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967B1 -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967B1
KR102558967B1 KR1020210151165A KR20210151165A KR102558967B1 KR 102558967 B1 KR102558967 B1 KR 102558967B1 KR 1020210151165 A KR1020210151165 A KR 1020210151165A KR 20210151165 A KR20210151165 A KR 20210151165A KR 102558967 B1 KR102558967 B1 KR 102558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bial culture
main body
microbial
water
usef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6159A (ko
Inventor
윤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버스
Priority to KR1020210151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967B1/ko
Publication of KR2023006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6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05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지자체의 공공장소, 또는 시골의 마을회관 등에 배치되는 배양균 공급장치로부터 분말형태의 유용미생물 배양균을 필요한 만큼 공급받아 즉석식으로 배양시켜 사용하기 위한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는
사용자가 유용미생물 종류와 배출 용량을 선택하여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1,2선택버튼이 형성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수도 배관과 연통되는 임의용량의 물통;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분말형태의 미생물배양균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개의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
상기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의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2선택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임의량과 선택된 종류의 미생물배양균과, 선택된 미생물배양균 량(糧)과 설정된 혼합비율이 맞도록 상기 물통에서 급수되는 물을 히터 또는 전열선에 의해 가열하는 온수저장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임의온도의 온수를 내부의 믹싱볼에 의해 혼합하여 희석시키기 위한 혼합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본체의 수납구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혼합기에 의해 희석되어 승강가능하게 형성되는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의 미생물배양균을 상기 수납구를 통해 공급받기 위한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
상기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를 넘치거나(overflow), 상기 토출구에 잔류되어 낙하됨에 따라 상기 수납구 바닥면의 트레이를 통과하는 폐수를 집수하고, 집수되는 폐수 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이 내부에 구비되는 배수통;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음이온수 수조, 상기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에 저장된 유용미생물을 공급 전후에 상기 음이온수 수조로부터 적정량의 음이온수를 상기 혼합기, 혼합기와 토출구사이의 배관, 상기 토출구에 흘러 보내 수소이온 농도차에 의해 내부를 살균처리할 수 있음;
상기 상수도 배관의 개폐밸브, 상기 히터 또는 전열선에 인가되는 전원 온,오프, 상기 선택버튼 조작에 의해 미생물배양균 배출유무를 표시하는 LED램프의 점,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supply apparatus for EM}
본 명세서는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자체의 공공장소, 또는 지방도시의 마을회관 등에 배치되는 배양균 공급장치로부터 분말형태의 유용미생물 배양균을 필요한 만큼 공급받아 즉석식으로 배양시켜 사용하기 위한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 EM(Effective Micro-organisms, 유용미생물)에 대한 관심과 함께 농업, 축산, 환경, 건설, 공업, 건강,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을 위해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EM은 농업이나 축산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환경오염물질 처리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기술로써 항산화능력과 계면활성능력, 비이온화 및 킬레이트결합 등의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상,하수 처리, 고형폐기물 처리, 자연수계 정화, 악취 제거 및 토양복원 등 생태환경처리 분야에 다양하게 기여하고 있다.
EM은 부패균을 억제시켜 부패로 인한 악취를 제거하여 맑은 공기를 제공하고 유용성 미생물의 정착에 의해 자정능력의 회복시켜 깨끗한 물을 생성시키고, 강력한 항산화 작용(세포의 정상화, 소화기간의 활성화, 질병과 노화방지, 활성산소 산화활동 억제 및 제거)에 의한 산화방지를 통해 금속이나 식품 등의 산화 방지 및 곰팡이균을 제거하게 된다.
EM은 축사, 하수구, 신발, 옷장, 환기구, 애완용 동물의 체취나 분뇨의 악취를 제거하고 정화조의 수질을 개선시키고, 남은 음식물을 발효시켜 농토와 화분의 퇴비 및 영양제로 사용되며, 세제를 대신하는 세탁비누 제작과 비누, 린스, 각종 화장품을 제작 및 무좀제거, 아토피 치료 등의 피부질환에도 사용된다.
한편, 시중에서 판매되는 환경용 악취 저감제인 액상 생균제는 70~80℃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고온 호기성을 갖고 있으나, 호기발효 공정과 설비에 따라 1~5배의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종균과 배지량을 투입하여 일정 온도 및 기간 동안 배양 공정을 수행하게 되므로 그 자체가 일반인에게는 용이하지 않는 단점을 갖게 된다.
또한, 종래의 미생물 배양기는 실험실용과 산업용으로 구분되고, 실험실용 배양기는 극소이거나 소형으로써 실생활에 적용하기는 부적합하였다.
반면에, 산업용 배양기는 1,000 ∼ 100,000ℓ로써 규모가 극대이거나 대형이므로 역시 실생활에 적용하기는 부적합하였다. 이는 미생물 배양의 특성상 적정 크기의 배양조가 필요하고, 또한 일정온도와 시간 동안 배양을 요구받게 되므로 시간적 제한을 받게 된다.
또한, 종래의 미생물 배양기는 각각의 미생물을 배양기에 따로 배양한 후 사용자가 혼합시켜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유용 미생물을 즉석에서 배양 및 사용하기가 곤란한 단점을 갖게 된다(일반적인 유용 미생물 배양은 약 24 ∼ 168시간 가량 소요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058416호에 EM미생물 자동 공급기가 등록공고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유용미생물의 종류 선택버튼 조작에 의해 분말형태의 미생물 배양균을 필요한 만큼 외부로 배출시켜 공급받게 되므로 신속하게 EM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어 실용성을 갖도록 한,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지자체(시청, 구청, 주민지원센터 등)의 공공장소, 또는 지방도시의 마을회관 등에 배치되는 배양균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고품질의 고농도 유용미생물을 필요시 즉석식으로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고농축 미생물 균주를 드라이프리징(동결건조)한 상태로 준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수질 정화, 악취 저감, 유무기물 분해, 생육 촉진제, 토양 개량제 등의 용도에 맞추어 다양한 유용미생물 균주 및 배지를 즉시 공급받아 혼합하여 속성식으로 배양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유용미생물의 종류와 배출용량을 선택하여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1,2선택버튼이 형성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수도 배관과 연통되는 임의용량의 물통;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분말형태의 미생물배양균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개의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
상기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의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2선택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임의량과 선택된 종류의 미생물배양균과, 선택된 미생물배양균 량(糧)과 설정된 혼합비율이 맞도록 상기 물통에서 급수되는 물을 히터 또는 전열선에 의해 가열하는 온수저장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임의온도의 온수를 내부의 믹싱볼에 의해 혼합하여 희석시키기 위한 혼합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본체의 수납구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혼합기에 의해 희석되어 승강가능하게 형성되는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의 미생물배양균을 상기 수납구를 통해 공급받기 위한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
상기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를 넘치거나(overflow), 상기 토출구에 잔류되어 낙하됨에 따라 상기 수납구 바닥면의 트레이를 통과하는 폐수를 집수하고, 집수되는 폐수 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이 내부에 구비되는 배수통;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음이온수 수조, 상기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에 저장된 유용미생물을 공급 전후에 상기 음이온수 수조로부터 적정량의 음이온수를 상기 혼합기, 혼합기와 토출구사이의 배관, 상기 토출구에 흘러 보내 수소이온 농도차에 의해 내부를 살균처리할 수 있음;
상기 상수도 배관의 개폐밸브, 상기 히터 또는 전열선에 인가되는 전원 온,오프, 상기 선택버튼 조작에 의해 미생물배양균 배출유무를 표시하는 LED램프의 점,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사용자의 유용미생물의 종류 선택버튼 조작에 의해 분말형태의 미생물 배양균을 필요한 만큼 외부로 배출시켜 공급받게 되므로 신속하게 EM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어 실용성을 갖게 된다.
또한, 지자체(시청, 구청, 주민지원센터 등)의 공공장소, 또는 지방도시의 마을회관 등에 배치되는 배양균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고품질의 고농도 유용미생물을 필요시 즉석식으로 배양시켜 사용하게 되므로 유용미생물의 비전문가도 물에 희석시켜 용이하게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의성 및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에서, 도어를 개방시킨 본체 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에서,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배면판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대용사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는
사용자가 유용미생물 종류와 배출용량을 선택하여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1선택버튼(10a)(일 예로서, 4개가 형성됨) 및 제2선택버튼(10b)(일 예로서, 일반용량과 대용량의 2개가 형성됨)이 형성되는 도어(11);
도어(11)가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통상적인 힌지핀(35)에 의해 힌지고정되는 본체(12);
본체(12)의 내부에 형성되고, 통상적인 개폐밸브(23)가 구비되는 상수도 배관(13)과 연통되는 임의용량의 물통(14);
본체(12)의 내부에 형성되고, 분말형태의 미생물배양균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개의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15)(a,b,c,d);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15)의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고, 제1,2선택버튼(10a,10b) 조작에 따라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15)(a,b,c,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말함)로부터 배출되는 임의량(일 예로서, 500㎖, 1ℓ, 1.5ℓ, 1.8ℓ, 2ℓ가 사용될 수 있음)과 선택된 종류의 미생물배양균과, 선택된 미생물배양균 량과 미리 설정된 혼합비율이 맞도록 내부의 통상적인 히터(미 도시) 또는 전열선(미 도시)에 의해 물통(14)에서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저장통(16)으로부터 공급되는 임의온도(일 예로서, 20∼30℃를 말함)의 온수를 내부의 통상적인 믹싱볼(미 도시)에 의해 혼합하여 희석시키기 위한 혼합기(17)(a',b',c',d');
사용자에 의해 본체(12)의 수납구(18)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고, 혼합기(17)에서 온수에 의해 희석되어 승강가능하게 형성되는 토출구(20)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의 미생물배양균을 수납구(18)를 통해 공급받기 위한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19)(일 예로서, 통상적인 플라스틱재 용기가 사용될 수 있음);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19)를 넘치거나(overflow), 깔때기 형태의 토출구(20)에 잔류되어 낙하됨에 따라 수납구(18) 바닥면의 트레이(21)(배수홈이 슬롯(slot) 형태로 반복하여 형성됨)를 통과하는 폐수를 집수(集水)하고, 집수되는 폐수 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일 예로서, 폐수 량을 측정하기 위한 눈금자(31), 또는 폐수 량이 미리 설정된 량에 도달될 경우 '배수통(22)을 비워주세요' 의 음성신호를 스피커(29)를 통해 발생하는 음성발생수단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이 내부에 구비되는 배수통(22);
본체(12)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음이온수 수조(38),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15)에 저장된 유용미생물을 공급 전후에 음이온수 수조(38)로부터 적정량의 음이온수를 혼합기(17), 혼합기(17)와 토출구(20)사이의 배관(39), 토출구(20)에 흘러 보내 수소이온 농도차에 의해 내부를 살균처리할 수 있음;
상수도 배관(13)의 개폐밸브(23), 온수저장통(16)의 히터(미 도시) 또는 전열선(미 도시)에 인가되는 전원(power) 온,오프, 제1,2선택버튼(10a) 조작에 의해 미생물배양균 배출유무를 표시하는 LED램프(24)의 점,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혼합기(17)와 토출구(20)사이의 배관(39), 토출구(20) 내부를 살균처리할 수 있도록 본체(12)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음이온수 수조(38)와,
토출구(20)를 자외선 조사(일 예로서, 1∼10초를 말함)에 의해 살균처리하기 위한 통상적인 UV LED램프(미 도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술한 음이온수 수조(38)에 음극 마그네틱(미 도시)을 설치하여 음전하(-)를 발생시킬 경우 pH 9 ∼ 14정도의 음이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15)에 저장된 유용미생물을 공급 전후에 음이온수 수조(38)로부터 미도시된 통상적인 펌프 등에 의해 적정량의 음이온수를 혼합기(17) 또는 배관(39), 토출구(20)에 흘러 보냄에 따라 수소이온 농도차에 의해 내부를 살균처리하여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음이온수 수조(38)에 형성되는 음극 마그네틱에 의해 음이온수를 생성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도어(11)의 외측면 상부 일측에 형성되고,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19)를 통해 공급받는 미생물배양균의 배양 및 사용 방법, 유용미생물과 관련되는 유익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LCD 표시창(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수납구(18) 내부 일측에 형성되고, 수납구(18)에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19)의 투입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제1검출센서(27);
본체(12)에 대해 도어(11)의 개폐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제2검출센서(28);를 구비하되, 본체(12)에 대해 개폐되는 도어(11) 열림이 제2검출센서(28)에 의해 검출될 경우 토출구(20)를 인체에 유해한 UV LED램프(미 도시)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살균처리하는 것을 멈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술한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19)를 수납구(18)에 투입시켜 트레이(21)의 정위치에 안착됨을 제1검출센서(27)에 의해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부(미 도시)에 전송함에 따라,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통상적인 구동부를 구동시킴에 의해 깔때기 형태의 토출구(20)를 하강시킴에 따라 혼합기(17)로부터 토출구(20)를 통과하는 미새물배양균을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19) 개구부에 흘리지않고 정확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이와 반면에, 전술한 혼합기(17)로부터 토출구(20)를 통과하는 미새물배양균이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19)에 채워질 경우, 통상적인 구동부 구동에 의해 토출구(20)를 상승시켜 초기위치로 복귀시킴에 따라 수납구(18)로부터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19)를 인출시 토출구(20)의 간섭을 받지않게 된다.
전술한 토출구(20)를 승강시키도록 구동모터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미 도시)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본체(12)에 대해 개폐되는 도어(11)의 열림이 제2검출센서(28)에 의해 검출될 경우, 토출구(20)를 인체에 유해한 통상적인 UV LED램프(미 도시)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토출구(20)를 살균처리하는 동작을 멈출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체(12) 앞면에 사각형태로 빙둘러 돌출형성되고, 빗물이 본체(12)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통로(37)를 형성하기 위한 돌출턱(36);
돌출턱(36)을 수용하도록 도어(11) 내측으로 연장형성되고, 본체(12)에 도어(11)를 닫을 경우 본체(12) 앞면에 밀착되어 본체(12)와 도어(11)의 상호밀착면 틈새를 통해 빗물 또는 이물질이 본체(12)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11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A)를 건물 외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본체(12)와 도어(11)의 상호 밀착면 틈새를 통해 빗물, 먼지, 곤충(벌레 등) 등의 이물질이 본체(12)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본체(12)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고정된 도어(11)를 닫을 경우, 빗물이 본체(12)와 도어(11)의 상호 밀착면 틈새에 의해 본체(12) 앞면을 따라 흘러내릴 경우에도 본체(12) 앞면에 사각형으로 빙둘러 형성된 돌출턱(36)에 의해 형성된 배수통로(37)를 따라 지면에 흘러내리게 되므로 빗물이 본체(12) 내부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체(12)에 도어(11)를 닫을 경우에, 돌출턱(36)을 수용하도록 도어(11) 안쪽으로 연장형성된 실링부(11a)가 본체(12) 앞면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본체(12) 앞면과 도어(11)의 실링부(11a)의 상호 밀착됨으로 인해 벌레 등의 이물질이 본체(12)와 도어(11)의 상호 밀착면 틈새를 통해 본체(12)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전술한 본체(12)의 앞면과 밀착되는 도어(11)의 실링부(11a) 내측면에 패킹(미 도시)을 부착시킬 경우 본체(12)와 도어(11)의 상호밀착면을 더욱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물통(14)은 사용자에 의해 통상적인 개폐밸브(23) 조작으로 인해 물을 보충할 수 있다. 또는 물통(14)에 내설된 통상적인 게이지 작동에 의해 물을 자동으로 보충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전술한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A)(실외에설치될 경우) 내부에 설치되는 물통(14), 펌프(미 도시), 각종 배관 또는 호스의 동파 또는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12) 내부에 단열재(미 도시)를 부착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부는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15;a,b,c,d)에 각각 저장되는 미생물배양균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수질 정화, 악취 저감, 유무기물 분해, 생육 촉진제, 또는 토양 개량제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임의비율로 혼합, 믹싱하여 최적의 미생물배양균을 혼합기(17)에 토출시킬 수 있도록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15)에 각각 형성되는 모터(미 도시)의 온,오프(on,off) 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어부는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15;a,b,c,d)에 각각 저장되는 미생물배양균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수질 정화, 악취 저감, 유무기물 분해, 생육 촉진제, 또는 토양 개량제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임의비율로 혼합, 믹싱하여 최적의 미생물배양균을 혼합기(17)에 토출시킬 수 있도록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15)의 배출구(도면부호 미 표기)에 각각 형성되는 솔레노이드밸브(미 도시)에 인가되는 전기적신호를 제어하여 개폐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술한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15)에 각각 형성되는 모터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하거나,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15)의 배출구에 각각 형성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시간을 제어함에 따라,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15)로부터 배출되는 미생물배양균 배출량을 임의설정량으로 제어하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30은 도어(11)에 형성되고, 미생물배양균 공급장치(A)가 정상적으로 작동중인 경우에는 '사용중' 문자를 표시하고, 미생물배양균 공급장치가 사용정지인 경우, 일 예로서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15)에 미생물배양균 없음', '물통(14)에 물 없음', '배수통(22)의 폐수(廢水) 넘침', '수납구(18)의 트레이(21)에 안착되는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19) 없음' 등의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유무 LCD 표시창이다.
이때, 전술한 수납구(18)의 트레이(21)의 배수홈을 배수관(미 도시)을 통해 직접 하수도관으로 이음연결할 경우에는 배수통(22) 사용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A)는 지자체(시청, 구청, 주민지원센터 등)의 공공장소, 또는 시골의 마을회관 등에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소비자를 말함)가 시간 또는 장소에 영향을 덜 받고 미생물배양균(EM)을 편리하게 즉석식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사용된다.
도 4의 S10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19)를 도어(11)의 수납구(18) 바닥면의 트레이(21)에 안착시킨다.
도 4의 S20에서와 같이, 전술한 도어(11)에 형성된 제1선택버튼(10a)(4개의선택버튼으로 이루어짐)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여 임의의 미생물배양균을 선택한다.
도 4의 S30에서와 같이, 전술한 도어(11)에 형성된 제2선택버튼(10b)(2개의선택버튼으로 이루어짐)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여 S20단계에서 선택된 종류의 미생물배양균의 배출 용량을 선택한다.
제2선택버튼(10b)은 일반 용량의 미생물배양균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과, 대용량의 미생물배양균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선택버튼(10b)의 터치에 의해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15)로부터 미생물배양균이 일반 용량, 또는 대용량으로 선택된 용량만큼 모두 배출될 때 까지 미생물배양균 배출유무를 표시하는 해당 LED램프(24)는 계속하여 점멸된다. 한편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15)로부터 미생물배양균이 선택된 용량만큼 모두 배출될 경우 해당 LED램프(24)는 소등된다.
도 4의 S40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1선택버튼(10a)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고, 제2선택버튼(10b)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함에 따라 선택된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15)로부터 선택된 종류의 미생물배양균이 임의량만큼 혼합기(17)에 배출된다.
또한, 혼합기(17)에 배출된 미생물배양균 량에 따라 미리 설정된 혼합비율을 유지하도록 온수저장통(16)으로부터 임의온도(20∼30℃)로 가열된 온수가 펌프(미 도시)에 의해 펌핑되어 혼합기(17)에 토출된다.
따라서, 혼합기(17)에 배출된 임의량의 미생물배양균과 물이 내부의 믹싱볼에 의해 혼합되어 희석된다.
도 4의 S50에서와 같이, 전술한 혼합기(17)에서 혼합, 희석된 미생물배양균은 수납구(18)의 트레이(21)(tray)에 안착된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19)에 배출된다.
도 4의 S60에서와 같이, 사용자(소비자를 말함)에 의해 미생물배양균이 채워진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19)를 본체(12)의 수납구(18)로부터 인출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A)는 배양조 용량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또한 고농도 분말형 미생물배양균을 공급받아 혼합 및 배양할 수 있어 배양시간을 종래의 배양시간에 비해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19)로부터 미리 설정된 량만큼 배출되는 미생물배양균과, 온수저장통(16)으로부터 토출되는 온수를 임의비율로 혼합 및 희석시켜 미생물배양균을 배양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 사상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a; 제1선택버튼
10b; 제2선택버튼
11; 도어
11a; 실링부
12; 본체
13; 상수도 배관
14; 물통
15;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
16; 온수저장통
17; 혼합기
18; 수납구
19;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
20; 토출구
21; 트레이(tray)
22; 배수통
23; 개폐밸브
24; LED램프
25; 시건장치
26; LCD 표시창
27; 제1검출센서
28; 제2검출센서
29; 스피커
30; 사용유무 LCD 표시창
31; 눈금자
32; 공기순환공
33; 후면판
34; 이음부재
35; 힌지핀
36; 돌출턱
37; 배수통로
38; 음이온수 수조
39; 배관

Claims (6)

  1. 사용자가 유용미생물의 종류와 배출 용량을 선택하여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1,2선택버튼이 형성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수도 배관과 연통되는 임의용량의 물통;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분말형태의 미생물배양균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개의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
    상기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의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2선택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임의량과 선택된 종류의 미생물배양균과, 선택된 미생물배양균 량(糧)과 설정된 혼합비율이 맞도록 상기 물통에서 급수되는 물을 히터 또는 전열선에 의해 가열하는 온수저장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임의온도의 온수를 내부의 믹싱볼에 의해 혼합하여 희석시키기 위한 혼합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본체의 수납구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혼합기에 의해 희석되어 승강가능하게 형성되는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의 미생물배양균을 상기 수납구를 통해 공급받기 위한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
    상기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를 넘치거나(overflow), 상기 토출구에 잔류되어 낙하됨에 따라 상기 수납구 바닥면의 트레이를 통과하는 폐수를 집수하고, 집수되는 폐수 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이 내부에 구비되는 배수통;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음이온수 수조, 상기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에 저장된 유용미생물을 공급 전후에 상기 음이온수 수조로부터 적정량의 음이온수를 상기 혼합기, 혼합기와 토출구사이의 배관, 상기 토출구에 흘러 보내 수소이온 농도차에 의해 내부를 살균처리할 수 있음;
    상기 상수도 배관의 개폐밸브, 상기 히터 또는 전열선에 인가되는 전원 온,오프, 상기 제1,2선택버튼 조작에 의해 미생물배양균 배출유무를 표시하는 LED램프의 점,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를 통해 공급받는 미생물배양균의 배양 및 사용 방법, 유용미생물과 관련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LCD 표시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구에 상기 미생물배양균 수거용기의 투입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제1검출센서;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도어의 개폐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제2검출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2검출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 열림이 검출될 경우 상기 토출구를 UV LED램프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살균처리하는 것을 멈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에 각각 저장되는 미생물배양균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수질 정화, 악취 저감, 유무기물 분해, 생육 촉진제, 또는 토양 개량제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임의비율로 혼합, 믹싱하여 최적의 미생물배양균을 상기 혼합기에 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에 각각 형성되는 모터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에 각각 저장되는 미생물배양균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수질 정화, 악취 저감, 유무기물 분해, 생육 촉진제, 또는 토양 개량제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임의비율로 혼합, 믹싱하여 최적의 미생물배양균을 상기 혼합기에 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미생물배양균 저장용기의 배출구에 각각 형성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앞면에 사각형태로 빙둘러 돌출형성되고, 빗물이 상기 본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돌출턱;
    상기 돌출턱을 수용하도록 상기 도어 내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상기 도어를 닫을 경우 상기 본체 앞면에 밀착되어 상기 본체와 도어의 상호밀착면 틈새를 통해 빗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본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
KR1020210151165A 2021-11-05 2021-11-05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 KR102558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165A KR102558967B1 (ko) 2021-11-05 2021-11-05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165A KR102558967B1 (ko) 2021-11-05 2021-11-05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159A KR20230066159A (ko) 2023-05-15
KR102558967B1 true KR102558967B1 (ko) 2023-07-26

Family

ID=8639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165A KR102558967B1 (ko) 2021-11-05 2021-11-05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9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770B1 (ko) * 2023-04-27 2023-12-01 홍종일 유용미생물배양액 공급 배관용 자외선살균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188B1 (ko) 1997-10-27 2001-01-15 배길성 자동판매기
KR102280185B1 (ko) 2019-06-17 2021-07-22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미생물 자동 배양 및 판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897Y1 (ko) * 1995-08-10 1998-12-15 이희종 자동판매기의 가스켓
JPH10232974A (ja) * 1997-02-20 1998-09-02 Fuji Electric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ミキシングボ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188B1 (ko) 1997-10-27 2001-01-15 배길성 자동판매기
KR102280185B1 (ko) 2019-06-17 2021-07-22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미생물 자동 배양 및 판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159A (ko) 202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2929B1 (en) Bioremediation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for human waste
KR102558967B1 (ko) 유용미생물 배양균 공급장치
CN103881929B (zh) 净化用复合菌和净化用复合益生菌制剂及制备方法
CN206196690U (zh) 一种植物藻、浮游动物和鱼类一体化培养设备
CN103755117A (zh) 一种生产沼气的方法及其曲线坑道式沼气池
US6087155A (en) On site microbial bioremedi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id system
CN110076177A (zh) 一种无臭餐厨垃圾收集储存设备
CN108086427A (zh) 泡沫封堵微生物降解环保厕所
US10981818B2 (en) Outdoor apparatus and methods to treat wastes, wastewater and contaminated water bodies
CN102424475A (zh) 一种具有双重生化功能的化粪池
CN2887856Y (zh) 一种地埋式无动力污水处理装置
JP5224799B2 (ja) 有機性排水処理の遠隔制御による循環型再生水利用方法
CN106698877A (zh) 一种用于公共厕所污染治理的方法
KR101856440B1 (ko) 이동식 화장실용 분뇨 발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
CN204079985U (zh) 一种微生物固体发酵系统
CN209537253U (zh) 一种厕所粪水或/和生活废水净化达标处理的改型化粪池
CN103497013B (zh) 受控密闭舱内废弃物发酵处理装置
CN207845239U (zh) 一种用于医疗废水处理的消毒池
CN107759017B (zh) 一种粪污处理工艺
KR200367951Y1 (ko) 유용미생물 배양기
JP2001019580A (ja) 有機廃棄物堆肥化処理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装置
CN110946488A (zh) 一种生物酶除臭降解智能无水厕所装置及方法
JP2000083648A (ja) 有用微生物群の増殖装置及び有用微生物群の増殖方法
CN104893977A (zh) 综合微生物的培养方法
CN209555000U (zh) 一种bms生物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