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711B1 - 드릴링 머신 - Google Patents

드릴링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711B1
KR102559711B1 KR1020220179175A KR20220179175A KR102559711B1 KR 102559711 B1 KR102559711 B1 KR 102559711B1 KR 1020220179175 A KR1020220179175 A KR 1020220179175A KR 20220179175 A KR20220179175 A KR 20220179175A KR 102559711 B1 KR102559711 B1 KR 102559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body
drill
drilling
driv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9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미영
Original Assignee
삼화정공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정공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화정공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79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6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driven by man-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23Q5/10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driven essentially by electr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릴링 머신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위치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수직으로 연장되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컬럼과; 컬럼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피가공물의 안착 구비되는 테이블과; 컬럼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동모터를 구동력으로 테이블에 올려진 피가공물을 천공하는 드릴장치와; 드릴장치의 상부에 구동모터의 구동풀리, 드릴척의 작동풀리 및 구동밸트의 노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드릴장치는 컬럼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머신바디와; 테이블에 대응하여 머신바디의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단부에 피가공물을 천공하는 탭드릴이 착탈 구비되고, 머신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는 승강핸들에 의해 테이블을 향해 출몰 작동하는 드릴척과; 머신바디의 상부에 위치되어 머신바디를 관통하는 드릴척의 상단에 형성된 작동풀리에 연결되는 구동밸트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머신바디의 후방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모터를 함께 전후진시켜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구동밸트의 텐션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드릴링 머신의 작동시 발생하는 공회전을 방지함과 아울러, 충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드릴링 머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릴링 머신{drilling machine}
본 발명은 드릴링 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드릴링 머신의 작동시 발생하는 공회전을 방지함과 아울러, 충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드릴링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링 머신은, 드릴링스핀들에 절삭공구인 드릴을 장착시켜 회전시킴으로써, 공작물에 구멍을 천공하거나 탭 등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치로, 특히 드릴링 머신은 드릴 승하강 손잡이를 이용해 드릴링스핀들을 상하 이동시키면서 작업 테이플 위에 놓여진 공작물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드릴링 머신은, 크게 바닥면에 놓여지는 받침대와, 이 받침대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과, 이 지지축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작업대 및 지지축의 상단에 구비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작업대는 지지축의 외주면에 브라켓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핸들의 조작에 의해 지지축을 따라 슬라이드 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헤드부는 드릴의 절삭공구가 장착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회전축과 구동모터의 결합관계는 풀리와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회전축의 끝단부에는 드릴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드릴척이 구비된다.
즉, 헤드부는 회전축, 구동모터, 풀리 및 벨트 등을 포함한 작동수단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드릴링 머신은 회전축 끝에 드릴을 장착한 후 드릴 하부까지 공작물이 놓여진 작업대를 상승시켜 구동모터로 드릴을 회전시키면서 레버로 상하운동을 시켜 구멍을 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드릴링 머신은 헤드부에 위치하는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회전축에 각각 풀리를 장착하고,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를 장착시켜야 하는 작업의 불편함과 함께 회전축에는 복수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풀리가 구비되어,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벨트를 작은 지름의 풀리에 다시 연결해야 하는 공정이 추가되는 등 작업효율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8-0103236 A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밸트의 텐션을 조절하고, 구동밸트의 노출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안하여 드릴링 머신의 작동시 발생하는 공회전을 방지함과 아울러, 충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드릴링 머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위치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수직으로 연장되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컬럼과; 컬럼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피가공물의 안착 구비되는 테이블과; 컬럼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동모터를 구동력으로 테이블에 올려진 피가공물을 천공하는 드릴장치와; 드릴장치의 상부에 구동모터의 구동풀리, 드릴척의 작동풀리 및 구동밸트의 노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드릴장치는 컬럼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머신바디와; 테이블에 대응하여 머신바디의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단부에 피가공물을 천공하는 탭드릴이 착탈 구비되고, 머신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는 승강핸들에 의해 테이블을 향해 출몰 작동하는 드릴척과; 머신바디의 상부에 위치되어 머신바디를 관통하는 드릴척의 상단에 형성된 작동풀리에 연결되는 구동밸트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머신바디의 후방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모터를 함께 전후진시켜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구동밸트의 텐션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머신을 제공한다.
여기서, 조절수단은 머신바디의 후방 양측에 일체로 돌출되며, 후방을 향해 소정의 깊이로 출몰공간을 갖는 가이드레일과; 기 가이드레일의 출몰공간에 각각 관통 삽입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바와; 가이드바의 단부에 체결 설치됨과 아울러 구동모터가 고정되어 한 몸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바의 출몰에 따라 구동모터를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작동풀리에 연결된 구동밸트의 탠션을 조절하는 이동블럭과; 머신바디의 후방에 대응하여 이동블럭에 체결 방식으로 관통 구비되어 체결되는 피치에 따라 이동블럭의 후방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머신바디에는 조절수단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바를 후방을 향해 미세하게 가압 밀착하는 텐션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텐션수단은 가이드레일의 내측 끝 분분에 레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텐션레버와; 텐션레버를 기준으로 머신바디의 설치공간을 관통하여 텐션레버와 함께 회전하는 레버축과; 머신바디의 설치공간에 구비됨과 아울러 레버축에 편심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에 따른 텐션레버의 회전 조작을 통해 레버축과 함께 편심 회전하여 가이드레일에 가이드바을 머신바디의 후방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가이드레일의 일면에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후방에 출몰하는 가이드바의 출몰 상태를 체결방식으로 고정하는 클램핑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커버부재는 머신바디의 상부에 구동모터가 위치되는 부분의 좌우 노출을 마감하는 제1밸트커버와; 머신바디의 상부 작동풀리의 노출을 마감하는 제2밸트커버로 분할 구비되며, 제1밸트커버와 제2밸트커버가 접촉되는 어느 한 부분에 경첩으로 결합하여 제2밸트커버를 회전 방식으로 전방 개폐 가능하며, 반대쪽에 설치되는 매미고리로 제2밸트커버의 노출을 차단하여 마감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밸트커버의 상부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탭드릴을 수납할 수 있는 드릴홈이 형성된 공구홀더가 수용되는 수납상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드릴링 머신의 작동시 발생하는 공회전을 방지함과 아울러, 충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링 머신을 나타내는 좌우측 사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릴링 머신을 나타내는 측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링 머신에 적용되는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평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링 머신을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각 시스템에서, 몇몇 경우에서의 요소는 각각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상이한 참조 번호를 가져서 표현된 요소가 상이하거나 유사할 수가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그러나 요소는 상이한 구현을 가지고 본 명세서에서 보여지거나 기술된 시스템 중 몇몇 또는 전부와 작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다양한 요소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어느 것이 제1 요소로 지칭되는지 및 어느 것이 제2 요소로 불리는지는 임의적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자료 또는 신호를 '전송', '전달' 또는 '제공'한다 함은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자료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물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자료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드릴링 머신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 컬럼(200), 테이블(300), 드릴장치(400), 커버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드릴링 머신의 기초로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패널로 드릴링 머신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중량으로 지지할 수 있다.
컬럼(200)은 베이스(100)의 수직으로 연장되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다.
그리고, 테이블(300)은 컬럼(20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피가공물의 안착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드릴장치(400)는 컬럼(200)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동모터(420)를 구동력으로 테이블(300)에 올려진 피가공물을 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500)는 드릴장치(400)의 상부에 구동모터(420)의 구동풀리(421), 드릴척(450)의 작동풀리(430) 및 구동밸트(460)의 노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드릴장치(400)는 머신바디(410), 드릴척(450), 구동모터(420), 조절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머신바디(410)는 컬럼(20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411)을 갖는다.
이때, 드릴척(450)은 테이블(300)에 대응하여 머신바디(410)의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단부에 피가공물을 천공하는 탭드릴(451)이 착탈 구비되고, 머신바디(4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승강핸들(440)에 의해 테이블(300)을 향해 출몰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420)는 머신바디(410)의 상부에 위치되어 머신바디(410)를 관통하는 드릴척(450)의 상단에 형성된 작동풀리(430)에 연결되는 구동밸트(460)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수단(600)은 머신바디(410)의 후방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모터(420)를 함께 전후진시켜 구동모터(420)에 연결되는 구동밸트(46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조절수단(600)의 구성은 가이드레일(610), 가이드바(620), 이동블럭(630), 조절스크류(6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610)은 머신바디(410)의 후방 양측에 일체로 돌출되며, 후방을 향해 소정의 깊이로 출몰공간(611)을 갖는다.
가이드바(620)는 가이드레일(610)의 출몰공간(611)에 각각 관통 삽입되어 가이드레일(610)을 따라 출몰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동블럭(630)은 가이드바(620)의 단부에 체결 설치됨과 아울러 구동모터(420)가 고정되어 한 몸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바(620)의 출몰에 따라 구동모터(420)를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작동풀리(430)에 연결된 구동밸트(460)의 탠션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스크류(640)는 머신바디(410)의 후방에 대응하여 이동블럭(630)에 체결 방식으로 관통 구비되어 체결되는 피치에 따라 이동블럭(630)의 후방 이동을 조절 가능하다.
그리고, 조절스크류(640)에는 작업자가 조절스크류(640)를 회전시키는 조절핸들(641)을 갖는다.
또한, 머신바디(410)에는 조절수단(600)의 가이드레일(610)을 따라 가이드바(620)를 후방을 향해 미세하게 가압 밀착하는 텐션수단(70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텐션수단(700)은 텐션레버(710), 레버축(720), 가압캠(730)을 포함할 수 있다.
텐션레버(710)는 가이드레일(610)의 내측 끝 분분에 레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레버축(720)은 텐션레버(710)를 기준으로 머신바디(410)의 설치공간(411)을 관통하여 텐션레버(710)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가압캠(730)은 머신바디(410)의 설치공간(411)에 구비됨과 아울러 레버축(720)에 편심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에 따른 텐션레버(710)의 회전 조작을 통해 레버축(720)과 함께 편심 회전하여 가이드레일(610)에 가이드바(620)을 머신바디(410)의 후방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레일(610)의 일면에는 가이드레일(610)을 따라 후방에 출몰하는 가이드바(620)의 출몰 상태를 체결방식으로 고정하는 클램핑탭(65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재(500)는 제1밸트커버(510), 제2밸트커버(520)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밸트커버(510)는 머신바디(410)의 상부에 구동모터(420)가 위치되는 부분의 좌우 노출을 마감할 수 있고, 제2밸트커버(520)는 머신바디(410)의 상부 작동풀리(430)의 노출을 마감 가능하다.
이때, 제1밸트커버(510)와 제2밸트커버(520)가 접촉되는 어느 한 부분에 경첩(530)으로 결합하여 제2밸트커버(520)를 회전 방식으로 전방 개폐 가능하며, 반대쪽에 설치되는 매미고리(540)로 제2밸트커버(520)의 노출을 차단하여 마감처리할 수 있다.
한편, 제2밸트커버(520)의 상부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탭드릴(451)을 수납할 수 있는 드릴홈(811)이 형성된 공구홀더(810)가 수용되는 수납상판(8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드릴링 머신의 작동시 발생하는 공회전을 방지함과 아울러, 충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베이스 200: 컬럼
300: 테이블 400: 드릴장치
410: 머신바디 411: 설치공간
420: 구동모터 421: 구동풀리
430: 작동풀리 440: 승강핸들
450: 드릴척 451: 탭드릴
460: 구동밸트 500: 커버부재
510: 제1밸트커버 520: 제2밸트커버
530: 경첩 540: 매미고리
541: 고리부 543: 클립부
600: 조절수단 610: 가이드레일
611: 출몰공간 620: 가이드바
630: 이동블럭 640: 조절스크류
641: 조절핸들 650: 클램핑탭
700: 텐션수단 710: 텐션레버
720: 레버축 730: 가압캠
800: 수납상판 810: 공구홀더
811: 드릴홈

Claims (7)

  1. 지면에 위치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수직으로 연장되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컬럼(200)과;
    상기 컬럼(20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피가공물의 안착 구비되는 테이블(300)과;
    상기 컬럼(200)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동모터(420)를 구동력으로 테이블(300)에 올려진 피가공물을 천공하는 드릴장치(400)와;
    상기 드릴장치(400)의 상부에 구동모터(420)의 구동풀리(421), 드릴척(450)의 작동풀리(430) 및 구동밸트(460)의 노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커버부재(500)를 포함하며,
    상기 드릴장치(400)는,
    상기 컬럼(20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411)을 갖는 머신바디(410)와;
    상기 테이블(300)에 대응하여 상기 머신바디(410)의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단부에 피가공물을 천공하는 탭드릴(451)이 착탈 구비되고, 머신바디(4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승강핸들(440)에 의해 테이블(300)을 향해 출몰 작동하는 드릴척(450)과;
    상기 머신바디(4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머신바디(410)를 관통하는 드릴척(450)의 상단에 형성된 작동풀리(430)에 연결되는 구동밸트(460)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420)와;
    상기 머신바디(410)의 후방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420)를 함께 전후진시켜 구동모터(420)에 연결되는 구동밸트(460)의 텐션을 조절하는 조절수단(600)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수단(600)은,
    상기 머신바디(410)의 후방 양측에 일체로 돌출되며, 후방을 향해 소정의 깊이로 출몰공간(611)을 갖는 가이드레일(610)과;
    상기 가이드레일(610)의 출몰공간(611)에 각각 관통 삽입되어 가이드레일(610)을 따라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바(620)와;
    상기 가이드바(620)의 단부에 체결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420)가 고정되어 한 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바(620)의 출몰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420)를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작동풀리(430)에 연결된 구동밸트(460)의 탠션을 조절하는 이동블럭(630)과;
    상기 머신바디(410)의 후방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블럭(630)에 체결 방식으로 관통 구비되어 체결되는 피치에 따라 상기 이동블럭(630)의 후방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스크류(640)를 포함하고,
    상기 머신바디(410)에는,
    상기 조절수단(600)의 가이드레일(610)을 따라 가이드바(620)를 후방을 향해 미세하게 가압 밀착하는 텐션수단(7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머신.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션수단(700)은,
    상기 가이드레일(610)의 내측 끝 분분에 레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텐션레버(710)와;
    상기 텐션레버(710)를 기준으로 상기 머신바디(410)의 설치공간(411)을 관통하여 상기 텐션레버(710)와 함께 회전하는 레버축(720)과;
    상기 머신바디(410)의 설치공간(411)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레버축(720)에 편심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에 따른 상기 텐션레버(710)의 회전 조작을 통해 상기 레버축(720)과 함께 편심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610)에 가이드바(620)을 머신바디(410)의 후방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캠(7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머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610)의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610)을 따라 후방에 출몰하는 가이드바(620)의 출몰 상태를 체결방식으로 고정하는 클램핑탭(6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머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500)는,
    상기 머신바디(410)의 상부에 구동모터(420)가 위치되는 부분의 좌우 노출을 마감하는 제1밸트커버(510)와;
    상기 머신바디(410)의 상부 작동풀리(430)의 노출을 마감하는 제2밸트커버(520)로 분할 구비되며,
    상기 제1밸트커버(510)와 제2밸트커버(520)가 접촉되는 어느 한 부분에 경첩(530)으로 결합하여 제2밸트커버(520)를 회전 방식으로 전방 개폐 가능하며, 반대쪽에 설치되는 매미고리(540)로 제2밸트커버(520)의 노출을 차단하여 마감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머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밸트커버(520)의 상부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탭드릴(451)을 수납할 수 있는 드릴홈(811)이 형성된 공구홀더(810)가 수용되는 수납상판(8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머신.
KR1020220179175A 2022-12-20 2022-12-20 드릴링 머신 KR102559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9175A KR102559711B1 (ko) 2022-12-20 2022-12-20 드릴링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9175A KR102559711B1 (ko) 2022-12-20 2022-12-20 드릴링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711B1 true KR102559711B1 (ko) 2023-07-26

Family

ID=8742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9175A KR102559711B1 (ko) 2022-12-20 2022-12-20 드릴링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7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646Y1 (ko) * 1992-06-08 1994-08-20 정춘웅 드릴링 머신의 벨트 이동 및 장력 조정장치
KR101845920B1 (ko) * 2016-09-30 2018-04-05 노창환 드릴링 머신
KR20180103236A (ko) 2017-03-09 2018-09-19 노창환 드릴링 머신의 스핀들 공회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646Y1 (ko) * 1992-06-08 1994-08-20 정춘웅 드릴링 머신의 벨트 이동 및 장력 조정장치
KR101845920B1 (ko) * 2016-09-30 2018-04-05 노창환 드릴링 머신
KR20180103236A (ko) 2017-03-09 2018-09-19 노창환 드릴링 머신의 스핀들 공회전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9945A (en) Multi-purpose power tool
EP2335866B1 (en) 5-face machining angle tool holder
KR102559711B1 (ko) 드릴링 머신
CN211248460U (zh) 一种可调节钻床
CN216227375U (zh) 一种攻丝机构可移动的台式攻丝机
KR20190000949A (ko) 드릴링 머신
JP2018075667A (ja) 工作機械
KR100587726B1 (ko) 오일레스 베어링 카본 홀 가공장치
US7721410B2 (en) Machine tool comprising a clamping device on both sides
JP2010064228A (ja) レスト装置を備える工作機械およびレスト装置を用いる加工方法
CN209363647U (zh) 一种高速台钻
US6183172B1 (en) Structure for detachably mounting a horizontal drill head
GB1580086A (en) Machine tool with automatic tool change apparatus
US4738572A (en) Machine tool
US6698476B2 (en) Woodworking apparatus
EP0609573B1 (en) Combined multifunctional machine-tool for craftwork of wood and metal
JP4028782B2 (ja) 工作機械における工具交換装置
CN113751746B (zh) 一种便于固定钻料的摇臂钻床
EP3031554B1 (en) Non-slip mat for lathe
KR100466758B1 (ko) 작업궤도를 이용한 드레인홀 사상장치
CN217095841U (zh) 一种数控多孔位钻床机构
CN213828000U (zh) 一种可对双孔进行开槽连接的开槽机
CN216066493U (zh) 一种机加工用定位装置
CN219881988U (zh) 一种切削装置
CN220073331U (zh) 一种配件加工用机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