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388B1 -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 - Google Patents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388B1
KR102557388B1 KR1020200033106A KR20200033106A KR102557388B1 KR 102557388 B1 KR102557388 B1 KR 102557388B1 KR 1020200033106 A KR1020200033106 A KR 1020200033106A KR 20200033106 A KR20200033106 A KR 20200033106A KR 102557388 B1 KR102557388 B1 KR 102557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over
dried
group
prese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6929A (ko
Inventor
한봉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하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하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하니
Priority to KR1020200033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38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6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형제를 넣지 않고도 환 형태의 숙취해소제를 제조할 수 있는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세하게 본 발명은 녹차잎, 헛개나무열매, 사철쑥, 칡뿌리 및 구기자나무 열매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 단계; 상기 추출물을 농축시켜 농축물을 제조하는 농축 단계; 및 상기 농축물을 분말 형태의 강황, 백출, 진피, 백편두, 복령균핵, 곽향, 생강 및 감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말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과 혼합하여 반죽물을 획득하는 반죽 단계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Method for manufacturing hangover recovery agent and hangover recovery agent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주로 인하여 알코올이 체내에 흡수되어 축적된 에틸알코올이나, 알코올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아세트알데히드 또는 술 자체에 함유된 극소량의 메틸알코올에 의해 간세포와 뇌세포가 손상을 입게 되며, 체내에 상기 에틸알코올이나 아세트알데히드 또는 메틸알코올이 과다 축적되는 경우 체내의 신진대사 등에 장애가 발생하여 구토, 두통, 전신무력감, 피로감, 소화불량 등이 일어나고, 심한 경우 오한이나 복통, 위장장애 등을 일으키는 숙취현상을 유발하게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숙취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여러 형태의 숙취해소제가 만들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16960호와 같이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환 형태로 상기 조성물을 성형하기 위해, 주재료들을 세척, 건조한 후 분말로 가공한 다음, 상기 분말에 점성을 띄는 꿀, 찹쌀, 전분 등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반죽한 후 성형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로 인해, 제조된 환 형태의 숙취해소제에는 부형제가 평균적으로 20중량% 이상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숙취해소효과가 떨어지는 부형제로 인해, 숙취해소와 관련된 유효성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즉, 기존의 숙취해소제는 일정한 숙취해소 효과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환을 섭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부형제를 넣지 않고도 환 형태의 숙취해소제를 제조할 수 있는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있어서, 본 발명은 녹차잎, 헛개나무열매, 사철쑥, 칡뿌리 및 구기자나무 열매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 단계; 상기 추출물을 농축시켜 농축물을 제조하는 농축 단계; 및 상기 농축물을 분말 형태의 강황, 백출, 진피, 백편두, 복령균핵, 곽향, 생강 및 감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말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과 혼합하여 반죽물을 획득하는 반죽 단계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은 기존의 발명과 달리, 부형제를 넣지 않고도 환 형태의 숙취해소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는 숙취해소에 관한 유효성분이 기존 숙취해소제에 비해 현저히 많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기존 숙취해소제에 비해 현저히 적은 양을 섭취하여도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숙취해소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부형제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의 예시적인 제조 공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의 예시적인 제조 공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대조군, EtOH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1 및 2의 혈중 에탄올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대조군, EtOH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1 및 2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EtOH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1 및 2의 혈중 에탄올 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EtOH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1 및 2의 혈중 알데히드 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실험이 끝나고 EtOH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1 및 2의 각 렛트를 해부하여 간의 ADH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라 EtOH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1 및 2의 에탄올을 섭취한 후 8시간 후 간의 ALDH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부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숙취해소제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녹차잎, 헛개나무열매, 사철쑥, 칡뿌리 및 구기자나무 열매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 단계; 상기 추출물을 농축시켜 농축물을 제조하는 농축 단계; 및 상기 농축물을 분말 형태의 강황, 백출, 진피, 백편두, 복령균핵, 곽향, 생강 및 감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말을 포함하는 제2 혼합물과 혼합하여 반죽물을 획득하는 반죽 단계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녹차(green tea)는 차 (茶)과에 속하는 상록수인 차(Camelliasinensis)의 잎을 원료로 하며, 본 발명의 녹차잎은 이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녹차잎을 건조시킨 형태의 건조 녹차잎일 수 있다. 녹차에는 카테킨과 폴리페놀이 포함되어 있어 동맥경화 등 혈관계 질환에 효과적이며, 특히 카테킨 성분은 아세트알데히드 분해를 촉진해 숙취해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칡뿌리(갈근)는 콩과의 덩굴식물인 칡(Pueraria lobata Ohwi)의 말린 뿌리 또는 주피를 제거하고 말린 뿌리를 말한다. 본 발명의 칡뿌리는 이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지칭할 수 있으며, 칡뿌리는 갈증을 없애고 체내의 술을 빨리 대사시키고 주독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은 쑥 중에 국화과 쑥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형 낙엽관목으로, 사철쑥의 어린 잎을 말린 약재를 인진호라 한다. 본 발명의 사철쑥은 이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지칭할 수 있으며, 사철쑥은 간의 해독작용을 돕고 간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다.
헛개나무열매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의 헛개나무(HoveniadulisThunb.)의 열매로, 본 발명의 헛개나무열매는 이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헛개나무열매는 열병으로 인한 번열, 구갈, 딸꾹질, 구토 등에 쓰며 이뇨를 돕고, 알코올중독으로 상한 간장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구기자나무열매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Miller) 라고 부르는 것의 열매, 그 동속식물의 열매, 그 일부분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기자나무열매는 이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된 형태의 구기자나무열매를 포함할 수 있다. 구기자나무열매는 단백질, 칼슘, 철분, 루틴, 비타민 등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어 간 기능을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강황(Curcuma longa)은 약용으로 쓰이는 뿌리 쪽이 쓰이며, 본 발명의 강황은 이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강황에는 여러 가지 유용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성분은 커큐민(Curcumin)이다. 강황은 간 기능을 개선하고 담즙의 분비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다.
백출(삽주뿌리줄기)은 삽주(Atractylodes ovata)의 뿌리줄기로, 본 발명의 백출은 이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백출은 장(腸)의 연동운동을 촉진하여 소화의 촉진과 가스의 배출을 돕고 부종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진피는 귤의 과피, 예를 들어 운향과의 귤(Citrus unshiu Markovich)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성숙한 과피, 병감의 과피, 귤감의 과피, 그 동속식물의 과피 또는 그 일부분을 지칭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진피는 이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진피는 항알레르기 활성, 진정 효과, 항바이러스 활성, 세로토닌 작용도 향상, 간손상 억제 효과가 있다.
백편두는 콩과(Leguminosae)의 편두(Dolichos lablab Linn)의 잘 익은 씨를 건조한 것으로, 제비콩씨앗이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의 백편두는 이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백편두는 술로 인한 주독을 없애고 갈증을 그치게 하며, 항암작용, 면역증가작용의 효과가 있다.
복령균핵은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인 복령(Poria cocos)의 균핵을 말린 것으로, 본 발명의 복령균핵은 이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복령은 소화기 및 뇌의 부종을 없애 배가 더부룩한 증상과 머리가 무거운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곽향(배초향지상부)은 배초향(Agastache rugosa (Fischer et Meyer) O. Kuntze)의 지상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배초향 입사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곽향은 배초향의 지상부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곽향은 특유한 향기를 제공하여 숙취해소제의 향미를 증진시키고, 시원하고 담담한 맛을 부여하여 메스꺼움을 해소하고 숙취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생강은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 또는 그 동속식물의 말린 뿌리줄기를 지칭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생강은 그 일부분,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 예를 들어 생강을 건조시킨 건생강(건강)을 지칭할 수 있다. 생강은 위액분비촉진, 장관 연동작용 활성화, 소화촉진, 구토를 가라앉히며 심장을 흥분시켜 혈압을 상승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항염, 진통작용, 억균작용의 효과가 있다.
감초는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또는 그 동속식물의 뿌리와 줄기 일부를 껍질이 붙은 채로, 또는 껍질을 벗긴 것을 지칭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감초는 이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감초는 항염, 항궤양 효과, 소염, 해열진통 효과 및 에스트로겐 활성에 효과가 있다. .
본 발명의 녹차잎, 헛개나무열매, 사철쑥, 칡뿌리 및 구기자나무 열매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은 혼합물은 녹차잎, 헛개나무열매, 사철쑥, 칡뿌리 및 구기자나무 열매를 1 : 1~2 : 1~2 : 1~2 : 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2:2:2:2의 중량비로 상기 녹차잎, 헛개나무열매, 사철쑥, 칡뿌리 및 구기자나무열매,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혼합하여 상기 제1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량비는 예를 들어 건조 상태의 중량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혼합물을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추출방법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기용매, 알코올 또는 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제1 혼합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추출 단계는 열수 추출로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열수 추출은 100 내지 130℃의 온도에서 5 내지 12시간 동안, 바람직하게 상기 온도는 100 내지 120℃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수 추출의 온도가 100℃ 미만인 경우에는 멸균의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130℃를 초과하거나, 상기 열수 추출 시간이 5시간 미만이거나 1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율(효율)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은 제1 혼합물 중량의 5 내지 10배의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한 번 이상의 추출을 수행하여 제1 혼합물로부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추출물은, 제1 혼합물을 1차 추출하고, 추가로 추출 용매를 추가하여 2차 추출을 수행하여 획득된 추출물을 여과하여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제1 혼합물을 1차 추출하고, 1차 추출에 의해 증발된 추출 용매 중량의 80 내지 120중량%에 해당하는 추출용매를 추가로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여과하여 획득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추출물은 제1 혼합물을 제1 혼합물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사용하여 120℃에서 10시간 동안 1차 추출을 수행하고, 추출물을 더 추출하기 위해 1차 추출 후 다시 제1 혼합물 중량의 5배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넣고 120℃에서 5시간 동안 2차 추출을 수행하여 획득된 추출물을 여과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을 농축시켜 농축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농축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진공농축기를 사용하여 감압 농축을 통해 상기 농축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농축물은 숙취해소제에서 숙취해소의 역할과 동시에 다른 성분들의 결합매질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농축물은 60브릭스 이상의 점도,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65브릭스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농축물의 점도가 60브릭스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추출물과 제2 혼합물의 결합력이 감소하여 환 형태의 숙취해소제를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제조된 농축물과 제2 혼합물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는 상기 반죽물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농축물 및 상기 제2 혼합물을 3:7 내지 4:6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3.5:6.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상기 반죽물을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균일한 혼합을 위해 추가적으로 교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농축물 및 상기 제2 혼합물의 중량비가 3:7 미만, 즉, 상기 농축물의 중량이 농축물 및 제2 혼합물 총 중량의 3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제2 혼합물의 각 성분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상기 농축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환 형태의 숙취해소제를 제조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농축물 및 상기 제2 혼합물의 중량비가 4:6 초과, 즉, 상기 농축물의 중량이 농축물 및 제2 혼합물 총 중량의 4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농축물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많아, 반죽의 농도가 묽어져 환의 형태로 성형이 불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 제조 방법은 상기 반죽물을 환 형태로 제공하기 위해, 제환기를 통해 상기 반죽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상기 반죽물을 성형하는 단계; 및 성형된 반죽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찹쌀, 꿀, 전분 등을 이용하여 실제 숙취해소에 관여하는 성분의 비율이 낮아지는 기존 발명에 비해,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는 숙취해소에 관여하는 성분이 결합 매질로 작용하는 바, 기존 발명에 비해 현저히 적은 양으로도 기존 발명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숙취해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농축물의 제조
건조 녹차잎 56kg, 건조 헛개나무열매 112kg, 건조 사철쑥 112kg, 건조 칡뿌리 112kg, 및 건조 구기자나무 열매 112kg을 추출 탱크에 넣고, 정제수 5,040kg(건조 녹차잎, 건조 헛개나무열매, 건조 사철쑥, 건조 칡뿌리 및 건조 구기자나무 열매의 총 중량의 10배)을 추출 탱크에 주입하였다.
상기 추출 탱크에서, 120℃의 온도로 10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건조 녹차잎, 헛개나무열매, 사철쑥, 칡뿌리 및 구기자나무 열매로부터 1차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상기 1차 추출물을 진행한 추출 탱크에, 정제수 2,520kg(건조 녹차잎, 건조 헛개나무열매, 건조 사철쑥, 건조 칡뿌리 및 건조 구기자나무 열매의 총 중량의 5배)의 정제수를 주입한 다음, 120℃의 온도로 5시간 동안 열수 추출을 수행하여 2차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2차 추출물을 1㎛의 필터로 여과하였다. 그 후 여액을 진공 농축기에서 농축시켜 65브릭스 점도의 농축물을 획득하였다.
2) 숙취해소제의 제조
강황뿌리줄기(강황) 112kg, 삽주뿌리줄기(백출) 112kg, 귤나무열매 껍질(진피) 112kg, 제비콩씨앗(백편두) 56kg, 복령균핵(복령) 56kg, 배초향 지상부(곽향) 56kg, 건강(생강) 28kg 및 감초 28kg을 각각 세척하고 건조시켰으며, 다음으로 각각 성분을 평균입경 100㎛의 분말로 분쇄하고, 각각의 분말을 혼합하였다.
혼합된 분말을 상기 농축물과 혼합하여 35:65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교반하여 반죽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반죽물을 1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제환기를 통해 입경 4mm 크기로 제환하고, 18시간 동안 건조하여 숙취해소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숙취해소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획득된 환 형태의 숙취해소제의 숙취해소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다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실험 방법
① 실험재료
혈중 알코올 분해 및 숙취개선 실험에 사용할 제품(실시예에서 제조된 환)과 양성대조군(시제품, ㈜오스틴제약으로부터 제공받음)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의 숙취해소 효과를 측정하였다.
② 실험동물의 사육
SPF (Specific pathogen free)의 7주령 수컷 SD(Sprague-Dawley) 렛트를 구입((주)오리엔트바이오, 경기도)하여 1주간 예비 사육한 후 8주째에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항온항습시스템을 갖춘 후드 내 폴리카보네이트 케이지(polycarbonate cage, 278Х420Х200mm)에 넣고, 실내온도 22±2℃ 기류속도 13-18 cm/sec, 환기횟수 10-20회/h, 명암주기 12시간; 7:00-9:00, 조도 150-300 Lux에서 사육하였다. 주기적으로 베딩을 갈아주어 청결을 유지하였으며, 식이는 상용화된 펠렛 차우(pellet chow)를 공급하고 실험기간 동안 사료와 급수 제한을 두지 않았다.
③ 투여용량 및 투여방법
실험동물 SD rat을 1주일 동안 사육환경에 적응시킨 후 몸무게가 동일하게 무작위로 배정하여 5군으로 나누었다(대조군, EtOH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숙취 실험 전날, 사료 섭취로 인한 위장관의 알코올 흡수 방해를 막기 위해 시료 투여 전 18시간동안 절식시켰다. 실험군으로 실시예를 각각 0.2g/kg(실험군 1)과 0.4g/kg(실험군 2)의 양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실시예 투여 30분 후에 에탄올을 3g/kg의 양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 물만을 경구 투입하였고, EtOH군으로 물과 동시에 에탄올을 3g/kg의 양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시제품을 사용하였고 0.2g/kg의 양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된 용량 및 조성을 표 1에 정리하였다.
그룹 투여된 용량 및 조성
대조군
EtOH군 물 + 에탄올 3g/kg의 양
양성대조군 시제품 0.2g/kg의 양 + 에탄올 3g/kg의 양
실험군 1 실시예 0.2g/kg의 양 + 에탄올 3g/kg의 양
실험군 2 실시예 0.4g/kg의 양 + 에탄올 3g/kg의 양
④ 실험동물의 채혈
실시예, 시제품 등과 에탄올을 순서대로 투여 후 1시간, 3시간, 5시간에 각각 채혈였다.
⑤ 혈중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와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측정
혈액을 이용하여 간독성 지표인 AST, ALT를 측정하였다.
⑥ 혈중 에탄올(Ethanol)과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 농도 측정
혈중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는 키트(Biovisio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⑦ ADH (Alcohol dehydrogenase) 농도 측정
ADH의 활성 측정은 블란디노(Blandino)의 방법(Bostian. et al., 1978)을 변형하여 측정하였으며, 흡광도 340nm에서 NADH의 생성속도를 지표로 사용하였다.
반응액의 조성은 증류수 1.4mL, 1.0M 트리스-HCl 버퍼(pH8.8) 0.75mL, 20mM NAD+ 0.3mL, 에탄올 0.3mL, 채혈된 혈액 0.1mL의 혼합액과 효소원 0.15mL을 큐벳에 넣어 총 3mL이 되도록 조절하여 30℃에서 5분간 전-배양(pre-incubation)한 후, 5분간 340nm에서의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때, 채혈된 혈액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시료의 ADH 활성은 상기 대조군에 대한 상대 활성을 측정하였다.
⑧ ALDH (Acetaldehyde dehydrogenase) 농도 측정
ALDH의 활성 측정은 블란디노의 방법(Bostian. et al., 1978)을 변형하여 측정하였으며, 흡광도 340nm에서 NADH의 생성속도를 지표로 사용하였다. 반응액의 조성은 증류수 2.1mL, 1.0M 트리스-HCl 버퍼(pH 8.0) 0.3mL, 20mM NAD+ 0.1mL, 채혈된 혈액 0.1mL의 혼합액과 효소원 0.1mL를 큐벳에 넣어 총 3mL이 되도록 조절하여 30℃에서 5분간 전-배양한 후, 5분간 340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시료의 ALDH 활성은 상기 대조군에 대한 상대 활성으로 측정하였다.
⑨ 통계 분석
실험결과는 평균 ± 표준오차로 나타낸다. 군 간의 비교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듀칸(Duncan)의 다중검정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이용하여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p < 0.05).
(2) 실험 결과
① 실험동물의 분류 및 체중
SD rat을 체중 별로 분류하였다. 체중은 각 그룹마다 평균 241.5g으로 서로 같게 나누었다.
그룹 대조군 EtOH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체중(g)(평균±표준오차) 241.5±6.7 241.5±4.6 241.5±5.4 241.5±4.6 241.5±4.4
② 실험동물의 조직무게
시료를 경구 투여 한 숙취 개선 실험에서 해부 후 간, 신장, 비장 조직의 무게는 하기 표 3에 정리하였다. 급성 알코올 투여와 시료 투여에 대한 독성을 확인 하기 위해 해부하여 장기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해부 후 체중 대비 조직 무게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룹 간(g) (평균±표준오차) 신장(g) (평균±표준오차) 비장(g) (평균±표준오차)
대조군 4.22±0.25 0.93±0.04 0.23±0.02
EtOH군 4.43±0.13 0.95±0.04 0.22±0.01
양성대조군 4.23±0.19 0.90±0.03 0.22±0.01
실험군 1 4.22±0.06 0.92±0.02 0.24±0.02
실험군 2 4.28±0.12 0.90±0.01 0.21±0.02
③ 혈청 AST 및 ALT
해부 후 혈청 AST 및 ALT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체내 독성 지표인 AST, ALT를 해부 후 측정한 결과 그룹 간에 서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각 그룹에서 물, 시제품, 실시예 및 급성 알코올의 투여가 8시간 이후 해부한 혈청의 AST 및 ALT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룹 AST (Karmen/mL) ALT (Karmen/mL)
대조군 64.59±8.21 30.80±3.83
EtOH군 70.36±4.88 34.82±3.20
양성대조군 63.11±4.84 27.79±4.28
실험군 1 71.44±6.30 27.48±2.19
실험군 2 73.06±5.10 24.34±3.13
④ 혈중 에탄올(Ethanol) 농도
대조군, EtOH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1 및 2의 혈중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혈중 에탄올 측정 결과 에탄올을 투여하고 나서 1시간 후에는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군들에서 혈중 에탄올 농도가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양성대조군, 실험군 1 및 2에서는 혈중 에탄올의 증가가 EtOH군에 비해 그 농도가 낮았으며, 에탄올을 투여하고 3시간 후에는 EtOH군에서 혈중 에탄올 농도가 감소하였으나 다른 군들은 에탄올 투여 1시간째와 비교하였을 때 에탄올의 농도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EtOH군에 비해 다른 군들이 모두 혈중 에탄올 농도가 여전히 낮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에탄올 투여 5시간 후에는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군들이 혈중 에탄올 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중 실험군 2에서는 혈중 에탄올 농도가 EtOH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⑤ 혈중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 농도
일반적으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는 우리가 술을 마시고 나서 숙취를 일으키는 물질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가 낮을수록 술을 마시고나서 나타나는 두통 등이 적게 나타난다. 따라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따라서, 대조군, EtOH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1 및 2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에탄올 투여 1시간 후에는 EtOH군을 제외한 모든 군들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또한 실험군 2는 대조군과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에탄올 투여 3시간 후에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증가하였으나 EtOH군에 비해 다른 군들이 모두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탄올 투여 5시간 후에는 아세트알데히드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험군 2는 EtOH군보다 낮은 것으로 보아 숙취를 덜 일으키는 것으로 알 수 있었으며, 실험군 2는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수치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실험군 2는 에탄올 섭취 5시간 후에 숙취가 없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⑥ 혈중 에탄올 분해효소 (Alcohol dehydrogenase-ADH) 활성
일반적으로 ADH는 에탄올 대사 중 에탄올을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시키는 효소로, 이 효소의 활성이 낮을 경우 체내에 들어온 에탄올을 빠르게 분해하지 못해 혈중에 에탄올이 높게 유지가 되어있고 또한 남아있는 에탄올이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되어 숙취를 일으키는 아세트알데히드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낸다.
따라서, EtOH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1 및 2의 혈중 에탄올 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혈중 ADH의 활성을 측정하였을 때 에탄올 섭취 1시간에 실험군 2에서 ADH 활성이 높게 유지되어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에탄올이 체내에 들어오면 빠르게 분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⑦ 혈중 알데히드 분해효소 (Aldehyde dehydrogenase-ALDH) 활성
일반적으로, 아세트알데히드는 숙취를 일으키는 물질로써 아세트알데히드가 빠르게 분해되어 아세트산이 되어야 숙취를 일으키지 않는데, 이때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효소가 ALDH이다.
따라서, EtOH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1 및 2의 혈중 알데히드 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EtOH군에서 ALDH의 활성이 시간에 따라 지나감에 따라 증가하나 다른 군들에 비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군 2는 시간에 지남에 따라 ALDH의 활성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숙취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⑧ 간조직의 ADH 농도
일반적으로 ADH는 에탄올을 분해하여 아세트알데히드를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하나, 계속적으로 ADH의 활성이 높을 경우 혈액 중에 남아 있는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ADH의 지속적인 작용은 아세트알데히드를 지속적으로 만들고 또한 축적시켜, 숙취가 오래 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실험이 끝나고 EtOH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1 및 2의 각 렛트를 해부하여 간의 ADH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실험 후에 ADH의 활성은 서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⑨ 간조직의 ALDH 농도
숙취의 원인 물질은 아세트알데히드로써 아세트알데히드는 단백질과 결합하여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저해를 통해 간질환, ALDH 활성저하 등을 보인다.
따라서, EtOH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1 및 2의 에탄올을 섭취 후 8시간 후에 간의 ALDH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간에서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ALDH의 활성이 EtOH군에 비해 다른 군들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 실험군 2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이는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는 숙취 원인 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시켜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는 것임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9)

  1. 건조 녹차잎, 건조 헛개나무열매, 건조 사철쑥, 건조 칡뿌리 및 건조 구기자나무 열매를 1 : 1~2 : 1~2 : 1~2 : 1~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열수 추출하여 액상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 단계;
    상기 액상의 추출물을 농축시켜 액상의 농축물을 제조하는 농축 단계; 및
    상기 액상의 농축물을, 강황, 백출, 진피, 백편두, 복령균핵, 곽향, 생강 및 감초의 분말을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제2 혼합물과, 3:7 내지 4: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반죽물을 획득하는 반죽 단계
    를 포함하여, 부형제를 사용하지 않는, 환 형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은 100 내지 130℃의 온도에서 5 내지 12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인, 환 형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추출물은, 제1 혼합물을 1차 추출하고, 추가로 추출 용매를 추가하여 2차 추출을 수행하여 획득된 추출물을 여과하여 획득하는 것인, 환 형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농축물은 60 내지 65브릭스의 점도인, 환 형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물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된 반죽물을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환 형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9.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환 형 숙취해소제.
KR1020200033106A 2020-03-18 2020-03-18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 KR102557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106A KR102557388B1 (ko) 2020-03-18 2020-03-18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106A KR102557388B1 (ko) 2020-03-18 2020-03-18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929A KR20210116929A (ko) 2021-09-28
KR102557388B1 true KR102557388B1 (ko) 2023-07-20

Family

ID=7792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106A KR102557388B1 (ko) 2020-03-18 2020-03-18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995B1 (ko) * 2022-01-04 2022-11-03 주식회사 엠제이블루밍알앤디 숙취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155B1 (ko) * 2004-02-19 2007-01-16 전라남도 복방차료제를 함유하는 숙취완화용 드링크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1034986B1 (ko) * 2010-12-17 2011-05-17 김춘성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058298B1 (ko) * 2018-10-26 2019-12-20 심재원 숙취 해소제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015A (ko) * 2002-11-26 2004-06-05 염동순 코골이 및 숙취 해소 음료와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155B1 (ko) * 2004-02-19 2007-01-16 전라남도 복방차료제를 함유하는 숙취완화용 드링크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1034986B1 (ko) * 2010-12-17 2011-05-17 김춘성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058298B1 (ko) * 2018-10-26 2019-12-20 심재원 숙취 해소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929A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431B1 (ko) 혈당강하 효과가 있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0956278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346244B1 (ko)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20110033644A (ko) 혈중 알코올 분해 속도를 촉진시키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1114586A1 (zh) 一种具有提高免疫力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5010498A1 (zh) 快速清理身体代谢毒素的天然草本组合物
TWI763970B (zh) 角豆樹果組合物及其製備方法與應用
CN109498771B (zh) 一种改善轻度认知功能障碍的靶向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557388B1 (ko)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
CN107184702B (zh) 一种防治家禽腺胃炎肌胃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870627A (zh) 一种解酒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4771567A (zh) 一种解酒药物组合物
KR20020078467A (ko) 간기능 회복을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034986B1 (ko)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WO2018052171A1 (ko)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 치료용 조성물과 그 추출방법
CN105748628A (zh) 一种治疗仔猪腹泻的中药可溶性粉剂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101093006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우황 청심원 원료 함유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KR10064280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2454995B1 (ko) 숙취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057536B (zh) 一种预防或/和治疗血脂异常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12057535B (zh) 一种预防或/和治疗血脂异常的中药组合物的制备方法
CN109200125A (zh) 一种用于治疗雾霾天气引起呼吸系统疾病的桔梗复方含片及其制备方法
CN116196383B (zh) 一种用于预防和控制嚼食精制槟榔引起的便溏和肠道炎症的药食同源植物提取物及精制槟榔
KR102181184B1 (ko) 고소애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