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589B1 -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식 전기보일러 - Google Patents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식 전기보일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60589B1 KR0160589B1 KR1019950013239A KR19950013239A KR0160589B1 KR 0160589 B1 KR0160589 B1 KR 0160589B1 KR 1019950013239 A KR1019950013239 A KR 1019950013239A KR 19950013239 A KR19950013239 A KR 19950013239A KR 0160589 B1 KR0160589 B1 KR 01605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medium oil
- heat storage
- heat medium
- tan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338 heat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53 supple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0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 F24H7/04—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 F24H7/0408—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7/0433—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the transfer medium being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83—Filling valves or arrangements for fil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24H1/52—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incorporating heat exchangers for domestic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1—Storage hea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식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축열탱크(10) 내부에 설치된 발열부(13)로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입력단자부(17)를 축열탱크(10) 상부에 배치하고, 열교환 탱크(20) 내에 배치된 나선형의 난방용 파이프 흡열부(21) 내측에 나선형 급탕용 파이프(22)를 이 난방용 파이프 흡열부(21)와 동심으로 인접배치되게 하고 그 급탕용 파이프(22)의 중심축방향으로는 고온의 열매체유 공급관(32)이 배치되어 고온 열매체유와 이에 인접하는 급탕용 파이프(22)와의 사이에 열전달 효율이 높도록 하며, 이 고온 열매체유 공급관(32)의 출구하단에는 이 열매체유 공급관(32)으로부터 유출되는 열매체유를 반사시켜 주는 반사판(33)이 설치되어 열교환 탱크(20) 내에 이미 채워진 열매체유와 새로 유입되는 열매체유가 자연적으로 교반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탱크내에서 열매체유의 온도평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원 OFF 시 열교환탱크(20)내에서 난방용 또는 급탕용 파이프(21)(22)와 열교환 한 후 냉각된 열매체유가 다시 축열탱크(10) 내부로 역류하지 않도록 열매체유의 공급관(32) 일부가 상측으로 절곡된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식 전기보일러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전기보일러 일부절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전기보일러를 그 내부구조가 나타나도록 절단도시한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로서, 난방용 및 급탕용 파이프와 열매체유와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종래 축열식 전기보일러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축열탱크 10a : 공간부
11a : 외측케이스 11b : 중간단열벽
11c : 내벽 12 : 전열기 파이프
13 : 발열부 13a : 핀(Fin)
14 : 받침대 15 : 유량검침기
16 : 열매체유 유입구 17 : 전원입력단자부
18 : 전원단자 덮개 19 : 팽창공기 흡수용 주름통
20 : 열교환탱크 21 : 난방용 배관의 흡열부
22 : 급탕용 파이프 23 : 난방수 순환펌프
24, 24a : 난방용 배관 25 : 보충수 탱크
26 : 솔레노이드 밸브 28 : 열매체유 환수관
28a : 절곡부 28b : 유출구멍
29 : 순환펌프 30 : 체크밸브
31 : 볼밸브 32 : 열매체유 공급관
32a : U형 절곡부 32b : 유출구멍
33 : 반사판 34 : 공기배출관
35 : 열교환탱크 온도감지기 36 : 열교환탱크 과열방지용 온도감지기
37 : 제어부 38 : 과열방지용 온도감지기
39 : 축열온도감지기 40a,40b : 열매체유 배출관
100 : 열교환탱크 101 : 난방용 파이프
102 : 급탕용 파이프 103 : 유입공
104 : 환수관 105 : 축열탱크
106a : 전원입력단자 107 : 축열매체저장공간
108,109 : 온도감지기 110 : 컨트롤 박스
본 발명은 열매체유을 이용한 축열식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열이 높은 액상의 열매체유를 축열탱크내에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축열시킨 후 이 축열된 고온의 열매체유를 수도관이 배치된 열교환 탱크 안으로 인출시켜 그 수도관의 물을 가열하도록 된 축열식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축열식 전기보일러를 본 발명의 출원전에 선출원하여 실용신안 공고 제92-5612호로 개시한 바 있는데, 이 선출원된 종래의 축열식 전기보일러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첫째 ; 열교환 탱크(100)내에서 난방용 또는 급탕용 파이프(101)(102) 내부의 물을 가열하게 되는 축열매체유는 그 열교환 탱크(100)의 상측에 형성된 유입공(103)을 통하여 유입되게 되어 있어 열매체유의 고온의 열이 난방 또는 급탕파이트(101)(102)내부의 물을 가열하는데 전부 사용되지 못하고 이미 채워져 있는 주위의 열매체유와 열교환 하는데 일부 이용됨으로써 효과적인 급탕이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둘째 ; 열교환탱크(100)내부에서 난방파이프(101)와 열교환을 하여 온도가 낮아진 축열매체유가 환수관(104)을 통해 곧바로 축열탱크(106) 내부로 재 유입도게 되어 있음으로써 이 냉각된 축열매체유가 축열탱크(105) 안의 축열매체유의 전체온도를 낮춤으로써 난방 또는 급탕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셋째 ; 열교환 탱크(100) 내에서 난방용 또는 급탕용 파이프(101)(102)와 열교환후 냉각된 축열매체유가 축열탱크(105)로 재유입될 때 단순히 흘러들게 되어 있음으로써 고온의 축열매체유에 골고루 섞이지 않아 고온의 축열매체유로 흡열하여 온도평형을 이루는데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고,
넷째 ; 축열탱크(105)에서 열교환 탱크(100)로 유입되는 고온의 축열매체유가 열교환탱크(100) 내부에 이미 채워진 열매체유와 교반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열교환 탱크(100) 내부의 전체 열매체유가 온도평행을 이루는데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다섯째 ; 축열매체유를 직접 가열하는 발열부(106)의 전원입력단자(106a)가 축열탱크(105)의 바닥면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있음으로써 이 전원입력단자(106a)의 둘레를 통하여 고온의 축열매체유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여섯째 ; 축열탱크(105) 내부의 열매체유가 적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어 이 열매체유의 상측의 내부공기가 팽창하는 경우, 축열탱크(105)는 밀폐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이 팽창되는 공기의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축열탱크(105)가 폭발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종래의 축열식 전기보일러가 가진 상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축열매체유의 고온의 열이 급탕 또는 난방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되도록 하여 전열효율을 높여주고, 한번 사용되어 냉각된 축열매체유를 다시 고온의 축열탱크 내부로 환류시켜 짧은 시간안에 그 고온의 축열매체유와 온도평행을 이루도록 하며, 전원입력단자부 부근으로 축열매체유가 자연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축열탱크 내부의 열매체유가 적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것을 막아주며, 열매체유의 온도상승에 따라 열매체유 상측에 채워진 공기가 팽창하더라도 그 팽창하는 공기를 수용저장하는 여유공간을 축열탱크와는 별도로 구비시켜 축열탱크의 내부가 가압되지 않고 일정압력을 유지하도록 된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축열식 전기보일러에 있어서 축열탱크 내부에 설치된 발열부의 전원입력단자 주위로 고온의 축열매체유가 자연누출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하여 이 전원입력단자를 축열탱크 상부에 배치하고, 열교환탱크내에 배치된 나선형의 난방용 파이프의 내측에 나선형 급탕용 파이프를 이 난방용 파이프와 동심으로 인접배치되게 하고 그 급탕용 파이프의 중심축방향으로는 고온열매체유 공급관을 배치하여 고온 열매체유와 이에 인접하는 급탕용 파이프와의 사이에 열전달 효율을 높여주며, 이 고온 열매체유 공급관의 출구 하단에는 이 열매체유 공급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열매체유를 반사시켜주는 반사판이 설치되어 열교환탱크내에 이미 채워진 열매체유와 새로 유입되는 열매체유가 자연적으로 교반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탱크내에서 열매체유의 온도평행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원 OFF시 열교환 탱크내에서 난방용 또는 급탕용 파이프와 열교환한후 냉각된 열매체유가 다시 축열탱크 내부로 역류하지 않도록 열매체유 공급관 일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축열탱크 내부에는 축열매체가 소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감지 작동하여 발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에 직접 연결된 과열방지용 온도감지기가 구비설치되고, 축열매체가 제어부에 설정된 적정온도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 감지작동하여 제어부를 통하여 발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축열온도감지기가 구비, 설치되며, 축열탱크 상측 일단에는 축열탱크 내부와 연통하는 팽창공기 흡수용 주름통이 구비되어 축열탱크내부에서 가열되어 팽창되는 공기를 수용저장하도록 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매체유를 이요한 축열식 전기보일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전기보일러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장된 열매체유를 가열하여 축열해두는 축열탱크(10)와, 필요시 이 축열탱크(10)로부터 소정량의 축열된 고온의 열매체유를 인출하여 내부에 설치된 난방용 배관의 흡열부(21) 및 급탕용 파이프(22)와 열교환시켜 이를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열교환 탱크(20)로 구성되고, 상기 축열탱크(10)의 안쪽 하부에는 전원 입력단자부(17)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면서 축열탱크(10) 내부의 열매체유를 강려해 주는 발열부(13)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열탱크(10)의 상부 일측에는 이 축열탱크(10)의 내부에 채워진 열매체유의 충전량을 검침하기 위한 유량검침기(15)가 이 축열탱크(10)의 내부로 삽입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축열탱크(10)의 측벽 상부 일측에는 일단이 전원(도시안됨)과 직접연결된 과열방지용 온도감지기(38)와, 일단이 제어부(37)을 통하여 순환펌프(29)에 연결된 축열온도 감지기(3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과열방지용 온도감지기(38)는 축열탱크(10) 내부의 열매체유가 미리 설정된 최고온도(TH) 이상으로 과열되면 감지작동하여 발열부(13) 쪽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직접 차단함으로써 열매체유는 더 이상 가열되지 않고 과열방지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열온도 감지기(39)는 축열탱크(10)내의 열매체유가 제어부(37)에 미리 설정된 최저온도(TL)이하로 내려가면 감지작동하여 전원을 발열부(13)에 공급함으로써 이 발열부(13)가 발열하여 열매체유를 가열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탱크(20)안에는 열매체유와 열교환하는 난방용 배관의 흡열부(21)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고 이 난방용 배관의 흡열부(21) 내측공간에는 급탕용 파이프(22)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난방용 배관의 흡열부(21)와 동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난방용 배관(24)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난방수 순환펌프(23)가 연결되어 그 내부의 난방수를 난방용 배관(24)의 흡열부(21)의 아랫쪽으로 윗쪽 방향으로 순환시켜 주도록 되어 있고, 이 난방용 배관(24) 일단에는 보충수 탱크(25)가 연결되어 이 난방용 배관(24)안을 흐르는 난방수가 부족한 경우 보충해 주도록 되어 있고, 또한 이 보충수 탱크(25)의 배관일단은 급탕용 파이프(22)의 하측일단에 연결되어 급탕용 파이프(22)안으로 급탕수를 공급해 주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축열탱크(10)와 열교환 탱크(20)는, 제2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열매체유 공급관(32)에 의해 연통되어 있는데, 이 열매체유 공급관(32)의 상부 일단은 역 U자형을 이루도록 윗쪽으로 절곡성형된 U형 절곡부(32a)가 구비되어 열교환탱크(20)내의 냉각된 열매체유가 축열탱크(10)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해 주도록 되어있고, 이 열매체유 공급관(32)의 출구측은 난방용 배관(24)의 흡열부(21) 내에 이와 동심상으로 배치된 급탕용 파이프(22)의 중심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측벽에는 다수개의 유출구멍(32b)이 형성되어 인접된 급탕용 파이프(22)의 전부분에 고루 열매체유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며, 열매체유 공급관(32)의 출구 하측에는 반사판(33)이 설치되어 이 출구로부터 유출되는 고온의 열매체유가 반사되어 열교환탱크(20)내에서 와류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높여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탱크(20)는, 제3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축열탱크(10)와 열매체유 환수관(28)에 의해 연통되어 상기 열교환탱크(20)내에서 난방용 배관의 흡열부(21) 및 급탕용 파이프(22)와 열교환 한 후 냉각된 열매체유를 순환펌프(29)로써 축열탱크(10)안으로 다시 강제유입시켜 축열된 열매체유로부터 재흡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환수관(28)의 상부 일단에는 역U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28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절곡부(28a)는 열교환탱크(20) 내부의 냉각된 열매체유가 상기 환수관(28)을 통하여 축열탱크(10) 내부로 자연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축열탱크(10)의 열매체유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그리고 상기 환수관(28)의 하부에는 열매체유 순환펌프(29)가 연결되어 필요시에 열교환 탱크(20) 내부에서 냉각된 열매체유를 축열탱크(10) 내부에 강제유입시켜 줌으로써 이 냉각된 열매체유가 축열탱크(10) 내에서 재흡열하여 온도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축열탱크(10) 내부에 삽입된 환수관(28)은 그 선단부가 축열탱크(10)의 측벽부근까지 연장되어 있어 이 환수관(28)을 통해 순환되는 열매체유가 그 축열탱크(10)의 측벽에 부딪혀 와류를 형성하도록 되어있으며, 그 환수관(28)의 측벽에는 유출구멍(28b)이 다수개 형성되어 축열탱크(10) 내부로 재유입되는 냉각된 열매체유가 고온의 열매체유내에 고루분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탱크(20)의 하측 측벽에는 일단이 제어부(37)를 통하여 열매체유 순환펌프(29)와 연결된 열교환탱크 온도감지기(35)가 삽입설치되고, 상부에는 일단이 전원측과 직접 연결된 열교환탱크 과열방지용 온도감지기(36)가 삽입설치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열탱크(10) 상측 일단에는 축열탱크(10) 내부와 연통되는 팽창공기 흡수용 주름통(19)이 구비되어 축열탱크(10) 내부의 열매체유가 가열됨에 따라 가열팽창되는 상측의 공기를 흡수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축열탱크(10)의 내압이 안전치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막아주도록 되어 있으며, 열매체유의 온도가 내려가면 내부의 압력도 낮아진데 이때 이 주름통(19) 내의 공기가 축열탱크(10) 내부로 재유입되어 축열탱크(10) 내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열매체유는 통상 광유를 기유로 한 점도가 낮고 열전달 계수가 크며 증기압이 낮은 합성유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열매체유는 THERMIA B, MOBIL THERM 603(상품명)등이 통상사용된다. 이들 열매체유는 밀폐된 시스템에서 최고 300℃까지 가열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전기 보일러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열매체유 유입구(16)을 통하여 열매체유를 축열탱크(10)의 적적수위까지 채운다.
이 적정수위는 통상적으로 축열탱크(10) 높이의 70∼80%로 하는 것이 안전하다.
이 열매체유의 유량은 축열탱크(10) 상부에 구비된 유량검침기(15)로 측정한다. 이렇게 축열탱크(10) 내부에 열매체유를 채운 다음, 이 열매체유가 가열될 최고온도(TH)와, 최저온도(TH)를 설정하여 제어부(37)에 미리 입력해 놓고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전기보일러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전원이 인가되면 축열탱크(10) 내부의 발열부(13)는 발열하면서 축열탱크(10) 내부의 열매체유를 가열하게 되는데, 이렇게 가열된 열매체유는 3중벽으로 되어 보온 단열성이 우수한 축열탱크(10) 내에서 축열되게 된다.
이때 전력사용은 전기료나 낮은 심야시간(22시부터 익일 08시 사이)을 이용하면 비용을 훨씬 줄일 수 있다.
이렇게 가열되는 열매체유가 미리 설정된 최고온도(TH)에 도달하게 되면 그 축열탱크(10)내부에 구비된 과열방지용 온도감지기(38)가 작동하여 전원을 차단하여 줌으로써 축열탱크(10)의 열매체유는 더 이상 가열되지 않아 과열이 방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매체유가 고온으로 가열되면 축열탱크(10)의 내측 상부에 충전된 공기가 가열팽창하게 되는데 이 가열팽창된 공기는 외부의 주름통(19)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축열탱크(10)의 내압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급탕 또는 난방하고자 하는 경우 축열탱크(10)내에서 축열된 고온의 열매체유를 열교환 탱크(20)내로 유입시켜 그 열교환 탱크(20)를 충진하면, 그 열교환 탱크(20) 내에 배치된 난방용 배관(24)의 흡열부(21)는 상기 열매체유로부터 흡열하여 순환펌프(23)에 의해 난방용 배관(24) 내부를 흐르는 난방수를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난방용 배관(24) 내부를 흐르는 물이 부족하면 보충수 탱크(25)의 보충수가 재공급되어 부족한 물이 보충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급탕용 파이프(22)는 열매체유 공급관(32)에 인접배치되어 있으므로 보충수 탱크(25)로부터 아랫쪽으로 윗쪽으로 공급되는 물은 이 열매체유 공급관(32)안으로부터 유출되는 열매유체에 의해 직접 가열되므로 단시간내에 가열된다.
상기 열매체유 공급관(32)의 수직하측에는 반사판(33)이 배치되어 이 공급관(32)로부터 유출되는 고온의 열매체유가 상기 반사판(33)에 충돌하여 반사되므로 열교환탱크(20) 내부에서 와류를 일으키며 이미 충전된 열매체유와 단시간에 온도평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이 열매체유 공급관(32)의 상부는 역 U자형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냉각된 열매체유가 축열탱크(10)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열교환탱크(10) 내에서 열매체유가 난방용 배관(24)의 흡열부(21) 또는 급탕용 파이프(22)와 열교환한 후 냉각되어 제어부(37)에 설정된 최저온도(TL)에 도달하면 열교환탱크 온도감지기(35)가 감지작동하면서 열매체유 순환펌프(29)를 작동시켜 상기 냉각된 열매체유를 환수관(28)을 통해 축열탱크(10) 내부로 강제 유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환수관(28)의 일측 체크벨브(30)가 연결되고 이 환수관(28)을 통하여 축열탱크(10) 쪽으로 흐르는 열매체유의 역류를 방지해준다.
또한 이 열매체유 환수관(28)의 축열탱크(10)측 선단은 축열탱크(10)의 측벽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이 환수관(28)을 통하여 축열탱크(10)안으로 유입되는 열매체유가 측벽에 부딪혀 와류를 일으키므로서 신속하게 열평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작동하는 본 고안에 따른 축열식 전기보일러는 축열탱크(10) 내부에서 열교환탱크(20) 내부로 축열된 열매체유를 공급해 주는 열매체유 공급관(32)이 급탕용 파이프(22) 또는 난방파이프(24)의 흡열부(21)와 인접배치되어 이들과 효율적으로 열전달하게 됨으로써 신속하게 급탕 또는 난방할 수 있으며, 전원입력 단자부(17)를 축열탱크(10) 상부에 배치하여 이 전원입력 단자부(17)를 통하여 고온의 열매체유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주고, 상기 열매체유 공급관(32)의 하측에 반사판(33)이 설치되어 열교환탱크(20)로 유입되는 고온의 열매체유가 이 반사판(33)에 부딪혀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열교환탱크(20) 내부의 열매체유의 교반되어 신속하게 열평형을 이루게 되며, 또한 이 열매체유 공급관(32)의 상단은 역 U자형으로 절곡되어 열교환탱크(20) 내부의 냉각된 열매체유가 축열탱크(10)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축열탱크(10)의 축열매체유의 온도가 하강하는 것을 막아주고, 축열탱크(10)의 상부에는 주름통(19)이 축열탱크(10) 내부와 연통되어 축열탱크(10) 내부에서 가열되어 팽창하는 공기를 흡수 저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써 축열탱크(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축열탱크(10) 내의 열매체유를 가열하여 축열해 두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보일러에 전원을 ON시켜 놓은 상태에서 전원을 OFF 시키는 것을 잊고 있더라도 축열탱크(10) 내부의 열매체유가 일정온도(TH) 이상이 되면 과열방지용 온도감지기(38)가 전원을 차단하여 열매체유가 더 이상 가열되지 않도록 해줌으로써 과열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0)
- 축열식 전기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축열식 전기보일러는 3중벽 구조로 되어 내부의 열매체유를 보온저장하는 축열탱크(10)와 열교환탱크(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열탱크(10)는 전원입력단자부(17)를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하는 발열부(13)가 하측으로 설치되고, 상부 측벽에는 과열방지용 온도감지기(38)와 축열온도 감지기(39)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탱크(20)는 내부에 난방용 배관(24)의 흡열부(21)와 하단입구가 보충수탱크(25)와 연통된 급탕용 파이프(22)가 설치되며, 측벽에는 열교환탱크 온도감지기(35)와 과열방지용 온도감지기(36)가 설치되고 상기 과열방지용 온도감지기(36)(38)는 전원측에 직접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탱크 온도감지기(35)는 제어부(37)을 통하여 열매체유 순환펌프(29)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축열탱크(10)는 상부에 연결된 열매체유 공급관(32)에 의해 열교환 탱크(20)와 연통되고, 하부에 연결설치된 열매체유 환수관(28)에 의해 열교환 탱크(20)와 연통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용 배관(24)의 흡열부(21)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탕용 파이프(22)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난방용 배관(24)의 흡열부(21) 내측공간에 그와 동심상으로 배치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
- 제1항에 있어서, 열매체유 공급관(32)의 일단이 상기 급탕용 파이프(22)의 내측공간에 중심축방향으로 삽입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유 공급관(32)의 하측에는 반사판(3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유 공급관(32)의 상측 일부분이 역 U자형으로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유 환수관(28)은 그 일단이 축열탱크(10)를 관통하여 그 축열탱크(10)의 내부측벽 부근까지 인접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유 환수관(28)은 상측 일부분이 역U자형으로 절곡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
- 제1항에 있어서, 발열부(13)의 전원입력단자부(17)가 축열탱크(10)의 상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탱크(10)의 상단에는 내부가 서로 연통된 팽창공기 흡수저장용 주름통(19)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용 배관(24)과 급탕용 파이프(22)는 각각 보충수 탱크(25)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전기보일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13239A KR0160589B1 (ko) | 1995-05-25 | 1995-05-25 |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식 전기보일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13239A KR0160589B1 (ko) | 1995-05-25 | 1995-05-25 |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식 전기보일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41841A KR960041841A (ko) | 1996-12-19 |
KR0160589B1 true KR0160589B1 (ko) | 1999-01-15 |
Family
ID=1941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13239A KR0160589B1 (ko) | 1995-05-25 | 1995-05-25 |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식 전기보일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6058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7906B1 (ko) * | 2007-01-31 | 2009-01-12 | 송인관 | 열교환기가 구비된 심야전기 보일러 |
KR101038120B1 (ko) * | 2011-01-18 | 2011-05-31 | 최경묵 | 열매체유를 이용한 바닥 난방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5394B1 (ko) * | 2004-04-02 | 2007-04-10 | 송이남 | 급속 난방방법 및 그 장치 |
-
1995
- 1995-05-25 KR KR1019950013239A patent/KR016058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7906B1 (ko) * | 2007-01-31 | 2009-01-12 | 송인관 | 열교환기가 구비된 심야전기 보일러 |
KR101038120B1 (ko) * | 2011-01-18 | 2011-05-31 | 최경묵 | 열매체유를 이용한 바닥 난방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41841A (ko) | 1996-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23770A (en) | Combination hydronic space heater and tankless hot water heater | |
AU2010334979B2 (en) | Accumulator tank with partition walls | |
KR100751485B1 (ko) | 전기보일러 | |
KR100949609B1 (ko) | 다중 순간가열 저탕식 보일러 | |
KR101087063B1 (ko) | 무압력식 온수기 | |
KR100943443B1 (ko) | 가열조 내장 보일러 | |
KR0160589B1 (ko) |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식 전기보일러 | |
KR101712017B1 (ko) | 난방 온수 겸용 보일러 | |
US3363675A (en) | Hot-water generator with heat-storage means | |
KR100626540B1 (ko) | 열매체유 보일러와 온수기를 하나로 결합한 열매체온수저장식 보일러 | |
KR100393917B1 (ko) |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 |
KR101984675B1 (ko) | 와류 발생 장치가 구비된 보일러 | |
KR100976246B1 (ko) | 보일러의 내부열을 이용한 온수공급장치가 구비된 저탕식 전기 보일러 | |
KR102530495B1 (ko) | 이중 가열식 전기 보일러 | |
CN209386264U (zh) | 高温型储能蓄热电锅炉 | |
KR200428272Y1 (ko) | 스팀가열부가 보강된 스팀가열식 전기보일러 | |
KR200466598Y1 (ko) | 전기 온수 보일러 | |
KR200364727Y1 (ko) | 스팀가열식 전기보일러 | |
KR200412472Y1 (ko) | 이중 스팀가열식 전기보일러 | |
JP2011502239A (ja) | 媒体が定方向へ流れる加熱装置及びその装置を備える循環暖房システム | |
KR100747120B1 (ko) | 보일러의 가열시스템 | |
KR960004846B1 (ko) | 개량된 온수탱크 및 이러한 탱크가 장비된 장치 | |
KR102657762B1 (ko) | 전기 보일러 | |
KR100881432B1 (ko) | 대류를 이용한 보일러 | |
FI77526B (fi) | Centralvaermepann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17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