급한 제2이송수단으로 한 번에 일괄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립의 공급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이송수단과 제2이송수단이 분리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이송수단의 분리확대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2이송수단의 분리확대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는 클립 공급수단(10)과, 제1이송수단(15)과, 제2이송수단(20)과, 제1이송제어수단(30)과, 제2이송제어수단(40)을 포함한다.
클립 공급수단(10)은 클립(1)을 수용하여 차례대로 제1이송수단(15)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클립 공급수단(10)은 수용부(11)와 가이드부(13)를 구비한다.
수용부(11)는 패킹을 차량 문틀에 고정하기 위한 클립(1)을 수용한다. 클립(1)은 고무로된 패킹에 삽입되는 몸체(1a)와, 차량의 문틀에 고정되는 돌기(1b)로 구성된다. 몸체(1a)는 배 모양으로 형성되어 패킹에 삽입되고 돌기(1b)가 차량의 문틀에 삽입되어 패킹을 차량의 문틀에 고정시켜 준다. 수용부(11)에는 복수의 클립(1)들이 수용된다.
가이드부(13)는 수용부(11)에 수용된 클립(1)이 한 개씩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부(11)에서 클립(1)을 안내한다. 공급수단(10)이 가진되면 진동에 의하여 클립(1)은 수용부(11)에서 가이드부(13)를 따라 한 개씩 이동된다. 이때 클립(1)은 몸체(1a)가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몸체(1a)가 아래로 가도록 위치하여 가이부(13)를 따라 진행된다.
제1이송수단(15)은 클립 공급수단(10)에서 이송된 클립(1)을 받아서 제2이송수단(20)으로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제1이송수단(15)은 제1벨트(16)와, 제1모터(18)을 구비한다.
제1벨트(16)는 가이드부(13)에서 이송되는 클립(1)을 공급받도록 일단이 가이부(13)에 연결된다. 제1모터(18)는 제1벨트(16)의 일단으로 공급된 클립(1)을 제1벨트(16)의 타단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제1벨트(16)를 구동시킨다.
제2이송수단(20)은 제1이송수단(15)으로부터 클립(1)을 공급받아 클립(1)을 차량 문틀에 장착되는 고무 패킹에 클립(1)을 삽입시키도록 클립 삽입장치(미도시)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제2이송수단(20)은 제2벨트(21)와, 제2모터(23) 및 가이드레일(25)을 구비하며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이송수단(20)이 후진하면 제2벨트(21)의 일단이 제1벨트(15)의 타단과 맞닿아 제1벨트(16)로부터 클립(1)을 공급받을 수 있고, 제2이송수단(20)이 전진하면 고무 패킹에 클립(1)을 삽입시키도록 클립(1)을 삽입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제2모터(23)는 제2벨트(21)의 일단으로 공급된 클립(1)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제2벨트(21)를 구동시킨다. 이때 제2모터(23)는 제1벨트(16)에서 제2벨트(16)로 클립(1)을 이송시킬 때 제2벨트(16)가 제1벨트(16)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도록 한다.
가이드레일(25)은 제2벨트(21)의 타단에 위치하여 제2벨트(21)에서 이송되는 클립(1)을 고무 패킹에 삽입시키기 위하여 클립(1)을 낙하시키도록 안내한다. 제2벨트(21)에서 가이드레일(25)로 이송되는 클립(1)은 가이드레일(25)에서 미끄러져서 클립 삽입장치로 제공된다. 이때 클립(1)이 가이드레일(25)에 미끄러질 때 클립(1)이 벗어나지 않도록 가이드레일(25)에는 클립(1)의 몸체(1a)가 삽입되도록 홈(26)이 형성된다. 즉 클립(1)은 몸체(1a)가 홈(26)에 삽입되어 가이드레일(25)을 따라 미끄러진다.
제1이송제어수단(30)은 제1감지센서(31)와, 제1카운터센서(33)와, 제1스토퍼부(35)와, 제2스토퍼부(37) 및 제2감지센서(32)를 구비한다.
먼저 제2감지센서(32)는 가이드부(13)의 단부에 설치되어 클립(1)이 제1벨트(16)의 일단의 입구에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2감지센서(32)에서 클립(1)이 감지되지 아니하면 공급수단(10)을 가진시켜 클립(1)이 공급되도록 한다.
제1감지센서(31)는 제1벨트(16)의 타단에 장착되어 제1벨트(16)의 타단에 클립(1)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1카운팅센서(33)는 제1감지센서(31)에서 클립(1)이 감지되지 않을 때부터 가이드부(13)에서 제1벨트(16)로 공급되는 클립(1)의 개수를 카운팅한다.
제1스토퍼부(35)는 가이드부(13)에서 제1벨트(16)로 클립(1)이 이송되는 것을 개폐한다. 이를 위해 제1스토퍼부(35)는 제1벨트(16)의 일단에 설치되어 개방되면 가이드부(13)에서 제1벨트(16)로 클립(1)이 이동될 수 있고 폐쇄되면 클립(1)이 이동될 수 없다. 이때 제1스토퍼부(35)는 제1카운팅센서(33)에서 일정 개수 만큼 카운팅되면 폐쇄되고, 일정 개수 보다 작으면 개방된다.
제2스토퍼부(37)는 제1벨트(16)에서 제2벨트(21)로 클립(1)이 이송되는 것을 개폐한다. 이를 위해 제2스토퍼부(35)는 제1벨트(16)의 타단에 설치되어 개방되면 제1벨트(16)에서 제2벨트(21)로 클립(1)이 이동될 수 있고 폐쇄되면 클립(1)이 이동될 수 없다. 이때 제2스토퍼부(35)는 제1카운팅센서(33)에서 일정 개수 만큼 카운팅되면 개방되고 일정 개수 보다 작으면 폐쇄된다.
따라서 제1벨트(16)에 클립(1)이 공급되지 아니하여 제1감지센서(31)에서 클립(1)이 감지되지 아니하면 이때 제1카운팅센서(33)는 영으로 리셋된다. 그리고 제1스토퍼부(35)는 개방되고, 제2스토퍼부(37)는 폐쇄된다. 그래서 가이드부(13)에서 제1벨트(16)로 클립(1)이 한개씩 공급된다. 이때 제1카운팅센서(33)는 제1벨트(16)로 이송되는 클립(1)을 카운팅한다. 제1벨트(16)로 이송된 클립(1)은 제2스토퍼부(37)에 의해 차단되므로 제2스토퍼부(37)에서부터 일렬로 정렬된다.
제1카운팅센서(33)에서 일정 개수 만큼 카운팅되어 제1벨트(16)에 클립(1)이 충분히 공급되면 제1스토퍼부(35)는 닫혀서 가이드부(13)에서 제1벨트(16)로 클립(1)이 이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제2스토퍼부(37)가 개방된다. 제2스토퍼부(37)가 개방되면 제1벨트(16)에 정렬된 클립(1)은 한꺼번에 제2벨트(21)로 전달될 수 있다. 클립(1)의 전달이 원활하도록 제1벨트(16) 및 제2벨트(21)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된다. 제1벨트(16)에 정렬된 클립(1)이 모두 제2벨트(21)로 전달되면 제1감지센서(31)에서 클립(1)이 감지되지 아니하므로 제1카운팅센서(33)는 다시 영으로 리셋된다. 그리고 제2스토퍼부(37)는 닫히고 제1스토퍼부(35)는 열린다. 제1스토퍼부(35)가 개방되므로 공급수단(10)에서 제1벨트(16)로 클립(1)은 공급된다.
제2이송제어수단(40)은 제3스토퍼부(41)와, 블로우(43)와, 제2카운팅센서(42), 제3감지센서(44)를 구비한다.
제3스토퍼부(41)는 제2벨트(21)에서 클립(1)이 가이드레일(25)로 이송되는 것을 개폐한다. 이를 위해 제3스토퍼부(41)는 제2벨트(21)의 타단에 설치되어 개방되면 제2벨트(21)에서 클립(1)이 가이드레일(25)로 이동될 수 있고 폐쇄되면 클립(1)이 이동될 수 없다. 제3스토퍼부(41)는 제2스토퍼부(37)가 개방되면 닫혀서 제2벨트(21)로 이송되는 클립(1)이 가이드레일(25)로 전달되는 것을 막고, 클립(1)이 제2벨트(21)로 이송되어 제2스토퍼부(37)가 폐쇄되면 클립(1)이 가이드레일(25)로 전달될 수 있게 개방된다.
블로우(43)는 제3스토퍼부(41)가 개방되어 클립(1)이 전방으로 이동되면 클립(1)을 가이드레일(25)로 이송하도록 바람을 송출한다.
제2카운팅센서(42)는 제1벨트(16)에서 제2벨트(21)로 이송되는 클립(1)의 개수를 카운팅한다.
제3감지센서(44)는 가이드레일(25)의 입구에 장착되어 클립(1)을 감지한다. 제3감지센서(44)에서 클립(1)이 감지되면 클립(1)을 가이드레일(25)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블로우(43)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제3스토퍼부(41)가 개방되었는데 제3감지센서(44)에서 클립(1)이 감지되지 아니하면 제2벨트(21)에서 클립(1)이 공급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이송수단(20)이 후진하여 제2벨트(21)가 제1벨트(16)에 맞닿는다. 그리고 제2감지센서(32)에서 클립(1)이 감지되지 아니하면 공급수단(10)이 가진하여 수용부(11)에 수용된 클립(1)을 가이드부(13)를 통하여 공급한다. 클립(1)이 제1감지센서(31)에서 감지되지 않고 제1카운팅센서(33)가 영으로 리셋되어 있으므로 제1스토퍼부(35)가 개방된다. 그래서 클립(1)은 가이드부(13)에서 제1벨트(16)로 전달되고 제1벨트(16)가 구동되어 제1벨트(16)로 전달된 클립(1)은 제2스토퍼부(37)까지 이송된다. 이때 공급수단(10)에서 제1이송수단(15)으로 이송되는 클립(1)은 제1카운팅센서(33)에서 카운팅되며, 클립(1)은 제2스토퍼부(37)에서부터 일렬로 정렬된다. 제1카운팅센서(33)에서 일정 개수 만큼 카운팅되면 제1스토퍼부(35)가 닫히고 제2스토퍼부(37)가 열린다. 그러면 공급수단(10)에서 제1벨트(16)로 클립(1)의 전송은 중단된다. 그리고 제1벨트(16) 및 제2벨트(21)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된다. 그러면 제1벨트(16)에 배열된 클립(1)은 모두 한꺼번에 제2벨트(21)로 이송된다. 이때 제1벨트(16) 및 제2벨트(21)의 회전속도가 빠르므로 제1벨트(16)에서 제2벨트(21)로 클립(1)을 일괄적으로 신속히 전송시킬 수 있다.
제2벨트(21)로 이송된 클립(1)은 제3스토퍼부(41)에 의하여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클립(1)은 제3스토퍼부(41)에서 일렬로 정렬되어 있다.
제1벨트(16)에 배열된 클립(1)이 모두 제2벨트(21)로 이송되면, 제1감지센서(31)에 클립(1)이 감지되지 아니하므로 제1감지센서(31)는 영으로 리셋되고, 제2스토퍼부(37)가 폐쇄되고 제1스토퍼부(35)는 개방된다. 그래서 공급수단(10)에서 제1벨트(16)로 클립(1)이 다시 공급된다.
한편 제2이송수단(20)은 클립(1)을 패킹에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장치에 공급하기 위하여 전진한다. 제2이송수단(20)이 클립(1)을 패킹에 삽입시키기 위한 위치에 오면 제3스토퍼부(41)가 개방되고 블로우(43)가 가동된다. 그러면 블로우(43)에 의하여 제3스토퍼부(41)에 위치한 클립(1)은 가이드레일(25)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제2모터(23)가 구동되면서 제2벨트(21)에 위치한 클립(1)을 제3스토퍼부(41)의 위치로 이송시킨다. 클립(1)은 패킹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삽입되므로 제2이송수단(20)은 패킹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클립(1)을 삽입장치에 공급한다. 그래서 공급수단(10)에서 제1이송수단(15)으로 클립(1)이 공급되는 동안 제2이송수단(20)은 클립(1)을 패킹에 삽입할 수 있도록 패킹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클립 삽입장치에 공급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이송수단(15)과 제2이송수단(20)이 분리되어 있고 제2이송수단(20)이 이동하면서 서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공급수단(10)에서 제1이송수단(15)에 클립(1)을 공급하는 동시에 제2이송수단(20)에 공급된 클립(1)을 패킹에 삽입하도록 삽입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송수단(20)과 제1이송수단(10)을 맞닿게 하여 제1이송수단(10)에 공급된 클립(1)을 한꺼번에 제2이송수단(20)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클립(1)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1 : 클립 10 : 공급수단
11 : 수용부 13 : 가이드부
15 : 제1이송수단 16 : 제1벨트
18 : 제1모터 20 : 제2이송수단
21 : 제2벨트 23 : 제2모터
25 : 가이드레일 26 : 홈
30 : 제1이송제어수단 31 : 제1감지센서
32 : 제2감지센서 33 : 제1카운팅센서
35 : 제1스토퍼부 37 : 제2스토퍼부
40 : 제2이송제어수단 41 : 제3스토퍼부
42 : 제2카운터센서 43 : 블로우
44 : 제3감지센서

Claims (3)

  1.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클립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가진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클립을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송시키는 클립 공급수단과,
    상기 가이드부에서 이송되는 클립을 일단에서 공급받는 제1벨트와, 상기 일단으로 공급된 클립을 상기 제1벨트의 타단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벨트를 구동시키는 제1모터를 구비하는 제1이송수단과,
    상기 제1벨트의 타단에서 이송되는 클립을 일단에서 공급받는 제2벨트와, 상기 제2벨트의 일단으로 공급된 클립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벨트를 구동시키는 제2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2벨트의 축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는 제2이송수단과,
    상기 제1벨트의 타단에서 상기 클립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와, 상기 제1감지센서에서 상기 클립이 감지되지 않을 때부터 상기 제1벨트로 공급되는 상기 클립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제1카운팅센서와, 상기 제1카운팅센서에서 일정 개수 만큼 카운팅되면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제1벨트로 상기 클립이 이송되지 않도록 닫히고 아니면 상기 제1벨트로 상기 클립이 이송되도록 열리는 제1스토퍼부와, 상기 제1카운팅센서에서 상기 일정 개수 만큼 카운팅되면 상기 클립이 상기 제1벨트에서 상기 제2벨트로 공급되도록 오픈되고 아니면 상기 클립이 상기 제2벨트로 공급되지 않도록 닫히는 제2스토퍼부를 구비하는 제1이송제어수단과,
    상기 제1벨트에서 상기 제2벨트로 상기 클립이 이송되면 상기 클립이 상기 제2벨트에서 더 이상 진행되지 않게 막도록 닫히고 상기 제1벨트에서 상기 클립이 이송되지 않으면 상기 제2벨트로 이송된 클립을 이송시킬 수 있게 오픈되는 제3스토퍼부를 구비한 제2이송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부가 오픈되어 상기 제1벨트에서 상기 제2벨트로 상기 클립이 이송되면 상기 제1모터 및 상기 제2모터는 상기 제1벨트 및 상기 제2벨트를 같은 속도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제어수단은 상기 제3스토퍼부가 오픈되면 상기 제3스토퍼부에 위치한 상기 클립을 이송시키기 위한 블로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이송수단은 상기 블로우로 이송되는 상기 클립을 차량 문틀의 패킹에 삽입시키기 위하여 낙하시키도록 안내하도록 상기 제2벨트의 타단에 위치한 가이드레일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

KR1020210052113A 2021-04-22 2021-04-22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 KR102563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113A KR102563858B1 (ko) 2021-04-22 2021-04-22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113A KR102563858B1 (ko) 2021-04-22 2021-04-22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963A KR20220145963A (ko) 2022-11-01
KR102563858B1 true KR102563858B1 (ko) 2023-08-09

Family

ID=84042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113A KR102563858B1 (ko) 2021-04-22 2021-04-22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8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6523B2 (ja) * 2010-02-09 2014-04-09 三菱重工食品包装機械株式会社 容器払い出し装置
KR101493060B1 (ko) * 2013-09-25 2015-02-16 주식회사 에스지정보산업 조립식 랙을 구성하는 마운틴바에 삽입되는 슬림너트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004B1 (ko) * 2007-12-24 2009-07-06 우영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
KR101210231B1 (ko) * 2012-02-25 2012-12-11 (주)밀양에너지 로터리식 연탄적재기 및 그 연탄적재기를 포함하는 연탄 자동 포장 시스템
KR101398704B1 (ko) 2012-08-13 2014-05-30 임상훈 자동차용 클립 이송장치
KR101400100B1 (ko) 2013-03-08 2014-05-28 강운공업주식회사 클립홀 피치 구간 검사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홀 피치 구간 검사 방법
KR200474313Y1 (ko) 2013-12-09 2014-09-05 임상훈 자동차용 클립 이송장치
KR101954738B1 (ko) 2017-08-04 2019-05-23 김회승 클립이송삽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6523B2 (ja) * 2010-02-09 2014-04-09 三菱重工食品包装機械株式会社 容器払い出し装置
KR101493060B1 (ko) * 2013-09-25 2015-02-16 주식회사 에스지정보산업 조립식 랙을 구성하는 마운틴바에 삽입되는 슬림너트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963A (ko)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8204B1 (en) On-edge stacking apparatus
US5980439A (en) Folding apparatus
EP1678687A4 (en) DEVICE FOR DISCRIMINATING SECURITIES WITH CENTERING AGENTS
KR102563858B1 (ko) 차량 문틀의 패킹 고정용 클립 공급장치
US4869712A (en) Paper folding apparatus
US6607095B2 (en) Module for transferring mailpieces between a folding/inserting machine and a franking machine
KR102467352B1 (ko) 매거진 이송장치
JP2002311035A (ja) サンプルラック搬送装置及び自動分析装置
US20110163493A1 (en) Media separator and method
CN112722855A (zh) 气动传输设备及其应用
US20020041800A1 (en) Apparatus for automatic loading of sleeve on device testing apparatus
CN211846348U (zh) 气动传输设备
JP2001269626A (ja) 仕分け装置
JP4473563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10152612A (ja) 紙幣識別装置
CN220171570U (zh) 一种票据处理设备
CN220148505U (zh) 试管备管机
KR100395525B1 (ko) 양면인쇄장치
KR100797516B1 (ko) 발권기를 위한 티켓 프리젠터
US20220348417A1 (en) Conveyance assisting apparatus, conveyance apparatus, and packaging sorting apparatus
JPH08279064A (ja) 紙葉類識別収納装置
JP2012012199A (ja) 搬送補助体分離回収装置
KR20070077414A (ko) 화상형성기기 및 용지정렬방법
JPS5812283Y2 (ja) 券整列装置
JP2523997Y2 (ja) 先・後挿入カードのカードプール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