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094B1 -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094B1
KR102561094B1 KR1020220089274A KR20220089274A KR102561094B1 KR 102561094 B1 KR102561094 B1 KR 102561094B1 KR 1020220089274 A KR1020220089274 A KR 1020220089274A KR 20220089274 A KR20220089274 A KR 20220089274A KR 102561094 B1 KR102561094 B1 KR 102561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degree
cleaning
contamin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호
백남준
이선희
허당
박찬유
박일광
Original Assignee
엔텍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텍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텍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장치 내에 자동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세정부와, 송풍장치 내의 폐세정액 및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부를 마련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투입 없이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송풍장치의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An Automatic Cleaning System for Blower Device}
본 발명은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장치 내에 자동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세정부와, 송풍장치 내의 폐세정액 및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부를 마련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투입 없이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송풍장치의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생산활동 각 공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가스 및 미세먼지는 그 종류가 다양하며 인체에 미치는 영향도 다양하여 적절한 제어 및 정화기술을 적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유해가스는 주로 악취, 휘발성 유기화합물, 불활성 가스, 유독성 가스 등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유해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기술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래 특허문헌과 같은 스크러버이고, 스크러버는 가스 속의 고액 미립자를 물 등의 액체를 이용하여 포집시키는 원리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비교적 높은 포집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러버의 후단에는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은 송풍장치(100)가 형성되어 스크러버 내를 가스가 통과하도록 하면서 스크러버를 통과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송풍장치(100)에는 송풍팬(101)이 형성되어 가스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송풍팬(101)은 송풍하우징(103) 내에 형성되어 가스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송풍장치(100) 내에도 미처 처리되지 못한 이물질, 분진 등이 쌓여 오염되며, 이러한 이물질 등에 의해 가스의 유동성, 송풍팬(101)의 작동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송풍장치(100) 내에 들어가 송풍장치(100) 내벽 및 송풍팬(101)을 청소하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라 밀폐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질식 및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송풍장치(100) 내에 작업자, 장비들이 출입함에 따라 주변 스크러버 장비의 오염이 발생하게 되며, 세정작업이 오래걸리고 세정 효율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2260160호(2021. 05. 28. 등록)"수평형 스크러버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송풍장치 내에 자동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세정부와, 송풍장치 내의 폐세정액 및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부를 마련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투입 없이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송풍장치의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세정부의 배치를 통해 송풍장치의 내벽 및 송풍팬에 대한 효과적인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분사공을 갖는 회전노즐을 송풍하우징의 외벽을 통해 삽입시켜 고정,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회전노즐의 관리가 용이하며 송풍장치에 대한 효율적인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송풍장치의 바닥을 통해 수직으로 연결되는 배출배관을 통해 세정시 발생하는 폐세정액, 슬러지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배출관 상에는 상측으로 경사지게 분기되는 분기관이 형성되도록 하여 송풍장치의 응축수, 가스 배출이 슬러지에 의한 영향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송풍하우징의 바닥면이 배출관을 향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폐세정액, 이물질이 고이지 않고 배출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배출펌프를 통해 폐세정액 및 슬러지를 흡입하도록 하면서 폐세정액은 필터에 의해 걸러 외부로 배출하고, 슬러지만을 수용하여 부피를 줄인뒤 별도로 간편하게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폐세정액 및 슬러지의 처리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세정부의 작동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세정부의 작동에 따른 송풍장치의 오염 개선 정도를 분석하여 최적의 작동 정도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은 송풍하우징 내측면에 형성되어 세정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세정부와, 상기 송풍하우징의 바닥측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폐세정액 및 슬러지를 배출하는 드레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송풍팬의 일측면과 타측 방향의 후면에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송풍하우징의 내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노즐헤더와; 상기 노즐헤더의 끝단에 형성되어 회전하며, 세정액이 분사되는 복수의 분사공을 갖는 회전노즐과; 상기 노즐헤더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송풍하우징에 지지되는 고정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송풍하우징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폐세정액 및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배관과, 상기 배출배관의 일 지점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분기되도록 형성되는 분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송풍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배관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배출배관의 끝단에 형성되어 송풍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세정액 및 슬러지를 흡입하는 배출펌프와, 상기 배출펌프와 연결되어 폐세정액 및 슬러지를 수용하는 슬러지박스와, 상기 슬러지박스로부터 폐세정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폐세정액에서 슬러지를 걸러내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은 상기 세정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장치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는 오염감지부와, 상기 송풍장치의 오염정도에 따른 세정부의 작동 정보를 분석하여 최적의 작동 정도를 설정하는 작동분석부와, 상기 작동분석부에 의해 설정된 정도에 따라 세정부를 작동시키는 작동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염감지부는 상기 송풍팬의 작동정보를 수신하는 작동정보수신모듈과, 송풍팬의 작동에 따른 송풍장치로부터 가스의 유출속도를 측정하는 유출속도측정모듈과, 송풍팬의 작동 정도에 따른 유출속도의 비율을 투과지수로 산정하는 투과지수산정모듈과, 초기 상태에서의 투과지수를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모듈과, 기준값에 대한 현태 투과지수의 비율에 따라 송풍장치의 오염 정도를 산출하는 오염도산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분석부는 송풍장치의 오염 정도 정보를 수신하는 오염도수신모듈과, 오염시 작동하는 세정부의 작동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작동정도저장모듈과, 세정부의 작동 직후 송풍장치의 오염 정도를 평가하는 오염도평가모듈과, 세정부의 작동에 따라 송풍장치의 오염이 개선된 정도를 산출하는 개선정도산출모듈과, 세정부의 작동 정도와 오염의 개선 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개선관계분석모듈과, 분석되는 상관관계에 따라 오염 정도에 따른 세정부의 작동 정도를 결정하는 작동정도결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조정부는 상기 오염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송풍장치의 오염 정도 정보를 입력하는 오염도입력모듈과, 오염 정도에 따른 세정부의 작동 정보를 상기 작동분석부로부터 불러오는 작동정보로딩모듈과, 세정부의 작동에 따른 오염의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개선정도평가모듈과, 세정부의 작동에 따른 오염의 개선 정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개선관계분석모듈에 적용하여 상관관계를 갱신하는 개선관계갱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송풍장치 내에 자동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세정부와, 송풍장치 내의 폐세정액 및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부를 마련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투입 없이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송풍장치의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세정부의 배치를 통해 송풍장치의 내벽 및 송풍팬에 대한 효과적인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분사공을 갖는 회전노즐을 송풍하우징의 외벽을 통해 삽입시켜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회전노즐의 관리가 용이하며 송풍장치에 대한 효율적인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송풍장치의 바닥을 통해 수직으로 연결되는 배출배관을 통해 세정시 발생하는 폐세정액, 슬러지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배출관 상에는 상측으로 경사지게 분기되는 분기관이 형성되도록 하여 송풍장치의 응축수, 가스 배출이 슬러지에 의한 영향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송풍하우징의 바닥면이 배출관을 향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폐세정액, 이물질이 고이지 않고 배출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배출펌프를 통해 폐세정액 및 슬러지를 흡입하도록 하면서 폐세정액은 필터에 의해 걸러 외부로 배출하고, 슬러지만을 수용하여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폐세정액 및 슬러지의 처리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세정부의 작동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하면서 세정부의 작동에 따른 송풍장치의 오염 개선 정도를 분석하여 최적의 작동 정도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송풍장치의 세정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세정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4는 도 2의 드레인부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5의 오염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5의 작동분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5의 작동조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드레인점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부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을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세정시스템은 송풍하우징(103) 내측면에 형성되어 세정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세정부(1)와, 상기 송풍하우징(103)의 바닥측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폐세정액 및 슬러지를 배출하는 드레인부(3)와, 상기 세정부(1)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5)와, 상기 드레인부(3)의 작동 상태를 점검하는 드레인점검부(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크러버의 후단에 형성되어 스크러버의 가스 유동을 발생시키며 스크러버를 통과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장치(100)를 세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배경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송풍장치(100) 내에 작업자가 들어가는 위험이나 불편함 없이 자동으로 송풍장치(100) 내의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송풍장치(100)는 가스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101)이 송풍하우징(103) 내에 형성되며, 송풍하우징(103)은 스크러버의 후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송풍하우징(103)은 전면에 스크러버와 연통되는 유입구(103a)를 형성하여 스크러버를 통과하는 가스가 송풍하우징(103) 내로 유입되고, 후단 상측의 유출구(103b)를 통해 외부로 가스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세정부(1)는 송풍하우징(103) 내에 형성되어 세정액의 분사를 통해 송풍팬(101) 및 송풍하우징(103)의 내측면을 세정하는 구성으로, 복수의 위치에 형성되어 송풍팬(101) 및 송풍하우징(103) 전체를 효과적으로 세척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정부(1)는 송풍팬(101)의 일측면(A)과 송풍팬(101)의 타측면 후측(B)에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송풍하우징(103)의 전체 내측면, 송풍팬(101)의 양측면 뿐만 아니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송풍팬(101)의 전후면에도 고른 세정액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부(1)는 한 쌍 이상으로 형성되어 세정력을 더욱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세정부(1)는 외부에서 펌프 등을 통해 세정액을 공급받아 분사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노즐(11), 노즐헤더(12), 고정플랜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노즐(11)은 회전하면서 세정액을 분사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180도 회전하면서 세정액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노즐(11)은 노즐헤더(12)에 지지되어 회전하며,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분사공(111)을 갖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효율적인 세정액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노즐헤더(12)는 송풍하우징(103)의 내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송풍하우징(103)에 형성되는 삽입공(103c)을 통해 삽입되어 송풍하우징(103)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부(1)의 점검, 교체시 삽입공(103c)을 통해 쉽게 회전노즐(11)을 꺼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랜지(13)는 노즐헤더(1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송풍하우징(103)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송풍하우징(103)에 고정·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부(3)는 폐세정액 및 슬러지를 배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송풍하우징(103)의 바닥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바닥으로 침강되는 폐세정액 및 슬러지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드레인부(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배관(31), 분기관(32), 바닥판(33), 배출펌프(34), 슬러지박스(35), 필터(36), 배출관(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배관(31)은 송풍하우징(103)의 바닥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폐세정액 및 슬러지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수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기관(32)은 배출배관(31)의 일 지점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분기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스크러버가 정상 작동하는 평상시에 가스 및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종래 송풍장치(100)에도 송풍하우징(103)의 하측에 가스, 응축수 등이 배출되는 드레인 통로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이러한 드레인 통로를 통해 폐세정액, 슬러지 등을 배출하도록 할 경우 드레인 통로에 형성되는 무봉수트랩(LLT, Leak Less Trap) 등의 역류방지모듈(321)이 막히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분기관(32)은 슬러지 등이 배출되는 배출배관(31)과는 별개로 배출배관(31)에서 상측으로 경사지에 분기되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배출배관(31)을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 등이 유입되지 않아 역류방지모듈(321)이 막히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33)은 송풍하우징(103)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배출배관(31)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331)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송풍하우징(103)의 바닥에 침강되는 슬러지 및 폐세정액은 자연스럽게 배출배관(31)으로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출펌프(34)는 배출배관(31)의 끝단에 형성되어 슬러지 및 폐세정액을 흡입, 배출하는 구성으로, 송풍하우징(103) 내의 슬러지 및 폐세정액을 흡입하여 슬러지박스(35)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필터(36)는 슬러지박스(35)로 유입되는 폐세정액에서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구성으로, 슬러지가 포함되지 않는 폐세정액만을 배출하여 별도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배출관(37)은 슬러지박스(35)로부터 폐세정액을 배출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필터(36)를 거친 폐세정액이 외부로 배출되어 슬러지박스(35)에는 슬러지만이 남아있도록 하며, 부피가 줄어든 고형 슬러지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손쉽게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5)는 세정부(1)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송풍장치(100)의 오염 정도에 따라 세정부(1)의 작동 정도를 최적으로 조정하여 효율적인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5)는 오염감지부(51), 작동분석부(52), 작동조정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감지부(51)는 송풍장치(100)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송풍팬(101)의 작동에 따라 가스의 배출속도에 따라 송풍장치(100)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도록 한다. 송풍장치(100)가 오염될 경우 가스의 유동성, 송풍팬(101)의 작동성이 저하되어 송풍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속도가 느려지게 되므로, 가스의 배출속도에 따라 오염 정도를 판단하여 오염 정도에 따른 세정부(1)의 작동 정도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송풍장치(100)의 가스 배출 속도는 스크러버의 오염에 의해서도 느려질 수 있으나, 스크러버의 오염 정도가 심해질 경우 그에 비례하여 송풍장치(100)의 오염 정도도 심해지게 되므로 배출속도에 따른 오염 정도의 판단과 세정부(1) 작동 정도의 조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오염감지부(51)는 작동정보수신모듈(511), 유출속도측정모듈(512), 투과지수산정모듈(513), 기준값설정모듈(514), 오염도산출모듈(5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정보수신모듈(511)은 송풍팬(101)의 작동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송풍팬(101)의 전력공급량 등 작동정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출속도측정모듈(512)은 송풍하우징(103)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속도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송풍하우징(103)의 유출구(103b) 측에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여 배출속도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투과지수산정모듈(513)은 송풍팬(101)의 작동정도와 가스의 유출속도의 비율을 투과지수로 산정하는 구성으로, 유출속도측정모듈(512)에 의해 측정되는 유출속도를 송풍팬(101)의 작동정도로 나누어 투과지수의 산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설정모듈(514)은 정상상태에서의 투과지수에 대한 기준값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스크러버 및 송풍장치(100)가 오염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송풍팬(101)을 회전시켜 그 작동정도와 가스 유출속도의 비율에 따라 투과지수의 기준값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오염도산출모듈(515)은 송풍장치(100)의 오염 정도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투과지수산정모듈(513)에 의해 산정되는 투과지수를 이용하여 오염 정도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오염도산출모듈(515)은 실시간으로 송풍팬(101)의 작동정도와 가스의 유출속의 비율에 따라 투과지수를 산정하도록 하며, 투과지수가 기준값 대비 감소하는 정도에 따라 오염 정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분석부(52)는 송풍장치(100)의 오염 정도에 따른 세정부(1)의 작동 정보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분석에 따라 최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세정부(1)의 작동 정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분석부(52)는 오염도수신모듈(521), 작동정도저장모듈(522), 오염도평가모듈(523), 개선정도산출모듈(524), 개선관계분석모듈(525), 작동정도결정모듈(5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도수신모듈(521)은 송풍장치(100)의 오염 정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오염도산출모듈(515)에 의해 산출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정도저장모듈(522)은 세정부(1)의 작동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압력, 분사시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오염도평가모듈(523)은 세정부(1)의 작동 후 송풍장치(100)의 오염 정도를 평가하는 구성으로, 일정시간 세정부(1)가 작동한 후 상기 오염도산출모듈(515)에 의해 오염 정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선정도산출모듈(524)은 송풍장치(100) 오염의 개선 정도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세정부(1)의 작동 전 오염 정도와 세정부(1)의 작동 후 오염도평가모듈(523)에 의해 평가되는 오염 정도를 비교하여 개선된 정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선관계분석모듈(525)은 세정부(1)의 작동 정도와 송풍장치(100) 오염의 개선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세정부(1)에 의한 송풍장치(100)의 세정시마다 작동정도저장모듈(522)에 의해 저장되는 세정부(1)의 작동정도와 개선정도산출모듈(524)에 의해 산출되는 오염의 개선 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도록 한다. 상기 개선관계분석모듈(525)은 인공신경망 등 기계적 학습 방식에 의해 세정부(1)의 작동정도와 오염의 개선정도를 누적 저장하여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선관계분석모듈(525)은 세정부(1)의 분사압력, 분사시간, 오염정도 등을 입력측에 두고 오염의 개선정도를 출력측에 두어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정도결정모듈(526)은 송풍장치(100)의 오염 정도에 따른 세정부(1)의 작동정도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개선관계분석모듈(525)에 의해 도출되는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최적의 작동 정도를 결정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정도결정모듈(526)은 오염 정도에 따라 오염의 개선 정도를 최대로 높일 수 있는 분사압력, 분사시간의 값을 찾아 오염 정도에 따른 최적의 작동정도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분사압력 및 분사시간에 대해서는 일정 한계값을 설정하여 한계값 범위 내에서 최소의 분사압력과 분사시간으로 최대의 오염 개선 정도를 가질 수 있는 분사압력, 분사시간에 대한 최적의 값을 찾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조정부(53)는 작동분석부(52)에 의해 설정된 작동정보에 따라 세정부(1)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오염정도에 따라 세정부(1)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작동조정부(53)는 세정부(1)의 작동시마다 개선되는 오염의 개선 정도를 산출하여 이를 다시 작동분석부(52)에 의해 상관관계의 분석에 반영하도록 함으로써, 시간이 갈수록 작동정도 조절의 정확성이 높아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조정부(53)는 오염도입력모듈(531), 작동정보로딩모듈(532), 개선정도평가모듈(533), 개선관계갱신모듈(5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도입력모듈(531)은 송풍장치(100)의 오염 정도 정보를 입력받는 구성으로, 상기 오염도산출모듈(515)에 의해 산출되는 오염 정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도록 한다.
상기 작동정보로딩모듈(532)은 입력되는 오염 정도에 따른 세정부(1)의 작동정도에 관한 정보를 불러오는 구성으로, 상기 작동분석부(52)에 의해 분석되어 저장된 정보를 불러오도록 한다. 상기 작동정보로딩모듈(532)은 작동정도결정모듈(526)에 의해 오염 정도에 따라 최적의 값으로 결정된 세정부(1)의 분사압력 및 분사시간에 관한 정보를 불러오도록 할 수 있으며, 불러온 정보에 따라 세정부(1)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개선정도평가모듈(533)은 세정부(1)의 작동이 오염이 개선된 정도를 평가하는 구성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의 세정부(1) 작동 후 오염도산출모듈(515)에 의해 오염 정도를 산출하여 그 개선정도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선관계갱신모듈(534)은 세정부(1)의 작동 후 개선관계분석모듈(525)에 의해 도출되는 상관관계를 갱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개선정도평가모듈(533)에 의해 산출되는 개선정도의 값과 세정부(1)의 작동정보, 송풍장치(100)의 오염 정도 정보를 상관관계 분석에 적용하여 상관관계를 갱신하여 오염 정도에 따른 작동 정도의 설정이 다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개선관계갱신모듈(534)은 세정부(1)의 작동시마다 상관관계가 수정되어 시간이 갈수록 더욱 정확한 최적의 작동정도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점검부(7)는 상기 드레인부(3)의 작동 상태를 점검하는 구성으로, 드레인부(3)의 배출펌프(34)에 걸리는 부하에 따라 드레인부(3)의 상태를 점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점검부(7)는 배출펌프(34)에 걸리는 부하가 높아지는 경우 배출배관(31)이 막히거나 배출펌프(34)의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배출펌프(34)의 부하를 이용하여 드레인부(3)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드레인점검부(7)는 부하가 일정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드레인부(3)의 고장으로 판단하도록 하면서, 고장은 아니더라도 고장의 위험이 있는 경우 또는 부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알리도록 함으로써,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고 고장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드레인점검부(7)는 고장검출부(71), 위험경고부(72), 긴급알림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장검출부(71)는 드레인부(3)의 고장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부하정보수신모듈(711), 한계값설정모듈(712), 초과여부판단모듈(713), 고장알림모듈(7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하정보수신모듈(711)은 배출펌프(34)의 부하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배출펌프(34) 내 모터의 부하를 측정하는 센서를 통해 부하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한계값설정모듈(712)은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는 배출펌프(34)의 부하값을 한계값으로 설정하는 구성으로, 배출펌프(34)의 부하가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드레인부(3)의 고장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초과여부판단모듈(713)은 배출펌프(34)의 부하가 한계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드레인부(3)의 작동시 실시간으로 배출펌프(34)의 부하정보를 수신하여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고장알림모듈(714)은 드레인부(3)의 고장을 알리는 구성으로, 배출펌프(34)의 부하가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관리자 등에게 고장발생을 알려 고장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위험경고부(72)는 고장이 검출되기 전에 고장 위험이 있음을 감지하여 이를 알리는 구성으로, 배출펌프(34)의 부하가 고장으로 검출되는 한계값 이하의 일정 범위에서 지속되는 경우 이에 따른 위험지수를 산정하여 고장 위험을 경고할 수 있또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위험경고부(72)는 위험범위감지모듈(721), 감지기간산정모듈(722), 위험지수산출모듈(723), 경고정보전송모듈(7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범위감지모듈(721)은 배출펌프(34)의 부하가 고장으로 검출하는 한계값 이하의 일정 범위(이하 '위험범위'라 함)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부하가 고장에 근접한 값에 도달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지기간산정모듈(722)은 배출펌프(34)의 부하가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지속시간을 산정하는 구성으로,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부하값에 따른 지속시간을 산정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위험지수산출모듈(723)은 고장 위험에 근접하는 정도인 위험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부하값과 각 부하값에 대한 지속시간을 곱하여 위험지수를 산출하도록 산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동안의 위험지수를 합산하도록 한다.
상기 경고정보전송모듈(724)은 고장 위험에 근접했다는 경고신호를 관리자 등에게 전송하는 구성으로, 위험지수산출모듈(723)에 의해 산출되는 위험지수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고장 위험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위험경고부(72)는 고장에 근접한 배출펌프(34)의 부하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알리도록 함으로써,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고장 위험에 대한 선제적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장 발생에 따른 사고, 피해 등을 막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긴급알림부(73)는 고장 또는 고장 위험이 발생하기 전이라도 배출펌프(34)의 부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이를 바로 인지하여 긴급상황을 알리도록 하는 구성으로, 고장 또는 고장 위험이 감지되기까지 기다리지 않고 긴급 이상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긴급알림부(73)는 증가율산출모듈(731), 설정값비교모듈(732), 초과시간산정모듈(733), 긴급알림모듈(7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가율산출모듈(731)은 배출펌프(34) 부하의 증가 정도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부하가 증가하는 기울기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설정값비교모듈(732)은 산출된 증가율을 설정값과 비교하는 구성으로, 드레인부(3)의 이상에 따른 부하의 급격한 증가로 판단할 수 있는 증가 정도를 설정값으로 설정하여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초과시간산정모듈(733)은 부하의 증가율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시간을 산정하는 구성으로, 증가율이 설정값을 초과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속되는 시간을 산정하도록 한다.
상기 긴급알림모듈(734)을 부하의 증가율이 설정값을 초과한 상태의 지속시간이 일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긴급 상황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구성으로, 드레인부(3)의 긴급한 이상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통해 고장의 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부(1')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세정부(1')는 송풍하우징(103)의 일 측면을 통해 서로 상이한 길이로 삽입되는 제1분사모듈(11')과 제2분사모듈(12')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세정부(1')는 송풍장치(100)에 대해 더욱 고른 세정액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분사모듈(11')은 제2분사모듈(12')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송풍하우징(103) 내의 중앙측까지 세정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송풍하우징(103) 내의 중앙부에 도달할 만큼의 길이로 형성되며, 고압의 세정액이 공급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공급관(111')과; 상기 제1공급관(111')의 일단에서 360°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판(112')과; 상기 회전판(112')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외측으로 고압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구(113')와; 제1공급관(111')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플랜지(114')와; 상기 제1플랜지(114')를 송풍하우징(103)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제1체결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관(111')은 송풍하우징(103)의 측벽을 관통하여 송풍하우징(103) 내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내측으로는 세정액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며, 송풍하우징(103) 내측의 끝단에는 상기 회전판(112')이 형성되어 회전하고, 반대측 끝단에는 세정액을 공급하는 펌프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송풍하우징(103)에는 제1공급관(111')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103c-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급관(111')에는 제1삽입공(103c-1)의 외측과 맞닿는 지점에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제1플랜지(114')가 형성되어 제1삽입공(103c-1)을 밀폐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판(112')은 제1공급관(111')의 송풍하우징(103) 내측 끝단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구성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360°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둘레를 따라서는 상기 분사구(113')가 복수개 형성되어 사방으로 세정액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사구(113')는 회전판(112')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고압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구성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세정액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구(113')는 회전판(112')이 360°회전하도록 형성되고, 때로는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좌우 및 상하 방향에 걸쳐 세정액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랜지(114')는 상기 제1공급관(111')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제1공급관(111')이 제1삽입공(103c-1)과 맞닿는 지점에 형성되어 송풍하우징(103)의 측벽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플랜지(114')는 송풍하우징(103)의 측벽과 맞닿은 상태에서 제1체결구(115')에 의해 측벽과 체결되며, 이에 따라 제1삽입공(103c-1)은 폐쇄되어 송풍하우징(103)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세정부(1')를 통한 세정액의 분사에도 세정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제1분사모듈(11')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구(115')는 상기 제1플랜지(114')를 송풍하우징(103)의 측벽과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제1공급관(111')이 송풍하우징(103) 측벽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분사모듈(12')은 상기 제1분사모듈(11')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어 송풍하우징(103) 내부로 삽입되며, 제1분사모듈(11')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송풍하우징(103) 측벽 근처에 대해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한다. 상기 제2분사모듈(12')은 상기 제1공급관(111')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그 끝단이 송풍하우징(103)의 측벽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2공급관(121')과; 제2공급관(121')의 끝단에서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회전구(122')와; 회전구(122') 상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고압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23')과; 상기 제2공급관(121')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플랜지(124')와; 상기 제2플랜지(124')를 송풍하우징(103)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제2체결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관(121')은 제1공급관(111')과 같이 송풍하우징(103) 측벽을 관통하여 송풍하우징(103) 내에 삽입되며, 제1공급관(111')보다는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그 끝단이 송풍하우징(103) 측벽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제2공급관(121')은 내부 공간을 통해 세정액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고, 송풍하우징(103) 내측 끝단에는 상기 회전구(122')가 형성되어 회전하며, 반대측 끝단에는 세정액을 공급하는 펌프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송풍하우징(103)에는 제2공급관(121')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103c-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공급관(121')은 제2삽입공(103c-2)과 맞닿는 지점에 제2플랜지(124')가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구(122')는 제2공급관(121')의 끝단에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360°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123')은 상기 회전구(122')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고압의 세정액을 분사하는 구성으로, 복수개가 다양한 각도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랜지(124')는 제2공급관(121')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제1플랜지(114')와 같이 송풍하우징(103) 측벽에 밀착되어 제2체결구(125')에 의해 측벽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플랜지(124') 및 제2체결구(125')는 제1플랜지(114') 및 제1체결구(115')와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세정부 11: 회전노즐 111: 분사공
12: 노즐헤더 13: 고정플랜지 3: 드레인부
31: 배출배관 32: 분기관 321: 역류방지모듈
33: 바닥판 331: 경사면 34: 배출펌프
35: 슬러지박스 36: 필터 37: 배출관
5: 제어부 51: 오염감지부 52: 작동분석부
53: 작동조정부 7: 드레인점검부
11': 제1분사모듈 111': 제1공급관 112': 회전판
113': 분사구 114': 제1플랜지 115': 제1체결구
12': 제2분사모듈 121': 제2공급관 122': 회전구
123': 분사노즐 124': 제2플랜지 125': 제2체결구
100: 송풍장치 101: 송풍팬 103: 송풍하우징
103a: 유입구 103b: 유출구 103c: 삽입공
103c-1: 제1삽입공 103c-2: 제2삽입공

Claims (7)

  1. 스크러버 후단에 형성되어 스크러버를 통과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장치를 자동으로 세정하는 세정시스템에 있어서,
    송풍장치는 송풍장치 후단에 연결되는 송풍하우징과, 송풍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가스를 유동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송풍하우징 내측면에 형성되어 세정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세정부와, 상기 송풍하우징의 바닥측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폐세정액 및 슬러지를 배출하는 드레인부와, 상기 세정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부는,
    상기 송풍하우징의 내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노즐헤더와; 상기 노즐헤더의 끝단에 형성되어 회전하며, 세정액이 분사되는 복수의 분사공을 갖는 회전노즐과; 상기 노즐헤더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송풍하우징에 지지되는 고정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헤더는 송풍하우징에 관통 형성된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고정플랜지는 송풍하우징에 지지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장치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는 오염감지부와, 상기 송풍장치의 오염정도에 따른 세정부의 작동 정보를 분석하여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장 높은 오염의 개선정도를 갖도록 세정액의 분사압력, 분사시간에 관한 작동 정도를 설정하는 작동분석부와, 상기 작동분석부에 의해 설정된 정도에 따라 세정부를 작동시키는 작동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염감지부는,
    상기 송풍팬의 작동정보를 수신하는 작동정보수신모듈과, 송풍팬의 작동에 따른 송풍장치로부터 가스의 유출속도를 측정하는 유출속도측정모듈과, 송풍팬의 작동 정도에 따른 유출속도의 비율을 투과지수로 산정하는 투과지수산정모듈과, 초기 상태에서의 투과지수를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모듈과, 기준값에 대한 현태 투과지수의 비율에 따라 송풍장치의 오염 정도를 산출하는 오염도산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분석부는,
    송풍장치의 오염 정도 정보를 수신하는 오염도수신모듈과, 오염시 작동하는 세정부의 작동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작동정도저장모듈과, 세정부의 작동 직후 송풍장치의 오염 정도를 평가하는 오염도평가모듈과, 세정부의 작동에 따라 송풍장치의 오염이 개선된 정도를 산출하는 개선정도산출모듈과, 세정부의 작동 정도와 오염의 개선 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개선관계분석모듈과, 분석되는 상관관계에 따라 설정된 범위에서 가장 높은 오염의 개선 정도를 갖도록 오염 정도에 따른 세정액의 분사압력, 분사시간에 관한 작동 정도를 결정하는 작동정도결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조정부는,
    상기 오염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송풍장치의 오염 정도 정보를 입력하는 오염도입력모듈과, 오염 정도에 따른 세정부의 작동 정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작동분석부로부터 불러와 세정부를 작동시키는 작동정보로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089274A 2022-07-20 2022-07-20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 KR102561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274A KR102561094B1 (ko) 2022-07-20 2022-07-20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274A KR102561094B1 (ko) 2022-07-20 2022-07-20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094B1 true KR102561094B1 (ko) 2023-07-28

Family

ID=87426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274A KR102561094B1 (ko) 2022-07-20 2022-07-20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09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753U (ko) * 1988-08-11 1990-03-07 임택현 필기구
KR900004753A (ko) * 1988-09-02 1990-04-12 클라우스 데너 귄터 슈마허 포스포노숙신산 테트라메틸 에스테르 및 포스포노숙신산 테트라에틸 에스테르의 합성방법
JPH1136890A (ja) * 1997-07-23 1999-02-09 Toshiba Corp ドレン排出装置
KR20100130858A (ko) * 2009-06-04 2010-12-14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터널형 구조물의 지능형 외면 세척 시스템
KR101255093B1 (ko) * 2012-08-09 2013-04-16 (주)동영이엔씨 초고압 워터 제트에 의한 회전자주식 관로 세척장치
KR20150064852A (ko) * 2013-12-04 2015-06-12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습식 가스스크러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753U (ko) * 1988-08-11 1990-03-07 임택현 필기구
KR900004753A (ko) * 1988-09-02 1990-04-12 클라우스 데너 귄터 슈마허 포스포노숙신산 테트라메틸 에스테르 및 포스포노숙신산 테트라에틸 에스테르의 합성방법
JPH1136890A (ja) * 1997-07-23 1999-02-09 Toshiba Corp ドレン排出装置
KR20100130858A (ko) * 2009-06-04 2010-12-14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터널형 구조물의 지능형 외면 세척 시스템
KR101255093B1 (ko) * 2012-08-09 2013-04-16 (주)동영이엔씨 초고압 워터 제트에 의한 회전자주식 관로 세척장치
KR20150064852A (ko) * 2013-12-04 2015-06-12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습식 가스스크러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고실용신안 제1990-0004753호(1990.05.31.)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353B1 (ko) 선박용 디젤 엔진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KR20170010102A (ko) 선박용 디젤 엔진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US5832411A (en) Automated network of sensor units for real-time monitoring of compounds in a fluid over a distributed area
KR102176467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원배출 공정설비 관리시스템
KR100942168B1 (ko) 지하철 역사의 내외기 비교기반 환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41267B1 (ko) 하수관작업용순환배수장치
KR102198919B1 (ko) 가스 측정 장치 및 그의 세척 방법
KR101569721B1 (ko) 소각로용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1060933B1 (ko) 충격기류 방식의 여과포 집진장치의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방법
KR102561094B1 (ko)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
WO2019054018A1 (ja) クーラント液処理システム
JP2008080193A (ja) 濾過システム及び濾過方法
KR101522658B1 (ko) 일체형 지중시설물 청소 및 점검장치
CN112628819B (zh) 一种油烟在线监控净化方法及系统
US2020016351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suction device and suction device
JP2019070992A (ja) 火災警報装置
KR102517980B1 (ko) 밀폐공간 내 안전관리 시스템
CN101934178B (zh) 用于管理空气污染防治装置的方法及系统
KR100607468B1 (ko) 스크루버 및 초음파센서 수단을 이용한 스크루버 유량체크 방법
JP3041616B1 (ja) 焼却炉用スクラバ―ノズルの異常検出装置
KR102423242B1 (ko) 미세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102613140B1 (ko) 열교환기 튜브의 친환경 습식 자동 세관수 처리 및 재사용장치
JP2014077748A (ja) 集塵排気システムの集塵機能異常検出方法および装置
CN216350622U (zh) 一种臭氧浓度检测仪用气体预处理装置
JP4178388B2 (ja) バグフィルタろ布回収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