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098B1 - 유기염기 불화수소 첨가생성물에 의한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 및 그 맥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염기 불화수소 첨가생성물에 의한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 및 그 맥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098B1
KR102560098B1 KR1020210082412A KR20210082412A KR102560098B1 KR 102560098 B1 KR102560098 B1 KR 102560098B1 KR 1020210082412 A KR1020210082412 A KR 1020210082412A KR 20210082412 A KR20210082412 A KR 20210082412A KR 102560098 B1 KR102560098 B1 KR 102560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mxene
etching
dispersed
organic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514A (ko
Inventor
인인식
이지훈
엄주희
김지영
박성민
이성은
이휘영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82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098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90Carb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2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wo dimensions, e.g. plate-like
    • C01P2004/24Nanoplates, i.e. plate-like particles with a thickness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염기 불화수소 첨가생성물에 의한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 및 그 맥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유기에칭 시약을 사용하여 유분산 2차원 맥신 재료의 합성, 제조 방법 및 응용(예, 다양한 유기용매에 고분산성 및 산화 안정성, 전도성 필름, 잉크 및 다양한 고분자 복합체 형성 용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염기 불화수소 첨가생성물에 의한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 및 그 맥신의 제조방법{Synthesis, preparation method of organic-dispersible two dimensional MXene Materials by organic base-hydrogen peroxide adducts}
본 발명은 유기염기 불화수소 첨가생성물에 의한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 및 그 맥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유기에칭 시약을 사용하여 유분산 2차원 맥신 재료의 합성, 제조 방법 및 응용(예, 다양한 유기용매에 고분산성 및 산화 안정성, 전도성 필름, 잉크 및 다양한 고분자 복합체 형성 용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구리나 은과 같은 금속 소재들은 높은 전기전도도 특성을 지니는 소재로서 반도체, 디스플레이, 정보통신 분야의 전자기기에서 전극 및 배선으로 다양하게 활용되어 왔으나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 고가의 제조비용 및 인쇄 공정 적용의 어려움, 산화 및 부식성, 부족한 유연성 등의 이유로 사용에 한계가 존재한다.
맥신(MXene)은 2차원 구조의 새로운 나노재료로서 높은 전기전도도 및 우수한 용매 분산성(주로 물 및 친수성 용매들)을 지녀서 인쇄 전자용 유연 전극, 박막 센서, 고출력 배터리 및 슈퍼커패시터, 전자파 차폐 등의 분야에서 상기 맥신 및 맥신/고분자 복합체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한 상황이다.
맥신(MXene)은 2차원 결정질 전이 금속 카바이드(crystalline transition metal carbides)로서 지금까지 Ti2C, Ti3C2, Nb2C, V2C, Ta4C3, Mo2TiC2, Mo2Ti2C3, Cr2TiC2 등 20개의 상이한 맥신(MXene) 조성이 합성되었으며, 이러한 맥신(MXene)은 최근 개발된 2차원 물질 중 가장 뛰어난 전기전도도 특성을 보여준다.
맥신(MXene)은 일반적으로 맥스(MAX)라고 하는 세라믹 재료로부터 합성할 수 있다. 맥스(MAX)는 전이금속[예를 들어, 타이타늄(Ti), 니오븀(Nb), 바나듐(V), 탄탈럼(Ta), 몰리브덴(Mo), 크롬(Cr)]과, 탄소, 14족 원소[예를 들어 알루미늄(Al) 혹은 실리콘(Si) 등]의 적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에칭 공정(etching process)을 통해 14족 원소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2차원 형태의 맥신(MXene)이 얻어지게 된다.
지금까지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 상기 에칭 공정은 수성 매질에서 강산을 사용하여 이루어져 왔으며 이로 인해 맥신(MXene)의 표면은 -OH, =O, -F, -Cl 등의 말단작용기(terminal groups)가 생성되고 그 중에서도 특히 -OH 작용기로 인해 맥신(MXene)은 친수성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렇게 합성된 맥신(MXene)은 우수한 물 분산특성을 가지게 되고 필터 혹은 바코팅 등의 공정을 사용하여 필름 혹은 시트 형태로 만들어지면서 우수한 전기전도도 특성을 구현하게 된다.
하지만, 수용액을 사용하는 기존의 수성 에칭 공정은 그 과정에서 물 및 용존산소가 쉽게 맥신의 표면을 산화시켜서 TiO2와 같은 금속산화물의 형성을 유발하며 따라서 맥신(MXene) 고유의 높은 전기전도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피할 수 없었던 상황이다.
또한 맥신(MXene) 표면의 친수성 특성으로 인해 수 분산만 가능한 맥신(MXene)은 소수성을 가지는 다른 유기재료(고분자, 유기물질)들과의 상호 작용력 및 결합력이 낮아서 균일한 상태의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데에는 매우 제약적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또한 용액 공정 후에 높은 끓는 점 및 기화열을 가지는 물의 제거를 위하여 고온에서 오랜 시간의 건조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스프레이 코팅, 스핀 코팅, 잉크젯 프린팅, 바 코팅, 그라비아 코팅, 웹 코팅 등의 액상 인쇄 공정 적용 또한 제한적이었다.
미국 등록 특허 US10573768 미국 등록 특허 US9837182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94037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09564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3075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25913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1-001568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된 기존 맥신(MXene)의 문제점들은 모두 수용액을 사용하는 수성에칭 공정으로 인한 것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에칭 공정에서 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에칭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맥신(MXene) 표면에 존재하는 작용기 들 중 -OH 작용기의 비율을 현저하게 줄이고 대신에 -F 작용기의 비율을 늘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결과적으로 물 대신에 다양한 유기용매에 분산이 가능한 맥신(MXene)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에칭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맥신은 기존의 수성 에칭 공정으로 제조된 맥신이 친수성인 것과 달리 소수성을 나타내게 되며 특히 물과 섞이지 않는 비극성 유기용매에도 우수한 분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기에칭 맥신(MXene) 유기 잉크는 산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다양한 유기 고분자 기재 위에서의 코팅을 위한 용액 공정의 적용이 더욱더 원할하게 되고 또한 소수성을 가지는 다양한 유기 고분자 재료들과의 복합체 형성 또한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을 사용하지 않는 유기에칭 공정을 사용한 맥신(MXene)의 제조는 기존의 수성 에칭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된 친수성 맥신(MXene)과 달리 소수성을 나타내게 되며, 따라서 다양한 유기용매, 그 중에서도 톨루엔(toluene) 및 클로로포름(chloroform)류 등 물에 섞이지 않는 비극성 유기용매에 매우 우수한 분산성을 가지게 되어 우수한 산화 안정성의 확보가 가능하며, 기존의 수성 에칭 공정으로 제조된 수 분산 맥신(MXene) 잉크와 달리 매우 높은 보관 안정성을 가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에칭 공정 기반으로 제조된 소수성 맥신(MXene)은 톨루엔(toluene) 및 클로로포름(chloroform)류 및 다양한 유기용매에 우수한 분산성을 가지므로 이들 용매에 다양한 상용 고분자와 복합체 형성에 용이할 것이며, 스프레이 코팅, 스핀 코팅, 잉크젯 프린팅, 바 코팅, 그라비아 코팅, 웹 코팅 등의 인쇄 공정을 사용한 인쇄에 있어서 편리한 공정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맥스(MAX)의 에칭 공정에 있어서 물을 사용하지 않으며 대신 유기염기-불화수소 첨가생성물로 피리딘-불화수소 첨가생성물 등의 유기에칭 시약을 에스터, 아마이드, 카보네이트, 에테르, 니트릴, 케톤, 알코올 계열의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이를 사용한 유기에칭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소수성 맥신(MXene)을 제조하며, 특히 다양한 비극성 유기 용매 (Chloroform, Methylene Chloride, Benzene) 및 극성 유기 용매(Acetone,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Dimethyl formamide)에 높은 분산안정성 및 산화안정성을 가지는 맥신을 추가적인 표면개질 없이 제조하고 동시에 표면개질에 사용하는 비 전기전도성 유기리간드의 부재로 인하여 높은 전기전도도 특성이 유지하는 맥신의 제조를 위한 유기에칭 공정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유기에칭 공정으로 제조된 2차원 맥신(MXene) 소재가 다양한 유기용매에 추가적인 표면개질 과정 없이 잘 분산된 유기 맥신(MXene) 잉크를 기존보다 더욱 신속하며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맥신의 제조방법으로서, MAX를 준비하는 단계; 및 유기에칭 시약과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MAX의 A를 유기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의 제조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M은 전이금속, 상기 A는 14족원소, 상기 X는 탄소 또는 질소이다.
그리고 상기 유기에칭 시약은, 유기염기-불화수소 첨가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염기는 유기염기화합물로서, 상기 유기염기화합물은, 물 보다 유기용매에 잘 용해되고 교반 혹은 가열에 의하여 불화수소를 유기용매 내부에 잔존하도록 하는 유기염기, 유기염기 유도체, 및 유기염기와 고분자 결합 화합물 혹은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염기-불화수소 첨가생성물은, pyridine-불화수소 첨가생성물(Olah's Reagent), N,N-dimethylpropylene urea(DMPU)-불화수소 첨가생성물(DMPU-HF adduct), alc triethylamine(TEA)-불화수소 첨가생성물(TEA-HF adduc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유기염기-불화수소 첨가생성물은, 하기의 화학식 1에 표시된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x와 y는 상호 종속적으로, 합이 100%이며 각각 10%~90%의 값을 가지고, n의 범위는 1~100,000이며 R, R', R''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25 길이의 지방족 탄화수소 및 과불화알킬, 혹은 방향족 탄화수소 및 헤테로고리 화합물이다.
그리고 상기 유기염기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2에 표시된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학식 2]
또한 상기 유기용매는, 비극성유기용매, 극성유기용매 및 상기 유기염기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에칭 시약의 농도는 맥스(MAX)에 존재하는 A인 피에칭 원소의 몰 비율에 의하여 결정되며, 상기 피에칭 원소의 몰 비율의 50%에서 1,000%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에칭하는 단계는, 상기 MAX분말을 상기 유기용매에 넣고 교반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물에 상기 유기염기-불화수소 첨가생성물을 넣고 대기 또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0 ~ 100℃ 조건에서, 자성교반, 기계적 교반 또는 초음파 분산을 통해 유기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에칭 후에, 염화수소와 이소프로판올을 혼합한 세척액을 이용하여 원심분리세척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에 분산된 맥신 잉크를 분리막을 이용하여 진공 여과법을 통해 맥신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맥신 필름에서 상기 분리막을 때어내어 파우더화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앞서 언급한 제1목적에 따라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맥신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염기 불화수소 첨가생성물에 의한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 및 그 맥신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유기염기-불화수소 첨가생성물을 유기에칭 시약으로 사용하여 맥스(MAX)로부터 맥신(MXene)을 제조하게 되며 유기염기-불화수소 첨가생성물의 종류, 유기 용매의 종류, 유기에칭 공정의 온도, 시간, 유기에칭 시약의 농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제조될 맥신(MXene)의 표면 화학작용기를 다양화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조된 소수성 맥신(MXene)이 잘 분산되고 산화가 되지 않는 유기용매의 종류를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소수성 표면개질 유기리간드를 사용하여 맥신(MXene)의 물성을 조절하는 경우 소수성 맥신(MXene)과 소수성 표면개질 유기리간드의 유사한 소수성 용매 분산성으로 인하여 맥신(MXene)의 표면개질 과정에서 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산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조 방법의 의하여 형성된 2차원 맥신(MXene) 입자를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분산 잉크는 다양한 액상 코팅 공정 (스프레이코팅 혹은 스핀코팅)을 통해 고전기전도성 필름 및 고내구성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2차원 맥신(MXene) 입자는 표면에 소수성 작용기인 Ti-F 그룹 등이 기존의 맥신(MXene) 제조에 많이 사용되던 수성 HF 에칭법, 수성 LiF/HCl 사용법 등에 비해 많이 도입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비극성 유기용매에 안정적으로 분산되어 잉크화 혹은 페이스트화 될 수 있으며, 비극성 유기용매에 분산된 맥신(MXene) 소재는 산화 안정성이 매우 뛰어나 산화속도를 획기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표면이 유기에칭 공정으로 인하여 극도의 소수화가 이루어진 맥신은 추가 표면개질 공정의 적용이 매우 원할하게 되며 더 나아가 다양한 상용 또는 합성 고분자 기반의 복합체 종류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염기 불화수소 첨가생성물에 의한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 제조의 흐름을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염기 불화수소 첨가생성물에 의한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의 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유기용매에 분산된 맥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맥신 잉크를 분리막을 이용하여 진공여과법으로 필름을 제조하고, 분리막에서 때어낸 파우더화 과정을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평가예 1에 따른 SEM을 이용하여 분석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맥신의 미세구조
도 6은 본 발명의 평가예 3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박막의 분산도 시험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평가예 4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3,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박막의 Al양을 확인하기 위한 EDX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염기 불화수소 첨가생성물에 의한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염기 불화수소 첨가생성물에 의한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 제조의 흐름을 나타낸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염기 불화수소 첨가생성물에 의한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의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MAX 분말을 준비하고(S1), 유기에칭 시약과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MAX의 A를 유기에칭하게 된다. 앞선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M은 전이금속이고, A는 피에칭 원소로서 14족원소, 상기 X는 탄소 또는 질소이다.
도 1은 유기염기-불화수소 첨가생성물과 유기용매 혼합액을 사용한 유기에칭 공정으로 다양한 유기용매에 분산되는 맥신 잉크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에칭은 다양한 유기염기-불화수고 첨가생성물 및 다양한 유기용매에서 수행 가능하고 제조된 단층 맥신 또한 다양한 유기 용매에 분산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기에칭 공정이 적용되어 제조되는 맥신(MXene)은 Ti2C, Ti3C2, Nb2C, V2C, Ta4C3, Mo2TiC2, Mo2Ti2C3, Cr2TiC2 등 20여개의 상이한 맥신(MXene) 모두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기에칭하는 단계는, MAX분말을 유기용매에 넣고 교반하여 혼합한 후(S2), 이러한 혼합물에 유기염기-불화수소 첨가생성물을 넣고 대기 또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0 ~ 100℃ 조건에서, 자성교반, 기계적 교반 또는 초음파 분산을 통해 유기에칭을 진행하게 된다(S3).
그리고 염화수소와 이소프로판올을 혼합한 세척액을 이용하여 원심분리세척을 진행하게 된다(S4). 그리고 원심분리를 진행하여 맥신을 분리하게 된다(S5).
또한 유기용매에 분산된 맥신 잉크를 분리막을 이용하여 진공 여과법을 통해 맥신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맥신 필름에서 분리막을 때어내어 파우더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에칭 시약은, 유기염기-불화수소 첨가생성물에 해당하며, 이러한 유기염기는 유기염기화합물로서, 물 보다 유기용매에 잘 용해되고 교반 혹은 가열에 의하여 불화수소를 유기용매 내부에 잔존하도록 하는 유기염기, 유기염기 유도체, 및 유기염기와 고분자 결합 화합물 혹은 혼합물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염기-불화수소 첨가생성물은, pyridine-불화수소 첨가생성물(Olah's Reagent), N,N-dimethylpropylene urea(DMPU)-불화수소 첨가생성물(DMPU-HF adduct), alc triethylamine(TEA)-불화수소 첨가생성물(TEA-HF adduc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기염기-불화수소 첨가생성물은, 유기염기화합물에 불화수소가 다양한 비율로 결합한 시약을 통칭하여 하기의 화학식 1에 표시된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x와 y는 상호 종속적으로, 합이 100%이며 각각 10%~90%의 값을 가지고, n의 범위는 1~100,000이며 R, R', R''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25 길이의 지방족 탄화수소 및 과불화알킬, 혹은 방향족 탄화수소 및 헤테로고리 화합물이다.
예컨대, R, R',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C1-25 알킬, C2-25 알케닐, C2-25 알키닐, C6-25 아릴, 또는 (C6-25 아릴)-(C1-5 알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C1-13 알킬, C2-13 알케닐, C2-13 알키닐, C6-10 아릴, 또는 (C6-10 아릴)-(C1-5 알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Olah's Reagent 및 그 유도체의 경우 R이 H, DMPU-HF Adduct 및 그 유도체의 경우 R이 CH3인 화합물의 불화수소 첨가생성물을 사용하였으나, 소수성 잔기를 포함하여 유기에칭 과정에서 유기용매 내에서 분산될 수 있는 한,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탄소 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방족 탄화수소 혹은 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유기염기 및 그 유도체, 고분자 결합 화합물의 예시 가능한 몇몇 분자구조는 화학식 2와 같다.
[화학식 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에칭 시약의 농도는 맥스(MAX)에 존재하는 A인 피에칭 원소의 몰 비율에 의하여 결정되며, 피에칭 원소의 몰 비율의 50%에서 1,000%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50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유기용매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일 수 있으며, 물에 거의 혼합되지 않는 Chloroform, Methylene Chloride, Benzene 등의 비극성 유기 용매, Acetone,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Dimethyl formamide 등의 극성 유기 용매 및 앞서 언급한 Pyridine, DMPU, TEA 등의 유기염기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 용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그 실시예에 대한 평가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방법은, Ti3AlC2 MAX 분말(순도 98% 이상, 입자 크기 200 mesh, SY Innovation, CAS 번호 196506-01-1) 1g을 10 mL의 프로필렌카보네이트에 넣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상온에서 자력 교반한다.
피리딘-불화수소 첨가생성물(Olah's Reagent, CAS 번호 62778-11-4) 1g을 앞의 혼합물에 넣어준 다음 질소 분위기에서 35 oC 등온 조건에서 48시간 자력 교반을 지속하여 MAX의 알루미늄을 에칭한다.
유기에칭 종료 후 위의 반응물을 50 mL 폴리프로필렌 원심분리 튜브로 옮기고 6 M 염화수소 65 mL와 이소프로판올 65 mL를 혼합한 혼합 세척액을 이용하여 총 5회의 원심분리 세척을 3,000 rpm 5분 조건으로 진행한다.
개별 원심분리 후에는 세척액을 주입하고 vortex 등으로 침전물을 충분히 분산시켜준다. 다음으로 총 130 mL의 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다시 가라앉은 유기에칭 맥신을 총 5회 동일 조건으로 원심분리 세척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30 mL를 침전물에 더하고 얼음물 안에서 30분 동안 초음파 분산을 사용하여 박리한다.
마지막으로 분산된 유기에칭 맥신 용액을 3,500 rpm 15분 조건에서 원심분리 후에 상부의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용액에 분산된 유기에칭 단일층 Ti3C2 맥신(MXene)을 원심분리 튜브 바닥에 가라앉은 미에칭 Ti3AlC2 맥스(MAX), 에칭 부산물, 멀티층 Ti3C2 맥신(MXene)으로부터 분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유기용매에 분산된 맥신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맥신(MXene)을 제조할 때 주로 사용되던 수성 에칭법 대신 본 유기에칭을 적용하여 제조된 맥신(MXene)의 경우,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Acetone, Ethyl acetate, acetonitrile, DMF, DMSO, NMP 등 극성 유기용매 이외에도 기존 수성 에칭법으로 제조한 맥신(MXene)이 거의 분산되지 않는 Chloroform, Dichloromethane(DCM), 및 톨루엔 등의 비극성 유기용매에도 우수한 분산성을 보여주었다. 거의 모든 경우에 기존 수성 분산 맥신(MXene)과 비교하였을 때 유사하거나 더 잘 분산된 MXene 잉크 제조가 가능하다. 단, 기존 수성 분산 맥신이 잘 분산되는 물에서의 분산성은 기존 수성 에칭으로 제조한 수 분산 맥신(MXene)이 더 우수하였다.
실시예 1: 유기용매에 분산된 MXene 잉크를 이용한 박막 제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맥신 잉크를 분리막을 이용하여 진공여과법으로 필름을 제조하고, 분리막에서 때어낸 파우더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을 나탄내 것이다.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에 분산된 MXene 잉크를 PP-PE-PP 분리막(Celgard)을 이용하여 진공 여과법을 사용하여 맥신(MXene)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맥신(MXene) 필름 박막은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두께 5.6 νm를 가졌으며 유연성을 보였고 분리막에서 때어낸 경우 파우더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졌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10: Olah's reagent의 양을 다르게 하였을 때
실시예2 내지 실시예 10은 MAX 양, 용매, 온도, 공기 분위기, 시간은 동일하게 진행하고 Olah's reagent의 양을 다르게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양은 [표 1]에 나와있다.
[표 1]
실시예 11 내지 19: DMPU-HF의 양을 다르게 하여 진행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9는 MAX 양, 용매, 온도, 공기 분위기, 시간은 동일하게 진행하고 넣어주는 DMPU-HF의 양을 다르게 하여 진행하였다. 이에 관련된 양은 [표 2]에 정리 되어있다.
[표 2]
실시예 20 내지 실시예 28: TEA-HF의 양을 다르게 하여 진행
실시예 20 내지 실시예 28은 MAX양, 용매, 온도, 공기 분위기, 시간은 동일하게 진행하였고 넣어주는 TAE-HF의 양을 다르게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에 관련된 양은 [표 3]에 정리 되어있다.
[표 3]
실시예 29 내지 실시예 38: 용매의 종류를 바꿔서 진행
실시예 29 내지 실시예 38은 MAX의 양, 유기염기-불화수소 종류, 유기염기-불화수소의 양, 온도, 공기 분위기, 반응 시간은 동일한 상태로 용매 종류만 바꿔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넣어 준 정확한 값은 [표 4]에 나와 있다.
[표 4]
실시예 39 내지 실시예 43: 용매양을 다르게 하여 진행
실시예 39 내지 실시예 43은 MAX 양, 유기염기-불화수소 종류, 유기염기-불화수소 양, 온도, 공기 분위기, 반응시간, 용매 종류는 동일하게 진행 하나 넣어주는 용매의 양을 다르게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정확한 양은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비교예 1
비교예 1은 실시예 1과 반응하는 물질의 양은 동일하나 반응 시 온도를 -20 ℃에서 반응을 진행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은 실시예 1과 반응하는 물질의 양은 동일하나 반응 시 온도를 0 ℃에서 반응을 진행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3은 실시예 1과 반응하는 물질의 양은 동일하나 반응 시 온도를 50 ℃에서 반응을 진행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4은 실시예 1과 반응하는 물질의 양은 동일하나 반응 시 온도를 100 ℃에서 반응을 진행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5는 반응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나 워싱할 때 염화수소 대신에 황산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비교예 6
비교예 6은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반응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나 워싱 할 때 아세트산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비교예 7
비교예 7는 반응 양, 온도, 시간은 실시예 1과 동일하나 질소 분위기가 아닌 대기 중에서 반응을 진행하였다.
평가예 1: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3,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 SEM을 이용한 유기에칭법으로 제조된 Ti 3 C 2 MXene의 미세구조 분석
도 5는 본 발명의 평가예 1에 따른 SEM을 이용하여 분석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맥신의 미세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SEM(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피리딘-불화수소 첨가생성물을 프로필렌카보네이트에 혼합하여 유기에칭하여 얻어진 Ti3C2 맥신(MXene)의 미세구조를 분석하였다. 이차원적 (2D) 평판 구조를 가지며 단층 구조가 잘 유지된 것을 확인하였다.
평가예 2: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3,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서 제조된 박막의 전도성 측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박막의 전도성은 면저항과 두께를 각각 측정하여 계산하였으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평가예 3: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3,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서 제조된 박막의 분산도 결과
도 6은 본 발명의 평가예 3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박막의 분산도 시험 사진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박막의 분산도를 확인 하기 위해 분산 직 후, 1시간 후, 1일 후, 일주일 후의 시간을 두고 확인하였다. 이는 [표 6]에 나타내었다. 분산도는 상, 중상, 중, 중하, 하로 나타내었다.
평가예 4: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3,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서 제조된 박막의 Al 양
도 7은 본 발명의 평가예 4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3,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박막의 Al양을 확인하기 위한 EDX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3, 비교예 1 내지 비교에 4에서 제조된 박막의 Al양을 확인하기 위해 EDX를 통해 확인 하였다. 이는 [표 6]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조성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조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맥신의 제조방법으로서,
    MAX를 준비하는 단계; 및
    유기에칭 시약과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MAX의 A를 유기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에칭 시약은, 유기염기-불화수소 첨가생성물이며,
    상기 유기에칭하는 단계는,
    MAX 분말을 상기 유기용매에 넣고 교반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물에 상기 유기염기-불화수소 첨가생성물을 넣고 대기 또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0 ~ 100℃ 조건에서, 자성교반, 기계적 교반 또는 초음파 분산을 통해 유기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유기염기는 유기염기화합물로서, 상기 유기염기화합물은, 물 보다 유기용매에 잘 용해되고 교반 혹은 가열에 의하여 불화수소를 유기용매 내부에 잔존하도록 하는 유기염기, 유기염기 유도체, 및 유기염기와 고분자 결합 화합물 혹은 혼합물이고,
    상기 유기염기-불화수소 첨가생성물은,
    N,N-dimethylpropylene urea(DMPU)-불화수소 첨가생성물(DMPU-HF adduct), alc triethylamine(TEA)-불화수소 첨가생성물(TEA-HF adduc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의 제조방법:
    상기 M은 전이금속, 상기 A는 14족원소, 상기 X는 탄소 또는 질소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유기염기-불화수소 첨가생성물은, 하기의 화학식 1에 표시된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의 제조방법: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x와 y는 상호 종속적으로, 합이 100%이며 각각 10%~90%의 값을 가지고, n의 범위는 1~100,000이며 R, R', R''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25 길이의 지방족 탄화수소 및 과불화알킬, 혹은 방향족 탄화수소 및 헤테로고리 화합물이다.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비극성유기용매, 극성유기용매 및 상기 유기염기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에칭 시약의 농도는 맥스(MAX)에 존재하는 A인 피에칭 원소의 몰 비율에 의하여 결정되며, 상기 피에칭 원소의 몰 비율의 50%에서 1,000%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에칭 후에, 염화수소와 이소프로판올을 혼합한 세척액을 이용하여 원심분리세척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에 분산된 맥신 잉크를 분리막을 이용하여 진공 여과법을 통해 맥신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맥신 필름에서 상기 분리막을 때어내어 파우더화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의 제조방법.
  13. 삭제
KR1020210082412A 2021-06-24 2021-06-24 유기염기 불화수소 첨가생성물에 의한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 및 그 맥신의 제조방법 KR102560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412A KR102560098B1 (ko) 2021-06-24 2021-06-24 유기염기 불화수소 첨가생성물에 의한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 및 그 맥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412A KR102560098B1 (ko) 2021-06-24 2021-06-24 유기염기 불화수소 첨가생성물에 의한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 및 그 맥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14A KR20230000514A (ko) 2023-01-03
KR102560098B1 true KR102560098B1 (ko) 2023-07-26

Family

ID=8492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412A KR102560098B1 (ko) 2021-06-24 2021-06-24 유기염기 불화수소 첨가생성물에 의한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 및 그 맥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0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6639A1 (en) * 2019-10-14 2021-04-22 Drexel University Water-free etching of max phases into mxenes using organic solvent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3595B2 (en) 2011-06-21 2015-11-24 Drexel University Compositions comprising free-standing two-dimensional nanocrystals
WO2016049109A2 (en) 2014-09-25 2016-03-31 Drexel University Physical forms of mxene materials exhibiting novel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KR20190094037A (ko) 2018-02-02 2019-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순도의 맥신 (MXene) 제조 방법
KR102130754B1 (ko) 2018-02-07 2020-07-06 원광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 섬유 부직포 및 이에 코팅된 맥신을 포함하는 탄소 섬유 복합재,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307994B1 (ko) 2019-01-31 2021-10-06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맥세인 양자점 제조 방법
KR20210015689A (ko)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맥신 (MXene) 제조 방법
KR102225913B1 (ko) 2019-08-28 2021-03-11 주식회사 데브 맥신, 아가, 폴리비닐알콜, 전도성 고분자 및 탄소 섬유 부직포를 포함하는 탄소 섬유 복합재,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6639A1 (en) * 2019-10-14 2021-04-22 Drexel University Water-free etching of max phases into mxenes using organic solvent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 Bilyk 외 10인, J. Phys. Chem. C 2020, 124권49호, 27071-27081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14A (ko)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02444A1 (en) 2-dimensional mxene particle surface-modified with functional group containing saturated or unsaturated hydrocarbon,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e thereof
KR102079728B1 (ko)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포스포네이트로 표면개질 된 2차원 맥신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US20210269664A1 (en) 2-dimensional mxene surface-modified with catechol derivativ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xene organic ink including the same
JP4242366B2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にグアニジン基を形成する方法、グアニジン基の形成された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基板に付着する方法並びに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及び基板
US20080106853A1 (en) Process for Producing Porous Sintered Metal
US20060235235A1 (en) PEG-substituted pyridine ligands and related water-soluble catalysts
JP2018502030A (ja) ポリアニリン/還元型酸化グラフェン複合体の調製方法
WO2016014641A1 (en) Graphenic carbon particle co-dispers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150053668A1 (en) Resistive heating coatings containing graphenic carbon particles
US8114807B2 (en) Synthesis and use of intermetallic iron palladium nanoparticle compositions
KR102560098B1 (ko) 유기염기 불화수소 첨가생성물에 의한 유기에칭을 이용한 유분산 2 차원 맥신 및 그 맥신의 제조방법
JP5303107B2 (ja) 導電性ポリアニリン複合体の製造方法
WO2016070068A1 (en) Resistive heating coatings containing graphene carbon particles and use of such coatings for low energy curing
AU2015292726A1 (en) Graphenic carbon particle co-dispers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70221094A1 (en) Dispersant for dispersing carbon nanotubes and carbon nanotub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1495698B1 (ko) 유기 화합물과 은 코어 / 구리 쉘 나노 입자와의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18650A (ko)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아민으로 표면개질 된 2차원 맥신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1698456B1 (ko)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으로 기능화된 그래핀 옥사이드/고분자 복합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차단막
KR102644602B1 (ko) 맥신이 결합된 활물질, 맥신이 결합된 양극활물질, 이차전지, 및 슈퍼캐패시터
KR102673074B1 (ko) 맥신이 결합된 금속포일 집전체, 이를 포함한 음극, 양극, 및 슈퍼캐패시터
KR20240066308A (ko) 브랜치드한 말단기를 가진 카테콜 표면 개질 그래핀 옥사이드-맥신 혼합물, 그 혼합물을 이용한 유기잉크, 전자파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
CN115073974B (zh) 用邻苯二酚衍生物进行表面改性的二维迈科烯、其制造方法及含有其的迈科烯有机油墨
KR101828825B1 (ko) 세포막-모방 브러쉬 고분자 및 그 제조방법
JP6120213B2 (ja) 微細構造体の製造方法、複合体の製造方法
JP2010184968A (ja) ピロール共重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固体電解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