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616B1 -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616B1
KR102558616B1 KR1020180066261A KR20180066261A KR102558616B1 KR 102558616 B1 KR102558616 B1 KR 102558616B1 KR 1020180066261 A KR1020180066261 A KR 1020180066261A KR 20180066261 A KR20180066261 A KR 20180066261A KR 102558616 B1 KR102558616 B1 KR 102558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stretchab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598A (ko
Inventor
채기성
최원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61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및 장치,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에 구동 회로, 인쇄 회로 등이 본딩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기판의 일부분을 경화시키고 본딩을 수행함으로써, 신축성을 갖는 기판 상에서 본딩 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에서 경화된 영역이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의 신축성의 저하를 최소화하고 신축성의 균일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STRECHABLE DISPLAY PANEL, STRECH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 유기발광표시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에는 다수의 서브픽셀과 다수의 신호 라인이 배치되고, 이러한 서브픽셀과 신호 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구동 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최근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이러한 표시장치를 구부리거나 접거나 말 수 있는 플렉시블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나아가,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는 신축성을 갖는 기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기판 상에 서브픽셀과 각종 구동 회로 등이 배치됨에 따라 신축성을 가지면서 정상적인 영상 표시가 가능한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이나 장치 자체가 신축성을 가지면서 정상적인 영상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과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러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및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구동 회로의 배치가 용이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및 장치의 신축성을 극대화하며 최대한 균일하게 늘여지거나 줄여질 수 있는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플렉시블 기판과, 플렉시블 기판 상에 배치되고 플렉시블 기판보다 높은 신축성을 갖는 접착층과, 접착층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픽셀 영역과, 다수의 픽셀 영역으로 신호를 공급하는 다수의 신호 라인과, 다수의 신호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회로와, 접착층 상에서 다수의 픽셀 영역이 배치된 영역의 외측에 본딩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가 본딩된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기판의 부분과 접착층의 부분은 경화된 부분이거나 다른 부분보다 단단한 부분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는, 플렉시블 기판의 일 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플렉시블 인쇄 회로와, 플렉시블 기판의 타 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렉시블 인쇄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플렉시블 인쇄 회로가 배치된 제1 본딩 영역과 제2 플렉시블 인쇄 회로가 본딩된 제2 본딩 영역은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구동 회로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와 픽셀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플렉시블 인쇄 회로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구동 회로가 플렉시블 인쇄 회로와 픽셀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구동 회로가 배치된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기판의 부분과 접착층의 부분은 경화된 부분이거나 다른 부분보다 단단한 부분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플렉시블 기판과, 플렉시블 기판 상에 배치되고 플렉시블 기판보다 높은 신축성을 갖는 접착층과, 접착층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픽셀 영역과, 다수의 픽셀 영역으로 신호를 공급하는 다수의 신호 라인과, 다수의 신호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착층 상에 본딩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가 본딩된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기판의 부분과 접착층의 부분은 경화된 부분이거나 다른 부분보다 단단한 부분인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정된 면적을 갖는 다수의 픽셀 영역과 신축 가능한 다수의 신호 라인이 배치된 액티브 영역과, 액티브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논-액티브 영역과, 논-액티브 영역에 본딩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가 본딩된 논-액티브 영역의 부분은 경화된 부분이거나 다른 부분보다 단단한 부분인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상에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배치하는 단계와, 접착층 상에 픽셀 영역과 신호 라인을 배치하는 단계와, 플렉시블 기판과 접착층의 외곽 부분 중 일부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와, 접착층 상에서 광이 조사된 영역에 플렉시블 인쇄 회로를 본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플렉시블 기판 상에 신축되지 않는 픽셀 영역과 신축될 수 있는 신호 라인을 배치함으로써, 신축 가능하며 정상적인 영상 표시가 가능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플렉시블 기판에서 플렉시블 인쇄 회로나 구동 회로 등이 본딩되는 영역을 경화시킴으로써, 플렉시블 인쇄 회로 등의 부착이 용이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플렉시블 기판에서 경화된 영역을 분산시켜 배치하거나 대칭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신축성의 감소가 최소화되고 균일한 신축성을 가질 수 있는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에 구동 회로가 배치되는 구조의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에 배치된 서브픽셀의 회로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서브픽셀이 배치되는 영역과 구동 회로가 배치되는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서브픽셀이 배치되는 영역의 구조의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서브픽셀이 배치되는 영역과 구동 회로가 배치되는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과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서브픽셀이 배치되는 영역과 구동 회로가 배치되는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의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의 평면 구조 및 신축성의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2와 도 3은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에 포함된 구동 회로가 연결되는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게이트 라인(GL), 다수의 데이터 라인(DL) 및 다수의 서브픽셀(SP)이 배치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과,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서브픽셀(SP) 등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회로(120), 데이터 구동 회로(130) 및 컨트롤러(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는 신축 가능한 장치이므로,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의 주요 구성인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은 기본적으로 신축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신축성을 위해,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을 구성하는 기판은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기판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폴리디메일실록산(PDMS: Polydimethylsiloxane)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신축성을 위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모든 구성 요소들(예, 전극, 배선, 회로 소자 등)이 신축성이 있어도 되고, 일부의 구성 요소(예, 배선 등)만이 신축성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신축성을 위해, 기판 상에서 길게 배치되는 다수의 배선은, 필수적으로, 신축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신축 가능한 배선의 재질은, 일 예로, 실버나노파우더(AgNP) 또는 실버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 등에 러버(Rubber) 소재가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기판 상에 배치되는 모든 구성 요소들(예, 전극, 배선, 회로 소자 등) 중 신축성이 있는 구성 요소들이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신축성 정도(신축성 레벨)이 정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이 신축 가능하다는 것은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길이나 폭 등이 늘어나거나 짧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이 구부러지거나(Bendable, Flexible) 롤링할 수 있거나(Rollable) 접힐 수 있는(Foldable) 것을 의미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은 모든 위치나 모든 영역에서 신축성이 있을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특정 위치나 특정 영역에서만 신축성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은 모든 방향으로 신축성이 있을 수도 있고, 특정 방향으로만 신축성이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은 신축성의 정도가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특정 위치, 특정 영역 또는 특정 방향으로는 신축성의 정도가 다를 수도 있다.
이러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 및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이 배치될 수 있으며,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이 교차하는 영역에 다수의 서브픽셀(SP)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는,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 등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회로(120), 데이터 구동 회로(130)와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40)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120)는,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 신호를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120)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여기서, 게이트 구동 회로(120)는 '스캔 드라이버'라고도 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120)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 회로(GDIC: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 회로(GDIC)는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레벨 쉬프터(Level Shif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120)는,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일 측(예, 좌측 또는 우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 방식, 패널 설계 방식 등에 따라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양측(예, 좌측과 우측)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120)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 또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 등으로 구현되어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 게이트 인 패널(GIP: Gate In Panel) 방식으로 구현되어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 실장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회로(130)는, 게이트 구동 회로(120)에 의해 특정 게이트 라인(GL)이 열리면, 컨트롤러(14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으로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 회로(130)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한다. 여기서, 데이터 구동 회로(130)는 '소스 드라이버'라고도 한다.
데이터 구동 회로(130)는, 하나 이상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 회로(SDIC: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 회로(SDIC)는,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래치 회로(Latch Circuit),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출력 버퍼(Output 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 회로(SDIC)는, 경우에 따라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회로(130)는,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일 측(예, 상측 또는 하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 방식, 패널 설계 방식 등에 따라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양측(예, 상측과 하측)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데이터 구동 회로(130)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 또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 등으로 구현되어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동 회로(130)는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논-액티브 영역(N/A)에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논-액티브 영역(N/A)에 본딩된 플렉시블 인쇄 회로(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플렉시블 인쇄 회로(150)를 통해 컨트롤러(14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동 회로(130)는 논-액티브 영역(N/A)에 본딩된 필름(160) 상에 배치되어 칩 온 필름(COF)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필름(160) 상에 배치되는 필름 온 필름(170)을 통해 컨트롤러(14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구동 회로(130)를 필름(160) 상에 배치함으로써, 논-액티브 영역(N/A)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컨트롤러(140)는, 통상의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이용되는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이거나,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다른 제어 기능도 더 수행하는 제어 장치일 수 있으며, MCU(Micro Control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디바이스, 프로세서(Process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구동 회로(130)와 별도의 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데이터 구동 회로(130)와 함께 집적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구동 회로(130) 및 게이트 구동 회로(120)를 제어하기 위하여, 데이터 구동 회로(130) 및 게이트 구동 회로(120)로 각종 제어 신호(DCS, GCS)를 공급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가 게이트 구동 회로(120)를 제어하기 위해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 타이밍 제어 신호(GCS)는, 일 예로,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Gate Shift Clock),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Gat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게이트 구동 동작 스타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은 게이트 구동 회로(120)에 입력되는 클럭 신호로서, 스캔 신호(게이트 펄스)의 쉬프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는 게이트 구동 회로(120)의 구동 타이밍 정보를 지정하고 있다.
컨트롤러(140)가 데이터 구동 회로(130)를 제어하기 위해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 타이밍 제어 신호(DCS)는, 일 예로, 소스 스타트 펄스(SSP: Source Start Pulse), 소스 샘플링 클럭(SSC: Source Sampling Clock),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 Sourc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 구동 회로(130)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데이터 구동 회로(130)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 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는 데이터 구동 회로(13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4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 회로(13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Data)를 출력하고,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통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는, 벤더블 표시장치(Bendable Display Device), 플렉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롤러블 표시장치(Rollable Display Device) 또는 폴더블 표시장치(Foldable Display Device) 등을 의미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은, 벤더블 표시패널(Bendable Display Panel), 플렉시블 표시패널(Flexible Display Panel), 롤러블 표시패널(Rollable Display Panel) 또는 폴더블 표시패널(Foldable Display Panel) 등을 의미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는 액정표시장치, 유기발광표시장치 등의 다양한 타입의 표시장치일 수 있으며,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도 액정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패널 등의 다양한 타입의 표시패널일 수 있다.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각 서브픽셀(SP)은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회로 소자의 종류 및 개수는 패널 타입(예, LCD, OLED 등), 제공 기능 및 설계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에 배치된 서브픽셀(SP)의 회로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가 유기발광표시장치인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다수의 서브픽셀(SP) 각각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트랜지스터(DRT)와,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게이트 노드인 제1 노드(N1)에 데이터 전압(Vdata)을 전달해주기 위한 제1 트랜지스터(T1)와, 한 프레임 기간 동안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제1 전극, 유기발광층 및 제2 전극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은 애노드 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은 캐소드 전압(EVSS)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1 전극은 캐소드 전극이고, 제2 전극은 애노드 전극일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RT)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제1 전극과 구동 전압 라인(DVL)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RT)에서, 제1 노드(N1)는 게이트 노드로서, 제1 트랜지스터(T1)의 소스 노드 또는 드레인 노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데이터 전압(Vdata)이 인가될 수 있다. 제2 노드(N2)는 소스 노드 또는 드레인 노드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제1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노드(N3)는 구동 전압 라인(DVL)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 라인(GL)을 통해 공급된 제1 스캔 신호(SCAN1)에 의해 제어되며,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와 데이터 라인(DL)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턴-온 되어, 데이터 라인(DL)에 공급된 데이터 전압(Vdata)을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게이트 노드인 제1 노드(N1)에 인가해줄 수 있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다수의 배선은 데이터 라인(DL), 구동 전압 라인(DVL) 및 게이트 라인(G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라인(DL), 구동 전압 라인(DVL) 및 게이트 라인(GL) 등 중 한 종류 이상은 신축 가능한 배선일 수 있다.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서의 각 서브픽셀(SP)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트랜지스터(DRT, T1)와, 1개의 캐패시터(Cst)를 포함하는 2T(Transistor)1C(Capacitor)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서의 각 서브픽셀(SP)은, 1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1개 이상의 캐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브픽셀(SP)은, 제2 스캔 신호(SCAN2)에 의해 제어되며,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2 노드(N2)와 기준 전압 라인(RVL)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T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3개의 트랜지스터(DRT, T1, T2)와 1개의 캐패시터(Cst)를 포함하는 3T1C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스캔 신호(SCAN1) 및 제2 스캔 신호(SCAN2)는 서로 다른 게이트 라인(GL)에 의해 전달될 수도 있고, 동일한 게이트 라인(GL)에 의해 전달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준 전압 라인(RVL)은 기준 전압(Vref)을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2 노드(N2)에 전달해주는 배선으로서, 데이터 라인(DL), 구동 전압 라인(DVL) 등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압 라인(RVL)은 1개의 서브픽셀(SP) 열마다 배치될 수도 있으나, 2개 또는 4개의 서브픽셀(SP) 열마다 1개씩 배치될 수도 있다. 즉, 1개의 기준 전압 라인(RVL)은 기준 전압(Vref)을 둘 이상의 서브픽셀(SP)로 함께 공급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서브픽셀(SP)의 회로 구조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발광 소자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아닌 발광다이오드(LED)나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μLED)가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브픽셀(SP)에 배치된 회로 소자, 발광 소자와 배선 등은 신축되는 성질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이 신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신축된 상태에서 정상적인 영상 표시가 가능하도록 소자와 배선의 신축성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에서 서브픽셀(SP)이 배치되는 영역과 구동 회로가 배치되는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는, 플렉시블 기판(200)과, 플렉시블 기판(200) 상에 배치된 접착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층(300) 상에 회로 소자와 발광 소자 등이 배치되는 다수의 픽셀 영역(P/A)과 픽셀 영역(P/A)으로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라인(SL)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픽셀 영역(P/A)은 하나의 서브픽셀(SP)과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접착층(300) 상에서 픽셀 영역(P/A)의 외측에 구동 회로가 본딩될 수 있으며, 도 6은 데이터 구동 회로(130)와 플렉시블 인쇄 회로(150)가 본딩된 구조를 예시로 나타낸다.
플렉시블 기판(200)은 연성을 가지면서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의 형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어야 하므로, 폴리우레탄, 실리콘 계열의 러버 소재 등과 같이 탄성률이 낮으면서 신축성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접착층(300)은 플렉시블 기판(200)과 픽셀 영역(P/A) 간의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 기판(200)보다 높은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접착층(300)은 우레탄 계열, 우레탄과 에폭시를 혼합한 계열, 실리콘 계열, 실리콘에 에폭시를 혼합한 계열이나 이러한 소재에 나노 입자와 같은 무기 소재를 혼합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층(300) 상에서 액티브 영역(A/A)에 해당하는 영역에는 다수의 픽셀 영역(P/A)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픽셀 영역(P/A)으로 신호를 공급하는 다수의 신호 라인(SL)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라인(SL)은 게이트 라인(GL), 데이터 라인(DL), 구동 전압 라인(DVL), 기준 전압 라인(RVL)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300)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픽셀 영역(P/A)은 회로 소자와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신축되지 않는 리지드(Rigid)한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신호 라인(SL)은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즉, 픽셀 영역(P/A)은 리지드한 영역으로서 고정된 면적을 가지며 신축되지 않고, 픽셀 영역(P/A)에 신호를 공급하며 픽셀 영역(P/A)의 사이에 배치된 신호 라인(SL)은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픽셀 영역(P/A) 사이의 간격은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 힘이 가해지면 픽셀 영역(P/A)은 고정되고, 신호 라인(SL)이 신축되어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00)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이 늘어나거나 줄어든 상태에서도 픽셀 영역(P/A)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각각의 픽셀 영역(P/A)이 영상 데이터에 따른 밝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은 원래 해상도를 유지하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픽셀 영역(P/A)의 크기와 픽셀 영역(P/A) 사이의 간격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신축성의 정도가 조정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에서 픽셀 영역(P/A)의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픽셀 영역(P/A)에 포함된 발광 소자가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μLED)인 경우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인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착층(300) 상에 배치된 픽셀 영역(P/A)에는 폴리이미드층(400)이 배치되고, 폴리이미드층(400) 상에 픽셀 영역(P/A)의 구동을 위한 회로 소자 등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층(50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층(500) 상에 발광 소자인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μLED)가 배치되고, 발광 소자 상에 전극층(6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픽셀 영역(P/A)은 리지드한 영역으로 구현되어,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이 늘어나거나 줄어들더라도 고정된 면적을 유지하며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신호 라인(SL)은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 구현되어,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신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접착층(300) 상에 배치된 픽셀 영역(P/A)에는 폴리이미드층(400), 박막트랜지스터층(500)이 배치되고, 발광 소자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상에 전극층(600)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보호하기 위한 봉지층(ENCAP)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배치되는 경우에도 픽셀 영역(P/A)은 리지드한 영역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라인(SL)은 신축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봉지층(ENCAP)도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 힘이 가해지면 픽셀 영역(P/A)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도록 하여 신축성을 제공하며, 픽셀 영역(P/A)은 고정된 면적을 유지하도록 하여 영상 품질을 유지하며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는,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기판(200), 접착층(300), 신호 라인(SL) 등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축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픽셀 영역(P/A)의 구동을 위해 픽셀 영역(P/A)의 외측에는 구동 회로나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 회로 등이 본딩되어야 하나, 기판 자체가 리지드하지 않으므로 구동 회로의 본딩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는, 플렉시블 기판(200) 등의 일부 영역을 리지드하게 구현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 구동 회로를 용이하게 배치하고 구동 회로의 배열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에서 서브픽셀(SP)이 배치되는 영역과 구동 회로가 배치되는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는 플렉시블 기판(200)과, 플렉시블 기판(200) 상에 배치되며 플렉시블 기판(200)보다 높은 신축성을 갖는 접착층(3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접착층(300) 상에 리지드한 픽셀 영역(P/A)과 신축 가능한 신호 라인(SL)이 배치된다. 또한, 픽셀 영역(P/A)의 외측, 즉, 논-액티브 영역(N/A)에 구동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논-액티브 영역(N/A)에 구동 회로 중 데이터 구동 회로(130)가 배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데이터 구동 회로(130)가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배치된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논-액티브 영역(N/A)에 배치된 데이터 구동 회로(130), 그리고 데이터 구동 회로(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렉시블 인쇄 회로(150) 등은 본딩되어 접착층(3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플렉시블 기판(200)과 접착층(300)이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데이터 구동 회로(130) 등의 본딩 과정에서 데이터 구동 회로(130) 등의 배열이 틀어져 데이터 패드 등과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는 신축성을 갖는 플렉시블 기판(200)과 접착층(300)에서 데이터 구동 회로(130), 플렉시블 인쇄 회로(150) 등이 본딩되는 영역에 한정하여 리지드한 영역이 포함되도록 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예시에서, A 영역(Area A)은 플렉시블 기판(200)과 접착층(300)의 신축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B 영역(Area B)은 플렉시블 기판(200)과 접착층(300)이 리지드한 성질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리지드한 B 영역(Area B) 상에 데이터 구동 회로(130)와 플렉시블 인쇄 회로(150) 등을 본딩함으로써, 본딩 과정에서 데이터 구동 회로(130) 등의 배열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기판(200)과 접착층(300)의 B 영역(Area B)은 해당 영역에만 무기물을 함유시키거나, 리지드한 폴리머를 사용하여 리지드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플렉시블 기판(200)과 접착층(300)에서 본딩이 이루어지는 일부 영역에 리지드한 성질을 갖는 재료를 포함시킴으로써, 리지드한 영역을 구현하여 데이터 구동 회로(130) 등의 본딩 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플렉시블 기판(200)과 접착층(300)의 일부 영역만 경화시키는 공정을 통해 리지드한 B 영역(Area B)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0a와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를 구현하는 과정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기판(200)과 접착층(300) 등에 광개시제를 함유하고 마스크(Mask)를 이용하여 B 영역(Area B)만 노출시킨 상태에서 UV를 조사한다. 이와 같이, 광개시제가 함유된 B 영역(Area B)이 UV에 조사됨으로써, B 영역(Area B)이 경화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기판(200)과 접착층(300)에서 B 영역(Area B)이 경화된 상태에서, 데이터 구동 회로(130)와 플렉시블 인쇄 회로(150) 등을 본딩시킨다. B 영역(Area B)은 경화되어 리지드한 상태이므로, 데이터 구동 회로(130) 등을 본딩시키는 과정에서 데이터 구동 회로(130) 등의 배열이 틀어지지 않고 정확한 본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는, 신축성을 갖는 플렉시블 기판(200)과 접착층(300)에서 본딩 영역을 리지드한 재료로 구현하거나, 경화시킴으로써, 구동 회로 등의 본딩 과정에서 구동 회로의 배열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시에서 데이터 구동 회로(130)가 본딩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고 있으나, 게이트 구동 회로(120)나 기타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 상에 본딩되는 인쇄 회로 등이 본딩되는 영역도 리지드하게 구현함으로써 본딩 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플렉시블 기판(200)과 접착층(300)에서 본딩 영역을 리지드하게 구현함으로써, 구동 회로 등의 본딩 결함을 방지할 수 있으나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이 신축되는 영역이 감소되거나 신축되는 특성이 불균일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는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서 리지드한 영역이 대칭적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신축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본딩 결함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에서 서브픽셀(SP)이 배치되는 영역과 구동 회로가 배치되는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는, 플렉시블 기판(200)과 접착층(300)을 포함하고, 접착층(300) 상에 리지드한 픽셀 영역(P/A)과 신축성을 갖는 신호 라인(SL)이 배치된다. 그리고, 픽셀 영역(P/A)의 외측에 구동 회로 등이 본딩될 수 있다.
여기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00)의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데이터 구동 회로(131), 제1 플렉시블 인쇄 회로(151)가 배치되고, 타 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2 데이터 구동 회로(132), 제2 플렉시블 인쇄 회로(15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데이터 구동 회로(131), 제1 플렉시블 인쇄 회로(151)가 본딩되는 B 영역(Area B)은 리지드한 재료를 함유하거나 경화되어 리지드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2 데이터 구동 회로(132), 제2 플렉시블 인쇄 회로(152)가 본딩되는 C 영역(Area C)도 리지드한 재료를 함유하거나 경화되어 리지드한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서 B 영역(Area B)과 C 영역(Area C)은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즉,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서 구동 회로 등의 본딩을 위해 일부 영역을 리지드한 영역으로 구현하되, 리지드한 영역이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리지드한 영역으로 인해 신축성의 균일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회로를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양측에 배치하고 대칭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구동 회로가 일 측에만 배치되는 구조에 비하여,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서 리지드한 본딩 영역의 너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이 리지드한 영역을 일부 포함하더라도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신축성이 저하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의 평면 구조의 예시 및 해당 구조에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이 나타내는 신축성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양측에 데이터 구동 회로(130)와 플렉시블 인쇄 회로(150)가 본딩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데이터 구동 회로(130)가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배치된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상측에 제1 데이터 구동 회로(131)와 제1 플렉시블 인쇄 회로(151)가 본딩되므로, B 영역(Area B)은 리지드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하측에 제2 데이터 구동 회로(132)와 제2 플렉시블 인쇄 회로(152)가 본딩되므로, C 영역(Area C)도 리지드한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B 영역(Area B)과 C 영역(Area C)의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은 리지드한 B 영역(Area B)와 C 영역(Area C)의 영향으로 인해 신축되는 특성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B 영역(Area B)과 C 영역(Area C)이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신축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B 영역(Area B)과 C 영역(Area C)의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은 어느 한 방향으로 신축되는 정도가 감소될 수 있으나, 이를 제외한 영역에서는 모든 방향으로 신축되는 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B 영역(Area B)과 C 영역(Area C)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은 B 영역(Area B)과 C 영역(Area C)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 수직인 방향(예, 가로 방향)으로 신축되는 정도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방향(예, 세로 방향을 포함하며 가로 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신축되는 정도는 유지될 수 있다.
또한, B 영역(Area B)과 C 영역(Area C)의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리지드한 영역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모든 방향으로의 신축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일부 리지드한 영역을 포함하여 구동 회로 등의 본딩 결함을 방지하면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신축성의 저하를 최소화하고 균일한 신축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예시는 구동 회로가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동 회로가 칩 온 필름(COF) 방식으로 구현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는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 배치되는 데이터 구동 회로(130)가 칩 온 필름(COF) 방식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상측에 제1 필름(161)이 본딩되고 제1 필름(161) 상에 제1 데이터 구동 회로(13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름(161) 상에는 제1 필름 온 필름(171)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데이터 구동 회로(131)는 제1 필름 온 필름(171)을 통해 컨트롤러(140) 등이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하측에 제2 필름(162)이 본딩되고 제2 필름(162) 상에 제2 데이터 구동 회로(132)가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데이터 구동 회로(132)는 제2 필름 온 필름(172)을 통해 인쇄 회로 기판(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필름(161)이 본딩된 B 영역(Area B)과 제2 필름(162)이 본딩된 C 영역(Area C)은 리지드한 영역일 수 있으며, B 영역(Area B)과 C 영역(Area C)은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은, 게이트 구동 회로(120)와 데이터 구동 회로(130) 등과 같은 구동 회로나, 플렉시블 인쇄 회로(150)와 필름(160) 등과 같은 인쇄 회로가 본딩되는 영역에 한정하여 리지드한 영역을 구성함으로써, 본딩에 의한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딩 영역이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리지드한 영역으로 인해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신축성의 정도나 균일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 데이터 구동 회로(130)가 칩 온 필름(COF) 방식으로 배치된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상측에 2개의 제1 데이터 구동 회로(131a, 131b)가 배치되고, 하측에 2개의 제2 데이터 구동 회로(132a, 132b)가 배치된 구조를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상측에서 제1 필름(161a, 161b)가 본딩되는 B 영역(Area B1, B2)은 리지드한 영역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하측에서 제2 필름(162a, 162b)이 본딩되는 C 영역(Area C1, C2)도 리지드한 영역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B 영역(Area B1, B2)과 C 영역(Area C1, C2)은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B 영역(Area B1, B2)과 C 영역(Area C1, C2)의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모든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질 수 있으며, B 영역(Area B1, B2)과 C 영역(Area C1, C2)의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은 일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데이터 구동 회로(130)가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서 구분된 영역을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본딩 영역의 너비가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14에 도시된 4개의 데이터 구동 회로(130)가 각각 가로 방향으로 구분된 4개의 영역을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데이터 구동 회로(130)와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DL)의 수를 감소시켜 본딩 영역의 너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에서 본딩 영역, 즉, 리지드한 영역의 너비를 감소시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신축성을 최대한 유지하며 본딩 과정에서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신축성을 갖는 기판 상에 리지드한 픽셀 영역(P/A)과 신축성을 갖는 신호 라인(SL)을 배치함으로써, 신축성을 제공하며 늘어나거나 줄어든 상태에서 정상적인 영상 표시가 가능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과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100)를 제공한다.
또한, 구동 회로나, 인쇄 회로가 본딩되는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판의 부분에 한정하여 경화된 영역을 구성함으로써, 신축성을 갖는 기판에 본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판에서 경화된 영역이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본딩 결함을 방지하면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110)의 신축성의 정도와 균일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110: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120: 게이트 구동 회로 130: 데이터 구동 회로
140: 컨트롤러 150: 플렉시블 인쇄 회로
160: 필름 170: 필름 온 필름
200: 플렉시블 기판 300: 접착층
400: 폴리이미드층 500: 박막트랜지스터층
600: 전극층

Claims (21)

  1. 플렉시블 기판;
    상기 플렉시블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보다 높은 신축성을 갖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픽셀 영역;
    상기 다수의 픽셀 영역으로 신호를 공급하는 다수의 신호 라인;
    상기 다수의 신호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회로; 및
    상기 접착층 상에서 상기 다수의 픽셀 영역이 배치된 영역의 외측에 본딩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가 본딩된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부분과 상기 접착층의 부분은 경화된 부분이거나 다른 부분보다 단단한 부분이고,
    상기 다수의 픽셀 영역은 고정된 면적을 갖고 상기 다수의 신호 라인은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일 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플렉시블 인쇄 회로와,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타 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렉시블 인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렉시블 인쇄 회로가 본딩된 제1 본딩 영역과 상기 제2 플렉시블 인쇄 회로가 본딩된 제2 본딩 영역은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 영역과 상기 제2 본딩 영역의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은 상기 플렉시블 기판과 수평한 방향 중 일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은 상기 제1 본딩 영역과 상기 제2 본딩 영역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 영역과 상기 제2 본딩 영역의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상기 플렉시블 기판과 수평한 방향 중 모든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영역의 면적은 고정되고, 상기 픽셀 영역 사이의 간격은 가변될 수 있는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회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와 상기 다수의 픽셀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회로가 배치된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부분과 상기 접착층의 부분은 경화된 부분이거나 다른 부분보다 단단한 부분인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회로는,
    상기 접착층 상에 본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 상에 배치된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9. 플렉시블 기판;
    상기 플렉시블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보다 높은 신축성을 갖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픽셀 영역;
    상기 다수의 픽셀 영역으로 신호를 공급하는 다수의 신호 라인; 및
    상기 다수의 신호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착층 상에 본딩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가 본딩된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부분과 상기 접착층의 부분은 경화된 부분이거나 다른 부분보다 단단한 부분이고,
    상기 다수의 픽셀 영역은 고정된 면적을 갖고 상기 다수의 신호 라인은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일 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플렉시블 인쇄 회로와,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타 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렉시블 인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렉시블 인쇄 회로가 본딩된 제1 본딩 영역과 상기 제2 플렉시블 인쇄 회로가 본딩된 제2 본딩 영역은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 영역과 상기 제2 본딩 영역의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은 상기 플렉시블 기판과 수평한 방향 중 일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은 상기 제1 본딩 영역과 상기 제2 본딩 영역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인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 영역과 상기 제2 본딩 영역의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상기 플렉시블 기판과 수평한 방향 중 모든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영역의 면적은 고정되고, 상기 픽셀 영역 사이의 간격은 가변될 수 있는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15. 고정된 면적을 갖는 다수의 픽셀 영역과 신축 가능한 다수의 신호 라인이 배치된 액티브 영역;
    상기 액티브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논-액티브 영역; 및
    상기 논-액티브 영역에 본딩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가 본딩된 상기 논-액티브 영역의 부분은 경화된 부분이거나 다른 부분보다 단단한 부분인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영역 및 상기 논-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가 본딩된 상기 논-액티브 영역의 부분을 제외한 영역은 신축 가능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는,
    상기 액티브 영역의 일 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플렉시블 인쇄 회로와, 상기 액티브 영역의 타 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렉시블 인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렉시블 인쇄 회로가 본딩된 제1 본딩 영역과 상기 제2 플렉시블 인쇄 회로가 본딩된 제2 본딩 영역은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 영역과 상기 제2 본딩 영역의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은 상기 액티브 영역과 수평한 방향 중 일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 영역과 상기 제2 본딩 영역의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상기 액티브 영역과 수평한 방향 중 모든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회로가 배치된 상기 논-액티브 영역의 부분은 경화된 부분이거나 다른 부분보다 단단한 부분인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21.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상에 상기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 상에 고정된 면적을 갖는 픽셀 영역과 신축 가능한 신호 라인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플렉시블 기판과 상기 접착층의 외곽 부분 중 일부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 상에서 상기 광이 조사된 영역에 플렉시블 인쇄 회로를 본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180066261A 2018-06-08 2018-06-08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58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261A KR102558616B1 (ko) 2018-06-08 2018-06-08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261A KR102558616B1 (ko) 2018-06-08 2018-06-08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598A KR20190139598A (ko) 2019-12-18
KR102558616B1 true KR102558616B1 (ko) 2023-07-24

Family

ID=6905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261A KR102558616B1 (ko) 2018-06-08 2018-06-08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6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9399B (zh) * 2020-07-21 2023-08-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拉伸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KR102454533B1 (ko) 2021-01-12 2022-10-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WO2024071545A1 (ko) * 2022-09-29 2024-04-04 한국기계연구원 비균일 화소밀도를 갖는 디스플레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9276A1 (zh) * 2016-09-29 2018-04-0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柔性折叠显示屏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763B1 (ko) * 2016-07-06 2023-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롤러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9276A1 (zh) * 2016-09-29 2018-04-0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柔性折叠显示屏及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598A (ko)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5932B2 (en) Display device
CN106932979B (zh) 阵列基板和包括其的显示装置
KR10257858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071455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146828B1 (ko) 표시장치
KR102558616B1 (ko) 신축 가능한 표시패널, 신축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370357B2 (ja) 表示装置
US9443463B2 (en) Display device with dummy lines for reducing a number of channels of a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
US9576520B2 (en) Display device with groove in a non-display are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50163942A1 (en) Active device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CN107886893B (zh) 显示装置
US6956548B2 (en) Display device
KR20160002511A (ko) 표시장치
US20180088387A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640799B2 (en) Display apparatus
KR102455584B1 (ko) Oled 표시패널과 이를 이용한 oled 표시 장치
US20130147775A1 (en) Display device
US11145680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0176779B2 (en) Display apparatus
US9711538B2 (en) Display device
EP4202906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circuit
KR102360171B1 (ko) 구동 드라이버
KR20090004424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EP1847986A2 (en) Display device
US11790853B2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