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652B1 - 스팀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스팀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652B1
KR102561652B1 KR1020230010931A KR20230010931A KR102561652B1 KR 102561652 B1 KR102561652 B1 KR 102561652B1 KR 1020230010931 A KR1020230010931 A KR 1020230010931A KR 20230010931 A KR20230010931 A KR 20230010931A KR 102561652 B1 KR102561652 B1 KR 102561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partition wall
space
steam generat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0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수
이용기
Original Assignee
정인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인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10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652B1/ko
Priority to JP2023055433A priority patent/JP7478278B1/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8Instantaneous electrical steam generators built-up from heat-exchange elements arranged within a confined chamber having heat-retaining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1/00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 F22B21/22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water tubes of form other than straight or substantially straight
    • F22B21/30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water tubes of form other than straight or substantially straight bent in U-loop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003Feed-water heat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서, 서로 이격된 소정 길이의 하부 직선 구간(30a)과 상부 직선 구간(30b) 및 이를 연결하는 곡선 구간(30c)으로 구성된 히터(30); 상기 히터와 동일 형상이며 히터의 외부를 둘러싸는 히터 수용관(12), 상기 히터 수용관의 양쪽 개방 단부에 부착된 커버 플레이트(11), 상기 히터 수용관의 하부 직선 구간과 상부 직선 구간 사이에 배치된 수평 격벽(13), 및 상기 히터 수용관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돌출 형성된 방열핀을 포함하는 히팅 모듈(10); 및 상기 히팅 모듈(10)을 둘러싸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11)와 체결되는 케이스(2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1)에 제1 관통구(111) 및 제2 관통구(112)가 형성되고, 제1 관통구(111)를 통해 물을 상기 케이스(20) 내부의 공간으로 주입하고 제2 관통구(112)를 통해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스팀 발생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스팀 발생장치 {Steam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팀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팀 발생장치는 히터를 이용하여 스팀 발생장치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함으로써 스팀(증기)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세탁기, 건조기, 의류관리기, 청소기, 세정장치, 조리기기 등 가정용 및 산업용으로 각종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일반적으로 물을 저장하는 탱크 및 상기 탱크 내부에 구비되고 저장된 물과 직접 접촉하여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탱크 구조의 스팀 발생장치에서는 탱크 내부의 일부 공간에만 물을 채우고 가열하고 탱크의 나머지 공간은 스팀을 수용하는데 히터가 탱크의 전체 공간을 가열해야 하므로 효율적이고 컴팩트한 장치 구조가 아니었다.
선행문헌1: 한국 공개특허 제2010-0112967호 (2010년 10월 20일 공개) 선행문헌2: 한국 공개특허 제2011-0103135호 (2011년 9월 20일 공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저온의 물이 스팀 발생장치 내부 공간을 흐르면서 점차 가열된 후 스팀이 발생하도록 구성하고 스팀이 저온의 물로 인해 다시 응축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고 컴팩트한 장치 구조를 제공하는 스팀 발생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 발생장치로서, 서로 이격된 소정 길이의 하부 직선 구간(30a)과 상부 직선 구간(30b) 및 이를 연결하는 곡선 구간(30c)으로 구성된 히터(30); 상기 히터와 동일 형상이며 히터의 외부를 둘러싸는 히터 수용관(12), 상기 히터 수용관의 양쪽 개방 단부에 부착된 커버 플레이트(11), 상기 히터 수용관의 하부 직선 구간과 상부 직선 구간 사이에 배치된 수평 격벽(13), 및 상기 히터 수용관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돌출 형성된 방열핀을 포함하는 히팅 모듈(10); 및 상기 히팅 모듈(10)을 둘러싸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11)와 체결되는 케이스(2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1)에 제1 관통구(111) 및 제2 관통구(112)가 형성되고, 제1 관통구(111)를 통해 물을 상기 케이스(20) 내부의 공간으로 주입하고 제2 관통구(112)를 통해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스팀 발생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온의 물이 스팀 발생장치 내부 공간을 흐르면서 점차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스팀이 저온의 물로 인해 다시 응축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고 장치의 컴팩트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 발생장치 내부에서 하류로 갈수록 방열핀의 길이가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하여 내부 공간의 부피가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함으로써 스팀의 압력이 스팀 발생장치 내부에서 지나치게 상승하지 않도록 하여 장치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적 이점을 가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장치의 사시도,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모듈의 사시도,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사시도,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장치 내의 유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길이, 두께, 넓이 등의 수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을 포함한다', '~으로 구성된다', 및 '~으로 이루어진다'라는 표현은 이 표현에서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를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장치의 사시도, 도2는 스팀 발생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3은 스팀 발생장치의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4는 히팅 모듈의 사시도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6은 스팀 발생장치 내의 유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장치는 히터(30), 히터(30)를 수용하는 히팅 모듈(10), 그리고 히팅 모듈(10)을 둘러싸는 케이스(20)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20)는 히팅 모듈(10)을 둘러싸며 히팅 모듈(10)의 커버 플레이트(11)와 체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케이스(20) 내부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케이스(20)의 밀폐력을 높이기 위해 케이스(20)와 커버 플레이트(11) 사이에 가스켓(50)이 개재될 수 있다.
케이스(20)는 히팅 모듈(10)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형상이며 케이스(20)의 한쪽 단부는 히팅 모듈(10)을 삽입하기 위한 개방 단부(21)이고 이와 대향하는 쪽은 폐쇄 단부(22)로 구성된다. 폐쇄 단부(22)는 히팅 모듈(10)의 형상에 대응하여 곡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폐쇄 단부(22)측에는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4)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 및 도2에 도시한 것처럼 케이스(20)가 곡면의 폐쇄 단부(22)측에 배출구(24)가 형성되고 배출구(24)에 물 배출관(43)이 연결되어 있어 스팀 발생장치 내부를 흐르는 물 중 일부를 필요에 따라 배출관(43)으로 배출할 수 있다.
히터(30)는 열원으로 동작하며 대략적으로 "U"자 형상을 갖는 부재이다. 도면에서는 U자 형상의 히터(30)가 90도 눕혀져서 "⊂"자 형상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히터(30)가 "⊂"자 형상으로 눕혀진 상태를 기준으로 스팀 발생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2에 도시한 것처럼 히터(30)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소정 길이의 하부 직선 구간(30a)과 상부 직선 구간(30b),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곡선 구간(30c)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30)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전기 히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히터(3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이 공간으로 고온의 열매체가 흐름으로써 열을 발생할 수도 있다.
히팅 모듈(10)은 히터(30)를 수용하며 다수의 방열핀을 구비한 부재이다. 일 실시예에서 히팅 모듈(10)은 커버 플레이트(11), 히터 수용관(12), 수평 격벽(13), 보조 격벽(14), 방열핀(15, 16, 17, 18), 가이드 격벽(12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히팅 모듈(10)은 주조 등의 방식에 의해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구성요소들이 각각 별개로 제작된 후 체결되어 히팅 모듈(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히터 수용관(12)은 히터(30)의 외부를 둘러쌈으로써 히터(30)를 수용하는 부재이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 수용관(12)은 내부가 비어 있고 히터(30)와 동일한 “U”자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즉 히터 수용관(12) 역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소정 길이의 하부 직선 구간과 상부 직선 구간,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곡선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 수용관(12)은 금속이나 합금 등의 열전도성 재질로 구성되고 히터(30)와 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는 것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물리적으로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제1 부재의 열이 제2 부재로 전달될 수 있도록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커버 플레이트(11)는 히팅 모듈(10)의 일 측에 배치되되 히터 수용관(12)의 동일 방향을 향하는 양쪽 개방 단부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즉 도2에 도시한 것처럼 "⊂"자 형상의 히터 수용관(12)의 하부 개방 단부(12a)와 상부 개방 단부(12b)가 동일하게 오른쪽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이 개방 단부(12a, 12b)가 커버 플레이트(11)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11)와 연결된 히터 수용관(12)의 각 개방 단부(12a, 12b)는 커버 플레이트(11)를 관통한 상태로 개방되어 있고, 따라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30)의 양 단부가 히터 수용관(12)의 각 개방 단부(12a, 12b)와 커버 플레이트(11)에서 약간 더 돌출한 상태로 히터 수용부(12)에 수용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11)는 제1 관통구(111) 및 제2 관통구(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 주입관(41)이 제1 관통구(111)에 부착되고 물 주입관(41)을 통해 외부로부터 물을 스팀 발생장치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스팀 배출관(42)이 제2 관통구(112)에 부착되고 스팀 발생장치 내부의 스팀을 스팀 배출관(42)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11)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수용부(117)에는 예컨대 온도센서 또는 과열방지 센서 등을 설치할 수 있고, 이러한 센서를 통해 스팀 발생장치 내부의 수온 또는 스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히팅 모듈(10)은 스팀 발생장치 내부를 하부 공간(S1)과 상부 공간(S2)으로 구획하는 수평 격벽(13)을 더 포함한다. 수평 격벽(13)은 히터 수용관(12)의 하부 직선 구간과 상부 직선 구간 사이에 배치된다. 수평 격벽(13)의 일 단부(도면에서 왼쪽 단부)는 히터 수용관(12)의 곡선 구간 또는 이 곡선 구간 주위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격벽(125)에 일체로 연결되고 수평 격벽(13)의 타 단부(도면에서 오른쪽 단부)는 커버 플레이트(11)에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수평 격벽(13)이 히터 수용관(12)의 곡선 구간을 관통하여 형성되지는 않으므로 하부 공간(S1)과 상부 공간(S2)이 히터 수용관(12)의 곡선 구간을 둘러싸는 공간(이하 '연결 공간'(S3)이라 함)을 통해 연통한다. 즉 하부 공간(S1)의 유체가 연결 공간(S3)을 거쳐 상부 공간(S2)으로 흐르게 된다.
수평 격벽(13)의 측면에는 수평 격벽(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돌출 높이의 돌출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3)는 도5에 도시한 케이스(20) 내부의 오목홈(25)과 맞물려 밀폐되는 구조이며, 따라서 케이스(20) 내부로 히팅 모듈(10)이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내부의 하부 공간(S1)과 상부 공간(S2) 사이에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두 공간을 확실히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돌출부(131)와 오목홈(25)이 반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수평 격벽(13)의 측면을 따라 오목홈이 형성되고 케이스(20)의 내부에 상기 오목홈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수평 격벽(13)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따라 수평 격벽(13)과 상하 방향으로 소정 이격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보조 격벽(14)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격벽(14)은 수평 격벽(13)의 아래쪽 또는 위쪽에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보조 격벽(14)의 일 단부는 수평 격벽(13)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방열핀(15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연결되고 보조 격벽(14)의 타 단부는 커버 플레이트(11)에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보조 격벽(14)이 수평 격벽(13)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고 보조 격벽(14)의 일 단부는 수평 격벽(13)에서 하방으로 돌출한 방열핀(15 또는 16)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커버 플레이트(11)에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조 격벽(14)은 커버 플레이트(11)로부터 시작하여 수평 격벽(13)의 대략 1/3 내지 1/2 사이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조 격벽(14)의 존재로 인해 수평 격벽(13)과 보조 격벽(14) 사이에 이격 공간(135)이 형성되며 이격 공간(135)은 스팀 발생장치 내부의 하부 공간(S1)과 상부 공간(S2)이 직접 접하지 않도록 완충 영역을 제공한다. 즉 보조 격벽(14) 및 이로 인해 형성된 이격 공간(135)은 상부 공간(S2)의 고온의 스팀이 하부 공간(S1)의 저온의 물로 인해 다시 물로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전도 방지 격벽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히팅 모듈(10)은 열전도율 향상을 위해 히터 수용관(12)의 하부 직선 구간과 상부 직선 구간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다수의 방열핀(15 내지 18) 및 히터 수용관(12)의 곡선 구간에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격벽(125)을 포함하며, 물 주입관(41)을 통해 스팀 발생장치 내부로 주입된 물이 다수의 방열핀(15 내지 18)과 가이드 격벽(125)에 접촉하고 부딪히며 흐름에 따라 히터(30)로부터 발열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히터 수용관(12)의 하부 직선 구간에 걸쳐 복수개의 제1 방열핀(15)과 제2 방열핀(16)이 히터 수용관(12)의 표면에서 서로 번갈아 가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 방열핀(15)은 히터 수용관(12)의 표면에서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되 상단부(15a)는 수평 격벽(13)으로부터(또는 보조 격벽(14)이 형성된 경우 보조 격벽(14)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제1 방열핀(15)의 하단부는 케이스(20)의 내부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방열핀(16)은 히터 수용관(12)의 표면에서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되 하단부(16a)는 케이스(20)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상단부는 수평 격벽(13)(또는 보조 격벽(14)이 형성된 경우 보조 격벽(14))에 밀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히터 수용관(12)의 상부 직선 구간에는 복수개의 제1 방열핀(17)과 제2 방열핀(18)이 히터 수용관(12)의 표면에서 서로 번갈아 가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 방열핀(17)은 히터 수용관(12)의 표면에서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되 하단부(17a)는 수평 격벽(13)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제1 방열핀(17)의 상단부는 케이스(20)의 내부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방열핀(18)은 히터 수용관(12)의 표면에서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되 상단부(18a)는 케이스(20)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하단부는 수평 격벽(13)에 밀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히팅 모듈(10)은 히터 수용관(12)의 곡선 구간에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격벽(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격벽(125)은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히터 수용관(12)의 표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다수의 가이드 격벽(125)의 각각이 히터 수용관(12)의 곡선 구간에서 유로의 상류에서 하류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된다. 이 때 본 명세서에서 '상류'와 '하류'는 유체의 흐름 방향에 따른 용어로서, 예를 들어 물 주입관(41)을 통해 스팀 발생장치의 하부 공간(S1)으로 주입된 물이 연결 공간(S3)을 거쳐 상부 공간(S2)으로 흐르게 되고, 이 때 하부 공간(S1)이 상류이고 상부 공간(S2)이 하류가 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부 공간(S2)에 형성된 방열핀(17, 18)의 개방 단부의 히터 수용관(12) 표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하류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방열핀(17, 18)의 '개방 단부'는 수평 격벽(13)이나 케이스(20)의 내부면과 접촉하지 않고 이들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단부로서, 제1 방열핀(17)의 개방 단부는 하단부(17a)이고 제2 방열핀(18)의 개방 단부는 상단부(18a)이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 공간(S2)의 개방 단부(17a, 18a)들이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히터 수용관(12) 표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점차 줄어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 발생장치 내부로 주입된 물이 하류로 갈수록 점차 가열되어 스팀(증기)으로 변하는데 물이 증기화 되면서 체적이 급속도로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스팀 발생장치 내부에서도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방열핀(17,18)의 길이가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하여 내부 공간의 부피가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함으로써 스팀의 압력이 스팀 발생장치 내부에서 지나치게 상승하지 않도록 하여 장치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히팅 모듈 11: 커버 플레이트
12: 히터 수용관 13: 수평 격벽
14: 보조 격벽 15, 16, 17, 18: 방열핀
20: 케이스 30: 히터

Claims (6)

  1. 스팀 발생장치로서,
    서로 이격된 소정 길이의 하부 직선 구간(30a)과 상부 직선 구간(30b) 및 이를 연결하는 곡선 구간(30c)으로 구성된 히터(30);
    상기 히터와 동일 형상이며 히터의 외부를 둘러싸는 히터 수용관(12), 상기 히터 수용관의 양쪽 개방 단부에 부착된 커버 플레이트(11), 상기 히터 수용관의 하부 직선 구간과 상부 직선 구간 사이에 배치된 수평 격벽(13), 및 상기 히터 수용관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돌출 형성된 방열핀을 포함하는 히팅 모듈(10); 및
    상기 히팅 모듈(10)을 둘러싸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11)와 체결되는 케이스(20);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발생장치의 내부가, 상기 수평 격벽(13)에 의해 아래쪽과 위쪽으로 나뉘어진 하부 공간(S1)과 상부 공간(S2), 및 상기 히터 수용관의 곡선 구간이 위치하며 상기 하부 공간과 상부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 공간(S3)으로 구획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11)는 상기 하부 공간(S1)과 연통하는 제1 관통구(111) 및 상기 상부 공간(S2)과 연통하는 제2 관통구(112)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공간(S2)의 히터 수용관의 표면에 다수의 제1 방열핀(17)과 제2 방열핀(18)이 번갈아 돌출 형성되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제1 및 제2 방열핀(17,18)의 돌출 높이가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히팅 모듈(10)은 상기 수평 격벽(13)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따라 수평 격벽(13)과 소정 이격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형성된 보조 격벽(14)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 격벽(13)과 보조 격벽(14) 사이에 이격 공간(1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관통구(111)로 주입된 물이 하부 공간(S1), 연결 공간(S3), 및 상부 공간(S2)을 통과하는 유로를 따라 이동하며 가열된 후 제2 관통구(112)를 통해 스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모듈(10)이 상기 하부 공간(S1)의 히터 수용관의 표면에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제1 방열핀(15)과 제2 방열핀(16)을 포함하되 제1 방열핀(15)과 제2 방열핀(16)은 상기 유로를 따라 번갈아 배치되고,
    제1 방열핀(15)의 상단부(15a)는 수평 격벽(13)으로부터 이격되고 하단부가 케이스(20)에 밀착되며 제2 방열핀(16)의 하단부(16a)는 케이스(20)로부터 이격되고 상단부가 수평 격벽(13)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방열핀(17)의 하단부(17a)는 수평 격벽(13)으로부터 이격되고 상단부가 케이스(20)에 밀착되며 제2 방열핀(18)의 상단부(18a)는 케이스(20)로부터 이격되고 하단부가 수평 격벽(13)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모듈(10)이 상기 연결 공간(S3)의 히터 수용관의 표면에서 상기 유로의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격벽(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30)가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전기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발생장치.
KR1020230010931A 2023-01-27 2023-01-27 스팀 발생장치 KR102561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931A KR102561652B1 (ko) 2023-01-27 2023-01-27 스팀 발생장치
JP2023055433A JP7478278B1 (ja) 2023-01-27 2023-03-30 スチーム発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931A KR102561652B1 (ko) 2023-01-27 2023-01-27 스팀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652B1 true KR102561652B1 (ko) 2023-08-01

Family

ID=8756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0931A KR102561652B1 (ko) 2023-01-27 2023-01-27 스팀 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478278B1 (ko)
KR (1) KR1025616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2967A (ko) 2009-04-10 2010-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110103135A (ko) 2010-03-12 2011-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JP2015178718A (ja) * 2014-03-19 2015-10-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用流体加熱装置
KR20180075777A (ko) * 2016-12-26 2018-07-05 우리산업 주식회사 유체 가열용 히터 조립체
KR20180099836A (ko) * 2016-02-08 2018-09-05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U 튜브 열 교환기
KR20220144188A (ko) *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제이엠이 전기량을 조절하는 히팅 발열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0627B2 (ja) 2018-08-23 2022-1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過熱蒸気発生装置及び調理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2967A (ko) 2009-04-10 2010-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110103135A (ko) 2010-03-12 2011-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JP2015178718A (ja) * 2014-03-19 2015-10-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用流体加熱装置
KR20180099836A (ko) * 2016-02-08 2018-09-05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U 튜브 열 교환기
KR20180075777A (ko) * 2016-12-26 2018-07-05 우리산업 주식회사 유체 가열용 히터 조립체
KR20220144188A (ko) *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제이엠이 전기량을 조절하는 히팅 발열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78278B1 (ja)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276B1 (ko) 열교환기
US10106013B2 (en) Heat exchanger arrangement
KR102561652B1 (ko) 스팀 발생장치
ITRM970801A1 (it)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a piu' cilindri con raffreddamento a liquido
US9145802B2 (en) Heat exchanger
KR200473452Y1 (ko) 열매체전기보일러
US308197A (en) Beenhabd eobeb
KR101188821B1 (ko) 열교환기
KR20090058263A (ko) 고주파 가열 보일러
KR20120057007A (ko) 소형 온수보일러의 온수 가열장치
KR20210086431A (ko) 열교환기 유닛 및 그 제작방법
US9578687B2 (en) Continuous-flow heater
CN109891611B (zh) 传热设备
KR100858353B1 (ko) 인덕션 보일러장치
RU2745325C1 (ru)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мгновенного действия с направляющей частью
KR101067789B1 (ko) 고주파 유도가열 전기보일러용 가열통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고주파 유도가열 전기보일러
JP2548969B2 (ja) 電気ボイラの製造方法
KR101977341B1 (ko) 밀림관을 구비한 일체형 원자로의 가압기 시스템
KR20090074844A (ko) 난방과 온수 라인이 구별된 카본섬유 히터 보일러
KR101412081B1 (ko) 열매체 전열 보일러
JP2947903B2 (ja) 潜熱蓄熱体
KR101042067B1 (ko)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KR100874843B1 (ko) 증기배출이 용이한 절전형 소형 온수보일러
KR20060116447A (ko) 유체 가열용 이중관
JP2022054181A (ja) 熱媒体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