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331B1 -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331B1
KR102562331B1 KR1020210104188A KR20210104188A KR102562331B1 KR 102562331 B1 KR102562331 B1 KR 102562331B1 KR 1020210104188 A KR1020210104188 A KR 1020210104188A KR 20210104188 A KR20210104188 A KR 20210104188A KR 102562331 B1 KR102562331 B1 KR 102562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hole
connection
pillar
ji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2050A (ko
Inventor
김삼엽
주종규
김성필
박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4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33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2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 이동수단에 구비된 연결기둥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지그부와, 제1지그부와 마주하며 연결기둥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지그부와, 제1지그부와 제2지그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와, 제1지그부를 관통하는 연결구멍을 형성하며 연결기둥의 외측에 고정되는 돌출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공홀부 및 제2지그부를 관통하는 연결구멍을 형성하며 연결기둥에 연결구멍을 형성하는 가공드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공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JIG DEVICE FOR PERSONAL MOBILITY VEHICLE}
본 발명은 개인 이동수단에 구비된 연결기둥에 돌출돌기와 측면홀부를 가공하기 위한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 이동수단은,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1인용 이동수단으로 전동 휠, 전동 킥보드, 전기 자전거, 초소형 전기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이동수단으로 많이 사용되는 전동 퀵보드는, 스케이트 보드 모양의 발판부와, 발판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결기둥과, 연결기둥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핸들과, 발판부와 연결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근래 개인 이동수단은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와,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개인 이동수단에 무선충전을 위한 충전수신부를 설치할 경우, 충전수신부를 지지하는 브라켓부가 연결기둥에 설치된다. 연결기둥에는 브라켓부를 지지하는 돌출돌기가 설치된다.
또한 배터리와 연결되는 전원선은 연결기둥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며, 연결기둥의 측면에 구비된 연결구멍을 통해 충전수신부와 연결된다.
연결기둥에는 설정된 위치에 돌출돌기와 연결구멍이 각각 설치되거나 가공되어야 하는데, 연결기둥이 대략 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돌출돌기의 설치 및 연결구멍의 가공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78967호 (2021.07.13 공개, 발명의 명칭: 발광 장치가 있는 외장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동 킥보드)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기둥에 돌출돌기와 연결구멍의 가공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돌출돌기와 연결구멍의 설치가 설정된 위치에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는, 개인 이동수단의 연결기둥에 돌출돌기와 연결구멍의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지그부와 제2지그부가 연결기둥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이동이 구속되며, 제1가공홀부를 통해 가공드릴이 이동되어 연결기둥에 연결구멍을 가공한다. 또한 제2가공홀부를 통해 돌출돌기가 연결기둥의 외측에 고정되므로 돌출돌기의 설치와 연결구멍의 가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출돌기와 연결구멍의 설치가 연결기둥의 설정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지그부에 설치된 제1가공홀부를 통해 돌출돌기가 설치되며, 제2지그부에 설치된 제2가공홀부를 통해 연결구멍이 가공되므로, 돌출돌기와 연결구멍의 설치가 설정된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는, 개인 이동수단에 구비된 연결기둥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지그부와, 제1지그부와 마주하며 연결기둥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지그부와, 제1지그부와 제2지그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와, 제1지그부를 관통하는 연결구멍을 형성하며 연결기둥의 외측에 고정되는 돌출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공홀부 및 제2지그부를 관통하는 연결구멍을 형성하며 연결기둥에 연결구멍을 형성하는 가공드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공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는, 개인 이동수단에 구비된 연결기둥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지그부와, 제1지그부와 마주하며 연결기둥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지그부와, 제1지그부와 제2지그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와, 제1지그부를 관통하는 연결구멍을 형성하며 연결기둥의 외측에 고정되는 돌출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공홀부 및 제1지그부와 제2지그부에 각각 설치되며 연결기둥의 외측에 제1지그부와 제2지그부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1지그부와 제2지그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는, 개인 이동수단의 연결기둥에 돌출돌기와 연결구멍의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므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 이동수단의 연결기둥에 돌출돌기와 연결구멍이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므로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돌기가 처짐방지홀부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가 연결기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그부와 제2지그부가 회전연결부를 중심으로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그부와 제2지그부의 사이에 연결기둥이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공홀부를 통한 가공드릴의 가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공홀부를 통한 돌출돌기의 설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개인 이동수단]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수단(800)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850)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돌기(840)가 처짐방지홀부(853)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이동수단(800)은 모터의 힘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동 킥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기 자전거를 포함한 다른 종류의 이동장치도 본 발명에 의한 개인 이동수단(800)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수단(800)은, 연결기둥(810)과 발판부(820)와 핸들(830)과 돌출돌기(840)와 브라켓부(850)와 충전수신부(860)와 앞바퀴(870)와 뒷바퀴(875)와 제1전원연결부(880)와 제2전원연결부(88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기둥(810)은 발판부(820)와 핸들(830)을 연결하며 앞바퀴(87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둥(810)은 외측에 곡면을 구비하는 파이프 형상이며, 발판부(820)와 예각을 이루며 경사지게 설치된다.
발판부(820)에는 뒷바퀴(87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발판부(82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이며, 사용자가 발판부(820)에 올라서서 핸들(830)을 조작한다.
연결기둥(810)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핸들(830)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핸들(830)은 잡고 돌리는 동작에 의해 연결기둥(810)과 함께 앞바퀴(87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돌출돌기]
돌출돌기(840)는 연결기둥(810)에 결합되며, 연결기둥(8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브라켓부(850)에 걸리는 돌기 형상이다. 돌출돌기(840)가 브라켓부(850)에 걸리므로, 브라켓부(850)가 하측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돌기(840)는 육각렌치볼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기둥(810)의 외측에 체결되어 연결기둥(8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한다.
돌출돌기(840)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1)에 구비된 제1가공홀부(400)를 통해 연결기둥(810)의 외측에 고정된다.
[브라켓부]
브라켓부(850)는 연결기둥(81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며, 충전수신부(860)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850)는 제1브라켓(851)과 제2브라켓(855)을 포함한다. 또한 브라켓부(850)는 돌출돌기(840)가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처짐방지홀부(853)를 구비하므로, 연결기둥(810)에 설치된 브라켓부(850)가 연결기둥(810)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됨을 차단한다.
제1브라켓(851)은, 연결기둥(810)의 일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충전수신부(860)와 연결된다. 제1브라켓(851)에는 돌출돌기(840)가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처짐방지홀부(853)가 구비된다. 처짐방지홀부(853)는 충전수신부(860)의 하측에 위치하며, 연길기둥의 상하 길이방향(D)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장공을 형성한다. 따라서 연결기둥(8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돌기(840)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처짐방지홀부(853)에 삽입되므로, 제1브라켓(851)을 포함한 브라켓부(850)의 상하 이동이 구속된다.
제2브라켓(855)은 연결기둥(810)의 타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1브라켓(851)에 고정된다. 제2브라켓(855)은 연결기둥(81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오목한 홈을 형성하며, 연결기둥(810)을 따라 연장된다.
[충전수신부]
충전수신부(860)는 브라켓부(850)에 고정되며, 무선으로 전달된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축전지로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수신부(860)의 내측에는 수신용 코일이 구비되며, 제1브라켓(851)에 고정된다.
충전수신부(860)는 거치부에 설치된 충전송신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충전수신부(860)와 충전송신부 사이의 정렬이 틀어지면 충전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연결기둥(810)의 설정된 위치에 충전수신부(860)를 설치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제1전원연결부와 제2전원연결부]
제1전원연결부(880)는 브라켓부(850)를 통해 충전수신부(860)와 연결되는 전원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원연결부(880)는 충전수신부(860)를 지지하는 제1브라켓(851)을 통해 충전수신부(860)와 연결된다.
제2전원연결부(885)는 연결기둥(810)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제1전원연결부(880)에 연결되어 전원을 전달받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2전원연결부(885)는 충전지와 연결되며, 일부는 연결기둥(810)의 내측으로 설치된다.
제2전원연결부(885)는 연결기둥(810)에 구비된 연결구멍(811)을 통해 연결기둥(81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연결구멍(811)은 제2가공홀부(500)를 통한 가공드릴(700)의 이동으로 가공이 이루어진다.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의 전체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1)가 연결기둥(81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가 회전연결부(300)를 중심으로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의 사이에 연결기둥(810)이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1)는 연결기둥(810)의 외측에 고정되며, 돌출돌기(840)와 가공드릴(700)의 설치를 위한 홀부를 제공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1)는,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와 회전연결부(300)와 제1가공홀부(400)와 제2가공홀부(500)와 잠금부(600)를 포함한다.
[제1지그부]
제1지그부(100)는 개인 이동수단(800)에 구비된 연결기둥(810)의 일측면을 감싸는 형상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지그부(100)는, 연결기둥(810)의 일측면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의 홈부를 구비하며, 연결기둥(810)의 길이방향(D)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그부(100)는, 제1지그몸체(110)와 제1내측홈부(120)와 장착홀부(130)를 포함한다.
제1지그몸체(110)는 회전연결부(300)에 연결되며, 제1가공홀부(400)가 설치된다. 제1지그몸체(110)는 제1내측홈부(120)가 설치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지그몸체(110)는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종류의 재질로 성형될 수도 있다.
제1내측홈부(120)는 연결기둥(810)과 마주하는 제1지그몸체(110)의 내측면에 연결기둥(81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한다. 연결기둥(810)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 제1내측홈부(120)도 상하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
제1내측홈부(120)는 제1지그몸체(110)의 폭방향(W) 중심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가공홀부(400)도 제1지그몸체(110)의 폭방향(W) 중심부에 설치된다.
또한 제1내측홈부(120)와 마주하는 제1지그몸체(110)의 테두리에는 오목한 홈 형상의 장착홀부(130)가 구비된다. 장착홀부(130)는 후술할 제2가공홀부(500)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한다.
[제2지그부]
제2지그부(200)는 제1지그부(100)와 마주하며 연결기둥(810)의 타측면을 감싸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2지그부(200)는 제1지그부(1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회전연결부(300)에 의해 제1지그부(100)와 연결된다.
제2지그부(200)는, 상기 연결기둥(810)의 타측면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의 홈부를 구비하며, 연결기둥(810)의 길이방향(D)으로 연장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그부(200)는, 제2지그몸체(210)와 제2내측홈부(220)를 포함한다.
제2지그몸체(210)는 회전연결부(300)에 연결되며, 제2가공홀부(500)가 연결된다. 제2지그몸체(210)는 제2내측홈부(220)가 설치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지그몸체(210)는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종류의 재질로 성형될 수도 있다.
제2내측홈부(220)는 연결기둥(810)과 마주하는 제2지그몸체(210)의 내측면에 연결기둥(81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한다. 연결기둥(810)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 제2내측홈부(220)도 상하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
제2내측홈부(220)는 제2지그몸체(210)의 폭방향(W) 중심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가공홀부(500)는 장착홀부(130)와 마주하는 제2지그몸체(210)의 테두리에 연결된다.
제1내측홈부(120)와 제2내측홈부(220)는 연결기둥(810)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기둥(810)의 형상이 다른 모델에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1)를 설치할 경우, 제1내측홈부(120)와 제2내측홈부(220)의 형상만 변형하면 되므로 설계변경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1내측홈부(120)와 제2내측홈부(220)는 연결기둥(81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며, 이러한 연결기둥(810)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 아닌 대략 타원형에 가까운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가 연결기둥(810)의 외측에 고정되면, 연결기둥(810)을 따라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연결부]
회전연결부(300)는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연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회전연결부(300)는 경첩 형상으로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가 회전되어 연결기둥(810)의 외측에 장착된다.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가 회전연결부(300)를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1)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부(300)는,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와 지지축(330)을 포함한다.
제1연결부재(310)는 제1지그부(100)에 고정되며 지지축(330)이 설치되기 위한 홀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320)도 제2지그부(200)에 고정되며 지지축(330)이 설치되기 위한 홀부를 구비한다.
지지축(330)은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를 관통하는 막대 형상이다.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는 지지축(330)으로 연결되며, 지지축(330)을 중심으로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가 회전한다.
[제1가공홀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1)의 정면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공홀부(400)는 제1지그부(100)를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한다. 제1가공홀부(400)는 연결기둥(810)의 외측에 고정되는 돌출돌기(84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공홀부(400)는, 제1지그부(100)의 폭방향(W) 중심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가공홀부는 안내홀부(410)와 제1부시(420)를 포함한다.
안내홀부(410)는 제1지그몸체(110)를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한다. 안내홀부(410)는 제1지그몸체(110)의 폭방향(W) 중심에 위치하며, 제1내측홈부(120)에 안착된 연결기둥(810)의 외측에 돌출돌기(840)를 설치한다. 볼트 형상의 돌출돌기(840)는 안내홀부(410)를 통해 제1지그부(100)의 내측으로 이동된 후 연결기둥(810)의 외측에 고정된다.
제1부시(420)는 안내홀부(410)의 내측에 장착되며 파이프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돌출돌기(840)는 제1부시(420)를 통과한 후 연결기둥(810)의 외측에 체결된다.
[제2가공홀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1)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공홀부(500)를 통한 가공드릴(700)의 가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공홀부(500)는 가공드릴(700)을 안내하여 제2지그부(200)를 관통하는 연결구멍(811)을 형성한다. 제2가공홀부(500)는 연결기둥(810)에 연결구멍(811)을 형성하는 가공드릴(7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2가공홀부(500)는 제2지그부(200)에서 제1지그부(10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2가공홀부(500)의 형상은 대략 원형의 파이프 형상이며, 제2가공홀부(500)의 일부가 제2지그부(2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는 연결기둥(810)을 사이에 두고 결합된다. 연결구멍(811)을 가공하기 위한 제2가공홀부(500)의 위치는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의 경계에 위치하므로, 제2가공홀부(500)의 위치도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의 경계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가공홀부(500)가 제2지그부(200)와 일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2가공홀부(500)의 일부가 제1지그부(10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제2가공홀부(500)가 제1지그부(100)와 일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2가공홀부(500)의 일부가 제2지그부(20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제2가공홀부(500)가 제2지그부(200)와 일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2가공홀부(500)의 일부가 제1지그부(10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우, 제1지그부(100)는 상기 제2가공홀부(500)와 대응하는 측면에 오목한 홈 형상으로 장착홀부(130)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의 단부가 접한 상태에서 제2가공홀부(500)의 돌출된 부분이 장착홀부(130)의 내측에 삽입된다.
제2가공홀부(500)와 마주하는 제1지그부(100)에 장착홀부(130)가 형성되지 않으면, 제2가공홀부(500)의 돌출된 형상에 의해서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의 단부가 이격되므로 연결구멍(811)의 가공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공홀부(500)는 곡면몸체(510)와 제2부시(520)를 포함한다. 곡면몸체(510)는 제2지그부(200)에 연결되며, 제2지그부(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곡면을 구비한다. 곡면몸체(510)는 내측에 중공을 구비한 원기둥 형상이며, 곡면몸체(510)의 일부가 제2지그부(2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부시(520)는 곡면몸체(510)의 내측에 구비된 구멍의 내측에 장착되며, 가공드릴(700)에 의한 마찰을 저감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부시(52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부시(520)의 외측면은 곡면몸체(510)의 내측에 접하여 이동이 구속된다. 또한 제2부시(520)의 내측은 가공드릴(7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멍이 구비된다.
[잠금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1)의 평면도이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600)는 연결기둥(810)의 외측에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1지그부(100)와 상기 제2지그부(200)의 이동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잠금부(600)는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에 각각 설치된다. 잠금부(600)는 연결기둥(810)의 외측에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잠금 동자이 이루어지며,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의 이동을 구속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잠금부(600)는 다양한 방식의 잠금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잠금부(600)는 고리 방식이 적용되며,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의 이동을 구속한다.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가 회전연결부(30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연결기둥(810)의 외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잠금부(600)가 작동되어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의 이동을 구속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600)는 제1잠금부(610)와 제2잠금부(620)를 포함한다.
제1잠금부(610)는 제1지그부(100)에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잠금을 해제하거나 잠금이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잠금부(610)는 핸들부재(612)와 회전고리(614)를 포함한다.
핸들부재(612)는 제1지그부(10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잡고 돌릴수 있게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핸들부재(612)는 제1지그부(10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핸들부재(612)의 회전축과 이격된 위치에 회전고리(614)가 설치된다.
회전고리(614)는 핸들부재(6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핸들부재(612)와 함께 회전되어 잠금고리(622)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된다.
제2잠금부(620)는 제2지그부(200)에 설치되며, 제1잠금부(610)에 걸리는 잠금고리(622)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고리(622)는 "ㄱ"자 형상으로 굽은 금속편이 제2지그부(20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제1잠금부(610)가 제1지그부(100)에 설치되고, 제2잠금부(620)가 제2지그부(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잠금부(610)가 제2지그부(200)에 설치되고, 제2잠금부(620)가 제1지그부(100)에 설치될 수 도 있다.
[가공드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공홀부(500)에 구비된 제2부시(520)의 내측을 통해 가공드릴(700)이 이동되어 연결기둥(810)에 연결구멍(811)을 가공한다.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가 연결기둥(810)을 감싸며 설치된 상태에서 잠금부(600)에 의해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의 이동이 구속된다.
그리고 가공드릴(700)이 제2가공홀부(500)의 내측을 통해 연결기둥(810)으로 이동된 후 연결기둥(810)의 설정된 위치에 연결구멍(811)을 가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공홀부(400)를 통한 돌출돌기(840)의 설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돌기(840)는 제1가공홀부(400)의 내측에 구비된 구멍을 통해 연결기둥(810)으로 이동된 후 돌출돌기(840)의 회전에 의해 연결기둥(810)에 돌출돌기(840)가 체결된다.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의 동작]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개인 이동수단(800)용 연결기둥(810)에는 충전수신부(860)를 지지하는 브라켓부(850)를 고정하기 위한 돌출돌기(840)가 설치된다. 돌출돌기(840)는 연결기둥(8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브라켓부(850)에 구비된 처짐방지홀부(853)의 내측에 돌출돌기(840)가 위치한다.
그리고 연결기둥(81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전원선은 연결구멍(811)을 통해 연결기둥(810)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제2전원연결부(885)와 연결된다.
연결기둥(810)에는 돌출돌기(840)의 설치작업과 연결구멍(811)의 가공작업이 각각 이루어진다. 돌출돌기(840)의 설치 및 연결구멍(811)의 가공작업은 이동수단용 지그장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1)에는 제1가공홀부(400)와 제2가공홀부(500)가 구비된다. 가공드릴(700)이 제2가공홀부(500)를 통해 이동되어 연결기둥(810)에 연결구멍(811)을 형성한다. 그리고 돌출돌기(840)는 제1가공홀부(400)를 통해 이동되어 연결기둥(810)에 체결된다.
제1가공홀부(400)와 제2가공홀부(500)는 서로 다른 방향의 홀을 구비하며, 하나의 가공지그인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1)에 설치되므로, 연결기둥(810)의 가공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돌출돌기(840)의 설치를 안내하는 제1가공홀부(400)에 제1부시(420)가 설치되므로, 돌출돌기(840)의 설치작업시 발생되는 응력이 제1지그부(100)로 전달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가공드릴(700)의 설치를 안내하는 제2가공홀부(500)에 제2부시(520)가 설치되므로, 돌출돌기(840)의 설치작업시 발생되는 응력이 제2지그부(200)로 전달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1)를 사용하여 돌출돌기(840)와 연결구멍(811)의 가공이 정확한 위치에서 이루어지므로 충전수신부(860)가 설정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잠금부(610)가 제2잠금부(620)에 걸리는 형상으로 고정되므로, 제1지그부(100)와 제2지그부(200)가 연결기둥(810)을 따라 길이방향(D)으로 이동됨을 차단하여 돌출돌기(840)의 설치 및 연결구멍(811)의 가공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100: 제1지그부 110: 제1지그몸체 120: 제1내측홈부 130: 장착홀부
200: 제2지그부 210: 제2지그몸체 220: 제2내측홈부
300: 회전연결부 310: 제1연결부재 320: 제2연결부재 330: 지지축
400: 제1가공홀부 410: 안내홀부 420: 제1부시
500: 제2가공홀부 510: 곡면몸체 520: 제2부시
600: 잠금부
610: 제1잠금부 612: 핸들부재 614: 회전고리
620: 제2잠금부 622: 잠금고리
700: 가공드릴
800: 개인 이동수단
810: 연결기둥 811: 연결구멍 820: 발판부 830: 핸들 840: 돌출돌기
850: 브라켓부 851: 제1브라켓 853: 처짐방지홀부 855: 제2브라켓
860: 충전수신부 870: 앞바퀴 875: 뒷바퀴
880: 제1전원연결부 885: 제2전원연결부
W: 폭방향 D: 길이방향

Claims (20)

  1. 개인 이동수단에 구비된 연결기둥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지그부;
    상기 제1지그부와 마주하며 상기 연결기둥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지그부;
    상기 제1지그부와 상기 제2지그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
    상기 제1지그부를 관통하는 연결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기둥의 외측에 고정되는 돌출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공홀부; 및
    상기 제2지그부를 관통하는 연결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기둥에 연결구멍을 형성하는 가공드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공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그부는, 상기 연결기둥의 타측면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의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기둥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가공홀부는 상기 제2지그부에서 상기 제1지그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지그부는 상기 제2가공홀부와 대응하는 측면에 오목한 홈 형상으로 장착홀부를 구비하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는, 상기 연결기둥의 일측면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의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기둥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공홀부는, 상기 제1지그부의 폭방향 중심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공홀부는, 상기 제2지그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지그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곡면을 구비하는 곡면몸체; 및
    상기 곡면몸체의 내측에 구비된 연결구멍의 내측에 장착되며, 가공드릴에 의한 마찰을 저감시키는 제2부시;를 포함하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제1지그부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2지그부에 고정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관통하는 막대 형상의 지지축;을 포함하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와 상기 제2지그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연결기둥의 외측에 상기 제1지그부와 상기 제2지그부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지그부와 상기 제2지그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지그부에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잠금을 해제하거나 잠금이 이루어지는 제1잠금부; 및
    상기 제2지그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잠금부에 걸리는 잠금고리를 형성하는 제2잠금부;를 포함하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부는, 상기 제1지그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부재; 및
    상기 핸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핸들부재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잠금고리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회전고리;를 포함하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11. 개인 이동수단에 구비된 연결기둥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지그부;
    상기 제1지그부와 마주하며 상기 연결기둥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지그부;
    상기 제1지그부와 상기 제2지그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
    상기 제1지그부를 관통하는 연결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기둥의 외측에 고정되는 돌출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공홀부;
    상기 제1지그부와 상기 제2지그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연결기둥의 외측에 상기 제1지그부와 상기 제2지그부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지그부와 상기 제2지그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잠금부; 및
    상기 제2지그부를 관통하는 연결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기둥에 연결구멍을 형성하는 가공드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공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그부는, 상기 회전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가공홀부가 연결되는 제2지그몸체; 및
    상기 연결기둥과 마주하는 상기 제2지그몸체의 내측면에 상기 연결기둥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는 제2내측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가공홀부는 상기 제2지그몸체에서 상기 제1지그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지그부는 상기 제2가공홀부와 대응하는 측면에 오목한 홈 형상으로 장착홀부를 구비하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는, 상기 회전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가공홀부가 설치되는 제1지그몸체; 및
    상기 연결기둥과 마주하는 상기 제1지그몸체의 내측면에 상기 연결기둥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는 제1내측홈부;를 포함하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공홀부는, 상기 제1지그몸체의 폭방향 중심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공홀부는, 상기 제1지그몸체를 관통하는 연결구멍을 형성하는 안내홀부; 및
    상기 안내홀부의 내측에 장착되며 파이프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부시;를 포함하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공홀부는, 상기 제2지그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지그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곡면을 구비하는 곡면몸체; 및
    상기 곡면몸체의 내측에 구비된 연결구멍의 내측에 장착되며, 가공드릴에 의한 마찰을 저감시키는 제2부시;를 포함하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제1지그부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2지그부에 고정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관통하는 막대 형상의 지지축;을 포함하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지그부에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잠금을 해제하거나 잠금이 이루어지는 제1잠금부; 및
    상기 제2지그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잠금부에 걸리는 잠금고리를 형성하는 제2잠금부;를 포함하는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KR1020210104188A 2021-08-06 2021-08-06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KR102562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188A KR102562331B1 (ko) 2021-08-06 2021-08-06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188A KR102562331B1 (ko) 2021-08-06 2021-08-06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050A KR20230022050A (ko) 2023-02-14
KR102562331B1 true KR102562331B1 (ko) 2023-07-31

Family

ID=8522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188A KR102562331B1 (ko) 2021-08-06 2021-08-06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3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684B1 (ko) * 2016-04-14 2016-12-26 이정규 배관 연결용 클램핑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455Y2 (ko) * 1985-03-20 1989-05-09
KR100969924B1 (ko) * 2008-05-15 2010-07-14 홍순홍 난간용 원형파이프의 드릴천공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684B1 (ko) * 2016-04-14 2016-12-26 이정규 배관 연결용 클램핑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050A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2281B1 (en) Omnidirectional lighting stand
KR102562331B1 (ko) 개인 이동수단용 지그장치
US6601478B1 (en) Extension accessory apparatus and method
CN212255413U (zh)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检测仪
CN211579827U (zh) 一种电机机壳内部配件安装用翻转装置
CN109050494B (zh) 一种移车装置
KR20100033301A (ko) 자전거용 우산 장착기
KR102596550B1 (ko)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KR102009217B1 (ko)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전거
CN216758662U (zh) 一种气瓶转运车
CN210084638U (zh) 一种电力工程用线缆收卷存储装置
CN212599045U (zh) 一种摩托车防撬电门锁的加工设备
CN209740618U (zh) 一种重型车辆野外维修用升降导向式装卸机
CN103042250A (zh) 打孔装置
JP3813545B2 (ja) 手すり及び手すり用角度調整機構
CN216229263U (zh) 一种用于汽车零部件加工翻转装置
CN110733591A (zh) 便于固定的自行车车轮挡泥板
CN213531455U (zh) 一种焊接夹具翻转装置
CN209954116U (zh) 一种便于钢管固定的小推车焊接装置
CN210468730U (zh) 一种电力工程用固定卡具
CN218662124U (zh) 一种新型工装车
CN213103856U (zh) 一种便于拆装的金属拉丝机绕丝盘
CN215546940U (zh) 一种滚针轴承加工用夹具
KR101034631B1 (ko)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텔레스코픽장치
CN214577020U (zh) 一种角度可调的盾构机防护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