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452Y1 - 열매체전기보일러 - Google Patents

열매체전기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452Y1
KR200473452Y1 KR2020140003058U KR20140003058U KR200473452Y1 KR 200473452 Y1 KR200473452 Y1 KR 200473452Y1 KR 2020140003058 U KR2020140003058 U KR 2020140003058U KR 20140003058 U KR20140003058 U KR 20140003058U KR 200473452 Y1 KR200473452 Y1 KR 200473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medium
space
heat
tank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용식
Original Assignee
양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용식 filed Critical 양용식
Priority to KR2020140003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4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4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 F24H7/04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 F24H7/0408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7/0433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the transfer medium be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15Guiding means in wate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24H9/133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1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8Expansion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열매체전기보일러에 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열매체전기보일러는 열매체유가 저장되는 열매체공간을 형성하고 양단부에 각각 연통홀부가 개구되는 수평 원통 형상의 열매체유탱크와, 열매체유탱크의 내부에 구비되어 열매체유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공급수가 저장되는 공급공간을 형성하고 열매체유탱크의 일측에 개구된 연통홀부에 결합되는 공급탱크와, 열매체유탱크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급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열매체유탱크의 타측에 개구된 연통홀부에 결합되는 저장탱크와, 열매체공간과 공급공간을 구획함은 물론 열매체공간과 저장공간을 구획하도록 연통홀부를 밀폐하는 고정플레이트와 공급공간과 저장공간을 연결하여 공급수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열교환라인을 포함하는 열교환부 및 열매체공간의 팽창과 수축에 따른 변화를 흡수시키는 팽창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매체전기보일러{ELECTRIC BOILER USING HEAT MEDIUM OIL}
본 고안은 열매체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 대류 현상에 의한 열매체유의 순환을 이용하여 낮은 압력에서도 에너지효율을 증대시키고, 저전력 고효율로 고온의 공급수를 얻을 수 있으며, 공급수의 온도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열매체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일러는 연탄, 기름, 가스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버너에서 연소시켜 그 열기를 다수 개의 연관을 통해 회열부와 배연부를 거쳐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고, 이때 버너의 열기가 연소실과 연관을 통해 회열부와 배연부를 거치면서 수조의 물로 전달시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기존에 사용되는 연탄, 기름, 가스 등을 이용하는 보일러는 소비되는 연료에 비해 열교환에 의해 온수로 이용되는 비율이 낮아 열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이용해 열매체를 이용한 보일러가 소개되기는 하였지만, 열효율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은 물론 공급수에 대한 온도 조절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소개되지 않아 실생활에 이용하기에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4746호(2011. 03. 09. 공개, 발명의 명칭 : 열매체를 이용한 온수보일러)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연 대류 현상에 의한 열매체유의 순환을 이용하여 낮은 압력에서도 에너지효율을 증대시키고, 저전력 고효율로 고온의 공급수를 얻을 수 있으며, 공급수의 온도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열매체전기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열매체전기보일러는 열매체유가 저장되는 열매체공간을 형성하고, 양단부에 각각 연통홀부가 개구되는 수평 원통 형상의 열매체유탱크; 상기 열매체유탱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매체유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공급수가 저장되는 공급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열매체유탱크의 일측에 개구된 상기 연통홀부에 결합되는 공급탱크; 상기 열매체유탱크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상기 공급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열매체유탱크의 타측에 개구된 상기 연통홀부에 결합되는 저장탱크; 상기 열매체공간과 상기 공급공간을 구획함은 물론 상기 열매체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연통홀부를 밀폐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공급수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열교환라인을 포함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열매체공간의 팽창과 수축에 따른 변화를 흡수시키는 팽창탱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통홀부의 중심은 상기 열매체공간의 중심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라인은,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을 연결하는 이송라인부; 상기 이송라인부의 양단부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각각 고정시키는 밀착부; 및 상기 이송라인부의 양단부 중 적어도 상기 공급공간과 연결되는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라인부의 단부를 향해 직경이 확장되는 축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매체공간에 복수 개가 이격 구비되고, 상기 이송라인부가 관통 고정되는 방열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열매체유탱크 내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순환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열매체전기보일러는 열매체유탱크 내부에서 열매체유가 자연 대류 현상으로 순환함에 따라 낮은 압력에서도 에너지효율을 증대시키고, 저전력 고효율로 고온의 공급수를 얻을 수 있으며, 공급수의 온도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공급공간과 저장공간을 통해 공급수의 순환에 따른 버퍼 역할을 수행하여 공급수의 온도 조절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공급탱크와 저장탱크의 결합 구조 및 열교환부의 세부 구성 을 통해 열매체공간을 안정되게 밀폐시켜 열매체유탱크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열매체유탱크에서 열매체유의 누설을 방지하며, 가열되는 열매체유의 압력을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열교환부의 위치를 한정함으로써, 열매체유의 자연 대류 현상과 맞물려 열교환부에서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키고, 동일 온도 조건으로 가열된 열매체유를 이용하여 이송라인부의 공급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열교환라인의 세부 구성을 통해 공급공간 내에서 공급수의 난류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공급수의 이송 과정에서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공급수의 이송과 가열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열교환라인의 세부 구성을 통해 공급공간으로부터 저장공간으로의 공급수 이송을 원활하게 하고, 이송라인부에서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방열플레이트 또는 순환가이드를 통해 열매체공간에서 가열되는 열매체유의 자연 대류 경로를 형성하고, 열매체유와 공급수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방열플레이트 또는 순환가이드를 통해 열매체공간에서 가열되는 열매체유의 산화를 방지하고, 열매체유의 자연 대류 현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매체전기보일러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매체전기보일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매체전기보일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매체전기보일러에서 열매체유탱크의 내부 상태를 도시한 단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매체전기보일러에서 열교환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열매체전기보일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매체전기보일러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매체전기보일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매체전기보일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매체전기보일러에서 열매체유탱크의 내부 상태를 도시한 단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매체전기보일러에서 열교환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매체전기보일러는 열매체유탱크(20)의 열매체공간(21)에서 가열되는 열매체유의 자연 대류 현상으로 공급수를 가열하여 낮은 압력에서도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고, 저전력 고효율로 고온의 공급수를 얻을 수 있으며, 공급수의 온도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매체전기보일러는 열매체유탱크(20)와, 가열수단(30)과, 공급탱크(40)와, 저장탱크(50)와, 열교환부(60)와, 팽창탱크(70)를 포함하고, 열매체유교환탱크(100)와, 보충수탱크(110)를 더 포함하며, 방열기(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매체유탱크(20)는 수평 원통 형상으로 열매체유가 저장되는 열매체공간(21)을 형성한다.
열매체유탱크(20)의 양단부에는 각각 연통홀부(25)가 개구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매체유탱크(20)의 측면에서 보면, 연통홀부(25)의 중심은 열매체유탱크(20)의 중심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따라 연통홀부(25)의 위치를 통해 열교환부(60)의 위치를 한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열매체유탱크(20)의 내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순환가이드(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순환가이드(22)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순환가이드(22)는 원주 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순환가이드(22)를 통해 열매체공간(21)에서 열매체유의 난류 현상을 방지하고, 열매체유탱크(20)의 진동을 억제하며, 열매체유의 가열 온도를 고르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열매체유탱크(20)의 외주면에는 단열부(23)가 적층 설치됨으로써, 가열된 열매체유 또는 열매체유탱크(20)에서 열이 발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통홀부(25)의 둘레에는 제1플랜지(26)를 구비함으로써, 공급탱크(40)와 저장탱크(50)와 열교환부(60)의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열매체유탱크(20)의 상부에는 가열된 열매체유의 온도를 감지 또는 표시하는 온도센서(28)가 구비됨으로써, 열매체유의 온도 변화를 감시할 수 있고, 열매체유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열매체유탱크(20)는 바디(10)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이격 지지된다. 바디(10)는 종횡으로 배열되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바디(10)의 하단에는 바퀴(11)를 구비하여 바디(1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디(10)의 하단에는 바디지지부(13)를 구비하여 바디(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바퀴(11)와 바디지지부(13)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바퀴(11)와 바디지지부(13)를 선택할 수 있다.
가열수단(30)은 열매체유탱크(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열매체유를 가열한다. 가열수단(30)은 인가되는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부(31)와, 전원부(31)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으로 열매체유를 가열하는 전열히터부(33)와, 전열히터부(33)의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발산하도록 전열히터부(33)를 감싸는 열전도부(35)를 포할 수 있다.
여기서, 열전도부(35)는 전열히터부(33)와 열매체유를 분리시키고, 전열히터부(33)의 열에 의해 열매체유가 산화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열히터부(33)와 열매체유탱크(20) 사이에는 단열층(미도시)이 삽입됨으로써, 전열히터부(33)의 열에 의해 열매체유탱크(20)의 물성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고, 열매체유탱크(20)의 파손을 방지하며, 전열히터부(33)의 열을 열전도부(35)로 안정되게 유도할 수 있다.
공급탱크(40)는 공급수가 저장되는 공급공간(41)을 형성한다. 공급탱크(40)는 일측이 개구되어 열매체유탱크(20)의 일측에 개구된 연통홀부(25)에 결합된다. 이때, 개구된 공급탱크(40)의 일측에는 둘레에 제2플랜지(46)를 구비함으로써, 제1플랜지(26)와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제1플랜지(26)와 제2플랜지(46) 사이에는 기밀부재(80)를 삽입함으로써,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급탱크(40)에는 공급수가 공급되는 주입구(43)가 공급공간(4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공급탱크(40)의 공급공간(41)은 공급수가 저장되면서 버퍼 역할을 수행하여 연통홀부(25)로 전달되는 열매체공간(21)의 압력을 흡수할 수 있고, 열매체유탱크(20)를 보호할 수 있다.
저장탱크(50)는 열매체유탱크(2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급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51)을 형성한다. 저장탱크(50)는 일측이 개구되어 열매체유탱크(20)의 타측에 개구된 연통홀부(25)에 결합된다. 이때, 개구된 저장탱크(50)의 일측에는 둘레에 제3플랜지(56)를 구비함으로써, 제1플랜지(26)와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제1플랜지(26)와 제3플랜지(56) 사이에는 기밀부재(80)를 삽입함으로써,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장탱크(50)에는 공급수가 배출되는 배출구(53)가 저장공간(5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저장탱크(50)의 저장공간(51)은 공급수가 저장되면서 버퍼 역할을 수행하여 연통홀부(25)로 전달되는 열매체공간(21)의 압력을 흡수할 수 있고, 열매체유탱크(20)를 보호할 수 있다.
열교환부(60)는 공급공간(41)과 저장공간(51) 사이에서 공급수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고, 가열수단(30)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유와 공급수가 열교환되어 공급수를 가열한다. 열교환부(60)는 고정플레이트(65)와, 열교환라인(61)을 포함하고, 방열플레이트(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65)는 열매체공간(21)과 공급공간(41)을 구획함은 물론 열매체공간(21)과 저장공간(51)을 구획하도록 열매체유탱크(20)의 연통홀부(25)를 밀폐한다. 고정플레이트(65)에는 열교환라인(61)이 관통 고정되어 공급수가 열교환라인(61)으로 통해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일예로, 고정플레이트(65)는 제1플랜지(26)와 제2플랜지(46) 사이에 기밀부재(80)를 매개로 삽입되어 연통홀부(25)를 밀폐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고정플레이트(65)는 연통홀부(25) 또는 공급탱크(40)의 개구부 또는 저장탱크(50)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용접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65)는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열매체공간(21)과 공급공간(41)을 구획함은 물론 열매체공간(21)과 저장공간(51)을 구획할 수 있고, 열매체유탱크(20)의 연통홀부(25)를 밀폐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열교환라인(61)은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공급공간(41)과 저장공간(51)을 연결하고, 공급수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열교환라인(61)은 이송라인부(64)와, 밀착부(62)와, 축소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라인부(64)는 양단부가 고정플레이트(65)에 고정되어 공급공간(41)과 저장공간(51)을 연결한다. 밀착부(62)는 이송라인부(64)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이송라인부(64)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플레이트(65)에 고정시킨다. 축소부(63)는 이송라인부(64)의 단부를 향해 직경이 확장된다. 축소부(63)는 이송라인부(64)의 양단부 중 공급공간(41)과 연결되는 단부에 형성됨으로써, 공급공간(41) 내에서 공급수의 난류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축소부(63)는 이송라인부(64)의 양단부 중 저장공간(51)과 연결되는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축소부(63)는 이송라인부(64)의 양단부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방열플레이트(66)는 이송라인부(64)가 관통 고정되도록 열매체공간(21)에 복수 개가 이격 구비된다. 방열플레이트(66)는 별도의 지지부재(미도시) 또는 상술한 순환가이드(22)를 통해 열매체유탱크(20)의 열매체공간(21)에서 지지될 수 있다.
팽창탱크(70)는 열매체공간(21)의 팽창과 수축에 따른 변화를 흡수시킨다. 팽창탱크(70)는 열매체유탱크(2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열매체공간(21)의 열매체유 수두압을 일정 범위로 제어하는 것으로,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팽창탱크(70)로 구성될 수 있다.
팽창탱크(70)에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 또는 표시하는 압력게이지(P)와, 팽창탱크(70) 내에서의 열매체유 수위 변화를 감지 또는 표시하는 레벨게이지(LL, LH)가 설치될 수 있다. 레벨게이지(LL, LH)는 열매체유의 저수위를 감지 또는 표시하는 저수위게이지(LL)와, 열매체유의 고수위를 감지 또는 표시하는 고수위게이지(LH)로 구분할 수 있다.
열매체유교환탱크(100)는 새로운 열매체유를 저장한다. 열매체유교환탱크(100)는 급유라인(101)을 통해 열매체유탱크(20)와 연결된다.
열매체유탱크(20)의 열매체유가 반복 가열됨에 따라 열매체유을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열매체유탱크(20)에 연결된 배유라인(103)을 통해 열매체유탱크(20)의 열매체공간(21)에 저장된 열매체유를 배출시키고, 열매체유교환탱크(100)의 새로운 열매체유를 열매체유탱크(20)의 열매체공간(21)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급유라인(101)과 배유라인(103)에는 각각 개폐밸브(90)가 구비되어 급유라인(101)과 배유라인(103)을 각각 개폐할 수 있다.
보충수탱크(110)는 새로운 공급수가 저장된다. 보충수탱크(110)는 보충수라인(111)을 통해 공급탱크(40)와 연결된다. 보충수라인(111)은 후술하는 회수라인(123)과 연결될 수 있다.
열매체전기보일러(B)를 순환하면서 공급수가 누설되는 것과 같이 공급수가 부족해지는 경우, 보충수탱크(110)에 저장된 새로운 공급수를 공급탱크(40)에 공급하여 공급수를 보충시킬 수 있다. 보충수라인(111)에는 개폐밸브(90)가 구비되어 보충수라인(111)을 개폐할 수 있다.
방열기(120)는 가열된 공급수가 순환하면서 가열된 공급수의 열을 발산시킨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21은 저장탱크(50)와 방열기(120)를 연결하여 가열된 공급수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공급라인(121)이며, 미설명부호 123은 방열기(120)와 공급탱크(40)를 연결하여 방열기(120)에서 배출되는 공급수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회수라인(123)이다. 회수라인(123)은 상술한 보충수라인(111)과 연결될 수 있다.
공급라인(121)과 회수라인(123)에는 각각 개폐밸브(90)가 구비되어 공급라인(121)과 회수라인(123)을 각각 개폐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매체전기보일러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열매체유탱크(20)의 열매체공간(21) 전체와, 팽창탱크(70)의 일부에는 열매체유가 충전된다. 그리고, 공급탱크(40)와 열교환라인(61)과 저장탱크(50)와 방열기(120)와 공급라인(121)과 회수라인(123)에는 공급수가 충전된다.
그리고 가열수단(30)을 통해 열매체유탱크(20)의 열매체공간(21)에서 열매체유를 가열하면, 가열된 열매체유는 열매체공간(21)에서 자연 대류를 통해 순환하면서 열교환부(60)의 열교환라인(61)을 가열하고, 이에 따라 열교환라인(61)의 공급수가 가열된다.
공급라인(121)과 회수라인(123)의 개폐밸브(90)를 개방한 다음, 별도의 순환모터(미도시)를 통해 공급수를 순환시키면, 열교환라인(61)의 가열된 공급수는 저장탱크(50)의 저장공간(51)에 저장되었다가 공급라인(121)을 통해 방열기(120)로 이동하여 가열된 공급수의 열을 발산하고, 회수라인(123)을 거쳐 공급탱크(40)의 공급공간(41)에 저장된다. 공급탱크(40)의 공급공간(41)에 저장된 공급수는 다시 열교환라인(61)으로 이동하여 가열되고, 저장탱크(50)의 저장공간(51)에 저장되면서 반복 순환된다.
이때, 팽창탱크(70)를 통해 열매체공간(21) 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보충수라인(111)의 개폐밸브(90)를 개방하면, 부족한 공급수를 보충할 수 있다.
또한, 반복 가열에 따라 열매체유탱크(20)에서 열매체유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배유라인(103)을 개방하여 열매체공간(21)에 저장된 열매체유를 배출시키고, 배유라인(103)의 개폐밸브(90)를 폐쇄한 다음, 급유라인(101)의 개폐밸브(90)를 개방하여 열매체유교환탱크(100)에 저장된 열매체유를 열매체유탱크(20)의 열매체공간(21)에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열매체전기보일러(B)에 따르면, 열매체유탱크(20)의 열매체공간(21)에서 열매체유가 자연 대류 현상으로 순환함에 따라 낮은 압력에서도 에너지효율을 증대시키고, 저전력 고효율로 고온의 공급수를 얻을 수 있으며, 공급수의 온도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공급공간(41)과 저장공간(51)을 통해 공급수의 순환에 따른 버퍼 역할을 수행하여 열매체공간(21)의 압력을 조절하고, 공급수의 온도 조절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열교환부(6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열매체공간(21)을 안정되게 밀폐시켜 열매체유탱크(20)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열매체유탱크(20)에서 열매체유의 누설을 방지하며, 가열되는 열매체유의 압력을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열교환부(60)의 위치를 한정함으로써, 열매체유의 자연 대류 현상과 맞물려 열교환부(60)에서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키고, 동일 온도 조건으로 가열된 열매체유를 이용하여 이송라인부(64)의 공급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열교환라인(61)의 세부 구성을 통해 공급공간(41) 내에서 공급수의 난류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공급수의 이송 과정에서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공급수의 이송과 가열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열교환라인(61)의 세부 구성을 통해 공급공간(41)으로부터 저장공간(51)으로의 공급수 이송을 원활하게 하고, 이송라인부(64)에서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방열플레이트(66) 또는 순환가이드(22)를 통해 열매체공간(21)에서 가열되는 열매체유의 자연 대류 경로를 형성하고, 열매체유와 공급수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방열플레이트(66) 또는 순환가이드(22)를 통해 열매체공간(21)에서 가열되는 열매체유의 산화를 방지하고, 열매체유의 자연 대류 현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B: 열매체전기보일러 10: 바디 11: 바퀴
13: 바디지지부 20: 열매체유탱크 21: 열매체공간
22: 순환가이드 23: 단열부 25: 연통홀부
26: 제1플랜지 28: 온도센서 30: 가열수단
31: 전원부 33: 전열히터부 35: 열전도부
40: 공급탱크 41: 공급공간 43: 주입구
46: 제2플랜지 50: 저장탱크 51: 저장공간
53: 배출구 56: 제3플랜지 60: 열교환부
61: 열교환라인 62: 밀착부 63: 축소부
64: 이송라인부 65: 고정플레이트 66: 방열플레이트
70: 팽창탱크 P: 압력게이지 LL, LH: 레벨게이지
80: 기밀부재 90: 개폐밸브 100: 열매체유교환탱크
101: 급유라인 103: 배유라인 110: 보충수탱크
111: 보충수라인 120: 방열기 121: 공급라인
123: 회수라인

Claims (3)

  1. 열매체유가 저장되는 열매체공간을 형성하고, 이 열매체유탱크 내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순환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며, 양단부에 각각 연통홀부가 개구되는 수평 원통 형상의 열매체유탱크;
    상기 열매체유탱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매체유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공급수가 저장되는 공급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열매체유탱크의 일측에 개구된 상기 연통홀부에 결합되는 공급탱크;
    상기 열매체유탱크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상기 공급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열매체유탱크의 타측에 개구된 상기 연통홀부에 결합되는 저장탱크;
    상기 열매체공간과 상기 공급공간을 구획함은 물론 상기 열매체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연통홀부를 밀폐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공급수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열교환라인을 포함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열매체공간의 팽창과 수축에 따른 변화를 흡수시키는 팽창탱크; 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홀부의 중심은 상기 열매체공간의 중심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열교환라인은,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을 연결하는 이송라인부;
    상기 이송라인부의 양단부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각각 고정시키는 밀착부; 및
    상기 이송라인부의 양단부 중 적어도 상기 공급공간과 연결되는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라인부의 단부를 향해 직경이 확장되는 축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전기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매체공간에 복수 개가 이격 구비되고, 상기 이송라인부가 관통 고정되는 방열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전기보일러.
  3. 삭제
KR2020140003058U 2014-04-16 2014-04-16 열매체전기보일러 KR200473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058U KR200473452Y1 (ko) 2014-04-16 2014-04-16 열매체전기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058U KR200473452Y1 (ko) 2014-04-16 2014-04-16 열매체전기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452Y1 true KR200473452Y1 (ko) 2014-07-04

Family

ID=5199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058U KR200473452Y1 (ko) 2014-04-16 2014-04-16 열매체전기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45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9317A (zh) * 2016-01-15 2016-04-20 苏州泰盛新绿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排气的导热油循环装置
CN110440441A (zh) * 2019-08-27 2019-11-12 广州立奔杯业有限公司 一种用于重沸器的新型控温水箱
CN111076424A (zh) * 2019-12-11 2020-04-28 宁夏泰富能源有限公司 一种用于汽柴油项目的导热油炉系统
CN111998534A (zh) * 2020-08-28 2020-11-27 洛阳理工学院 一种导热油加热装置
CN114526549A (zh) * 2022-01-25 2022-05-24 山东威明盛达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富氢燃料油的制备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773A (ko) * 2009-10-07 2011-04-1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KR20130058095A (ko) * 2011-11-25 2013-06-04 조근제 양방향으로 히터봉이 설치되는 전기보일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773A (ko) * 2009-10-07 2011-04-1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KR20130058095A (ko) * 2011-11-25 2013-06-04 조근제 양방향으로 히터봉이 설치되는 전기보일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9317A (zh) * 2016-01-15 2016-04-20 苏州泰盛新绿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排气的导热油循环装置
CN110440441A (zh) * 2019-08-27 2019-11-12 广州立奔杯业有限公司 一种用于重沸器的新型控温水箱
CN111076424A (zh) * 2019-12-11 2020-04-28 宁夏泰富能源有限公司 一种用于汽柴油项目的导热油炉系统
CN111998534A (zh) * 2020-08-28 2020-11-27 洛阳理工学院 一种导热油加热装置
CN111998534B (zh) * 2020-08-28 2022-09-23 洛阳理工学院 一种导热油加热装置
CN114526549A (zh) * 2022-01-25 2022-05-24 山东威明盛达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富氢燃料油的制备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452Y1 (ko) 열매체전기보일러
JP5118500B2 (ja) 蓄熱容器
CN101392952B (zh) 取暖用自循环锅炉
KR100949609B1 (ko) 다중 순간가열 저탕식 보일러
KR100627720B1 (ko) 전기보일러의 구조
KR20090070462A (ko) 열 매체유를 이용한 보일러
KR20160117966A (ko) 보일러
KR101083633B1 (ko) 열처리수의 믹스를 이용한 열증폭기
KR100975755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
KR100976246B1 (ko) 보일러의 내부열을 이용한 온수공급장치가 구비된 저탕식 전기 보일러
KR20120013816A (ko) 보일러
KR20090096010A (ko) 보조공간부와 보조탱크를 설치한 절전형 소형 온수보일러의물탱크
JP2009264646A (ja) 液体加熱装置
KR101419680B1 (ko)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20140025881A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펜 코일 온풍기
JP5755963B2 (ja) 蓄熱給湯装置
KR101166771B1 (ko) 온수 보일러
KR20110015238A (ko) 고주파 유도가열 전기보일러용 가열통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고주파 유도가열 전기보일러
KR20090004807U (ko) 축열식 전기보일러
KR0160589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식 전기보일러
KR101011619B1 (ko)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온수 보일러
KR200364727Y1 (ko) 스팀가열식 전기보일러
KR101275463B1 (ko) 보일러
KR100862376B1 (ko) 보일러용 벙커씨유 예열보온장치
KR100696168B1 (ko) 열매체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