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572B1 - 차량 avn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avn - Google Patents

차량 avn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av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572B1
KR102563572B1 KR1020210021746A KR20210021746A KR102563572B1 KR 102563572 B1 KR102563572 B1 KR 102563572B1 KR 1020210021746 A KR1020210021746 A KR 1020210021746A KR 20210021746 A KR20210021746 A KR 20210021746A KR 102563572 B1 KR102563572 B1 KR 102563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iot device
command signal
control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8079A (ko
Inventor
천성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021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572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6Improving the dynamic response of the control system, e.g. improving the speed of regulation or avoiding hunting or oversh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실시예는, IoT 기기와 연동을 위한 차량 AVN의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IoT 기기와 연동을 위한 차량 AVN의 동작 방법은,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 UI를 통하여 IoT 기기의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어 요청에 반응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을 통한 제어 입력을 기초로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어 명령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AVN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AVN{AVN APPARATUS IN VEHICLE AND OPERAING METHOD OF THEREOF}
실시예는, 차량 AVN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AVN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홈 CCTV와 스마트폰을 연계한 반려동물 펫 케어 서비스는 대중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차량으로 업무를 하거나 차량 내에서 생활 시간이 많은 사용자에게는 스마트폰으로 원격의 펫 케어를 하는데 한계가 있다.
반려 동물을 기르는 국내 인구는 현재 1000만명을 넘어서고 관련 시장 규모만 2조원대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2020년까지 약 6조원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반려 동물을 기르는 가정의 최대 고민거리는 여행, 출장 등으로 가정을 장시간 비우는 경우에 반려 동물의 케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출원특허 제2174198호에서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반려동물 소통기능 제공장치 및 방법, 사용자 단말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댁 내 IoT 기기와 스마트폰을 연계하는 서비스를 확장하여 차량의 AVN 등의 차량 장치를 이용한 IoT 기기의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댁 내 IoT 기기와 스마트폰을 연계하는 서비스를 확장하여 차량의 AVN 등의 차량 장치를 이용한 IoT 기기의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IoT 기기를 차량 내에서도 제어할 수 있으며, 차량 내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에게 활용도 높은 IoT 기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서, IoT 기기, 서버 및 차량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IoT 기기의 제어를 위한 차량 AVN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서, 차량 AVN을 통해 IoT 기기의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서, 차량 AVN을 통해 CCTV를 요청하는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서, 차량 AVN을 통해 셋톱박스의 영상을 요청하는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서, 차량 AVN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서, IoT 기기, 서버 및 차량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댁 내의 IoT 기기(110), 서버(120), 차량 장치(130) 및 스마트폰(140) 간의 통신을 통해 IoT 기기(110)를 외부에서 특히 차량을 통해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IoT는 스마트폰(140)의 앱을 통해 IoT 기기(11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IoT 서버는 해당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해당하는 IoT 기기로 명령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된다.
실시예에 따른 IoT는 차량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 AVN에서 제어 입력에 대응하도록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신호를 서버(120)를 통해 해당하는 IoT 기기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IoT 기기(110)는 CCTV, 이동식 로봇, 조명, 셋톱박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장치(130)는 AVN, 제어 수단, 후석 AVN,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실시예에서는, 차량 장치(130)에 포함되는 제어 수단, 후석 AVN, 카메라, 스피커 등은 차량 AVN과 연결되며, 차량 AVN로 수신되는 차량 장치(130)의 제어 정보는 서버(12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20)는 IoT 서버와 차량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를 위해 차량 AVN에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가 제공될 수 있다. UI를 이용하여 IoT 기기의 제어 요청이 차량 AVN으로 입력될 수 있고, 제어 요청에 반응하여 차량 AVN은 IoT 기기(110)와 차량 장치(130) 간의 연동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서, IoT 기기의 제어를 위한 차량 AVN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210)에서 차량 AVN은,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한다.
실시예에서, 차량 AVN은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앱이 구비될 수 있고, 해당 앱의 실행에 반응하여 IoT 기기의 제어를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220)에서 차량 AVN은, UI를 통하여 IoT 기기의 제어 요청을 수신한다.
차량 AVN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IoT 기기로는 예를 들어, CCTV, 셋톱박스, 조명, 이동식 로봇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UI는 제어 요청을 입력하기 위한 IoT 기기 각각의 제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230)에서 차량 AVN은, 제어 요청에 반응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을 통한 제어 입력을 기초로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차량 AVN은 UI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TV에 대한 화면 및 음성을 요청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조명에 대한 On/Off 또는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동식 로봇에 대한 이동을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거나 셋톱박스로 방송 화면이나 VOD를 요청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AVN으로 차량에 탑재된 제어 수단 예를 들어, 조향 장치, 가속 장치, 제동 장치, 사이드 브레이크 등에 대한 제어 입력과 관련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장치의 조향 방향에 대한 정보, 가속 장치에 대한 입력 세기에 대한 정보나 기어의 설정 정보, 사이드 브레이크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현재 차량 속도에 대한 정보, 온습도 조절 장치에 대한 설정 정보 등 차량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들이 차량 AVN에 수집될 수 있다. 차량 AVN은 제어 입력과 관련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IoT 기기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예시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차량 AVN은 차량의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명령 신호에 따라서 차량 AVN은 차량이 주정차 상태인 경우에만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제어 장치의 제어와 관련하여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차량 AVN은 차량의 주정차 상태를 확인하여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량 AVN은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주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기어 정보를 확인하거나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또는 차량의 속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또는 해당하는 모든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의 주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의 기어가 P나 N(주차 또는 중립)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차량 AVN은 차량이 주정차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고,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잠겨 있는 경우 차량 AVN은 차량이 주정차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차량의 속도가 0인 경우 혹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차량의 속도가 0으로 확인되는 경우 차량 AVN은 차량이 주정차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차량 AVN은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를 추정하고, 주행 상태가 주정차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 입력을 기초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량이 주행 상태인 경우, 차량 AVN은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차량이 주정차 상태인 경우 차량 AVN은 UI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량이 주정차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제어 모듈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여 해당 제어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AVN이 차량의 조향 장치로부터 조향 방향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면, 조향 장치의 조향 방향에 대응하여 IoT 기기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조향 장치의 조향 방향에 따라 왼쪽 또는 오른쪽 등 조향 방향과 조향 정도를 포함하는 제어 입력을 수신하면, 차량 AVN은 해당 제어 입력과 대응하도록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AVN은 차량의 주정차 상태에서 차량의 가속 장치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면, 가속 장치의 입력 세기에 대응하여 IoT 기기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 AVN은 차량의 주정차 상태에서 차량의 제동 장치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고, 제동 장치의 입력 세기에 대응하여 IoT 기기의 제동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어 명령 신호는, 하나 이상의 제어 모듈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 장치의 제어 입력 및 조향 장치의 제어 입력을 포함하는 하나의 제어 명령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단계(240)에서 차량 AVN은 제어 명령 신호를 서버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명령 신호는 5G 또는 LTE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IoT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IoT 기기는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주변 AP를 통해 해당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IoT 기기가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기기의 조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 명령 신호에 포함된 조향 방향 및 조향 정도에 기초하여 IoT 기기의 조향 방향 및 조향 정도가 제어될 수 있다. IoT 기기의 가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 명령 신호에 포함된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IoT 기기의 이동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IoT 기기의 제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 명령 신호에 포함된 제동 정보에 기초하여 IoT 기기가 천천히 제동되거나 급제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IoT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이 수신되어 차량 AVN에 출력될 수 있다. 차량 AVN은 IoT 기기의 이동에 대응하여 촬영되는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운전자)로 하여금 IoT 기기의 제어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IoT 기기의 제어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서, 차량 AVN을 통해 IoT 기기의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실시예는, 차량의 제어 모듈을 통해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단계(301)에서 차량 AVN은 앱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앱의 실행을 통해 IoT 기기에 대한 제어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IoT 기기 중 차량의 제어 모듈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신호에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식 IoT 로봇에 대한 제어 요청이 입력될 수 있다.
단계(302)에서 차량 AVN은 서버로 해당 제어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단계(303)에서 서버는 대응하는 IoT 기기로 제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IoT 기기와 무선 연결된 주변 AP를 통해 해당 제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304)에서 IoT 기기는, 제어 요청에 대응하여 부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IoT 기기가 최소한의 전력을 이용하는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중 해당 제어 요청의 수신에 대응하여 부팅될 수 있다. IoT 기기는 해당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305)에서 IoT 기기는 카메라를 통해 수집되는 영상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단계(306)에서 서버는 해당 영상을 차량 AVN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307)에서 차량 AVN은 수신된 영상을 AVN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IoT 기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실시간의 영상이 차량 AVN 화면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후, 차량 AVN은 제어 모듈의 제어 입력에 대해 대기하고 제어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308)에서 제어 모듈에 대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계(309)에서 감지된 제어 입력을 차량 AVN으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 AVN으로 차량에 탑재된 제어 모듈 예를 들어, 조향 장치, 가속 장치, 제동 장치, 사이드 브레이크 등에 대한 제어 입력과 관련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장치의 조향 방향에 대한 정보, 가속 장치에 대한 입력 세기에 대한 정보나 기어의 설정 정보, 사이드 브레이크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현재 차량 속도에 대한 정보, 온습도 조절 장치에 대한 설정 정보 등 차량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들이 차량 AVN로 제공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차량 AVN은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량 AVN은 차량의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AVN은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를 추정하고, 주행 상태가 주정차 상태인 경우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 입력을 기초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량 AVN은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주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기어 정보를 확인하거나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또는 차량의 속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또는 해당하는 모든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의 주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 AVN은 차량이 주정차 상태인 경우, 차량의 조향 장치로부터 조향 방향에 대한 제어 입력에 따라, 조향 장치의 조향 방향에 대응하여 IoT 기기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차량 AVN은 차량의 주정차 상태에서 차량의 가속 장치에 대한 제어 입력에 따라, 가속 장치의 입력 세기에 대응하여 IoT 기기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차량의 제동 장치에 대한 제어 입력에 따라, 제동 장치의 입력 세기에 대응하여 IoT 기기의 제동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311)에서 차량 AVN은 제어 명령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고, 단계(312)에서 서버는 해당 제어 명령 신호를 해당하는 IoT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313)에서 IoT 기기는 제어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IoT 기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IoT 기기는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하는 영상을 지속적으로 전송함으로써 IoT 기기의 제어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서, 차량 AVN을 통해 CCTV를 요청하는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실시예는, CCTV 앱과 차량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단계(401)에서 차량 AVN은 CCTV 앱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차량 AVN에서 CCTV 앱이 실행될 수 있다.
단계(402)에서 차량 AVN은 앱 실행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고, 단계(403)에서 서버는 해당 실행 요청을 IoT 기기, 해당하는 CCTV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서버는 IoT 기기와 무선 연결된 주변 AP를 통해 해당 실행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실행 요청은 CCTV의 촬영 각도의 변경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404)에서 IoT 기기는 카메라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고, 단계(405)에서 서브는 해당 카메라 영상을 차량 AVN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CCTV로부터 수신되는 카메라 영상은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CCTV는 실행 요청과 무관하게 미리 지정된 위치를 촬영하는 상태에 있으며, 수신되는 제어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촬영 중인 영상을 실시간으로 차량 AVN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406)에서 차량 AVN은 수신된 카메라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CCTV 앱의 실행이 종료되기까지 CCTV로부터 전송되는 카메라 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단계(407)에서 차량 AVN은 차량의 마이크를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408)에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을 수 있고, 단계(409) 내지 단계(411)에서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을 차량 AVN, 서버를 통해 IoT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412)에서 IoT 기기는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CCTV로부터 수신되는 카메라 영상이 음성을 포함하는 경우, 차량 AVN 및 IoT 기기는 상호 간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서, 차량 AVN을 통해 셋톱박스의 영상을 요청하는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단계(501)에서 차량 AVN은 사용자로부터 셋톱박스의 영상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량 AVN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앱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앱을 통해 셋톱박스의 영상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앱은 셋톱박스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채널 또는 VOD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요청하고자 하는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차량 AVN에서 실행되는 앱은 셋톱박스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시청 이력과 구매 이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502)에서 차량 AVN은 서버로 영상을 요청하고, 단계(503)에서 서버는 셋톱박스로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영상에 대해 셋톱박스로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504)에서 셋톱박스는 해당하는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고, 단계(505)에서 서버는 해당 영상을 차량 AVN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셋톱박스는 주변 AP를 통해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해당 영상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을 무선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해당 동작을 위해 셋톱박스에 해당 기능을 위한 주변 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
단계(506)에서 차량 AVN은 영상을 수신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량의 후석에 후석 AVN이 구비되는 경우, 차량 AVN은 후석 AVN로 해당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507)에서 차량 AVN은 후석 AVN으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고, 단계(508)에서 후석 AVN은 수신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차량 AVN에서 영상을 재생하지 않고 후석 AVN으로 영상을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서, 차량 AVN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 AVN(600)은, 메모리(610) 및 프로세서(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62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그램은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차량 AVN의 동작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AVN(600)은,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한다.
실시예에서, 차량 AVN(600)은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앱이 구비될 수 있고, 해당 앱의 실행에 반응하여 IoT 기기의 제어를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 AVN(600)은, UI를 통하여 IoT 기기의 제어 요청을 수신한다.
차량 AVN(600)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IoT 기기로는 예를 들어, CCTV, 셋톱박스, 조명, 이동식 로봇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UI는 제어 요청을 입력하기 위한 IoT 기기 각각의 제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AVN(600)은, 제어 요청에 반응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을 통한 제어 입력을 기초로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차량 AVN(600)은 UI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TV에 대한 화면 및 음성을 요청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조명에 대한 On/Off 또는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동식 로봇에 대한 이동을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거나 셋톱박스로 방송 화면이나 VOD를 요청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AVN(600)으로 차량에 탑재된 제어 수단 예를 들어, 조향 장치, 가속 장치, 제동 장치, 사이드 브레이크 등에 대한 제어 입력과 관련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장치의 조향 방향에 대한 정보, 가속 장치에 대한 입력 세기에 대한 정보나 기어의 설정 정보, 사이드 브레이크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현재 차량 속도에 대한 정보, 온습도 조절 장치에 대한 설정 정보 등 차량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들이 차량 AVN(600)에 전송될 수 있다. 차량 AVN(600)은 제어 입력과 관련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IoT 기기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량 AVN(600)은 차량의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명령 신호에 따라서 차량 AVN(600)은 차량이 주정차 상태인 경우에만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제어 장치의 제어와 관련하여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차량 AVN(600)은 차량의 주정차 상태를 확인하여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량 AVN(600)은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주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기어 정보를 확인하거나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또는 차량의 속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또는 해당하는 모든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의 주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의 기어가 P나 N(주차 또는 중립)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차량 AVN(600)은 차량이 주정차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고,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잠겨 있는 경우 차량 AVN(600)은 차량이 주정차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차량의 속도가 0인 경우 혹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차량의 속도가 0으로 확인되는 경우 차량 AVN(600)은 차량이 주정차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차량 AVN(600)은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를 추정하고, 주행 상태가 주정차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 입력을 기초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량이 주행 상태인 경우, 차량 AVN(600)은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차량이 주정차 상태인 경우 차량 AVN(600)은 UI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량이 주정차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제어 모듈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여 해당 제어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AVN(600)이 차량의 조향 장치로부터 조향 방향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면, 조향 장치의 조향 방향에 대응하여 IoT 기기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조향 장치의 조향 방향에 따라 왼쪽 또는 오른쪽 등 조향 방향과 조향 정도를 포함하는 제어 입력을 수신하면, 차량 AVN(600)은 해당 제어 입력과 대응하도록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AVN(600)은 차량의 주정차 상태에서 차량의 가속 장치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면, 가속 장치의 입력 세기에 대응하여 IoT 기기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 AVN(600)은 차량의 주정차 상태에서 차량의 제동 장치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고, 제동 장치의 입력 세기에 대응하여 IoT 기기의 제동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어 명령 신호는, 하나 이상의 제어 모듈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 장치의 제어 입력 및 조향 장치의 제어 입력을 포함하는 하나의 제어 명령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차량 AVN(600)은 제어 명령 신호를 서버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명령 신호는 5G 또는 LTE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IoT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IoT 기기는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주변 AP를 통해 해당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IoT 기기가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기기의 조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 명령 신호에 포함된 조향 방향 및 조향 정도에 기초하여 IoT 기기의 조향 방향 및 조향 정도가 제어될 수 있다. IoT 기기의 가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 명령 신호에 포함된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IoT 기기의 이동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IoT 기기의 제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 명령 신호에 포함된 제동 정보에 기초하여 IoT 기기가 천천히 제동되거나 급제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IoT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이 수신되어 차량 AVN(600)에 출력될 수 있다. 차량 AVN(600)은 IoT 기기의 이동에 대응하여 촬영되는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운전자)로 하여금 IoT 기기의 제어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IoT 기기의 제어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IoT 기기와 연동을 위한 차량 AVN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UI를 통하여 상기 IoT 기기의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요청에 반응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을 통한 제어 입력을 기초로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조향 장치의 조향 방향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향 장치의 조향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IoT 기기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AVN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주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상태가 주정차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AVN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기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AVN의 동작 방법.
  4. 삭제
  5. IoT 기기와 연동을 위한 차량 AVN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UI를 통하여 상기 IoT 기기의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요청에 반응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을 통한 제어 입력을 기초로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가속 장치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 장치의 입력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IoT 기기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AVN의 동작 방법.
  6. IoT 기기와 연동을 위한 차량 AVN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UI를 통하여 상기 IoT 기기의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요청에 반응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을 통한 제어 입력을 기초로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제동 장치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동 장치의 입력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IoT 기기의 제동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AVN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는 이동식 로봇을 포함하는,
    차량 AVN의 동작 방법.
  8. IoT 기기와 연동을 위한 차량 AVN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UI를 통하여 상기 IoT 기기의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요청에 반응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을 통한 제어 입력을 기초로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명령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UI로 수신된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IoT 기기 중 셋톱박스로 방송 화면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방송 화면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화면을 상기 차량 AVN의 화면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AVN의 동작 방법.
  9. IoT 기기와 연동을 위한 차량 AVN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UI를 통하여 상기 IoT 기기의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요청에 반응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을 통한 제어 입력을 기초로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명령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UI로 수신된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IoT 기기 중 CCTV에 대한 촬영 영상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CCTV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차량 AVN의 화면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AVN의 동작 방법.
  10.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차량 AVN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UI를 통하여 IoT 기기의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요청에 반응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을 통한 제어 입력을 기초로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조향 장치의 조향 방향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향 장치의 조향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IoT 기기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AVN.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주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상태가 주정차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AVN.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기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AVN.
  14. 삭제
  15. 차량 AVN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UI를 통하여 IoT 기기의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요청에 반응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을 통한 제어 입력을 기초로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가속 장치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 장치의 입력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IoT 기기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AVN.
  16. 차량 AVN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UI를 통하여 IoT 기기의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요청에 반응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을 통한 제어 입력을 기초로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제동 장치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동 장치의 입력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IoT 기기의 제동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AVN.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는 이동식 로봇을 포함하는,
    차량 AVN.
  18. 차량 AVN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UI를 통하여 IoT 기기의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요청에 반응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을 통한 제어 입력을 기초로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명령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UI로 수신된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IoT 기기 중 셋톱박스로 방송 화면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방송 화면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화면을 상기 차량 AVN의 화면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AVN.
  19. 차량 AVN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UI를 통하여 IoT 기기의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요청에 반응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을 통한 제어 입력을 기초로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명령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UI로 수신된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IoT 기기 중 CCTV에 대한 촬영 영상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CCTV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차량 AVN의 화면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AVN.
KR1020210021746A 2021-02-18 2021-02-18 차량 avn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avn KR102563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746A KR102563572B1 (ko) 2021-02-18 2021-02-18 차량 avn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av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746A KR102563572B1 (ko) 2021-02-18 2021-02-18 차량 avn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av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079A KR20220118079A (ko) 2022-08-25
KR102563572B1 true KR102563572B1 (ko) 2023-08-03

Family

ID=8311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746A KR102563572B1 (ko) 2021-02-18 2021-02-18 차량 avn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av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572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039A (ko) *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KR20170119842A (ko) * 2016-04-20 2017-10-3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8125989A2 (en) * 2016-12-30 2018-07-05 Intel Corporation The internet of things
KR102135256B1 (ko) * 2019-08-08 2020-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차량의 사용자 인증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104474A (ko) * 2019-08-20 2019-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주행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079A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42197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CN107026943B (zh) 语音交互方法及系统
RU2589311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эксплуатации мобильных приложений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CN110696822A (zh) 自动泊车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488410B1 (ko)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JP6750062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ホームコントロール方法、装置、機器、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CN107483529B (zh) 车辆的多方泊车控制方法、系统、服务平台、泊车控制器
US10496890B2 (en) Vehicular collaboration for vehicular blind spot detection
JP2019091418A (ja) ページ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200162659A1 (en) Data conversion and photograph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gimbal assembly and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US20150271452A1 (en) Vehicle-based media content capture and remote service integration
US10429852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self-balancing vehicle to park
JP2023109794A (ja) 車両運転権限移転方法および装置
KR102563572B1 (ko) 차량 avn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avn
TWI623910B (zh) 具有相機至相機通信鏈路之多相機計算系統
KR101950593B1 (ko) Avn 장치와 avn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는 차량용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73703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10864889B2 (en) Vehicle operating method and vehicle operating apparatus
CN116137563A (zh) 感知处理模块的分时复用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KR20170078039A (ko)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CN109151326A (zh) 一种运动相机对焦方法、装置、运动相机及存储介质
KR102379868B1 (ko)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70094049A (ko) 모바일 기반 토이형 자율 주행 로봇 및 원격 제어 방법
WO2023112114A1 (ja)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7061863B (zh) 帧率控制方法、装置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