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663A -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및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및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663A
KR20140125663A KR1020130043775A KR20130043775A KR20140125663A KR 20140125663 A KR20140125663 A KR 20140125663A KR 1020130043775 A KR1020130043775 A KR 1020130043775A KR 20130043775 A KR20130043775 A KR 20130043775A KR 20140125663 A KR20140125663 A KR 20140125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supply
battery
communication
batte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3091B1 (ko
Inventor
홍승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091B1/ko
Publication of KR20140125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8Current-supply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selection equipment at exchan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정전 전원장치를 구성하는 정류기와 배처리를 통신 시스템에 내장하여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고, 배터리의 충전 기능과 통신 시스템으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AC 전원의 DC 전원 변환과 AC 전원의 불안정이나 정전 시 배터리를 이용한 전원 공급 수행 등 무정전 전원장치에 대한 감시와 제어를 구현함으로써, 정류기와 축전기를 통신 시스템과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보다 현장의 설치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통신 시스템의 설치를 위한 랙상 상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랙을 설치할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일체화에 따라 소형화된 통신 시스템을 테이블이나 벽걸이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및 동작방법{COMMUNICATION SYSTEM COMBINED WITH UP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정전 전원장치(uninterrupt power supply : UPS)를 구성하는 정류기(rectifier)와 배터리를 통신 시스템에 내장하여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통신 시스템의 설치를 위한 랙(rack)상 거치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랙을 설치할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소형화된 통신 시스템을 테이블(table)이나 벽걸이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정전 전원장치는 정상동작 시 전원을 충전해 두었다가 정전시 자동으로 일정시간동안 전원을 자체적으로 공급해주어 정전시에도 복전시간동안 안정적인 동작을 지원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무정전 전원장치는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랙 형태로 제작되는 통신 장비상 다양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에서도 구현되어 통신 시스템의 정전시에도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위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랙 형태로 제작되는 통신 장비상 통신 시스템(100)과 무정전 전원장치가 별도로 구성되며, 무정전 전원장치는 정류기(102)와 배터리(10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104)로는 납축전지를 사용하며, 정류기(102)에서 납축전지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 및 감시하였다. 그리고 정류기(102)에서 제어 및 감시된 정보는 정류기(102)와 통신 시스템(100)간에 별도의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통신 시스템(100)에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정류기(102)는 AC(alternating current) 전원을 DC(direct current)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104)를 충전시키며, 순간적인 AC 전원의 불안정 및 정전발생 시 AC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DC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배터리(104)로부터 제공되는 DC 전원을 통신 시스템(100)에 공급하여 안정적으로 통신 시스템(100)이 동작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통신 시스템(100)은 AC 전원이 불안정하거나 정전 발생시에는 배터리(104)로부터 DC 전원을 공급받아 안정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위 설명한 바와 같이 정류기(102)와 배터리(104) 등으로 구성되는 무정전 전원장치가 랙상에서 통신 시스템(100)과 별도로 구성됨에 따라 무정전 전원장치를 별도로 구성하여 통신 시스템(100)과 연결을 해야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통신 시스템(100)을 설치하는데, 과정이 많고 복잡하여 설치기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정류기(102)와 배터리(104)가 통신 시스템(100)과 분리되어 있어 통신 시스템(100)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 외에 정류기(102)와 배터리(104)를 설치할 공간을 확보해야 하며, 정류기(102)에서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모듈과 통신 시스템(100)의 DC-DC 변환 전원 모듈이 이중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8273호
따라서,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정전 전원장치를 구성하는 정류기와 배터리를 통신 시스템에 내장하여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고, 배터리의 충전 기능과 통신 시스템으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AC 전원의 DC 전원 변환과 AC 전원의 불안정이나 정전 시 배터리를 이용한 전원 공급 수행 등 무정전 전원장치에 대한 감시와 제어를 구현함으로써, 정류기와 배터리를 통신 시스템과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보다 현장의 설치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통신 시스템의 설치를 위한 랙상 상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랙을 설치할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일체화에 따라 소형화된 통신 시스템을 테이블이나 벽걸이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으로서, 통신기기와, 외부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제1 동작 전원을 상기 통신기기로 제공하거나 상기 외부 전원 공급원의 불안정 시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부로부터의 제2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통신기기로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제어에 따라 충전을 수행하며 상기 외부 전원 공급원의 불안정 시 상기 전원 공급부로 상기 제2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배터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기기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과, 상기 배터리부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현재 전압을 확인하여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 수행 여부를 제어하는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현재 전압을 확인하고, 상기 현재 전압을 안전 기준 전압과 비교한 후,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안전 기준 전압과 같거나 높은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 또는 충전차단이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안전 기준 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통신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현재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 또는 차단을 수행하는 충전부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입력되는 AC 전원을 DC(direct current)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AC-DC 변환부와,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시키며, 상기 AC-DC 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DC 전원을 상기 제1 동작 전원으로 상기 통신기기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상기 제2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통신기기에게 제공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부는,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현재 전압을 확인하고, 상기 현재 전압을 안전 기준 전압, 충전 시작 기준 전압 또는 충전 차단 기준 전압과 비교한 후,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안전 기준 전압보다 높고 상기 충전 시작 기준 전압 보다 낮은 경우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안전 기준 전압보다 낮거나 또는 상기 충전 차단 기준 전압과 같거나 높은 경우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는, 배터리셀과, 상기 통신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배터리셀의 충전 상태를 감시하여 과충전 또는 과방전을 방지시키는 보호회로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기기로 상기 배터리셀의 상태 정보 또는 제조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셀은, 리튬 이온 또는 리튬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기기와 전원 공급부 및 배터리부는, 서로 다른 형태의 실장 공간으로 설계된 동일 평면상 프레임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통신기기와 커넥터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배터리부의 실장 여부에 대한 접점신호를 상기 통신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기설정된 포트가 상기 커넥터상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동작과 관계없이 상기 배터리부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는 별도의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으로서, 배터리부에 충전된 현재 전압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전압을 안전 기준 전압, 충전 시작 기준 전압 또는 충전 차단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안전 기준 전압보다 높고, 상기 충전 시작 기준 전압 보다 낮은 경우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안전 기준 전압보다 낮거나 또는 상기 충전 차단 기준 전압과 같거나 높은 경우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으로서, 배터리부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현재 전압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의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이 성공하는 경우 상기 현재 전압을 안전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안전 기준 전압 보다 높은 경우 기설정된 충전조건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 또는 차단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이 실패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안전 기준 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정전 전원장치를 구성하는 정류기와 배터리를 통신 시스템에 내장하여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고, 배터리의 충전 기능과 통신 시스템으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AC 전원의 DC 전원 변환과 AC 전원의 불안정이나 정전 시 배터리를 이용한 전원 공급 수행 등 무정전 전원장치에 대한 감시와 제어를 구현함으로써, 정류기와 배터리를 통신 시스템과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보다 현장의 설치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의 설치를 위한 랙상 상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랙을 설치할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일체화에 따라 소형화된 통신 시스템을 테이블이나 벽걸이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랙상 무정전 전원장치와 통신 시스템이 별도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의 설계 평면도 및 4방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작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통신기기(210), 전원 공급부(220), 배터리부(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통신기기(210)는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200)에서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예를 들어 유선통신에서는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Ethernet,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MSPP(multi-service provisioning platform), PTN(packet transport network),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에 사용되는 통신장비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에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에 사용되는 각종 통신장비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20)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정류기의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로, 외부 전원 공급원이 될 수 있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통신기기(210)의 동작 전원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AC 전원이 불안정하거나 정전 등의 발생으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어려운 경우 AC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DC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배터리부(230)로부터의 DC 전원을 공급받아 통신기기(2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220)는 AC 전원을 이용한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시간동안에는 AC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부(230)를 충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며, 배터리부(230)의 충전상태를 검사하여 과충전이나 과방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충전 동작을 제어한다.
배터리부(230)는 리튬이온 또는 리튬폴리머를 배터리 셀(238)로 사용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소정의 통신모듈을 탑재하여 통신기기(210) 또는 전원 공급부(22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전원 공급부(220)와 배터리부(2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200)에 일체화되는 장치로써, 무정전 전원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원 공급부(220)는 전원 제어부(222), 충전부(224), AC-DC 변환부(2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DC 전원 변환부(226)는 통신 시스템(200)에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AC 전원을 입력받아 DC 전원으로 변환시킨다.
충전부(224)는 전원 제어부(222)의 제어에 따라 통신 시스템(200)에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배터리부(230)의 현재 전압을 감지하고, 배터리부(230)의 현재 전압을 기설정된 충전 시작 기준 전압 또는 충전 차단 기준 전압과 비교한다. 이어, 충전부(224)는 현재 전압이 충전 시작 기준 전압보다 낮을 경우에는 배터리부(23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고, 현재 전압이 충전 차단 기준 전압과 같거나 높을 경우에는 배터리부(230)에 대한 충전을 차단시킨다.
또한, 충전부(224)는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를 통해 배터리부(230)의 현재 전압이 안전 기준 전압보다 낮은 것으로 통보 받거나, 배터리부(230)의 동작 중 통신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통보 받는 경우, 배터리부(230)가 충전되지 않도록 충전을 차단시킨다.
전원 제어부(222)는 전원 공급부(2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전원 제어부(222)는 AC-DC 전원 변환부(226)를 통해 변환된 DC 전원을 통신기기(210)의 동작 전원으로 제공하며, AC 전원이 불안정하거나 정전 등의 발생으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어려운 경우 AC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DC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고, 배터리부(230)로부터의 DC 전원을 공급받아 통신기기(210)의 동작 전원으로 제공한다.
또한, 전원 제어부(222)는 배터리부(230)에 대한 충전 제어에 있어서, AC 전원 등의 외부 공급 전원을 이용하여 통신 기기(210)에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시간 동안에는 충전부(224)를 제어하여 위와 같은 AC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부(230)를 충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전원 제어부(222)는 배터리부(230)의 충전상태를 검사하여 과충전이나 과방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충전 동작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통신기기(210)는 통신 모듈(212)과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2)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기능을 담당 장치로서, 예를 들어 유선통신에서는 ADSL, VDSL, Ethernet, ATM, SDH, MSPP, PTN, PSTN 등에 사용되는 통신장비가 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에서는 CDMA, WCDMA, LTE 등에 사용되는 각종 통신장비 중 하나가 되어 대응되는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전원 공급부(220)와 배터리부(230)의 상태를 감시하고, 배터리부(230)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부(230)의 과충전이나 과방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전원 공급부(220)에서의 충전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즉,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배터리부(230)의 실장 유무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배터리부(230)의 과방전에 의해서 보호회로부(236)의 과방전 보호회로가 동작하여 배터리부(230)의 출력이 0V가 되더라도, 배터리부(230)가 실장이 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통신부(232)와의 통신이 성공되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배터리부(230)가 정상이라고 판단하면, 배터리부(230)의 현재 전압을 안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낮으면, 전원 공급부(220)의 충전부(224)를 제어하여 배터리부(230)가 충전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때, 위와 같은 안전 기준 전압이란 리튬폴리머 전지 등의 배터리가 과방전 상태로 장기간(1년 이상) 방치된 경우 매우 낮은 충전 전압을 가지게 되면 리튬폴리머 전지 내부의 화학물질의 화학적인 구조가 깨져 불안정해질 수 있는 전압(Voltage)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기준 전압 이하의 리튬폴리머 전지에 대해 충전을 계속할 경우 리튬폴리머 전지 내부에서 화학적인 가스가 발생하여 리튬폴리머의 패키지의 약한 틈을 뚫고 가스가 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리튬폴리머의 패키지가 변형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의 발생을 통해 리튬폴리머 전지가 폭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배터리부(230)가 현재 전압이 안전 기준 전압보다 낮은 지 여부를 검사하여 안전 기준 전압보다 낮으면, 배터리부(230)가 충전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배터리부(230)의 폭발 등의 사고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배터리부(230)의 동작 중 불량을 감지하기 위해 배터리부(230)의 통신부(232)와 통신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예를 들어 통신불량이 연속해서 최대 10회 이상 또는 1분간 발생할 경우 충전부(224)의 동작을 정지시켜 배터리부(230) 불량에 따른 사고가 예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터리부(230) 불량에 대한 경보를 발생시켜 운용자에 의해 배터리부(230)가 제거 또는 교체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통신 시스템(200)에 의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배터리부(230)는 통신부(232), 제어부(234), 보호회로부(236), 배터리 셀(238), 출력 제어부(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2)는 소정 제어에 따라 배터리부(230)의 제어부(234)와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간 배터리부(230)와 관련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때, 통신부(232)는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와의 통신을 위해 RS232, I2C, SMBUS(System Management BUS) 중 하나의 직렬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 셀(238)은 배터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충전 및 방전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호회로부(236)는 배터리 셀(238)의 충전 및 방전시 과충전 또는 과방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즉, 보호회로부(236)는 과충전 또는 과방전에 의한 배터리 셀(238)의 안정성 및 수명을 보호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234)는 배터리부(230)의 상태 정보와 제조 정보를 관리하고, 통신부(232)를 통해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와 통신을 수행하여,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의 요청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배터리부(230)의 상태 정보와 제조 정보는 예를 들어, 배터리 셀(238)의 온도, 전압, 전류, 충전용량, 잔존용량, 충전전류, 충전전압, 전지상태(충전 중, 방전 중, 완전충전, 완전방전), 경보발생(잔존용량 없음, 고온 알람), 충방전 횟수, 제조날짜, 시리얼번호 또는 제조사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출력 제어부(240)는 제어부(234)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부(230)의 출력을 제어한다. 즉, 출력 제어부(240)는 배터리부(230)가 통신 시스템(200)에 내장된 상태에서 제품출고 및 장기 보관 시, 통신 시스템(200)이 배터리부(230)의 잔류용량에 의해서 동작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배터리부(230)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의 설계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위 도 4를 참조하면,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200)은 기존 통신 시스템이 실장되는 공간을 통신기기(210), 전원 공급부(220), 배터리부(230)가 일체화되어 탑재될 수 있도록 동일 평면 프레임에 서로 다른 형태의 제1 실장공간(400), 제2 실장공간(402), 제3 실장공간(404)으로 설계한다.
위와 같은 설계된 제1 실장공간(400)에는 통신기기(210)가 실장될 수 있으며, 제2 실장공간(402)에는 전원 공급부(220)가 실장될 수 있으며, 제3 실장공간(404)에는 배터리부(230)가 실장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부(230)는 커넥터(connector)(406)를 통해 제1 실장공간(400)에 실장된 통신기기(210)와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하게 되고, 이와 같은 커넥터(406)에는 배터리부(230)의 정상적인 실장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접점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ID, Insert Pin 또는 Equipment Pin 등의 포트(port)(도시하지 않음)가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포트는 예를 들어 RS232, I2C, SMBUS(System Management BUS) 등과 같은 직렬 통신 방식을 채용하는 포트가 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부(230)에는 전원 공급부(220)의 동작과 관계없이 배터리부(230)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는 별도의 온/오프 스위치(408)를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200)의 이동 설치 등과 같이 통신 시스템(200)에 외부 AC 전원을 연결시키지 않는 작업 중에는 배터리부(230)가 불필요하게 동작되지 않도록 위와 같은 온/오프 스위치(408)를 이용하여 배터리부(230)를 오프시키는 동작 등을 통해 전원 공급부(220)에 의해 배터리부(230)가 동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통신기기(210)의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배터리부(230)와의 통신을 통해 통신 시스템(200)에 배터리부(230)가 실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500).
이때,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200)에는 하드웨어적으로 배터리부(230)가 실장된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배터리부(230)와 통신기기(210)간 연결되는 커넥터(406)에 접점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특정 포트를 할당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배터리부(230)의 실장 시 발생하는 기설정된 접점신호의 발생여부를 확인하여 배터리부(230)의 하드웨어적 실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포트는 예를 들어 ID, Insert Pin 또는 Equipment Pin으로 할당될 수 있고, 배터리부(230)의 실장 시 해당 핀에서의 접점신호가 논리 "하이(high)" 등으로 발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배터리부(230)가 연결되는 커넥터(406)상 기설정된 포트에서 발생하는 접점신호를 검사하여 배터리부(230)의 실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배터리부(230)의 실장 여부에 대한 정보는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로부터 전원 공급부(220)로 제공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또는 전원 공급부(220)에서도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에서와 마찬가지로 배터리부(230)의 하드웨어적 실장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검사결과, 배터리부(230)가 실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220)는 충전부(224)를 제어하여 배터리부(230)의 현재 전압을 감지하고, 배터리부(230)의 현재 전압을 기설정된 충전 시작 기준 전압 또는 충전 차단 기준 전압과 비교한 후, 현재 전압이 충전 시작 기준 전압보다 낮을 경우에는 배터리부(23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도록 하고(S502), 충전 차단 기준 전압과 같거나 높을 경우에는 배터리부(230)에 대한 충전을 차단시킨다.
한편,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에서는 배터리부(2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배터리부(230)와 통신을 시도한다(S503). 이때,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예를 들어 배터리부(230)의 통신부(232)와 1분간 또는 최대 10회까지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이어,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위와 같은 통신 시도를 통해 배터리부(230)와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여부를 검사한다(S504).
이때 만일, 배터리부(230)와의 통신이 실패되는 경우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전원 공급부(220)를 제어하여 배터리부(230)로의 충전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고(S511), 배터리부(230) 불량에 대한 경보를 발생하여(S512) 배터리부(230) 불량으로 인한 폭발 등의 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배터리부(230)와의 통신이 성공하는 경우(S504)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배터리부(230)의 현재 충전 전압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배터리부(230)의 현재 전압이 안전 기준 전압보다 낮은지 여부를 검사한다(S505).
이때, 배터리부(230)의 현재 충전 전압이 안전 기준 전압보다 낮은 경우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전원 공급부(220)를 제어하여 배터리부(230)의 충전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S511, S512).
그러나, 배터리부(230)의 현재 충전 전압이 안전 기준 전압과 같거나 높은 경우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전원 공급부(220)를 제어하여 배터리부(230)로 충전이 수행되도록 한다(S506).
이어,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위와 같은 배터리부(230)로의 충전 동작 중에 다시 한번 배터리부(230)와 통신을 시도한다(S507). 이때,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이전 통신 시도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배터리부(230)의 통신부(232)와 1분간 또는 최대 10회까지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위와 같은 통신 시도를 통해 배터리부(230)와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여부를 검사하여 배터리부(230)의 불량 여부를 검사한다(S508).
이때 만일, 배터리부(230)와의 통신이 실패되는 경우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전원 공급부(220)를 제어하여 배터리부(230)로의 충전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고(S511), 배터리부(230) 불량에 대한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한다(S512).
그러나, 배터리부(230)와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214)는 전원 공급부(220)를 제어하여 배터리부(230)의 충전 상태에 따른 충전 또는 차단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배터리부(230)와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검사된 경우, 전원 공급부(220)는 충전부(224)를 제어하여 배터리부(230)의 충전 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른 배터리부(230)의 충전 전압을 감지하여 배터리부(230)의 현재 충전 전압이 기설정된 충전 차단 기준 전압과 같거나 높은지를 검사한다(S509).
이때 만일, 배터리부(230)의 현재 충전 전압이 기설정된 충전 차단 기준 전압보다 낮은 경우 전원 공급부(220)는 충전부(224)를 제어하여 배터리부(230)로 충전이 계속 수행되도록 한다.
그러나, 배터리부(230)의 현재 충전 전압이 기설정된 충전 차단 기준 전압과 같거나 높은 경우 전원 공급부(220)는 충전부(224)를 제어하여 배터리부(230)로의 충전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S510).
상기한 바와 같이,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정전 전원장치를 구성하는 정류기와 배터리를 통신 시스템에 내장하여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고, 배터리의 충전 기능과 통신 시스템으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AC 전원의 DC 전원 변환과 AC 전원의 불안정이나 정전 시 배터리를 이용한 전원 공급 수행 등 무정전 전원장치에 대한 감시와 제어를 구현함으로써, 정류기와 배터리를 통신 시스템과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보다 현장의 설치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통신 시스템의 설치를 위한 랙상 거치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랙을 설치할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일체화에 따라 소형화된 통신 시스템을 테이블이나 벽걸이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정전 전원장치를 구성하는 정류기와 배터리를 통신 시스템에 내장하여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고, 배터리의 충전 기능과 통신 시스템으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AC 전원의 DC 전원 변환과 AC 전원의 불안정이나 정전 시 배터리를 이용한 전원 공급 수행 등 무정전 전원장치에 대한 감시와 제어를 구현함으로써, 정류기와 배터리를 통신 시스템과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보다 현장의 설치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통신 시스템의 설치를 위한 랙상 거치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랙을 설치할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일체화에 따라 소형화된 통신 시스템을 테이블이나 벽걸이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210 : 통신 기기 212 : 통신 모듈
214 :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 220 : 전원 공급부
222 : 전원 제어부 224 : 충전부
226 : AC-DC 변환부 230 : 배터리부
232 : 통신부 234 : 제어부
236 : 보호회로부 238 : 배터리 셀
240 : 출력제어부

Claims (12)

  1. 통신기기와,
    외부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제1 동작 전원을 상기 통신기기로 제공하거나 상기 외부 전원 공급원의 불안정 시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부로부터의 제2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통신기기로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제어에 따라 충전을 수행하며 상기 외부 전원 공급원의 불안정 시 상기 전원 공급부로 상기 제2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배터리부
    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과,
    상기 배터리부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현재 전압을 확인하여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 수행 여부를 제어하는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현재 전압을 확인하고, 상기 현재 전압을 안전 기준 전압과 비교한 후,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안전 기준 전압과 같거나 높은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 또는 충전차단이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안전 기준 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통신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현재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 또는 차단을 수행하는 충전부와,
    상기 외부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입력되는 AC 전원을 DC(direct current)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AC-DC 변환부와,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시키며, 상기 AC-DC 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DC 전원을 상기 제1 동작 전원으로 상기 통신기기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상기 제2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통신기기에게 제공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현재 전압을 확인하고, 상기 현재 전압을 안전 기준 전압, 충전 시작 기준 전압 또는 충전 차단 기준 전압과 비교한 후,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안전 기준 전압보다 높고 상기 충전 시작 기준 전압 보다 낮은 경우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안전 기준 전압보다 낮거나 또는 상기 충전 차단 기준 전압과 같거나 높은 경우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배터리셀과,
    상기 통신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배터리셀의 충전 상태를 감시하여 과충전 또는 과방전을 방지시키는 보호회로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기기로 상기 배터리셀의 상태 정보 또는 제조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셀은,
    리튬 이온 또는 리튬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와 전원 공급부 및 배터리부는,
    서로 다른 형태의 실장 공간으로 설계된 동일 평면상 프레임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통신기기와 커넥터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배터리부의 실장 여부에 대한 접점신호를 상기 통신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기설정된 포트가 상기 커넥터상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동작과 관계없이 상기 배터리부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는 별도의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11. 배터리부에 충전된 현재 전압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전압을 안전 기준 전압, 충전 시작 기준 전압 또는 충전 차단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안전 기준 전압보다 높고, 상기 충전 시작 기준 전압 보다 낮은 경우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안전 기준 전압보다 낮거나 또는 상기 충전 차단 기준 전압과 같거나 높은 경우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을 차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12. 배터리부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현재 전압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의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이 성공하는 경우 상기 현재 전압을 안전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안전 기준 전압 보다 높은 경우 기설정된 충전조건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 또는 충전차단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이 실패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안전 기준 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배터리부에 대한 충전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0130043775A 2013-04-19 2013-04-19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및 동작방법 KR101753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775A KR101753091B1 (ko) 2013-04-19 2013-04-19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및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775A KR101753091B1 (ko) 2013-04-19 2013-04-19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및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663A true KR20140125663A (ko) 2014-10-29
KR101753091B1 KR101753091B1 (ko) 2017-07-19

Family

ID=5199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775A KR101753091B1 (ko) 2013-04-19 2013-04-19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및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0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2923A (zh) * 2017-01-06 2017-03-22 常熟开关制造有限公司(原常熟开关厂) 交直流通用型电源转换开关的控制方法及装置
KR20190103616A (ko) * 2018-02-28 2019-09-05 비콘시스템 주식회사 재충전 건전지 통합형 비콘 장치
KR20210019754A (ko) * 2019-08-13 2021-02-23 주식회사 동아일렉콤 랙에 정류기 모듈을 실장하는 방법 및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1627A (ja) * 2000-09-20 2002-03-29 Toshiba Battery Co Ltd 電子機器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2923A (zh) * 2017-01-06 2017-03-22 常熟开关制造有限公司(原常熟开关厂) 交直流通用型电源转换开关的控制方法及装置
CN106532923B (zh) * 2017-01-06 2019-10-29 常熟开关制造有限公司(原常熟开关厂) 交直流通用型电源转换开关的控制方法及装置
KR20190103616A (ko) * 2018-02-28 2019-09-05 비콘시스템 주식회사 재충전 건전지 통합형 비콘 장치
KR20210019754A (ko) * 2019-08-13 2021-02-23 주식회사 동아일렉콤 랙에 정류기 모듈을 실장하는 방법 및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091B1 (ko)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5122B1 (ko) 배터리 시스템
KR101413251B1 (ko) 2차 전지 관리 장치
US9300016B2 (en) Battery system and energy storage system
US9843222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for preventing charging of batteri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KR20150033188A (ko) 배터리 시스템, 배터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US9331494B2 (en) Battery system
CN109245283B (zh) 备用电池监控系统及不间断供电智能切换及监控系统
KR20100131342A (ko)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를 이용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
KR101753091B1 (ko)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및 동작방법
US20160172902A1 (en) Portable Switching Power Supply With Attachable Battery Pack and Enclosure
JP2007166747A (ja) 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充電方法
CN110875622B (zh) 恢复深度放电的电池模块的方法及所属的不间断供电系统
CN205610335U (zh) 具有提醒功能的不间断电源系统
KR20180049545A (ko) 멀티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팩과 배터리팩 확장성을 고려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EP3928409B1 (en) Reverse polarity protected battery module
KR20190093405A (ko) 리튬 이온 배터리 호환 배터리 컨트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49543A (ko) 배터리팩 확장성을 고려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TWM604513U (zh) 具備三組電源系統的直流電源供應器
KR101358765B1 (ko) 2차 전지 관리 장치
JP2015231316A (ja) 蓄電システム
CN220896363U (zh) 配电设备及配电系统
KR102281314B1 (ko) 배터리 충전 장치
CN109586395B (zh) 不间断供电智能切换及监控方法
KR101785592B1 (ko) 축전지 보호 기능을 가지는 충전기
KR101815230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