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765B1 - Method to produce a starting segment of an upper thread in a seam having a short target protrusion of the starting segment with respect to the seam as well as assembly provided to perform such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to produce a starting segment of an upper thread in a seam having a short target protrusion of the starting segment with respect to the seam as well as assembly provided to perform such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765B1
KR102557765B1 KR1020160155622A KR20160155622A KR102557765B1 KR 102557765 B1 KR102557765 B1 KR 102557765B1 KR 1020160155622 A KR1020160155622 A KR 1020160155622A KR 20160155622 A KR20160155622 A KR 20160155622A KR 102557765 B1 KR102557765 B1 KR 102557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thread
thread
sewing
catcher
s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60590A (en
Inventor
슐츠 플로리안
엔스 요한
브레더 프랑크
Original Assignee
뒤르콥 아들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뒤르콥 아들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뒤르콥 아들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6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5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765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9/00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최대 10mm의 목표-시임 폭을 갖는 시임-시작 윗실을 형성하기 위해, 먼저 윗실 영역은 재봉물(15)을 통하여 재봉물 상측으로부터 재봉물 하측으로 바늘을 이용해 이송된다. 이어서 윗실-시작 영역(13a) 전체가 재봉물 하측에 있기까지, 윗실-시작 영역(13a)이 루퍼(19)로 꺼내진다. 윗실-시작 영역(13a)은 윗실 캐처(40)에 의해 잡혀 안내된다. 이어서 윗실-시작 영역(13a)의 처리가 이루어져, 상기 시임 폭이 달성된다.In order to form a seaming-start upper thread having a target-seam width of up to 10 mm, first, the upper thread area is transferred through the sewing material 15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wing material to the lower side of the sewing material using a needle. Subsequently,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is taken out with the looper 19 until the entir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is below the sewing material. The upper thread-start area 13a is caught and guided by the upper thread catcher 40 . The upper thread-starting area 13a is then treated, so that the seam width is achieved.

Description

짧은 목표-시임 폭을 갖는 시임-시작 윗실의 형성 방법 및 이 방법의 실시를 위한 어셈블리{Method to produce a starting segment of an upper thread in a seam having a short target protrusion of the starting segment with respect to the seam as well as assembly provided to perform such method}A method of forming a seam-start upper thread having a short target-seam width and an assembly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s well as assembly provided to perform such method}

본 발명은 최대 10mm의 목표-시임 폭을 갖는 시임-시작 윗실(seam-starting upper thread)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어셈블리 및 이와 같은 종류의 어셈블리를 갖는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orming a seam-starting upper thread having a target-seam width of up to 10 mm.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assembly for carrying out such a method and a sewing machine having an assembly of this kind.

재봉기들은 EP 1 847 641 B1호, DE 102 34 251 C1호, DE 10 2006 019 193 A1호 및 DE 101 23 075 C1호에 공지되어 있다.Sewing machines are known from EP 1 847 641 B1, DE 102 34 251 C1, DE 10 2006 019 193 A1 and DE 101 23 075 C1.

본 발명의 과제는 희망하는 짧은 목표-시임 폭을 갖는 시임-시작 윗실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재봉물을 재봉할 때 재봉물의 측면으로부터 시작 실이 상기 재봉물의 가장자리를 넘어 돌출하는 것을 가능한 한 가장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obtaining a seaming-start upper thread having a desired short target-seam width. Using this method, when sewing a sew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most certainly prevent the protruding thread from the side of the sewing material beyond the edge of the sewing material.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제 1 항에 제시된 특징들을 포함하는 방법을 통해 해결된다.This problem is solv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a method comprising the features set out in claim 1 .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DE 102 34 251 C1호에 공지된 것처럼 시임 형성 초기에 윗실-시작 영역을 재봉물을 통해 아래로 당기는 것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오히려 또 희망하는 작은 목표-시임 폭이 달성되도록 아래로 당겨지는 윗실-시작 영역을 안내하고 처리하는 것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형성되는 목표-시임 폭은 최대 9mm가 될 수도 있고 최대 8mm가 될 수도 있고 최대 7mm가 될 수도 있고 그 보다 훨씬 더 작을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s known, for example from DE 102 34 251 C1, it is not only possible to pull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down through the sewing material at the beginning of seaming formation, but rather also to achieve a desired small target-seaming width. It can be seen that it is also possible to guide and process the upper thread-start area being pulled down. The resulting target-seam width may be at most 9 mm, at most 8 mm, at most 7 mm, or even smaller.

제 2 항에 따른 상기 윗실-시작 영역을 잘라내므로 직접적으로 목표-시임 윗실 폭이 작게 형성된다.Since the upper thread-start area according to claim 2 is cut off, the target-seam upper thread width is directly formed to be small.

제 3 항에 따른 윗실-시작 영역을 잡아 고정하므로써 보장되는 바는 제 1의 스티치의 실시 시에 시임의 형성 초기에 더 긴 윗실-시작 영역이 제어를 통해 상기 시임을 따라서 위치되는 것이고, 그런 경우 스티치 길이의 최대 길이를 갖는 윗실-시작 영역의 시작부는 상기 시임 위로 돌출하는 것이다. 이런 시임-시작 영역에서 최대 10mm의 스티치 길이가 보장된다면, 이는 자동적으로 상기 윗실의 희망하는 작은 목표-시임 폭의 달성을 가져온다. 상기 윗실-캐처 클램프는 윗실 캐처(upper thread catcher)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윗실 캐처는 동시에 상기 재봉기의 루퍼로서도 이용될 수 있으며, 스티치 형성 툴이 될 수도 있다. 그 대안으로, 한편으로 윗실 캐처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루퍼가 상이한 재봉기-요소들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윗실-캐처 클램프는 자신의 클램프 유닛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윗실-시작 영역은 윗실 캐처에 의해 제어를 통해 클램프 유닛 안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클램프 유닛은 윗실 캐처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클램프는 상기 재봉기의 경우 존재하는 2개 부품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사이에서 상기 윗실 시작 영역이 윗실 캐처를 통해 붙잡힌 후 목적한 대로 안내된다. 이런 클램프-부품들은 한편으로 밑실-보빈일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밑실-보빈 하우징일 수 있다.What is ensured by gripping and fixing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according to claim 3 is that the longer upper thread-start region is positioned along the seam through control at the beginning of the formation of the seam in the execution of the first stitch, in which case The beginning of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having the maximum length of the stitch length is that which projects above the seam. If a maximum stitch length of 10 mm is guaranteed in this seam-start region, this automatically results in achieving the desired small target-seam width of the upper thread. The upper thread catcher clamp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n upper thread catcher. The upper thread catcher can be used as a looper of the sewing machine at the same time, and can also be a stitch forming tool. Alternatively, the upper thread catcher on the one hand and the looper on the other hand may be different machine-elements. The upper thread-catcher clamp may be formed through its own clamp unit, and in this case, the upper thread-start area is passed into the clamp unit through control by the upper thread catcher. This type of clamp unit can be formed directly on the upper thread catcher. As an alternative to this, the clamp may be formed through two parts that exist in the case of the sewing machine, and between them, the upper thread starting area is caught through the upper thread catcher and then guided as desired. These clamp-parts can be bobbin bobbins on the one hand and bobbin housings on the other hand.

제 4 항에 따르면 윗실-가이드 클램프에 의해 상기 윗실-시작 영역의 길이를 설정하면 상기 윗실-시작 영역이 원하지 않게 너무 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윗실-가이드 클램프가 보장해주는 바는 상기 루퍼를 통해 실제로 윗실-시작 영역이 꺼내지고 윗실이 윗실 흐름으로부터 재봉 바늘과 윗실 서플라이(upper thread supply) 사이에서 뒤로 당겨진다.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length of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is set by the upper thread-guide clamp,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is prevented from becoming too long undesirably. In addition, the upper thread-guide clamp guarantees that the upper thread-start area is actually taken out through the looper and the upper thread is pulled back from the upper thread flow between the sewing needle and the upper thread supply.

제 5 항에 따른 더 작은 시작-스티치 길이, 예를 들어 짧은 하나의 시작 스티치, 2개의 짧은 시작 스티치 또는 3개의 짧은 시작 스티치를 통해 회피되는 것은 상기 윗실-시작 영역이 안내 및 처리 시에 원하지 않게 이송기와 함께 동반되는 것이며, 이는 원하는 바는 아니지만 상기 윗실이 상기 재봉물과 스티치 호울로부터 나오는 출구 사이에서 연장 경로를 갖는 것을 초래할 수도 있다.Avoided through smaller start-stitch lengths according to claim 5 , for example short one start stitch, two short start stitches or three short start stitches, the upper-start area is undesirable when guiding and processing. It is accompanied with the feeder, which, although not desired, may cause the upper thread to have an extension path between the sewing material and the exit from the stitch hole.

제 6 항에 따라 실 장력 장치를 통한 윗실 당김 또는 윗실 안내의 조정은 윗실 안내 및 처리의 조정가능한 설정을 보장하고, 이는 예를 들어 상이한 소재 품질 및/또는 상이한 실 품질들에 적응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실 장력 장치의 조정은 윗실-캐처 클램프의 실시 또는 작용에 의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실 장력 장치와 윗실-캐처 클램프 간 상호 작용이 최적화될 수 있다.The adjustment of upper thread pull or thread guide via the thread tens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6 ensures an adjustable setting of thread guide and treatment, which can be used to adapt to different material qualities and/or different thread qualities, for example. there is. Adjustment of the thread tension device may depend on the implementation or action of the upper thread catcher clamp. In this wa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hread tension device and the upper thread-catcher clamp can be optimized.

제 7 항에 따른 어셈블리의 장점들은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형성 방법을 참고로 이미 설명된 것에 상응한다. 상기 루퍼와 윗실 캐처는 동일한 부품이 될 수도 있다. 그 대안으로 상기 루퍼와 윗실 캐처는 서로 분리된 요소들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The advantages of th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7 correspond to those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rm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looper and upper thread catcher may be the same part. Alternatively, the looper and upper thread catcher may be formed from separate elements.

제 8 항에 따른 윗실 나이프는 잡혀있는 윗실-시작 영역의 안전한 절단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윗실 나이프는 시임 단부에서 실 커팅을 위한 또 다른 실 드로잉 나이프와 별도인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상기 윗실 나이프는 동시에 시임 단부에서 실 커팅을 위한 실 드로잉 나이프로서 실시될 수 있다.The upper thread knife according to claim 8 enables safe cutting of the held upper thread-starting area. The upper thread knife may be formed as a separate element from another thread drawing knife for thread cutting at the end of the seam. Alternatively, the upper thread knife can be implemented as a thread drawing knife for thread cutting at the seam end at the same time.

제 9 항에 따른 윗실 캐처 및 특히 윗실 나이프가 설치되면 윗실-시작 영역은 상기 이송기의 운동에 독립하여 안내되고 특히 짧게 절단될 수 있다.When the upper thread catcher according to claim 9 and in particular the upper thread knife are installed, the upper thread-start area is guided independently of the motion of the feeder and can be cut particularly short.

제 10 항에 따른 윗실-캐처 클램프의 장점들은 형성 방법의 캐처 클램프 단계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것에 상응한다. 상기 윗실-캐처 클램프는 윗실 캐처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윗실-캐처 클램프는 마찬가지로 재봉물-이송기를 위한 캐리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윗실-캐처 클램프는 재봉기의 보빈 및 보빈 하우징의 상호 작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The advantages of the upper thread catcher clamp according to claim 10 correspond to those already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catcher clamp step of the forming method. The upper thread catcher clamp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thread catcher. In this case, the upper thread-catcher clamp may likewise be installed in the carrier for the sewing material-transporter. The upper thread-catcher clamp may be formed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bobbin and the bobbin housing of the sewing machine.

제 11 항에 따른 윗실-캐처 클램프를 배치하면 제어를 통해 윗실-시작 영역의 안내가 단순화된다.Arranging the upper thread catcher clamp according to claim 11 simplifies the guidance of the upper thread start area through control.

제 12 항에 따른 윗실-캐처 클램프의 장점들은 형성 방법에서 가이드 클램프 단계로 이미 앞에서 설명된 것에 상응한다.The advantages of the upper thread-catcher clamp according to claim 12 correspond to those already described above with the guide clamp step in the forming method.

그에 대응하는 것은 제 13 항에 따른 실 장력 장치에 적용된다.Correspondingly applies to the yarn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3.

상기 윗실-가이드 클램프 및/또는 실 장력 장치를 통한 적절한 설정을 통해 특히 회피될 수 있는 것은 꺼낸 윗실-시작 영역이 길어 이것이 밖으로 꺼내질 때 밑실과 함께 매듭되는 것이다.What can be especially avoided through proper setting through the upper thread-guide clamp and/or thread tension device is that the pulled-out upper thread-start region is long and knotted with the lower thread when it is pulled out.

제 14 항에 따른 흡입 장치는 희망하지 않지만 절단된 실 잔여물이 재봉기의 영역에 쌓이는 것을 막아준다.The su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prevents undesired cut yarn residues from accumulating in the area of the sewing machine.

제 15 항에 따른 재봉기의 장점들은 상기 형성 방법 및 재봉 어셈블리와 관련해 이미 설명한 것들에 상응한다.The advantages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5 correspond to those already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forming method and sewing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기에서 도면을 이용해 상술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tailed below using figures.

도 1은 이중 본봉 재봉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재봉기의 스티치 형성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III 방향에서 바라본 재봉기의 한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로서, 이 경우 상기 스티치 형성 툴들은 루퍼 팁을 통해 윗실 루프를 잡을 때 루프 스트로크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과 유사한 도로서 도 3에 따른 위치에 후속하는 위치에 있는 스티치 형성 툴에 관한 도로서, 이 경우 상기 루퍼 팁은 재봉물로부터 윗실 시작부 자유단을 완전히 꺼냈다.
도 5는 도 3과 유사한 도로서 도 4에 따른 위치에 후속하는 위치에 관한 도로서, 이 경우 상기 윗실의 자유단은 윗실-카운터 나이프와 윗실 캐처의 협업을 통해 절단된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재봉 어셈블리를 이용해 재봉된 시임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설정된 목표-시임 폭을 갖는 시임-시작 윗실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5와 유사한 도로서 붙잡힌 윗실-시작 영역을 제어를 통해 안내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도로서, 이때 상기 윗실-시작부 영역은 밑실 보빈의 보빈 커버와 보빈 하우징 사이에 고정된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재봉 어셈블리를 이용해 재봉된 시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설정된 목표-시임 폭을 갖는 시임-시작 윗실이 형성되어 있다.
1 is a front view of a double stitch sewing machine.
2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itch formation area of the sewing machine.
FIG. 3 is an enlarged plan view of one area of the sewing machine seen in the direction of arrow III in FIG. 1. In this case, the stitch forming tools are shown at loop stroke positions when the upper thread loop is caught through the looper tip.
Fig. 4 is a view similar to Fig. 3 of the stitch forming tool in a position subsequent to the position according to Fig. 3, in which case the looper tip has completely taken out the free end of the upper thread start from the sewing material.
Fig. 5 is a view similar to Fig. 3 and related to a position following the position according to Fig. 4, in which case the free end of the upper thread is cut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upper thread-counter knife and the upper thread catcher;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seam sewn using the sewing assembly according to FIGS. 3 to 5, wherein a seam-start upper thread having a set target-seam width is formed.
Figure 7 is a view similar to Figures 3 to 5, showing another embodiment for guiding the upper thread-start area caught through control, wherein the upper thread-start area is a bobbin cover and a bobbin housing of the lower thread bobbin fixed between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am sewn using the sewing assembly according to FIG. 7, and a seam-start upper thread having a set target-seam width is formed.

이중 본봉 재봉기(1)는 받침대(2)를 가지며, 이 받침대는 받침대로부터 위를 향해 연장해 있는 스탠드(3) 및 꺾인 아암(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아암은 헤드(5)에서 끝난다. 이 아암(4) 내에 아암 샤프트(6)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아암 샤프트는 헤드(5) 내에서 크랭크 드라이브(7) 및 쓰레드 레버(8)를 구동한다. 구동 측면에서 상기 크랭크 드라이브(7)는 헤드(5)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바늘대(9)와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이의 하단부에서 바늘(10)을 갖는다. 바늘(10)은 상기 크랭크 드라이브(7)를 통해 수직축(11)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The double stitch sewing machine 1 has a pedestal 2, which includes a stand 3 extending upwardly from the pedestal and a bent arm 4. The arm ends in a head (5). An arm shaft 6 is rotatably supported in the arm 4 . The arm shaft drives the crank drive (7) and thread lever (8) in the head (5). On the driving side, the crank drive (7) is connected to the needle bar (9) supported axially in the head (5). It has a needle 10 at its lower end. The needle 10 can move up and down on the vertical axis 11 through the crank drive 7.

위치 관계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하기에서 xyz-직교 좌표계가 이용된다. 상기 수직축(11)은 좌표계의 z 방향을 따라서 연장해 있다. x 방향은 도 1의 도면 평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그 안쪽 방향으로 연장해 있으며 재봉기(1)의 재봉 방향에 대하여는 평행하다. y 방향은 도 1에서 좌측 방향으로 연장해 있다.An xyz-Cartesian coordinate system is used in the following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The vertical axis 11 extends along the z-direction of the coordinate system. The x direction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drawing plane of FIG. 1 and inwardly and is parallel to the sewing direction of the sewing machine 1 . The y direction extends leftward in FIG. 1 .

보빈(12)에서 시작해 실 장력 장치 및 상기 쓰레드 레버(8)를 통과해 제공되는 바늘 실(13)이 상기 바늘(10)의 바늘 구멍 안으로 안내하고, 이 경우 이 바늘 실은 윗실이라고도 한다. 상기 바늘 실(13)은 윗실-시작 자유 영역(13a)을 갖는다. 상기 받침대(2)는 나사로 고정된 지지판(14)을 지지하며, 이 지지판 위에 재봉물(15)이 놓인다. 상기 지지판(14)은 하측 소재 피더(17)의 통과를 위한 리세스와 함께 형성되어 있다. 이 소재 피더는 바늘(10)이 통과할 수 있는 스티치 호울(18)을 갖는다. 상기 소재 피더(17)는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받침대(2) 아래에 배치된 푸시- 및 스트로크 드라이브와 구동 측면에서 연결되어 있다.The needle thread 13 provided starting from the bobbin 12 and passing through the thread tension device and the thread lever 8 is guided into the needle hole of the needle 10, in which case this needle thread is also called upper thread. The needle thread 13 has an upper thread-start free area 13a. The pedestal 2 supports a support plate 14 fixed with screws, and a sewing material 15 is placed on the support plate. The support plate 14 is formed with a recess for the passage of the lower material feeder 17 . This material feeder has a stitch hole 18 through which needle 10 can pass. The material feeder 17 is connected on the driving side with a push-and-stroke drive arranged under the pedestal 2 in a conventional manner.

상기 지지판(14) 아래에 루퍼(19)가 위치하며, 이 경우 루퍼는 루퍼 바디(20) 및 루퍼 팁(21)을 포함한다. 이 루퍼 바디(20) 안에, 보빈(22a) 형태의 루퍼 쓰레드 서플라이를 수납하기 위한 냄비 형상 보빈 하우징(22)이 지지되어 있다. 한편으로 상기 보빈 하우징(22)의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보빈(22a)의 상측 가장자리 윤곽들이 도 2에 따른 개략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루퍼 실(looper thread)은 밑실이라고도 한다.A looper 19 is located under the support plate 14, and in this case, the looper includes a looper body 20 and a looper tip 21. In this looper body 20, a pot-shaped bobbin housing 22 for accommodating a looper thread supply in the form of a bobbin 22a is supported. The upper edge contours of the bobbin housing 22 on the one hand and of the bobbin 22a on the other hand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in the schematic view according to FIG. 2 . The looper thread is also called a lower thread.

상기 루퍼(19)는 z 방향으로 연장해 있는 수직 방향 루퍼축(2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루퍼 바디(20)의 재봉 모드 회전 방향(24)은 도 3에서 루퍼축(2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진행한다. 상기 루퍼 바디(20)는 샤프트(25)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샤프트는 루퍼축(23)과 동축에서 연장해 있다. 샤프트(25)는 받침대(2)에 나사로 체결되어 있는 베어링 블록(26) 안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 안에 드라이브 샤프트(27)가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베어링 블록(26)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기어 드라이브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어 드라이브는 1:2의 변환비를 가지므로, 드라이브 샤프트(27)가 일회전할 때 상기 샤프트(25)에 위치하는 루퍼 바디(20)는 2번 회전한다. 구동을 위해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27)는 벨트 드라이브(28)에 의해 아암 샤프트(6)에 연결되어 있다.The looper 19 may rotate about a vertical looper shaft 23 extending in the z direction. The sewing mode rotation direction 24 of the looper body 20 proceeds clockwise around the looper shaft 23 in FIG. 3 . The looper body 20 is fixedly connected to the shaft 25, and the shaft extends coaxially with the looper shaft 23. The shaft 25 is rotatably supported in a bearing block 26 screwed to the pedestal 2 . A drive shaft 27 is supported therein and connected to a gear drive arranged inside the bearing block 26. Since the gear drive has a conversion ratio of 1:2, when the drive shaft 27 rotates once, the looper body 20 located on the shaft 25 rotates twice. For driving, the drive shaft 27 is connected to the arm shaft 6 by means of a belt drive 28 .

예를 들어 EP 1 847 641 B1에 공지되어 있는 쓰레드 풀링 나이프(thread pulling knife)(29)가 시임 단부에서 바늘 실(13) 및 루퍼 실을 커팅하는데 이용된다.A thread pulling knife 29, known for example from EP 1 847 641 B1, is used to cut the needle thread 13 and the looper thread at the seam end.

재봉물(15)을 고정하여 이송하기 위해, 추가로 상기 재봉기(1)는 노루발(30) 및 상측 이송기(31)도 가지며, 상측 이송기는 재봉물 이송을 위해 하측 소재 피더(17)와 함께 작용한다.In order to fix and transfer the sewing material 15, the sewing machine 1 additionally has a presser foot 30 and an upper conveyor 31, and the upper conveyor is together with a lower material feeder 17 for conveying the sewing material. It works.

또한, 개략적인 도 2에는 상기 보빈(12)으로부터 윗실-시작 영역(13a)까지 윗실(13)의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윗실(13)은 상기 보빈(12)에서 시작하여 실 장력 장치(32)와 쓰레드 레버(8) 및 윗실 가이드 클램프(33)를 지나 바늘(10) 쪽으로 안내된다.2 also shows the flow of the upper thread 13 from the bobbin 12 to the upper thread-start area 13a. The upper thread 13 starts from the bobbin 12 and is guided toward the needle 10 through the thread tension device 32, the thread lever 8, and the upper thread guide clamp 33.

상기 윗실-가이드 클램프(33)는, 가이드 바아(35)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 와셔(34)를 갖는다. 상기 윗실(13)을 고정하기 위해 압축 스프링(36)에 의해 상기 스프링 와셔(34)는 상기 윗실-가이드 클램프(33)의 하우징 고정형 교대(abutment)(37) 쪽으로 당겨진다.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전자석(38)이 상기 교대(37)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전자석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재봉기(1)의 중앙 제어 장치(39)에 의해 제어된다.The upper thread-guide clamp 33 has a spring washer 34 fixed to a guide bar 35. To fix the upper thread 13, the spring washer 34 is pulled toward the housing fixed abutment 37 of the upper thread-guide clamp 33 by the compression spring 36. An electromagnet 38 schematically shown in FIG. 2 is installed on the shift 37, and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electromagnet is controlled by the central control device 39 of the sewing machine 1.

도 3 내지 도 5에 따르면 하기에서 최대 10mm의 목표-시임 폭을 갖는 시임-시작 실을 형성하기 위한 재봉기 어셈블리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3 to 5 below, an embodiment of a sewing machine assembly for forming a seaming-start yarn having a target-seaming width of up to 10 mm is shown.

상기 재봉기-어셈블리는 상기 윗실(13)을 잡아주기 위한 윗실 캐처(40)를 갖는다. 상기 윗실 캐처(40)는 이의 자유단에서 캐치 아이(41)를 가지며(비교, 도 5), 캐치 아이는 동시에 가동형 윗실 나이프로서 이용된다. 상기 윗실 캐처(40)의 자유단은 하측 소재 피더(17) 아래에서 도 3에 도시된 출발 위치에 있으며, 이 경우 캐치 아이(41)는 스티치 호울(18)에 정렬된다. 상기 윗실 캐처(40)는 L 형상으로 구부러진 본체(42)를 가지며 그리고 피봇 베어링(4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피봇 베어링(43)은 하우징에 고정될 수도 있으나 또는 그 대안으로 하측 소재 피더(17)의 이송 캐리어(44)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피봇 베어링(43)을 사용해 윗실 캐처(40)의 상기 본체(42)는 도 3에 따른 출발 위치와 커팅-끝 위치 사이에서 피봇축(45)을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출발 위치와 커팅-끝 위치 사이에 있는 상기 본체(42)의 중간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피봇축(45)은 z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해 있다. 상기 윗실 캐처(40)는 공압 드라이브에 의해 작동되며, 이 공압 드라이브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체(42) 내 작동 아이(46)에 결합해 있으며, 이 경우 작동 아이는 본체(42) 내 피봇축(45)으로부터 떨어져 있다.The sewing machine-assembly has an upper thread catcher 40 for catching the upper thread 13. The upper thread catcher 40 has a catch eye 41 at its free end (compare Fig. 5), and the catch eye simultaneously serves as a movable upper thread knife. The free end of the upper thread catcher 40 is in the starting position shown in FIG. 3 under the lower material feeder 17, in which case the catch eye 41 is aligned with the stitch hole 18. The upper thread catcher 40 has a body 42 bent into an L shape and is supported by a pivot bearing 43. The pivot bearing 43 may be fixed to the housing or alternatively may be fixedly connected to the transport carrier 44 of the lower material feeder 17 . By means of the pivot bearing 43 the body 42 of the upper thread catcher 40 is movable about a pivot axis 45 between a starting position and an end-to-cut position according to FIG. 3 . 5 shows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body 42 between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of-cut position. The pivot shafts 45 extend in parallel in the z direction. The upper thread catcher 40 is operated by a pneumatic drive, which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but is coupled to an actuating eye 46 in the body 42, in which case the actuating eye pivots in the main body 42. away from the shaft (45).

도 3 내지 도 5에 따르면 하기에서 최대 10mm의 목표-시임 폭을 갖는 시임-시작 윗실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According to FIGS. 3 to 5 , a method for forming a seam-start upper thread having a target-seaming width of up to 10 mm is described below.

도 3에는 루프 스트로크 위치에 있는 재봉기(1)의 스티치 형성 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재봉 바늘(10)은 이의 하사점을 떠나 양의 z 축의 방향으로 다시 위로 이동하여, 윗실 루프(47)가 형성된다. 상기 루퍼 팁(21)이 도 3에 따른 위치에서 윗실 루프(47)와 결합한다. 상기 윗실 캐처(40)는 출발 위치에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윗실 루프(47)는 윗실 캐처(40)의 캐치 아이(41)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윗실 루프(47)는, 재봉 바늘(10)과 함께 재봉물(15)을 관통해 이의 상측으로부터 이의 하측으로 이송되는 윗실 영역을 나타낸다.3 shows the stitch forming tool of the sewing machine 1 in the loop stroke position. The sewing needle 10 leaves its bottom dead center and moves up again in the direction of the positive z-axis, forming an upper thread loop 47. The looper tip 21 engages the upper thread loop 47 at the position according to FIG. 3 . The upper thread catcher 40 is in the starting position, and in this case, the upper thread loop 47 is formed under the catch eye 41 of the upper thread catcher 40 . The upper thread loop 47, along with the sewing needle 10, penetrates the sewing material 15 and represents an upper thread area conveyed from its upper side to its lower side.

상기 캐치 아이(41)는 매우 좁은 간격으로 하측 소재 피더(17)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간격은 1mm이하이다.The catch eyes 41 are disposed under the lower material feeder 17 at very narrow intervals. This gap is less than 1 mm.

상기 윗실-시작 자유 영역(13a)은 도 3에 따른 위치에서 재봉물(15)로부터 위로 튀어나온다.The upper thread-starting free region 13a protrudes upward from the sewing material 15 at a position according to FIG. 3 .

도 2에는 도 3에 따른 위치 직후 루퍼의 회전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FIG. 2 shows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looper immediately after the position according to FIG. 3 .

도 4에는 도 3과 비교해 180° 이상의 루퍼 회전 후 스티치 형성 툴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루퍼 팁(21)은 회전 시에 상기 재봉물(15)을 관통한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을 완전히 아래쪽으로 끌어당긴다. 이 경우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은 상기 스티치 호울(18)과 캐치 아이(41)를 아래를 향해 지나간다. 상기 윗실(13)은 상기 루퍼 팁(21)과 스티치 호울(18) 사이에서 상기 루퍼(19) 위에서 그리고 쓰레드 풀링 나이프(29) 아래에서 지나가고 아래서부터 재봉물 쪽으로 먼저 캐치 아이(41)를 지나고 이어서 하측 소재 피더(17) 내 스티치 호울(18)을 통과한다.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은, 상기 전체 윗실-시작 영역(13a)이 재봉물-하측 아래에 있기까지, 상기 루퍼(19)에 의해 꺼내진다.FIG. 4 shows the position of the stitch forming tool after looper rotation of 180° or more compared to FIG. 3 . The looper tip 21 completely pulls the upper thread-start area 13a passing through the sewing material 15 downward during rotation. In this case, the upper thread-start area 13a passes through the stitch hole 18 and the catch eye 41 downward. The upper thread 13 passes over the looper 19 and under the thread pulling knife 29 between the looper tip 21 and the stitch hole 18 and passes first through the catch eye 41 towards the sewing material from below and then It passes through the stitch hole 18 in the lower material feeder 17. The upper thread-start area 13a is taken out by the looper 19 until the entire upper thread-start area 13a is below the sewing material lower side.

상기 루퍼 팁(21)을 통해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을 꺼내는 동안 상기 윗실-캐처 클램프(33)가 닫혀있으므로, 상기 윗실(13)은 윗실 흐름 상 윗실 서플라이로부터 윗실-캐처 클램프(33) 앞에서 당겨질 수 없다, 상기 루퍼 팁(21)을 통해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을 당겨낸 후 상기 윗실-가이드 클램프(33)가 개방된다.Since the upper thread-catcher clamp 33 is closed while taking out the upper thread-start area 13a through the looper tip 21, the upper thread 13 moves from the upper thread supply to the upper thread-catcher clamp 33 on the flow of the upper thread. Cannot be pulled from the front, after pulling the upper thread-start area 13a through the looper tip 21, the upper thread-guide clamp 33 is opened.

도 5에는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의 커팅 바로 전에 도 3과 도 4에 따른 출발 위치와 커팅-끝 위치 사이에 있는 윗실 캐처(40)의 본체(42)의 중간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42)의 회전 시에 상기 윗실 캐처(40)는 캐치 아이(41)에 의해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을 단축하기 위한 윗실(13)을 잡고 있다. 도 5에 따른 위치에서 상기 캐치 아이(41)의 가장자리 에지는 상기 윗실(13)을 커팅하기 위해 어셈블리의 하우징 고정형 카운터 나이프(48)를 포함하는 윗실 나이프로서 함께 작용한다. 도 5에 따른 위치에서 상기 바늘(10)은 위를 향해 상기 스티치 호울(18)을 떠나갔다.FIG. 5 shows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body 42 of the upper thread catcher 40 between the starting and cutting-end positions according to FIGS. 3 and 4 just before the cutting of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When the main body 42 rotates, the upper thread catcher 40 holds the upper thread 13 for shortening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by the catch eye 41 . In the position according to FIG. 5 , the peripheral edge of the catch eye 41 acts together as an upper thread knife with the housing fixed counter knife 48 of the assembly to cut the upper thread 13 . In the position according to FIG. 5 the needle 10 leaves the stitch hole 18 upwards.

커팅 과정의 결과 상기 윗실(13)은 분명히 짧아졌다. 상기 재봉물(15)에서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의 자유단은 최대 10mm인 길이를 갖는 시임 시작부에 위치한다.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의 잔여 길이는 10mm보다 작을 수 있고 9mm, 8mm 또는 7mm일 수 있고 그보다 훨씬 더 작을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cutting process, the upper thread 13 was obviously shortened. In the sewing material 15, the free end of the upper thread-starting region 13a is located at a seaming start portion having a length of up to 10 mm. The remaining length of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may be less than 10 mm, may be 9 mm, 8 mm or 7 mm, and may be even less.

상기 카운터 나이프(48)에서 윗실 나이프(41)로 윗실(13)을 커팅하는 것은 윗실 캐처(40)로 잡혀있는 윗실-시작 영역(13a)의 가이드의 최종 결과이고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의 처리를 나타내므로, 최대 10mm의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의 희망하는 시임 폭이 나온다.Cutting the upper thread 13 from the counter knife 48 to the upper thread knife 41 is the final result of the guide of the upper thread-start area 13a held by the upper thread catcher 40, and the upper thread-start area 13a , resulting in a desired seaming width of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of up to 10 mm.

이제, 상기 시임은 상기 윗실(13)과 도 1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밑실의 분할 하에 이중 본봉 시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시임 단부에서 상기 윗실(13)과 밑실의 실 절단 과정은 쓰레드 풀링 나이프(29)로 이루어진다.Now, the seam can be formed as a double bond seam under the division of the upper thread 13 and the lower thread, which is not shown in detail in FIGS. 1 to 5 . After that, the thread cutting process of the upper thread 13 and the lower thread at the end of the seam is performed with a thread pulling knife 29.

상기 제어 장치(39)에 의해 스티치 길이는 재봉 과정 동안 그리고 특히 윗실-시작 영역(13a)의 커팅 동안 도 3 내지 도 5의 시퀀스에 따라 단축된다. 이는 하측 소재 피더(17)와 윗실-시작 영역(13a) 사이에서 원하지 않은 상대 운동을 방지한다.By means of the control device 39 the stitch length is shortened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Figs. 3 to 5 during the sewing process and especially during the cutting of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This prevents unwanted relative motion between the lower stock feeder 17 and the upper thread-starting region 13a.

도 6에 따른 도면은 시임-시작 영역 내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재봉 어셈블리로 만들어진 시임(48)을 보여주고 있다. 재봉 방향은 도 6에서 x 방향을 따라 좌측으로 진행한다. 상기 윗실 나이프(41)와 카운터 나이프(48) 사이 윗실 영역 때문에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은 시임(48a)의 시작부에서 짧으므로, 결과적으로 최대 시임 폭(A)은 10mm이다.The drawing according to FIG. 6 shows a seam 48 made of the sewing assembly according to FIGS. 3 to 5 in the seam-start area. The sewing direction proceeds to the left along the x direction in FIG. 6 . Because of the upper thread area between the upper thread knife 41 and the counter knife 48,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is short at the beginning of the seam 48a, resulting in a maximum seaming width A of 10 mm.

또한, 제1의 양 시작-스티치(S1, S2)는 그 다음 스티치(S3,...,Sn)에 비해 단축된 것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Also, it is shown in FIG. 6 that the first both start-stitches (S 1 , S 2 ) are shortened compared to the next stitches (S 3 ,...,S n ).

도 7을 이용해 하기에서 최대 10mm의 목표-시임 폭을 갖는 시임-시작 윗실을 형성하기 위한 재봉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이미 자세하게 설명된 것들에 상응하는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며 재차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Another embodiment of a sewing assembly for forming a seam-start upper thread having a target-seam width of up to 10 mm is described below using FIG. 7 . Elements corresponding to those already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re not described in detail again.

도 7에 따른 어셈블리는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어셈블리에 추가하여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스트로크 장치(49)를 갖는다. 이 스트로크 장치(49)는 공압 실린더로서 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 스트로크 장치(49)는 중앙 제어 장치(39)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스트로크 장치(49)는 보빈 하우징(22)의 바닥과 보빈(22a)의 하측 바닥벽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트로크 장치(49)에 의해 보빈 하우징(22)과 관련하여 상기 보빈(22a)의 스트로크 이동은 이동 경로(50)를 따라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도 2에 표시되어 있다. 보빈 하우징(22)과 관련하여 보빈(22a)의 들려진 위치에서 상기 보빈(22a)의 커버 벽(51)은 가장자리 쪽에서 보빈 하우징(22)의 상측에서 이를 대향하는 보빈 수납부(52) 위로 0.5mm이상, 예를 들어 1mm이상 돌출한다.The assembly according to FIG. 7 has, in addition to the assembly according to FIGS. 1 to 5 , a stroke device 49 shown schematically in FIG. 6 . This stroke device 49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pneumatic cylinder. The stroke device 49 can be controlled by a central control device 39 . The stroke device 49 is disposed between the bottom of the bobbin housing 22 and the lower bottom wall of the bobbin 22a. Stroke movement of the bobbin 22a in relation to the bobbin housing 22 by means of the stroke device 49 can be achieved along a movement path 50, which is indicated in FIG. 2 . In the raised position of the bobbin 22a in relation to the bobbin housing 22, the cover wall 51 of the bobbin 22a extends 0.5 from the upper side of the bobbin housing 22 towards the edge over the bobbin compartment 52 opposite it. It protrudes more than mm, for example, more than 1 mm.

상기 윗실 캐처를 나타내는 루퍼 팁(21)을 이용해 붙잡힌 윗실-시작 영역(13a)을 제어적으로 안내 및 처리하기 위해, 최대 10mm의 목표-시임 폭이 바람직하며, 도 7에 따른 상기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In order to controllably guide and process the upper thread-start area 13a caught using the looper tip 21 representing the upper thread catcher, a target-seam width of up to 10 mm is preferred, and the assembly according to FIG. 7 has the following works like:

윗실 루프(47)를 형성하고 및 루퍼 팁(21)에 의해 이를 고정하는 관점에서, 먼저 도 7에 따른 어셈블리가, 앞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동작한다.In terms of forming the upper thread loops 47 and fixing them by means of the looper tip 21 , the assembly according to FIG. 7 first operates as previously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S. 1 to 3 .

도 3에 상응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스트로크 장치(49)가 작동되므로, 상기 보빈(22a)은 상기 보빈 하우징(22)의 상측 가장자리 위로 돌출한다. 그 후, 상기 루퍼 팁(21)은 윗실(13)을 꺼내고 재봉물(15)을 관통한 윗실-시작 영역(13a)을 밑으로 당기고, 이는 앞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실시와 관련하여 상술되었다.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은 보빈 하우징(22) 위로 보빈(22a)의 커버 벽(51)의 폭에 근거해 상기 커버 벽(51)과 보빈 하우징(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런 경우 이 영역에서 상기 윗실(13)은 보빈(22a) 내에 위치한다.Whe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FIG. 3 is reached, the stroke device 49 is actuated so that the bobbin 22a protrudes over the upper edge of the bobbin housing 22 . Then, the looper tip 21 takes out the upper thread 13 and pulls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penetrating the sewing material 15 downward, which has been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practice according to FIGS. 1 to 5 It becam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7 , the upper thread-start area 13a is formed over the bobbin housing 22 based on the width of the cover wall 51 of the bobbin 22a between the cover wall 51 and the bobbin housing 22. It can be located between, as shown in Figure 7. In that case, the upper thread 13 is located in the bobbin 22a in this area.

도 7에 따른 루퍼 팁(21)의 위치에서 또는 루퍼 팁(21)이 약 45° 진행된 회전 위치에서, 상기 스트로크 장치(49)가 출발 위치로 넘어가게 되므로, 상기 보빈(22a)은 다시 보빈 하우징(22) 내 정상 위치로 내려간다. 그 후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은 보빈(22a)과 보빈 하우징(22) 사이에 고정된다. 그 후, 보빈(22a)과 보빈 하우징(22)을 통해 윗실-캐처 클램프가 형성된다.At the position of the looper tip 21 according to FIG. 7 or at the rotational position in which the looper tip 21 is advanced by about 45°, the stroke device 49 is brought over to the starting position, so that the bobbin 22a returns to the bobbin housing. (22) I go down to my normal position. Then,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is fixed between the bobbin 22a and the bobbin housing 22. After that, the upper thread-catcher clamp is formed through the bobbin 22a and the bobbin housing 22.

도 7에 따른 위치 및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의 고정 후 다음 스티치가 형성되면, 시임이 진행될 때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은 상기 윗실-캐처 클램프로부터 단계적으로 밖으로 당겨지고,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은 재봉물(15)로부터 스티치 호울(18)을 통해 위로부터 직접 가이드되는 윗실 영역처럼 밑실에 의해 감기고 시임 형성 시 함께 매듭지어진다. 그 후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의 자유 시작부는 하나의 스티치의 길이의 영역에서 어느 하나의 길이를 갖는다. 이 스티치 길이가 최대 10mm로 조정되면, 결과적으로 최대 10mm의 희망하는 목표-시임 폭이 윗실-시작 영역(13a)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When the next stitch is formed after the position shown in FIG. 7 and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is fixed,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is pulled out step by step from the upper thread-catcher clamp as seaming proceeds, and the upper thread - The starting area 13a is wound by the lower thread like an upper thread area guided directly from above through the stitch hole 18 from the sewing material 15 and is knotted together when forming the seam. Then, the free start portion of the upper thread-start area 13a has a length in the range of one stitch length. If this stitch length is adjusted to a maximum of 10 mm, consequently a desired target-seam width of maximum 10 mm can be achieved through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도 8에는 도 7에 따른 재봉 어셈블리를 이용해 만들어진 시임(48b)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은 시임(48b)에서 시임 초기에 이 시임(48b)으로부터 떨어져 있지 않고 오히려 스티치(Si)와 스티치(Si +1) 사이에 위치한다. i의 크기는 재봉물 아래로 당겨지는 윗실-시작 영역(13a)의 길이에 의존하고, 이 경우 이것은 재봉 시에 보빈(22a)과 보빈 하우징(22) 사이 고정 영역으로부터 단계적으로 밖으로 당겨진다. i는 예를 들어 4와 10 사이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시임(48b)의 경우에도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의 시임 폭(A)은 10mm이다.8 shows a seam 48b made using the sewing assembly according to FIG. 7 .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is not separated from the seam 48b at the beginning of the seam 48b, but rather is located between stitches S i and stitches S i +1 . The size of i depends on the length of the upper thread-starting region 13a pulled under the sewing material, in which case it is pulled out step by step from the fixed region between the bobbin 22a and the bobbin housing 22 during sewing. i may range between 4 and 10, for example. Even in the case of the shim 48b, the shim width A of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is 10 mm.

상기 재봉 어셈블리의 변형예에 따라서 상기 윗실-가이드 클램프(33)가 생략될 수도 있다. 실 장력 장치(32)에 의해 상기 윗실(13)에 작용하는 실 장력의 조절을 통해,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을 당겨 및/또는 안내 시에 희망하는 비율이 윗실-시작 영역(13a)으로부터 당겨지는 윗실(13) 길이 크기와 재봉 바늘(10) 앞 윗실 경로로부터 당겨지는 윗실(13) 길이 크기로부터 결과한다. 실 장력이 강하게 조절될수록, 윗실-시작 영역(13a)에 의해 당겨진 길이 크기의 몫은 실 장력 장치(32)에 의해 이용되는 윗실(13) 길이 크기와 비교해 더 커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sewing assembly, the upper thread-guide clamp 33 may be omitted.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thread tension applied to the upper thread 13 by the thread tension device 32, when pulling and/or guiding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a desired ratio is obtained in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It results from the length of the upper thread 13 pulled from the upper thread 13 and the length of the upper thread 13 pulled from the upper thread path in front of the sewing needle 10. The stronger the thread tension is adjusted, the larger the share of the length size pulled by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can be larger compared to the length size of the upper thread 13 used by the thread tension device 32.

추가로, 상기 재봉 어셈블리는 상기 윗실 나이프(41)로 잘려진 윗실 영역을 흡입하기 위해 도 5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흡입 장치(53)를 갖는다. 상기 흡입 장치(53)는 카운터 나이프(48)의 커팅 에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흡입 장치(53)는 진공원에 연결되어 있다.Additionally, the sewing assembly has a suction device 53 schematically shown in FIG. 5 for sucking the upper thread area cut with the upper thread knife 41 . The suction device 53 is arranged adjacent to the cutting edge of the counter knife 48 . The suction device 53 is connected to a vacuum source.

캐치 아이(41)를 갖는 윗실 캐처(40)는 카운터 나이프 없이도 최대 10mm의 목표-시임 폭을 갖는 재봉-시작 윗실을 형성하기 위한 재봉 어셈블리의 또 다른 변형예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윗실 캐처(40)는 보빈(22a)과 보빈 하우징(22) 사이에서 앞서 설명한 고정부에 따른 윗실-캐처 클램프와 함께 작용한다. 상기 윗실-캐처 클램프는 윗실 캐처(40)에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Upper thread catcher 40 with catch eye 41 can be used in another variation of the sewing assembly for forming a start-to-seam upper thread having a target-seam width of up to 10 mm without a counter knife. Then, the upper thread catcher 40 works together with the upper thread catcher clamp according to the fixing part described above between the bobbin 22a and the bobbin housing 22. The upper thread catcher clamp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thread catcher 40 .

상기 재봉 어셈블리의 이런 변형예의 경우에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은 커팅되지 않고 오히려 앞서 도 7 및 도 8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것처럼 제어를 통해 안내되어 상기 시임-시작 영역에 재봉된다. 이런 재봉 과정에서 시임 형성을 위해 +/-y 방향으로 캐치 아이(41)가 동시에 함께 이동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은 상기 윗실 시작 영역(13a)은 곧 상기 윗실-캐처 클램프를 우측(-y 방향)을 향해 그리고 좌측(+y 방향)을 향해 꺼내진 후 스티치 호울 안에 놓여지므로, 이것이 항상 각 스티치 아래에 놓여 밑에서 재봉된다. +/- y 방향으로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을 놓기 위해, 시작-시임 영역의 재봉 시에 윗실-시작 영역(13a)을 안내하는 스티치 호울(18)의 측면은 곧게 진행하여, 즉 둥글게 휘어지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variant of the sewing assembly,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is not cut, but rather is guided through control and sewn to the seam-start region as alread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above. In this sewing process, what is achieved by simultaneously moving the catch eye 41 in the +/-y direction for seam formation is that the upper thread starting area 13a moves the upper thread-catcher clamp to the right (-y direction). And since it is brought out toward the left side (+y direction) and placed in the stitch hole, it is always placed under each stitch and sewn underneath. In order to place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in the +/-y direction, the side of the stitch hole 18 guiding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during sewing of the start-seam region runs straight, that is, round It can be formed not to bend.

Claims (15)

최대 10mm의 목표-시임 폭(A)을 갖는 시임-시작 윗실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노루발(30)로 재봉물(15)을 고정하는 단계,
- 재봉물 상측으로부터 재봉물 하측으로 재봉물(15)을 관통하는 재봉 바늘(10)을 이용해 윗실 영역(47)을 이송하는 단계,
- 윗실-시작 영역(13a) 전체가 재봉물-하측 밑에 있기까지, 루퍼(19)를 이용해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을 꺼내는 단계,
- 루퍼(19)로 미리 꺼낸 윗실-시작 영역(13a)을 윗실 캐처(40)를 이용해 붙잡는 단계,
- 결과적으로 시임 폭(A)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윗실 캐처(40)를 이용해 윗실-시작 영역(13a)을 안내하고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 상기 윗실 캐처(40),
- 상기 노루발(30) 및
- 상기 루퍼(19)는 상이한 재봉기-요소들로 설계되는, 방법.
As a method for forming a seam-start upper thread having a target-seaming width (A) of up to 10 mm,
- fixing the sewing material 15 with the presser foot 30;
- Transferring the upper thread area 47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wing material to the lower side of the sewing material using a sewing needle 10 penetrating the sewing material 15;
- Taking out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using a looper 19 until the entir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is under the sewing material-lower side;
- A step of catching the upper thread-start area 13a taken out in advance by the looper 19 using the upper thread catcher 40;
- guiding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with the upper thread catcher (40) and processing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in order to consequently achieve the seam width (A);
here,
- the upper thread catcher 40,
- the presser foot 30 and
- the looper (19) is designed with different sewing machine-elemen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임 폭(A)을 형성하기 위해 윗실 나이프(41)를 이용해 잡혀있는 윗실-시작 영역(13a)을 잘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held by the upper thread knife (41) is cut off to form the seam width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임 폭(A)을 형성하기 위해 윗실-캐처 클램프를 이용해 잡혀있는 윗실-시작 영역(13a)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characterized by fixing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held using an upper thread-catcher clamp to form the seam width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의 길이는, 윗실 진행상 재봉 바늘(10) 앞 윗실-가이드 클램프(33)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is set by the upper thread-guide clamp 33 in front of the sewing needle 10 during the upper thread progr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은, 재봉물(15)을 통한 이송 후에, 재봉물-이송기(17)의 스티치 호울(18)을 통해 안내되고, 이런 형성 방법은 시임 형성 시에 규정-스티치 길이(S3)보다 작은 시작-스티치 길이(S1, S2)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thread-start area 13a is guided through the stitch hole 18 of the sewing material-transporter 17 after conveying through the sewing material 15, and this forming method is prescribed-stitch at the time of seam 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rried out with a start-stitch length (S 1 , S 2 ) smaller than the length (S 3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을 꺼내고 및/또는 안내할 때 희망하는 비율이
- 윗실-시작 영역(13a)으로부터 끄집어 낸 윗실(13) 길이 크기와,
- 윗실 진행상 재봉 바늘(10) 앞에서 꺼낸 윗실(13) 길이 크기로부터 결과하도록, 윗실 진행상 재봉 바늘(10) 앞에서 실 장력 장치(32)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taking out and/or guiding the upper thread-start area 13a, the desired ratio is
- the size of the length of the upper thread 13 pulled out from the upper thread-start area 13a;
- A method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thread tension device (32) in front of the sewing needle (10) during the progress of the upper thread so as to result from the size of the length of the upper thread (13) taken out in front of the sewing needle (10) during the progress of the upper thread.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어셈블리로서,
- 윗실(13)을 안내하기 위해 구동식 바늘대(9) 및 이것에 의해 지지되는 재봉 바늘,
- 루퍼(19),
- 상기 윗실(13)을 붙잡기 위한 윗실 캐처(40)를 갖는, 어셈블리.
Assembly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 a driven needle bar (9) for guiding the upper thread (13) and a sewing needle supported by it;
- Looper (19),
- an assembly having a thread catcher (40) for catching the upper thread (13).
제 7 항에 있어서,
잡혀있는 윗실-시작 영역(13a)을 잘라내기 위한 윗실 나이프(41)를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7,
Assembly characterized by an upper thread knife (41) for cutting off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hel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 캐처(40)가 재봉물-이송기(17)를 위한 캐리어(44)에 설치되어 있는 재봉물-이송기(17)를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7,
Assembly characterized by a sewing material-feeder (17) in which the upper thread catcher (40) is installed on a carrier (44) for the sewing material-feeder (17).
제 8 항에 있어서,
잡혀있는 윗실-시작 영역(13a)을 고정하기 위한 윗실-캐처 클램프를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8,
An assembly characterized by an upper thread-catcher clamp for fixing the upper thread-start area 13a that is caugh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캐처 클램프가 윗실 캐처(4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0,
Th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thread catcher clamp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thread catcher (40).
제 7 항에 있어서,
윗실 흐름 상 재봉 바늘(10) 앞에 위치하는 상기 윗실-시작 영역(13a)의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윗실-가이드 클램프(33)를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7,
An assembly characterized by an upper thread-guide clamp (33) for setting the length of the upper thread-start region (13a) located in front of the sewing needle (10) on the upper thread flow.
제 7 항에 있어서,
윗실 진행상 재봉 바늘(10) 앞에 있는 실 장력 장치(32)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7,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ad tension device (32) in front of the sewing needle (10) can be adjusted during the upper thread progress.
제 8 항에 있어서,
절단된 윗실 영역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 장치(53)를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8,
Assembly characterized by a suction device (53) for suctioning the cut upper thread area.
제 7 항에 따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재봉기.A sewing machine comprising th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7 .
KR1020160155622A 2015-11-24 2016-11-22 Method to produce a starting segment of an upper thread in a seam having a short target protrusion of the starting segment with respect to the seam as well as assembly provided to perform such method KR1025577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23194.1A DE102015223194B3 (en) 2015-11-24 2015-11-24 A method for creating a seam beginning upper thread with short target seam projection and assembly for performing the method
DE102015223194.1 2015-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590A KR20170060590A (en) 2017-06-01
KR102557765B1 true KR102557765B1 (en) 2023-07-19

Family

ID=5725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622A KR102557765B1 (en) 2015-11-24 2016-11-22 Method to produce a starting segment of an upper thread in a seam having a short target protrusion of the starting segment with respect to the seam as well as assembly provided to perform such method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176296B1 (en)
JP (1) JP6975533B2 (en)
KR (1) KR102557765B1 (en)
CN (1) CN106757847B (en)
DE (1) DE102015223194B3 (en)
TW (1) TWI753871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7627A1 (en) * 2017-05-05 2018-11-08 Dürkopp Adler AG Assembly for creating a seam beginning upper thread with a desired seam projection
DE102017207626A1 (en) * 2017-05-05 2018-11-08 Dürkopp Adler AG Method for producing a seam end lower thread with a predetermined desired seam protrusion
CN109402885A (en) * 2018-11-28 2019-03-01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The Yarn taking-up mechanism and sewing machine of use in sewing machine
CN109457409A (en) * 2018-11-28 2019-03-12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The Yarn taking-up mechanism and sewing machine of use in sewing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3278A (en) * 2000-10-10 2002-04-16 Juki Corp Thread-breaking device of sewing machine
KR100987843B1 (en) * 2002-07-27 2010-10-13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Method of Pulling the Free End of a Needle Thread from the Top to the Bottom Side of a Work Piece and Sewing Machine for Putting the Method into Pract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0842C (en) *
DE3604299A1 (en) * 1985-04-16 1986-10-16 Kochs Adler Ag, 4800 Bielefeld METHOD FOR PULLING THE FREE THREADING END OF A NEEDLE THREAD FROM THE TOP OF A SEWING MATERIAL ON ITS BASE AND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DE19746653C1 (en) * 1997-10-22 1998-11-12 Pfaff Ag G M Sewing machine thread cutting
DE10123075C1 (en) * 2001-05-11 2002-10-10 Duerkopp Adler Ag Thread cutter, at a double lockstitch sewing machine, has a thread drawing blade positioned very close to the fabric support surface, to leave a very short cut end when the thread is severed
US7143705B2 (en) * 2002-03-06 2006-12-05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Multiple horizontal needle quilting machine and method
JP4037151B2 (en) * 2002-04-10 2008-01-23 Juki株式会社 Upper thread hold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DE102006019193A1 (en) * 2006-04-21 2007-10-25 Dürkopp Adler AG Lockstitch sewing machine
DE202006009410U1 (en) * 2006-04-21 2007-08-30 Dürkopp Adler AG Thread-pulling knife for a sewing machine
EP2360305B1 (en) * 2010-02-17 2013-05-08 Nähmaschinenfabrik Emil Stutznäcker GmbH & Co. KG Method for operating a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DE102010043906A1 (en) * 2010-11-15 2012-05-16 Dürkopp Adler AG Sewing machine and method for sewing a seam beginning with such a sewing machine
JP5885018B2 (en) * 2011-09-13 2016-03-15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Fraying prevention method for double chain stitch seams and fraying prevention device for double chain stitch sewing machine
DE102012213599A1 (en) * 2012-08-01 2014-02-06 Dürkopp Adler AG Thread-pulling knife for a sewing machine, thread trimming assembly and sewing machine with such a thread-pulling knif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3278A (en) * 2000-10-10 2002-04-16 Juki Corp Thread-breaking device of sewing machine
KR100987843B1 (en) * 2002-07-27 2010-10-13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Method of Pulling the Free End of a Needle Thread from the Top to the Bottom Side of a Work Piece and Sewing Machine for Putting the Method into Pract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223194B3 (en) 2017-02-23
JP2017099875A (en) 2017-06-08
JP6975533B2 (en) 2021-12-01
CN106757847B (en) 2020-09-08
EP3176296A1 (en) 2017-06-07
KR20170060590A (en) 2017-06-01
CN106757847A (en) 2017-05-31
EP3176296B1 (en) 2019-08-21
TWI753871B (en) 2022-02-01
TW201726999A (en)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7765B1 (en) Method to produce a starting segment of an upper thread in a seam having a short target protrusion of the starting segment with respect to the seam as well as assembly provided to perform such method
KR20080045071A (en) Sewing machine
JP2009061020A (en) Thread cutting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JP4334710B2 (en) Chain stitch sewing machine
US3173390A (en) Chain stitch device for lock stitch sewing machines
KR20210044870A (en) A sewing machine that can seal a cord material, a device for supplying a cord material, and a cord guide
JP2010088760A (en) Needle threader for sewing machine
KR20210044869A (en) Sewing machine and cord cutting device that can seal the cord material
JP3872487B2 (en) Intermittent stitch sewing machine
JP4296560B2 (en) Needle thread guide device for double chain stitch sewing machine
CN110629418B (en) Sewing machine
CN108796855B (en) Assembly and sewing machine for producing a seam start top thread with a target seam projection
KR102481545B1 (en) Method of producing a seam beginning needle thread of a seam to be sewn in a piece of fabric,the seam having a defined nominal excess thread length,and sewing machine configured to implement a method of this type
US1966432A (en) Stitch forming mechanism for buttonhole sewing machines
JP6099378B2 (en) Sewing machine with buttons
US2437976A (en) Hemmed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115189B1 (en) Sewing machine
US1786621A (en) Thread-measuring mechanism for shoe-sewing machines
US1983263A (en) Pull-off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US2328668A (en) Sewing machine
JPH09164280A (en) Intermittent stitch sewing method and sewing machine therefor
US1389000A (en) Sewing-machine
US240546A (en) Button-hole sewing-machine
US1940399A (en) Chain-stitch sewing machine
US1251451A (en) Thread-cutt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