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295B1 - Floating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in sewer pipe - Google Patents

Floating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in sewer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295B1
KR102559295B1 KR1020230006328A KR20230006328A KR102559295B1 KR 102559295 B1 KR102559295 B1 KR 102559295B1 KR 1020230006328 A KR1020230006328 A KR 1020230006328A KR 20230006328 A KR20230006328 A KR 20230006328A KR 102559295 B1 KR102559295 B1 KR 102559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unit
floating foreign
module unit
sew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경영
Original Assignee
(주)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006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2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295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로의 오수를 따라 흐르는 내부의 부유이물질의 수거 효율을 높이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 장치는 하수관로 내부의 부유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게 마련되는 거름모듈부 및 상기 거름모듈부가 거치되며, 하수관로의 양측벽에 고정될 수 있게 마련되는 고정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름모듈부는, 상기 고정모듈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해제가 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장치는,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여, 이물질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llecting floating foreign matter in a sewage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ollecting floating foreign matter flowing inside a sewage pipe along sewage.
An apparatus for collecting floating foreign matter in a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ing module unit provided to collect floating foreign matter inside the sewer pipe and a fixed module unit on which the filtering module unit is mounted and fixed to both side walls of the sewer pipe, and the filtering module unit is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upled to and disengaged from the fixed module unit.
The device for collecting floating foreign matter in a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ount and detach, and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removing foreign matter.

Description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 장치{Floating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in sewer pipe}Floating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in sewer pipe}

본 발명은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로의 오수를 따라 흐르는 내부의 부유이물질의 수거 효율을 높이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llecting floating foreign matter in a sewage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increasing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floating foreign matter flowing inside a sewage pipe along sewage.

일반적으로 하수라함은 오수와 우수 및 공장폐수 등을 말하고, 하수도라 함은 오수와 우수를 배제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설치하는 도관(하수 관거) 및 기타의 공작물과 시설(관거, 부대 설비, 종말처리시설 및 이들을 보완하기 위한 펌프시설)의 총체를 말한다.In general, sewage refers to sewage, rainwater, and factory wastewater, and sewage refers to the totality of conduits (sewage conduits) and other structures and facilities (conduits, auxiliary facilities, terminal treatment facilities, and pump facilities to supplement them) installed to exclude or treat sewage and rainwater.

하수도는 오수와 우수가 유입되어 모이는 집배수시설과, 집배수시설에서 거쳐 유입되는 하수 처리시설과, 다시 이를 거쳐서 유입되는 방류,처분시설과, 이러한 시설들 간의 연결을 취해 오수와 우수를 유송하는 하수 관거로 구성된다.The sewage system consists of a collection and drainage facility where sewage and rainwater flows in and gathers, a sewage treatment facility that flows in through the collection and drainage facility, a discharge and disposal facility that flows in through the collection and drainage facility, and a sewage pipe that transports sewage and rainwater by connecting these facilities.

이와 같이 구성된 하수도는 지역의 특성, 방류 수역의 여건, 수질보전, 방류 하천 하류의 환경보호, 주민의 감정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분류식 또는 합류식으로 배제하여 정화 방류시키고 있다. The sewage system configured in this way is purified and discharged by excluding in a classification or confluence typ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he conditions of the discharge area, water quality preserva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of the discharge river downstream, and residents' feelings.

분류식이란 오수와 우수를 각각의 관거에 의해 배제하는 방식이고, 합류식이란 오수와 우수를 한 개의 하수 관거에 의해 배제하는 방식이다.The classificat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sewage and rainwater are excluded by each conduit, and the confluence method is a method in which sewage and rainwater are excluded by one sewage conduit.

먼저, 분류식의 경우에는 우천시에 오수를 수역으로 방류하는 일이 없으므로 수질오염을 방지하는데 유리하여 공공수역에서 수질 오염을 방지하는데 하수도의 역할이 커지고 있는 최근에는 하수도를 계획할 때 배제 방식을 우수에 의한 침수 방지, 공공수역의 수질 오염방지를 목적으로 분류식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First, in the case of the classification type, there is no discharge of sewage into the water area in case of rain, so it is advantageous to prevent water pollution. In recent years, when the sewage system is playing an increasing role in preventing water pollution in public water areas, the exclusion method is the principle of the classification typ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flooding by rainwater and preventing water pollution in public water areas.

그러나 분류식이 기능상으로는 우수하다고 할 수 있으나,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합류식에 비해 상당히 부담이 크고 시공상에 있어서도 어려운 점이 많아 도시의 여건상 분류식을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 또는 공공의 수질보전에 지장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합류식이 이용되고 있다.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splitting formula is excellent in terms of function, but in terms of economy, it is considerably more burdensome than the joining type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construction, so it is difficult to use the splitting type due to urban conditions or public water quality.

하수 관거의 내부 상측에 축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하수 관거에 적당향의 수위가 유지되는 우기에는 메쉬망에 퇴적물이나 부유물 등이 걸려져 작동상태가 원활하나, 갈수기와 같이, 하수 관거 내부에 흐르는 우수나 오수의 양이 점차로 줄어들어 하수 관거 내의 수위가 내려가면, 메쉬망에 걸려진 퇴적물이나 부유물 등은 하단의 일부만을 남기고 메쉬망에서 낙하되어 우수 및 오수와 함께 섞여서 다시 흐르게 됨에 따라 재역할을 담당하지 못하게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Since it is shaft-coupled to the upper inside of the sewage conduit, during the rainy season when the water level is maintained at the proper level in the sewage conduit, the mesh net is caught in sediment or floating matter, and the operation is smooth. There was a structural problem that prevented the re-role.

또한, 우수나 오수의 양이 적게 흘러 수위가 낮은 지역이나 장소에서는 종래의 하수 관거가 쓸모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onventional sewage pipe is useless in an area or place where the water level is low due to low flow of rainwater or sewage.

따라서 유동적인 수위에 맞춰 부유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고, 수거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착탈 효율이 높은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collect floating foreign matter according to a fluid water level and increase the ease of collection,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with high attachment and detachment efficiency.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우수 부유물 제거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13817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In this regard, looking at the prior art, a 'superior suspension removal devi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13817, but it does not solve the above problem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13817호 (2021.02.0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13817 (2021.02.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한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removing floating foreign matter in a sewage pip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detach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here, ar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will b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 장치는 하수관로 내부의 부유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게 마련되는 거름모듈부 및 상기 거름모듈부가 거치되며, 하수관로의 양측벽에 고정될 수 있게 마련되는 고정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름모듈부는, 상기 고정모듈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해제가 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collecting floating foreign matter in a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ing module unit provided to collect floating foreign matter inside the sewer pipe and a fixed module unit on which the filtering module unit is mounted and fixed to both side walls of the sewer pipe, and the filtering module unit is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upled to and disengaged from the fixed module unit.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장치는,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여, 이물질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evice for collecting floating foreign matter in a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ount and detach, and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removing foreign mat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장치를 저수위에서의 측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장치를 고수위에서의 측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장치의를 정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장치를 탈착하는 상황에서의 정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장치의 체결부 및 고정모듈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장치의 체결부 및 고정모듈부가 해제되는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장치의 돌출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장치의 돌출부에 자력부가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해, 센서부가 추가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장치의 관로고정부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floating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in a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 low water level.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floating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in a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 high water level.
Figure 3 shows a front cross-section of the floating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of the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front sec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floating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of the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astening part and a fixing module part of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loating foreign matter in a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part and the fixing module part of the floating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of the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released.
7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otruding part of the floating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of the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device for collecting floating foreign matter in a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form in which a magnetic part is formed on a protruding part of a device for collecting floating foreign matter in a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 form in which a sensor unit is add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loating foreign matter in a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the pipe fixing part of the floating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of the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specific details, including the problems to be solved,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and the effect of the inven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included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A)의 부유이물질(B) 수거 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로(A) 내부의 부유이물질(B)을 수거할 수 있게 마련되는 거름모듈부(1) 및 상기 거름모듈부(1)가 거치되며, 하수관로(A)의 양측벽에 고정될 수 있게 마련되는 고정모듈부(2)를 포함하고, 상기 거름모듈부(1)는, 상기 고정모듈부(2)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해제가 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device for collecting floating foreign matter (B) in a sewage pip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ing module unit (1) provided to collect floating foreign matter (B) inside the sewer pipe (A) and a fixed module unit (2) provided to be fixed to both side walls of the sewer pipe (A) and the filtering module unit (1) mounted thereon, the filtering module unit (1), the fixed module unit (2) )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selectively engaged and released.

먼저, 상기 거름모듈부(1)는, 하수관로(A) 내부의 부유이물질(B)을 수거할 수 있게 마련된다.First, the manure module unit 1 is provided to collect the floating foreign matter (B) inside the sewage pipe (A).

상기 거름모듈부(1)는, 하수관로(A) 내부에서 유체의 표면에 부유하고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수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변화하는 유체의 깊이에 대응하며, 부유이물질(B)을 수거할 수 있게 구성된다.The filtering module unit 1 is configured to effectively collect foreign substances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fluid inside the sewage pipe A, corresponds to the depth of the changing fluid, and collects the floating foreign substances B. It is configured.

구체적으로, 상기 거름모듈부(1)는, 거름부(11), 부력부(12), 지지부(13), 체결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filtering module unit 1 includes a filtering unit 11, a buoyancy unit 12, a support unit 13, and a fastening unit 14.

먼저, 상기 거름부(11)는, 수면의 부유물(B)이 걸릴 수 있게 마련된다.First, the filtering unit 11 is provided so that the floating matter (B) on the surface of the water can be caught.

상기 거름부(11)는, 부유이물질(B)을 걸러냄과 동시에 유체는 흘려보낼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ing unit 11 may be configur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filter out the floating foreign matter B and at the same time flow the fluid.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름부(11)는,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복수개의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trainer 11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bars formed side by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다른 실시예로, 상기 거름부(11)는, 망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trainer 11 may be configured in a net shape.

다음으로, 상기 부력부(12)는, 상기 거름부(11) 후방에 형성되어, 부력을 형성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buoyancy unit 12 is formed behind the filtering unit 11, and is provided to form buoyancy.

상기 부력부(12)는, 상기 거름부(11)의 위치를 항상 수면 부근에 위치하도록 설정하여 부유이물질(B)을 효과적으로 수거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buoyancy unit 12 is configured to guide the filtering unit 11 to effectively collect the floating foreign matter B by setting the position of the filtering unit 11 to be always near the surface of the water.

따라서 상기 거름부(11)의 후방에 밀착 형성되며, 상기 거름부(11)의 무게를 극복할 수 있는 수준의 부력이 형성될 수 있는 소재나 장치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Therefore, it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filtering unit 11, and any material or device capable of forming a level of buoyancy capable of overcoming the weight of the filtering unit 11 may be configured in any shape.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13)는, 한 쌍의 바 형태로 상기 거름부(11) 양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Next, the support part 13 is rotatab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ltering part 11 in the form of a pair of bars.

상기 지지부(13)는, 상기 거름부(11)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한쌍의 바 형태로 각각 상기 거름부(11)의 양측면에 연결된다.The support part 13 has a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filtering part 11 and is connect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filtering part 11 in the form of a pair of bars.

이때, 상기 거름부(11)와의 결합 시, 수면 높이 변화가 발생되어도 항상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상기 거름부(11)의 정면이 형성될 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3)와 거름부(11)의 결합부위는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At this time, when combined with the filtering unit 11, the support portion 13 and the filtering unit 11 are coupled so that the front of the filtering unit 11 can always be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flows even when the water level changes.

상기 지지부(13)에는, 센서부(400)가 더 마련될 수 있다.A sensor unit 40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upport unit 13 .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거름부(11)에 부유물(B)의 과도한 적층 등의 이유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수면보다 아래로 가라앉게 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sensor unit 400 is a configuration for detecting when the filtering unit 11 fails to function due to excessive stacking of the floating matter B and sinks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400)는, 수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sensor unit 400 is composed of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moisture.

상기 센서부(400)는 용이하게 수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400 may be configured in any form as long as it is a sensor capable of easily detecting moisture.

이때,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지지부(13)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거름부(11)가 가라앉게 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13)의 일부가 수중으로 가라앉게 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sensor unit 4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13, and when a part of the support part 13 sinks into the water as the filtering part 11 sinks, it is installed to detect it.

이때, 상기 센서부(400)는, 수분을 감지하여 수중으로 가라앉게 되는 것을 확인하면, 외부로 신호를 송출하여 관리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unit 400 is configured to send a signal to the outside so that a manager can confirm this when detecting moisture and confirming that it sinks into the water.

상기 신호는 별도의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에게 용이하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The signal may be configured in any form as long as it is in a form that can easily transmit the signal to a manager through a separate wireless network.

다음으로, 상기 체결부(14)는, 상기 지지부(13)의 단부에 형성되며, 양측 단부의 일측에 돌출부(141)가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된다.Next, the fastening part 14 is formed at an end of the support part 13, and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protrusion 141 is formed on one side of both ends.

상기 체결부(14)는, 상기 지지부(13)를 하기의 회동수용부(22)에 용이하게 결합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The fastening part 14 has a configuration provided so that the support part 13 can be easily coupled to and released from the rotation accommodating part 22 described below.

상기 체결부(14)는, 상기 지지부(13)의 단부에 고정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하기의 회동수용부(22)에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된다.The fastening part 14 is fixed to the end of the support part 13 and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rotation receiving part 22 described below.

이때, 상기 체결부(14)는 측방향으로 돌출부(141)가 더 마련된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part 14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trusion 141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돌출부(141)는, 하기의 체결홈부(222)와 대응되는 형태로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protrusion 141 is configured to be coupl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222 described below.

상기 돌출부(141)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연속된 돌출이 하방 일지점까지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된다.As shown in FIGS. 5 and 7 , the protrusion 141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continuous protrusion from the top is formed to a downward point.

이로 인해, 상기 체결부(14)를 하기의 회동수용부(22)에 결합 시, 상기 돌출부(141) 및 하기의 체결홈부(222)가 결합됨과 동시에 교처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Due to this, when the fastening part 14 is coupled to the rotation accommodating part 22 below, the protruding part 141 and the fastening groove part 222 below are combined and prevented from being crossed at the same time, so that it can be easily mounted.

이때, 상기 돌출부(141)는 결합 이후, 하기의 체결홈부(222)와 측방향으로 해제가 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portion 141 is configured so as not to be released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coupling groove 222 after coupling.

이를 위해, 도 7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의 회동수용부(22)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상기 돌출부(141)의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as shown in (a) and (b) of FIG. 7,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truding portion 141 widens as it goes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llowing rotation receiving portion 22 is formed.

이는, 거치되는 부유물(B)의 무게나 결함등으로 인해, 상기 체결부(14)가 하기의 회동수용부(22)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위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수직 방향으로만 상기 체결부(14)가 결합 및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the fastening part 14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rotation accommodating part 22 below due to the weight or defect of the suspended object B, and to configure the fastening part 14 to be coupled and released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n artificially applied force.

또한, 상기 돌출부(141)는, 하기의 체결홈부(222)와 결합력을 보다 높이기 위해, 자력부(300)가 더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14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magnetic force unit 300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coupling force with the coupling groove 222 described below.

상기 자력부(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41)의 하부 및 상기 돌출부(141)의 하부와 접촉면이 형성되는 상기 체결홈부(222)의 일지점에 형성되며,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형태의 자력이 형성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9, the magnetic force part 300 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lower part of the protruding part 141 and the lower part of the fastening groove part 222 where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lower part of the protruding part 141 is formed.

다음으로, 상기 고정모듈부(2)는, 상기 거름모듈부(1)가 거치되며, 하수관로(A)의 양측벽에 고정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fixing module unit 2 is provided so that the manure module unit 1 is mounted and can be fixed to both side walls of the sewage pipe (A).

상기 고정모듈부(2)는, 하수관로(A)의 벽면에 안정적으로 거치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13)가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fixing module unit 2 is configured to be stably mount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sewage pipe A and to allow the support unit 13 to be easily mounted.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모듈부(2)는, 관로고정부(21), 회동수용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fixing module part 2 is configured to include a pipe fixing part 21 and a rotation accommodating part 22.

상기 관로고정부(21)는, 하수관로(A) 내부의 양측 벽면에 고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The pipe fixing part 21 is provided to be fixed to both side walls inside the sewage pipe (A).

상기 관로고정부(21)는, 하수관로(A) 내부의 양측 벽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The pipe fixing part 21 may be configur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be easily fixed to both side walls of the inside of the sewage pipe (A).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관로고정부(2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고정부(211), 고정바디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ipe fixing part 21, as shown in FIG. 11, is configured to include a wall fixing part 211 and a fixing body part 212.

상기 벽고정부(211)는, 하수관로(A)에 고정될 수 있게 마련된다.The wall fixing part 211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sewage pipe (A).

이때, 상기 벽고정부(211)는, 못 등과 같이, 하수관로(A)의 벽면에 영구 고정될 수 있는 형태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wall fixing part 211 be fixed through a fixing means that can be permanently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sewage pipe (A), such as a nail.

다음으로, 상기 고정바디부(212)는, 상기 벽고정부(211)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fixing body part 212 is provided to form a space therein in a form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wall fixing part 211 .

상기 고정바디부(212)는, 상기 벽고정부(211)에 용이하게 결합되며, 하기의 회동수용부(22)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body part 212 is easily coupled to the wall fixing part 211, and may be configur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rotation receiving part 22 described below.

다음으로, 상기 회동수용부(22)는, 일단면이 상기 관로고정부(21)와 결합되되, 결합면의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타단면은 상기 체결부(14)와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Next, the rotation accommodating part 22 has one end surface coupled to the pipe fixing part 21, the coupling surface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nd the other end surface is provided in a form capable of selectively fastening with the fastening part 14.

상기 회동수용부(22)는, 상기 관로고정부(21)와 상기 지지부(13)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형태로 용이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이다.The rotation accommodating part 22 is configured to easily connect between the pipe fixing part 21 and the support part 13 in a rotatable form.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수용부(22)는, 베어링부(221), 체결홈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rotation accommodating portion 22 includes a bearing portion 221 and a fastening groove portion 222 .

먼저, 상기 베어링부(221)는, 일단면에 형성되되, 상기 관로고정부(21)에 결합되며 베어링이 구성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First, the bearing part 221 is formed on one end surface, is coupled to the pipe fixing part 21, and has a bearing configured to be rotatably provided.

상기 베어링부(221)는, 상기 관로고정부(21)와의 결합면을 기준으로 몸체가 회전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The bearing part 221 may be configur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 body can be rotated based on the coupling surface with the pipe line fixing part 21.

이로 인해, 상기 회동수용부(22)와 결합되는 상기 체결부(14)는,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다.Due to this, the fastening portion 14 coupled to the rotation accommodating portion 22 can be easily rotated.

다음으로, 상기 체결홈부(222)는, 타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141)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Next, the fastening groove 222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is provided in a form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141 .

상기 체결홈부(222)는, 상기 돌출부(141)와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된다.The fastening groove 222 is provid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41 .

상기 체결홈부(222)는, 상기 돌출부(141)가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유입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The fastening groove 222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protrusion 141 can flow downward from the top.

이때, 상기 체결홈부(222)는, 상기 돌출부(141)가 하방으로 해제되지 않도록 걸림턱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인력이 형성될 수 있는 자력부(300)가 더 마련되어, 결합 효율을 높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groove 222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locking jaw so that the protrusion 141 is not released downward, and as mentioned above, a magnetic force part 300 capable of forming an attractive force is further provided, so as to increase coupling efficiency.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 하수관로
B : 부유물
C : 덮개
1 : 거름모듈부
11 : 거름부
12 : 부력부
13 : 지지부
14 : 체결부
141 : 돌출부
2 : 고정모듈부
21 : 관로고정부
211 : 벽고정부
212 : 고정바디부
22 : 회동수용부
221 : 베어링부
222 : 체결홈부
300 : 자력부
400 : 센서부
A: Sewer pipe
B: float
C: cover
1: Filtering module part
11: Manure
12: buoyancy part
13: support
14: fastening part
141: protrusion
2: fixed module part
21: pipeline fixing part
211: wall fixing part
212: fixed body
22: rotation receiving unit
221: bearing part
222: fastening groove
300: magnetic force
400: sensor unit

Claims (5)

하수관로 내부의 부유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게 마련되는 거름모듈부; 및
상기 거름모듈부가 거치되며, 하수관로의 양측벽에 고정될 수 있게 마련되는 고정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름모듈부는, 상기 고정모듈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해제가 될 수 있게 마련되며,
상기 거름모듈부는,
수면의 부유물이 걸릴 수 있게 마련되는 거름부;
상기 거름부 후방에 형성되어,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부;
한 쌍의 바 형태로 상기 거름부 양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양측 단부의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부는,
하수관로 내부의 양측 벽면에 고정할 수 있게 마련되는 관로고정부; 및
일단면이 상기 관로고정부와 결합되되, 결합면의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타단면은 상기 체결부와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회동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수용부는,
일단면에 형성되되, 상기 관로고정부에 결합되며 베어링이 구성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어링부; 및
타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는 체결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 장치.
A filtering module unit provided to collect floating foreign matter inside the sewage pipe; and
Including; a fixing module unit in which the manure module unit is mounted and is provided to be fixed to both side walls of the sewage pipe,
The filtering module unit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selectively coupled and released to the fixed module unit,
The manure module part,
A manure provided to catch floating matter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 buoyancy unit formed behind the manure unit to form buoyancy;
a pair of bar-shaped supports provided to be rotatable at both ends of the filtering unit;
I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part and includes a fastening part i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side of both ends,
The fixed module part,
A pipe fixing unit provided to be fix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wall of the sewer pipe; and
One end surface is coupled to the pipe fixing part, the coupling surface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nd the other end surface is provided in a form that can be selectively fastened with the fastening part; includes;
The rotation accommodating part,
A bearing part formed on one end surface, coupled to the pipe fixing part, and having a bearing configured to be rotatably provided; and
A device for collecting floating foreign matter in a sewage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astening groove formed at the other end and provided in a shap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부로부터 연속된 돌출이 하방 일지점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의 부유이물질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A device for collecting floating foreign matter in a sewage pipe, characterized in that a continuous protrusion from the top is formed to a point downward.
KR1020230006328A 2023-01-16 2023-01-16 Floating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in sewer pipe KR1025592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328A KR102559295B1 (en) 2023-01-16 2023-01-16 Floating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in sewer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328A KR102559295B1 (en) 2023-01-16 2023-01-16 Floating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in sewer pi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295B1 true KR102559295B1 (en) 2023-07-25

Family

ID=87428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328A KR102559295B1 (en) 2023-01-16 2023-01-16 Floating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in sewer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29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416Y1 (en) * 2001-11-02 2002-02-25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Structure of confluent drain pipe
KR101253061B1 (en) * 2012-09-25 2013-04-29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Screen device for removing adulterated materials without power
KR20160000633U (en) * 2014-08-14 2016-02-24 주식회사 한도스페이스 Animal footing board for waterway
KR20210013817A (en) 2019-07-29 2021-02-08 주식회사 화신엔지니어링 Scum skimmer of rainwater for sewer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416Y1 (en) * 2001-11-02 2002-02-25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Structure of confluent drain pipe
KR101253061B1 (en) * 2012-09-25 2013-04-29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Screen device for removing adulterated materials without power
KR20160000633U (en) * 2014-08-14 2016-02-24 주식회사 한도스페이스 Animal footing board for waterway
KR20210013817A (en) 2019-07-29 2021-02-08 주식회사 화신엔지니어링 Scum skimmer of rainwater for sewe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3417B2 (en) Floating storm water drain basket
CN102102392B (en) Integrated initial rainwater draining well and method for draining rainwater
KR200407745Y1 (en) A Treatment System of Rainwater
CN105569174A (en) Split-flow rainwater opening
KR101656036B1 (en) Rainwater infiltration and catchment induction pipeline implantable unit and rainwater utiliz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205296362U (en) Inlet for stom water structure with drainage bucket
KR102559295B1 (en) Floating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in sewer pipe
CN205530606U (en) Collect inlet for stom water entirely and cut dirty basket of hanging with control non -point source pollution function
CN207469409U (en) A kind of catch-basin biological filter system
JP2006328696A (en) Dust collector of effluent culvert
KR100529500B1 (en) Method for drainage of road
KR101316313B1 (en) Keeping treatment system of primary stage rainwater for valleywater using the water-storage tank
CN213174049U (en) Drainage system who possesses quick water conservancy diversion of rainwater
CN112176860A (en) Bridge floor drainage system
KR100717425B1 (en) Apparatus for sorting sludge sewerage end
CN212315670U (en) Factory rain sewage reposition of redundant personnel water processing system
CN209703660U (en) Municipal works multiple filtration gutter inlet device
KR101356964B1 (en) Catchment well for road
KR100625746B1 (en) Suspended Material Auto-draw Chamber
KR101155280B1 (en) First rain disposal plant of road or bridge
KR100750980B1 (en) A Treatment System of Rainwater
KR100499612B1 (en) Solid Separation and Filtered water obtainment method by Screen Channel
CN213772922U (en) Bridge floor drainage system
CN213979244U (en) Prevent blockking up municipal administration well lid convenient to clearance
CN220247126U (en) Steel construction escape ca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