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768B1 -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768B1
KR102562768B1 KR1020230023863A KR20230023863A KR102562768B1 KR 102562768 B1 KR102562768 B1 KR 102562768B1 KR 1020230023863 A KR1020230023863 A KR 1020230023863A KR 20230023863 A KR20230023863 A KR 20230023863A KR 102562768 B1 KR102562768 B1 KR 102562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ain controller
control module
communication
c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Priority to KR1020230023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10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07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or pump cylinders, wherein the flow-path through the stages can be changed, e.g. from series to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6Human interface functionality, e.g. monitoring system providing help to the user in the selection of tests or in its configu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컨트롤러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메인 컨트롤러를 대신하여, 각각의 제어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ication)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비상운전을 실현할 수 있는 인버터 부스터 펌프 시스템용 비상운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부스터 펌프 시스템용 비상운전 제어장치는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급수펌프(P : P1, P2, .... Pn)와, 복수개의 급수펌프(P : P1, P2, .... Pn)와 1:1 매칭되어, 매칭된 급수펌프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복수개의 인버터(IV : IV1, IV2,.... IVn)와, 복수개의 인버터와 1:1 매칭되어, 매칭된 인버터를 각각 제어하는 복수개의 제어모듈(CM : CM1, CM2,.... CMn)과, 복수개의 제어모듈이 신호선(L1)을 통해 연결되어, 각각의 제어모듈(CM : CM1, CM2,.... CMn)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10)와, 상기 신호선(L1)에 접속되어, 메인 컨트롤러(10)와 제어모듈(CM) 간의 통신을 모니터링하여, 메인 컨트롤러(10)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통신장애가 발생하면, 이상 신호를 IoT 서버나 관제실 서버로 전송하고, 메인 컨트롤러(10)를 대신하여 복수개의 제어모듈(CM : CM1, CM2,.... CMn)을 제어하는 보조 컨트롤러(20)와, 보조 컨트롤러(20)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유니트(30)와, 통신 유니트(30)와 USB 방식으로 연결되고, 메인 컨트롤러(10)와 같이 각각의 제어모듈(CM : CM1, CM2,.... CMn)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WATER PUMP CONTROL SYSTEM WITH EMERGENCY CONTROL}
본 발명은 메인 컨트롤러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메인 컨트롤러를 대신하여, 각각의 제어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듈과 어플리케이션(Appication)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비상운전을 실현할 수 있는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0-2271132호(2021년 6월 24일, 등록)에 "보조 제어부를 구비한 인버터 부스터 펌프 시스템"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보조 제어부를 구비한 인버터 부스터 펌프 시스템은 흡입배관과 토출배관 사이에 복수개가 병렬로 배열되는 부스터 펌프와, 부스터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주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버터 부스터 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주 제어부의 고장이나 통신장애 발생시 주 제어부를 대신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보조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제어부는 복수개의 제어모듈과 복수개의 인버터가 입력신호선택부에 의해 일대일로 매칭되고, 주 제어부의 고장이나 통신장애 발생시, 주 제어부를 대신하여 복수개의 제어모듈이 복수개의 인버터를 각각 제어하고, 제어모듈과 주 제어부 사이에 통신변환모듈이 배치되어, 통신변환모듈이 제어모듈과 주 제어부의 통신방식을 변환하여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보조 제어부를 구비한 인버터 부스터 펌프 시스템은 주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할 때까지 보조 제어부가 오랫동안 작동되지않아, 주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보조 제어부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보장하지 못하고, 보조 제어부의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 컨트롤러가 메인 컨트롤러와 제어모듈 간의 통신을 모니터링하여, 메인 컨트롤러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통신장애가 발생하면, 보조 컨트롤러가 IoT 서버나 관제실 서버로 이상 신호를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에 통신 유니트가 USB 방식으로 연결되어, 건물 지하실과 같은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곳에서, 스마트폰의 제어 데이터가 통신 유니트를 통해 보조 컨트롤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공됨으로써,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메인 컨트롤러와 같이 각각의 제어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의 일례는,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급수펌프와,
복수개의 급수펌프와 1:1 매칭되어, 매칭된 급수펌프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복수개의 인버터와,
복수개의 인버터와 1:1 매칭되어, 매칭된 인버터를 각각 제어하는 복수개의 제어모듈과, 복수개의 제어모듈이 신호선을 통해 연결되어, 각각의 제어모듈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어, 메인 컨트롤러와 제어모듈 간의 통신을 모니터링하여, 메인 컨트롤러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통신장애가 발생하면, 이상 신호를 IoT 서버나 관제실 서버로 전송하고, 메인 컨트롤러를 대신하여 복수개의 제어모듈을 제어하는 보조 컨트롤러와,
보조 컨트롤러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유니트와,
통신 유니트와 USB 방식으로 연결되고, 메인 컨트롤러와 같이 각각의 제어모듈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HMI와, 각각의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가 모듈화된 제어모듈이 각각 분리됨으로써, 각각의 제어모듈 또는 HMI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각각의 제어모듈 및 HMI를 각각 교체할 수 있고, 메인 컨트롤러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보조 컨트롤러 및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에 의해 급수펌프의 운전을 정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메인 컨트롤러를 보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유니트는 USB 단자가 스마트폰의 USB 포트에 끼워져 연결되는 USB 방식으로 스마트폰과 연결되고, 통신 유니트와 보조 컨트롤러가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통신 유니트를 통해 보조 컨트롤러의 데이터가 스마트폰으로 제공되고, 스마트폰의 제어 데이터가 보조 컨트롤러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압력센서의 측정값 데이터가 시리얼포트를 통해 CPU로 제공되고, 제어모듈에서 제 1 통신부를 통해 CPU로 급수 펌프의 전압정보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CPU에서 압력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와 제어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설정값에 근거하여 연산하게 되고, 자동 스위치, 압력 스위치, 부저 정지 스위치 등의 신호가 공통신호 입력단자를 통해 CPU로 제공되고, CPU에서 공통신호 출력단자를 통해 상태 릴레이, 알람 릴레이, 부조 릴레이로 신호를 제공하게 되고, 제 1 통신부를 통해 구동되어야 하는 제어모듈로 CPU의 연산에 따른 구동제어명령(전압 지령값)을 제공하게 되고, 제 2 통신부를 통해 CPU가 IoT 서버나 관제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제 3 통신부를 통해 HMI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되고, CPU로 입력되는 입력값 및 CPU에서 연산을 통해 출력되는 출력값이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MCU에서 메인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되는 전압 지령값에 기초하여 자신의 인버터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전압 지령값 또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급수 펌프의 전압정보를 메인 컨트롤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컨트롤러는 복수개의 제어모듈과 메인 컨트롤러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를 백업하고, 제어모듈과 메인 컨트롤러 사이의 통신에서 어느 한 제어모듈과 메인 컨트롤러 사이에 통신신호가 설정 시간동안 없으면 해당 제어모듈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모든 제어모듈과 메인 컨트롤러 사이에 통신신호가 설정시간동안 없으면 메인 컨트롤러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에러신호를 IoT 서버나 관제실 서버로 제공하게 되고, 메인 컨트롤러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메인 컨트롤러에서 제어모듈로 전송한 최후의 데이터에 입각하여 제어모듈을 통해 인버터를 제어하게 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압 지령값을 전달받으면, 전압 지령값을 제어모듈로 전송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보조 제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받고,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으며, 메인 컨트롤러처럼 압력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와 제어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설정값에 근거하여 연산하게 되고, 구동되어야 하는 제어모듈로 CPU의 연산에 따른 구동제어명령(전압 지령값)을 제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은 보조 컨트롤러가 메인 컨트롤러와 제어모듈 간의 통신을 모니터링하여, 메인 컨트롤러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통신장애가 발생하면, 통신 유니트가 연결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메인 컨트롤러와 같이 각각의 제어모듈을 제어할 수 있어, 급수펌프의 운전을 정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메인 컨트롤러를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부스터 펌프 시스템용 비상운전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스마트폰의 USB 포트에 통신 유니트의 USB 단자가 연결되는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메인 컨트롤러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은,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급수펌프(P : P1, P2, .... Pn)와,
복수개의 급수펌프(P : P1, P2, .... Pn)와 1:1 매칭되어, 매칭된 급수펌프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복수개의 인버터(IV : IV1, IV2,.... IVn)와,
복수개의 인버터와 1:1 매칭되어, 매칭된 인버터를 각각 제어하는 복수개의 제어모듈(CM : CM1, CM2,.... CMn)과, 복수개의 제어모듈이 신호선(L1)을 통해 연결되어, 각각의 제어모듈(CM : CM1, CM2,.... CMn)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10)와,
상기 신호선(L1)에 접속되어, 메인 컨트롤러(10)와 제어모듈(CM) 간의 통신을 모니터링하여, 메인 컨트롤러(10)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통신장애가 발생하면, 이상 신호를 IoT 서버나 관제실 서버(도시하지 않음)로 전송하고, 메인 컨트롤러(10)를 대신하여 복수개의 제어모듈(CM : CM1, CM2,.... CMn)을 제어하는 보조 컨트롤러(20)와,
보조 컨트롤러(20)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유니트(30)와,
통신 유니트(30)와 USB 방식으로 연결되고, 메인 컨트롤러(10)와 같이 각각의 제어모듈(CM : CM1, CM2,.... CMn)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종래에는 메인 컨트롤러에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HMI부(Human Machine Interface)와, 각각의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가 합체된 일체형 컨트롤러였으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HMI(11 ; Human Machine Interface)와, 각각의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가 모듈화된 제어모듈(CM : CM1, CM2,.... CMn)이 메인 컨트롤러(10)에서 각각 분리됨으로써, 각각의 제어모듈(CM1, CM2,.... CMn) 또는 HMI(11)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각각의 제어모듈(CM1, CM2,.... CMn) 및 HMI(11)를 각각 교체할 수 있고, 메인 컨트롤러(10)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보조 컨트롤러(20) 및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40)에 의해 급수펌프의 운전을 정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메인 컨트롤러(10)를 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컨트롤러(20)가 건물의 지하에 위치해 있어 외부와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40)과 보조 컨트롤러(20)의 통신을 위해 통신 유니트(30)가 요구되며, 상기 통신 유니트(3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USB 단자(31)가 스마트폰(40)의 USB 포트(41)에 끼워져 연결되는 USB 방식으로 스마트폰(40)과 연결되고, 통신 유니트(30)와 보조 컨트롤러(20)가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통신 유니트(30)를 통해 보조 컨트롤러(20)의 데이터가 스마트폰(40)으로 제공되고, 스마트폰(40)의 제어 데이터가 보조 컨트롤러(20)로 전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는 압력센서(도시하지 않음)의 측정값 데이터가 시리얼포트(13)를 통해 CPU(12)로 제공되고, 제어모듈에서 제 1 통신부(16)를 통해 CPU(12)로 급수 펌프의 전압정보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CPU(12)에서 압력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와 제어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설정값에 근거하여 연산하게 되고, 자동 스위치, 압력 스위치, 부저 정지 스위치 등의 신호가 공통신호 입력단자(14)를 통해 CPU(12)로 제공되고, CPU(12)에서 공통신호 출력단자(15)를 통해 상태 릴레이, 알람 릴레이, 부조 릴레이로 신호를 제공하게 되고, 제 1 통신부(16)를 통해 구동되어야 하는 제어모듈로 CPU(12)의 연산에 따른 구동제어명령(전압 지령값)을 제공하게 되고, 제 2 통신부(17)를 통해 CPU(12)가 IoT 서버나 관제실 서버(도시하지 않음)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제 3 통신부(18)를 통해 HMI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되고, CPU(12)로 입력되는 입력값 및 CPU에서 연산을 통해 출력되는 출력값이 메모리부(19)에 저장된다.
상기 제어모듈(CM)은 MCU에서 메인 컨트롤러(1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 지령값에 기초하여 자신의 인버터(IV)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CM)은 전압 지령값 또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급수 펌프(P)의 전압정보를 메인 컨트롤러(10)로 출력한다.
상기 보조 컨트롤러(20)는 복수개의 제어모듈(CM1, CM2,.... CMn)과 메인 컨트롤러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를 백업(backup)하고, 제어모듈(CM : CM1, CM2,.... CMn)과 메인 컨트롤러(10) 사이의 통신에서 어느 한 제어모듈(예를 들어, CM1)과 메인 컨트롤러(10) 사이에 통신신호가 설정 시간동안 없으면 해당 제어모듈(예를 들어, CM1)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모든 제어모듈(CM1, CM2,.... CMn)과 메인 컨트롤러(10) 사이에 통신신호가 설정시간동안 없으면 메인 컨트롤러(1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에러신호를 IoT 서버나 관제실 서버(도시하지 않음)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 제어부(20)는 메인 컨트롤러(1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메인 컨트롤러(10)에서 제어모듈(CM : CM1, CM2,.... CMn)로 전송한 최후의 데이터에 입각하여 제어모듈(CM : CM1, CM2,.... CMn)을 통해 인버터(IV : IV1, IV2,.... IVn)를 제어하게 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40)으로부터 전압 지령값을 전달받으면, 전압 지령값을 제어모듈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40)은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보조 제어부(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받고,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으며, 메인 컨트롤러처럼 압력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와 제어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설정값에 근거하여 연산하게 되고, 구동되어야 하는 제어모듈로 CPU(12)의 연산에 따른 구동제어명령(전압 지령값)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1) 메인 컨트롤러(10)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보조 컨트롤러(20)에서 IoT 서버나 관제실 서버(도시하지 않음)로 에러신호를 제공하여, 현장에 도착한 작업자가 스마트폰(4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메인 컨트롤러(10)의 기능을 대체하게 된다.
즉, 상기 스마트폰(40)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스마트폰(40)의 USB 포트(41)에 통신 유니트(30)의 USB 단자(31)가 연결되면, 통신 유니트(30)와 보조 컨트롤러(20) 간에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고, 어플리케이션에 해당 보조 컨트롤러(20)의 아이디를 입력하는 것으로 인증이 완료되면, 보조 컨트롤러(20)에서 스마트폰(40)으로 최근에 백업한 데이터를 제공하게 되고,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받은 데이터와 설정값을 근거로 연산하여, 연산값을 통해 구동되어야 하는 펌프의 제어모듈로 구동제어명령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메인 컨트롤러(10)의 기능을 대체하게 된다.
이후, 메인 컨트롤러(10)가 복구되면, 스마트폰(10)에서 메인 컨트롤러(100로 현재의 운전조건을 전달하고, 메인 컨트롤러(10)가 정상 작동을 시작하면, 통신 유니트(30)와 보조 컨트롤러(20) 사이의 통신이 차단된다.
(2) 운전진단
펌프가 설치된 현장에서, 상기 스마트폰(40)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스마트폰(40)의 USB 포트(41)에 통신 유니트(30)의 USB 단자(31)가 연결되면, 통신 유니트(30)와 보조 제어부(20) 간에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고, 어플리케이션에 해당 보조 컨트롤러(20)의 아이디를 입력하는 것으로 인증이 완료되면, 보조 제어부(20)에 저장된 데이터가 통신 유니트(30)를 통해 스마트폰(40)으로 제공됨으로써, 작업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운전진단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운전진단이 완료되면, 통신 유니트(30)와 보조 컨트롤러(20) 사이의 통신이 차단된다.
P : P1, P2, .... Pn ; 급수펌프
IV : IV1, IV2,.... IVn ; 인버터
CM : CM1, CM2,.... CMn ; 제어모듈
10 ; 메인 컨트롤러 20 ; 보조 컨트롤러
30 ; 통신 유니트 40 ; 스마트폰

Claims (7)

  1.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급수펌프(P : P1, P2, .... Pn)와,
    복수개의 급수펌프(P : P1, P2, .... Pn)와 1:1 매칭되어, 매칭된 급수펌프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복수개의 인버터(IV : IV1, IV2,.... IVn)와,
    복수개의 인버터와 1:1 매칭되어, 매칭된 인버터를 각각 제어하는 복수개의 제어모듈(CM : CM1, CM2,.... CMn)과, 복수개의 제어모듈이 신호선(L1)을 통해 연결되어, 각각의 제어모듈(CM : CM1, CM2,.... CMn)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10)와,
    상기 신호선(L1)에 접속되어, 메인 컨트롤러(10)와 제어모듈(CM) 간의 통신을 모니터링하여, 메인 컨트롤러(10)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통신장애가 발생하면, 이상 신호를 IoT 서버나 관제실 서버로 전송하고, 메인 컨트롤러(10)를 대신하여 복수개의 제어모듈(CM : CM1, CM2,.... CMn)을 제어하는 보조 컨트롤러(20)와,
    보조 컨트롤러(20)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유니트(30)와,
    통신 유니트(30)와 USB 방식으로 연결되고, 메인 컨트롤러(10)와 같이 각각의 제어모듈(CM : CM1, CM2,.... CMn)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40)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니트(30)는 USB 단자(31)가 스마트폰(40)의 USB 포트(41)에 끼워져 연결되는 USB 방식으로 스마트폰(40)과 연결되고, 통신 유니트(30)와 보조 컨트롤러(20)가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통신 유니트(30)를 통해 보조 컨트롤러(20)의 데이터가 스마트폰(40)으로 제공되고, 스마트폰(40)의 제어 데이터가 보조 컨트롤러(20)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에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HMI(11)와, 각각의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가 모듈화된 제어모듈(CM : CM1, CM2,.... CMn)이 각각 분리됨으로써, 각각의 제어모듈(CM1, CM2,.... CMn) 또는 HMI(11)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각각의 제어모듈(CM1, CM2,.... CMn) 및 HMI(11)를 각각 교체할 수 있고, 메인 컨트롤러(10)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보조 컨트롤러(20) 및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40)에 의해 급수펌프의 운전을 정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메인 컨트롤러(10)를 보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는 압력센서의 측정값 데이터가 시리얼포트(13)를 통해 CPU(12)로 제공되고, 제어모듈에서 제 1 통신부(16)를 통해 CPU(12)로 급수 펌프의 전압정보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CPU(12)에서 압력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와 제어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설정값에 근거하여 연산하게 되고, 자동 스위치, 압력 스위치, 부저 정지 스위치 등의 신호가 공통신호 입력단자(14)를 통해 CPU(12)로 제공되고, CPU(12)에서 공통신호 출력단자(15)를 통해 상태 릴레이, 알람 릴레이, 부조 릴레이로 신호를 제공하게 되고, 제 1 통신부(16)를 통해 구동되어야 하는 제어모듈로 CPU(12)의 연산에 따른 구동제어명령(전압 지령값)을 제공하게 되고, 제 2 통신부(17)를 통해 CPU(12)가 IoT 서버나 관제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제 3 통신부(18)를 통해 HMI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되고, CPU(12)로 입력되는 입력값 및 CPU에서 연산을 통해 출력되는 출력값이 메모리부(19)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CM)은 MCU에서 메인 컨트롤러(1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 지령값에 기초하여 자신의 인버터(IV)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전압 지령값 또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급수 펌프(P)의 전압정보를 메인 컨트롤러(1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컨트롤러(20)는 복수개의 제어모듈(CM1, CM2,.... CMn)과 메인 컨트롤러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를 백업하고, 제어모듈(CM : CM1, CM2,.... CMn)과 메인 컨트롤러(10) 사이의 통신에서 어느 한 제어모듈과 메인 컨트롤러(10) 사이에 통신신호가 설정 시간동안 없으면 해당 제어모듈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모든 제어모듈(CM1, CM2,.... CMn)과 메인 컨트롤러(10) 사이에 통신신호가 설정시간동안 없으면 메인 컨트롤러(1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에러신호를 IoT 서버나 관제실 서버로 제공하게 되고, 메인 컨트롤러(1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메인 컨트롤러(10)에서 제어모듈(CM : CM1, CM2,.... CMn)로 전송한 최후의 데이터에 입각하여 제어모듈(CM : CM1, CM2,.... CMn)을 통해 인버터(IV : IV1, IV2,.... IVn)를 제어하게 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40)으로부터 전압 지령값을 전달받으면, 전압 지령값을 제어모듈로 전송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40)은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보조 제어부(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받고,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으며, 메인 컨트롤러처럼 압력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와 제어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설정값에 근거하여 연산하게 되고, 구동되어야 하는 제어모듈로 CPU(12)의 연산에 따른 구동제어명령(전압 지령값)을 제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
KR1020230023863A 2023-02-22 2023-02-22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 KR102562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863A KR102562768B1 (ko) 2023-02-22 2023-02-22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863A KR102562768B1 (ko) 2023-02-22 2023-02-22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768B1 true KR102562768B1 (ko) 2023-08-02

Family

ID=8756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863A KR102562768B1 (ko) 2023-02-22 2023-02-22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7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132B1 (ko) * 2021-01-06 2021-06-30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보조 제어부를 구비한 인버터 부스터 펌프 시스템
KR102476188B1 (ko) * 2022-06-24 2022-12-09 (주)동국일렉콘스 컨트롤러 고장 진단 및 비상 제어가 가능한 원격제어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132B1 (ko) * 2021-01-06 2021-06-30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보조 제어부를 구비한 인버터 부스터 펌프 시스템
KR102476188B1 (ko) * 2022-06-24 2022-12-09 (주)동국일렉콘스 컨트롤러 고장 진단 및 비상 제어가 가능한 원격제어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5539B1 (en) Emergency-stop device
US6257833B1 (en) Redundant, dedicated variable speed drive system
EP2871293A1 (en) Water supply apparatus
KR102271132B1 (ko) 보조 제어부를 구비한 인버터 부스터 펌프 시스템
KR100964070B1 (ko) 제어기의 이중화 장치
KR102562768B1 (ko) 비상 제어가 가능한 급수펌프 제어 시스템
US6895284B2 (en) Supervisory unit and supervisory control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US11536264B2 (en) Gas compressor
JP3367598B2 (ja) デュアルインバータ
CN106150995B (zh) 一种水泵控制装置
JP2018053789A (ja) 給水装置
KR101343447B1 (ko) 모터 스타터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JPH109187A (ja) 給水装置
JPH10229678A (ja) インバータ
JPS6284308A (ja) 表示装置付手動操作装置
JP2020154443A (ja) テレメータおよびポンプ制御システム
CN112041763A (zh) 电力转换系统和电力转换方法
KR102309701B1 (ko) 이중통신을 지원하는 모터제어기 제어방법
KR0165723B1 (ko) 급수 장치
JPH10220388A (ja) 給水装置
CN116829836A (zh) 气体压缩系统及其控制方法
JP2708826B2 (ja) 給水制御装置
KR101119984B1 (ko) 중계펌프 원격감시제어 유지관리 시스템
CN102748303A (zh) 供水装置
JP2536264B2 (ja) 空気調和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