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291B1 -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291B1
KR102561291B1 KR1020220061731A KR20220061731A KR102561291B1 KR 102561291 B1 KR102561291 B1 KR 102561291B1 KR 1020220061731 A KR1020220061731 A KR 1020220061731A KR 20220061731 A KR20220061731 A KR 20220061731A KR 102561291 B1 KR102561291 B1 KR 102561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us
pentapeptide
weight
permeabilit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도숙
Original Assignee
한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도숙 filed Critical 한도숙
Priority to KR102022006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생물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시그널 펜타펩타이드에 단백질 유입 도메인 (Protein transduction domain)을 결합시켜 피부 투과성을 높임으로써 펜타펩타이드의 효능을 개선한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CONTANING SIGNAL PENTA PEPTIDE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본 발명은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생물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시그널 펜타펩타이드에 단백질 유입 도메인 (Protein transduction domain)을 결합시켜 피부 투과성을 높임으로써 펜타펩타이드의 효능을 개선한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 노화는 크게 생물학적 과정에 따라 누구에게나 시간이 지나면서 나타나는 내적 노화(Intrinsic aging)와 지속적인 빛 노출, 스트레스, 흡연 등과 같은 환경요인에 노출되어 나타나는 외인성 노화(Besides the aging of the human nature) 로 구분된다.
내인성 노화의 주원인은 신진대사과정에서 만들어진 반응성 활성 산소 라디칼에 의하여 우리 몸의 구성 성분에 생기는 손상이 누적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외인성 노화는 환경오염인자(환경호르몬, 중금속 등)에의 노출, 오존층 파괴에 의한 자외선, 흡연 등과 같은 외부적 스트레스들에 의한 산화적 손상의 결과로 인해 피부의 생리학적 기능이 변화된 것이 주요인이다.
즉, 피부세포의 세포막이 활성산소나 다른 라디칼에 의해 지속적으로 손상을 입게 되면 단백질이나 지질단백질의 가교(cross-linkage)가 증가하거나 또는 분해가 되며, 과산화 지질의 양도 증가하게 된다. 이처럼 세포와 세포막이 손상되면, 세포막의 투과성이 변화하여 세포 내의 이온 균형이 깨지게 되고, 이런 변화는 세포 내 대사물의 배출을 막고, 이 대사물을 제독하는 세포의 기능을 감퇴시킨다. 이와 같은 세포 수준의 변화가 지속되면, 피부 조직의 구조가 규칙성을 잃게 된다. 또한 진피(dermis)에 국소적인 상흔이 나타나며 콜라겐 섬유나 탄력섬유의 감소로 진피 두께가 줄어든다. 콜라겐 섬유끼리의 가교도 증가하며 탄력섬유의 미세한 구조도 손상되어 전체적으로 피부의 탄력 저하와 함께 피부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피부색이 검게 변하는 것은 피부 내 멜라닌의 발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멜라닌이 만들어지는 경로는 알려져 있지만, 티로시나제가 작용하는 이전 단계인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는 메커니즘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멜라닌의 합성이 피부 내에서 과도하게 일어나면, 피부 톤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 시키기도 하며, 이러한 멜라닌의 합성을 촉진하는 요인으로는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 등이 언급되고 있다.
다시 말해, 외부 자극원에 의한 피부 세포의 산화적 손상은 궁극적으로 피부의 노화와 함께 흑화를 촉진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외인성 노화 및 흑화를 예방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성 화장품들이 활발히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기능성 화장품들은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효과적이지만, 그 조성물 대부분이 화학적 합성에 의한 합성물로 화학변화에 의해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즉, 현재 유통되고 있는 피부미백 및/또는 피부주름 개선 화장 제품은 다양하고 많으나, 화학적 합성에 의한 합성물일 경우 화학변화에 의해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부작용, 장기안정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피부 미백과 피부주름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천연소재를 찾는 것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6909호는 소라 유래의 펩타이드 분말을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04419호는 모링가 종자로부터 추출된 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얻어지는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피부 미백, 피부 탄력 향상 및 피부 주름 방지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는 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펩타이드는 화장료 조성물에 흔히 포함되는 첨가물과 혼합 시 안정성이 떨어져 분해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로서 효능을 갖기 위해 피부에 침투가 용이해야 하는데 경피 투과성이 부족하여 피부에 충분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는 등 펩타이드를 화장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6909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04419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생물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시그널 펜타펩타이드에 단백질 유입 도메인 (Protein transduction domain)을 결합시켜 피부 투과성을 높이고 펩타이드의 N-말단을 아세틸화 하여 펩타이드 자체의 안정성을 강화시킴으로써 펜타펩타이드의 효능을 개선한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시그널 펜타펩타이드의 C-말단에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단백질 유입 도메인 (Protein transduction domain)의 N-말단을 결합하는 투과성 향상 펩타이드 제조 단계; 상기 투과성 향상 펩타이드의 N-말단을 아세틸화하는 안정성 향상 펩타이드 제조 단계; 상기 안정성 향상 펩타이드 10~20중량%, 저분자 콜라겐 5~10중량%, 발효 거북손 추출물 5~10중량%, 코코넛 오일10~20중량% 및 정제수 40~70중량%를 혼합하는 혼합 조성물 제조 단계; 및 상기 혼합 조성물을 5~10℃에서 2~3일간 교반하며 숙성하는 최종 숙성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과성 향상 펩타이드 제조 단계는 상기 시그널 펜타펩타이드와 단백질 유입 도메인 사이에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트리펩타이드를 추가하여 펜타펩타이드의 C-말단에 트리펩타이드의 N-말단이 결합하고 트리펩타이드의 C-말단에 단백질 유입 도메인의 N-말단이 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효 거북손 추출물은 거북손을 단백질분해효소를 이용하여 30~120분 동안 1차 가수분해한 후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고 효모균을 접종하여 1~2일간 발효시킨 다음 추출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제수는 증류수에 수소를 주입하여 제조한 수소수를 활성탄, 규조토, 솔잎 및 지초가 4: 2: 1: 1 중량비로 혼합된 여과체에 2~3회 반복 여과시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최종 숙성 단계는 숙성 전 혼합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과라나 추출물 2~5중량%, 레티놀 5~10중량% 및 코스모스 추출물 2~5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생물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시그널 펜타펩타이드에 단백질 유입 도메인 (Protein transduction domain)을 결합시켜 피부 투과성을 높임으로써 펜타펩타이드의 효능을 개선하였으므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시그널 펜타펩타이드의 C-말단에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단백질 유입 도메인 (Protein transduction domain)의 N-말단을 결합하는 투과성 향상 펩타이드 제조 단계; 상기 투과성 향상 펩타이드의 N-말단을 아세틸화하는 안정성 향상 펩타이드 제조 단계; 상기 안정성 향상 펩타이드 10~20중량%, 저분자 콜라겐 5~10중량%, 발효 거북손 추출물 5~10중량%, 코코넛 오일10~20중량% 및 정제수 40~70중량%를 혼합하는 혼합 조성물 제조 단계; 및 상기 혼합 조성물을 5~10℃에서 2~3일간 교반하며 숙성하는 최종 숙성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 1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시그널 펜타펩타이드의 C-말단에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단백질 유입 도메인 (Protein transduction domain)의 N-말단을 결합하여 투과성 향상 펩타이드를 제조한다.
상기 아미노산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기본 성분들을 의미하며, 조직의 성상 및 유지에 관여하고 호르몬과 효소, 항체 등의 주요 구성성분이 된다.
상기 펩타이드는 아미노산이 2개 이상 펩티드 결합으로 연결된 구조물을 의미하며 상기한 호르몬, 효소 및 항체 등이 펩타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주로 아미노산이 2~50개 정도 결합된 구조를 펩타이드라 하고, 50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결합된 구조를 단백질이라 한다. 아미노산의 결합 개수에 따라 디(di-), 트리(tri-), 펜타(penta-) 등의 어미를 붙이며, 결합 아미노산 수가 2~10개인 것을 올리고펩타이드(oilgopeptide) 그리고 약 10~50개인 것을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라 칭한다.
상기 단백질 유입 도메인 (Protein transduction domain)은 단백질 전달 도메인이라고도 하며, 단백질 혹은 유전자등의 큰 물질을 세포내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백질 유입 도메인은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생물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시그널 펜타펩타이드에 결합되어 펜타펩타이드의 세포 투과성을 높이는 효과를 주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향상 펩타이드 제조 단계는 상기 시그널 펜타펩타이드와 단백질 유입 도메인 사이에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트리펩타이드를 추가하여 펜타펩타이드의 C-말단에 트리펩타이드의 N-말단이 결합하고 트리펩타이드의 C-말단에 단백질 유입 도메인의 N-말단이 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리펩타이드는 펜타펩타이드와 단백질 유입 도메인의 사이에 결합하여 펜타펩타이드와 단백질 유입 도메인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동시에 결합 안정성을 높이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투과성 향상 펩타이드의 N-말단을 아세틸화하여 안정성 향상 펩타이드를 제조한다
상기 아세틸화는 펩타이드의 N-말단의 아미노기(H2N-)에 아세틸기(CH3CO-)가 결합하는 것을 의미하며,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펩타이드가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안정성 향상 펩타이드 10~20중량%, 저분자 콜라겐 5~10중량%, 발효 거북손 추출물 5~10중량%, 코코넛 오일10~20중량% 및 정제수 40~70중량%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콜라겐은 대부분의 동물, 특히 포유동물에서 많이 발견되는 섬유 단백질로, 피부와 연골 등 체내의 모든 결합조직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콜라겐은 폴리펩타이드 세 분자가 서로 삼중나선으로 꼬인 밧줄과 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다. 각각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은 글라이신과 프롤린이 서로 번갈아가면서 배치되고 중간에 여러 다른 아미노산이 군데군데 삽입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라이신과 프롤린에서 각각 유도된 하이드록시라이신과 하이드록시프롤린이 있다. 이 둘은 수소결합을 통해 사슬끼리 서로 단단히 연결되는 4차 구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콜라겐은 매우 강하여 장력에 잘 견디고 장기간 분해되지 않으나, 섭씨 약 37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폴리펩타이드 간 연결이 약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저분자 콜라겐은 콜라겐 중에서도 분자량이 적은 콜라겐을 의미하며, 크기가 적어 세포 투과성이 높아 피부미용과 관련된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거북손은 절지동물 완흉목 거북손과의 갑각류를 의미하며, 거북손이란 이름은 32~34개의 석회판으로 덮여 있는 머리 부분이 거북의 다리처럼 생긴데서 유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 거북손 추출물은 거북손을 단백질분해효소를 이용하여 30~120분 동안 1차 가수분해한 후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고 효모균을 접종하여 1~2일간 발효시킨 다음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코코넛 오일은 코코넛 야자수의 성숙한 코코넛 열매 과육 또는 알맹이(kernel)로부터 추출된 식용 오일을 의미하며, 포화지방 함량이 높기 때문에 천천히 산화되고 산패가 느리게 진행되어 실온에서 수개월 이상 보존이 가능하다. 주로 아로마테라피의 캐리어 오일로 사용되고, 보습효과가 뛰어나 화장료에도 사용되며, 살균 및 항박테리아 효과를 가져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는 증류수에 수소를 주입하여 제조한 수소수를 활성탄, 규조토, 솔잎 및 지초가 4: 2: 1: 1 중량비로 혼합된 여과체에 2~3회 반복 여과시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규조토는 단세포 생물인 규조가 죽은 후 그 유해가 쌓여서 형성된 암석이나 퇴적물을 의미하며, 여과보조제, 연마제, 첨가제, 살충제, 단열재, 흡착제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상기 솔잎은 침엽상록수인 소나무의 잎을 의미하며, 간장질환, 위장질환, 신경계질환 및 순환계질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타민 A를 다량 함유하고 있고 피부 보호에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지초는 지치라고도 불리며, 지치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을 의미한다. 주로 염료 또는 약재로 사용되었으며 항암 및 해열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혼합 조성물을 5~10℃에서 2~3일간 교반하며 숙성하는 최종 숙성과정을 거쳐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최종 숙성 단계는 숙성 전 혼합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과라나 추출물 2~5중량%, 레티놀 5~10중량% 및 코스모스 추출물 2~5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과라나는 브라질 아마존 분지 원산의 무환자나무과 폴리니아속의 덩굴식물을 의미하며, 과라나의 열매에는 고농도의 카페인이 있어 식이 보충제로서 과라나는 효과적인 자극제이다. 과라나는 카페인 함유량이 높아 각성 효과가 뛰어나서 청량 음료, 에너지 음료, 숙취 해소 음료, 강장제 등의 원료로 사용된다. 또한 과라나의 마른 열매로 해열제, 흥분제 등을 만들기도 한다.
상기 레티놀은 지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A의 기본 분자형태로, 시각색소로 작용하는 레티날(retinal), 세포 분화를 조절하는 세포 내 신호전달물질인 레티노산(retinoic acid) 등 산화/환원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코스모스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을 의미하며, 약재로서는 주로 눈이 충혈되고 아픈 증세와 종기에 사용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서열번호 1 및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펩타이드를 합성한 후,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시그널 펜타펩타이드의 C-말단에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단백질 유입 도메인 (Protein transduction domain)의 N-말단을 결합하여 투과성 향상 펩타이드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투과성 향상 펩타이드의 N-말단을 아세틸화하여 안정성 향상 펩타이드를 제조한 후 상기 안정성 향상 펩타이드 15중량%, 저분자 콜라겐 10중량%, 발효 거북손 추출물 5중량%, 코코넛 오일15중량% 및 정제수 55중량%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발효 거북손 추출물은 거북손을 단백질분해효소를 이용하여 60분 동안 1차 가수분해한 후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고 효모균을 접종하여 2일간 발효시킨 다음 에탄올 추출을 통해 추출하였다. 또한, 상기 정제수는 증류수에 수소를 주입하여 제조한 수소수를 활성탄, 규조토, 솔잎 및 지초가 4: 2: 1: 1 중량비로 혼합된 여과체에 3회 반복 여과시켜 제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혼합 조성물을 9℃에서 3일간 교반하며 숙성시켜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실시예 1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투과성 향상 펩타이드 제조 단계에서 상기 펜타펩타이드와 단백질 유입 도메인 사이에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트리펩타이드를 추가하여 펜타펩타이드의 C-말단에 트리펩타이드의 N-말단이 결합하고 트리펩타이드의 C-말단에 단백질 유입 도메인의 N-말단이 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실시예 2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최종 숙성 단계에서 숙성 전 혼합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과라나 추출물 5중량%, 레티놀 5중량% 및 코스모스 추출물 5중량%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실시예 3으로 명명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상기 단백질 유입 도메인을 제외하고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비교예 1로 명명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상기 발효 거북손 추출물을 제외하고 상기 정제수를 증류수로 대체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비교예 2로 명명하였다.
[실험예 1: 피부 미백 효과 비교]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분석하여, 미백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B16F10 세포를 5%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이 있는 6-웰 플레이트에서 배양하였다 (37℃, 습기가 있는 95% air/5% CO2). 세포를 5×104 의 농도로 접종한 후 24시간이 경과했을 때, 알부틴 (15μM) 또는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화장료 조성물을 1시간 동안 전처리 하였다. 전처리 후, 멜라닌 생성을 유도하기 위해서 UVB (8mJ)를 조사하였다.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멜라닌이 생성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세포를 phosphate buffered saline에 두 번 세척한 후, 5% DMSO가 포함된 1 N 수산화나트륨 (NaOH) 용액 (80 μL)에 용해시켰다 (60℃에서 1시간 배양). 가용화 (Solubilized)된 멜라닌이 포함된 수용액을 흡광도계 (405nm)를 통해서 측정했다. 그리고 BCA 단백질 분석을 통해서 각 샘플의 단백질 농도를 구한 후, 멜라닌이 포함된 수용액의 흡광도 값을 보정하여 표1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UVB 알부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멜라닌 함량 (%) 100 132 118 112 107 109 124 127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UVB에 의해서 멜라닌 생성이 유도되었으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를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1~3의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가 알부틴 보다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실시예 1~3이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주름 개선 효과 비교]
콜라겐은 프로콜라겐이라는 전구체에서 합성된다. 상기 프로콜라겐은 N-말단 및 C-말단에 프로펩타이드 서열을 가지고 있으며, 프로콜라겐의 접힘과 중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PIP (procollagen type I C-peptide)의 활성화는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시고 세포 증식과 주름 개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간 섬유아세포를 배양한 후,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를 각각 첨가하여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코직산 200ppm을 첨가한 시험군을 추가하였다. 여기에 antibody-POD conjugate solution과 세포 상층액을 첨가한 후, 3 시간 더 배양하였다. 기질을 추가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에서 450 nm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PIP의 레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양성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PIP (ng/ml) 151 187 179 184 183 164 170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 처리군이 PIP 레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1~3은 양성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의 PIP레벨을 나타내어 실시예 1~3이 우수한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가지며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10> HAN, DOSOOK <120>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CONTANING SIGNAL PENTA PEPTIDE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130> P22197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tapeptide <400> 1 Met Gly Ser Gly Ala 1 5 <210> 2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tein transduction domain <400> 2 Gly Arg Arg Lys Arg Arg Asn Arg Arg Lys 1 5 10 <210> 3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ipeptide <400> 3 Gly Thr Ser 1

Claims (3)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시그널 펜타펩타이드의 C-말단에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단백질 유입 도메인 (Protein transduction domain)의 N-말단을 결합하는 투과성 향상 펩타이드 제조 단계;
    상기 투과성 향상 펩타이드의 N-말단을 아세틸화하는 안정성 향상 펩타이드 제조 단계;
    상기 안정성 향상 펩타이드 10~20중량%, 저분자 콜라겐 5~10중량%, 발효 거북손 추출물 5~10중량%, 코코넛 오일10~20중량% 및 정제수 40~70중량%를 혼합하는 혼합 조성물 제조 단계; 및
    상기 혼합 조성물을 5~10℃에서 2~3일간 교반하며 숙성하는 최종 숙성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향상 펩타이드 제조 단계는 상기 시그널 펜타펩타이드와 단백질 유입 도메인 사이에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트리펩타이드를 추가하여 펜타펩타이드의 C-말단에 트리펩타이드의 N-말단이 결합하고 트리펩타이드의 C-말단에 단백질 유입 도메인의 N-말단이 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거북손 추출물은 거북손을 단백질분해효소를 이용하여 30~120분 동안 1차 가수분해한 후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고 효모균을 접종하여 1~2일간 발효시킨 다음 추출한 것인,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20061731A 2022-05-20 2022-05-20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1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31A KR102561291B1 (ko) 2022-05-20 2022-05-20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31A KR102561291B1 (ko) 2022-05-20 2022-05-20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291B1 true KR102561291B1 (ko) 2023-07-27

Family

ID=87433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731A KR102561291B1 (ko) 2022-05-20 2022-05-20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2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226A (ko) * 2019-05-29 2019-08-05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비번역 유전자 nc886 발현촉진제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및 피부염증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스크리닝 방법
KR102016909B1 (ko) 2017-12-29 2019-09-02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소라 유래 펩타이드 분말을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8650B1 (ko) * 2018-10-24 2019-11-15 서혜림 보습 및 미백 효능을 갖는 천연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6938B1 (ko) * 2020-08-20 2020-11-10 (주)브이에스신비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4419B1 (ko) 2021-05-12 2021-09-24 주식회사 시돌스코리아 모링가 종자 유래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를 함유하여 피부 보습, 피부 미백, 피부 탄력 유지 및 향상, 피부 주름 방지에 유효한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909B1 (ko) 2017-12-29 2019-09-02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소라 유래 펩타이드 분말을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8650B1 (ko) * 2018-10-24 2019-11-15 서혜림 보습 및 미백 효능을 갖는 천연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1226A (ko) * 2019-05-29 2019-08-05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비번역 유전자 nc886 발현촉진제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및 피부염증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스크리닝 방법
KR102176938B1 (ko) * 2020-08-20 2020-11-10 (주)브이에스신비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4419B1 (ko) 2021-05-12 2021-09-24 주식회사 시돌스코리아 모링가 종자 유래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를 함유하여 피부 보습, 피부 미백, 피부 탄력 유지 및 향상, 피부 주름 방지에 유효한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22585A1 (en) Composition of collagen peptide and elastin peptid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US8828927B2 (en) Elastin digest compositions and methods utilizing same
KR100862979B1 (ko)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997694A (zh) 可用于治疗和/或护理皮肤、毛发、指甲和/或粘膜的化合物
KR102304419B1 (ko) 모링가 종자 유래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를 함유하여 피부 보습, 피부 미백, 피부 탄력 유지 및 향상, 피부 주름 방지에 유효한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20200020623A (ko) 피부 재생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02459309B (zh) 蛋白酶体激活性增亮肽水解产物和含有它们的组合物
CN108635291A (zh) 基于植物小分子肽的美容液及其制备方法
KR101809265B1 (ko) 니코티노일 펩타이드 및 천연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54793B1 (ko) 천연물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탄력개선 및 다크서클완화용 항산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61291B1 (ko)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시그널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939019A (zh) 一种皮肤细胞净化美容组合物
WO2008045766A2 (en) Method for treating skin
KR102496019B1 (ko) 피부 투과성 및 성분 안정성을 개선한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1292B1 (ko)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신경전달물질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44831B1 (ko) 발아된 검은콩 및 검은쌀 단백질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펩타이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2151A (ko) 꽃송이 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3702B1 (ko) 기능성 올리고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60375B1 (ko) PGC-1α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32887B1 (ko) 피부용 화장품 및 식용 필름을 포함하는 피부건강 개선용 세트 및 이를 이용한 피부미용방법
KR102622004B1 (ko) 클로렐라 프로토테코이데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e et al. Effects of Yukmigeehwang-hwan pharmacopuncture extracts on the collagenase activity and procollagen synthesis in HS68 human fibroblasts and tyrosinase activity
KR102432888B1 (ko) 식용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피부미용방법
KR102504644B1 (ko) Atage-905 콜라겐 엘라스틴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예방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