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755B1 -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 - Google Patents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755B1
KR100975755B1 KR1020100032480A KR20100032480A KR100975755B1 KR 100975755 B1 KR100975755 B1 KR 100975755B1 KR 1020100032480 A KR1020100032480 A KR 1020100032480A KR 20100032480 A KR20100032480 A KR 20100032480A KR 100975755 B1 KR100975755 B1 KR 100975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eat medium
medium oil
hea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묵
Original Assignee
최경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묵 filed Critical 최경묵
Priority to KR102010003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7/00Central heating systems employing heat-transfer fluids not covered by groups F24D1/00 - F24D5/00, e.g. oil, salt or g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통상적인 온수보일러로 가열 공급되는 온수의 순환에 의해 바닥난방이 이루어지되 온수관로의 외측에 열매체유가 함입된 이중관로의 구성으로 통상의 온수보일러에 의한 난방이 이루어지면서 열매체유의 열전도성과 축열성에 의해 난방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온수가열수단이 구비된 온수보일러의 가열탱크에 연결된 입수관과 출수관을 통해 온수가 순환공급되어 바닥난방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된 난방관과, 상기 바닥난방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된 난방관은 이중관로로 구비되되 온수 순환이 이루어지는 소구경의 온수관로와, 상기 온수관로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열매체유가 함입된 대구경의 열매체유관로로 이루어진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 {Heating pipe using thermal oil}
본 발명은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통상적인 온수보일러로 가열 공급되는 온수의 순환에 의해 바닥난방이 이루어지되 온수관로의 외측에 열매체유가 함입된 이중관로의 구성으로 통상의 온수보일러에 의한 난방이 이루어지면서 열매체유의 열전도성과 축열성에 의해 난방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보일러는 물이 담겨진 수조를 전기히터 또는 버너 등으로 가열하여 온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온수를 난방관 순환을 통해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이렇게 온수와 난방수의 공급이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대중화된 온수보일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온수보일러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난방관을 순환하여 난방을 하게 될 때 난방관에 있는 온수는 바닥을 난방하는 열전달 효율 및 보존성이 떨어지고 열이 쉽게 식게 되므로 연료소모량이 많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열매체유를 이용한 보일러가 실용신안 등록 제20-0359575호 등으로 개시된바 있는바, 이러한 열매체유를 이용한 보일러에서는 대체로 보일러본체 내부에 열매체유가 충진된 열매체유조가 설치하여 보일러에서 가열된 열매체유가 난방관으로 순환되어 바닥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축열성 및 열전도성이 좋은 열매체유에 의해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열매체보일러는 보일러본체 내부에 열매체유조가 설치되어 그 열매체유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열매체유를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의 열원으로 전기 및 기름 등이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열매체유가 누출되는 경우에 보일러의 폭발과 같은 안정성에 문제가 있고, 별도의 열매체보일러를 구비해야 되므로 구입비용도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전기 또는 기름 등과 같은 온수가열수단이 구비된 온수보일러와 연결되어 공급되는 온수에 의해 바닥난방을 하되 난방관에 온수가 순환되는 온수관로와 온수관로의 외측은 열매체유가 함입된 이중관로의 구성으로 통상의 온수보일러에 의한 난방이 이루어지면서 온수관로의 외측에 함입된 열매체유의 열전도성과 축열성에 의해 난방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온수가열수단이 구비된 온수보일러의 가열탱크에 연결된 입수관과 출수관을 통해 온수가 순환공급되어 바닥난방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된 난방관과, 상기 바닥난방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된 난방관은 이중관로로 구비되되 온수 순환이 이루어지는 소구경의 온수관로와, 상기 온수관로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열매체유가 함입된 대구경의 열매체유관로가 구비되어 온수관로 외측을 감싸고 있는 열매체유에 의해 온수관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축열성과 열전도율이 높은 열매체유에 의한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열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은 통상의 온수보일러를 통해 가열된 온수가 난방관의 온수관로를 통해 온수순환이 이루어지는 수단으로 난방이 이루어지되 온수관로의 외측을 감싸고 있는 열매체유에 의해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축열성과 열전도율이 높은 열매체유에 의한 난방을 하게 되므로 연료소모를 줄이면서 난방효율을 높여주게 되며, 특히 소구경의 온수관로를 통한 온수순환으로 난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온수보일러의 용량이 작은 것을 사용하더러도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상의 온수보일러에 적용하여 열매체유를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종래의 열매체유를 이용한 보일러와 같이 보일러본체에서 열매체유를 가열하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을 온수보일러에 적용시킨 상태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난방관에서 온수관로에 열매체유관로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관을 이중관로로 구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난방관에서 온수관로와 열매체유관로 사이에 다공성부재로 이루어진 간격유지구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난방관에서 온수관로와 열매체유관로 사이에 받침날개로 이루어진 간격유지구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의 (가)(나)는 도 5는 본 발명의 난방관에서 온수관로와 열매체유관로 사이에 받침날개로 이루어진 간격유지구를 설치한 상태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난방관을 구성하는 열매체유관로를 주름관체로 구비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은, 통상적인 전기 또는 기름 등과 같은 온수가열수단이 구비된 온수보일러(10)의 가열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입수관(11)과 출수관(12)을 통해 온수가 순환공급되어 바닥난방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된 난방관(20)과, 상기 바닥난방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된 난방관(20)은 이중관로로 구비되되 온수 순환이 이루어지는 소구경의 온수관로(21)와, 상기 온수관로(21)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열매체유가 함입된 대구경의 열매체유관로(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난방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된 난방관(20)에서 열매체유관로(22)의 길이방향으로 시작단부와 끝단부는 온수관로(21)의 외측에 밀폐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결합부재(24)에 의해 열매체유관로(22)에 있는 열매체유가 함입된 상태에서 열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결합부재(24)의 일측에는 열매체유 주입구(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온수관로(21)의 외측면과 열매체유관로(22)의 내측면 사이의 열매체유 함입공간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골고루 열전달 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구(2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간격유지구(28)는 열매체유의 함입시에 유로를 형성하면서 형태안정성을 갖는 스폰지와 같은 다공성부재(28a)가 설치되거나, 온수관로(21)의 외측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받침날개(28b)가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어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난방관(20)의 배치시에 절곡이 이루어지는 부분에서도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중관로로 이루어진 온수관로(21)는 통상의 동파이프나 엑셀파이프 등과 같은 여러형태의 재질로 구비하여 사용하되 온수관로(21)에 열매체유관로(22)를 끼우면서 그 사이에 간격유지구(28)를 설치하게 된다.
또, 상기 열매체유관로(22)는 열매체유에 의해 전달되는 열접촉면적을 높일 수 있는 주름관체(22a)로 구비하여 열전달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이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바닥난방을 하기 위한 장소의 바닥에 난방관(20)을 배치하되 상기 난방관(20)은 이중관로로 구비되어 온수 순환이 이루어지는 소구경의 온수관로(21)는 통상의 온수보일러(10)의 가열탱크와 연결되는 입수관(11)과 출수관(12)을 통해 온수가 순환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온수관로(21)의 외측을 감싸고 있는 대구경의 열매체유관로(22)에는 열매체유를 함입시킨 상태에서 난방관(20)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이중관로로 이루어진 난방관(20)을 설치하여 바닥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한 다음 통상의 온수보일러(10)를 통해 가열된 온수가 난방관(20)의 온수관로(21)를 통해 온수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온수관로(21)는 가열되면서 가열온도에 의해 온수관로(21)의 외측을 감싸고 있는 열매체유를 가열하게 되는바, 이때 축열성과 열전도율이 높은 열매체유에 의해 전달되는 열매체유관로(22)는 바닥난방을 신속하고 높은 온도에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즉, 온수보일러(10)에 의해 가열되어 온수관로(21)로 순환공급되는 온수는 온수관로(21) 외측을 감싸고 있는 열매체유에 의해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축열성과 열전도율이 높은 열매체유에 의한 난방을 하게 되므로 연료소모를 줄이면서 난방효율을 높여주게 되며, 특히 소구경의 온수관로(21)를 통한 온수순환으로 난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온수보일러(10)의 용량이 작은 것을 사용 하더러도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온수보일러(10)에 적용하여 열매체유를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종래의 열매체유를 이용한 보일러와 같이 보일러본체에서 열매체유를 가열하지 않고 난방관에 함입된 열매체유에 의해 난방이 이루어지므로 열매체유의 사용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온수보일러 11 : 입수관
12 : 출수관 20 : 난방관
21 : 온수관로 22 : 열매체유관로
22a : 주름관체 24 : 결합부재
26 : 열매체유 주입구 28 : 간격유지구
28a : 다공성부재 28b : 받침날개

Claims (6)

  1. 온수가열수단이 구비된 온수보일러(10)의 가열탱크에 연결된 입수관(11)과 출수관(12)을 통해 온수가 순환공급되어 바닥난방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된 난방관(20)과,
    상기 바닥난방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된 난방관(20)은 이중관로로 구비되되
    온수 순환이 이루어지는 소구경의 온수관로(21)와,
    상기 온수관로(21)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열매체유가 함입된 대구경의 열매체유관로(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난방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된 난방관(20)에서 열매체유관로(22)의 길이방향으로 시작단부와 끝단부는 온수관로(21)의 외측에 밀폐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결합부재(24)에 의해 열매체유관로(22)에 있는 열매체유가 함입된 상태에서 열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결합부재(24)의 일측에는 열매체유 주입구(26)가 형성되며,
    상기 온수관로(21)의 외측면과 열매체유관로(22)의 내측면 사이의 열매체유 함입공간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골고루 열전달 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구(28)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28)는 열매체유의 함입시에 유로를 형성하면서 형태안정성을 갖는 다공성부재(28a)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28)는 온수관로(21)의 외측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받침날개(28b)가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어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유관로(22)는 열접촉면적을 높일 수 있는 주름관체(22a)로 구비한 것을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
KR1020100032480A 2010-04-09 2010-04-09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 KR100975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480A KR100975755B1 (ko) 2010-04-09 2010-04-09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480A KR100975755B1 (ko) 2010-04-09 2010-04-09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755B1 true KR100975755B1 (ko) 2010-08-12

Family

ID=4275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480A KR100975755B1 (ko) 2010-04-09 2010-04-09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7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384B1 (ko) 2010-06-16 2012-10-1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가스보일러의 난방환수관
KR101488416B1 (ko) * 2014-06-25 2015-02-03 주식회사 에코원 신재생 지열원을 활용한 시설물의 냉,난방과 도로 융설 병용 시스템
WO2021225425A1 (ko) * 2020-05-08 2021-11-11 Kim Hyung Gon 이중관을 이용한 보일러용 난방배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20U (ko) * 1989-06-20 1991-02-08
KR200269746Y1 (ko) * 2001-11-21 2002-03-25 여상혁 수지재 이중 파이프
KR20020069746A (ko) * 2001-02-27 2002-09-0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용 유압 라인 테스트 장치
KR20030053325A (ko) * 2001-12-22 2003-06-28 동부전자 주식회사 극자외선 노광장비용 반사 마스크
KR200353325Y1 (ko) * 2004-03-18 2004-06-14 주식회사 세기하이텍 이중관식 히트파이프 난방유니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20U (ko) * 1989-06-20 1991-02-08
KR20020069746A (ko) * 2001-02-27 2002-09-0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용 유압 라인 테스트 장치
KR200269746Y1 (ko) * 2001-11-21 2002-03-25 여상혁 수지재 이중 파이프
KR20030053325A (ko) * 2001-12-22 2003-06-28 동부전자 주식회사 극자외선 노광장비용 반사 마스크
KR200353325Y1 (ko) * 2004-03-18 2004-06-14 주식회사 세기하이텍 이중관식 히트파이프 난방유니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384B1 (ko) 2010-06-16 2012-10-1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가스보일러의 난방환수관
KR101488416B1 (ko) * 2014-06-25 2015-02-03 주식회사 에코원 신재생 지열원을 활용한 시설물의 냉,난방과 도로 융설 병용 시스템
WO2021225425A1 (ko) * 2020-05-08 2021-11-11 Kim Hyung Gon 이중관을 이용한 보일러용 난방배관
KR20210136737A (ko) 2020-05-08 2021-11-17 김형곤 이중관을 이용한 보일러용 난방배관
KR102442679B1 (ko) * 2020-05-08 2022-09-28 김형곤 이중관을 이용한 보일러용 난방배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755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
CN101970948B (zh) 热水器设备
KR100949609B1 (ko) 다중 순간가열 저탕식 보일러
US20090120623A1 (en) Dual Pipe Heat Exchanger of Instantaneous Boiler for House Heating and Hot Water and Boiler
KR200473452Y1 (ko) 열매체전기보일러
KR100711734B1 (ko) 탄소섬유 히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KR100627720B1 (ko) 전기보일러의 구조
KR101152661B1 (ko) 전열식 코일형 열교환기를 이용한 보일러
KR101588120B1 (ko) 보일러겸용 난로
KR20010008335A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KR101083633B1 (ko) 열처리수의 믹스를 이용한 열증폭기
CN205957488U (zh) 水箱换热结构及热水器
KR20160117966A (ko) 보일러
CN201096464Y (zh) 一体式电热超导散热器
KR20020040230A (ko) 심야전기를 이용한 온수기의 열교환기
KR100747120B1 (ko) 보일러의 가열시스템
KR100285813B1 (ko) 전기가열식 온수보일러
KR20100030377A (ko) 대류현상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
KR20100021255A (ko) 보일러의 내부열을 이용한 온수공급장치가 구비된 저탕식 전기 보일러
KR20090086818A (ko) 전기보일러
CN218295931U (zh) 生态超导热采暖
KR20090004807U (ko) 축열식 전기보일러
KR20120001484U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관의 열매체유 공급장치
KR100653894B1 (ko) 난방용 보일러
KR200364816Y1 (ko) 탄소섬유 히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