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151B1 -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151B1
KR102560151B1 KR1020160031586A KR20160031586A KR102560151B1 KR 102560151 B1 KR102560151 B1 KR 102560151B1 KR 1020160031586 A KR1020160031586 A KR 1020160031586A KR 20160031586 A KR20160031586 A KR 20160031586A KR 102560151 B1 KR102560151 B1 KR 102560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hair dye
phase change
dye composition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907A (ko
Inventor
조성욱
김중헌
박정순
황성록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60128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2Direct dyes
    • A61K2800/4322Direct dyes in preparations for temporarily coloring the hair further containing an oxidiz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에서 겔 형태로 상변이되는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알킬리화제 및 산화염료를 함유하는 1제 및 산화제를 함유하는 2제를 혼합하면 액상에서 겔 형태로 상변이되는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은 사용전에는 1제 및 2제가 각각 액상으로 제형이 안정하게 유지되고 염료도 1제에 안정적으로 녹으면서, 액상의 1제와 2제를 혼합하게 되면 혼합 용액의 점도가 증가하여 겔 형태로 상변이가 일어나, 염료 조성물의 도포가 용이하고 모발 흡착력이 증가하여 염료 전달력이 상승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은 모발 도포시 점도가 적절하게 유지되고 거품이 잘 발생하여 염색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Phase transition hair dye composition}
본 발명은 액상에서 겔 형태로 상변이되는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알킬리화제 및 산화염료를 함유하는 1제 및 산화제를 함유하는 2제를 혼합하면 액상에서 겔 형태로 상변이되어, 도포가 용이하며 모발 흡착력이 우수하여 염모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케라틴 섬유를 염색하는 방법에는 염모 효과의 지속성에 따라 일시 염모제, 반영구 염모제, 및 영구 염모제로 분류된다. 이중에서 지속성이 가장 좋은 영구 염모제는 산화영구염모제로도 명명되며, 통상 파라페닐렌디아민 등의 방향족 아미노 화합물로 대표되는 산화염료와 알칼리화제를 포함하는 제1제와,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제2제로 구성된다. 이러한 산화영구염모제의 경우 실제 모발에 적용 시 제1제와 제2제의 혼합액을 도포하여 모발내부에서 거대 염료분자가 축합중합되므로 염모력이 높고 색의 지속력이 좋은 장점이 있다.
통상적인 2제식 산화영구염모제에서 1제는 일반적으로 pH를 높여주기 위한 알카리화제 및 염색을 위한 여러 산화염료의 조합이 사용된다. 2제의 경우 산화 및 탈색을 위해 주로 과산화수소수가 사용되며, 과산화수소수를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1제와 달리 낮은 pH를 유지하고 있다.
일반적인 2제식 산화영구염모제는 염색을 위한 여러 산화염료 이외에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크림, 분말, 액상, 버블, 또는 에어로졸 등 다향한 형태의 제형으로 가공되어 시장에 공급되고 있다. 그 가운데, 다양한 버블타입의 염모제가 시장에 나와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거품을 발생하기 위한 메쉬가 부착된 펌프용기를 이용한 제품 또는 에어로졸을 이용한 제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펌프용기를 이용하는 염모제는 펌프의 1회 펌핑 시 거품이 1~3g으로 많지 않은 양이 토출이 되어, 염색을 하는동안 지속적으로 펌핑(약 70~100회)을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메쉬를 통한 크림형태의 거품이 모발 사이사이에 잘 스며들지 않고 거품과 모발의 접촉 시 공급되는 염료의 양이 다른 제형보다 상대적으로 적어 다른 형태의 염모제보다 많은 양의 염료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에어로졸 형태의 염모제는 상대적으로 사용이 편리하지만, 용기의 단가가 높고 가연성가스(LPG)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기에 의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알킬리화제 및 산화 염료를 함유하는 1제 및 산화제를 함유하는 2제를 포함하는 산화영구염모제에 있어서, 사용시 1제 및 2제를 혼합하면 액상에서 겔로 상변이되어 도포가 용이하며 염모 효과가 우수한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본 발명의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모발 염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알킬리화제 및 산화염료를 함유하는 1제 및 산화제를 함유하는 2제를 포함하는 산화영구염모제에 레올로지 조절제를 첨가하는 경우, 사용전에는 1제 및 2제가 각각 액상으로 제형이 안정하게 유지되고 산화염료도 1제에 안정적으로 녹으면서, 액상의 1제와 2제를 혼합하게 되면 혼합 용액의 점도가 증가하여 겔 형태로 상변이가 일어나, 염료 조성물의 도포가 용이하고 모발 흡착력이 증가하여 염료 전달력이 상승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레올로지 조절제와 함께 1제 및 2제에 각각 특정한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경우, 1제 및 2제의 혼합 용액을 모발에 도포할 때 적절한 점도가 유지되고 쉽게 펴발라지며 거품이 잘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알칼리화제 및 산화염료를 함유하는 액상 1제 및 산화제를 함유하는 액상 2제를 포함하며, 상기 1제 및 2제를 혼합시 혼합 용액은 겔로 변이되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은 1제 및 2제를 혼합할 때 혼합 용액의 점도를 증가시켜 겔 형태로 상을 변이시키기 위해 레올로지 조절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올로지 조절제는 상기 1제, 2제 또는 1제 및 2제 모두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올로지 조절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범용성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는 천연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합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고분자는 젤라틴, 펙틴, 덱스트란(Dextran),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 콜라겐, 한천, 아라비아 고무, 잔사고무, 아카시아고무, 카라야고무, 토라간고무, 또는 구어고무와 같은 검류, 전분, 카라긴산, 알긴산, 또는 알긴산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반합성 고분자는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 ethyl 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 carboxy methyl cellulose), 가용성 전분(Soluble Strach), 덱스트린(Dextrine), 카르복시메틸전분, 또는 디알데히드전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비닐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및 이의 염,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카르복시기 함유 아크릴수지, 카르복시기 함유 폴리에스테르수지, 수용성 폴리아마이드,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 말토덱스트린, 또는 폴리덱스트로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레올로지 조절제는 1제와 2제의 혼합전 액상 제형에 안정화될 수 있도록 수용성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성 모노머는 폴리쿼터늄-7(Polyquaternium-7, Dimethyldiallyl Ammonium Chloridecrylamide Copolymer), PEG-150/데실 알코올/SMDI 코폴리머(PEG-150/Decyl Alcohol/SMDI copolymer),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카복시메칠셀룰로오스, 및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Steareth-20 Methacrylate Copolymer)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쿼터늄-7은 점도 보조 및 기포 유지 효과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은 레올로지 조절제로 1제에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2제에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PEG-150/데실 알코올/SMDI/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성분들이 점도나 흐름성에 영향을 줄 수는 있지만, 상기 4종의 레올로지 조절제를 사용할 경우에 염모제 조성물의 점도 및 흐름성이 가장 우수하다.
상기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는 1제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1 중량%, 바람직하게 0.1~0.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점증 효과가 미약하며, 1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다른 레올로지 조절제와 함께 점도의 과도한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는 pH 변화에 따라 점도의 변화가 발생하며, 적정 pH가 아니더라도 안정하게 분산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PEG-150/데실 알코올/SMDI/코폴리머는 2제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제와 2제가 혼합되었을 때 1제에 포함된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와 혼합되어 점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으며, 기포 유지 등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PEG-150/데실 알코올/SMDI/코폴리머는 2제의 제형 안정화에도 도움을 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올로지 조절제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15 중량%, 바람직하게는 2~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올로지 조절제가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1제 및 2제 혼합시 겔화 효과가 부족하며, 1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혼합 용액의 점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염모제의 도포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은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통상적인 염모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지방산 비누(라우린산 나트륨, 팔미틴산 나트륨 등); 고급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칼륨 등); 알킬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POE-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 황산 나트륨 등); N-아실사르코신산(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 고급 지방산 아미드설폰산염(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리드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리드나트륨 등); 인산 에스테르염(POE-올레일에테르인산 나트륨, POE-스테아릴에테르인산 등); 설포숙신산염(디-2-에틸헥실설포숙신산 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설포숙신산 나트륨, 라우로일폴리프로필렌글리콜설포숙신산 나트륨 등); 알킬벤젠설폰산염(리니어드데실벤젠설폰산 나트륨, 리니어드데실벤젠설폰산 트리에탄올아민, 리니어드데실벤젠설폰산 등);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황산 에스테르염(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 황산나트륨 등); N-아실글루타민산염(N-라우로일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 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 등); 황산화유(로트유 등); POE-알킬에테르카르본산; POE-알킬알릴에테르카르본산 염; α-올레핀설폰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설폰산염; 2급 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 알킬올아미드 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숙신산 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 디트리에탄올아민;및 카제인나트륨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은 C8 내지 C22의 탄소수를 갖는 지방산을 말한다. 또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염, 바람직하게는 소듐염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라우릴황산모노이소프로판올,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마그네슘,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 모노이소프로판올,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 및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통상적인 염모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등); 알킬피리디늄염(염화세틸피리디늄 등);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알킬4급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포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이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사용시 거품을 촉진시키기 위해 라우라민옥사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주로 양이온기로 제4급 질소 및 음이온기로 카복실산기, 설폰산기, 또는 황산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미다졸린계 양성 계면활성제(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2나트륨염 등); 베타인계 계면활성제(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 아세트산 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설포베타인 등)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통상적으로 염모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주로 에틸렌옥사이드계, 디에탄올아민계, 솔비톨계, 글리세린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 디글리세롤소르비탄 등);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 지방산류(모노 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루카산 글리세린, 세스퀴올레인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α,α'-올레인산 피로글루타민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말산 등);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모노스테아린산 프로필렌글리콜 등);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등이,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POE-소르비탄모노올레 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등); POE-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 POE-지방산 에스테르류(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린산 에틸렌글리콜 등); POE-알킬에테르류(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탄올에테르 등); 플루로닉형류(플루로닉 등); POE·POP-알킬에테르류(POE·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모노부틸에테르, POE·POP-수첨 라놀린, POE·POP-글리세린에테르 등); 테트라 POE·테트라 POP-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테트로닉 등); POE-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POE-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타민산 모노이소스테아린산디에스테르, POE-경화 피마자유 말레인산 등); POE 밀랍·라놀린 유도체(POE-소르비트밀랍 등); 알칸올아미드(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린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 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 POE-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알킬아민; POE-지방산 아미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사이드; 및 트리올레일인산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은 1제에서 pH를 높이는 알칼리화제의 효과를 상쇄시키지 않고 제형을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1제에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2제에서 낮은 pH를 유지하여 산화제를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2제에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염모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30 중량%, 바람직하게 1.5~2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2~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가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모발 도포시 거품이 잘 발생하지 않으며, 3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저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제 및 2제의 혼합 및 거품 발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1제 및 2제가 혼합된 혼합 용액의 점도는 0.5~30ps, 바람직하게 0.8~20ps, 더욱 바람직하게 1~15p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도가 0.5ps 미만일 경우에는 겔로 상변이가 잘 일어나지 않고 잘 흘러내려 모발에 도포하는데 있어 사용이 불편하며, 30ps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도포가 어려워지고 모발에 도포 시 기포가 충분하게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염모제 조성물에 레올로지 조절제를 첨가하여 상기와 같은 적절한 점도 범위를 유지함으로써, 도포 후 거품이 사라지더라도 염모제가 모발에 흡착되어 쉽게 흘러내리지 않아 모발에 염료 전달 효과를 향상시킨다. 즉, 본 발명의 염모제는 모발에 도포 후 거품이 사라지더라도 0.5~30ps의 점도의 겔 형태로 유지되어 모발에서 흘러내리지 않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의 측정은 Brookfield LVT, 3번 spindle, 12rpm(25℃)의 조건에서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 도포시 거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형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거품형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은 거품 형성 후 거품이 가라앉더라도 점도가 0.5~30ps로 유지되어 염모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본 발명의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에는 산화염색용 염모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 본 발명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성분으로 산화염료, 용제, 알칼리화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금속이온봉집제, 산화제, 점증제, 또는 향료 등의 성분을 적절히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화제는 pH 6 이상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늄, 아민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민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모노에탄올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메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메틸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및 부틸에탄올아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킬리화제로 모노에탄올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은 중성 내지 알칼리의 pH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알칼리성의 조건에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알칼리화제의 함량은 1제 총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 1.5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2 내지 14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화제가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염료가 모발 내부에 침투하기 어려우며, 20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pH 값이 적절한 범위를 벗어나고 자극이 강해 염모제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산화염료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구체와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의 산화염료 전구체와 커플러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산화염료는 페닐렌디아민계 또는 아미노페닐계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색조를 보다 다양하게 하기 위하여 아조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벤젠기의 니트로 유도체 염료, 인다민(indamine) 염료, 인도아닐린(indoaniline) 염료, 또는 인도페놀(indophenol) 염료 등의 직접염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염료 전구체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산화염료 중간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o-아미노페놀, p-아미노페놀, 염산 톨루엔-2,5-디아민, 염산 p-페닐렌디아민, 톨루엔-2,5-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황산-p-메틸아미노페놀, 황산-o-아미노페놀, 황산-p-아미노페놀, 황산-톨루엔-2,5-디아민, 및 황산 p-페닐렌디아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플러로는 2-메칠-5-히드록시에칠아미노페놀, p-아미노-o-크레솔, m-아미노페놀, 염산-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염산-m-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N-메칠-p-페닐렌디아민, 황산-p-아미노-o-크레솔, 황산-4-에톡시-m-페닐렌디아민, 황산-m-페닐렌디아민, α-나프톨, 레소르신, 및 2-메칠레소르시놀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커플러는 산화염료 전구체와 혼합되어 사용되며, 모발에 다양한 색조를 나타내는 작용을 한다.
상기 산화염료의 함량은 1제 총 중량 대비 0.01~8 중량%, 바람직하게 0.2~6.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1~5.5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염료가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모발 염색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으며, 8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모발 염색력이 너무 과하여 사용하기에 부적절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또는 디에칠렌글리콜 등의 수용성 용제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소듐설페이트, 아스코르빈산, 시스테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에리소르빈산 등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로는 과산화수소, 또는 과산화우레아와 같이 가수분해에 의해 과산화수소를 생성할 수 있는 화합물, 알칼리 금속 브롬산염 또는 페리시안화물, 및 과붕산염 및 과황산염과 같은 과염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과산화수소수(3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덜 바람직하나, 락카아제, 퍼옥시다아제 및 2-전자산화환원 효소(예컨대 유리카아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산화환원 효소 또한, 적절한 경우 각각의 공여체 또는 보조인자의 존재 하에서 산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제의 함량은 2제 총 중량 대비 5~30 중량%, 바람직하게 8~26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12~22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제가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산화 및 탈색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으며, 3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산도가 너무 높아져 부적절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수 안정화제로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피로인산염,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주석산염, 페나세틴 또는 산 및 옥시퀴놀린의 염, 예를 들면 황산 옥시퀴놀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피로인산염과 조합된 하나 이상의 주석산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화제를 포함하는 2제는 낮은 pH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산도 유지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산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이온봉집제로는 디소듐-EDTA, 테트라소듐-EDTA, 펜타소듐펜티테이트, 또는 에티드론산 등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알칼리화제 및 산화염료를 함유하는 액상 1제 조성물, 산화제를 함유하는 액상 2제 조성물, 및 레올로지 조절제를 포함하는 염모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상기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모발 염색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성분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1) 60~80℃, 바람직하게 65~75℃로 가온된 용매에 알칼리화제 및 산화염료를 투입하여 교반 용해한 후 30~50℃, 바람직하게 35~45℃로 냉각하여 1제를 제조하며, 용매에 산화제를 투입하여 교반 용해시켜 2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s2) 상기 (s1) 단계의 1제에 계면활성제 및 레올로지 조절제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상의 1제 및 2제를 혼합시 혼합 용액이 겔로 변이되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제 및 2제가 혼합된 겔 제형의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는 거품형 모발 염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거품형 모발 염색 방법은 1제 및 2제가 혼합된 겔 제형의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할 때 거품이 형성되어 염모 효과 및 염색 용이성이 우수하며, 거품이 가라앉더라도 점도가 0.5~30ps로 적절하게 유지되어 염모제 조성물이 흘러내리지 않아 염모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본 발명의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은 사용전에는 1제 및 2제가 각각 액상으로 제형이 안정하게 유지되고 염료도 1제에 안정적으로 녹으면서, 액상의 1제와 2제를 혼합하게 되면 혼합 용액의 점도가 증가하여 겔 형태로 상변이가 일어나, 염료 조성물의 도포가 용이하고 모발 흡착력이 증가하여 염료 전달력이 상승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은 모발 도포시 점도가 적절하게 유지되고 거품이 잘 발생하여 염색이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성분
1제는 정제수를 70℃로 가온 후 각 알칼리화제, 산화염료 등을 투입하여 교반 용해한 후 40℃에서 냉각하고, 각각의 레올로지 조절제, 계면활성제, 향료 등을 후첨하였으며, 2제도 동일한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1제 및 2제의 성분 및 pH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산화 염모제 1제
성분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Polyquaternium-7 (Dimethyldiallyl Ammonium Chloridecrylamide Copolymer) - 1 0.5
PEG-150/Decyl Alcohol/SMDI copolymer - - 1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8 0.4 -
향료 0.5 0.5 0.5
라우릴황산나트륨 - 3 2.5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 3 2.5
라우릴황산암모늄 5 - -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2 - -
EDTA·4Na 0.2 0.2 0.2
카복시메칠셀룰로오스 1 0.5 1
아황산나트륨 0.70 0.70 0.70
모노에탄올아민 3.0 3.0 3.0
실리콘 쿼터늄-8 0.3 0.3 0.3
에탄올 3.0 3.0 3.0
p-페닐렌디아민 1.42 1.42 1.42
레소르시놀 0.650 0.650 0.650
m-아미노페놀 0.09 0.09 0.09
o-아미노페놀 0.17 0.17 0.17
2-메칠-5-히드록시에칠 아미노페놀 0.050 0.050 0.05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pH 9.72 9.70 9.73
산화 염모제 2제
성분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과산화수소수(35%) 17.0 17.0 17.0
라우라민옥사이드 - 6 0.8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0.1 8 0.1
인산 0.3 1 0.2
인산일수소나트륨 0.2 0.2 0.2
Acrylates/Steareth-20 Methacrylate Copolymer - 1.5 2
에티트로닉애씨드 0.2 0.2 0.2
PEG-150/Decyl Alcohol/SMDI copolymer 3 1 -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pH 3.0 3.0 3.0
실험예 1: 염모제 조성물의 제형 평가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염모제 조성물의 사용전 및 혼합시 제형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사용전
제형
1제 겔상 액상 액상
2제 액상 액상 액상
혼합 제형 겔상 겔상 겔상
상기 표 3에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1제는 사용전 액상으로 안정하여 염료가 제형 내에 안정하게 용해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염모제 조성물의 점도 평가
점도 평가는 Brookfield LVT, 3번 spindle, 12rpm(25℃)의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비교예 및 실시예의 1제를 2제와 1:1 비율로, 노즐이 있거나 혼합액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용기에 넣은 후 좌우로 원을 그리듯 흔들어 젤 제형으로 만들었다. 이후 사용하기 적합한 점도가 형성되었는지 확인하였고 모발트레스에 도포 후 거품을 발생시켰다. 거품의 발생량을 측정하고 거품이 유지되거나 혹은 거품이 꺼지더라도 모발트레스를 매달아 염모제가 흘러 내리는지 확인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혼합 용액의 점도 35~50ps 7~15ps 1~3ps
거품이 사라진 후 점도 35~45ps 5~12ps 1~2ps
상기 표 4에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염모제 조성물에서 혼합 용액의 점도 및 거품이 사라진 후 점도가 모발 염색에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염모제 조성물의 염색력 평가
염색력 평가는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조성물로 염색한 모발 트레스의 색상 차이를 색차계를 통해 ΔE를 측정하여 판별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일반적인 버블 타입 염모제보다 염색성이 우수한 크림 타입 염모제와 비교하여 염색력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또한 비교예 1의 겔 타입 염모제도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스펙트로포토미터를 활용하여 모발 염색 전후의 염색성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이때의 색편차인 ΔE 값을 산출하여 비교평가 하였다. 본 평가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각각의 산화영구염모제를 5g씩 사용하여 30℃, 60%RH의 조건에서 10분간 염색한 다음 수세하고 건조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시료를 스펙트로포토미터를 활용하여 그 색채 값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수치화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ΔE(천이(遷移) 에너지)=[(Δa)2 + (Δb)2 + (ΔL)2]1/2
L: 밝고 어두움, 수치가 클수록 밝음
a: Green to red, 클수록 적색기가 강해짐
b: Blue to yellow, 클수록 황색기가 강해짐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ΔE(갈색) 1.2 0.4 0.7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을 크림 제형의 염모제와 색 차이를 측정하였을 때,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염모제 조성물은 비교예 1의 겔 타입의 염모제 조성물에 비해 ΔE 값이 작아 염색력이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6)

  1. 알칼리화제 및 산화염료를 함유하는 액상 1제 및 산화제를 함유하는 액상 2제를 포함하며,
    상기 액상 1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액상 2제는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1제 및 2제를 혼합시 혼합 용액은 겔로 변이되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레올로지 조절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올로지 조절제는 천연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합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올로지 조절제는 수용성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화제는 아민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제에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2제에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제 및 2제가 혼합된 혼합 용액의 점도는 0.5~30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 도포시 거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거품 형성 후 거품이 가라앉더라도 점도가 0.5~30ps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14. 알칼리화제 및 산화염료를 함유하는 액상 1제 조성물, 산화제를 함유하는 액상 2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액상 1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액상 2제는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염모 키트.
  15. (s1) 가온된 용매에 알칼리화제 및 산화염료를 투입하여 교반 용해한 후 냉각시켜 1제를 제조하며, 용매에 산화제를 투입하여 교반 용해시켜 2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s2) 상기 (s1) 단계의 1제에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2제에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상의 1제 및 2제를 혼합시 혼합 용액이 겔로 변이되는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제1항의 상기 1제 및 2제가 혼합된 겔 제형의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는 거품형 모발 염색 방법.
KR1020160031586A 2015-04-29 2016-03-16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KR102560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940 2015-04-29
KR20150060940 2015-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907A KR20160128907A (ko) 2016-11-08
KR102560151B1 true KR102560151B1 (ko) 2023-07-26

Family

ID=5752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586A KR102560151B1 (ko) 2015-04-29 2016-03-16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1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4301A (zh) * 2019-12-11 2020-02-18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聚乙二醇/羟丙基纤维素碳纳米管复合固-固相变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238886B1 (ko) * 2020-04-13 2021-04-13 주식회사 피플앤코 젤 상의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528B1 (ko) * 2011-11-24 2014-10-08 (주)아모레퍼시픽 모발의 부드러움을 개선하고 흘러내리지 않는 거품형 염모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907A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5477B (zh) Hair dye and hair coloring method
EP3153153B1 (en) Hair-dye composition
IT201900005622A1 (it) Composizione per la tintura ecologica dei capelli
WO2010143695A1 (ja) 毛髪処理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毛髪処理方法
TWI690331B (zh) 染毛劑組成物以及染毛劑組成物的色調穩定化方法
ES2748876T3 (es) Agente para tinte capilar oxidativo y método para estabilizar el tono de color de una composición de tinte capilar oxidativo
US11185485B2 (en) Hair color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2013136480A1 (ja) 染毛剤及び染毛方法
EP4051228B1 (en) Two-part oxidative dyeing composition
TW201914569A (zh) 含毛髮直接染料之粉末組合物
KR102560151B1 (ko) 상변이 염모제 조성물
JP5956170B2 (ja) 染毛剤及び染毛方法
JP6448144B2 (ja) 毛髪処理組成物、そのキット及び方法
CN107072899B (zh) 毛发处理组合物、试剂盒及其方法
JP6523282B2 (ja) 毛髪処理用水性組成物
KR102108499B1 (ko)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JP2014047171A (ja) エアゾール式泡状酸化染毛剤組成物
US20220409499A1 (en) Aqueous oxidizing composition comprising amino acids
JP2007051098A (ja) アミノピリミジン誘導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染毛剤組成物
JP2016121116A (ja) 酸化染毛剤組成物
KR101305493B1 (ko) 거품형 염모제
JP6347955B2 (ja) 毛髪化粧料及び毛髪化粧料用品
EP415918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oxidative dye and alkalizing agent
WO2023052513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oxidative dye and amine salt
JP6871735B2 (ja) 多剤式染毛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