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963B1 -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 - Google Patents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963B1
KR102561963B1 KR1020210017576A KR20210017576A KR102561963B1 KR 102561963 B1 KR102561963 B1 KR 102561963B1 KR 1020210017576 A KR1020210017576 A KR 1020210017576A KR 20210017576 A KR20210017576 A KR 20210017576A KR 102561963 B1 KR102561963 B1 KR 102561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er
foam
main runner
units
prefabricated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278A (ko
Inventor
이세진
Original Assignee
이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진 filed Critical 이세진
Priority to KR1020210017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963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using elastic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2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4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filler
    • B29K24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425/06PS, i.e.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4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filler
    • B29K24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2Sports equipment ; Games; Articles for amusement; Toys
    • B29L2031/5209To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발포 타입의 파트를 분리하여 조립하는 것을 의도한 완구용 키트이며,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발포 타입의 파트 사이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발포 타입의 파트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한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KIT FOR FOAM TYPE PREFABRICATED TOY}
본 발명은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발포 타입의 파트를 분리하여 조립하는 것을 의도한 완구용 키트이며,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발포 타입의 파트 사이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발포 타입의 파트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한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조립식 완구는 남녀노소 불문하고 많은 사랑을 받는 장난감이다. 조립식 완구란 소위 하나의 완성된 완구를 제조하기 위해 복수의 파트를 조립하여야 하는 완구이다.
이러한 조립식 완구로는 레고®와 같은 블록 타입의 조립식 완구뿐만 아니라, 보통 프라모델(PLA-MODEL) 등으로 일컬어지는 모델 키트 또는 스케일 모델 타입의 완구 등이 있다.
프라모델(PLA-MODEL)은 플라스틱 모델의 줄임말로서, 합성수지계 플라스틱을 이용한 금속 주형 사출 조립식 완구 또는 모형을 의미한다.
이러한 프라모델은 각각의 파트 단위에 대응하도록 금속을 파서 만든 형틀인 금형 내 액상 플라스틱 원료를 주입해서 식힌 다음 상기 파트 단위를 사출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프라모델 관련하여 일본등록특허공보 제5509381호(특허문헌 1)과 같은 선행기술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플라스틱 사출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프라모델)에 포함된 파트 단위를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특허문헌 1 및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플라스틱 사출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프라모델)에 포함된 파트 단위는 복수의 플라스틱 파트(12)가 게이트 러너(13)를 통해 메인 러너(11)에 지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상기 메인 러너(11), 상기 플라스틱 파트(12) 및 상기 게이트 러너(13)는 하나의 금형 내에서 합성수지계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사출됨에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조립식 완구를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 파트(12)는 합성수지계 플라스틱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강한 강성을 갖기 때문에 상기 플라스틱 파트(12)끼리 접촉함에 따라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이에 따라, 특허문헌 1의 도 2와 같이 상기 플라스틱 파트(10, 14, 20 …)가 상기 메인 러너(41)보다 두껍게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플라스틱 사출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프라모델)의 경우, 상기 메인 러너(11), 상기 플라스틱 파트(12) 및 상기 게이트 러너(13) 모두 합성수지계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조립 난이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저연령대의 아이들이 조립할 때 다칠 우려가 있다.
일본등록특허공보 제5509381호(발행일자 2014. 03. 28)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은 합성수지계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사출한 파트 단위를 포함하는 조립식 완구용 키트가 아닌,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파트가 배치되는 파트 영역 및 상기 파트 영역을 둘러싸며, 상기 파트의 일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파트 단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발포 타입의 상기 파트를 분리하여 조립하는 것을 의도한 완구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의 생산 난이도 및 비용 등을 줄이기 위해 상기 파트 단위 중 상기 파트와 상기 지지부가 일체 성형된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의 경우, 종래의 플라스틱 사출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프라모델)와 달리, 상기 파트 단위 중 부품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클 뿐만 아니라, 발포 소재의 특성상 파트 사이의 접촉에 의해 파트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의 특성에 부합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발포 타입의 파트 사이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발포 타입의 파트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한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파트가 배치되는 파트 영역 및 상기 파트 영역을 둘러싸며, 상기 파트의 일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파트 단위를 포함하며, 상기 파트 단위 중 상기 파트와 상기 지지부가 일체 성형된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파트 영역을 둘러싸는 메인 러너 및 상기 메인 러너로부터 상기 파트 영역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트 영역에 배치된 상기 파트의 일 부분을 지지하는 게이트 러너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러너의 두께(h1)는 상기 파트의 두께(h2)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트 단위는 두께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며, 적층된 두 파트 단위에 포함된 상기 파트 사이에 두께 방향으로의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 파트 단위에 포함된 상기 파트 사이에 두께 방향으로의 갭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발포 타입의 파트 사이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발포 타입의 파트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러너와 상기 게이트 러너 사이 및 상기 게이트 러너와 상기 파트 사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서브 러너가 배치되며, 상기 서브 러너의 두께(h4)는 상기 파트의 두께(h2)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두 파트 단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될 때, 적층된 두 파트 단위에 포함된 상기 서브 러너는 상호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러너뿐만 아니라 상기 서브 러너에 의해 적층된 두 파트 단위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서브 러너에 의해 상기 파트 단위가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두 파트 단위에 포함된 상기 파트 사이에 두께 방향으로의 갭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러너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조립 돌기 및 적어도 하나의 조립 홈이 마련되며, 상기 파트 단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될 때, 적층된 두 파트 단위에 마련된 조립 돌기 및 조립 홈 사이의 끼움 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립 돌기는 원형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상기 조립 홈은 상기 조립 돌기의 수평 단면의 반경과 동일한 장반경을 가지는 원형이 아닌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러너의 일부 영역에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파트 단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될 때, 상기 단차에 의해 상기 두 파트 단위의 적층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러너는 상기 메인 러너로부터 상기 파트 영역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게이트 및 일 단부는 상기 게이트에 연결되며, 타 단부는 상기 파트의 일 부분을 지지하되, 상기 일 단부로부터 상기 타 단부를 향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플라스틱 사출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프라모델)와 상이한 새로운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를 상기 키트의 구성품인 발포 타입의 파트에 손상이 가지 않은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포 타입의 파트는 상기 파트 단위에 포함된 지지부(메인 러버 및 서브 러너) 등에 의해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는 바, 보관 중 또는 이동 중에 파트끼리 접촉함으로써 변형되거나 손상될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플라스틱 사출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프라모델)에 포함된 파트 단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에 포함된 파트 단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트 단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파트 단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에 포함된 파트 단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파트 단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파트 단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에 포함된 파트 단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파트 단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파트 단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파트 단위에 마련된 조립 돌기와 조립 홈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에 포함된 파트 단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파트 단위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에 포함된 파트 단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트 단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파트 단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100)는 적어도 하나의 파트(120)가 배치되는 파트 영역(PA) 및 상기 파트 영역(PA)을 둘러싸며, 상기 파트(120)의 일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SP)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파트 단위(PU)를 포함한다.
즉, 상기 파트 단위(PU)는 상기 파트(120)와 상기 지지부(SP)를 포함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상기 조립식 완구용 키트(100)는 적어도 하나의 파트 단위(PU)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조립식 완구용 키트(100)가 복수의 파트 단위(PU)로 구성된 경우, 상기 복수의 파트 단위(PU)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적층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립식 완구용 키트(100)가 복수의 파트 단위(PU)로 구성된 경우, 상기 복수의 파트 단위(PU)는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트 단위(PU) 중 상기 파트(120) 및 상기 지지부(SP)가 발포 타입으로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발포 타입이란 상기 파트(120) 및 상기 지지부가 합성수지 발포체로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상기 합성수지 발포체로는 폴리우레탄계, 폴리스티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염화비닐계 발포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트 단위(PU)는 상기 파트 단위(PU)에 대응하는 금형 내에 원료 수지 및 발포제의 혼합물을 주입한 후 발포 성형시켜 상기 파트(120) 및 상기 지지부(SP)의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발포 성형이란 상기 파트(120) 및 상기 지지부(SP)에 대응하는 암형틀을 가지는 금형 내에 원료 수지를 발포시키면서, 상기 원료 수지의 발포에 의해 형성된 발포체가 상기 파트(120) 및 상기 지지부(SP)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트 단위(PU)는 무정형의 금형(즉, 상기 파트(120) 및 상기 지지부(SP)에 대응하는 암형틀을 가지지 않는 금형) 내에 원료 수지 및 발포제의 혼합물을 주입한 후 소정의 크기의 발포체로 먼저 발포시킨 후, 상기 발포체를 성형(예를 들어, CNC 가공 등)하여 상기 파트(120) 및 상기 지지부(SP)의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SP)는 상기 파트 영역(PA)을 둘러싸는 메인 러너(110)와 상기 메인 러너(110)로부터 상기 파트 영역(PA)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트 영역(PA)에 배치된 상기 파트(120)의 일 부분을 지지하는 게이트 러너(130)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파트(120), 상기 메인 러너(110) 및 상기 게이트 러너(130)는 상술한 성형 방식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러너(130)는 상기 메인 러너(110)로부터 상기 파트 영역(PA)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두 개의 상기 파트(120)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파트(120)를 상호 연결 및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러너(130)는 직선, 곡선, 꺾인선 등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 영역에서 분지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파트(120)는 반드시 하나의 게이트 러너(130)와만 연결될 필요는 없다. 즉, 단일의 파트(120)는 복수의 게이트 러너(130)를 통해 상기 메인 러너(110)의 각기 다른 위치에 연결되거나, 다른 파트(120) 및/또는 다른 게이트 러너(1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조립식 완구용 키트(100)가 복수의 파트 단위(PU)로 구성된 경우, 상기 복수의 파트 단위(PU)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며, 이 때, 적층된 두 파트 단위(PU)에 포함된 상기 파트(120) 사이에 두께 방향으로의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러너의 두께(h1)는 상기 파트(120)의 두께(h2)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두께(h1, h2)는 상기 메인 러너(110) 및 상기 파트(120)의 높이 방향으로의 두께를 의미한다.
상기 메인 러너(110)의 두께(h1)는 상기 파트(120)의 두께(h2)보다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SP)에 의해 지지된 발포 타입의 파트(120) 사이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발포 타입의 파트(120)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게이트 러너(130)의 두께(h3)는 상기 메인 러너(110)의 두께(h1) 및 상기 파트(120)의 두께(h2)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러너(110), 상기 파트(120) 및 상기 게이트 러너(130)가 발포체로서 형성되는 경우, 일반적인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대비 상대적으로 강성이 부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트 단위(PU)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일부 영역에서 발포체의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때, 만약 상기 게이트 러너(130)의 두께(h3)가 상기 메인 러너(110)의 두께(h1) 및/또는 상기 파트(120)의 두께(h2)보다 두꺼울 경우, 상기 파트 단위(PU)로 가해진 외력이 집중되는 영역(또는 외력에 취약한 영역)이 상기 메인 러너(110) 및/또는 상기 파트(120)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러너(130)의 두께(h3)는 상기 메인 러너(110)의 두께(h1) 및 상기 파트(120)의 두께(h2)보다 얇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파트 단위(PU)로 가해진 외력이 집중되는 영역(또는 외력에 취약한 영역)이 상기 게이트 러너(130) 또는 상기 게이트 러너(130)와 상기 메인 러너(110) 및/또는 상기 파트(120)가 연결된 위치로 집중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파트 단위(PU)로 외력이 가해져 일부 영역에서 발포체의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발포체의 파손이 발생하는 영역이 상기 게이트 러너(130) 또는 상기 게이트 러너(130)와 상기 메인 러너(110) 및/또는 상기 파트(120)가 연결된 위치가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에 포함된 파트 단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파트 단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파트 단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파트 단위(PU)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파트(120)가 배치되는 파트 영역(PA) 및 상기 파트 영역(PA)을 둘러싸며, 상기 파트(120)의 일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SP)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파트 단위(PU)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SP)는 상기 파트 영역(PA)을 둘러싸는 메인 러너(110)와 상기 메인 러너(110)로부터 상기 파트 영역(PA)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트 영역(PA)에 배치된 상기 파트(120)의 일 부분을 지지하는 게이트 러너(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러너(110)와 상기 게이트 러너(130) 사이 및 상기 게이트 러너(130)와 상기 파트(120) 사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서브 러너(1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러너(140) 역시 상기 파트(120), 상기 메인 러너(110) 및 상기 게이트 러너(130)와 함께 상술한 성형 방식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식 완구용 키트(100)가 복수의 파트 단위(PU)로 구성된 경우, 상기 복수의 파트 단위(PU)는 두께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며, 이 때, 적층된 두 파트 단위(PU)에 포함된 상기 파트(120) 사이에 두께 방향으로의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 러너의 두께(h1)는 상기 파트(120)의 두께(h2)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러너의 두께(h1)는 상기 파트(120)의 두께(h2)보다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SP)에 의해 지지된 발포 타입의 파트(120) 사이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발포 타입의 파트(120)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트 영역(PA) 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러너(140)의 두께(h4)는 상기 파트(120)의 두께(h2)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혹시라도 상기 파트 단위(PU)가 내측(상기 파트 영역(PA) 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설령 상기 파트 단위(PU)가 내측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상호 적층된 두 파트 단위(PU)에 포함된 상기 파트(120) 사이에 두께 방향으로의 갭(g)을 유지하여 상기 지지부(SP)에 의해 지지된 발포 타입의 파트(120) 사이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러너(140)의 두께(h4)는 상기 메인 러너(110)의 두께(h1)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파트 단위(PU)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될 때, 적층된 두 파트 단위(PU)에 포함된 상기 서브 러너(140)가 상호 접촉함으로써, 상기 메인 러너(110)뿐만 아니라 상기 서브 러너(140)에 의해 적층된 두 파트 단위(PU)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에 포함된 파트 단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파트 단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파트 단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우선,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파트 단위(PU)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파트(120)가 배치되는 파트 영역(PA) 및 상기 파트 영역(PA)을 둘러싸며, 상기 파트(120)의 일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SP)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파트 단위(PU)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SP)는 상기 파트 영역(PA)을 둘러싸는 메인 러너(110)와 상기 메인 러너(110)로부터 상기 파트 영역(PA)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트 영역(PA)에 배치된 상기 파트(120)의 일 부분을 지지하는 게이트 러너(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파트 단위(PU) 중 상기 메인 러너(110)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조립 돌기(151) 및 적어도 하나의 조립 홈(152)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러너(110)의 상부면에 상기 조립 돌기(151)가 마련된 경우, 상기 조립 돌기(151)가 마련된 상부면에 대응하는 하부면에는 상기 조립 홈(152)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식 완구용 키트(100)가 복수의 파트 단위(PU)로 구성된 경우,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는 상기 복수의 파트 단위(PU)는 상기 조립 돌기(151)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조립 홈(152) 사이의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러너(110)의 일부 영역에는 단차(16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차(160)는 상기 메인 러너(110)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러너(110)의 상부면에 상부를 향해 돌출된 테이퍼 형상의 단차(160)가 마련된 경우, 상기 단차(160)가 마련된 상부면에 대응하는 하부면에는 상기 메인 러너(110)의 두께 방향으로 함몰된 역-테이퍼 형상의 단차(1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메인 러너(110)의 상부면에 마련된 상부를 향해 돌출된 테이퍼 형상의 단차(160)와 상기 메인 러너(110)의 하부면에 상기 메인 러너(110)의 두께 방향으로 함몰된 역-테이퍼 형상의 단차(16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는 상기 복수의 파트 단위(PU)가 상기 단차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정확한 위치에 적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메인 러너(110)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은 반드시 상기 메인 러너(110)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조립 돌기(151) 및 적어도 하나의 조립 홈(152)이 마련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은 아니다. 즉, 도 2 및/또는 도 5에 도시된 상기 메인 러너(110)의 일부 영역에도 상기 단차(16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 돌기(151) 및 상기 조립 홈(152)은 상기 조립 돌기(151)와 상기 조립 홈(152) 사이에 끼움 결합이 형성될 수 있는 한 상기 조립 돌기(151) 및 상기 조립 홈(152)이 가지는 전체적인 형상 및 수평 단면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 돌기(151) 및 상기 조립 홈(152)의 수평 단면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조립 돌기(151) 및 상기 조립 홈(152)의 수평 단면적 역시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 돌기(151) 및 상기 조립 홈(152)의 수평 단면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조립 돌기(151) 및 상기 조립 홈(152)의 수평 단면적은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 돌기(151) 및 상기 조립 홈(152)의 수평 단면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조립 돌기(151) 및 상기 조립 홈(152)의 수평 단면적 역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조립 돌기(151) 및 상기 조립 홈(152)의 수평 단면적이 상이할 경우, 상기 조립 돌기(151)의 수평 단면적이 상기 조립 홈(152)의 수평 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립 돌기(151)는 원형의 수평 단면(A)을 가지며, 상기 조립 홈(152)은 상기 조립 돌기(151)의 수평 단면의 반경과 동일한 장반경을 가지는 원형이 아닌 형상의 수평 단면(B)을 가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파트 단위에 마련된 조립 돌기(151)와 조립 홈(152)의 단면을 나타낸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조립 홈(152)은 상기 조립 돌기(151)의 수평 단면의 반경과 동일한 장반경을 가지는 타원형의 수평 단면(B)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원형이 아닌 형상의 수평 단면(B)은 상기 원형의 수평 단면(A)보다 좁은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립 돌기(151)가 상기 조립 홈(152)에 끼워질 때, 상기 조립 돌기(152)가 일 방향으로 압축됨에 따라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하며, 이를 통해 상기 조립 돌기(151)가 상기 조립 홈(152)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립 홈(152)의 깊이는 상기 조립 돌기(151)의 높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 돌기(151) 역시 상기 메인 러너(110)와 동일하게 발포체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소정의 탄성 특성을 가지며, 상기 조립 돌기(151)가 상기 조립 홈(152)에 끼워지면서 일 방향으로 압축될 때, 수직 방향으로 부피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립 홈(152)의 깊이는 상기 조립 돌기(151)의 수직 방향으로의 부피 변화를 온전히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조립 돌기(151)의 높이보다 크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립 돌기(151)가 상기 조립 홈(152)에 끼워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두 파트 단위(PU) 사이에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에 포함된 파트 단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파트 단위의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파트 단위(PU)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파트(120)가 배치되는 파트 영역(PA) 및 상기 파트 영역(PA)을 둘러싸며, 상기 파트(120)의 일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SP)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파트 단위(PU)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SP)는 상기 파트 영역(PA)을 둘러싸는 메인 러너(110)와 상기 메인 러너(110)로부터 상기 파트 영역(PA)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트 영역(PA)에 배치된 상기 파트(120)의 일 부분을 지지하는 게이트 러너(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 러너(130)는 상기 메인 러너(110)로부터 상기 파트 영역(PA)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게이트(131) 및 일 단부는 상기 게이트(131)에 연결되며, 타 단부는 상기 파트(120)의 일 부분을 지지하되, 상기 일 단부로부터 상기 타 단부를 향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절곡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게이트 러너(130)의 구조는 상기 파트(120)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게이트 러너(130)의 연결 면적을 줄여 상기 메인 러너(110)로부터 상기 파트(120)를 분리할 때, 보다 용이하게 상기 파트(120)와 상기 게이트 러너(130) 사이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파트 단위(PU)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외력이 집중되는 영역(또는 외력에 취약한 영역)이 상기 게이트 러너(130)의 절곡부(132)와 상기 파트(120)가 연결된 위치로 집중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파트 단위(PU)로 외력이 가해져 일부 영역에서 발포체의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발포체의 파손이 발생하는 영역이 상기 게이트 러너(130)의 절곡부(132)와 상기 파트(120)가 연결된 위치가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상기 서브 러너(140)의 형상이 원기둥 형상인 반면, 도 13 및 도 14에는 상기 서브 러너(140)의 형상은 판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러너(140)의 형상은 상기 파트 영역(PA) 내 상기 파트(120)의 수, 형상 및 배치 구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서브 러너(140)는 상기 파트(12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상호 적층된 두 파트 단위(PU)에 포함된 상기 파트(120) 사이에 두께 방향으로의 갭(g)을 유지하여 상기 지지부(SP)에 의해 지지된 발포 타입의 파트(120) 사이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파트가 배치되는 파트 영역 및 상기 파트 영역을 둘러싸며, 상기 파트의 일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파트 단위를 포함하며, 상기 파트 단위 중 상기 파트와 상기 지지부가 일체 성형된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로서,
    상기 키트는 무정형의 발포체가 상기 파트 및 상기 지지부의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된 것이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파트 영역을 둘러싸는 메인 러너;
    상기 메인 러너로부터 상기 파트 영역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트 영역에 배치된 상기 파트의 일 부분을 지지하는 게이트 러너; 및
    상기 메인 러너와 상기 게이트 러너 사이 및 상기 게이트 러너와 상기 파트 사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된 서브 러너;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러너의 두께(h1) 및 상기 서브 러너의 두께(h4)는 상기 파트의 두께(h2)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서브 러너(140)의 두께(h4)는 상기 메인 러너(110)의 두께(h1)와 동일하며,
    상기 파트는 상기 메인 러너 및 상기 서브 러너에 의해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트 단위는 두께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며,
    적층된 두 파트 단위에 포함된 상기 파트 사이에 두께 방향으로의 갭이 형성되는,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트 단위는 두께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며,
    적층된 두 파트 단위에 포함된 상기 서브 러너는 상호 접촉하는,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러너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조립 돌기 및 적어도 하나의 조립 홈이 마련되며,
    상기 파트 단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될 때, 적층된 두 파트 단위에 마련된 조립 돌기 및 조립 홈 사이의 끼움 결합이 형성되는,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돌기의 수평 단면적은 상기 조립 홈의 수평 단면적보다 넓은,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러너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파트 단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될 때, 상기 단차에 의해 상기 두 파트 단위의 적층이 가이드되는,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러너는,
    상기 메인 러너로부터 상기 파트 영역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게이트; 및
    일 단부는 상기 게이트에 연결되며, 타 단부는 상기 파트의 일 부분을 지지하되, 상기 일 단부로부터 상기 타 단부를 향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절곡부;
    를 포함하는,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
  8. 삭제
KR1020210017576A 2021-02-08 2021-02-08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 KR102561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576A KR102561963B1 (ko) 2021-02-08 2021-02-08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576A KR102561963B1 (ko) 2021-02-08 2021-02-08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278A KR20220114278A (ko) 2022-08-17
KR102561963B1 true KR102561963B1 (ko) 2023-07-31

Family

ID=8311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576A KR102561963B1 (ko) 2021-02-08 2021-02-08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9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137A (ja) 2009-03-26 2010-10-14 Yohei Hashiura プラスチックモデルキット
JP2012187302A (ja) 2011-03-11 2012-10-04 Bandai Co Ltd パーツ供給品
JP2018157963A (ja) * 2017-03-23 2018-10-11 株式会社バンダイ 模型パーツ供給物
JP2019202075A (ja) 2018-05-25 2019-11-28 株式会社プレックス 組み立て式玩具、及び、組み立て式玩具の成形物の製造方法
JP2020014811A (ja) * 2018-07-27 2020-01-30 株式会社アクアマリン 模型パーツ供給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381U (ko) 1978-07-05 1980-01-22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137A (ja) 2009-03-26 2010-10-14 Yohei Hashiura プラスチックモデルキット
JP2012187302A (ja) 2011-03-11 2012-10-04 Bandai Co Ltd パーツ供給品
JP2018157963A (ja) * 2017-03-23 2018-10-11 株式会社バンダイ 模型パーツ供給物
JP2019202075A (ja) 2018-05-25 2019-11-28 株式会社プレックス 組み立て式玩具、及び、組み立て式玩具の成形物の製造方法
JP2020014811A (ja) * 2018-07-27 2020-01-30 株式会社アクアマリン 模型パーツ供給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278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639692A (zh) 利用纖維增強複合材料的嵌件注塑成型方法及利用其的注塑成型品
KR102561963B1 (ko) 발포 타입의 조립식 완구용 키트
US20080257132A1 (en) Black key for keyboard instru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lack key cover
KR101196735B1 (ko) 조립식 캐비티금형
US3933362A (en) Ski having a hollow core
CN101041412B (zh) 模塑泡沫体和模具
JP2009100882A (ja) 組立用ブロック
JP4648109B2 (ja) 合成樹脂射出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射出成形金型装置
KR19990001084U (ko) 체스놀이용 조립식 말
JP2021137559A (ja) 組立玩具
KR101889545B1 (ko) 보강이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연결구조로 조립되는 조립블록
KR101171934B1 (ko) 조립식 캐비티금형
JP6482374B2 (ja) クッション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65994B1 (ko) 발포제가 충진된 손수레 바퀴
CN213382731U (zh) 键盘字键成型稳定模具结构
JP6681569B2 (ja) 発泡構造体、樹脂製パネル
CN216544458U (zh) Led轮廓灯盖板的成型模具
JP2008074009A (ja) 衝撃吸収機能を有する樹脂成形品並びにその成形方法
CN212498812U (zh) 电视机中框模具
KR101889544B1 (ko) 보강이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연결구조로 조립되는 오면체로 이루어진 보조 조립블록
KR100747698B1 (ko) 보강수단이 구비된 건물 벽체용 발포플라스틱패널
KR200374878Y1 (ko) 볼링 핀
KR100738682B1 (ko) 바닥 시공재 및 그의 제조방법
AU5762799A (en) Concrete form panel
KR200289162Y1 (ko) 조립식 깔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