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353B1 - Parts sor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arts sor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353B1
KR102559353B1 KR1020230049010A KR20230049010A KR102559353B1 KR 102559353 B1 KR102559353 B1 KR 102559353B1 KR 1020230049010 A KR1020230049010 A KR 1020230049010A KR 20230049010 A KR20230049010 A KR 20230049010A KR 102559353 B1 KR102559353 B1 KR 102559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isposed
sorting
roller shaf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90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예현
Original Assignee
디케이인터네셔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케이인터네셔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케이인터네셔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9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3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3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06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09Sorting of fasteners, e.g. screws, nuts,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배치되는 테이블(50); 상기 테이블(50) 상측에 거치되고, 회전을 통해 서로 다른 크기의 혼합된 복수개의 부품를 일렬로 이동시키는 무빙장치(100); 상기 무빙장치(100)에서 공급된 볼트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어셈블리(300);를 포함하는 부품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크기의 혼합된 부품을 크기 별로 선별하여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ble 50 disposed on the ground; a moving device 100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50 and moving a plurality of mixed parts of different sizes in a row through rotation; A sorting assembly 300 for sorting the bolts supplied from the moving device 100 by size; provides a parts sorting device comprising a.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ort and classify mixed parts of different sizes by size.

Description

부품 선별장치{Parts sorting apparatus}Parts sorting apparatus {Parts s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볼트를 선별하는 부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nent sorting device for sorting bolts of various sizes.

기계요소 중 부품 결합 및 고정에 사용되는 나사는 대형 기계에서부터 소형 전자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Among mechanical elements, screws used for combining and fixing parts are used in various products ranging from large machines to small electronic products.

일반적으로 나사는 결합물을 조일 때 모재의 암나사에 직접 고정하는 것을 스크류(Screw), 모재를 관통하여 너트로 조여지는 것을 볼트(Bolt)로 분류하고 있고, 산업 현장에선 통상 볼트로 불린다.In general, screws are classified as screws that are directly fixed to the female thread of the base material when tightening the assembly, and bolts that penetrate the base material and are tightened with a nut, and are usually called bolts in industrial settings.

이러한 볼트의 생산은 특수제품에 사용되는 소량생산의 특수 볼트 외에 일반 볼트(특히 크기가 작은 경우)는 다품종 대량생산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대량 생산은 가공 기계의 노후화, 기계의 오작동 및 누적오차,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불가피하게 불량이 발생한다.The production of such bolts is based on mass production of various kinds of general bolts (especially in case of small size) in addition to special bolts of small quantity production used for special products. In mass production, defects inevitably occur due to obsolescence of processing machines, machine malfunctions and cumulative errors, and carelessness of workers.

현재 대부분의 볼트의 불량선별검사는 작업자의 불량기준에 대한 주관적 인지 및 판단에 근거하여 판별되고 있다. Currently, most of the bolt defect screening tests are determined based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and judgment of the defect criteria of the operator.

이러한 방법은 단시간의 적은 양의 부품검사에는 적합하나 장시간 많은 양의 다품종 검사에는 한계가 있다.This method is suitable for inspecting a small amount of parts in a short time, but has limitations in inspecting a large amount of various products for a long time.

이와 같은 다품종의 다량부품 검사에 적용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검사 항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수단은 비 접촉식이며, 실시간 검사가 가능한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검사 시스템이 가장 효과적이다. As a mea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inspection of many kinds of multi-products and can flexibly cope with various types of inspection items, a computer vision inspection system that is non-contact and capable of real-time inspection is the most effective.

그 중 머신비전(Machine vision)이 검사공정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검사결과의 신뢰도 확보 및 고임금 대체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제조공정의 중요한 포인트가 되어가고 있다.Among them, as machine vision emerges as the core of the inspection process, it is becoming an important poin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while solving various problems such as securing the reliability of inspection results and replacing high wages.

머신비전은 전기적, 광학적, 비접촉 방식의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터를 얻고 그 영상을 처리 분석하여 목적하는 결론을 도출해 내는 기술이라 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부품검사 분야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Machine vision is a technology that obtains image data using electrical, optical, and non-contact technology, processes and analyzes the image, and derives a desired conclusion. Recently, it has been actively applied to parts inspection in Korea.

등록특허공보 제10-1296826호(명칭: 와셔취부볼트의 양품 선별 장치)는 머신비전을 이용하여 볼트의 양품 여부를 선별하는 장치로서, 머신비전을 이용하여 와셔취부볼트의 양품 여부를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셔취부볼트가 양품 선별을 위한 머신비전의 카메라에 도달되면 동일한 자세를 갖도록 자세를 교정하는 자세 교정장치와; 상기 와셔취부볼트를 머신비전의 카메라에 공급하고, 머신비전의 판단에 따른 와셔취부볼트의 양품과 불량품을 분리 배출하는 선별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선별장치는, 공급되는 와셔취부볼트의 두부가 걸쳐지는 요홈을 등간격으로 배치한 피딩판과; 상기 피딩판의 요홈에 걸쳐져서 회전식으로 공급되는 와셔취부볼트를 가이드하고, 불량품 수거용 배출홈을 형성한 가이드판과; 상기 피딩판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피딩판과 결합되고, 둘레에는 조명투과용 조명홀을 상기 피딩판의 요홈과 동일한 등간격으로 배치한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피딩판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단은 자세 교정장치가 장착되고, 하단은 상기 회전프레임에 수용되는 조명을 장착하되, 상기 조명은 카메라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자세 교정장치는 조명과 평행한 선상인 임의의 지점에 장착한 상판;를 포함한다.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96826 (name: Apparatus for selecting good quality of washer-mounting bolts) is a device for determining whether a bolt is good or not using machine vision. In the device for determining whether a washer-mounting bolt is good or not, a posture correcting device for correcting the posture so that the washer-mounting bolt reaches the machine vision camera for selecting a good product to have the same posture; A sorting device that supplies the washer-mounting bolts to a camera of machine vision and separates and discharges good and defective washer-mounting bolts according to the machine vision judgment, wherein the sorting device includes a feeding plate in which recesses spanning the heads of the supplied washer-mounting bolt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 guide plate that spans the groove of the feeding plate and guides the washer-mounting bolt that is rotatably supplied and has a discharge groove for collecting defective products; a rotating frame coupled to the feeding plate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feeding plate, an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which light holes for transmitting light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equal to the concave grooves of the feeding plate; a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rotating frame; And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eeding plate, the upper end is equipped with a posture correction device, the lower end is equipped with a light accommodated in the rotating frame, the light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camera, and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is a top plate mounted at an arbitrary point on a line parallel to the light.

이와 같은 양품 선별 장치는 불규칙한 자세로 공급되는 와셔취부볼트의 양품 판정을 위한 머신비전의 양품 판정알고리즘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양품 판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Such a non-defective product sorting device can simplify a non-defective product judgment algorithm of machine vision for determining a non-defective product of washer mounting bolts supplied in irregular positions, and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determining a non-defective product,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또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배출가이드판에 의해 양품의 와셔취부볼트가 배출됨으로 이를 담는 박스는 와셔취부볼트를 고루 담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와셔취부볼트를 담는 박스가 두 개일 경우 상기와 같이 고루 담을 수 있는 효과는 없어지지만 두 개의 박스에 동시에 배출할 수 있어, 박스에 담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박스 제공에 따른 시간지연이 줄어들어 결국 생산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washer-mounting bolts of good products are discharged by the discharge guide plate capable of moving in both directions around the rotating shaft, the box containing them can evenly contain the washer-mounting bolts. In addition, if there are two boxes containing the washer mounting bolts, the effect of being evenly contained as described above is lost, but the two boxes can be discharged at the same time, so the time delay due to the provision of the boxes is reduced as the time to put them in the boxes increases, eventually improving productivity.

그러나 이와 같은 양품 선별 장치는 검사 대상 볼트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검사 위치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피딩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홈을 가공하고 볼트의 머리부를 홈에 거치하여 피딩판을 회전시킨다. However, in such a device for sorting good products, grooves are machin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eeding plate, and the feeding plate is rotated by placing the head of the bolt in the groove in order to allow the bolt to be inspected to pass through the inspection position in a vertically erected state.

이때 피딩판 회전에 필요한 구동장치(모터 및 피딩판 드라이브 등)는 무게 문제로 인해 보통 피딩판 아래 방향에 설치되며, 이로 인해 중심부 공간 활용이 힘들어 카메라와 양품, 불량품을 배출하는데 필요한 각종 장치들을 피딩판의 외곽에 설치해야 하고 이에 따라 수평 공간이 비교적 넓게 필요로 한다. 또한, 나사부 검사를 위한 카메라를 피딩판 외곽에만 설치 가능하고 피딩판 지지대와 볼트 나사부의 시야가 겹칠 경우 나사부 형상이 나타나지 않아 홈 가공 간격 배열시 추가 고려가 필요하다.At this time, the driving devices (motor and feeding plate drive, etc.) required to rotate the feeding plate are usually installed below the feeding plate due to weight problems.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utilize the space in the center. Therefore, the camera and various devices required to discharge good and defective products must be installed outside the feeding plate, requiring a relatively wide horizontal space. In addition, the camera for inspecting the thread part can be installed only on the outside of the feeding plate, and if the field of view of the feeding plate support and the bolt thread part overlaps, the shape of the thread part does not appear, so additional consideration is needed when arranging the groove machining interval.

그러나 다양한 치수의 볼트가 혼합된 경우, 이를 분류하기 위해서는 애로사항이 있었다. However, when bolts of various dimensions are mixed, there were difficulties in classifying them.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7956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795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8042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90804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6826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296826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볼트를 선별하는 부품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nent sorting device for sorting bolts of various sizes.

본 발명은 지면에 배치되는 테이블(50); 상기 테이블(50) 상측에 거치되고, 회전을 통해 서로 다른 크기의 혼합된 복수개의 부품를 일렬로 이동시키는 무빙장치(100); 상기 무빙장치(100)에서 공급된 볼트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어셈블리(300);를 포함하는 부품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ble 50 disposed on the ground; a moving device 100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50 and moving a plurality of mixed parts of different sizes in a row through rotation; A sorting assembly 300 for sorting the bolts supplied from the moving device 100 by size; provides a parts sorting device comprising a.

상기 무빙장치(100)는, 상기 테이블(50)의 상측에 거치되어 지면과 이격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배치되는 무빙모터(20); 상기 베이스(1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무빙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선별하우징(200);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10) 및 선별하우징(20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상기 선별하우징(200)을 지지하는 서포터(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device 100 includes a base 10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50 an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 moving motor 20 disposed on the base 10; a sorting housing 200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and rotated by the moving motor 20; A supporter 40 fixed to the base 10 and disposed between the base 10 and the sorting housing 200 to support the rotating sorting housing 200 .

상기 선별하우징(200)은, 상기 무빙모터(20)에 조립되어 회전되는 회전베이스(212); 일단이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상측면(211)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으로 상승되게 형성된 스파이럴가이드(220);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와 연결되고,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를 따라 이송된 부품을 상기 선별어셈블리(300)로 안내하는 가이드하우징(25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orting housing 200 includes a rotating base 212 assembled to and rotated by the moving motor 20; a spiral guide 220, one end of which is formed to form a continuous surface with the upper surface 211 of the rotating base 212 and rises in a spiral shape along the edge of the rotating base 212; A guide housing 250 connected to the spiral guide 220 and guiding the parts transported along the spiral guide 220 to the sorting assembly 300; may be included.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는,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원주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형으로 360도 형성되고, 일단(221)이 회전베이스(212)와 연속된 곡면 또는 평면을 형성하고 타단(222)이 상기 일단(221)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와, 상기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와 연결되어 나선형으로 360도 형성되고, 일단(231)이 상기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와 연결되어 연속된 곡면 또는 평면을 형성하고 타단(232)이 상기 일단(231)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제 2 스파이럴가이드(2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piral guide 220 is formed 360 degrees in a spiral along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rotation base 212, one end 221 forms a continuous curved surface or plane with the rotation base 212, and the other end 222 is connected to the first spiral guide 230 positioned above the one end 221, and the first spiral guide 230 is formed 360 degrees in a spiral, one 231 is connected to the first spiral guide 230 to form a continuous curved surface or plane, and the other end 232 is positioned above the one end 231. It may include a second spiral guide 240.

상기 선별어셈블리(300)는, 상기 테이블(50)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제 1 롤러(310); 상기 테이블(50)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2 롤러(320); 상기 테이블(5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 또는 제 2 롤러(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선별모터(350);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된 부품이 낙하되어 저장되는 셀렉하우징(36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가 소정의 사이각(A)을 형성할 수 있다. The sorting assembly 300 includes a first roller 310 rotatably mounted on the table 50; a second roller 320 rotatably mounted on the table 50 and disposed to face the first roller 310; a sorting motor 350 disposed on the table 50 and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A select housing 360 disposed below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in which the parts sorted by size by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are dropped and stored; and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A between them.

첫째,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크기의 혼합된 부품을 크기 별로 선별하여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ort and classify mixed parts of different sizes by size.

둘째, 본 발명은 간격조절어셈블리를 통해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의 사이각을 간격 및 사이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djust the interval and the angle between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through the interval adjustment assembly.

셋째, 본 발명은 제 1 롤러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선별홈 및 제 2 선별홈을 통해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을 보다 신속하게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ort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more quickly through the first sorting groove and the second sorting groove concave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품 선별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별어셈블리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별어셈블리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선별어셈블리의 일부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s sor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ing device shown in Figure 1;
3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sorting assembly shown in FIG. 1;
4 is a partial plan view of a sorting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orting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overall understanding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품 선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별어셈블리의 일부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s sor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ing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sorting assembly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선별장치는, 지면에 배치되는 테이블(50)과, 상기 테이블(50) 상측에 거치되고, 회전을 통해 서로 다른 크기의 혼합된 복수개의 부품를 일렬로 이동시키는 무빙장치(100)와, 상기 무빙장치(100)에서 공급된 볼트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The parts s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able 50 disposed on the ground, a moving device 100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50 and moving a plurality of mixed parts of different sizes in a row through rotation, and a sorting assembly 300 that sorts bolts supplied from the moving device 100 by size.

상기 테이블(50)이 상기 무빙장치(100)를 지면 상측에 위치시킨다. The table 50 places the moving device 100 on the upper side of the ground.

상기 테이블(50)은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able 5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상기 무빙장치(100)는, 상기 테이블(50)의 상측에 거치되어 지면과 이격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배치되는 무빙모터(20)와, 상기 베이스(1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무빙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선별하우징(200)과,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10) 및 선별하우징(20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상기 선별하우징(200)을 지지하는 서포터(40)를 포함한다. The moving device 100 includes a base 10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50 an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 moving motor 20 disposed on the base 10, a sorting housing 200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and rotated by the moving motor 20, fixed to the base 10, and disposed between the base 10 and the sorting housing 200 It includes a supporter 40 for supporting the sorting housing 200 that is rotated.

상기 선별어셈블리(300)는 상기 선별하우징(200)과 연결되고,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The sorting assembly 300 is connected to the sorting housing 200 and is inclined downward.

상기 베이스(10)는 원판형태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The base 10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서포터(40)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선별하우징(200)에 결합된다.A plurality of the supporters 40 are provide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base 10, and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sorting housing 200.

상기 서포터(40)를 통해 상기 선별하우징(200)이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sorting housing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through the supporter 4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빙모터(20)의 주변에 4개의 서포터가 배치되고, 이를 구분할 경우, 제 1 서포터, 제 2 서포터, 제 3 서포터 및 제 4 서포터라 한다. In this embodiment, four supporters are disposed around the moving motor 20, and when classified, they are referred to as a first supporter, a second supporter, a third supporter, and a fourth supporter.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서포터(40)는 2개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wo supporters 40 may be disposed.

상기 무빙모터(20)는 수직방향으로 모터축이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된다.The moving motor 20 has a motor shaft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low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base 10.

상기 무빙모터(20)의 상측을 향해 모터축이 배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상기 선별하우징(200)이 조립된다. A motor shaft is dispos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moving motor 20, and the sorting housing 200 is assembled to the motor shaft.

상기 선별하우징(200)은, 상기 무빙모터(20)에 조립되어 회전되는 회전베이스(212)과, 일단이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상측면(211)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으로 상승되게 형성된 스파이럴가이드(220)와,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와 연결되고,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를 따라 이송된 부품을 상기 선별어셈블리(300)로 안내하는 가이드하우징(250)을 포함한다. The sorting housing 200 includes a rotary base 212 assembled to the moving motor 20 and rotated, a spiral guide 220, one end of which is formed to form a continuous surface with the upper surface 211 of the rotary base 212 and rises in a spiral along the edge of the rotary base 212, and a part connected to the spiral guide 220 and transported along the spiral guide 220. It includes a guide housing 250 that guides the selection assembly 300 .

탑뷰로 볼 때, 상기 회전베이스(212)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베이스(212)는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When viewed from a top view, the rotating base 21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rotating base 212 is formed to face upward.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축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베이스축(2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축(213)이 상기 무빙모터(20)의 모터축에 결합된다. A base shaft 213 passing through the shaft center of the rotating base 212 in a vertical direction is further included, and the base shaft 213 is coupled to a motor shaft of the moving motor 20 .

상기 무빙모터(20)의 모터축이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무빙모터(2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된다. A motor shaft of the moving motor 2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ng base 212 and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otor 20 .

상기 회전베이스(212)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베이스축(213)이 가장 높고 가장자리가 낮게 형성된다. 그래서 회전베이스(212)의 회전 시 상측에 적재된 부품이 반경방향 외측의 가장자리로 자연스럽게 이동된다.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rotating base 212 has the highest base shaft 213 and a low edge. Therefore, when the rotating base 212 rotates, the components loaded on the upper side are naturally moved to the outer edge in the radial direction.

그래서 복수개의 볼트가 회전베이스(212) 내측으로 투입될 경우, 볼트의 자중에 의해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반경방향 외측 가장자리로 이동될 수 있다. So, when a plurality of bolts are put into the rotating base 212, they can be moved to the outer edg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ase 212 by the weight of the bolts.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가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된다. The spiral guide 220 is spirally arranged along the edge of the rotating base 212 .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는,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원주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형으로 360도 형성되고, 일단(221)이 회전베이스(212)와 연속된 곡면 또는 평면을 형성하고 타단(222)이 상기 일단(221)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와, 상기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와 연결되어 나선형으로 360도 형성되고, 일단(231)이 상기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와 연결되어 연속된 곡면 또는 평면을 형성하고 타단(232)이 상기 일단(231)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제 2 스파이럴가이드(240)를 포함한다. The spiral guide 220 is formed 360 degrees in a spiral along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rotation base 212, one end 221 forms a continuous curved surface or plane with the rotation base 212, and the other end 222 is connected to the first spiral guide 230 positioned above the one end 221, and the first spiral guide 230 is formed 360 degrees in a spiral, one 231 is connected to the first spiral guide 230 to form a continuous curved surface or plane, and the other end 232 is located above the one end 231, the second spiral guide 240 is included.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의 일단(231) 및 타단(232)은 상기 베이스축(213)을 기준으로 동일 방향에 위치된다. When viewed from a top view, one end 231 and the other end 232 of the first spiral guide 230 are position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axis 213 .

상기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는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상측면과 연속된 평면 또는 곡면을 형성하는 제 1 가이드어퍼(233)와, 상기 제 1 가이드어퍼(233)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상측면과 연결된 제 1 가이드사이드(234)를 포함한다. The first spiral guide 230 includes a first guide upper 233 forming a continuous flat or curved surfac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base 212, and a first guide side 234 bent downward from the inner edge of the first guide upper 233 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base 212.

상기 제 1 가이드어퍼(233)가 상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360도의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360도 나선형은 360도의 환형으로 형성되되 일단에서 타탄 측으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The first guide upper 233 is disposed to face upward and is formed in a 360-degree spiral. Here, the 360-degree spiral is formed in a 360-degree annular shape, and means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end to the tartan side.

상기 제 1 가이드사이드(234)는 곡률중심을 향하게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이드사이드(234)의 일단은 상기 회전베이스(212)와 높이차를 형성하지 않지만, 타단은 상기 회전베이스(212)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The first guide side 234 is disposed toward the center of curvature and formed vertically 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first guide side 234 does not form a height difference with the rotating base 212, but the other end is located above the rotating base 212.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가이드어퍼(233)의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베이스축(213)을 기준으로 동일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사이드(234)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베이스축(213)을 기준으로 동일 방향에 위치된다. When viewed from a top view,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guide upper 233 are position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axis 213,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guide side 234 are position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axis 213.

상기 회전베이스(212)가 상기 제 1 가이드사이드(234)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사이드(234)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베이스(212)만 제자리 회전된다. The rotating base 212 is located inside the first guide side 234, and only the rotating base 212 is rotated in place in a state where the first guide side 234 is stopped.

그래서 회전베이스(212)의 회전 부품이 상기 제 1 가이드어퍼(233)의 일단을 통해 상기 제 1 가이드어퍼(233) 상측으로 밀려 이동될 수 있고, 면적 보다 많은 부품이 올라탄 경우 자중에 의해 상기 제 1 가이드사이드(234) 측으로 낙하되어 다시 회전베이스(212) 상측에 적재될 수 있다. So, the rotating parts of the rotating base 212 can be pushed upwards and moved through one end of the first guide upper 233, and when parts larger than the area are mounted, they fall to the side of the first guide side 234 by their own weight and can be loa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tating base 212 again.

상기 제 2 스파이럴가이드(240)는 상기 제 1 가이드어퍼(233)와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 또는 곡면을 형성하는 제 2 가이드어퍼(243)와,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의 상측면과 연결된 제 2 가이드사이드(244)를 포함한다. The second spiral guide 240 includes a second guide upper 243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upper 233 to form a continuous flat or curved surface, and a second guide side 244 bent downward from the inner edge of the second guide upper 243 and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guide upper 243.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가 상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360도의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The second guide upper 243 is disposed facing upward and is formed in a 360-degree spiral.

상기 제 2 가이드사이드(244)는 곡률중심(본 실시예에서 베이스축)을 향하게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수직하게 형성된다. The second guide side 244 is disposed toward the center of curvature (base axis in this embodiment) and formed vertically in this embodiment.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의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베이스축(213)을 기준으로 동일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사이드(244)의 일단 및 타단 역시 상기 베이스축(213)을 기준으로 동일 방향에 위치된다. When viewed from a top view,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uide upper 243 are position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axis 213,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uide side 244 are also position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axis 213.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스파이럴가이드(240)가 상기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의 외측 가장자리 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스파이럴가이드(240)가 상기 제 1 스파이럴가이드(230)의 외측 가장자리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piral guide 240 is disposed outside the outer edge of the first spiral guide 230 in the radial direction. The second spiral guide 240 is disposed above the outer edge of the first spiral guide 230 .

상기 제 1 가이드어퍼(233) 및 제 2 가이드어퍼(243)가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사이드(234) 및 제 2 가이드사이드(244)가 수직 또는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게 배치된다. The first guide upper 233 and the second guide upper 243 are disposed horizontally, and the first guide side 234 and the second guide side 244 are vertically or vertically inclined.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가이드어퍼(233) 및 제 2 가이드어퍼(243)가 연결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의 나선형을 형성한다. When viewed from a top view, the first guide upper 233 and the second guide upper 243 are connected and form a spiral shape exten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또한,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가이드사이드(234) 및 제 2 가이드사이드(244)가 연결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의 나선형을 형성한다. Also, when viewed from a top view, the first guide side 234 and the second guide side 244 are connected and form a spiral shape exten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하우징(250)은, 상기 제 2 가이드사이드(244)와 연속된 평면 또는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 연장사이드(254)와,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와 연속된 평면 또는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사이드(254)의 상단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 연장어퍼(253)와, 상기 연장어퍼(253) 및 연장사이드(254)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블랭크(251)과, 상기 연장어퍼(253)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아우터가드(256)와, 상기 연장어퍼(253)의 내측 가장자리르 따라 형성된 이너가드(258)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housing 250 includes an extension side 254 that forms a continuous plane or curved surface with the second guide side 244 and spirally extends along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guide upper 243, an extension upper 253 that forms a continuous plane or curved surface with the second guide upper 243 and spirally extends along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side 254, 253 and the guide blank 251 formed to pass through the extended side 254, an outer guard 256 form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extended upper 253, and an inner guard 258 formed along the inner edge of the extended upper 253.

상기 아우터가드(256) 및 이너가드(258)가 수직하게 직립되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가드(256) 및 이너가드(258)가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outer guard 256 and the inner guard 258 are formed vertically upright. The outer guard 256 and the inner guard 258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탑뷰로 볼 때, 상기 아우터가드(256) 및 이너가드(258)가 호 형상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When viewed from a top view, the outer guard 256 and the inner guard 258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or a curved shap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가드(256) 및 이너가드(258)의 곡률중심이 상기 베이스축(213)에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enter of curvature of the outer guard 256 and the inner guard 258 is formed on the base shaft 213.

상기 가이드블랭크(251)가 상기 연장어퍼(253)의 일부 및 연장사이드(254)의 일부를 관통하게 형성된다.The guide blank 251 is formed to pass through a portion of the extended upper 253 and a portion of the extended side 254 .

상기 연장어퍼(253) 중 상기 가이드블랭크(251)와 접한 부분을 셀렉존(255)이라 하고, 상기 연장어퍼(253) 중 상기 가이드블랭크(251) 통과한 부분을 연장가이드(252)라 한다. A portion of the extended upper 253 in contact with the guide blank 251 is called a select zone 255, and a portion of the extended upper 253 passing through the guide blank 251 is called an extension guide 252.

상기 가이드블랭크(251)가 상기 셀렉존(255)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The guide blank 251 is disposed inside the selection zone 255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이너가드(258)는 상기 연장가이드(252)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아우터가드9257)는 상기 셀렉존(255) 및 연장가이드(25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하게 배치된다. The inner guard 258 is vertically disposed along the inner edge of the extension guide 252 . The outer guard 9257 is vertically dispos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select zone 255 and the extension guide 252 .

상기 셀렉존(255)의 폭이 부품 1개가 통과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The width of the select zone 255 is formed to a length through which one part can pas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셀렉존(255)의 폭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idth of the select zone 255 may be as follows.

"볼트 헤드 직경의 1/2 < 셀렉존 폭 < 볼트 헤드 직경""1/2 bolt head diameter < select zone width < bolt head diameter"

그래서 복수개의 부품이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로 동시에 진입하더라도 상기 셀렉존(255)을 통과하면서 1개만 남고 나머지가 가이드블랭크(251)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된다. Therefore, even if a plurality of parts enter the second guide upper 243 at the same time, only one remains while passing through the select zone 255, and the rest fall downward through the guide blank 251.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블랭크(251)가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의 시작 부분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블랭크(251)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된 부품은 상기 제 2 가이드어퍼(243)의 시작부분으로 이동되어 재 이송길이를 최소화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guide blank 251 is disposed above the beginning of the second guide upper 243, the parts that have fallen downward through the guide blank 251 are moved to the beginning of the second guide upper 243 to minimize the re-transfer length.

상기 선별어셈블리(300)는, 상기 테이블(50)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제 1 롤러(310)와, 상기 테이블(50)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2 롤러(320)와, 상기 테이블(5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 또는 제 2 롤러(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선별모터(350)와,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된 부품이 낙하되어 저장되는 셀렉하우징(360)을 포함한다. The sorting assembly 300 includes a first roller 310 rotatably mounted on the table 50, a second roller 320 rotatably mounted on the table 50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roller 310, and a sorting motor 350 disposed on the table 50 and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And, it is disposed under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and the parts sorted by size by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are dropped and stored. It includes a housing 360.

크기별로 다른 크기의 부품을 선별하기 위해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가 이격되어 소정의 사이각(A)을 형성한다. In order to select parts of different sizes by size,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are spaced apart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A between them.

또한,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는 자중에 의해 부품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사이각(A)에 의해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간격이 증가되도록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are inclined downward so that parts can be moved by their own weigh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is increased by the angle A toward the lower side.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 사이의 간격을 기준선별간격이라 정의한다.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is defined as a reference screening interval.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가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를 통해 부품이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 사이에 끼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are rotated in an upward direction,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a part being caught between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상기 제 1 롤러(31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과, 상기 제 2 롤러(32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 2-1 롤러축(321) 및 제 2-2 롤러축(322)이 배치된다.The 1-1 roller shaft 311 and the 1-2 roller shaft 312 form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2-1 roller shaft 321 and the 2-2 roller shaft 322 form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roller 320 are dispos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롤러축(311)이 상기 제 1 롤러(310)의 일측(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롤러축(312)이 상기 제 1 롤러(310)의 타측(하측)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1-1 roller shaft 311 is disposed on one side (upper side) of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1-2 roller shaft 312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lower side) of the first roller 310.

그리고 상기 제 2-1 롤러축(321)이 상기 제 2 롤러(320)의 일측(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2 롤러축(322)이 상기 제 2 롤러(320)의 타측(하측)에 배치된다. The 2-1 roller shaft 321 is disposed on one side (upper side) of the second roller 320, and the 2-2 roller shaft 322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lower side) of the second roller 320.

상기 선별어셈블리(300)는, 상기 선별모터(350)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 1 드럼(미도시)과, 상기 제 1-1 롤러축(311) 또는 제 2-1 롤러축(321)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되는 제 2 드럼(352)과,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352)을 감싸게 형성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풀리(353)와, 상기 제 1-1 롤러축(311)에 조립된 제 1 롤러기어(315)와, 상기 제 2-1 롤러축(321)에 조립된 제 2 롤러기어(325)를 더 포함한다. The sorting assembly 300 includes a first drum (not shown)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orting motor 350, a second drum 352 assembled to either the 1-1 roller shaft 311 or the 2-1 roller shaft 321, a pulley 353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drum and the second drum 352 to transmit driving force, and the 1-1 roller shaft A first roller gear 315 assembled to 311 and a second roller gear 325 assembled to the 2-1 roller shaft 321 are further includ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테이블(50)은,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 1 지지부(51)와, 하단에서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하측으로 연장된 로어테이블(53)과, 상기 로어테이블(53)에서 상측으로 돌출연장되는 제 2 지지부(52)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table 50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51 disposed to protrude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a lower table 5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and a second support part 52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table 53.

상기 제 1-1 롤러축(311) 또는 제 2-1 롤러축(321)이 상기 제 1 지지부(51)를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지부(51)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The 1-1 roller shaft 311 or the 2-1 roller shaft 321 passes through the first support part 51 and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first support part 51 .

상기 제 1-2 롤러축(312) 및 제 2-2 롤러축(322)이 상기 제 2 지지부(52)를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지지부(5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The 1-2 roller shaft 312 and the 2-2 roller shaft 322 pass through the second support part 52 and are rotatably dispos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52 .

상기 제 1-1 롤러축(311) 또는 제 2-1 롤러축(321)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1-2 롤러축(312) 및 제 2-2 롤러축(322)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The 1-1 roller shaft 311 or the 2-1 roller shaft 321 is inclined upward, and the 1-2 roller shaft 312 and the 2-2 roller shaft 322 are inclined downward.

상기 셀렉하우징(360)이 상기 로어테이블(53)에 거치되어 설치된다.The select housing 360 is mounted and installed on the lower table 53 .

상기 셀렉하우징(360)은 크기별로 분류된 부품이 수납될 수 있도록, 적어도 제 1 수납공간(361) 및 제 2 수납공간(362)을 포함한다. The select housing 360 includes at least a first storage space 361 and a second storage space 362 so that parts classified by size can be stored therein.

상기 제 1 수납공간(361)이 상기 제 1 지지부(51) 측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수납공간(362)이 상기 제 2 지지부(52) 측에 가깝게 배치된다.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361 is disposed close to the first support part 51 sid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362 is disposed close to the second support part 52 side.

상기 제 1 수납공간(361) 및 제 2 수납공간(362)이 상측을 향해 개구된다.The first storage space 361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362 open upward.

상기 셀렉하우징(360)이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배치된다. The select housing 36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상기 셀렉하우징(360)이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사이에 배치된다. The select housing 36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

상기 셀렉하우징(360)은 상기 제 1 수납공간(361) 및 제 2 수납공간(362)을 구획하는 파티션(365)를 더 포함한다. The select housing 360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365 dividing the first storage space 361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362 .

부품의 크기별 선별과정을 설명하면, If you explain the selection process by size of parts,

상기 선별하우징(200)을 통해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상측으로 부품이 낙하되고, 낙하된 부품이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길이 방향으로 하향 이동된다. Parts are dropp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through the sorting housing 200, and the dropped parts are moved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이때,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 사이의 기준선별간격보다 상기 부품의 크기가 작으면 해당 부품이 하측으로 낙하된다.At this time, if the size of the part is smaller than the standard sorting interval between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the part falls downward.

그래서 크기가 작은 부품이 상기 제 1 수납공간(361)에 적재되고, 크기가 큰 부품이 상기 제 2 수납공간(362)에 적재된다. Thus, small-sized parts are loaded into the first storage space 361, and large-sized parts are loaded into the second storage space 362.

본 실시예에서는 2종류의 볼트를 크기별로 분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더 많은 수납공간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더 많은 종류의 부품은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classification of two types of bolts by siz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more storage spaces can be sequentially arranged and more types of parts can be classified by size.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별어셈블리의 일부 평면도이다. 4 is a partial plan view of a sorting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선별어셈블리(300)는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의 형상이 상기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특징이 있다. The sorting assembly 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s of the first roller 1310 and the second roller 1320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는 2종류의 부품을 신속하게 선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 직경이 작은 볼트를 제 1 부품이라 정의하고, 직경이 보다 큰 볼트를 제 2 부품이라 정의한다. The first roller 1310 and the second roller 13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re for quickly sorting two types of parts. To distinguish them, a bolt having a small diameter is defined as a first part, and a bolt having a larger diameter is defined as a second part.

상기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사이각(A)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증가되도록 배치된다.The first roller 1310 and the second roller 1320 form an angle between them (A)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re arranged so that the distance in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상기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에서 가장 짧은 간격을 최소간격(D0)이라 하고,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의 상단에 형성된다.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roller 1310 and the second roller 1320 is referred to as the minimum distance D0, and is formed at the top of the first roller 1310 and the second roller 1320.

상기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에서 가장 긴 간격을 제 2 간격(D2)이라 하고,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의 하단에 형성된다.The longe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roller 1310 and the second roller 1320 is referred to as a second distance D2, and is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roller 1310 and the second roller 1320.

상기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에서 중간 간격을 제 1 간격(D1)이라 하고,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의 길이 방향 중간에 형성된다.An intermediat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oller 1310 and the second roller 1320 is referred to as a first distance D1, and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roller 1310 and the second roller 13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 1 부품의 직경이 최소간격(D0) 보다 크고 제 1 간격(D1) 보다 작다. The diameter of the first part is larger than the minimum distance D0 and smaller than the first distance D1.

상기 제 2 부품의 직경이 제 1 간격(D1) 보다 크고 제 2 간격(D2) 보다 작다. The diameter of the second part is larger than the first distance D1 and smaller than the second distance D2.

그래서 제 1 실시예의 경우 제 1 부품이 최소간격(D0) 및 제 1 간격(D1)의 어느 사이에서 낙하되고, 제 2 부품은 제 1 간격(D1) 및 제 2 간격(D2) 사이에서 낙하된다. So,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part falls between the minimum distance D0 and the first distance D1, and the second part falls between the first distance D1 and the second distance D2.

그래서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 사이로 제 1 부품이 낙하되더라도 최소간격(D0) 및 제 1 간격(D1) 사이에서 제 1 부품이 낙하될 때까지 소정 시간이 소요되었다.So, in the first embodiment, even if the first part falls between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a predetermined time is required until the first part falls between the minimum distance D0 and the first distance D1.

마찬가지로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 사이로 제 2 부품이 낙하되더라도 제 1 간격(D1) 및 제 2 간격(D2) 사이에서 제 2 부품이 낙하될 때까지 소정 시간이 소요되었다.Likewise, even if the second part falls between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a predetermined time is required until the second part falls between the first distance D1 and the second distance D2.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롤러(1310)의 외주면에 오목한 제 1 선별홈(1330) 및 제 2 선별홈(1340)이 각각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 2 롤러(1320)의 외주면에 오목한 제 3 선별홈(1350) 및 제 4 선별홈(1360)이 각각 복수개 배치되고, 각 선별홈을 통해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을 신속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concave first selection grooves 1330 and second selection grooves 1340 ar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1310, and a plurality of third selection grooves 1350 and a plurality of fourth selection grooves 1360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1320, and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can be quickly dropped through each selection groove. .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롤러에는 제 3 선별홈(1350) 및 제 4 선별홈(1360)을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selection groove 1350 and the fourth selection groove 1360 may not be formed on the second roller.

상기 제 1 선별홈(1330) 및 제 3 선별홈(1350)은 제 1 부품을 신속하게 낙하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선별홈(1340) 및 제 4 선별홈(1360)은 제 2 부품을 신속하게 낙하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first selection groove 1330 and the third selection groove 1350 are for quickly dropping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selection groove 1340 and the fourth selection groove 1360 are for quickly dropping the second part.

상기 제 1 선별홈(1330) 및 제 3 선별홈(1350)의 크기가 동일하고, 상기 제 2 선별홈(1350) 및 제 4 선별홈(1360)의 크기가 동일하다. The first selection groove 1330 and the third selection groove 1350 have the same size, and the second selection groove 1350 and the fourth selection groove 1360 have the same size.

상기 제 1 선별홈(1330) 및 제 3 선별홈(1350)이 각 롤러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지그재그 형태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선별홈(1340) 및 제 4 선별홈(1360)이 각 롤러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지그재그 형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The first selection grooves 1330 and the third selection grooves 1350 are displaced in a zigzag form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roller, and the second selection grooves 1340 and the fourth selection grooves 1360 are displaced in a zigzag form with respect to the length direction of each roll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선별홈(1330) 및 제 3 선별홈(1350)은 각각 6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선별홈(1350) 및 제 4 선별홈(1360)도 각각 6개로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selection grooves 1330 and the third selection grooves 1350 is composed of 6 pieces, and the second selection grooves 1350 and the fourth selection grooves 1360 are also formed of 6 pieces, respectively.

상기 제 1 선별홈(1330)은 제 1-1 선별홈(1331), 제 1-2 선별홈(1332), 제 1-3 선별홈(1333), 제 1-4 선별홈(1334), 제 1-5 선별홈(1335) 및 제 1-6 선별홈(1336)을 포함한다. The first selection groove 1330 includes the 1-1 selection groove 1331, the 1-2 selection groove 1332, the 1-3 selection groove 1333, the 1-4 selection groove 1334, the 1-5 selection groove 1335, and the 1-6 selection groove 1336.

상기 제 1-1 선별홈(1331)이 가장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선별홈(1332) 부터 제 1-3 선별홈(1333), 제 1-4 선별홈(1334), 제 1-5 선별홈(1335) 및 제 1-6 선별홈(1336)까지 차례로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1-1 selection groove 1331 is disposed at the uppermost side, and the 1-2 selection grooves 1332, 1-3 selection grooves 1333, 1-4 selection grooves 1334, 1-5 selection grooves 1335, and 1-6 selection grooves 133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rder on the lower side.

또한, 상기 제 1-1 선별홈(1331)이 가장 깊게 형성되고, 상기 제 1-2 선별홈(1332), 제 1-3 선별홈(1333), 제 1-4 선별홈(1334), 제 1-5 선별홈(1335) 및 제 1-6 선별홈(1336) 순서로 깊이가 점진적으로 축소된다. In addition, the 1-1 selection groove 1331 is the deepest, and the depth gradually decreases in the order of the 1-2 selection groove 1332, the 1-3 selection groove 1333, the 1-4 selection groove 1334, the 1-5 selection groove 1335, and the 1-6 selection groove 1336.

상기 제 2 선별홈(1340)은 제 2-1 선별홈(1341), 제 2-2 선별홈(1342), 제 2-3 선별홈(1343), 제 2-4 선별홈(1344), 제 2-5 선별홈(1345) 및 제 2-6 선별홈(1346)을 포함한다. The second selection groove 1340 includes the 2-1 selection groove 1341, the 2-2 selection groove 1342, the 2-3 selection groove 1343, the 2-4 selection groove 1344, the 2-5 selection groove 1345, and the 2-6 selection groove 1346.

상기 제 2-1 선별홈(1341)이 가장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2 선별홈(1342), 제 2-3 선별홈(1343), 제 2-4 선별홈(1344), 제 2-5 선별홈(1345) 및 제 2-6 선별홈(1346) 순서로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2-1 selection groove 1341 is disposed at the uppermost side, and the 2-2 selection groove 1342, the 2-3 selection groove 1343, the 2-4 selection groove 1344, the 2-5 selection groove 1345, and the 2-6 selection groove 134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side in that order.

상기 제 1-6 선별홈(1336)의 하측에 상기 제 2-1 선별홈(1341)이 이격되어 배치된다. Below the 1-6 selection grooves 1336, the 2-1 selection grooves 134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 2-1 선별홈(1341)이 가장 깊게 형성되고, 상기 제 2-2 선별홈(1342), 제 2-3 선별홈(1343), 제 2-4 선별홈(1344), 제 2-5 선별홈(1345) 및 제 2-6 선별홈(1346) 순서로 깊이가 점진적으로 축소된다. The 2-1 selection groove 1341 is the deepest, and the depth gradually decreases in the order of the 2-2 selection groove 1342, the 2-3 selection groove 1343, the 2-4 selection groove 1344, the 2-5 selection groove 1345, and the 2-6 selection groove 1346.

상기 제 3 선별홈(1350)은 제 3-1 선별홈(1351), 제 3-2 선별홈(1352), 제 3-3 선별홈(1353), 제 3-4 선별홈(1354), 제 3-5 선별홈(1355) 및 제 3-6 선별홈(1356)을 포함한다. The third selection groove 1350 includes the 3-1 selection groove 1351, the 3-2 selection groove 1352, the 3-3 selection groove 1353, the 3-4 selection groove 1354, the 3-5 selection groove 1355, and the 3-6 selection groove 1356.

상기 제 3-1 선별홈(1351)이 가장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3-2 선별홈(1352), 제 3-3 선별홈(1353), 제 3-4 선별홈(1354), 제 3-5 선별홈(1355) 및 제 3-6 선별홈(1356) 순서로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3-1 selection groove 1351 is disposed at the uppermost side, and the 3-2 selection groove 1352, the 3-3 selection groove 1353, the 3-4 selection groove 1354, the 3-5 selection groove 1355, and the 3-6 selection groove 1356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side in that order.

상기 제 3-1 선별홈(1351), 제 3-2 선별홈(1352), 제 3-3 선별홈(1353), 제 3-4 선별홈(1354), 제 3-5 선별홈(1355) 및 제 3-6 선별홈(1356)의 깊이는 상기 제 1-1 선별홈(1331), 제 1-2 선별홈(1332), 제 1-3 선별홈(1333), 제 1-4 선별홈(1334), 제 1-5 선별홈(1335) 및 제 1-6 선별홈(1336) 깊이에 각각 대응된다. The depths of the 3-1 selection groove 1351, the 3-2 selection groove 1352, the 3-3 selection groove 1353, the 3-4 selection groove 1354, the 3-5 selection groove 1355, and the 3-6 selection groove 1356 are the depths of the 1-1 selection groove 1331, the 1-2 selection groove 1332, and the 1-3 selection groove. The depths of the groove 1333, the 1-4 selection grooves 1334, the 1-5 selection grooves 1335, and the 1-6 selection grooves 1336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제 4 선별홈(1360)은 제 4-1 선별홈(1361), 제 4-2 선별홈(1362), 제 4-3 선별홈(1363), 제 4-4 선별홈(1364), 제 4-5 선별홈(1365) 및 제 4-6 선별홈(1366)을 포함한다. The fourth selection groove 1360 includes the 4-1 selection groove 1361, the 4-2 selection groove 1362, the 4-3 selection groove 1363, the 4-4 selection groove 1364, the 4-5 selection groove 1365, and the 4-6 selection groove 1366.

상기 제 4-1 선별홈(1361)이 제 3-6 선별홈(1356)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4-2 선별홈(1362), 제 4-3 선별홈(1363), 제 4-4 선별홈(1364), 제 4-5 선별홈(1365) 및 제 4-6 선별홈(1366) 순서로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4-1 selection grooves 1361 are spaced apart from the 3-6 selection grooves 1356, and the 4-2 selection grooves 1362, the 4-3 selection grooves 1363, the 4-4 selection grooves 1364, the 4-5 selection grooves 1365, and the 4-6 selection grooves 136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at order.

상기 제 4-1 선별홈(1361), 제 4-2 선별홈(1362), 제 4-3 선별홈(1363), 제 4-4 선별홈(1364), 제 4-5 선별홈(1365) 및 제 4-6 선별홈(1366)의 깊이는 상기 제 2-1 선별홈(1341), 제 2-2 선별홈(1342), 제 2-3 선별홈(1343), 제 2-4 선별홈(1344), 제 2-5 선별홈(1345) 및 제 2-6 선별홈(1346)의 깊이에 각각 대응된다. The depths of the 4-1 selection groove 1361, 4-2 selection groove 1362, 4-3 selection groove 1363, 4-4 selection groove 1364, 4-5 selection groove 1365 and 4-6 selection groove 1366 are the depths of the 2-1 selection groove 1341, the 2-2 selection groove 1342, and the 2-3 selection groove. The depths of the groove 1343, the 2-4th selection groove 1344, the 2-5th selection groove 1345, and the 2-6th selection groove 1346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제 1 롤러(1310)에서 제 1 선별홈(1330) 및 제 2 선별홈(1340)이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을 제 1 외주면(1315)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2 롤러(1320)에서 제 3 선별홈(1350) 및 제 4 선별홈(1360)이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을 제 2 외주면(1325)이라 정의한다.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roller 1310 on which the first selection grooves 1330 and the second selection grooves 1340 are not formed is defined as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315,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second roller 1320 on which the third selection grooves 1350 and the fourth selection grooves 1360 are not formed is defined as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325.

상기 제 1 외주면(1315) 및 제 2 외주면(1325) 사이의 간격을 기준선별간격이라 정의한다. 특히, 상기 제 1 선별홈(1330) 및 제 3 선별홈(1350) 사이 기준선별간격을 제 1 기준선별간격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2 선별홈(1340) 및 제 4 선별홈(1360) 사이의 기준선별간격을 제 2 기준선별간격이라 정의한다.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315 and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325 is defined as a reference screening interval. In particular, the reference selection interval between the first selection groove 1330 and the third selection groove 1350 is defined as the first reference selection interval, and the reference selection interval between the second selection groove 1340 and the fourth selection groove 1360 is defined as the second reference selection interval.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준선별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고, 선별간격보다 상기 부품의 크기가 작으면 해당 부품이 하측으로 낙하되며, 헤드 직경이 큰 부품은 잔류된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tandard sorting interval is gradually increased, and when the size of the part is smaller than the sorting interval, the corresponding part falls downward, and the part having a large head diameter remains.

상기 제 1 선별홈(1330)의 가장 오목한 지점에서 상기 제 2 외주면(1325)까지의 최단거리를 제 1 선별간격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3 선별홈(1350)의 가장 오목한 지점에서 상기 제 1 외주면(1315)까지의 최단거리가 제 1 선별간격과 같다.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most concave point of the first sorting groove 1330 to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325 is defined as a first sorting distance, and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most concave point of the third sorting groove 1350 to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315 is equal to the first sorting distance.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기준선별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중간 사이 사이에 제 1 선별간격이 다수개 배치되어 제 1 부품을 신속하게 배출/낙하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의 선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first sorting intervals are disposed between the intermediate intervals in which the first standard sorting interval is gradually increased, so that the first part can be quickly discharged/dropped, and through this,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The sorting speed can be improved.

상기 제 1 선별홈(1330) 및 제 3 선별홈(1350)이 각각 다른 크기의 6개 사이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에서 제 1 부품이 낙하되는 위치보다 먼저 제 1 부품을 신속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Since the first selection grooves 1330 and the third selection grooves 1350 are formed in 6 different sizes, the first part can be dropped quickly before the first part falls in the first embodiment.

특히, 제 1 선별간격의 직경이 상기 제 2 부품의 헤드 직경보다 작고, 기준 선별간격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부품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diameter of the first sorting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of the second part and larger than the standard sorting dist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part from falling.

상기 제 2 선별홈(1340)의 가장 오목한 지점에서 상기 제 2 외주면(1325)까지의 최단거리를 제 2 선별간격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4 선별홈(1360)의 가장 오목한 지점에서 상기 제 1 외주면(1315)까지의 최단거리가 제 2 선별간격과 같다.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most concave point of the second sorting groove 1340 to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325 is defined as the second sorting distance, and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most concave point of the fourth sorting groove 1360 to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315 is equal to the second sorting distance.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기준선별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중간 사이 사이에 제 2 선별간격이 다수개 배치되어 제 2 부품을 신속하게 배출/낙하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second sorting intervals are disposed between intermediate intervals in which the second standard sorting interval is gradually increased, so that the second part can be discharged/dropped quickly.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별어셈블리는 상기 무빙모터(2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혼합된 부품의 공급속도를 증가시켜도 혼합된 부품이 제 1 롤러(1310) 및 제 2 롤러(1320) 상측에 잔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의 선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refore, the sort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characteristic of minimizing that the mixed parts remain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oller 1310 and the second roller 1320 even i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ving motor 20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supply speed of the mixed parts, and the sorting efficiency of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can be improved.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선별어셈블리의 일부 단면도이다.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orting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선별장치는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어셈블리(400)를 더 포함한다. The parts sort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pacing adjusting assembly 400 capable of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the 1-1 roller shaft 311 and the 1-2 roller shaft 312.

상기 간격조절어셈블리(400)는 상기 제 1 지지부(51)에 배치되고, 상기 기준선별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간격조절어셈블리(400)를 통해 최소간격(D0)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The spacing adjusting assembly 400 is disposed on the first support part 51 and can adjust the reference screening spacing. In particular, the minimum distance D0 can be more precisely controlled through the distance adjusting assembly 400 .

상기 간격조절어셈블리(400)는, 상기 제 1 지지부(51)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롤러축(311)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블럭(410)과, 상기 제 1 지지부(51)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롤러축(312)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블럭(420)과,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롤러축(311)에 밀착되는 제 1 갭블럭(430)과,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롤러축(312)에 밀착되는 제 2 갭블럭(440)과,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지부(51)에 고정되는 탑블럭(450)과, 상기 제 1 갭블럭(430) 및 제 2 갭블럭(440)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갭블럭(430) 및 제 2 갭블럭(44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블럭(460)과, 상기 탑블럭(450)을 관통하고 상기 조절블럭(46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핸들(470)을 포함한다. The gap adjusting assembly 400 includes a first support block 410 disposed on the first support part 51 and supporting the 1-1 roller shaft 311, a second support block 420 disposed on the first support part 51 and supporting the 1-2 roller shaft 312, and the 1-1 roller shaft 311 and the 1-2 roller shaft 3 12) a first gap block 430 disposed betwee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1-1st roller shaft 311, a second gap block 440 disposed between the 1-1st roller shaft 311 and the 1-2nd roller shaft 312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1-2nd roller shaft 312, and the 1-1st roller shaft 311 and the 1-2nd roller shaft 31 2) a top block 450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fixed to the first support part 51, a control block 460 disposed between the first gap block 430 and the second gap block 440 and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ap block 430 and the second gap block 440, and penetrating the top block 450 It includes a handle 470 for moving the control block 460 up and down.

상기 조절블럭(460)은 하측으로 뾰족한 콘형상 또는 웨지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control block 460 is formed in a cone shape or a wedge shape pointed downward.

상기 조절블럭(460)의 일측경사면(461) 및 타측경사면(462)이 상기 제 1 갭블럭(430) 및 제 2 갭블럭(440)을 동시에 지지한다.One inclined surface 461 and the other inclined surface 462 of the adjusting block 460 simultaneously support the first gap block 430 and the second gap block 440 .

상기 탑블럭(450)이 상기 제 1 지지부(51)에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탑블럭(450)이 상기 제 1 갭블럭(430) 및 제 2 갭블럭(440)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The top block 450 may be assembled and fixed to the first support part 51 . The top block 450 may press the first gap block 430 and the second gap block 440 downward to fix them.

상기 조절블럭(460)이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갭블럭(430) 및 제 2 갭블럭(440)이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멀어지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을 더 이격시킬 수 있다.When the control block 460 is moved downward, the first gap block 430 and the second gap block 440 move away from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supported state, and through this, the 1-1 roller shaft 311 and the 1-2 roller shaft 312 can be further spaced apart.

반대로 상기 조절블럭(460)이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갭블럭(430) 및 제 2 갭블럭(440)이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가까워지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를 더 근접시킬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control block 460 is moved upward, the first gap block 430 and the second gap block 440 come clos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supported state, and through this, the 1-1 roller shaft 311 and the 1-2 roller shaft 312 can be brought clos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지지블럭(410) 및 제 2 지지블럭(420)을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장축볼트(481) 및 너트(482)가 사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long shaft bolt 481 and the nut 482 are used to bring the first support block 410 and the second support block 420 into close contact.

상기 제 1 지지블럭(410)은 하측으로 돌출된 제 1 간격지지부(4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블럭(420)은 하측으로 돌출된 제 2 간격지지부(422)를 더 포함한다. The first support block 410 further includes a first spacing support portion 412 protruding downward, and the second support block 420 further includes a second spacing support portion 422 protruding downward.

상기 제 1 간격지지부(412) 및 제 2 간격지지부(422)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장축볼트(481)가 상기 제 1 간격지지부(412) 및 제 2 간격지지부(422)를 관통하고, 상기 너트(482)가 상기 장축볼트(481)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간격지지부(412) 및 제 2 간격지지부(422)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he first gap support part 412 and the second gap support part 422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long shaft bolt 481 passes through the first spacer support part 412 and the second spacer support part 422, and the nut 482 is fastened to the long shaft bolt 481 to prevent the first spacer support part 412 and the second spacer support part 422 from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 1 갭블럭(430)은 상기 제 1-1 롤러축(311)을 지지하는 제 1 축면(431)과, 상기 조절블럭(460)을 지지하는 제 1 조절면(432)를 포함한다.The first gap block 430 includes a first shaft surface 431 supporting the 1-1 roller shaft 311 and a first adjusting surface 432 supporting the adjusting block 460 .

상기 제 1 축면(431) 및 제 1 조절면(432)이 반대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The first shaft surface 431 and the first control surface 432 are disposed to face opposite directions.

상기 제 1 축면(431)은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shaft surface 431 is formed in an arc shape.

상기 제 1 조절면(432)은 상단이 상기 제 1-1 롤러축(311)에 가깝고 하단이 상기 제 1-2 롤러축(312)에 가까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control surface 432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n upper end close to the 1-1 roller shaft 311 and a lower end close to the 1-2 roller shaft 312 .

상기 제 1 지지블럭(410)은 상기 제 1 축면(431)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1 롤러축(311)을 지지하는 제 1 지지축면(41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블럭(420)은 상기 제 2 축면(441)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2 롤러축(312)을 지지하는 제 2 지지축면(421)을 더 포함한다. The first support block 410 further includes a first support shaft surface 411 disposed to face the first shaft surface 431 and supporting the 1-1 roller shaft 311, and the second support block 420 further includes a second support shaft surface 421 disposed to face the second shaft surface 441 and support the 1-2 roller shaft 312 do

상기 제 1 축면(431) 및 제 1 지지축면(411)이 상기 제 1-1 롤러축(311)의 양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 2 축면(441) 및 제 2 지지축면(421)이 상기 제 1-2 롤러축(312)의 양측면에 밀착된다. The first shaft surface 431 and the first support shaft surface 411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 surfaces of the 1-1 roller shaft 311, and the second shaft surface 441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surface 421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 surfaces of the 1-2 roller shaft 312.

상기 핸들(470)은 상기 탑블럭(450)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조절블럭(460)과 결합된 핸들축(471)과, 상기 핸들축(471)의 상단에 조립되고 상기 핸들축(47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핸들레버(472)를 포함한다. The handle 470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top block 450 and includes a handle shaft 471 coupled to the control block 460, and a handle lever 472 that is assembled to an upper end of the handle shaft 471 and can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handle shaft 471.

상기 탑블럭(450)에 상기 핸들축(471)이 관통되는 축홀(451)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탑나사산(455)이 형성된다. A shaft hole 451 through which the handle shaft 471 passes is formed in the top block 450, and a top screw thread 455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핸들축(471)의 외주면에 핸들나사산(475)이 형성되고, 상기 탑나사산(455)과 치합된다. A handle screw thread 475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shaft 471 and meshes with the top screw thread 455 .

상기 핸들나사산(475) 및 탑나사산(455)의 치합을 통해 상기 핸들축(47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상기 조절블럭(46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Through engagement of the handle screw thread 475 and the top screw thread 455, the handle shaft 471 can be restrained from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ntrol block 460 can be suppressed.

그리고 미도시된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핸들레버(472)를 탑블럭(450) 또는 제 1 지지부(51)에 고정하여 핸들레버(472)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한다. In addition, the handle lever 472 is fixed to the top block 450 or the first support part 51 through a separate fastening member (not shown) to prevent the handle lever 472 from being rotated.

본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어셈블리(400)의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추가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spacing adjusting assembly 4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added to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이하 나머지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but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se claims.

100 : 무빙장치 200 : 선별하우징
212 : 회전베이스 220 : 스파이럴가이드
250 : 가이드하우징 300 : 선별어셈블리
310 : 제 1 롤러 320 : 제 2 롤러
350 : 선별모터 360 : 셀렉하우징
400 : 간격조절어셈블리 410 : 제 1 지지블럭
420 : 제 2 지지블럭 430 : 제 1 갭블럭
440 : 제 2 갭블럭 450 : 탑블럭
460 : 조절블럭 470 : 핸들
100: moving device 200: sorting housing
212: rotating base 220: spiral guide
250: guide housing 300: sorting assembly
310: first roller 320: second roller
350: sorting motor 360: select housing
400: spacing adjustment assembly 410: first support block
420: second support block 430: first gap block
440: second gap block 450: top block
460: control block 470: handle

Claims (5)

지면에 배치되는 테이블(50);
상기 테이블(50) 상측에 거치되고, 회전을 통해 서로 다른 크기의 혼합된 복수개의 부품를 일렬로 이동시키는 무빙장치(100);
상기 무빙장치(100)에서 공급된 볼트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어셈블리(300);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장치(100)는,
상기 테이블(50)의 상측에 거치되어 지면과 이격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배치되는 무빙모터(20);
상기 베이스(1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무빙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선별하우징(200);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10) 및 선별하우징(20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상기 선별하우징(200)을 지지하는 서포터(40);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하우징(200)은,
상기 무빙모터(20)에 조립되어 회전되는 회전베이스(212);
일단이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상측면(211)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베이스(2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선으로 상승되게 형성된 스파이럴가이드(220);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와 연결되고, 상기 스파이럴가이드(220)를 따라 이송된 부품을 상기 선별어셈블리(300)로 안내하는 가이드하우징(250);을 포함하고,
상기 선별어셈블리(300)는,
상기 테이블(50)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제 1 롤러(310);
상기 테이블(50)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2 롤러(320);
상기 테이블(5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 또는 제 2 롤러(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선별모터(350);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된 부품이 낙하되어 저장되는 셀렉하우징(360);
상기 제 1 롤러(31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
상기 제 2 롤러(32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제 2-1 롤러축(321) 및 제 2-2 롤러축(32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가 소정의 사이각(A)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블(50)은,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 1 지지부(51)와, 하단에서 상기 제 1 롤러(310) 및 제 2 롤러(320)의 하측으로 연장된 로어테이블(53)과, 상기 로어테이블(53)에서 상측으로 돌출연장되는 제 2 지지부(5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어셈블리(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어셈블리(400)는,
상기 제 1 지지부(51)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롤러축(311)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블럭(410);
상기 제 1 지지부(51)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롤러축(312)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블럭(420);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롤러축(311)에 밀착되는 제 1 갭블럭(430);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롤러축(312)에 밀착되는 제 2 갭블럭(440);
상기 제 1-1 롤러축(311) 및 제 1-2 롤러축(31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지부(51)에 고정되는 탑블럭(450);
상기 제 1 갭블럭(430) 및 제 2 갭블럭(440)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갭블럭(430) 및 제 2 갭블럭(44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블럭(460);
상기 탑블럭(450)을 관통하고 상기 조절블럭(46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핸들(470);을 포함하는 부품 선별장치.
Table 50 placed on the ground;
a moving device 100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50 and moving a plurality of mixed parts of different sizes in a row through rotation;
A sorting assembly 300 for sorting the bolts supplied from the moving device 100 by size,
The moving device 100,
A base 10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50 an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 moving motor 20 disposed on the base 10;
a sorting housing 200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and rotated by the moving motor 20;
A supporter 40 fixed to the base 10 and disposed between the base 10 and the sorting housing 200 to support the rotating sorting housing 200,
The sorting housing 200,
Rotating base 212 assembled to the moving motor 20 and rotated;
a spiral guide 220, one end of which is formed to form a continuous surface with the upper surface 211 of the rotating base 212 and rises in a spiral shape along the edge of the rotating base 212;
A guide housing 250 connected to the spiral guide 220 and guiding the parts transported along the spiral guide 220 to the sorting assembly 300; includes,
The sorting assembly 300,
a first roller 310 rotatably mounted on the table 50;
a second roller 320 rotatably mounted on the table 50 and disposed to face the first roller 310;
a sorting motor 350 disposed on the table 50 and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A select housing 360 disposed under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in which the parts sorted by size by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are dropped and stored;
a 1-1 roller shaft 311 and a 1-2 roller shaft 312 form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310;
A 2-1 roller shaft 321 and a 2-2 roller shaft 322 form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roller 320;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form a predetermined angle A,
The table 50,
A first support part 51 dispos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ide, a lower table 5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320, and a second support part 52 protruding 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table 53,
Further comprising a spacing adjusting assembly 400 capable of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the 1-1 roller shaft 311 and the 1-2 roller shaft 312,
The spacing adjustment assembly 400,
a first support block 410 disposed on the first support part 51 and supporting the 1-1 roller shaft 311;
a second support block 420 disposed on the first support part 51 and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roller shafts 312;
a first gap block 430 disposed between the 1-1 roller shaft 311 and the 1-2 roller shaft 312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1-1 roller shaft 311;
a second gap block 440 disposed between the 1-1 roller shaft 311 and the 1-2 roller shaft 312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1-2 roller shaft 312;
a top block 450 disposed above the 1-1 roller shaft 311 and the 1-2 roller shaft 312 and fixed to the first support part 51;
an adjusting block 460 disposed between the first gap block 430 and the second gap block 440 and moving vertically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gap block 430 and the second gap block 440;
A parts sorting device including a handle 470 passing through the top block 450 and moving the control block 460 in a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049010A 2023-04-13 2023-04-13 Parts sorting apparatus KR1025593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010A KR102559353B1 (en) 2023-04-13 2023-04-13 Parts sor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010A KR102559353B1 (en) 2023-04-13 2023-04-13 Parts sor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353B1 true KR102559353B1 (en) 2023-07-26

Family

ID=8742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010A KR102559353B1 (en) 2023-04-13 2023-04-13 Parts sor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353B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1689Y2 (en) * 1992-05-18 1999-03-10 小橋工業株式会社 Sorting equipment for agricultural products
JP2000317403A (en) * 1999-05-12 2000-11-21 Nichizou Gijutsu Service Kk Empty container size classifier
KR200277956Y1 (en) 1999-06-02 2002-06-15 비요른 시도프 bolt sorting apparatus
KR100825852B1 (en) * 2008-02-12 2008-04-28 강현수 Bolt auto packaging apparatus with function for inputting/selecting
KR100908042B1 (en) 2009-02-16 2009-07-15 (주)진합 Bolt sorting device
KR101296826B1 (en) 2011-09-15 2013-08-14 (주)진합 Washer bolt sorting device
KR20160033277A (en) * 2014-09-17 2016-03-28 (주)진합 Bolt inspection device
KR101657268B1 (en) * 2016-04-25 2016-09-20 주식회사 에스탑 Parts sorting machine
KR20170142677A (en) * 2016-06-20 2017-12-28 주식회사 프론텍 A rolling type shaft separating apparatus using side vision inspector
KR102324970B1 (en) * 2021-04-16 2021-11-10 김기삼 Rotary apparatus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1689Y2 (en) * 1992-05-18 1999-03-10 小橋工業株式会社 Sorting equipment for agricultural products
JP2000317403A (en) * 1999-05-12 2000-11-21 Nichizou Gijutsu Service Kk Empty container size classifier
KR200277956Y1 (en) 1999-06-02 2002-06-15 비요른 시도프 bolt sorting apparatus
KR100825852B1 (en) * 2008-02-12 2008-04-28 강현수 Bolt auto packaging apparatus with function for inputting/selecting
KR100908042B1 (en) 2009-02-16 2009-07-15 (주)진합 Bolt sorting device
KR101296826B1 (en) 2011-09-15 2013-08-14 (주)진합 Washer bolt sorting device
KR20160033277A (en) * 2014-09-17 2016-03-28 (주)진합 Bolt inspection device
KR101657268B1 (en) * 2016-04-25 2016-09-20 주식회사 에스탑 Parts sorting machine
KR20170142677A (en) * 2016-06-20 2017-12-28 주식회사 프론텍 A rolling type shaft separating apparatus using side vision inspector
KR102324970B1 (en) * 2021-04-16 2021-11-10 김기삼 Rotar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826B1 (en) Washer bolt sorting device
KR101980860B1 (en) A spring pin separating apparatus
KR101613444B1 (en) Bolt inspection device
KR101083293B1 (en) Screw sorting device
KR100861742B1 (en) Automatic separation apparatus of fruits
KR101341947B1 (en) Bolt good parts screening device
KR101879639B1 (en) Vision type sorting machine having preventing function of parts shaking
KR102559353B1 (en) Parts sorting apparatus
KR101918192B1 (e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detecting fault of various kinds of bolts
EP0085124B1 (en) Screw inspection device
CA1238600A (en) Equal spacing positioning apparatus
KR20220056094A (en) Pipe bolt inspection device with position alignment
KR100862900B1 (en) Screw sorting apparatus
KR101613441B1 (en) Round index structure of the defective bolts screening device
KR101310712B1 (en) Multi-groder for a multipurpose
CN103831234B (en) Swing cage walnut classifying screen
KR101613443B1 (en) Bolt inspection device
JPH08252544A (en) Fruit vegetable separator
KR100460538B1 (en) Apparatus for sorting agricultural products
KR102673488B1 (en) Tapping apparatus for nut
CN110022996B (en) Adjusting mechanism for grading system
KR102626824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omponents for components packing system
US4557125A (en) Apparatus for on line, random sample, inspection of cold-formed blanks for threaded fasteners
CN115350937B (en) Automatic guiding and detecting mechanism for screw connector
CN211965039U (en) Detection turntable and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