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807B1 -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807B1
KR102558807B1 KR1020210100689A KR20210100689A KR102558807B1 KR 102558807 B1 KR102558807 B1 KR 102558807B1 KR 1020210100689 A KR1020210100689 A KR 1020210100689A KR 20210100689 A KR20210100689 A KR 20210100689A KR 102558807 B1 KR102558807 B1 KR 102558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sound
layer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8772A (ko
Inventor
조성진
박창석
김정
Original Assignee
원풍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풍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풍물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807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32B5/26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13/01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형성된 표피층(1)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저융점 섬유(LMF), 중공사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형성된 흡음층(2)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저융점 섬유(LMF), 폴리프로필렌(PP)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형성된 차음층(3)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Vehicle Trunk Center Under Tray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 안쪽에 장착되어 공구키트가 수납되는 차량용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는 스페어 타이어가 수납되는 트레이다.
최근 국내 도로에서 언제 어디서나 긴급출동서비스 등을 부르기 쉬어지고, 스페어 타이어가 20kg 이상 무게가 나가는 탓에 자주 사용하지 않는 스페어 타이어를 장착함으로 인해 불필요한 연료가 소비되며, 스페어 타이어가 없으면 공간 활용성이 높아진다는 정점 등이 반영되어 긴급구조 키트가 들어가는 공구키트를 수납하는 공구박스로 변경되고 있다.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수납용 차량용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는 도 1과 같은 구성과 재질을 갖고 있다.
도 1의 종래의 차량용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는 표피층인 부직포(200g/m2), 차음중간층의 PP시트(1400g/m2), 이면층인 난연부직포(30g/m2), 흡음층인 스펀본드부직포+멜트블로우+스펀본드부직포의 3층구조(300g/m2)의 총 1930g/m2의 중량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차량용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는 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출 또는 압출품인 PP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차음성은 있으나,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를 우회하여 차량실내로 도달하는 소음에 대하여는 취약하여, PP 시트의 상부에 부직포의 표피층와 하부에 이면층인 난연부직포, 3층 구조의 흡읍층로 구성되어 있었다. 다시 설명하면, 흡음층, 차음층, 이면층, 흡음층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차량용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는 상기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중량이 무겁고, PP 시트로 인하여 취성이 높아 파손될 우려가 크며 스페어 타이어의 제거로 이격소음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차량용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는 트렁크 외부 소음, 노면 등으로부터 흘러들어오는 소음 및 진동 등을 감소시키는 역할이 동시에 요구되는 차량 부품이다.
본 출원인은 차음중간층을 PP시트(1400g/m2)에서 흡음층인 부직포로 변경하고, 종래의 이면층을 제거하여 경량성을 향상시키되, 형태유지를 위한 강성을 갖는 부직포 적층체를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451400호
본 발명은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장작되던 트렁크 구조에서 스페어 타이어를 제거하고, 공구 키트가 수납되는 공구박스형태로 변경되는 차량용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인 표피층(1)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저융점 섬유(LMF), 중공사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인 흡음층(2)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저융점 섬유(LMF), 폴리프로필렌(PP)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인 차음층(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에서, 상기 흡음층(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25 ~ 35중량부와 저융점 섬유(LMF) 15 ~ 25중량부 및 중공사 섬유 45 ~ 55중량부로 조성된 부직포이고, 차음층(3)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25 ~ 35중량부 및 저융점 섬유(LMF) 35 ~ 4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섬유 25 ~ 35 중량부로 조성된다.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에서 상기 표피층(1)은 면밀도 150 ~ 200g/m2 이고, 흡음층(2)은 면밀도 1000 ~ 1200g/m2 이고, 차음층(3)은 면밀도 180 ~ 220g/m2 이다.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에서 표피층(1)과 차음층(3)의 밀도는 흡음층(2)의 밀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밀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에서 상기 표피층(1)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는 3 ~ 6데니어이고, 상기 흡음층(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는 3 ~ 10데니어, 저융점 섬유(LMF)는 3 ~ 6데니어, 중공사 섬유는 3 ~ 10데니어이며, 차음층(3)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는 3 ~ 6데니어, 저융점 섬유(LMF)는 3 ~ 6데니어, 폴리프로필렌(PP) 섬유는 3 ~ 6데니어이다.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의 제조방법은,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를 면밀도 150 ~ 200g/m2 로 분산시켜 웹을 형성한 후, 니들펀칭하여 표피층(1)을 얻는 제 1 공정과, b)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25 ~ 35중량부와 저융점 섬유(LMF) 15 ~ 25중량부 및 중공사 섬유 45 ~ 55중량부를 면밀도 1000 ~ 1200g/m2 로 분산시켜 웹을 형성한 후, 니들펀칭하여 흡음층(2)을 얻는 제 2 공정 및, 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25 ~ 35중량부 및 저융점 섬유(LMF) 35 ~ 4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섬유 25 ~ 35 중량부를 면밀도 180 ~ 220g/m2 로 분산시켜 웹을 형성한 후, 니들펀칭하여 차음층(3)을 얻는 제 3 공정과, d) 제 1 공정에 얻어진 표피층과 제 2 공정에서 얻어진 흡음층(2)을 적층하여 니들펀니칭에 의해 합지하는 제 4 공정과, e) 제 4 공정에서 얻어진 표피층(1)과 대면하지 않는 흡음층(2)을 가열하여 제 3 공정에서 얻어진 차음층(3)과 결합하는 제 5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표피층(1)과 차음층(3)의 밀도는 흡음층(2)의 밀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밀도가 되도록 니들펀칭횟수가 많은 것을 특징으로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의 제조방법.
상기 제 1 공정에서의 니들펀칭횟수가 니들펀칭횟수가 200 ~ 300 PPSC(Punching Per Square cm)범위이고, 제 2 공정에서의 니들펀칭횟수가 100 ~ 200 PPSC(Punching Per Square cm)범위이고, 제 3 공정에서의 니들펀칭횟수가 200 ~ 300 PPSC(Punching Per Square cm)범위에서 제조된다.
상기 흡음층(2)과 차음층(3)의 구성성분인 저융점 섬유(LMF)는 용융온도는 130 ~ 180℃의 용융온도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이다.
상기 흡음층(2)을 형성하는 상기 흡음층(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는 3 ~ 10데니어, 저융점 섬유(LMF)는 3 ~ 6데니어, 중공사 섬유는 3 ~ 10데니어이며, 섬유장은 각각 51 ~ 64㎜의 섬유를 카딩, 웹형성 및 웹결합에 의해 제조된 것이고, 웹결합은 니들펀칭에 의한 웹결합이 바람직하며 표면이 부드러운 질감을 나타내는 벨루어 타입(velour-type)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은 표피층의 고밀도부직포, 흡음층의 저밀도부직포, 차음층의 고밀도보직포를 순차적으로 결합시켜 종래 의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보다 20% 이상 경량화시키고, 흡음성능과 차음성능은 동등한 수준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고, 표피층과 흡은층을 1회의 니들펀칭으로 합지하고, 이후 합지된 표피층과 흡음층과 차음층을 1회의 가열 접합만으로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어 제조공정이 단순화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적층체의 다층구조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위치를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실물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의 다층구조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시험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으며, 아래 기재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의 다층구조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개시된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인 표피층(1)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저융점 섬유(LMF), 중공사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이 흡음층(2)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저융점 섬유(LMF), 폴리프로필렌(PP)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인 차음층(3)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에서, 상기 흡음층(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25 ~ 35중량부와 저융점 섬유(LMF) 15 ~ 25중량부 및 중공사 섬유 45 ~ 55중량부로 조성된 부직포이다.
흡음층(2)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는 기재로서의 기능, 중공사 섬유는 흡음기능을 갖고, 저융점 섬유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130 ~ 180℃ 에서 용융되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와 중공사 섬유 사이를 액상으로 스며들어 결합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흡음층(2)에서 중공사 섬유는 45 ~ 55중량부 포함시 종래의 흡음성능과 동등의 흡음성능을 갖을 수 있다.
차음층(3)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25 ~ 35중량부 및 저융점 섬유(LMF) 35 ~ 4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섬유 25 ~ 35 중량부로 조성된 부직포이다.
차음층(3)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는 기재로서의 기능, 폴리프로필렌(PP) 섬유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적층체를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는 딥 드로윙 과정에서 큰 굴곡으로 변형시 유동성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저융점 섬유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130 ~ 180℃ 에서 용융되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와 폴리프로필렌(PP) 섬유 사이를 액상으로 스며들어 결합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차음층(3)에서 상대적으로 저융점 섬유가 많이 포함되는 것은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저융점 섬유가 용융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와 폴리프로필렌(PP) 섬유 사이를 견고하게 결합하고, 흡음층(2) 보다는 상대적으로 저융점 섬유가 많이 포함되어 용융되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와 폴리프로필렌(PP) 섬유 사이의 기공을 용융된 저융점 섬유가 채워서 차음층(3)을 전체적으로 치밀하게 하여 차음기능이 강화된다.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에서 상기 표피층(1)은 면밀도 150 ~ 200g/m2 이고, 흡음층(2)은 면밀도 1000 ~ 1200g/m2 이고, 차음층(3)은 면밀도 180 ~ 220g/m2 이다.
종래 기술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가 1930g/m2의인 반면, 본 발명에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는 1330 ~ 1620g/m2의 면밀도를 갖어 종래기술의 적층체보다 68 ~ 84%의 중량으로 경량화된다.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에서 상기 표피층(1)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는 3 ~ 6데니어이고, 상기 흡음층(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는 3 ~ 10데니어, 저융점 섬유(LMF)는 3 ~ 6데니어, 중공사 섬유는 3 ~ 10데니어이며, 차음층(3)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는 3 ~ 6데니어, 저융점 섬유(LMF)는 3 ~ 6데니어, 폴리프로필렌(PP) 섬유는 3 ~ 6데니어이다.
흡음층(2)의 기재역할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는 3 ~ 10데니어이고, 흡음역할의 중공사 섬유는 3 ~ 10데니어인 반면, 저융점 섬유(LMF)는 3 ~ 6데니어인데 이는 섬유 직경인 데니어가 크면 섬유 사이의 간극이 커져 기공이 만아여 흡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고, 저융점 섬유(LMF)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와 중공사 섬유 사이에 침투하여 결합시키는 기능을 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인 3 ~ 6데니어의 섬유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의 제조방법은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를 면밀도 150 ~ 200g/m2 로 분산시켜 웹을 형성한 후, 니들펀칭횟수가 200 ~ 300 PPSC(Punching Per Square cm)범위로 니들펀칭하여 표피층(1)을 얻는 제 1 공정과, b)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25 ~ 35중량부와 저융점 섬유(LMF) 15 ~ 25중량부 및 중공사 섬유 45 ~ 55중량부를 면밀도 1000 ~ 1200g/m2 로 분산시켜 웹을 형성한 후, 니들펀칭횟수가 100 ~ 200 PPSC(Punching Per Square cm)범위로 니들펀칭하여 흡음층(2)을 얻는 제 2 공정 및, 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25 ~ 35중량부 및 저융점 섬유(LMF) 35 ~ 4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섬유 25 ~ 35 중량부를 면밀도 180 ~ 220g/m2 로 분산시켜 웹을 형성한 후, 니들펀칭횟수가 200 ~ 300 PPSC(Punching Per Square cm)범위로 니들펀칭하여 차음층(3)을 얻는 제 3 공정과, d) 제 1 공정에 얻어진 표피층과 제 2 공정에서 얻어진 흡음층(2)을 적층하여 니들펀니칭에 의해 합지하는 제 4 공정과, e) 제 4 공정에서 얻어진 표피층(1)과 대면하지 않는 흡음층(2)을 가열하여 제 3 공정에서 얻어진 차음층과 결합하는 제 5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에서 표피층은 트렁크 내부에 노출되는 부분으로 공구키트가 접촉하여 찍힘이 없어야 하므로, 소정의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1차적으로 발생된 소리를 차단시키는 차음 기능 또한 갖는다. 따라서 부직포제조시 상대적으로 고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피층(1)을 얻는 제 1 공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를 면밀도 150 ~ 200g/m2 로 분산시켜 웹을 형성한 후, 니들펀칭횟수가 200 ~ 300 PPSC(Punching Per Square cm)범위로 니들펀칭된 부직포인데, 이는 1 cm2당 니들펀칭회수로 니들펀칭회수가 증가면, 상대적으로 동일한 면밀도에서도 두께가 얇아지면 더 단단해지고, 강성이 증가하면서 고밀도 부직포를 얻게 된다. 바람직하기는 니들펀칭횟수가 230 ~ 300 PPSC(Punching Per Square cm)범위이다.
흡음층(2)을 얻는 제 2 공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25 ~ 35중량부와 저융점 섬유(LMF) 15 ~ 25중량부 및 중공사 섬유 45 ~ 55중량부를 면밀도 1000 ~ 1200g/m2 로 분산시켜 웹을 형성한 후, 니들펀칭횟수가 100 ~ 200 PPSC(Punching Per Square cm)범위로 니들펀칭하여 흡음층(2)을 저밀도 부직포를 얻는다. 흡음층(2)은 상기 표피층(1)과 같이 고밀도로 하게 되면, 차음성능은 우수해 지지만 상대적으로 흡음성능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흡음층(2)은 니들펀칭회수를 적게하여 저밀도 부직포를 제조하여야 하고, 이는 중공사 섬유를 포함하는 것과 함께 흡음층(2)의 흡음성능을 높이는데 중요한 점이다. 바람직하기는 니들펀칭횟수가 150 ~ 180 PPSC(Punching Per Square cm)범위이다.
상기 흡음층(2)을 형성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는 3 ~ 10데니어, 저융점 섬유(LMF)는 3 ~ 6데니어, 중공사 섬유는 3 ~ 10데니어이며, 섬유장은 각각 51 ~ 64㎜의 섬유를 카딩, 웹형성 및 웹결합에 의해 제조된 것이고, 웹결합은 니들펀칭에 의한 웹결합이 바람직하며 표면이 부드러운 질감을 나타내는 벨루어 타입(velour-type)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차음층(3)을 얻는 제 3 공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25 ~ 35중량부 및 저융점 섬유(LMF) 35 ~ 4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섬유 25 ~ 35 중량부를 면밀도 180 ~ 220g/m2 로 분산시켜 웹을 형성한 후, 니들펀칭횟수가 200 ~ 300 PPSC(Punching Per Square cm)범위로 니들펀칭하여 차음층(3)의 고밀도 부직포를 얻는다.
차음층(3)은 트렁크 하부의 리어플로워 측과 대면하여 외부 소음, 노면 등으로부터 흘러들어오는 소음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부직포제조시 상대적으로 고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층(3)을 니들펀칭회수를 높게하여 고밀도를 가져야 하고, 바람직하기는 니들펀칭횟수가 230 ~ 300 PPSC(Punching Per Square cm)범위이다.
상기 흡음층(2)과 차음층(3)의 구성성분인 저융점 섬유(LMF)는 130 ~ 180℃의 용융온도를 갖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이다.
상기 제 1 공정과 제 2 공정에서 각각 제조된 표피층(1), 흡음층(2)을 적층하여 니들펀칭하여 합지하여 제 4 공정을 수행한다. 이때의 니들펀칭횟수는 수십 PPSC(Punching Per Square cm)범위이고, 바람직하기는 20 ~ 40 PPSC(Punching Per Square cm)범위이다.
상기 제 4 공정에서 표피층(1), 흡음층(2) 순으로 합지된 후, 표피층(1)과 대면하지 않는 흡음층(2)에는 벨루어 타입(velour-type)의 기모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모를 가열하면서 차음층(3)을 결합하여 적층함으로써,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는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에 비하여 중량을 16 ~ 32% 감소시키되, 흡음성능을 향상시키는 저밀도 흡음층(2)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종전의 PP 시트와 동등한 강도와 차음성능을 갖는 표피층(1)과 차음층(3)을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1>
아래 [표 1]에 나타낸 조성 및 비율에 따라 각각의 층에 따른 소재를 준비하고, 위 기재한 본 발명의 제조공정에 의해 위로부터 표피층(1)/흡음층(2)/차음층(3)으로 순차 적층된 다층구조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S)를 제조하였다.
구분 조성성분 비율 비고
표피층(1) PET섬유 100중량부 PET섬유 섬도 3~6데니어, 길이 51~64로 제 조된 면밀도 180g/m2 고밀도부직포

흡음층(2)
PET섬유 30중량부
PET섬유 및 중공사섬유 섬도 3~10데니어, 길이 51~64㎜,
저융점섬유 4-6데어어 51~64㎜로 제조된 벨루어 타입 면밀도 1000g/m2 저밀도부직포
저융점섬유 20중량부
중공사섬유 50중량부
차음층(3) PET섬유 30중량부 PET섬유 및 PP섬유 섬도 3~6데니어,
길이 51~64㎜,
저융점섬유 4-6데어어 51~64㎜로 제조된 면밀도 200g/m2 고밀도부직포
저융점섬유 40중량부
PP섬유 30중량부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다층구조의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S) 원단을 230℃에서 가열한 후, 10℃의 온도로 냉각한 하부금형에 위치시키고, 100Kgf/㎠으로 가압하면서 70초를 유지한 다음 성형된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를 금형으로부터 추출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및 2>로부터 제조된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로부터 시편를 준비하고, 시편에 대하여 기계적 강도, 차음성(KS F 2814-2), 흡음율(MS 343-05 따라 감음계수로 평가하였으며, 500, 1000, 2000Hz에서의 평균값)에 대하여 시험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단위 시험결과 시험방법
중량 g/㎡ 1380

MS 343-05
인장강도(가로/세로방향) ㎏f/5㎝ 20.5/20.7
인열강도(가로/세로방향) ㎏f 8.1/11.5
내마모성 3
압축탄성율 % 43
시험항목 시험결과 비고


차음율
1,000Hz 15
KS F 2814-2
2,000Hz 21
3,150Hz 28
5,000Hz 32
흡음율 500, 1000, 2000Hz에서의 평균값 0.61 MS 343-05
상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난 바와같이 본 발명 따른 차량용 트렁트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편차가 비교적 작으며, 차음성이 주파수에 비례하여 수치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 차음성이 우수하고, 흡음률은 500, 1000, 2000Hz에서의 평균값이 높을수록 우수하므로 본 발명 따른 차량용 트렁트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의 흡,차음성도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표피층
2; 흡음층
3; 차음층

Claims (5)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이루어고 면밀도 150 ~ 200g/m2 인 부직포인 표피층(1)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25 ~ 35중량부와 저융점 섬유(LMF) 15 ~ 25중량부 및 중공사 섬유 45 ~ 55중량부로 이루어지고 면밀도 1000 ~ 1200g/m2 인 부직포인 흡음층(2)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25 ~ 35중량부 및 저융점 섬유(LMF) 35 ~ 4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섬유 25 ~ 35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면밀도 180 ~ 220g/m2 인 부직포인 차음층(3)으로 이루어지되, 표피층(1)과 차음층(3)의 밀도는 흡음층(2)의 밀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
  2. 삭제
  3. 삭제
  4.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를 면밀도 150 ~ 200g/m2 로 분산시켜 웹을 형성한 후, 니들펀칭하여 표피층(1)을 얻는 제 1 공정과,
    b)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25 ~ 35중량부와 저융점 섬유(LMF) 15 ~ 25중량부 및 중공사 섬유 45 ~ 55중량부를 면밀도 1000 ~ 1200g/m2 로 분산시켜 웹을 형성한 후, 니들펀칭하여 흡음층(2)을 얻는 제 2 공정 및,
    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25 ~ 35중량부 및 저융점 섬유(LMF) 35 ~ 4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섬유25 ~ 35 중량부를 면밀도 180 ~ 220g/m2 로 분산시켜 웹을 형성한 후, 니들펀칭하여 차음층(3)을 얻는 제 3 공정과,
    d) 제 1 공정에 얻어진 표피층과 제 2 공정에서 얻어진 흡음층(2)을 적층하여 니들펀칭에 의해 합지하는 제 4 공정과,
    e) 제 4 공정에서 얻어진 표피층(1)과 대면하지 않는 흡음층(2)을 가열하여 제 3 공정에서 얻어진 차음층(3)과 결합하는 제 5 공정을 포함하되,
    표피층(1)과 차음층(3)의 밀도는 흡음층(2)의 밀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밀도가 되도록 니들펀칭횟수가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210100689A 2021-07-30 2021-07-30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558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689A KR102558807B1 (ko) 2021-07-30 2021-07-30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689A KR102558807B1 (ko) 2021-07-30 2021-07-30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772A KR20230018772A (ko) 2023-02-07
KR102558807B1 true KR102558807B1 (ko) 2023-07-24

Family

ID=85253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689A KR102558807B1 (ko) 2021-07-30 2021-07-30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8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293B1 (ko) * 2014-06-16 2015-07-02 주식회사 금호 엔.티 Multi-function을 가지는 흡음 및 차음 특성이 우수한 부직포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55857B1 (ko) * 2014-03-31 2015-09-25 원풍물산주식회사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071A (ko) * 2000-11-20 2002-05-25 최광인 3차원 섬유구조의 폴리에스터 흡음재의 제조방법
KR100451400B1 (ko) 2002-03-23 2004-10-08 (주)휴인텍 흡음 및 차음 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2667A (ko) * 2019-12-26 2021-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흡음재, 폴리에스테르 흡음재가 적용된 성형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857B1 (ko) * 2014-03-31 2015-09-25 원풍물산주식회사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1533293B1 (ko) * 2014-06-16 2015-07-02 주식회사 금호 엔.티 Multi-function을 가지는 흡음 및 차음 특성이 우수한 부직포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772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2389B2 (en) Multi-density sound attenuating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5258585A (en) Insulating laminate
US7928025B2 (en) Nonwoven multilayered fibrous batts and multi-density molded articles made with same and processes of making thereof
KR100416100B1 (ko) 자동차용 흡차음재
KR100802677B1 (ko) 수직 배열 구조를 가진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JP2007161153A (ja) 自動車用成形敷設内装材
MXPA03007271A (es) Material laminar acustico termoformable.
KR20060045364A (ko) 자동차 내장 천정재용 적층부재
KR101874305B1 (ko) 차량용 플로워카페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130027A (ko) 흡음 성능이 향상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529869A (ja) 自動車用天井材
JP2020536766A (ja) 自動車用トリム部品のための低粘度ノイズ減衰材料
KR20200130304A (ko) 적층 흡음재
KR20200102448A (ko) 적층 흡음재
KR101992116B1 (ko) 타공필름과 합성수지 파우더를 갖는 다층구조의 차량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58807B1 (ko) 차량 트렁크 센터 언더 트레이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47882A (ko) 단일소재의 차량용 내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6349019B1 (ja) メルトブローン不織布及びその用途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102018644B1 (ko) 다층구조의 차량용 엔진커버 및 엔진커버의 제조방법
JP3342817B2 (ja) 遮音構造体
JP2020154216A (ja) 積層吸音材
KR20190073708A (ko) 다층구조의 차량용 엔진커버 및 엔진커버의 제조방법
US20220410525A1 (en) Layered sound-absorbing material
JP7328353B2 (ja) 多層吸音材
KR102388493B1 (ko) 전기자동차용 엔진룸 흡음패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