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729B1 -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729B1
KR102563729B1 KR1020210115129A KR20210115129A KR102563729B1 KR 102563729 B1 KR102563729 B1 KR 102563729B1 KR 1020210115129 A KR1020210115129 A KR 1020210115129A KR 20210115129 A KR20210115129 A KR 20210115129A KR 102563729 B1 KR102563729 B1 KR 102563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mirror
vehicle
unit
image
eye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3220A (ko
Inventor
소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115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72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3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2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comprising special mechanical means for correcting the field of view in relation to particular driving conditions, e.g. change of lane; scann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3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는, 룸미러의 자동조정을 위한 조정스위치; 룸미러에 비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룸미러의 각도를 조정하는 룸미러 구동부; 및 조정스위치가 작동되면 영상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룸미러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안구를 인식하여 룸미러의 설정위치에 안구가 위치하도록 룸미러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ADJUSTING REARVIEW MIRROR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룸미러에 비치는 운전자의 안구 위치를 탐색하여 룸미러의 방향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의 후 방향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도록 좌우측 사이드 미러(Left And Right Side Mirror)와 룸미러(Rearview Mirror)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 각 미러는 운전자의 체형과 운전 습관 등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조절되어 운전자에게 후 방향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여 준다.
하나의 차량을 여러 사람이 운전하는 경우 각 운전자는 운전석에 착석하여 자신의 체형에 맞게 시트의 위치를 조정하고, 좌우측 사이드 미러 및 룸미러의 각도를 셋팅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 과정은 매우 번거로우며, 시간 역시 상당히 소요되어 목적지로의 운행에 있어 시간지연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으로 작용 된다.
따라서 운전자에 의한 일련의 번거로운 조작 절차를 없애기 위하여 메모리에 운전자 각자가 자신에게 맞는 시트 위치 및 각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셋팅값에 저장하고, 해당 운전자가 다시 운전석에 착석하는 경우, 저장된 해당 운전자의 셋팅값을 판독하여 시트의 위치 및 각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정하는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각 운전자에 대한 셋팅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장치의 경우 저장 메모리의 한계로 인하여 다양한 체형을 갖는 많은 운전자에 대하여 셋팅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현재 적용되고 있는 장치의 경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는 운전자에 대한 셋팅수는 대략 2~4명 정도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불특정 다수가 운전하는 차량, 예를 들어 렌터카, 업무용 차량, 영업용 차량 등에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특히 다른 운전자가 저장해 놓은 메모리 번지의 셋팅값을 삭제하고 해당 메모리 번지에 자신의 셋팅값을 저장하는 경우 운전자 간에 갈등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2934호(2008.01.08. 공고, 차량의 사이드 미러 조정장치 및 사이드 미러 조정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룸미러에 비치는 운전자의 안구 위치를 탐색하여 룸미러의 방향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는, 룸미러의 자동조정을 위한 조정스위치; 룸미러에 비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룸미러의 각도를 조정하는 룸미러 구동부; 및 조정스위치가 작동되면 영상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룸미러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안구를 인식하여 룸미러의 설정위치에 안구가 위치하도록 룸미러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영상촬영부는, 차량의 후면유리 상단에 부착되어 차량 전방의 룸미러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안구가 룸미러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룸미러를 구동시킨 후 설정각도 하향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동음을 발생시키는 작동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룸미러의 조정을 완료한 경우 작동음 발생부를 통해 작동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의 제어방법은, 조정스위치가 작동되면 제어부가 영상촬영부로부터 룸미러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제어부가 룸미러 영상으로부터 안구를 인식하여 안구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룸미러의 설정위치에 안구가 위치하도록 룸미러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영상촬영부는, 차량의 후면유리 상단에 부착되어 차량 전방의 룸미러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룸미러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제어부가 룸미러의 중앙에 안구가 위치하도록 룸미러를 구동시킨 후 설정각도 하향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가 룸미러의 조정을 완료한 경우 작동음 발생부를 통해 작동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차량의 룸미러에 비치는 운전자의 안구 위치를 탐색하여 룸미러의 방향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룸미러 조정을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는, 조정스위치(20), 영상촬영부(10), 룸미러 구동부(40) 및 제어부(30)를 비롯하여 경고음 발생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스위치(20)는 룸미러(50)를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해 운전자가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좌석에 착석하고 시트의 위치를 조정한 후 룸미러(50)의 시야각이 맞지 않을 경우 룸미러(50)를 조정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다.
영상촬영부(10)는 룸미러(50)에 비치는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3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촬영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면유리 상단에 부착되거나 룸미러(50)에 비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 전방의 룸미러(50)를 촬영할 수 있다.
룸미러 구동부(40)는 룸미러(50)의 각도를 상하좌우로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조정스위치(20)가 작동되면 영상촬영부(10)로부터 입력되는 룸미러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안구를 인식하여 룸미러(50)의 설정위치에 안구가 위치하도록 룸미러 구동부(40)를 작동시켜 룸미러(50)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룸미러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안구를 인식하여 안구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룸미러 구동부(40)를 작동시켜 룸미러(50)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안구를 인식한 후 안구가 인식되면 안구가 룸미러(50)의 설정위치에 위치하도록 룸미러 구동부(40)를 작동시켜 룸미러(50)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안구가 위치하는 룸미러(50)의 설정위치는 영상촬영부(10)의 설치위치와 차량의 후면유리 위치와 운전자의 위치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안구가 룸미러(5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정한 경우, 룸미러(50)를 구동시켜 안구를 룸미러(50)의 중앙에 위치한 후 설정각도 하향조정하여 룸미러(50)를 통해 차량의 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한다.
작동음 발생부(60)는 룸미러(50)의 조정을 완료한 경우, 작동음을 발생시켜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30)는 룸미러(50)의 조정을 완료한 경우 작동음 발생부(60)를 통해 작동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룸미러에 비치는 운전자의 안구 위치를 탐색하여 룸미러의 방향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룸미러 조정을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의 제어방법에서는 먼저, 제어부(30)가 조정스위치(20)의 작동상태를 판단한다(S10).
S10 단계에서 조정스위치(20)가 작동되지 않으면 종료되고, 조정스위치(20)가 작동된 상태이면, 제어부(30)는 영상촬영부(10)로부터 룸미러 영상을 입력받는다(S20).
여기서 영상촬영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면유리 상단에 부착되거나 룸미러(50)에 비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 전방의 룸미러(50)를 촬영할 수 있다.
S20 단계에서 룸미러 영상을 입력받은 후 제어부(30)는 룸미러 영상으로부터 안구를 인식한다(S30).
S30 단계에서 룸미러 영상을 분석하여 안구를 인식한 후 안구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30)는 룸미러 구동부(40)를 상하좌우로 작동시킨 후 S20 단계로 리턴하여 새로운 룸미러 영상을 입력받아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S40).
반면, S30 단계에서 룸미러 영상을 분석하여 안구를 인식한 후 안구가 인식된 경우, 제어부(30)는 안구가 룸미러(50)의 중앙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S50).
S50 단계에서 안구가 룸미러(50)의 중앙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안구가 룸미러(50)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30)는 안구가 룸미러(5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룸미러 구동부(40)를 상하좌우로 작동시킨 후 S20 단계로 리턴하여 새로운 룸미러 영상을 입력받아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S40).
반면, S50 단계에서 안구가 룸미러(50)의 중앙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안구가 룸미러(50)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30)는 룸미러를 설정각도 하향조정하여 룸미러(50)를 통해 차량의 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한다(S60).
여기서, 설정각도는 영상촬영부(10)의 설치위치와 차량의 후면유리 위치와 운전자의 위치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S60 단계에서 룸미러의 조정을 완료한 경우, 제어부(30)가 작동음 발생부(60)를 통해 작동음을 출력하여 룸미러(50)의 조정이 완료되었음을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7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룸미러에 비치는 운전자의 안구 위치를 탐색하여 룸미러의 방향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룸미러 조정을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영상촬영부 20 : 조정스위치
30 : 제어부 40 : 룸미러 구동부
50 : 룸미러 60 : 작동음 발생부

Claims (8)

  1. 룸미러의 자동조정을 위한 조정스위치;
    상기 룸미러에 비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룸미러의 각도를 조정하는 룸미러 구동부; 및
    상기 조정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영상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룸미러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안구를 인식하여 상기 룸미러의 설정위치에 상기 안구가 위치하도록 상기 룸미러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작동음을 발생시키는 작동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촬영부는, 차량의 후면유리 상단에 부착되어 차량 전방의 상기 룸미러를 촬영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구가 상기 룸미러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룸미러를 구동시킨 후 설정각도 하향조정하며, 상기 룸미러의 조정을 완료한 경우 상기 작동음 발생부를 통해 작동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조정스위치가 작동되면 제어부가 영상촬영부로부터 룸미러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룸미러 영상으로부터 안구를 인식하여 안구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룸미러의 설정위치에 상기 안구가 위치하도록 룸미러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촬영부는, 차량의 후면유리 상단에 부착되어 차량 전방의 상기 룸미러를 촬영하고,
    상기 룸미러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룸미러의 중앙에 안구가 위치하도록 상기 룸미러를 구동시킨 후 설정각도 하향조정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룸미러의 조정을 완료한 경우 작동음 발생부를 통해 작동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의 제어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115129A 2021-08-30 2021-08-30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63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129A KR102563729B1 (ko) 2021-08-30 2021-08-30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129A KR102563729B1 (ko) 2021-08-30 2021-08-30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220A KR20230033220A (ko) 2023-03-08
KR102563729B1 true KR102563729B1 (ko) 2023-08-07

Family

ID=8550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129A KR102563729B1 (ko) 2021-08-30 2021-08-30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7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2849A1 (en) * 1996-05-15 2003-07-31 Lemelson Jerome H. Vehicle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facial recognition using a reflected image
JP2013014310A (ja) * 2011-07-04 2013-01-24 Hyundai Motor Co Ltd 車両の制御システム
JP2017502876A (ja) * 2014-02-24 2017-01-26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車両のミラー調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051A (ko) * 1996-12-09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용 자동 사이드미러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2849A1 (en) * 1996-05-15 2003-07-31 Lemelson Jerome H. Vehicle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facial recognition using a reflected image
JP2013014310A (ja) * 2011-07-04 2013-01-24 Hyundai Motor Co Ltd 車両の制御システム
JP2017502876A (ja) * 2014-02-24 2017-01-26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車両のミラー調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220A (ko)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253B1 (ko) 차량 미러 조절
US2017001066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based on analysis of user's face
KR101159847B1 (ko) 졸음운전 감지용 얼굴 검출 정규화 장치 및 방법
TWI490792B (zh) 使用者辨識及確認裝置、方法以及使用該裝置之車用中央控制系統
JP3642336B2 (ja) 目画像撮像装置
US10061995B2 (en) Imaging system to detect a trigger and select an imaging area
KR102266354B1 (ko) 다중설정을 위한 생체인증 장치 및 방법
KR20220041831A (ko) 음성 인식의 활성화
US20150210233A1 (en) Automated viewing angle adjustment of viewable components
KR102563729B1 (ko) 차량의 룸미러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045512B (zh) 车辆、输出车辆的信息的方法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10228769B2 (en) Equipment control device,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TW201725897A (zh) 拍照系統及方法
GB2609694A (en) Wearable inform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20200398667A1 (en) Controller, vehicle, control method controlling a plurality of parameters
JP4947649B2 (ja) 画像処理装置
JP7018561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6158160A (ja) 撮影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20144551A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WO2022097185A1 (ja) 眠気検知装置および眠気検知方法
EP43287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vehicle driving strategy
JP2019142335A (ja) 車両用視認装置、及び車両用視認装置の撮影部の画角設定方法
US118585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steering wheel
US11949993B2 (en) Electric device, controlling method of controlling electr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7301974B (zh) 辅助下车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