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951B1 - 충전 예약 및 정전 인식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충전 예약 및 정전 인식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2951B1 KR102562951B1 KR1020210055345A KR20210055345A KR102562951B1 KR 102562951 B1 KR102562951 B1 KR 102562951B1 KR 1020210055345 A KR1020210055345 A KR 1020210055345A KR 20210055345 A KR20210055345 A KR 20210055345A KR 102562951 B1 KR102562951 B1 KR 1025629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ergy storage
- storage device
- power
- secondary battery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8000007600 charg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80 constant potential 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7 constant-current 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a programmable schedul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5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 H02J2310/56—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 upon which the selective controlling is based
- H02J2310/62—The condition being non-electrical, e.g. temperature
- H02J2310/64—The condition being economic, e.g. tariff based load manage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19—Charger status, e.g. volt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시간의 예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정전 인식이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 예약 및 정전 인식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가 제공되고,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AC 전원이 연결되는 AC 입력부; AC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AC 전원을 이용하여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C-DC 변환부; DC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2차 전지; 및 2차 전지로부터 방출되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하여 AC 출력부에 공급하기 위한 DC-AC 변환부;를 포함하고, AC 입력부로부터의 AC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부; AC-DC 변환부와 2차 전지 사이에 제공된 온/오프 릴레이 스위치; 및 전압 검출부의 전압 검출 여부에 따라 온/오프 릴레이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 예약 및 정전 인식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가 제공되고,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AC 전원이 연결되는 AC 입력부; AC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AC 전원을 이용하여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C-DC 변환부; DC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2차 전지; 및 2차 전지로부터 방출되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하여 AC 출력부에 공급하기 위한 DC-AC 변환부;를 포함하고, AC 입력부로부터의 AC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부; AC-DC 변환부와 2차 전지 사이에 제공된 온/오프 릴레이 스위치; 및 전압 검출부의 전압 검출 여부에 따라 온/오프 릴레이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간대별 차등 전기요금이 적용되는 환경에서 충전 시간의 예약이 가능하여 충전에 따른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고, 정전 인식 기능을 탑재하여 정전시 내장 램프를 자동으로 점등시켜 정전시에도 사용에 불편이 없도록 하는, 충전 예약 및 정전 인식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는 캠핑과 같은 야외 활동에서의 전력원으로 사용되거나 지진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의 비상 전력원으로 사용되는 등 그 사용 범위가 꾸준히 넓혀져 가고 있다. 에너지 저장수단으로는 주로 이차전지가 사용되고 있으며, 충전 전력원으로는 상용전원(AC) 또는 태양광이 이용되고 있다.
불시에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항상 에너지 저장장치내 이차전지를 충분히 충전시켜 둘 필요가 있는데, 손쉽고 빠르게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을 완료하고자 한다면 태양광 보다는 상용전원을 충전 전력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에 있어서 태양광은 상용전원에 비교했을 때 에너지 저장장치를 무료로 충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태양광을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를 저장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이용되는 보조적 충전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하여는 특허등록 제2211915호 "이동형 에너지 저장시스템 보관장치", 특허등록 제1867765호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 등의 기술이 출현하였고, 태양광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장치로는 특허등록 제1871020호 "태양광 인버터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 특허등록 제2170505호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장치" 등이 출현하였다.
그러나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를 상용 전원을 사용하여 충전할 때 충전에 따른 전기요금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높이고, 또한 충전모드에서 상용전원의 정전 여부를 감시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갑작스러운 정전 사태가 발생했을 때 내장램프를 자동적으로 점등하여 정전 사태에서도 편리하게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술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현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를 상용전원을 사용하여 충전할 때 시간대별 차등 전기요금이 적용되는 환경을 활용함으로써 충전에 따른 전기 요금을 절감하여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 모드에서 동작중에 있을 때 상용전원의 정전 여부를 감시하는 기능을 구비하면서 정전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에 탑재된 LED 램프를 ON시켜 정전시에도 사용자가 이동형 저장장치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충전 예약 및 정전 인식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예약 및 정전 인식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AC 전원이 연결되는 AC 입력부; AC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AC 전원을 이용하여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C-DC 변환부; DC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2차 전지; 및 2차 전지로부터 방출되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하여 AC 출력부에 공급하기 위한 DC-AC 변환부;를 포함하고, AC 입력부로부터의 AC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부; AC-DC 변환부와 2차 전지 사이에 제공된 온/오프 릴레이 스위치; 및 전압 검출부의 전압 검출 여부에 따라 온/오프 릴레이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충전 가능 시간 범위가 입력되어 있으며,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는 충전 예약 모드를 포함하고, 충전 예약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전압 검출부로부터 AC 전압이 검출되면 현재의 시간과 충전 가능 시간 범위를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충전 가능 시간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릴레이 스위치를 온시켜 AC-DC 변환부로부터의 DC 출력을 2차 전지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전압 검출부로부터 AC 전압이 검출되면 현재의 시간과 충전 가능 시간 범위를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충전 가능 시간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켜 AC-DC 변환부로부터 2차 전지로의 DC 출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전압 검출부로부터 AC 전압이 검출되고 현재의 시간과 충전 가능 시간 범위를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충전 가능 시간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릴레이 스위치를 온시켜 AC-DC 변환부로부터의 DC 출력을 2차 전지에 공급하여 2차 전지를 충전하도록 구성되고, 충전 가능 시간 범위 내에서 2차 전지의 충전이 완료되면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켜 AC-DC 변환부로부터 2차 전지로의 DC 출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전압 검출부로부터 AC 전압이 검출되고 현재의 시간과 충전 가능 시간 범위를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충전 가능 시간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릴레이 스위치를 온시켜 AC-DC 변환부로부터의 DC 출력을 2차 전지에 공급하여 2차 전지를 충전하도록 구성되고, 2차 전지의 충전 도중 현재 시간이 충전 가능 시간 범위를 벗어난 경우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켜 AC-DC 변환부로부터 2차 전지로의 DC 출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는 LED 램프를 더 포함하고,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 예약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전압 검출부로부터 AC 전압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LED 램프를 자동으로 온시키도록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예약 및 정전 인식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는, 시간대별 차등 전기요금이 적용되는 환경에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저렴하게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를 충전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전시 자동으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에 탑재된 LED 램프를 온시킴으로써 불시에 정전사태가 발생하더라도 에너지 저장장치의 사용에 불편이 없게 해주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내부 기능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예약 기능을 설정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내부 기능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예약 기능을 설정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예약 및 정전 인식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 장치(이하,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라고 함)(1)의 외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는 내장된 이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해 외부 전력원으로서 태양광 모듈(11)과 상용 전원 입력부(12)를 포함한다.
태양광 모듈(11)은 태양 에너지를 수용하여 직류의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용 전원 입력부(12)는 가정내 상용전원으로부터 100V∼240V의 교류 전원을 수신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일부분에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0);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의 설정을 조작하거나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를 턴온 또는 턴오프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스위치(3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조작스위치(30)를 이용하여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고,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기능, 예를 들면, 충전 예약 기능 및 정전시 램프 자동 점등 기능과 같은 여러 기능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는 부하 연결부 또는 부하 출력부(40)를 포함한다. 부하 출력부(40)에는 AC 부하장치를 위한 AC 출력부(41) 및 DC 부하장치를 위한 DC 부하 출력부(41)가 제공되고 사용자는 이용하고자 하는 부하장치를 적절한 소켓에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는 LED 램프(50)를 더 포함한다. LED 램프(50)는 조작 패널에 제공된 조작 버튼(30)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턴온 및 턴오프 되거나,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의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턴온 및 턴오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는 몸체의 일부분에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의 동작 상태 및/또는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인디케이터(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LED 인디케이터(60)는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의 제어부에 의해 상이한 컬러로 점등 또는 점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LED 인디케이터(60) 중 하나는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도록 기능할 수 있으며, 충전중일 때는 녹색으로 점멸되거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점멸 동작을 중지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LED 인디케이터(60) 중 다른 하나는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기능할 수 있으며, 장치에 AC 또는 DC 부하가 연결된 경우 장치가 현재 정상적으로 동작중임을 알리기 위해 청색으로 점등되거나 장치에 오류가 발생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적색으로 점멸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의 구성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사용자 또는 사용 목적에 맞게 적절하게 변경 또는 대체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에너지 저장장치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0)의 경우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단말과 연결되는 경우 배제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의 내부 회로(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저장장치(1)의 내부 회로(100)는 먼저 AC 입력부(120)로부터의 AC 전원을 DC로 변환하기 위한 AC-DC 변환/CC-CV 충전부(이하 AC-DC 변환부(110)로 기재함); 태양광 모듈(11)로부터 생성된 DC 전원을 입력받아 그 출력 전압이 정전압과 정전류 충전 가능한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DC-DC 변환/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C-CV 충전부(이하 DC-DC 변환부(120)로 기재함); AC-DC 변환부(110) 또는 DC-DC 변환부(120)를 통해 변환된 DC 전원을 수용하기 위한 2차 전지 또는 배터리(140); AC-DC 변환부(110)로부터의 전압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부(115); 및 전압 검출부(115)로부터의 전압 검출 상태와 메모리(190)에 저장된 충전 조건에 기반하여 AC-DC 변환부(110)로부터 변환된 DC 전원을 2차 전지(140) 측에 공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AC-DC 변환부(110)는 상용 전원 또는 AC 입력부(12)로부터 공급되는 AC 전원을 이용하여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DC 전원은 2차 전지를 충전하는데 이용된다.
2차 전지(140)은 원통형 셀을 여러 개로 묶어 만든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전원을 관리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145)를 포함하여 AC-DC 변환부(110)에서 출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한다. 이때, 상기 BMS(145)는 배터리 모듈의 충전상태(SOC) 및 제로전압(OV)을 검출하여 배터리 전원의 상태정보 및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BMS는 제어부(150)에 배터리의 전원의 상태 정보 및 이상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AC-DC 변환부(110)의 입력단 또는 출력단 중 어느 한측에는 전압 검출부(115)가 제공되고, 전압 검출부(115)는 AC 입력부(12)로부터의 AC 전원의 입력 여부를 검출하도록 기능한다. 전압 검출부(115)는 검출된 전압 정보를 제어부(150)에 송신한다.
DC-AC 변환부(또는 인버터)(160)는 2차 전지(140)에서 방전되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하여 AC 출력부(150)로 공급하는데 이는 AC 출력부(150)에 연결된 AC 부하 장치에 대한 구동 전원이 된다.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의 메모리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값, 예를 들면 충전 예약 시간이 기억된다. 이와 같은 충전 예약 시간은 디스플레이(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도 3과 같은 설정 화면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설정 화면을 통해 충전 예약 기능을 온하고 나서 충전하고자 하는 시간과 분을 결정하여 입력하고 또한 충전을 종료하는 시간과 분을 결정하여 입력하고 난 뒤 종료를 선택하면 사용자 설정의 충전 예약 시간이 메모리(190)에 저장된다.
다음은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의 설정 방법을 차례대로 나타낸다.
(1) 장치에서 제공하는 방법(전용키 또는 메뉴 등)을 통해서 충전 예약 화면으로 진입한다.
(2) 충전 예약을 ON 한다 - 이 때 전압 검출부에서 얻어진 값이 기준치 이하(충전부가 상용 전원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다.
(3) 시작 시간(오전/오후, 시, 분)을 설정한다.
(4) 종료 시간(오전/오후, 시, 분)을 설정한다.
(5) 설정값을 저장하고 충전 예약 화면을 벗어난다.
제어부(150)는 전압 검출부(115)로부터의 전압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가 AC 전원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충전 예약 시간, 충전 종료 시간 및 RTC(Real Time Clock)에서 얻어진 현재의 시간을 비교하고 현재 시간이 충전 가능 시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현재 시간이 충전 가능한 시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50)는 AC-DC 변환부(110)와 2차 전지(140) 사이에 제공된 릴레이 스위치(130)를 오프 시켜 2차 전지로의 DC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즉, AC 입력부를 통해 AC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AC-DC 변환부(110)과 2차 전지 사이에 전원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2차 전지는 충전되지 않는다.
한편 현재 시간이 충전 가능한 시간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50)는 AC-DC 변환부(110)와 2차 전지(140) 사이에 제공된 릴레이 스위치(130)를 온 시켜 2차 전지로의 DC 전원 공급을 계속한다. 즉, AC 입력부를 통해 공급되는 AC 전원이 2차 전지에 공급되고 2차 전지가 충전된다.
BMS(145)는 2차 전지(140)의 충전 상태를 감시하고 2차 전지(140)가 완전히 충전된 경우 이를 제어부(150)에 전달하고 제어부(150)는 2차 전지의 충전이 완료되면 릴레이 스위치(130)를 오프시켜 전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BMS의 과충전 방지 기능에 더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2차 전지(140)를 보호할 수 있게된다.
또한 현재 2차 전지가 충전 중에 있더라도 제어부(150)는 현재 시간이 충전 가능 시간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릴레이 스위치(130)을 오프하여 2차 전지로의 DC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는 블루투스 통신부(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루투스 통신부(170)은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미도시)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제공되고,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본 발명의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은 충전 예약 시간의 설정을 포함하여, 배터리의 잔량 확인, 이동형 저장장치에 탑재된 LED 램프의 ON/OFF 원격 제어를 수행할도 있다.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에 탑재된 블루투스 통신부(170)를 이용하면 위의 충전 예약 기능은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1) 현재시간 설정의 경우 스마트 단말의 시간을 판독하여 이동형 저장장치로 전송하므로 조작이 간편하고, 시간 설정을 위해서 이동형 저장장치에서 숫자 버튼의 조작이 필요하지 않고, 스마트 단말의 단 한번의 클릭으로 현재 시간을 맞출 수 있게 된다.
(2) 충전 예약 시작과 종료 시간은 스마트 단말의 버튼을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면 되므로 익숙하고도 쉬운 방법으로 시간 설정을 마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제공된 제한된 개수의 조작 버튼으로 시간을 맞추자면 상/하/좌/우 그리고 확인 버튼과 같은 여러 버튼과 여러 번의 버튼 조작이 필요하지만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2차 전지(140)의 전원 정보를 BMS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2차 전지의 전원 정보가 제어부(150)로 제공된다. 이때, 디스플레이가 제공된 경우 제어부는 2차 전지의 전원 정보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에 제공하지만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2차 전지의 전원 정보를 스마트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BMS에서 검출된 2차 전지의 전원 정보에서 이상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통신부(170)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배터리의 이상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전술한 설명에서 제어부(150)는 BMS(145)로부터 검출된 2차 전지의 전원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차 전지(140)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 예를 들면, 2차 전지의 전류 검출 및 전압 검출 회로를 더 제공하고, 이들 전류 검출 회로 및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 검출된 전류 및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전원 정보를 제어부(150)에서 취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형 저장 장치는 LED 램프(50)를 자동적으로 점등하는 정전인식 기능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이동형 저장 장치의 메뉴 화면에서 정전인식 기능을 온시킬 필요가 있다.
정전 인식 기능은 충전 예약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부는 상용전원(AC)에 연결되어 있어야만 한다. 충전 예약 모드일 때에 상용 전원에 정전이 발생하면, 즉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 전압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이를 정전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제어부에서 정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150)는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1)에 탑재된 LED 램프(50)를 ON 시키게 된다. 이는 정전시에도 사용자가 이동형 저장장치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전술한 설명에서 AC-DC 컨버터로부터 2차 전지로의 AC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기 위해 온/오프 릴레이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FET, BJT와 같은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하여 AC 전원 공급을 온/오프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 11: 태양광 모듈
12: AC 전원 입력부 20: 디스플레이부
30: 조작 버튼 41: AC 출력부
42: DC 출력부 60: LED 상태 인디케이터
100: 내부 회로 110: AC-DC 변환부
115: 전압 검출부 120: DC-Dc 변환부
130: 릴레이 스위치 140: 2차 전지
150: 제어부 160: DC-Ac 변환부
170: 블루투스 통신부 180: RTC
190: 메모리
12: AC 전원 입력부 20: 디스플레이부
30: 조작 버튼 41: AC 출력부
42: DC 출력부 60: LED 상태 인디케이터
100: 내부 회로 110: AC-DC 변환부
115: 전압 검출부 120: DC-Dc 변환부
130: 릴레이 스위치 140: 2차 전지
150: 제어부 160: DC-Ac 변환부
170: 블루투스 통신부 180: RTC
190: 메모리
Claims (6)
- 충전 예약 및 정전 인식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AC 전원이 연결되는 AC 입력부;
AC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AC 전원을 이용하여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C-DC 변환부;
DC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2차 전지; 및
2차 전지로부터 방출되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하여 AC 출력부에 공급하기 위한 DC-AC 변환부;
AC 입력부로부터의 AC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부;
AC-DC 변환부와 2차 전지 사이에 제공된 온/오프 릴레이 스위치; 및
전압 검출부의 전압 검출 여부에 따라 온/오프 릴레이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부;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 및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인디케이터; 및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외측에 제공되어 조작 패널에 제공된 조작 버튼에 의해 수동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되거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LED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는 블루투스 통신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고, 스마트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충전 예약 시간의 설정, 배터리의 잔량 정보, 이동형 저장장치에 탑재된 LED 램프의 ON/OFF 원격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LED 인디케이터는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거나,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에 AC 또는 DC 부하가 연결된 경우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정상적 또는 비정상 상태를 알리도록 점멸동작하고,
상기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충전 가능 시간 범위가 입력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는 충전 예약 모드를 포함하고, 충전 예약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전압 검출부로부터 AC 전압이 검출되면 현재의 시간과 충전 가능 시간 범위를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충전 가능 시간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릴레이 스위치를 온시켜 AC-DC 변환부로부터의 DC 출력을 2차 전지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충전 가능 시간 범위 내에서 2차 전지의 충전이 완료되면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켜 AC-DC 변환부로부터 2차 전지로의 DC 출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2차 전지의 충전 도중 현재 시간이 충전 가능 시간 범위를 벗어난 경우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켜 AC-DC 변환부로부터 2차 전지로의 DC 출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 예약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전압 검출부로부터 AC 전압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LED 램프를 자동으로 온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예약 및 정전 인식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5345A KR102562951B1 (ko) | 2021-04-29 | 2021-04-29 | 충전 예약 및 정전 인식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5345A KR102562951B1 (ko) | 2021-04-29 | 2021-04-29 | 충전 예약 및 정전 인식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8390A KR20220148390A (ko) | 2022-11-07 |
KR102562951B1 true KR102562951B1 (ko) | 2023-08-03 |
Family
ID=8404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5345A KR102562951B1 (ko) | 2021-04-29 | 2021-04-29 | 충전 예약 및 정전 인식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295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986789B (zh) * | 2022-12-14 | 2023-08-18 | 深圳市斐石科技有限公司 | 一种兼容高低压mppt接入便捷及户储两用式储能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5859B1 (ko) * | 2011-11-04 | 2012-04-16 | 배재환 | 비상조명을 갖는 가정용 분전반 |
JP2019213308A (ja) * | 2018-06-01 | 2019-12-12 | ニチコン株式会社 |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および逆接続時の制御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4922B1 (ko) * | 2012-08-30 | 2014-04-11 |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에너지 저장 시스템 자동 충전 방법 |
-
2021
- 2021-04-29 KR KR1020210055345A patent/KR1025629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5859B1 (ko) * | 2011-11-04 | 2012-04-16 | 배재환 | 비상조명을 갖는 가정용 분전반 |
JP2019213308A (ja) * | 2018-06-01 | 2019-12-12 | ニチコン株式会社 |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および逆接続時の制御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8390A (ko) | 2022-1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04470B2 (ja) | 電力供給システム | |
US10536008B2 (en) | Power storage system and power storage systems control method | |
US9252463B2 (en) | Battery charging system having multiple charging modes | |
JP4998909B1 (ja) | 太陽光発電システム | |
CN101127447A (zh) | 充电电路 | |
JP2006296109A (ja) | 家庭用小型電源装置 | |
JP6018449B2 (ja) | 蓄電池システム | |
JP2014039364A (ja) | 給電制御装置 | |
CN113359057A (zh) | 一种应急监测电路及应急监测装置 | |
KR102562951B1 (ko) | 충전 예약 및 정전 인식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 | |
JP6145777B2 (ja) | 電力変換装置 | |
JP6061535B2 (ja) | 蓄電池システム | |
JP6091794B2 (ja) | 蓄電池システム | |
CN201966457U (zh) | 一种蓄电池充电插座 | |
CN211744131U (zh) | 一种可超长待机的智能型不间断电源 | |
KR20140125663A (ko) |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및 동작방법 | |
CN201054506Y (zh) | 一种能够在接与不接外部电源时给手持设备供电或充电的电子配件 | |
JP6018448B2 (ja) | 蓄電池システム | |
JP6018447B2 (ja) | 蓄電池システム | |
JP6360279B2 (ja) | 蓄電池システム | |
KR101288723B1 (ko) | 에너지 저장 및 공급 시스템 | |
JP6830193B2 (ja) | 電力変換装置、電力変換システム | |
JP2024057354A (ja) | 充放電システム | |
JP6343416B2 (ja) | 蓄電池システム | |
KR20220142826A (ko) | 신재생에너지 또는 계통전력을 전력원으로 하는 ess가 구비된 가정용 예비전력 절체 관리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