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403B1 - 변압기 및 변압기 배열체 - Google Patents

변압기 및 변압기 배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403B1
KR102563403B1 KR1020237019627A KR20237019627A KR102563403B1 KR 102563403 B1 KR102563403 B1 KR 102563403B1 KR 1020237019627 A KR1020237019627 A KR 1020237019627A KR 20237019627 A KR20237019627 A KR 20237019627A KR 102563403 B1 KR102563403 B1 KR 102563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transformer
type
phase
stiff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8676A (ko
Inventor
키란 찬드라 사후
안데르스 단네뤼드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에너지 스위처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에너지 스위처랜드 아게 filed Critical 히타치 에너지 스위처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098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2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01F30/12Two-phase, three-phase or polyphase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Regulation Of General Use Transformers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적어도 2개의 페이즈 권선 (110) 을 포함하는 변압기 (100) 로서, 각각의 페이즈 권선 (110) 은 코일 축 주위의 코일 턴 (120) 을 갖고, 적어도 2개의 페이즈 권선 (110) 은 적어도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및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b) 을 포함하고,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및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b) 각각은 적어도 제 1 권선부 (116a) 및 제 2 권선부 (116b) 를 포함하는 복수의 권선부 (116) 를 포함하고,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은 제 1 권선부 강성을 갖는 제 1 권선부 (116a) 및 제 2 권선부 강성을 갖는 제 2 권선부 (116b)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의 상기 제 1 권선부 강성과 상기 제 2 권선부 강성 사이의 강성 차이가 음향 파워가 상기 메인 주파수에서 최소화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변압기 및 변압기 배열체
본 개시는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변압기를 포함하는 변압기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임의의 다른 산업 제품으로서 변압기는 잡음 레벨에 대한 다양한 요건들을 준수해야 한다. 힘 (F) 에 의해 작용하는 진동 구조체로부터 방출되는 음향 파워 (P) 가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여기서 Φ 는 구조체의 기계적 특성과 연관된 모드 형상의 집합을 나타내고, 연산자 B 는 구조체의 기하학적 구조, 주파수, 및 또한 해당 음향 및 구조적 매체의 재료 특성에 암시적으로 의존한다. 또한, H 는 벡터의 에르미트 전치 (Hermitian transposition) 를 나타내고, T 는 정규 벡터 전치 (regular vector transposition) 를 나타낸다. 양 (ΦTF) 은 여기서 두 벡터의 스칼라 또는 내적 (dot product) 으로 해석되어야 하는데, 이는 이들 두 벡터가 직교할 때, 결과적인 음향 파워가 제로가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직교성은 본 발명에서 본질적으로 대칭인 힘 분포들에 의해 작용되는 비대칭 권선 공진 모드들을 촉진함으로써 야기되도록 제안된다. 네트워크 주파수의 배수에 대한 모드의 주파수의 실제 근접성에 관계없이, 결과적인 음향 파워는 감소된다.
보다 상세하게, 기계적 어셈블리, 이 맥락에서는 전형적으로 지지 구조체들을 갖는 권선 또는 이러한 권선들의 세트에 대한 운동 방정식 (equation of motion) 은 하기와 같이:
수치적 접근법으로 일반적으로 표현되며, u 는 변위 벡터이고, M, C, K 는 각각 시스템 질량, 댐핑, 강성, 메트릭들이며 F 는 힘 벡터이다.
위의 시스템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그리고 잘 알려진 방식으로 시스템 모드 형상들 (Φ) 및 모달 좌표들 (z) 를 도입하고,
주파수 (ω) 에서의 주파수 도메인 모달 변위 (zn) 가 다음과 같이 주어짐으로써,
모달 변위 성분 (umn) - 권선에서의 임의적인 위치 (m), 모드 (n) - 가 하기:
같이 표현될 수 있음이 동일하게 잘 알려져 있다.
여기서, 파라미터 (ξn) 는 댐핑 비율 (damping ratio)(임계 댐핑의 부분) 을 나타내고, 더 명확화를 위해, 양 (um) 은 다음
에 따라 시스템 모드들에 대한 합산으로서 표현된다.
이 표현에서의 부분을 더 연구하면, 잡음 및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고전적 접근법이 쉽게 논의될 수 있다. 물론, 구동 주파수 (ω) 가 공진 주파수 (ωn) 에 가깝거나, 또는 이러한 주파수들의 좁은 세트일 때, 구조적 응답들 (xm) 은 허용 레벨들을 초과하여 성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를 완화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 진동 에너지 (ξn) 의 댐핑, 소산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구하는 것, 및/또는
- 기계적 어셈블리의 강성 및/또는 질량을 변화시킴으로써 공진 주파수 (ωn) 를 변화시키는 것, 및/또는
- 힘 (F) 의 크기를 줄이거나, 어셈블리에 작용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 작용을 리디렉션하는 것.
US9020156은 압전 변환기/액추에이터가 변압기의 탱크 벽에 배열되는 댐핑 방법을 개시한다. 이들은 자연 주파수에서 탱크 벽의 상당한 편향 영역과 정렬된다. 벽의 진동을 측정하고 분석한 후 압전 액추에이터가 진동을 흡수하고 결과적으로 잡음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변압기 잡음 맥락에서, 진동 레벨들이 상당히 감소되는 정도로 감쇠를 추가하기 어렵다.
또한,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제 2 의 일반적인 방법은, 여기 주파수 (ω) 에 가깝게 나타날 수밖에 없는 새로운 공진에 의해 제어되는 공진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 사실상, 변압기 잡음 맥락에서, 여기서 네트워크 주파수 (일반적으로,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50 또는 60 Hz) 의 수 사이클 동안의 기계적 주파수 함유량이 네트워크 주파수와 이것의 2배 사이에서 변한다는 점에서, 단락-회로 이벤트들 동안 권선 역학에 또한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후자가 정상 상태 구동 주파수 (ω) 인 것은 위의 이론 배경에서 암묵적으로 가정되었다. 즉, 시프팅 공진은 일반적으로 변압기 시스템 전체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신중하게 실행되어야 한다. JP2013183151은 두 개의 권선이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구성되어 서로 보상되도록 배치되는 예를 개시한다.
마지막으로, 권선 도체들에 작용하는 전자기력 분포들은 노이즈를 제어하기 위한 설계 자유도 (degree of freedom) 가 거의 없이 주어지는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절하게 낮은 잡음 방출을 가지며 제조 및 어셈블리에 비용 효율적인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변압기 탱크에 변압기를 포함하는 변압기 배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본 목적은 적어도 두개의 페이즈 권선들을 포함하는 변압기에 의해 달성된다. 각각의 페이즈 권선은 코일 축 주위에 코일 턴들을 갖는다. 변압기는 변압기가 동작할 때, 미리 결정된 주파수에서 전압을 변환하도록 적응된다. 변압기는 특정 주파수에 2를 곱한 것에 대응하는 메인 주파수에 기계적 부하에 의해 여기되고, 진동 모드를 갖는다. 부하와 진동 모드의 조합은 변압기의 진동을 초래한다. 변압기는 진동 모드들의 세트를 갖는다. 각각의 진동 모드는 진동 모드 주파수를 가지며, 여기서 진동 모드들의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메인 기여 진동 모드는 변압기가 부하에 의해 여기될 때, 상기 진동 모드들 중 가장 큰 음향 파워를 초래하는 진동 모드이다.
적어도 2개의 페이즈 권선들은 적어도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및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및 상기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 각각은 적어도 제 1 권선부 및 제 2 권선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권선부들을 포함한다.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은 제 1 권선 부분 강성을 갖는 제 1 권선 부분 및 제 2 권선 부분 강성을 갖는 제 2 권선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의 제 1 권선 부분 강성과 제 2 권선 부분 강성 사이의 강성 차이는 음향 파워가 상기 메인 주파수에서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명료함을 위해, 본 개시는 잡음 최소화를 위한 공진들 (ωn) 의 제어, 또는 상기 배경 섹션에서 논의된 다른 고전적 접근법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해서도 어떠한 추가 참조를 하지 않는다.
변압기의 진동 모드는 부하 하에서 여기 동안 자연 주파수에서 진동할 때 변압기가 보여줄 변형을 기술한다. 따라서, 진동 모드들의 세트는 미리 결정된 주파수에서 교류 전류에 의해 생성된 진동 전자기장에 의해 여기될 때와 같은 동적 부하 하에서 변압기가 어떻게 거동하는지를 나타낸다. 진동 모드는 변압기의 음향 파워, 예를 들어, 진동 동안 얼마나 많은 공기가 변위되는지, 그리고 결과적으로 기계적 메인 주파수에서 변압기에 의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잡음이 발생되는지를 결정한다.
미리 결정된 주파수는 예를 들어 50 Hz 또는 60 Hz일 수 있다. 이들 주파수에서, 변압기가 동작하는 대응하는 진동의 메인 주파수는 따라서 각각 100 Hz 또는 120 Hz가 된다.
적어도 하나의 메인 기여 진동 모드는, 전술된 바와 같이, 변압기가 메인 주파수에서 부하에 의해 여기될 때, 가장 높은 음향 파워에 기여하는 진동 모드이다. 따라서, 변압기에 의해 생성된 음향 파워, 및 결과적으로 잡음 생성은, 변압기를 구성하는 페이즈 권선들의 어셈블리의 내적들 (φn TF) 이 0에 접근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페이즈 권선이 적응될 때 감소될 수 있다. 예로서, 변압기 탱크의 변압기와 같은 구조체의 모드 형상은 구조체의 질량 및/또는 탄성을 적응시킴으로써 수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변압기의 다른 특성들이 모드 형상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목적은, 부분을 형성하는 항들에 의해 표현되는 메커니즘들의 특성들에 관계없이, 내적들 (φn TF) 이 0에 접근하도록 최적화된다는 점에서, 상기 배경 섹션에서 주어진 지배 부분 (governing fraction) 의 공칭자 (nominator) 에 집중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구조적 진동을 제어하여 저잡음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변압기의 제공에 의해, 진동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즈 권선의 탄성, 즉 강성을 수정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상이한 권선부 강성의 권선부들을 제공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기여 진동 모드 형상을 대칭 모드 형상으로부터 비대칭 모드 형상으로 수정하는 편리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법이다.
선택적으로,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의 제 1 권선부는 코일 축을 따라 볼 때 제 1 권선부 강성을 갖고,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의 제 2 권선부는 코일 축을 따라 볼 때 제 2 권선부 강성을 갖는다. 제 1 권선부 강성은 제 2 권선부 강성과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에는 코일 턴들 사이에 복수의 스페이서들이 제공된다.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의 제 1 권선부에는 제 1 유형의 스페이서들이 제공되고,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의 제 2 권선부에는 제 2 유형의 스페이서들이 제공된다. 제 1 유형의 스페이서들은 상기 제 2 유형의 스페이서들과 상이하다.
전자기 부하의 대칭적인 힘 분포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즈 권선의 코일 축 (제 1 축) 을 따라 큰 진동을 여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의 코일 축을 따라 상이한 강도로 상이한 권선부들을 배치하는 것은 페이즈 권선의 진동 모드 형상들에 영향을 미치고 변압기잡음을 전체적으로 감소시키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페이즈 권선의 강성은 상이한 스페이서들, CTC 케이블들 및/또는 상이한 강성 분포들을 갖는 권선부들을 배열함으로써 수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유형의 스페이서들은 제 1 탄성 계수를 갖고, 제 2 유형의 스페이서들은 제 2 탄성 계수를 갖는다. 제 1 탄성 계수는 상기 제 2 탄성 계수와 상이하다.
스페이서들은 통상적으로 코일의 턴들을 서로 분리하고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해 코일 턴들 사이에서 페이즈 권선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분포된다. 코일 턴들이 진동할 때, 스페이서의 탄성은 페이즈 권선 및 변압기 탄성에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에 의해, 변압기의 적어도 하나의 메인 기여 모드 또는 대칭 모드의 모드 형상은 상이한 권선부에 상이한 탄성 계수의 스페이서를 제공함으로써 수정될 수 있다. 탄성 계수는 예를 들어 스페이서에 적절한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선택/적용가능한 재료의 탄성 계수는 0.1 GPa - 120 GPa, 또는 그 초과의 범위이다.
선택적으로, 제 1 권선부는 상기 제 2 권선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된다.
페이즈 권선은 내부 권선 및 외부 권선을 가질 수도 있다. 내부 권선은 저전압 권선일 수 있고 외부 권선은 고전압 권선일 수 있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페이즈 권선의 단순화된 어셈블리 및 제조를 위해, 제 1 권선부는 내부 권선일 수 있고, 제 2 권선부는 외부 권선일 수 있어서, 제 1 권선부는 제 2 권선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내부 권선은 한 유형의 권선부 강성을 갖고, 전체 외부 권선은 상이한 유형의 권선부 강성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권선부와 강성이 상이한 제 1 권선부를 제공함으로써, 메인 주파수에서의 진동 및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메인 기여 모드 또는 대칭 모드의 형상을 비대칭 모드로 수정한다.
선택적으로,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의 제 1 권선부는 상기 코일 축을 따라 볼 때 제 1 권선부 강성을 갖고,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의 제 2 권선부는 상기 코일 축을 따라 볼 때 제 1 권선부 강성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의 제 1 권선부와 제 2 권선부는 동일한 권선부 강성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변압기는 축 (x) 을 따라 배열된 3개의 페이즈 권선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은 두 개의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들 사이에, 중앙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즈 권선들의 상기 배열은 잡음의 특히 효과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선택적으로, 변압기는 축 (x) 을 따라 배열된 3개의 페이즈 권선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은 두 개의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들 사이에, 중앙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즈 권선들의 상기 배열은 잡음의 특히 효과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본 개시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변압기를 포함하는 변압기 배열체가 제공되며, 변압기는 변압기 탱크 내에 인클로즈된다.
변압기는 변압기 탱크 내의 전기 절연 매체, 이를 테면 오일에 침지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페이즈 권선의 제공에 의해, 변압기의 메인 기여 모드 또는 대칭 모드는 변압기 배열의 진동 및 잡음을 감소시키도록 수정될 수 있다. 그 결과, 변압기 탱크 내의 그러한 변압기는 변압기 탱크 벽이 더 적은 잡음을 발생시키게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목적 및 이점, 및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의 다음의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비대칭 진동 모드에서 예시적인 종래 기술의 변압기의 측단면을 도시한다.
도 2 는 대칭 진동 모드에서 도 1 의 종래 기술의 변압기의 측단면을 도시한다.
도 3 은 도 1 및 도 2 의 종래 기술의 변압기에 의해 생성된 잡음 파워를 미리 결정된 주파수들에서 도시한다.
도 4 는 대칭 진동 모드에서의 잡음 발생 개념을 설명한다.
도 5 는 비대칭 진동 모드에서의 잡음 발생 개념을 설명한다.
도 6 은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변압기의 측면뷰 단면을 도시한다.
도 7 은 도 6 의 변압기의 코일 턴 및 스페이서의 상세도이다.
도 8 은 도 6 의 예시적인 변압기의 평면도 단면을 도시한다.
본 개시는 실시형태의 예를 보여주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전개된다. 본 개시는 실시형태들의 설명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대신에, 그것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유사한 번호들은 그 설명 전체에서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한다.
도 1도 2 는 상이한 진동 모드들 하에서 예시적인 종래 기술의 변압기 (100') 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종래 기술의 변압기 (100') 는 제 1 축 (z) 을 따른 제 1 연장부, 제 2 축 (x)을 따른 제 2 연장부 및 제 3 축 (y)(도시되지 않음) 을 따른 제 3 연장부를 갖는다. 제 1, 제 2 및 제 3 축은 서로 수직이다. 종래 기술의 변압기 (100') 는 또한 상기 제 2 축 (x) 을 따라 볼 때 서로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3개의 페이즈 권선 (110') 으로 예시된다.
각각의 페이즈 권선은 제 1 축 (z) 을 따라 제 1 단부 및 대향하는 제 2 단부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단부 각각에는 제 1 가압판 (112') 및 제 2 가압판 (114') 이 제공되며, 이들 2개의 가압판들 사이에 페이즈 권선 (110') 이 클램핑된다. 변압기 (100') 가 동작할 때, 전자기 힘 및 가압판들 사이의 페이즈 권선의 클램핑은 특히 큰 유닛들에 대해 변압기들의 총 잡음의 중요한 부분인 부하 잡음을 생성한다.
변압기 (100') 를 인클로즈할 수 있는 변압기 탱크 (200') 의 대칭 이동 (피스톤-형 변위) 은 대칭 진동이 비대칭 이동에 비해 파 필드에 상당한 노이즈를 방출하는데, 이는 대칭 진동이 더 많은 공기를 변위시켜 비대칭 이동에 비해 더 효율적으로 사운드를 방출하기 때문이다. 부하 하의 페이즈 권선 (110') 은 일반적으로 100 Hz 또는 120 Hz 기계적 메인 주파수 (즉, 50 Hz 또는 60 Hz 인 미리 결정된 전기 동작 (여기) 주파수에 2를 곱한 값) 로 진동한다.
도 1 및 도 2 는 변압기 (100') 의 화살표 (M) 에 의한 가압판 (112', 114') 의 이동을 도시한다. 명료함을 위해, 화살표들은 하나의 페이즈 권선 (110') 에 대해서만 도시된다. 실제로, 종래 기술의 변압기 (100') 에 대해, 모든 페이즈 권선 (110') 은,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3상 변압기 (100') 에 대해, 서로에 대해 120° 위상 시프트일지라도, 동일한 진동 패턴을 나타낸다.
도 3 은 변압기 (100') 의 음향 파워가 주파수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한다. 수평축은 기계적 진동 주파수를 표시한다. 곡선은 변압기 (100') 의 구조의 진동 모드의 중첩을 나타낸다. 변압기 (100') 의 관심 모드들은 음향 파워가 가장 큰 피크 진폭들에서 식별될 수 있다.
도 4도 5 는 각각 대칭 및 비대칭 진동 모드를 도시하며, 이들의 사운드 생성 특성을 추가로 설명한다. 도 4 는 변압기 탱크 (200') 에 작용하는 대칭 모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변압기 탱크 (200') 를 둘러싼 공기와 같은 매질의 일정 부피 ΔV (양 또는 음) 가 변위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위는 방해 잡음으로 인식될 수 있는 가청 파 필드에 잡음을 방사한다. 반대로, 도 5 에 도시된 비대칭 진동 모드는 다른 부분이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변압기 탱크 (200') 의 일 부분을 위로 이동시키며, 이론적으로 순 체적 변위 (net volume displacement) ΔV 가 0 이 된다. 이러한 비대칭 진동 모드는 일정 거리에서 가청하지 못하는 니어 필드에 잡음을 방사한다. 즉, 방해 잡음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에는 중심 평면(P)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의 화살표 (M) 는 중심 평면 (P) 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된 변압기 탱크 (200') 의 모든 부분이 중심 평면 (P) 에 평행한 방향들에서의 변위들에 대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어떻게 변위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5 에서, 비대칭 진동 모드는 중심 평면 (P) 의 대향 측들에서 반대 방향들을 초래한다.
도 6 은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변압기 (100) 의 측면 뷰단면을 도시한다. 변압기 (100) 는 적어도 2개의 페이즈 권선 (110) 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변압기는 3개의 페이즈 권선 (110) 을 포함한다. 각각의 페이즈 권선 (110) 은 코일 축 주위에 코일 턴(120)(도 7)을 갖는다. 변압기 (100) 는 변압기 (100) 가 동작할 때, 미리 결정된 주파수에서 전압을 변환하도록 적응된다. 변압기 (100) 는 특정 주파수에 2 를 곱한 것에 대응하는 메인 주파수를 갖고 진동 모드를 갖는 기계적 부하에 의해 여기된다. 부하와 진동 모드의 조합은 변압기 (100) 의 진동을 초래한다. 변압기 (100) 는 또한 진동 모드들의 세트를 가지며, 각각의 진동 모드는 진동 모드 주파수를 가지며, 여기서 진동 모드들의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메인 기여 진동 모드는 변압기 (100) 가 부하에 의해 여기될 때, 진동 모드들 중 가장 큰 음향 파워를 초래하는 진동 모드이다.
적어도 2개의 페이즈 권선 (110) 은 적어도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110a)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b)을 포함하고,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및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b) 각각은 적어도 제 1 권선부 (116a)제 2 권선부 (116b)를 포함하는 복수의 권선부(116)를 포함한다.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은 제 1 권선부 강성을 갖는 제 1 권선부 (116a) 및 제 2 권선부 강성을 갖는 제 2 권선부 (116b) 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의 상기 제 1 권선부 강성과 상기 제 2 권선부 강성 사이의 강성 차이는 음향 파워가 메인 주파수에서 최소화되도록 한다.
도 7 은 페이즈 권선 (110) 의 코일 턴들 (120) 의 확대된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페이즈 권선 (110) 은 코일 턴 (120) 사이에 복수 개의 스페이서(130)를 구비한다. 스페이서들은 통상적으로 코일의 턴들을 서로 분리하고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해 코일 턴들 사이에서 페이즈 권선 (110) 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분포된다.
변압기 (100) 는 제 1 축 (z) 을 따라 제 1 연장부를 더 갖는다. 코일 축은 제 1 축 (z) 에 평행하다. 변압기 (100) 는 제 2 축 (x) 을 따른 제 2 연장부 및 제 3 축 (y) 을 따른 제 3 연장부를 갖는다 (도 8 참조). 제 1, 제 2 및 제 3 축들은 서로 수직이고, 적어도 2개의 페이즈 권선 (110) 의 중심들은 상기 제 2 축 (x) 을 따라 볼 때 서로 일정 거리에 위치된다. 변압기 (100) 는 제 2 축 (x) 및 제 3 축 (y) 을 따라 연장되고 제 1 축 (z) 을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를 반으로 분할하는 제 1 중심 평면 (A)을 포함한다. 변압기 (100) 는 제 2 축 (x) 및 제 1 축 (z) 을 따라 연장되고 제 3 축 (y) 을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 (100) 를 반으로 분할하는 제 2 중심 평면 (B)(도 8 참조)을 포함한다. 변압기 (100) 는 제 3 축 (y) 및 제1 축 (z) 을 따라 연장되고 제2 축 (x) 을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압기 (100) 를 반으로 분할하는 제 3 중심 평면 (C)을 포함한다.
각각의 페이즈 권선 (110) 은 코일 축을 따라, 즉 제 1 축 (z) 과 평행한 제 1 단부 및 대향하는 제 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단부 각각에는 제 1 가압판 (112) 및 제 2 가압판 (114) 이 제공되며, 이들 2개의 가압판들 사이에 페이즈 권선 (110) 이 클램핑된다.
상기 변압기 (100) 의 기계적 진동의 대칭 모드는 상기 중앙 평면들 (A, B, C) 중 하나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된 상기 변압기 (100) 의 모든 부분이 관련된 중앙 평면에 평행한 방향들에서의 변위들에 대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변위되게 한다. 상기 변압기 (100) 의 기계적 진동의 비대칭 모드는 상기 중앙 평면들 (A, B, C) 중 하나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된 상기 변압기 (100) 의 모든 부분이 관련된 중앙 평면에 평행한 방향들에서의 변위들에 대해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변위되게 한다.
모드 스펙트럼은 상이한 주파수에 응답하는 구조체의 진동 진폭을 연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모드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 변압기 탱크 벽은 예를 들어 펄스 해머 (pulse hammer) 에 의해 진동하게 될 수 있고, 탱크 벽의 진동은 예를 들어 탱크 벽의 표면에 걸쳐 분포되는 압전 힘 변환기 (piezoelectric force transducer) 에 의해 또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이들 측정된 신호는 모달 분석 (modal analysis) 을 수행하고 그로부터 탱크 벽의 동적 특성을 수치적으로 결정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5 와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변압기들, 예를 들어 전력 변압기들의 잡음 생성 메커니즘은 거의 대칭적인 페이즈 권선 축방향 힘 분포에 의해 제어된다. 본 개시의 변압기 (100) 는 내적들 (φn TF) 이 0 을 향해 있도록 변압기 (100) 를 구성하는 페이즈 권선들의 어셈블리에 비대칭 진동 모드 형상을 도입함으로써 이러한 매칭을 파괴하려고 한다. 변압기에 대한 힘 분포는 구조체에 기인하여 주어진다. 코어, 코일 턴 및/또는 가압판의 형상 및 디자인은 변압기의 요구되는 전기적 성능을 얻기 위한 사전 설정이다. 그러나, 변압기 진동들이 의존하는 다른 특성들은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수정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기계적 강성이다. 다른 특성은 페이즈 권선들 (110) 의 질량이다. 그러나, 변압기와 권선에 대한 설계 제한으로 인해 질량을 변형하기 위한 자유도가 제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100) 는 다수의 권선부 (116) 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즈 권선 (110) 을 구비한다. 복수의 권선부들은 적어도 제 1 권선부 (116a) 및 제 2 권선부 (116b)를 포함하며, 제 1 권선부(116a) 는 제 1 권선부 강성을 갖고, 제 2 권선부 (116b) 는 제 2 권선부 강성을 갖는다.
도 6 의 예시적인 변압기 (100) 의 상부 측 단면도인 도 8 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페이즈 권선 (110) 은 내부 권선 및 외부 권선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내부 권선은 저전압 권선일 수 있고 외부 권선은 고전압 권선일 수 있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제 1 권선부 (116a) 는 제 2 권선부 (116b) 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 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권선부 (116a) 는 저전압 권선이고, 제 2 권선부 (116b) 는 고전압 권선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페이즈 권선은 적어도 2개의 권선부 (116) 를 포함한다. 따라서, 2개를 초과하는 임의의 수의 권선부 (116) 가 또한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다.
여기에서, 권선부 (116) 는 페이즈 권선 (110) 의 코일 턴 (turn) 중 일부를 의미한다. 도 8 에 예시된 바와 같이, 권선부 (116) 는 전체 내측 또는 외측 권선일 수 있다. 권선부는 대안적으로 제 1 축 (z)(도시되지 않음) 을 따라 길이가 제한된 권선의 일부, 이를 테면, 권선의 섹션일 수 있다. 권선부는 또한/대안적으로 권선의 원주부 섹터에 대한 코일 축 주위의 각도 (φ) 에 의해 제한되는 권선의 섹터일 수 있다.
권선부들 (116) 사이에 강성 차이 또는 질량 차이, 또는 강성 차이 및 질량 차이를 도입하는 것은 기계적 진동의 대칭 모드를 파괴하고, 대신에 상이한 권선부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즈 권선 (110) 을 포함하는 변압기에 비대칭 진동 모드를 도입한다.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페이즈 권선의 결과로서, 전체적으로 변압기 (100) 의 기계적 진동의 대칭 모드가 파괴된다.
도 6 또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변압기 (100) 를 포함하는 변압기 배열체 (300) 에서, 변압기 탱크 (200)에 둘러싸여, 주변으로 방출되는 잡음이 상당히 감소된다. 이는 변압기 (100) 에서 기계적 진동의 대칭 모드를 파괴한 결과이다. 이에 의해, 변압기 탱크 (200) 의 대칭 모드도 파괴되어 변압기 탱크 (200) 에서 방사되는 음향 파워와 잡음이 저감된다.
변압기 (100) 의 기계적 진동의 대칭 모드를 파괴하기 위해,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의 제 1 권선부 (116a) 는 코일 축 (z) 을 따라 볼 때 제 1 권선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의 제 2 권선부 (116b) 는 코일 축 (z) 을 따라 볼 때 제 2 권선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전과 같이, 제 1 권선부 강성은 제 2 권선부 강성과 상이하다.
제 1 권선부 (116a) 에는 제 1 스페이서 분포가 제공되고, 제 2 권선부 (116b) 에는 제 2 스페이서 분포가 제공된다. 제 1 스페이서 분포는 상기 제 2 스페이서 분포와 상이하다. 스페이서들 (130) 을 위한 재료들의 선택 및/또는 스페이서 분포의 밀도는 기계적 진동의 대칭 모드를 파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팩터들이다. 코일 턴 (120) 이 진동할 때, 스페이서 (130) 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은 페이즈 권선 (110) 및 변압기 (100) 전체의 강성에 영향을 미쳐, 변압기 (100), 오일 및 변압기 탱크 (200) 의 진동 모드에 영향을 미친다.
제 1 스페이서 분포는 제 1 유형의 스페이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스페이서 분포는 제 2 유형의 스페이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유형의 스페이서들은 상기 제 2 유형의 스페이서들과 상이하다. 제 1 유형의 스페이서는 예를 들어 제 1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고, 제 2 유형의 스페이서는 제 2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제 1 탄성 계수는 상기 제 2 탄성 계수와 적어도 3 GPa,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GPa, 예컨대 적어도 10 GPa만큼 상이하다.
따라서, 변압기의 주 기여 모드 또는 대칭 모드는 상이한 탄성 계수의 스페이서들 (130) 을 제공함으로써 수정될 수 있다. 탄성 계수는 예를 들어 스페이서 (130) 에 적절한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선택/적용가능한 재료의 탄성 계수는 0.1 GPa - 120 GPa, 또는 그 초과의 범위이다.
대안적으로, 제 1 스페이서 분포는 코일 축 주위의 방향으로 서로 제 1 거리에 배열된 스페이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스페이서 분포는 코일 축 주위의 방향으로 서로 제 2 거리에 배열된 스페이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거리는 상기 제 2 거리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 2 권선 부분에 비해 제 1 권선 부분의 스페이서들 사이의 거리가 감소함으로써, 제 2 권선 부분에 비해 제 1 권선 부분의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이는 제 2 권선부에 비해 제 1 권선부에서 코일 턴 (120) 의 단위 길이당 더 많은 개수의 스페이서를 의미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 1 유형의 스페이서들은 코일 축을 따라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강성을 갖도록 구조적으로 형상화될 수 있고, 제 2 유형의 스페이서들은 코일 축을 따라 보이는 바와 같이 제 2 강성을 갖도록 형상화되고, 상기 제 1 강성은 상기 제 2 강성과는 상이하다. 스페이서 (130) 는 종래의 스페이서에 비해 증가된 또는 감소된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구조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유형 및 제 2 유형의 스페이서는 동일한 재료일 수 있지만, 적어도 제 1 및 제 2 권선부에 상이한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중공 스페이서들 (130) 은 솔리드 스페이서들 (130) 에 비해 감소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변압기 (100) 의 적어도 하나의 페이즈 권선 (110) 에는 서로 다른 권선부 강성을 갖는 서로 다른 권선부 (116) 가 구비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의해, 적어도 1개의 페이즈 권선이 단일 유형의 스페이서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제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시뮬레이션들은 모든 페이즈 권선들이 상이한 권선부 강성들을 갖는 것은 아닐 때 더 양호한 결과들이 달성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다시 말해서,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b) 의 제 1 권선부 (116a) 는 상기 코일 축을 따라 볼 때 제 1 권선부 강성을 가질 수도 있고,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b) 의 제 2 권선부 (116b) 는 또한 상기 코일 축을 따라 볼 때 제 1 권선부 강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b) 은 제 1 권선부 (116a) 및 제 2 권선부 (116b) 양쪽 모두에서 동일한 권선부 강성을 갖는다. 제 2 유형의 권선 (110b) 의 권선부 강성은 제 1 권선부 (116b) 의 권선부 강성과 동일하다.
2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특히 상당한 잡음 감소를 초래한다.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변압기 (100) 는 제 2 축 (x) 을 따라 배열된 3개의 페이즈 권선 (110) 을 포함한다. 하나의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b) 은 두 개의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들 (110a) 사이에, 중앙에 배열된다.
제 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도 6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 (100) 는 제 2 축 (x) 을 따라 배열된 3개의 페이즈 권선 (110) 을 포함하고, 하나의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은 2개의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b) 사이에서 중심에 배열된다.
아래의 표 1 은 도 6 및 도 8 에 도시된 제 2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변압기 (100) 및 변압기 배열체 (300) 의 시뮬레이션된 결과들을 도시한다. 변압기는 100 Hz 기계적 메인 주파수에서 동작한다. 이 예에서, 스페이서들 (130) 의 강성/탄성만이 메인 기여 모드에 영향을 주도록 적응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저전압 권선, 예를 들어 내부 권선의 스페이서 (130) 는 동일한 탄성 계수를 갖는다. 측면들 상의 페이즈 권선들 (110) 의 고전압 권선들은 또한 저전압 권선들과 동일한 탄성 계수의 스페이서들을 갖는다. 중간 페이즈 권선 (110) 의 고전압 권선에만, 다른 권선들과 상이한 탄성 계수의 스페이서들 (130) 이 배열된다.
제 4 열은 상이한 탄성 계수의 결과로서 시뮬레이션된 방사 음향 파워를 보여준다. 공칭 설계의 대응하는 변압기 (100) 및 변압기 배열 (300) 의 음향 파워는 80.2 dB이며, 이는 70.1 dB의 최저 시뮬레이션된 음향 파워보다 10.1 dB 더 높다. 따라서, 시뮬레이션은 종래 기술에 비해 본 개시에 따른 변압기 (100) 및 변압기 배열 (300) 의 상당한 개선을 도시한다.
표 1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유사한 잡음 감소를 초래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개시되지 않는다.
개시된 실시형태들의 수정들 및 다른 실시형태들이 전술한 설명 및 관련 도면에 제시된 교시의 이점을 가짐을 당업자에게 떠오를 것이다. 그러므로, 실시형태들이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과, 수정 및 다른 실시형태들이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특정 용어들은 본원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특정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제한적인 목적이 아닌 설명적인 의미로만 사용된다.

Claims (9)

  1. 적어도 2개의 페이즈 권선들 (110) 을 포함하는 변압기 (100) 로서,
    각각의 페이즈 권선 (110) 은 코일 축 주위에 코일 턴들 (120) 을 갖고, 상기 변압기 (100) 는 상기 변압기 (100) 가 동작할 때, 미리 결정된 주파수에서 전압을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압기 (100) 는 진동 모드들을 갖고 상기 미리 결정된 주파수에 2를 곱한 것에 대응하는 메인 주파수를 갖는 기계적 부하에 의해 여기되고, 부하 및 진동 모드들의 조합은 상기 변압기 (100) 의 진동을 초래하고, 상기 변압기 (100) 는 진동 모드들의 세트를 갖고, 각각의 진동 모드는 진동 모드 주파수를 갖고, 상기 진동 모드들의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메인 기여 진동 모드는 상기 변압기 (100) 가 상기 부하에 의해 여기될 때, 상기 진동 모드들 중 가장 큰 음향 파워를 초래하는 진동 모드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페이즈 권선들 (110) 은 적어도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및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b)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및 상기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b) 각각은 적어도 제 1 권선부 (116a) 및 제 2 권선부 (116b) 를 포함하는 복수의 권선부들 (116)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은 제 1 권선부 강성을 갖는 제 1 권선부 (116a) 및 제 2 권선부 강성을 갖는 제 2 권선부 (116b)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의 상기 제 1 권선부 강성과 상기 제 2 권선부 강성 사이의 강성 차이는 상기 음향 파워가 상기 메인 주파수에서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의 상기 제 1 권선부 (116a) 는 상기 코일 축을 따라 볼 때 제 1 권선부 강성을 갖고, 상기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의 상기 제 2 권선부 (116b) 는 상기 코일 축을 따라 볼 때 제 2 권선부 강성을 가지며, 상기 제 1 권선부 강성은 상기 제 2 권선부 강성과는 상이하며,
    상기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b) 의 상기 제 1 권선부 (116a) 는 상기 코일 축을 따라 볼 때 상기 제 1 권선부 강성을 갖고, 상기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b) 의 상기 제 2 권선부 (116b) 는 또한 상기 코일 축을 따라 볼 때 상기 제 1 권선부 강성을 갖고,
    상기 변압기 (100) 는 제 2 축 (x) 을 따라 배열된 3개의 페이즈 권선들 (110) 을 포함하고, 하나의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이 2개의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들 (110b) 사이에서 중앙에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변압기 (100) 는 제 2 축 (x) 을 따라 배열된 3개의 페이즈 권선들 (110) 을 포함하고, 하나의 제 2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b) 이 2개의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들 (110a) 사이에서 중앙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에는 상기 코일 턴들 (120) 사이에 복수의 스페이서들 (130) 이 제공되고, 상기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의 상기 제 1 권선부 (116a) 에는 제 1 유형의 스페이서들이 제공되고, 상기 제 1 유형의 페이즈 권선 (110a) 의 상기 제 2 권선부 (116b) 에는 제 2 유형의 스페이서들이 제공되고, 상기 제 1 유형의 스페이서들은 상기 제 2 유형의 스페이서들과 상이한, 변압기 (1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스페이서들은 제 1 탄성 계수를 갖고, 상기 제 2 유형의 스페이서들은 제 2 탄성 계수를 가지며, 상기 제 1 탄성 계수는 상기 제 2 탄성 계수와 상이한, 변압기 (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권선부 (116a) 는 상기 제 2 권선부 (116b) 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되는, 변압기 (10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변압기 (100) 를 포함하는 변압기 배열체 (300) 로서,
    상기 변압기 (100) 는 변압기 탱크 (200) 에 인클로즈되는, 변압기 배열체 (300).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37019627A 2021-02-11 2022-02-11 변압기 및 변압기 배열체 KR102563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56690 2021-02-11
EP21156690.6 2021-02-11
PCT/EP2022/053427 WO2022171829A1 (en) 2021-02-11 2022-02-11 A transformer and a transformer arran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676A KR20230098676A (ko) 2023-07-04
KR102563403B1 true KR102563403B1 (ko) 2023-08-03

Family

ID=7459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627A KR102563403B1 (ko) 2021-02-11 2022-02-11 변압기 및 변압기 배열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292110A1 (ko)
JP (1) JP7493107B2 (ko)
KR (1) KR102563403B1 (ko)
CN (1) CN116897401B (ko)
WO (1) WO202217182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3151A (ja) 2012-03-05 2013-09-12 Toshiba Corp 静止誘導電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6387A (en) * 1968-01-31 1974-01-15 Hitachi Ltd Short-circuit testing model for stationary induction apparatuses
US3815068A (en) * 1968-01-31 1974-06-04 Hitachi Ltd Stationary induction apparatus
KR100753165B1 (ko) * 2006-01-17 2007-08-30 동우전기공업(주) 배전급 22.9kV GIS용 전자식변성기 내장형 탄성에폭시스페이서 및 그 제조방법
EP2457240B1 (de) 2009-07-24 2018-01-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reduktion der geräuschemission eines transformators
EP2487697A1 (en) * 2011-02-08 2012-08-15 ABB Technology AG Dry-type transform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ry-type transformer
BR112015007005A2 (pt) 2012-10-19 2017-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dispositivo inversor para vagões ferroviários, transformador para vagões ferroviários, e, método de fabricação de transformador para vagões ferroviários
KR102206798B1 (ko) * 2019-07-01 2021-01-26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흡음장치를 구비하는 변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3151A (ja) 2012-03-05 2013-09-12 Toshiba Corp 静止誘導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93107B2 (ja) 2024-05-30
JP2023554701A (ja) 2023-12-28
CN116897401B (zh) 2024-03-01
CN116897401A (zh) 2023-10-17
WO2022171829A1 (en) 2022-08-18
KR20230098676A (ko) 2023-07-04
EP4292110A1 (en) 202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8155B1 (ko) 전자기 변환기
JP2006511135A (ja) 音響アクチュエータ
US20210058011A1 (en) Vibrational energy harvester with piston damping
KR102563403B1 (ko) 변압기 및 변압기 배열체
JP2009130955A (ja) 振動型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駆動装置
KR102636772B1 (ko) 권선, 변압기 및 변압기 배열체
JP2014018006A (ja) 発電装置
JP7293511B2 (ja) 曲率変化型振動板平衡化モードラジエータ
EP4322189A1 (en) A winding, a transformer and a transformer arrangement
JP2014011843A (ja) 振動発電装置及び振動発電装置の設計方法
CN105282666B (zh) 微型扬声器
WO2022210846A1 (ja) 構造体、振動デバイス及び体感音響装置
US20230169940A1 (en) Vibration plate and musical instrument
RU2798520C1 (ru) Управляемый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динамический излучатель упругих волн низкой частоты в непроводящих средах
JP7318847B1 (ja) 超音波探触子
KR20100006718A (ko) 진동 발생 장치
WO2021215079A1 (ja) 制振遮音装置
JP5624213B2 (ja) 駆動装置
WO2012172653A1 (ja) 駆動装置
JP2023081696A (ja) 振動発電デバイス
EP2915745B1 (en) Electromagnetic inertial actuator
WO2012172654A1 (ja) 駆動装置
JP5281427B2 (ja) 発振器
JP2015008173A (ja) 静止誘導電器
SE441793B (sv) Transformatorker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