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039A -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 Google Patents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039A
KR20170078039A KR1020150188141A KR20150188141A KR20170078039A KR 20170078039 A KR20170078039 A KR 20170078039A KR 1020150188141 A KR1020150188141 A KR 1020150188141A KR 20150188141 A KR20150188141 A KR 20150188141A KR 20170078039 A KR20170078039 A KR 20170078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app
home
navig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188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8039A/ko
Publication of KR20170078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04L67/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이하, 내비게이션 앱의 실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이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앱의 실행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내비게이션 앱에 목적지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목적지가 내비게이션 앱에 기등록된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내비게이션 앱이 실행 중인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판단 결과 및 목적지에 도착하는 예상 시간에 기초하여,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Home Network Application Linkage Method Of Navigation Application And Terminal of Threof}
이하의 실시예는 내비게이션 앱의 실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댁 내에 설치된 홈 디바이스(device)들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최근 홈 디바이스들의 종류가 점차 다양해지고 이에 대한 사용자 요구 또한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요구를 수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한편, 현재 제공되고 있는 댁 내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구동하여 IoT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IoT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서비스 연동을 위해 내비게이션 등의 위치 기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IoT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IoT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용자로부터 내비게이션 앱에 목적지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가 상기 내비게이션 앱에 기등록된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내비게이션 앱이 실행 중인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및 상기 목적지에 도착하는 예상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일측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의 호출 여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반응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앱이 실행 중인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내비게이션 앱이 상기 단말로부터 GPS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의 호출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를 기 설정된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내비게이션 앱에 목적지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가 기등록된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인 경우, 홈 네트워크 앱을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앱에 기 설정된 상태로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일측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호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의 실행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문의에 대응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앱에 기 설정된 상태로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를 기 설정된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서비스 연동을 위해 내비게이션 등의 위치 기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IoT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IoT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을 위한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앱에서 홈 네트워크 앱 연동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을 위한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나 자전거 등의 내비게이션으로 스마트폰 등의 단말(110)을 많이 이용하는 추세이다. 단말(110)은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하, 내비게이션 앱)으로 GPS 등의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110)을 내비게이션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110) 내에서 내비게이션 앱 등의 LBS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집이나 사무실 등의 댁 내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네트워크(50)를 통해 원격으로 댁 내 홈 네트워크를 통해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AP(120)를 제어할 수 있다.
기존의 위치 기반의 원격 IoT 서비스와는 다르게, IoT 서비스가 제공되는 댁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단말이 들어오면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AP를 제어하는 방식이 아닌, 단말 내 실행중인 내비게이션 앱에 목적지가 미리 등록된 댁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댁 내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AP(120)를 제어하는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댁의 위치 및 댁 내의 AP(120)에 대한 정보를 내비게이션 앱에 미리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실행 중인 내비게이션 앱의 출발지가 미리 등록된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댁 내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AP(120)를 제어하는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주요 출발지에 대한 정보를 댁의 위치 및 댁 내의 AP(120)에 대한 정보와 대응하여 내비게이션 앱에 미리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110)에 내비게이션 앱이 실행되고, 내비게이션 앱에 기 등록된 댁이 목적지로 입력된 이후, 단말(110)은 내비게이션 앱으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목적지에 도착하는 예상 시간에 기초하여 목적지에 대응하는 AP(12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홈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이하, 홈 네트워크 앱)을 연동 실행시키고, 네트워크(50)를 통해 AP(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110)에 내비게이션 앱이 실행되고, 내비게이션 앱에 기 등록된 댁이 목적지로 입력되면, 내비게이션 앱은 목적지에 대응하는 AP(12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홈 네트워크 앱을 연동 실행시키고, 네트워크(50)를 통해 AP(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홈 네트워크 앱이 실행될 때에, 홈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홈 디바이스들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앱에서, 차량, 자전거 또는 도보 중 하나의 모드로 실행하는 중에, 또는 차량, 자전거 또는 도보의 내비게이션 앱의 실행 중에 홈 네트워크 앱이 연동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110)에서 내비게이션 앱에 기 등록된 댁 이외에 다른 목적지가 입력되어 실행될 시 또는, 단말(110)에서 내비게이션 앱이 실행되어 목적지의 입력 없이 단순 주행 모드로 동작할 시, 내비게이션 앱에서 단말(110)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위치를 기반으로, 단말(110)의 실시간 위치가 홈 네트워크가 설치된 댁의 일정 범위 내로 접근하는 경우, 내비게이션 앱은 대응하는 홈 네트워크의 AP(12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홈 네트워크 앱을 연동 실행시키고, 네트워크(50)를 통해 AP(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앱이 실행될 때에, 홈 네트워크 앱은 홈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홈 디바이스들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210)에서,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내비게이션 앱에 목적지의 입력을 감지한다.
실시예에서,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서 단말에 내비게이션 앱을 실행하며, 내비게이션 앱으로 목적지가 입력됨을 감지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앱은 차량, 자전거 또는 도보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거나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따라서 차량, 자전거 또는 도보 내비게이션 앱 중 하나가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은 내비게이션 앱이 실행되는 시점에서 단말의 위치 등을 이용하여 출발지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220)에서 단말은, 목적지가 내비게이션 앱에 기등록된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실시예에서,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댁의 위치 및 댁의 AP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댁의 위치 및 댁 내 AP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가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댁의 위치 또는 명칭과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출발지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위치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앱에 미리 등록해둔 위치와 단말에서 판단하는 실시간의 위치가 일정 오차 거리 이내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230)에서 단말은, 내비게이션 앱이 실행 중인 단말의 이동을 감지한다.
실시예에서, 단말의 GPS 등의 위치 서비스 기능을 통해 실시간 위치를 감지하여 단말이 이동함을 감지할 수 있다. 단말의 이동에 대응하여 내비게이션 앱은 목적지까지의 경로, 예상 도착 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하며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240)에서 단말은, 판단 결과 및 목적지에 도착하는 예상 시간에 기초하여,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킨다.
실시예에서, 내비게이션 앱에서 제공하는 예상 도착 시간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앱에서 홈 네트워크 앱을 연동시킬 수 있다. 또는,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예상 도착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로 남은 경우, 예컨대, 예상 도착 30분 전 등의 경우, 단말은 내비게이션 앱에서 자동으로 홈 네트워크 앱을 연동 실행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앱이 실행되면서, 홈 네트워크 앱에 설정되어 있는 대로 목적지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화면이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예상 도착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로 남은 경우, 단말은 내비게이션 앱에서 푸시(Push) 알림 등의 형태로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할 것인지에 대해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예컨대,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하시겠습니까"와 같이 홈 네트워크 앱의 실행 자체에 대해서 문의할 수 있고, 또는 "보일러를 켜시겠습니까?"와 같이, 홈 디바이스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문의에 해당할 수도 있다. 사용자로부터 문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수신된 응답에 대응하여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앱이 실행되는 경우, 홈 네트워크 앱에 설정되어 있는 대로 목적지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화면이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일실시예 있어서, 단계(240)와 달리,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하지 않고, 내비게이션 앱에서 서버로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의 설정된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상 도착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로 남은 경우, 또는 남은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로 남은 경우, 내비게이션 앱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의 제어 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내비게이션 앱의 서버에 해당할 수 있고, 서버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홈 네트워크 서버로 해당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목적지에 해당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신호는 목적지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고자 하는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단계(310)에서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내비게이션 앱에 목적지의 입력을 감지한다.
실시예에서,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서 단말에 내비게이션 앱을 실행하며, 내비게이션 앱으로 목적지가 입력됨을 감지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앱은 차량, 자전거 또는 도보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거나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따라서 차량, 자전거 또는 도보 내비게이션 앱 중 하나가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앱에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댁의 위치 및 댁의 AP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댁의 위치 및 댁 내 AP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내비게이션 앱에 입력된 목적지가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댁의 위치 또는 명칭과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은 내비게이션 앱이 실행되는 시점에서 단말의 위치 등을 이용하여 출발지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단말은, 목적지가 기등록된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인 경우, 홈 네트워크 앱을 호출한다.
실시예에서, 목적지가 기등록된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명칭 또는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단말은 내비게이션 앱에서 자동으로 홈 네트워크 앱을 연동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출발지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위치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앱에 미리 등록해둔 위치와 단말에서 판단하는 실시간의 위치가 일정 오차 거리 이내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미리 등록된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단말은 내비게이션 앱에서 자동으로 홈 네트워크 앱을 연동 실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앱에서 푸시(Push) 알림 등의 형태로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할 것인지에 대해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예컨대,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하시겠습니까?"와 같이 홈 네트워크 앱의 실행 자체에 대해서 문의할 수 있고, 또는 "보일러를 켜시겠습니까?"와 같이, 홈 디바이스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문의에 해당할 수도 있다.
단계(330)에서 단말은, 홈 네트워크 앱에 기 설정된 상태로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한다.
홈 네트워크 앱이 실행되면서, 홈 네트워크 앱에 설정되어 있는 대로 목적지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화면이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홈 네트워크 앱이 실행될 때에 보일러를 켜고, 보조등을 켜며, 세탁기를 동작시키는 등 미리 동작시키는 것으로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 있어서,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하지 않고, 내비게이션 앱에서 서버로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의 설정된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상 도착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로 남은 경우, 또는 남은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로 남은 경우, 내비게이션 앱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의 제어 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내비게이션 앱의 서버에 해당할 수 있고, 서버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홈 네트워크 서버로 해당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목적지에 해당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신호는 목적지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고자 하는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앱에서 홈 네트워크 앱 연동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화면(410)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앱의 동작 화면이며, 차량 모드로 동작하는 내비게이션 앱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화면(410)의 내비게이션 앱은 미리 등록된 목적지로 이동하는 차량에 설치된 단말의 디스플레이 등으로 출력되며, 목적지는 홈 네트워크가 구비되어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댁의 위치 및 댁의 AP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앱은 남은 거리, 예상 소요시간 등의 안내(401)를 포함할 수 있고, 안내(401)에 포함되는 내용을 기반으로 홈 네트워크 앱과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은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하인 경우, 홈 네트워크 앱 연동 알림(402)을 화면 내에 출력할 수 있으며, 또는 예상 소요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이 되면, 홈 네트워크 앱 연동 알림(402)을 화면 내에 출력할 수 있다.
단말은 내비게이션 앱에서 푸시(Push) 알림 등의 형태로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할 것인지에 대해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예컨대, "목적지 10분 전입니다. 보일러를 켜시겠습니까?"와 같이, 홈 디바이스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문의에 해당할 수도 있으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하시겠습니까?"와 같이 홈 네트워크 앱의 실행 자체에 대해서 문의할 수 있다.
알림(402)에 대해서 사용자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에 대응하여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거나 실행시키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경우, 홈 네트워크 앱에 설정되어 있는 대로 목적지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화면이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의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단말(500)은 디스플레이(510), 메모리(520) 및 프로세서(5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도 1 내지 도 4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4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단말(50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에 의하여 실행되는 내비게이션 앱 및 홈 네트워크 앱은 메모리(520)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510)는 터치 디스플레이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앱 및 홈 네트워크 앱의 동작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터치 등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내비게이션 앱을 실행시키고, 디스플레이(510)를 통해 내비게이션 앱의 목적지의 입력을 감지하며, 목적지가 내비게이션 앱에 기등록된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내비게이션 앱이 실행 중인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여, 판단 결과 및 목적지에 도착하는 예상 시간에 따라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메모리(520)는 내비게이션 앱에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에 해당하는 댁의 위치 및 댁의 AP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댁의 위치 및 댁 내 AP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내비게이션 앱에서 제공하는 예상 도착 시간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앱에서 홈 네트워크 앱을 연동시킬 수 있다. 또는,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예상 도착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로 남은 경우, 예컨대, 예상 도착 30분 전 등의 경우, 단말은 내비게이션 앱에서 자동으로 홈 네트워크 앱을 연동 실행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앱이 실행되면서, 홈 네트워크 앱에 설정되어 있는 대로 목적지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화면이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예상 도착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로 남은 경우, 단말은 내비게이션 앱에서 푸시(Push) 알림 등의 형태로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할 것인지에 대해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예컨대,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하시겠습니까?"와 같이 홈 네트워크 앱의 실행 자체에 대해서 문의할 수 있고, 또는 "보일러를 켜시겠습니까?"와 같이, 홈 디바이스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문의에 해당할 수도 있다. 사용자로부터 문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수신된 응답에 대응하여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앱이 실행되는 경우, 홈 네트워크 앱에 설정되어 있는 대로 목적지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화면이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30)는 내비게이션 앱을 실행시키고,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510)를 통해 내비게이션 앱에 목적지의 입력을 감지하며, 목적지가 기등록된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인 경우, 홈 네트워크 앱을 호출하여 홈 네트워크 앱에 기 설정된 상태로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할 수도 있다.
홈 네트워크 앱이 실행되면서, 홈 네트워크 앱에 설정되어 있는 대로 목적지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화면이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홈 네트워크 앱이 실행될 때에 보일러를 켜고, 보조등을 켜며, 세탁기를 동작시키는 등 미리 동작시키는 것으로 설정된 홈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출발지 및 목적지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중 어느 하나가 기등록된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의 호출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반응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내비게이션 앱이 실행 중인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내비게이션 앱이 상기 단말로부터 GPS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의 호출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단계는,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 및 출발지 중 어느 하나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를 기 설정된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및 상기 목적지에 도착하는 예상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및 출발지 중 어느 하나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를 기 설정된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10.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 앱 및 홈 네트워크 앱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내비게이션 앱을 실행시키고, 출발지 및 목적지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며,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중 어느 하나가 기등록된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의 호출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반응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하는,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여부를 문의하는,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고,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 디바이스를 기 설정된 상태로 제어하는,
    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내비게이션 앱이 실행 중인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면,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판단 결과 및 상기 목적지에 도착하는 예상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앱을 실행시키는,
    단말.
  17. 출발지 및 목적지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중 어느 하나가 기등록된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중 어느 하나가 기등록된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인 경우, 서버로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내비게이션 앱이 실행 중인 단말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및 상기 목적지에 도착하는 예상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수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홈 네트워크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KR1020150188141A 2015-12-29 2015-12-29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KR20170078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141A KR20170078039A (ko) 2015-12-29 2015-12-29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141A KR20170078039A (ko) 2015-12-29 2015-12-29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039A true KR20170078039A (ko) 2017-07-07

Family

ID=5935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141A KR20170078039A (ko) 2015-12-29 2015-12-29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80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239A (ko) * 2018-07-10 2020-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위치 기반 IoT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18079A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avn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avn
WO2023096271A1 (ko) * 2021-11-26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탑승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239A (ko) * 2018-07-10 2020-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위치 기반 IoT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18079A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avn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avn
WO2023096271A1 (ko) * 2021-11-26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탑승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8940B2 (ja) 情報管理装置、情報通信システム
WO2017071157A1 (zh) 一种路线导航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US10205770B2 (en) Mobile device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infotainment head units
US89130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rrors utilizing augmented reality
WO2014141954A1 (ja) 表示装置
EP2873255B1 (en) Automated sharing of application data over a near field communication link
CN105975350B (zh) 用于集成交通工具应用的方法和设备
KR101820502B1 (ko) 실시간 지도 데이터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092452A1 (zh) 一种根据移动设备的位置信息启动应用的方法以及移动设备
KR20170078039A (ko) 내비게이션 앱의 홈 네트워크 앱 연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KR101448278B1 (ko) 이동 로봇에 대한 제어 명령과 이동 로봇이 전송한 영상 간 매칭 방법 및 이를 위한 제어 장치
US11415423B2 (en) Map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map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ap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JP2015162795A (ja) 車載装置、車載情報システム
US20130219437A1 (en) Multimedia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7708064B (zh) 一种车载设备定位手机的方法和系统
CN104574174A (zh) 用于处理与订单相关的数据的方法及设备
US9763082B2 (en) Optimizing setup for wireless devices
KR101665666B1 (ko) 모바일 단말기에서 앱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
CN108093374B (zh) 行程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US9097550B2 (en) Navigation device, server, navig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70088017A (ko)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513017B1 (ko) 네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9239577A1 (ja) データ通信装置
KR101701116B1 (ko) Ars 인증 서비스 제공 단말기 및 어플리케이션
KR101700968B1 (ko)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단말 및 이동단말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