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754A - 랙에 정류기 모듈을 실장하는 방법 및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 Google Patents

랙에 정류기 모듈을 실장하는 방법 및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754A
KR20210019754A KR1020190098765A KR20190098765A KR20210019754A KR 20210019754 A KR20210019754 A KR 20210019754A KR 1020190098765 A KR1020190098765 A KR 1020190098765A KR 20190098765 A KR20190098765 A KR 20190098765A KR 20210019754 A KR20210019754 A KR 20210019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ack
handle
rectifier modul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0970B1 (ko
Inventor
박귀철
김홍중
김종혁
유경호
조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일렉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일렉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일렉콤
Priority to KR1020190098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9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32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92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having electrical distribution arrangements, e.g. power supply or data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원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은,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대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을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본체로서, 상기 랙에 실장될 때, 상기 제 2 면 및 상기 측면이 상기 랙의 내면과 인접하는 본체,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단자,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상기 제 1 거리보다 더 짧은 제 2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 단자,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 캐패시터, 및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핸들로서, 상기 제 1 면에 부착되는 고정면을 가지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면의 방향과 수직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그립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그립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그립부 및 상기 돌출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의 방향으로 휘어진 반원호 형태의 고리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이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면을 향하는 방향인 상태인 제 1 모드 및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그립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고리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이 상기 제 1 면의 중심부로부터 외곽을 향하는 방향인 상태인 제 2 모드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 및 상기 고정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과 인접한 상기 랙의 적어도 일부의 외면과 접촉할 때 상기 제 1 단자가 상기 제 2 면에 대향하여 상기 랙에 형성된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단자가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지 않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2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고리부의 단부 및 상기 고정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고리부의 단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과 인접한 상기 랙의 적어도 일부의 내면과 접촉할 때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가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출력 캐패시터는 상기 제 1 단자가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것에 기초하여 충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을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랙에 정류기 모듈을 실장하는 방법 및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METHOD OF MOUNTING A RECTIFIER MODULE IN A RACK AND THE RECTIFIER MODULE MOUNTED IN THE RACK}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랙에 정류기 모듈을 실장하는 방법 및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에 대한 기술과 관련된다.
정류기는 교류를 직류로 바꾸어 직류 전력을 출력시키기 위한 전기적 장치다. 정류기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단방향성을 갖게 하며, 커패시터 평활 회로를 이용하여 직류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정류기는 정규 극성 파형에 따라 반파 정류기 또는 전파 정류기로 분류될 수 있으며, 도통 제어 방식에 따라 다이오드 정류기 또는 위상제어 정류기로 분류될 수 있다.
정류기는 모듈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정류기 모듈은 하나의 랙(rack)(또는 프레임(frame))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정류기 모듈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복수 배의 전류를 출력시킴으로써, 정류된 전류의 세기를 보다 다양화할 수 있고, 정류된 전류를 보다 다양한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복수의 정류기 모듈이 하나의 랙에 실장된 장치는 정류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정류기 모듈의 실장은 정류기 모듈이 랙 내부로 밀어 넣어지면서 정류기 모듈에 형성되어 있는(일반적으로 정류기 모듈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있는) 출력 단자가 랙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류기 모듈의 출력 단자는 양의 단자 및 음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 단자들 사이에는 평활 회로의 일부로써 출력 캐패시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출력 캐패시터는 실장되기 전에는 충전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을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의 랙에 하나 이상의 정류기 모듈을 실장하는 경우, 정류기 모듈은 하나씩 순차적으로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정류기 모듈을 실장하려는 경우, 랙에는 이미 실장되어 있는 정류기 모듈이 존재할 수 있다. 랙에 이미 실장되어 있는 정류기 모듈은 출력 단자를 통해 랙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정류기 모듈의 출력 단자들이 랙의 단자 접속부에 접속하는 경우 출력 캐패시터는 전혀 충전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단락된 회로와 등가일 수 있다. 출력 캐패시터가 단락된 회로인 것처럼 동작하게 되면, 이미 랙에 실장되어 있던 다른 정류기 모듈의 출력 전류가 당해 실장하려는 정류기 모듈로 흘러 들어올 수 있으며, 이러한 전류의 비정상적 흐름은, 이미 실장된 정류기 모듈 또는 당해 실장하려는 정류기 모듈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정류기 모듈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의 동작을 이용하여 해결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은,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대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을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본체로서, 상기 랙에 실장될 때, 상기 제 2 면 및 상기 측면이 상기 랙의 내면과 인접하는 본체,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단자,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상기 제 1 거리보다 더 짧은 제 2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 단자,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 캐패시터, 및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핸들로서, 상기 제 1 면에 부착되는 고정면을 가지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면의 방향과 수직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그립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그립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그립부 및 상기 돌출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의 방향으로 휘어진 반원호 형태의 고리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이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면을 향하는 방향인 상태인 제 1 모드 및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그립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고리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이 상기 제 1 면의 중심부로부터 외곽을 향하는 방향인 상태인 제 2 모드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 및 상기 고정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과 인접한 상기 랙의 적어도 일부의 외면과 접촉할 때 상기 제 1 단자가 상기 제 2 면에 대향하여 상기 랙에 형성된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단자가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지 않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2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고리부의 단부 및 상기 고정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고리부의 단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과 인접한 상기 랙의 적어도 일부의 내면과 접촉할 때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가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출력 캐패시터는 상기 제 1 단자가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것에 기초하여 충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단자는 그라운드(ground) 단자 및 프리 차징(free charging)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캐패시터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프리 차징 단자가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그라운드 단자, 상기 출력 캐패시터, 제 1 저항, 및 상기 프리 차징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적 경로를 통해 충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출력 캐패시터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 상기 프리 차징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가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적 경로를 통한 충전이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출력 캐패시터는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노드 및 상기 그라운드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저항은 상기 제 1 노드 및 상기 프리 차징 단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 및 상기 고정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거리 및 상기 제 2 거리의 차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는 충격 방지용 패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랙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단부가 상기 측면과 평행한 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면과 평행하도록 굽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의 상태가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2 모드로 변경될 때, 상기 그립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면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핸들 및 상기 제 2 핸들은 상기 제 1 면의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류기 모듈을 랙에 실장하는 방법은, 상기 정류기 모듈로서,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대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을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본체로서, 상기 랙에 실장될 때, 상기 제 2 면 및 상기 측면이 상기 랙의 내면과 인접하는 본체,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단자,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상기 제 1 거리보다 더 짧은 제 2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 단자,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 캐패시터, 및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핸들로서, 상기 제 1 면에 부착되는 고정면을 가지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면의 방향과 수직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그립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그립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그립부 및 상기 돌출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의 방향으로 휘어진 반원호 형태의 고리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이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면을 향하는 방향인 상태인 제 1 모드 및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그립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고리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이 상기 제 1 면의 중심부로부터 외곽을 향하는 방향인 상태인 제 2 모드를 가지는 상기 정류기 모듈에 대하여,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면에 대향하여 상기 랙에 형성되는 단자 접속부에 상기 제 1 단자가 접속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의 모드가 상기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랙의 적어도 일부의 외면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제 1 단자를 적어도 포함하는 전기적 경로를 통해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출력 캐패시터를 충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상기 단자 접속부에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가 접속되도록, 상기 돌출부가 상기 랙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상기 외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의 모드를 상기 제 2 모드로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고리부의 단부를 상기 랙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내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 및 프리 차징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캐패시터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프리 차징 단자가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그라운드 단자, 상기 출력 캐패시터, 제 1 저항, 및 상기 프리 차징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적 경로를 통해 충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출력 캐패시터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 상기 프리 차징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가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적 경로를 통한 충전이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출력 캐패시터는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노드 및 상기 그라운드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저항은 상기 제 1 노드 및 상기 프리 차징 단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 및 상기 고정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거리 및 상기 제 2 거리의 차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는 충격 방지용 패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랙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단부가 상기 측면과 평행한 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면과 평행하도록 굽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의 상태가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2 모드로 변경될 때, 상기 그립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면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핸들 및 상기 제 2 핸들은 상기 제 1 면의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정류기 모듈을 랙에 실장시킬 때 발생할 수 있는 전류의 비정상적 흐름으로 인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원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정류기 모듈을 랙에 실장시키는 자연스러운 동작 이외의 별도의 추가적인 동작없이 달성할 수 있다.
이 외에, 본원을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정류기 모듈을 포함하는 정류 시스템 및 정류기 모듈을 나타낸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류기 모듈로서,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1 모드의 상태에서, 단자 접속부에 제 1 단자가 접속되는 정류기 모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류기 모듈의 단자부로서,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1 모드인 상태의 단자부를 나타낸다.
도 2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류기 모듈의 핸들로서, 단자 접속부에 제 1 단자가 접속되는 상태에서 제 1 모드의 상태인 핸들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류기 모듈로서,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2 모드의 상태에서, 단자 접속부에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가 접속되는 정류기 모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류기 모듈의 단자부로서,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2 모드인 상태의 단자부를 나타낸다.
도 3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류기 모듈의 핸들로서, 단자 접속부에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가 접속되는 상태에서 제 2 모드의 상태인 핸들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 에에 따른 정류기 모듈의 출력단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의 제 1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의 제 2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의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랙에 정류기 모듈을 실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전기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설계된",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또는 "~를 할 수 있는"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정류기 모듈을 포함하는 정류 시스템 및 정류기 모듈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류 시스템(100)의 사시도 및 정류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정류기 모듈(140)의 사시도(A-1)가 도시된다. 정류기 모듈(140)의 사시도(A-1)는 정류 시스템(100)의 사시도의 A 부분에 포함되는 정류기 모듈(140)을 별도로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정류 시스템(100)은 랙(110), 전원 모듈(120), 제어 모듈(130), 및 복수의 정류기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정류 시스템(100)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정류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정류 시스템(100)은 교류를 직류로 변경하고, 지정된 세기의 전류 또는 전압을 출력시키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정류 시스템(100)은 정류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정류기 모듈(140) 각각의 출력 및 정류기 모듈(140)의 개수에 기초하여 지정된 세기의 전류 또는 전압을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기 모듈(140)의 출력 전류의 세기가 100A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기 모듈(140) 10개를 포함하는 정류 시스템(100)은, 최대 1000A의 전류를 출력시킬 수 있다.
랙(110)은 정류 시스템(100)의 외형을 유지시키고, 정류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모듈들을 실장시키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랙(110)은 프레임(frame) 또는 하우징(housing)으로 지칭되거나 이해될 수 있다.
전원 모듈(120)은 정류 시스템(1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 모듈(120)은 전원 스위치를 통해 정류 시스템(100)의 제어 모듈(130) 및 복수의 정류기 모듈(140)이 동작할 수 있도록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정류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류기 모듈(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모듈(130)은 복수의 정류기 모듈(140)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여 지정된 세기의 전류 또는 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 모듈(130)은 정류 시스템(100)이 출력하는 전류 또는 전압의 세기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복수의 정류기 모듈(140)은 전원 모듈(120)을 통해 입력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경하고 지정된 세기의 직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서 복수의 정류기 모듈(140)의 개수는 10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정류기 모듈(140)은 서로 동일한 제원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로 상이한 제원을 가지는 복수의 정류기 모듈(140)이 정류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류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제 1 정류기 모듈(140)은 최대 출력이 100A이고 제 2 정류기 모듈(140)은 최대 출력이 50A일 수도 있다.
정류기 모듈(140)의 사시도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정류기 모듈(140)은 직육면체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정류기 모듈(140)의 형태가 직육면체의 형태인 것으로 설명될 수 있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정류기 모듈(14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의 정류기 모듈(140)에 대해서도 본 명세서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정류기 모듈(140)은 본체로서, 제 1 면(11), 제 1 면(11)에 대향하는 제 2 면(12), 및 제 1 면(11)과 제 2 면(12)을 둘러싸는 측면(13)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면(11)은 정류기 모듈(140)의 전면으로 지칭되고 이해될 수 있으며, 제 2 면(12)은 정류기 모듈(140)의 후면으로 지칭되고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류기 모듈(140)이 랙(110)에 실장되는 방향은 제 1 면(11)으로부터 제 2 면(12)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정류기 모듈(140)이 랙(11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은 제 2 면(12)으로부터 제 1 면(11)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정류기 모듈(140)의 제 1 면(11)에는 정류기 모듈(140)의 운반 또는 정류기 모듈(140)의 실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류기 모듈(140)의 제 2 면(12)에는 정류기 모듈(140)의 실장 시, 랙(110)의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서 설명된 구성들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에서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류기 모듈로서,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1 모드의 상태에서, 단자 접속부에 제 1 단자가 접속되는 정류기 모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정류기 모듈(200)은 본체(210), 출력 단자들(220), 적어도 하나의 핸들(230, 230-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정류기 모듈(200)은 상기 구성들 외에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성들 중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류기 모듈(200)은 도 2a에 도시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핸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도 2a에 도시된 핸들(230, 230-1)들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할 수도 있다. 정류기 모듈(200)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설명된 정류기 모듈(120)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체(210)는 제 1 면(11), 제 1 면(11)과 대향하는 제 2 면(12), 및 제 1 면(11)과 제 2 면(12)을 둘러싸는 측면(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210)의 제 1 면(11)에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230, 230-1)이 부착될 수 있고, 본체(210)의 제 2 면(12)에는 출력 단자들(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210)의 측면(13)은 랙(110)의 적어도 일부분들(111, 112, 113, 114)과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서 정류기 모듈(200)은 랙(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체(210)의 측면(13)은 랙(110)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분들(111, 112, 113, 114)과 맞닿은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210)의 제 2 면(12)도 랙(110)의 적어도 일부분들과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10)의 제 2 면(12)은 단자 접속부(115)가 형성되는 랙(110)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와 맞닿은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 단자들(220)은 그라운드 단자(221), 프리 차징 단자(222), 및 음의 출력 단자(2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 단자(221)는 음의 출력 단자(223)에 대응하는 의미로서 양의 출력 단자(221)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그라운드 단자(221) 및 프리 차징 단자(222)는 본체(210)의 제 2 면(12)으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자로서, 제 1 단자(221, 222)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의 출력 단자(223)는 본체(210)의 제 2 면(12)으로부터 제 2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자로서, 제 2 단자(223)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거리는 상기 제 2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 단자들(220)은 랙(110)의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되거나 또는 접촉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서 출력 단자들(220) 중 적어도 일부, 예컨대, 제 1 단자(221, 222)는 랙(110)의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된 상태일 수 있고, 출력 단자들(220) 중 나머지 일부, 예컨대, 제 2 단자(223)는 단자 접속부(115)에 접촉한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2a에서 출력 단자들(220) 전부는 랙(110)의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되지는 않고 접촉한 상태일 수 있다. 예컨대, 도 2a에서 정류기 모듈(200)이 랙(110)의 내부로 충분히 깊숙하게 밀어 넣어지지 않은 경우, 출력 단자들(220) 전부는 랙(110)의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되지는 않고 접촉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랙(110)의 단자 접속부(115)는, 도 2a에서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210)의 제 2 면(12)과 대향하는 랙(110)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랙(110)의 단자 접속부(115)는 제 1 단자 접속부(115-1), 제 2 단자 접속부(115-2), 제 3 단자 접속부(1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자 접속부(115-1)는 정류기 모듈(200)의 그라운드 단자(221)의 접속을 위한 단자 접속부일 수 있고, 제 2 단자 접속부(115-2)는 정류기 모듈(200)의 프리 차징 단자(222)의 접속을 위한 단자 접속부일 수 있으며, 제 3 단자 접속부(115-3)는 정류기 모듈(200)의 음의 출력 단자(223)의 접속을 위한 단자 접속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핸들(230, 230-1)은 정류기 모듈(200)의 제 1 면(11)에 부착될 수 있고, 제 1 핸들(230) 및 제 2 핸들(230-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핸들(230, 230-1)의 위치 또는 개수는 도 2a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적어도 하나의 핸들(230, 230-1)의 위치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상이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핸들(230, 230-1)의 개수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상이하게 하나 또는 셋 이상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핸들(230) 및 제 2 핸들(230-1)은 제 1 면(11)의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핸들(230) 및 제 2 핸들(230-1)은 각각 제 1 면(1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 1 핸들(230) 및 제 2 핸들(230-1)은 각각 제 1 면(11)을 바라볼 때, 제 1 면(11)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a의 설명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핸들(230)은 정류기 모듈(200)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제 2 핸들(230-1)은 정류기 모듈(20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전제한다. 또한, 이하에서 적어도 하나의 핸들(230, 230-1)에 대해서는 제 1 핸들(230)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제 1 핸들(230)에 대한 설명은 제 2 핸들(230-1)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핸들(230)은 회전 가능한 핸들로서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핸들(230)이, 정류기 모듈(200)의 측면(13)을 바라볼 때, 정류기 모듈(200)로부터 제 1 면(11)의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 1 핸들(230)을 이용하여, 정류기 모듈(200)을 제 1 면(11)으로부터 제 2 면(1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 2 면(12)으로부터 제 1 면(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 1 핸들(230)을 이용하여, 정류기 모듈(200)을 랙(110) 내부로 밀어 넣거나 또는 랙(110) 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모드는, 도 3a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 1 핸들(230)이 상기 제 1 모드로부터 지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2a에서 설명된 구성들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2a에서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류기 모듈의 단자부로서,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1 모드인 상태의 단자부를 나타낸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B1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자부는 출력 단자로서 그라운드 단자(221), 프리 차징 단자(222), 및 음의 출력 단자(2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 단자(221) 및 프리 차징 단자(222)는 제 1 단자(221, 222)로 지칭될 수 있고, 음의 출력 단자(223)는 제 2 단자(223)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단자(221, 222)는 본체(210)의 제 2 면(12)으로부터 제 1 거리(21, 22)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 2 단자(223)는 본체(210)의 제 2 면(12)으로부터 제 1 거리(21, 22)보다 짧은 제 2 거리(23)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단자 접속부(115)는 랙(110)의 내면으로부터 모두 동일한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자 접속부(115)는 제 1 단자(221, 222) 또는 제 2 단자(223)가 접속하기 위한 최소 접촉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자 접속부(115)는 제 1 단자(221, 222) 또는 제 2 단자(223)가 상기 최소 접촉 거리 이상 깊숙하게 접촉되어야만 제 1 단자(221, 222) 또는 제 2 단자(223)가 접속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210)의 제 2 면(12)과 랙(110)의 내면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범위, 예컨대, 제 1 범위에 있는 동안, 제 1 단자(221, 222) 및 제 2 단자(223)는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본체(210)의 제 2 면(12)과 랙(110)의 내면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범위, 예컨대, 제 2 범위에 있는 동안, 제 1 단자(221, 222)는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되고 제 2 단자(223)는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본체(210)의 제 2 면(12)과 랙(110)의 내면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범위, 예컨대, 제 3 범위에 있는 동안, 제 1 단자(221, 222) 및 제 2 단자(223)는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 1 범위에 속하는 거리는 상기 제 2 범위에 속하는 거리보다 길 수 있고, 상기 제 2 범위에 속하는 거리는 상기 제 3 범위에 속하는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핸들(230, 230-1)이 제 1 모드의 상태인 경우에는, 본체(210)의 제 2 면(12)과 랙(110)의 내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 2 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핸들(230, 230-1)이 제 1 모드의 상태인 경우에는, 제 1 단자(221, 222)는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되고 제 2 단자(223)는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단자(221)가 본체(210)의 제 2 면(12)으로부터 돌출된 거리(21) 및 프리 차징 단자(222)가 본체(210)의 제 2 면(12)으로부터 돌출된 거리(22)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라운드 단자(221)가 본체(210)의 제 2 면(12)으로부터 돌출된 거리(21) 및 프리 차징 단자(222)가 본체(210)의 제 2 면(12)으로부터 돌출된 거리(22)는 적어도 제 2 단자(223)가 본체(210)의 제 2 면(12)으로부터 돌출된 거리(23)보다는 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그라운드 단자(221), 프리 차징 단자(222), 및 제 2 단자(223)가 제 2 면(12)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21, 22, 23)는 적어도 상기 제 2 범위가 존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2b에서 설명된 구성들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2b에서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류기 모듈의 핸들로서, 단자 접속부에 제 1 단자가 접속되는 상태에서 제 1 모드의 상태인 핸들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B2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핸들(230)은 고정부(231), 회전축(232), 그립부(233), 돌출부(234), 및 고리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핸들(230)의 형태는 도 2c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핸들(230)은 상기 구성들 외에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고정부(231)는 핸들(230)이 본체(2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본체(210)의 제 1 면(11)에 부착되는 고정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면에는 본체(210)와 결합을 위한 나사 등을 위해 고정용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231)는 회전축(232)이 정해진 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232)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회전축(232)은 고정부(231)에 결합되고 고정부(231)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축(232)은 회전함으로써 회전축(232)에 결합된 다른 구성, 예컨대, 그립부(233), 돌출부(234), 또는 고리부(23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축(232)은 본체(210)의 제 1 면(11)의 방향과 수직한 상태로 고정부(23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c에서 제 1 면(11)의 방향은 -Y축 방향이므로, 회전축(232)의 방향은 X축 방향으로서, -Y축 방향과 수직인 X-Z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 1 면(11)의 방향은 -Y축이고, 이때 회전축(232)의 방향은 Z축 방향일 수도 있다.
그립부(233)는 회전축(232)에 결합됨으로써 회전축(232)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그립부(233)는 사용자가 정류기 모듈(200)의 운반, 실장, 분리를 하는 경우 손으로 직접 잡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그립부(233)는, 핸들(230)이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본체(210)의 제 1 면(11)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
돌출부(234)는 회전축(232)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회전축(232)으로부터 그립부(233)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돌출부(234)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32)으로부터 그립부(233)의 방향인 -Y축 방향의 반대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고리부(235)는 회전축(232)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회전축(232)으로부터 그립부(233) 및 돌출부(234)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돌출부(234)의 방향으로 휘어진 반원호 형태의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리부(235)는 회전축(232)으로부터 그립부(233) 및 돌출부(234)에 수직한,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돌출부(234)의 방향으로 휘어진 반원호 형태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230)은 회전된 상태에 따라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핸들(230)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34)가 돌출된 방향이 본체(210)의 제 1 면(11)으로부터 제 2 면(12)을 향하는 방향인 제 1 모드의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핸들(230)이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정류기 모듈(200)은 랙(110)의 내부로 밀어 넣어질 수 있고, 돌출부(234)는 랙(110)의 적어도 일부(111)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다. 랙(110)의 상기 적어도 일부(111)는 본체(210)의 측면(13)과 인접한 부분으로서, 단부가 본체(210)의 측면(13)과 평행한 면으로부터 본체(210)의 제 1 면(11)과 평행하도록 굽어진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랙(110)의 상기 적어도 일부(111)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또는 ㄱ자) 형태로 굽어진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부(234)가 랙(110)의 상기 적어도 일부(111)의 외면과 접촉하면, 정류기 모듈(200)은 랙(110)의 내부로 지정된 깊이 이상 들어가지 못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핸들(230)이 제 1 모드인 상태에서는, 정류기 모듈(200)의 후면부(본체(210)의 제 2 면(12))에 형성되는 출력 단자들(도 2b의 출력 단자들(220)) 중 적어도 일부는 랙(110)의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들(230)이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정류기 모듈(200)이 랙(110)의 내부로 밀어 넣어지면, 돌출부(234)는 랙(110)의 상기 적어도 일부(111)의 외면과 접촉하고, 정류기 모듈(200)의 제 1 단자(221, 222)는 랙(110)에 형성된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되고 정류기 모듈(200)의 제 2 단자(223)는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되지 않을 수 있다.
핸들(230)이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정류기 모듈(200)이 랙(110)에 실장될 때, 제 1 단자(221, 222)는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되고 제 2 단자(223)는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되지 않는 이유는, 제 1 단자(221, 222)가 본체(210)의 제 2 면(12)으로부터 돌출된 제 1 거리(21, 22), 제 2 단자(223)가 본체(210)의 제 2 면(12)으로부터 돌출된 제 2 거리(23), 및 돌출부(234)의 단부 및 고정면 사이의 거리(24)가 일정한 관계에 있기 때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들(230)이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돌출부(234)의 단부 및 고정면 사이의 거리(24)는, 제 1 단자(221, 222)는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하고, 제 2 단자(223)는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하지 않도록, 제 1 거리(21, 22) 및 제 2 거리(23)의 차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2c에서 설명된 구성들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2c에서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류기 모듈로서,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2 모드의 상태에서, 단자 접속부에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가 접속되는 정류기 모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정류기 모듈(200)은 본체(210), 출력 단자들(220), 적어도 하나의 핸들(230, 23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의 설명에 있어서, 도 2a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있어서, 정류기 모듈(200)의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2a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a에 도시된 출력 단자들(220)은 랙(110)의 단자 접속부(115)에 모두 접속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상태,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핸들(230, 230-1)이 제 2 모드인 상태에서는 제 1 단자(221, 222) 및 제 2 단자(223)는 모두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핸들(230)은 회전 가능한 핸들로서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도 2a에서와 달리, 도 3a에서, 핸들(230)은 제 2 모드인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 2 모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핸들(230)이, 앞서 도 2a에 도시된 제 1 모드의 상태에서 회전됨으로써, 정류기 모듈(200)의 측면(13)을 바라볼 때, 제 1 면(11)과 평행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류기 모듈(200)은 랙(110)에 실장이 완료된 상태일 수 있고, 제 1 핸들(230)은 본체(210)의 제 1 면(11)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핸들(230, 230-1)의 상태가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변경될 때, 그립부(233)는 회전축(232)을 중심으로 본체(210)의 제 1 면(1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핸들(230)은 도 3a에서 상부를 향해 회전될 수 있고, 제 2 핸들(230)은 도 3a에서 하부를 향해 회전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3a에서 설명된 구성들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3a에서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류기 모듈의 단자부로서,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2 모드인 상태의 단자부를 나타낸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C1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단자부는 출력 단자로서 그라운드 단자(221), 프리 차징 단자(222), 및 음의 출력 단자(2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의 설명에 있어서, 도 2b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핸들(230, 230-1)이 제 2 모드의 상태인 경우에는, 본체(210)의 제 2 면(12)과 랙(110)의 내면 사이의 거리가, 앞서 도 2b에서 설명한 제 3 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핸들(230, 230-1)이 제 2 모드의 상태인 경우에는, 제 1 단자(221, 222) 및 제 2 단자(223)는 모두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된 상태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3b에서 설명된 구성들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3b에서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류기 모듈의 핸들로서, 단자 접속부에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가 접속되는 상태에서 제 2 모드의 상태인 핸들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C2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핸들(230)은 고정부(231), 회전축(232), 그립부(233), 돌출부(234), 및 고리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c의 설명에 있어서, 도 2c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핸들(230)이 제 2 모드일 때, 그립부(233)는 회전축(232)으로부터 제 1 면(11)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 예컨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Z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부(234)는 그립부(233)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32)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230)은 회전된 상태에 따라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핸들(230)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34)가 돌출된 방향이 본체(210)의 제 1 면(11)의 중심부로부터 외곽을 향하는 방향인 제 2 모드의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핸들(230)의 상태 변경은 앞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34)가 랙(110)의 적어도 일부(111)의 외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핸들(230)이 회전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핸들(230)이 회전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부(235)의 단부는 랙(110)의 상기 적어도 일부(111)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리부(235)의 단부가 랙(110)의 상기 적어도 일부(111)의 내면에 접촉하면, 정류기 모듈(200)은 랙(110)에 실장이 완료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류기 모듈(200)의 후면부(본체(210)의 제 2 면(12))에 형성되는 출력 단자들(도 3b의 출력 단자들(220))은 모두 랙(110)의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될 수 있다. 즉, 정류기 모듈(200)의 제 1 단자(221, 222) 및 제 2 단자(223)는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리부(235)의 단부 및 고정면 사이의 거리(25)는, 고리부(235)의 단부가 랙(110)의 상기 적어도 일부(111)의 내면과 접촉할 때 제 1 단자(221, 222) 및 제 2 단자(223)가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230)이 제 2 모드인 상태에서, 제 1 단자(221, 222) 및 제 2 단자(223)가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될 수 있는 이유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230, 230-1)이 제 2 모드인 상태에서 고리부(235)의 단부 및 고정면 사이의 거리(25)가, 지정된 거리보다 짧게 설정되기 때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거리는 제 1 단자(221, 222) 및 제 2 단자(223)가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최소 거리일 수 있다. 고리부(235)의 단부 및 고정면 사이의 거리(25)가 짧을수록 정류기 모듈(200)은 랙(110)의 내부로 깊숙히 밀려넣어질 수 있고, 제 1 단자(221, 222) 및 제 2 단자(223)는 단자 접속부(115)에 깊숙히 접촉함으로써 최소 접속 거리 이상 접촉되어 접속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3c에서 설명된 구성들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3c에서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에에 따른 정류기 모듈의 출력단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류기 모듈(예: 도 2a의 정류기 모듈(200))의 출력단의 등가 회로는 그라운드 단자(421)(예: 도 2a의 그라운드 단자(221)), 프리 차징 단자(422)(예: 도 2a의 프리 차징 단자(222)), 음의 출력 단자(423)(예: 도 2a의 제 2 단자(223)), 출력 캐패시터(410), 및 제 1 저항(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 캐패시터(410)는 그라운드 단자(421), 프리 차징 단자(422), 및 음의 출력 단자(4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 캐패시터(410)는 음의 출력 단자(4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노드(440) 및 그라운드 단자(4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저항(430)은, 제 1 노드(440) 및 프리 차징 단자(422) 사이에 배치되는 저항으로써, 출력 단자들(421, 422, 423) 각각이 단자 접속부(예: 도 2a의 단자 접속부(115))에 접속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출력 캐패시터(410)에 흐르는 전류의 전기적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핸들(예: 도 2의 적어도 하나의 핸들(230, 230-1))의 돌출부가 랙의 적어도 일부의 외면과 접촉하면, 그라운드 단자(421)는 단자 접속부에 접속함으로써 (+)단에 접속될 수 있고, 프리 차징 단자(422)는 단자 접속부에 접속함으로써 (-)단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단 및 (-)단 사이에, 그라운드 단자(421), 출력 캐패시터(410), 제 1 저항(430), 및 프리 차징 단자(422)를 포함하는 전기적 경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기적 경로를 통해 출력 캐패시터(410)는 충전될 수 있다. 음의 출력 단자(423)는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정류기 모듈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류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2 모드인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핸들의 고리부가 랙의 적어도 일부의 내면과 접촉하면, 그라운드 단자(421)는 단자 접속부에 접속함으로써 (+)단에 접속될 수 있고, 프리 차징 단자(422)는 단자 접속부에 접속함으로써 (-)단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음의 출력 단자(423)는 단자 접속부에 접속함으로써 (-)단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류는 제 1 모드에서 형성되었던 상기 전기적 경로로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즉, 제 1 저항(430)의 존재로 인해, 전기적 경로는 (+)단 및 (-)단 사이에, 그라운드 단자(421), 출력 캐패시터(410), 및 음의 출력 단자(423)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캐패시터(410)는 음의 출력 단자(423)가 단자 접속부에 접속됨에 따라, 앞서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형성되었던 전기적 경로를 통한 충전이 중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 캐패시터(410)에 대한 상기 충전이 중단되면, 정류기 모듈은 그라운드 단자(421) 및 음의 출력 단자(423)를 통해 정류된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의 제 1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의 제 2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의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5b, 및 5c를 참조하면, 핸들(230)은 고정부(231), 회전축(232), 그립부(233), 돌출부(234), 및 고리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면, 핸들(230)은 상기 구성들 외에 추가로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핸들(230)은 충격 방지용 패드(236), 고정 나사(237), 고정용 구멍(238), 본체 접촉부(23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충격 방지용 패드(236)는 돌출부(234)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34)의 단부는 정류기 모듈이 랙에 실장되는 때에, 랙의 적어도 일부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으므로, 충격 방지용 패드(236)는 이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충격 방지용 패드(236)를 통해, 실장시 정류기 모듈 또는 핸들(230)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나사(237)는 그립부(233)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나사(237)는 정류기 모듈이 랙에 실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립부(233)를 본체의 제 1 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용 구멍(238)은 핸들(230)을 본체의 제 1 면에 부착하기 위해 나사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 접촉부(239)는 고리부(235)에 결합됨으로써, 핸들(230)이 제 2 모드인 상태에서, 핸들(230)이 본체의 제 1 면에 안정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부(235)의 단부가 랙의 적어도 일부의 내면에 접촉할 때, 본체 접촉부(239)는 본체의 제 1 면에 접촉함으로써, 본체가 랙에 실장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랙에 정류기 모듈을 실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랙에 정류기 모듈을 실장하는 방법은 단계 601 내지 60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앞서 도 1 내지 도 5c에서 설명되는 정류기 모듈(140, 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601에서, 정류기 모듈은 랙에 실장되기 위해, 본체의 제 2 면에 대향하여 랙에 형성되는 단자 접속부에 제 1 단자가 접속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핸들의 모드가 상기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돌출부가 랙의 적어도 일부의 외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단자는 본체의 제 2 면으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돌출된 출력 단자로서, 그라운드 단자 및 프리 차징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가 랙의 적어도 일부의 외면과 접촉함으로써, 정류기 모듈은 일정 이상 랙의 내부로 밀려 넣어지지 못할 수 있고, 제 1 단자만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고 제 2 단자는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603에서, 정류기 모듈은 돌출부가 랙의 적어도 일부의 외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단자 접속부에 접속된 제 1 단자를 적어도 포함하는 전기적 경로를 통해 소정의 시간 동안 출력 캐패시터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 캐패시터는 그라운드 단자 및 프리 차징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적 경로에 의해, 정류기 모듈이 완전히 실장되기 전에 상기 소정의 시간동안 미리 충전될 수 있다.
단계 605에서, 정류기 모듈은 상기 소정의 시간 경과 후, 단자 접속부에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가 접속되도록, 돌출부가 랙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외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핸들의 모드를 제 2 모드로 변경시킴으로써, 고리부의 단부가 랙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리부의 단부가 랙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내면에 접촉되면,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 모두가 단자 접속부에 접속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상기 단계 603에서의 전기적 경로를 통한 출력 캐패시터의 충전은 중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정류기 모듈은 상기 단계 601 내지 605를 통해 랙에 완전히 실장되기 전에 출력 캐패시터를 소정의 시간동안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출력 캐패시터가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류기 모듈은 이미 랙에 실장되어 있던 다른 정류기 모듈로부터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정류기 모듈을 랙에 실장시킬 때 발생할 수 있는 전류의 비정상적 흐름으로 인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원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정류기 모듈의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가 접속되는 것에 있어 시간차를 발생시킴으로 인해, 출력 캐패시터가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차를 발생시키는 것을 정류기 모듈을 랙에 실장시키는 동작 중에 핸들의 모드를 변경시키는 동작에 자연스럽게 연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별도의 추가적인 동작 없이 단순히 정류기 모듈을 랙에 고정시키는 동작 만으로도, 출력 단자가 접속되는 것에 시간차를 발생시킬 수 있고, 출력 캐패시터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함으로써, 전류의 비정상적 흐름으로 인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8)

  1. 랙(rack)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에 있어서,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대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을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본체로서, 상기 랙에 실장될 때, 상기 제 2 면 및 상기 측면이 상기 랙의 내면과 인접하는 본체;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단자;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상기 제 1 거리보다 더 짧은 제 2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 단자;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 캐패시터; 및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핸들로서, 상기 제 1 면에 부착되는 고정면을 가지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면의 방향과 수직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그립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그립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그립부 및 상기 돌출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의 방향으로 휘어진 반원호 형태의 고리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이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면을 향하는 방향인 상태인 제 1 모드 및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그립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고리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이 상기 제 1 면의 중심부로부터 외곽을 향하는 방향인 상태인 제 2 모드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 및 상기 고정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과 인접한 상기 랙의 적어도 일부의 외면과 접촉할 때 상기 제 1 단자가 상기 제 2 면에 대향하여 상기 랙에 형성된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단자가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지 않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2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고리부의 단부 및 상기 고정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고리부의 단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과 인접한 상기 랙의 적어도 일부의 내면과 접촉할 때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가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출력 캐패시터는 상기 제 1 단자가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것에 기초하여 충전되도록 구성된,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는 그라운드(ground) 단자 및 프리 차징(free charging)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캐패시터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프리 차징 단자가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그라운드 단자, 상기 출력 캐패시터, 제 1 저항, 및 상기 프리 차징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적 경로를 통해 충전되도록 구성된,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캐패시터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 상기 프리 차징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가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적 경로를 통한 충전이 중단되도록 구성된,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캐패시터는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노드 및 상기 그라운드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저항은 상기 제 1 노드 및 상기 프리 차징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 및 상기 고정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거리 및 상기 제 2 거리의 차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는 충격 방지용 패드가 형성되는,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단부가 상기 측면과 평행한 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면과 평행하도록 굽어지도록 구성된,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의 상태가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2 모드로 변경될 때, 상기 그립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면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핸들 및 상기 제 2 핸들은 상기 제 1 면의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에 각각 부착되는,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10. 정류기 모듈을 랙(rack)에 실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 모듈은,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대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을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본체로서, 상기 랙에 실장될 때, 상기 제 2 면 및 상기 측면이 상기 랙의 내면과 인접하는 본체;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단자;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상기 제 1 거리보다 더 짧은 제 2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 단자;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 캐패시터; 및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핸들로서, 상기 제 1 면에 부착되는 고정면을 가지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면의 방향과 수직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그립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그립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그립부 및 상기 돌출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의 방향으로 휘어진 반원호 형태의 고리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이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면을 향하는 방향인 상태인 제 1 모드 및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그립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고리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방향이 상기 제 1 면의 중심부로부터 외곽을 향하는 방향인 상태인 제 2 모드를 가지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면에 대향하여 상기 랙에 형성되는 단자 접속부에 상기 제 1 단자가 접속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의 모드가 상기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랙의 적어도 일부의 외면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제 1 단자를 적어도 포함하는 전기적 경로를 통해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출력 캐패시터를 충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상기 단자 접속부에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가 접속되도록, 상기 돌출부가 상기 랙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상기 외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의 모드를 상기 제 2 모드로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고리부의 단부를 상기 랙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내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류기 모듈을 랙에 실장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는 그라운드(ground) 단자 및 프리 차징(free charging)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경로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 상기 출력 캐패시터, 제 1 저항, 및 상기 프리 차징 단자를 포함하는, 정류기 모듈을 랙에 실장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캐패시터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 상기 프리 차징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가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적 경로를 통한 충전이 중단되도록 구성된, 정류기 모듈을 랙에 실장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캐패시터는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노드 및 상기 그라운드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저항은 상기 제 1 노드 및 상기 프리 차징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정류기 모듈을 랙에 실장하는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 1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 및 상기 고정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거리 및 상기 제 2 거리의 차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정류기 모듈을 랙에 실장하는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는 충격 방지용 패드가 형성되는, 정류기 모듈을 랙에 실장하는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단부가 상기 측면과 평행한 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면과 평행하도록 굽어지도록 구성된, 정류기 모듈을 랙에 실장하는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의 상태가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2 모드로 변경될 때, 상기 그립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면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정류기 모듈을 랙에 실장하는 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핸들 및 상기 제 2 핸들은 상기 제 1 면의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에 각각 부착되는, 정류기 모듈을 랙에 실장하는 방법.
KR1020190098765A 2019-08-13 2019-08-13 랙에 정류기 모듈을 실장하는 방법 및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KR102240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765A KR102240970B1 (ko) 2019-08-13 2019-08-13 랙에 정류기 모듈을 실장하는 방법 및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765A KR102240970B1 (ko) 2019-08-13 2019-08-13 랙에 정류기 모듈을 실장하는 방법 및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754A true KR20210019754A (ko) 2021-02-23
KR102240970B1 KR102240970B1 (ko) 2021-04-16

Family

ID=7468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765A KR102240970B1 (ko) 2019-08-13 2019-08-13 랙에 정류기 모듈을 실장하는 방법 및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9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459U (ko) * 1996-12-27 1998-09-25 김영환 Cdma방식 이동전화 교환기의 셀프 손잡이 구조
KR100593802B1 (ko) * 2005-12-16 2006-07-04 주식회사 씨피에스 교환국이나 기지국용 전원 시스템
KR200428273Y1 (ko) * 2006-07-19 2006-10-12 주식회사 씨피에스 축전지 실장 정류시스템
KR20100059715A (ko) * 2008-11-26 2010-06-0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반도체 유닛 및 전력 변환 장치
KR20140125663A (ko) * 2013-04-19 2014-10-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및 동작방법
US20160351359A1 (en) * 2015-05-29 2016-12-0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Apparatuses for manipulating power switch of electronic device located in remote position within storage cabine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459U (ko) * 1996-12-27 1998-09-25 김영환 Cdma방식 이동전화 교환기의 셀프 손잡이 구조
KR100593802B1 (ko) * 2005-12-16 2006-07-04 주식회사 씨피에스 교환국이나 기지국용 전원 시스템
KR200428273Y1 (ko) * 2006-07-19 2006-10-12 주식회사 씨피에스 축전지 실장 정류시스템
KR20100059715A (ko) * 2008-11-26 2010-06-0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반도체 유닛 및 전력 변환 장치
KR20140125663A (ko) * 2013-04-19 2014-10-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및 동작방법
US20160351359A1 (en) * 2015-05-29 2016-12-0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Apparatuses for manipulating power switch of electronic device located in remote position within storage cabi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970B1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7170C (en) Travel outlet device
US7942684B1 (en) Connector device, receiving connector, and inserting connector
KR101354971B1 (ko) 마그네틱 전원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 장치
US20070230072A1 (en) Grounding fault circuit interrupter
US11437764B2 (en) Receptacle having motion activated guide light
US10790628B2 (en) Electronically actuated retaining latch for AC-DC adapter removable plug assembly
US9071077B2 (en) Limitation of vampiric energy loss within an inductive battery charger or external power supply using magnetic target detection circuitry
WO2011110434A1 (en) Electrical connector, electrical mating connector, electrical plug connection as well as assembled electrical cable
US20140357126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20090267418A1 (en) Switch power supp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JP6314909B2 (ja) ゴム栓アッシー
KR102240970B1 (ko) 랙에 정류기 모듈을 실장하는 방법 및 랙에 실장되는 정류기 모듈
US5940282A (en) Dual range power supply and adapter for use with same
EP3611808B1 (en) Adapter
US20170125957A1 (en) Insertion plug
US11056909B2 (en) DC UPS architecture and solution
US9502788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 conductor assembly partially disposed in a block assembly
JP2011171191A (ja) コネクタ装置、及び電源側コネクタ
US20180102657A1 (en) Usb charging device
EP3780283A1 (en) Spring-connected grounding terminal
JP2014116174A (ja) 配線ダクトシステム
JP2014146454A (ja) 電源プラグ誤抜き防止機能付きコンセント構造
CN105830191B (zh) 脱扣组件
US20230034992A1 (en) Power feeding device
CA2737696A1 (en) Relay with integrated safety wi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