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716B1 -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 및 그 보관·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 및 그 보관·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716B1
KR102556716B1 KR1020197018137A KR20197018137A KR102556716B1 KR 102556716 B1 KR102556716 B1 KR 102556716B1 KR 1020197018137 A KR1020197018137 A KR 1020197018137A KR 20197018137 A KR20197018137 A KR 20197018137A KR 102556716 B1 KR102556716 B1 KR 102556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orifice plate
gas
extinguishing agent
agen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204A (ko
Inventor
야스후미 이노우에
마사히로 야부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아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아츠
Publication of KR20190100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reduce the generation or the transmission of noise or to produce a particular sound; associated with noise monito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분사 헤드를 재고로서 보관하기 쉽게 함으로써, 보관 장소의 제약이나 코스트 상승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 및 그 보관·조립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서, 분사 헤드(1)가 배관과의 접속부(21)를 형성한 분사 헤드 본체(2)와, 분사 헤드 본체(2)에 배치한 소화제 가스가 유통하는 오리피스(31a, 32a)를 형성한 오리피스 판(31, 32)과, 오리피스 판(32)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배치한 소화제 가스가 유통 가능한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블록 형상의 소음 부재(4)를 구비하고, 오리피스 판(31)을 분사 헤드 본체(2)의 배관과의 접속부(21)측의 개구(22)를 통과시켜 분사 헤드 본체(2)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 및 그 보관·조립 방법
본 발명은 질소, 이산화탄소, 불소 화합물 등의 소화제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계 소화 설비에 있어서, 소화 대상 구획에 소화제 가스를 방출하기 위해서 천장이나 벽면 등에 설치되는 분사 헤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소화제 가스가 방출될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에 관한 것이다.
질소, 이산화탄소, 불소 화합물 등의 소화제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계 소화 설비에 있어서, 소화시에 가스계 소화 설비가 작동하면 약 1분간 이내(불소 화합물의 소화제 가스인 경우에는 10초)에서 소화 대상 구획의 소화제 가스 농도가 소화 농도에 도달하도록 소화제 가스가 방출된다.
이 때, 소화제 가스는 소화 대상 구획에 소화제 가스를 방출하기 위해 천장이나 벽면 등에 설치되는 분사 헤드로부터 방출되지만, 가스계 소화 설비용 분사 헤드는 도 2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소화제 가스가 공급되는 배관(40)에 접속된 분사 헤드(10A)의 출구부에 오리피스(20)를 구비하고, 오리피스(20)로부터 소화제 가스를 직접 소화 대상 구획으로 방출하도록 한 것이나,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소화제 가스가 공급되는 배관(40)에 접속된 분사 헤드(10B)의 출구부에 오리피스(20) 및 원뿔 형상의 디플렉터(편향 부재)(50)를 구비하고, 오리피스(20)로부터 방출된 소화제 가스를 디플렉터(편향 부재)(50)에 의해 편향시켜 소화 대상 구획으로 방출하도록 한 것, 또한 도 2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분사 헤드(10C)의 출구부에 오리피스(도시생략) 및 원뿔 통 형상의 호른(확산 부재)(60)을 구비하고, 오리피스로부터 방출된 소화제 가스를 호른(확산 부재)(60)에 의해 확산시켜 소화 대상 구획으로 방출하도록 한 것 등이 종래부터 범용되어 왔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분사 헤드(10A, 10B, 10C)는 소화 대상 구획에 통상 복수개 설치되는 각각의 분사 헤드로부터 같은 양의 소화제 가스가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분사 헤드로부터 방출되는 소화제 가스의 유량을 오리피스(20)에 의해 제한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때문에 분사 헤드로부터 소화제 가스가 방출될 때에, 고레벨의 소음(구체적으로는, 120db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가스계 소화 설비의 작동시에는 소화 대상 구획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분사 헤드로부터 소화제 가스가 방출될 때에 발생하는 소음(진동)에 대해서는 종래 전혀 문제시되지 않고, 아무런 대책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가스계 소화 설비의 작동시에 소화 대상 구획 내에 도망치지 못한 사람이 있는 경우의 대처, 또한 분사 헤드로부터 소화제 가스가 방출될 때에 발생하는 소음이 주위에 있는 사람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것, 또한 소음(진동)이 정보통신기기 등의 정밀기기의 고장의 요인이 되는 등의 지견에 근거하여, 소화제 가스가 방출될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어 왔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5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11-11525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1-12567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1-25515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3-16933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3-192764호 공보
이와 같이, 분사 헤드로부터 소화제 가스가 방출될 때에 발생하는 소음(「진동」을 포함하고, 이하, 간단히 「소음」이라고 함)에 기인하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상기 기술 중,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소화 설비를 기동해야 할 경우에, 소화 설비의 기동 타이밍과, 소화 설비 기동에 따른 ICT 장치의 동작 불량 발생 방지를 위한 회피 조치 타이밍을 연동시킴으로써 소음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었다.
한편, 특허문헌 2∼5에 기재된 기술은 또한 소음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만, 소음의 저감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분사 헤드가 일반적인 분사 헤드와 비교해서 대형화하게 되기 때문에, 보관 장소나 설치 개소의 제약이나 코스트 상승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가스계 소화 설비는 소화제 가스가 방출되는 구획의 용적에 따른 양의 소화제 가스를 규정 시간에 방출할 필요가 있지만, 이 때문에, 구획의 용적 및 소화제 가스를 방출하는 분사 헤드의 개수에 의해 각 분사 헤드로부터 방출되는 소화제 가스의 유량을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 소화제 가스의 유량의 조절은, 통상 분사 헤드에 설치되는 오리피스의 형상(오리피스 판에 형성한 소화제 가스가 유통하는 오리피스의 크기 및 수)을 선정함으로써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분사 헤드는 1개의 형상, 1개의 사이즈를 받아들여도, 오리피스의 형상의 차이에서 수십 종류가 되고, 또한 사이즈(20A, 25A, 32A, 40A)마다 집계하면 수백 종류도 된다.
그리고, 분사 헤드의 출하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1개의 형상으로 오리피스의 형상을 다르게 한 수백 종류의 분사 헤드를 재고로서 보관해 두지 않으면 안되고, 보관 장소의 제약이나 코스트 상승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분사 헤드, 특히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가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분사 헤드를 재고로서 보관하기 쉽게 함으로써, 보관 장소의 제약이나 코스트 상승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한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 및 그 보관·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는 소화제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계 소화 설비에 있어서 소화 대상 구획에 소화제 가스를 방출하기 위해 소화제 가스가 공급되는 배관에 접속해서 설치되는 소음 수단을 구비한 분사 헤드로서, 상기 분사 헤드가 상기 배관과의 접속부를 형성한 분사 헤드 본체와, 상기 분사 헤드 본체에 배치한 소화제 가스가 유통하는 오리피스를 형성한 오리피스 판과, 상기 오리피스 판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배치한 소화제 가스가 유통 가능한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블록 형상의 소음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오리피스 판을 분사 헤드 본체의 배관과의 접속부측의 개구를 통과시켜 분사 헤드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판을 분사 헤드 본체의 배관과의 접속부측에 장착하는 C형 리테이닝 링에 의해 고정되도록 해서 이루어지거나, 분사 헤드 본체에 나사 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오리피스 판에 분사 헤드 본체의 배관과의 접속부측의 개구를 통과시켜 오리피스 판을 회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보관·조립 방법은 상기의 소화제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계 소화 설비에 있어서 소화 대상 구획에 소화제 가스를 방출하기 위해 소화제 가스가 공급되는 배관에 접속해서 설치되는 소음 수단을 구비한 분사 헤드의 보관·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사 헤드가 상기 배관과의 접속부를 형성한 분사 헤드 본체와, 상기 분사 헤드 본체에 배치한 소화제 가스가 유통하는 오리피스를 형성한 오리피스 판과, 상기 오리피스 판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배치한 소화제 가스가 유통 가능한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블록 형상의 소음 부재를 구비하게 되고, 상기 분사 헤드 본체에 상기 소음 부재를 장착한 상태로 보관해 두고, 출하시에 상기 오리피스 판을 분사 헤드 본체의 배관과의 접속부측의 개구를 통해서 분사 헤드 본체에 장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 및 그 보관·조립 방법에 의하면, 오리피스 판을 분사 헤드 본체의 배관과의 접속부측의 개구를 통과시켜 분사 헤드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분사 헤드 본체에 소음 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 재고로서 보관해 두고, 출하시에 분사 헤드로부터 방출되는 소화제 가스의 유량에 대응한 오리피스 판을 분사 헤드 본체의 배관과의 접속부측의 개구를 통해서 분사 헤드 본체에 장착하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인 분사 헤드와 비교해서 대형화하는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를 재고로서 보관하기 쉽게 함으로써, 보관 장소의 제약이나 코스트 상승의 문제를 해소하면서, 분사 헤드의 출하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비스듬하게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정면도이다.
도 3은 동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동 평면도(오리피스 판(31)을 장착하기 전의 상태)이다.
도 5는 동 저면도이다.
도 6은 (a)는 도 4의 X-X 단면도(오리피스 판(31)을 장착한 상태),(b)는 오리피스 판의 고정에 사용하는 C형 리테이닝 링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고, (a)는 단면도, (b)는 오리피스 판의 회전 조작에 사용하는 조작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내는 비스듬히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동 정면도이다.
도 15는 동 배면도이다.
도 16은 동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동 우측면도이다.
도 18은 동 평면도(오리피스 판(31)을 장착하기 전의 상태)이다.
도 19는 동 저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X-X 단면도(오리피스 판(31)을 장착한 상태)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1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종래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분사 헤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6에,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1)는 소화제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계 소화 설비에 있어서 소화 대상 구획에 소화제 가스를 방출하기 위해 소화제 가스가 공급되는 배관(도시생략)에 접속해서 설치되는 것이며, 분사 헤드(1)가 배관과의 접속부(21)를 형성한 분사 헤드 본체(2)와, 분사 헤드 본체(2)에 배치한 소화제 가스가 유통하는 오리피스(31a, 32a)를 형성한 오리피스 판(31, 32)과, 오리피스 판(31, 32)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배치한 소화제 가스가 유통 가능한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블록 형상의 소음 부재(4)를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오리피스 판(31, 32)은 분사 헤드 본체(2)의 배관과의 접속부(21)측의 개구를 통과시켜 분사 헤드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오리피스 판(31)과, 분사 헤드 본체(2)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배치한 오리피스 판(32)으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오리피스 판(31)과 오리피스 판(32) 사이에는 층상의 공간(24)을 형성하도록 하고, 소음 부재(4)를 오리피스 판(32)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중, 오리피스 판(31)은 분사 헤드(1)로부터 방출되는 소화제 가스의 유량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예를 들면 오리피스(31a)의 형상(오리피스(31a)의 크기 및 수)이 다른 복수 종류의 오리피스 판(31)을 미리 준비해 두고, 출하시에 별도 재고로서 보관하고 있던 분사 헤드 본체(2)에 소음 부재(4)를 장착한 상태의 것에, 분사 헤드(1)의 설치 장소 등의 조건에 따라 분사 헤드로부터 방출되는 소화제 가스의 유량에 대응한 오리피스 판(31)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오리피스 판(31)을 분사 헤드 본체(2)의 배관과의 접속부(21)측의 개구(22)를 통해서 분사 헤드 본체(2)에 장착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오리피스 판(31)은 분사 헤드 본체(2)의 접속부(21)측의 내부 공간에 형성한 단차부(23)에 깊이 들어가도록 배치하고, 분사 헤드 본체(2)의 배관과의 접속부(21)측에 장착하는 C형 리테이닝 링(7)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오리피스 판(31)의 고정 수단은 C형 리테이닝 링(7)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의 실시예에 있어서 채용하고 있는 나사 이외에, 용수철이나 자석 등 임의의 고정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오리피스 판(31)은 분사 헤드 본체(2)의 접속부(21)측의 내부 공간에 형성한 단차부(23)에 깊이 들어가도록 배치되고, 소화제 가스가 방출될 때는 소화제 가스의 압력을 받아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 수단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분사 헤드와 비교해서 대형화하는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1)를 재고로서 보관하기 쉬워져, 보관 장소의 제약이나 코스트 상승의 문제를 해소하면서, 분사 헤드(1)의 출하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오리피스 판(32)은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등각도 간격으로 6개)의 오리피스(32a)를 형성한 오리피스 판(32)을 분사 헤드 본체(2)의 내부 공간에 형성한 단차부(25)에, 예를 들면 단차부(25) 및 오리피스 판(32)의 둘레면에 형성한 나사를 통해서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필요에 따라서 오리피스(32a)의 형상(오리피스(32a)의 크기 및 수)이 다른 복수 종류의 오리피스 판(32)을 분사 헤드(1)의 설치 장소 등의 조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착탈 가능한 오리피스 판(32)을 생략하고, 분사 헤드 본체(2)에 동일한 오리피스(32a)를 직접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오리피스 판(32)은 소음 부재(4)에 면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소음 부재(4)의 중심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해서 소화제 가스를 균일하게 유통시킴으로써, 소화제 가스의 방출 부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소음의 저감률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블록 형상의 소음 부재(4)는 일체 구조의 것으로 구성하는 것 이외에,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부재(41), 둘레면 부재(42) 및 중심 부재(41)와 둘레면 부재(42)의 끝면을 커버하는 끝면 부재(43)로 이루어지는 분할 구조의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소음 부재(4)를 구성하는 다공성 재료는 형상 유지 성능이 높은 무기 재료(금속, 금속의 산화물, 금속의 수산화물 등)로 이루어지는 소결체 이외에, 도전 처리를 행한 발포 수지에 전기 도금을 행하고, 그 후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삼각기둥 형상의 골격이 3차원으로 이어지는 기공(기공률: 최대 98%)을 가지는 금속(Ni, N-Cr) 다공체(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제 「CELMET」(등록상표))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소음 부재(4)를 구성하는 다공성 재료의 공극의 구멍지름은 전체를 균질한 재료로 구성하는 것 이외에, 기체가 유통하는 방향으로 변화시킨 재료,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체가 유통하는 방향으로 작게 한 재료로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 부재(41)의 공극의 구멍지름보다, 둘레면 부재(42) 및 끝면 부재(43)의 공극의 구멍지름이 작아지도록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음 부재(4)를 구성하는 다공성 재료의 공극의 구멍지름을 기체가 유통하는 방향으로 작게 함으로써, 소음 부재(4)의 각 부위로부터 소화제 가스를 균일하게 방출함으로써, 소화제 가스의 방출 부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소음의 저감률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소음 부재(4)는 볼트(5) 및 링 부재(6)에 의해, 분사 헤드 본체(2)에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소음 부재(4)는 일체 구조, 분할 구조 중 어느 경우도, 소음 부재(4)의 일방측의 끝면이 분사 헤드 본체(2)(본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 판(32)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음)에 접해서 배치됨과 아울러, 소음 부재(4)의 둘레면 및 타방측의 끝면이 볼트(5)를 통해서 분사 헤드 본체(2)에 소음 부재(4)를 고정하는 링 부재(6)에 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대기로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소음 부재(4)의 대기로 개방되는 소화제 가스의 방출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소음의 저감률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소화제 가스가 방출될 때에 분사 헤드(1)에 걸리는 소화제 가스의 분사 반력을 소음 부재(4)의 둘레면으로부터 방출되는 소화제 가스의 분이 분사 헤드(1)의 단위로 상쇄되는 것과 더불어, 작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볼트(5)를 소음 부재(4), 본 실시예에서는 둘레면 부재(42) 및 끝면 부재(43)의 내부를 관통해서 분사 헤드 본체(2)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소음 부재(4)를 오리피스 판(32)에 면하도록 하여 분사 헤드 본체(2)에 고정, 일체화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음 부재(4)의 대기로 개방되는 소화제 가스의 방출 면적을 한층 더 크게 취할 수 있고, 소음의 저감률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방출되는 소화제 가스가 볼트(5)에 간섭하는 것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5)가 관통하는 소음 부재(4)의 부위, 본 실시예에서는 둘레면 부재(42) 및 끝면 부재(43)의 부위(42a, 43a)를 다른 개소보다 외주측으로 팽출한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음 부재(4)의 대기로 개방되는 소화제 가스의 방출 면적을 더한층 크게 취할 수 있고, 소음의 저감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소음 부재(4)를 구성하는 다공성 재료를 판 형상의 소재로부터 절출해서 작성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형상(사각형에 근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재료의 낭비를 없앨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5)가 관통하는 소음 부재(4)의 부위를 다른 개소보다 외주측으로 팽출한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했지만, 균일한 둘레면 형상(원기둥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도 7에,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1)는 제 1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오리피스 판(32)을 생략하고, 오리피스 판(31)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소음 부재(4)를 배치하도록 한 것이다(이하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오리피스 판(32)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분사 헤드(1)에 있어서 오리피스 판(31)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형성하고 있던 층상의 공간(24)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제 2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의 분사 헤드(1)와 같다.
도 8에,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1)는 제 1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오리피스 판(31)을, 분사 헤드 본체(2)의 접속부(21)측의 내부 공간에 형성한 단차부(23) 및 오리피스 판(32)의 둘레면에 형성한 나사를 통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오리피스 판(31)에는 분사 헤드 본체(2)의 배관과의 접속부(21)측의 개구(22)를 통과하여 오리피스 판(31)을 회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31b)를 형성하도록 하고, 이 조작부(31b)에 계합(係合)해서 오리피스 판(31)을 회전 조작하는 조작구(8)를 사용하여 오리피스 판(31)을 착탈하도록 한다.
또한, 오리피스 판(31)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소음 부재(44)를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본 제 3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의 분사 헤드(1)와 같다.
도 9에,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1)는 제 1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오리피스 판(31)을 제 3 실시예의 분사 헤드(1)와 마찬가지로, 분사 헤드 본체(2)의 접속부(21)측의 내부 공간에 형성한 단차부(23) 및 오리피스 판(32)의 둘레면에 형성한 나사를 통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오리피스 판(31)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으로 이어지는, 제 1 실시예의 분사 헤드(1)에 있어서 공간(24)이었던 개소에 소음 부재(45)를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본 제 4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의 분사 헤드(1)와 같다.
도 10에,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1)는 제 1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오리피스 판(32) 대신에,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둘레면에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등각도 간격으로 6열, 각 열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으로 3개의 합계 18개)의 오리피스(33a)를 형성한 오리피스 통(33)을, 분사 헤드 본체(2)로부터 연장 설치하고, 오리피스 통(33)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소화제 가스가 유통 가능한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블록 형상의 소음 부재(4)를 배치하고, 소음 부재(4)의 하면을 오리피스 통(33)에 나사 결합한 뚜껑 부재(디플렉터)(36)로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소음 부재(4)는 중심 부재(41) 및 둘레면 부재(42)로 이루어지는 분할 구조의 것으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오리피스 통(33)은 분사 헤드 본체(2)와 일체로 구성하는 것 이외에,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고, 나사 등을 통해서 일체화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제 5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의 분사 헤드(1)와 같다.
도 11에,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1)는 제 5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오리피스 판(31)을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사 헤드 본체(2)의 접속부(21)측의 내부 공간에 형성한 단차부(23) 및 오리피스 판(32)의 둘레면에 형성한 나사를 통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오리피스 판(31)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소음 부재(44)를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본 제 6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 제 3 실시예 및 제 5 실시예의 분사 헤드(1)와 같다.
도 12에,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1)는 제 5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오리피스 판(31)을 제 3 실시예의 분사 헤드(1)와 마찬가지로, 분사 헤드 본체(2)의 접속부(21)측의 내부 공간에 형성한 단차부(23) 및 오리피스 판(32)의 둘레면에 형성한 나사를 통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오리피스 판(31)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으로 이어지는, 바닥이 있는 통 모양의 오리피스 통(33)의 내부의 공간(24)이었던 개소에 소음 부재(46)를 배치하도록 한 것이다.
본 제 7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 제 3 실시예 및 제 5 실시예의 분사 헤드(1)와 같다.
도 13∼도 20에,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1)는 제 1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소음 부재(4)의 지지를, 볼트(5) 및 링 부재(6)에 의해 행하는 것 대신에, 소음 부재(4)의 대기로 개방되는 일방측의 끝면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접촉해서 소음 부재(4)를 분사 헤드 본체(2)에 지지하는, 분사 헤드 본체(2)와 나사 결합하는 링 부재(27)와, 소음 부재(4)의 대기로 개방되는 일방측의 끝면의 중심부에 접촉해서 소음 부재(4)를 분사 헤드 본체(2)에 지지하는, 오리피스 판(32)과 나사 결합하는 볼트(9)에 의해 행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소음 부재(4)는 상류측 부재(47) 및 하류측 부재(48)로 이루어지는 분할 구조의 것으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소음 부재(4)는 소음 부재(4)의 타방측(대기로 개방되는 측의 반대측)의 끝면이 분사 헤드 본체(2)(본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 판(32)을 포함)에 접해서 배치됨과 아울러, 소음 부재(4)의 일방측(대기로 개방되는 쪽)의 끝면이 이 끝면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접촉하는 링 부재(27) 및 끝면의 중심부에 접촉하는 볼트(9)를 통해서 분사 헤드 본체(2)에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소음 부재(4)를 구성하는 하류측 부재(48)를 상류측 부재(47)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이 하류측 부재(48)의 외측 둘레가장자리부를, 분사 헤드 본체(2)의 끝면과 링 부재(27)의 가장자리부에서 협지하도록 해서 고정함으로써, 소음 부재(4)(하류측 부재(48))의 대기로 개방되는 소화제 가스의 방출 면적을 한층 더 크게 취할 수 있고, 소음의 저감률을 높일 수 있다.
본 제 8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의 분사 헤드(1)와 같다.
도 21에,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1)는 제 8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오리피스 판(32)을 생략하고, 오리피스 판(31)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소음 부재(4)를 배치하도록 한 것이다(이하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오리피스 판(32)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제 8 실시예의 분사 헤드(1)에 있어서 오리피스 판(31)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형성하고 있던 층상의 공간(24)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제 9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 및 제 8 실시예의 분사 헤드(1)와 같다.
도 22에,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1)는 제 8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오리피스 판(31)을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사 헤드 본체(2)의 접속부(21)측의 내부 공간에 형성한 단차부(23) 및 오리피스 판(32)의 둘레면에 형성한 나사를 통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오리피스 판(31)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소음 부재(44)를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본 제 10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 제 3 실시예 및 제 8 실시예의 분사 헤드(1)와 같다.
도 23에,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제 11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1)는 제 8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오리피스 판(31)을 제 3 실시예의 분사 헤드(1)와 마찬가지로, 분사 헤드 본체(2)의 접속부(21)측의 내부 공간에 형성한 단차부(23) 및 오리피스 판(32)의 둘레면에 형성한 나사를 통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오리피스 판(31)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으로 이어지는, 제 1 실시예의 분사 헤드(1)에 있어서 공간(24)이었던 개소에 소음 부재(45)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본 제 11 실시예의 분사 헤드(1)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 제 3 실시예 및 제 8 실시예의 분사 헤드(1)와 같다.
이상,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에 대해서, 복수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실시예에 기재한 구성을 적당히 조합시키는 등,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히 그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는 분사 헤드를 재고로서 보관하기 쉽게 함으로써, 보관 장소의 제약이나 코스트 상승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질소, 이산화탄소, 불소 화합물 등의 소화제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계 소화 설비의 용도에 널리 사용할 수 있고, 적용 대상도, 신설의 가스계 소화 설비에 한정되지 않고, 분사 헤드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기설의 가스계 소화 설비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분사 헤드 2 분사 헤드 본체
21 접속부 22 개구
23 단차부 24 공간
25 단차부 26 뚜껑 부재
27 링 부재 31 오리피스 판
31a 오리피스 31b 조작부
32 오리피스 판 32a 오리피스
33 오리피스 통 33a 오리피스
4 소음 부재 41 중심 부재
42 둘레면 부재 43 끝면 부재
44 소음 부재 45 소음 부재
46 소음 부재 47 상류측 부재
48 하류측 부재 5 볼트
6 링 부재 7 C형 리테이닝 링
8 조작구 9 볼트

Claims (4)

  1. 소화제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계 소화 설비에 있어서 소화 대상 구획에 소화제 가스를 방출하기 위해 소화제 가스가 공급되는 배관에 접속해서 설치되는 소음 수단을 구비한 분사 헤드로서,
    상기 분사 헤드가 상기 배관과의 접속부를 형성한 분사 헤드 본체와, 상기 분사 헤드 본체의 배관과의 접속부측에 위치하고, 소화제 가스가 유통하는 오리피스를 형성한 제 1 오리피스 판과, 상기 제 1 오리피스 판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위치하고, 소화제 가스가 유통하는 오리피스를 형성한 제 2 오리피스 판과, 상기 제 2 오리피스 판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배치한 소화제 가스가 유통 가능한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블록 형상의 소음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오리피스 판과 상기 제 2 오리피스 판 사이에 층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 1 오리피스 판을 분사 헤드 본체의 배관과의 접속부측의 개구를 통과시켜 분사 헤드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리피스 판을 분사 헤드 본체의 배관과의 접속부측에 장착하는 C형 리테이닝 링에 의해 고정되도록 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리피스 판을 분사 헤드 본체에 나사 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 1 오리피스 판에 분사 헤드 본체의 배관과의 접속부측의 개구를 통과시켜 제 1 오리피스 판을 회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소화제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계 소화 설비에 있어서 소화 대상 구획에 소화제 가스를 방출하기 위해 소화제 가스가 공급되는 배관에 접속해서 설치되는 소음 수단을 구비한 분사 헤드의 보관·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분사 헤드가 상기 배관과의 접속부를 형성한 분사 헤드 본체와, 상기 분사 헤드 본체의 배관과의 접속부측에 위치하고, 소화제 가스가 유통하는 오리피스를 형성한 제 1 오리피스 판과, 상기 제 1 오리피스 판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위치하고, 소화제 가스가 유통하는 오리피스를 형성한 제 2 오리피스 판과, 상기 제 2 오리피스 판의 소화제 가스의 출구측에 배치한 소화제 가스가 유통 가능한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블록 형상의 소음 부재를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오리피스 판과 상기 제 2 오리피스 판 사이에 층상 공간이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 1 오리피스 판을, 분사 헤드 본체의 배관과의 접속부측의 개구를 통해, 분사 헤드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하여, 상기 분사 헤드 본체에 상기 제 2 오리피스 판 및 상기 소음 부재를 장착한 상태로 보관해 두고, 출하시에, 상기 제 1 오리피스 판을 분사 헤드 본체의 배관과의 접속부측의 개구를 통해서 분사 헤드 본체에 장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의 보관·조립 방법.
KR1020197018137A 2016-12-26 2017-12-15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 및 그 보관·조립 방법 KR102556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51814 2016-12-26
JPJP-P-2016-251814 2016-12-26
PCT/JP2017/045110 WO2018123656A1 (ja) 2016-12-26 2017-12-15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及びその保管・組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204A KR20190100204A (ko) 2019-08-28
KR102556716B1 true KR102556716B1 (ko) 2023-07-18

Family

ID=62707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137A KR102556716B1 (ko) 2016-12-26 2017-12-15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 및 그 보관·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00353300A1 (ko)
EP (1) EP3560557B1 (ko)
JP (1) JP6363318B1 (ko)
KR (1) KR102556716B1 (ko)
CN (2) CN115463367B (ko)
CA (1) CA3048359A1 (ko)
MY (1) MY195932A (ko)
PH (1) PH12019501473A1 (ko)
RU (1) RU2725359C1 (ko)
TW (1) TWI732078B (ko)
WO (1) WO20181236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816B1 (ko) * 2017-05-19 2024-01-15 가부시키가이샤 고아츠 액화 소화제용 분사 헤드
US20210346742A1 (en) * 2018-08-02 2021-11-11 Carrier Corporation Low noise nozzle assembly for fire suppression system
TWI799647B (zh) * 2018-10-02 2023-04-21 日商高壓股份有限公司 液態滅火劑用噴射頭
KR102254381B1 (ko) 2019-08-16 2021-05-24 엘티소재주식회사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CN112206448A (zh) * 2020-09-23 2021-01-12 诸佳枫 一种在喷水时可最大程度减少噪音的喷水枪头
KR102602331B1 (ko) 2023-04-11 2023-11-16 (주)안국엔지니어링 저소음 소화 노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6118A1 (en) * 2002-11-28 2004-12-23 Kidde-Fenwal Inc. Fire extinguisher discharge method and apparatus
KR101352714B1 (ko) * 2009-10-23 2014-01-16 에어·워터 보우사이 가부시키가이샤 가스소화설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8510A (en) * 1971-08-04 1972-10-17 Blatt Leland F Safety silencer air nozzle
US3811622A (en) * 1972-11-06 1974-05-21 L Blatt Air blow gun for chip and debris cleaning
JPH04307191A (ja) * 1991-04-05 1992-10-29 Fuji Electric Co Ltd 可変絞り装置
IT1317475B1 (it) * 2000-05-05 2003-07-09 Vesta S R L Ugello silenziato per la scarica di gas estinguenti.
JP4338139B2 (ja) * 2005-03-29 2009-10-07 ツネイシ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滴噴射ノズル
JP5972518B2 (ja) 2009-11-02 2016-08-17 株式会社コーアツ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
JP2011115255A (ja) 2009-12-01 2011-06-16 Ntt Facilities Inc 情報通信機械室における消火設備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5276728B1 (ja) 2012-02-21 2013-08-28 株式会社コーアツ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
JP5276730B1 (ja) 2012-03-21 2013-08-28 株式会社コーアツ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
TWI566804B (zh) * 2012-02-21 2017-01-21 高壓股份有限公司 氣體系滅火設備用的具有消音功能的噴射頭
JP5989591B2 (ja) * 2013-04-17 2016-09-07 株式会社コーアツ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
JP6305688B2 (ja) * 2013-04-17 2018-04-04 株式会社コーアツ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
JP6196955B2 (ja) * 2013-10-02 2017-09-13 エア・ウォーター防災株式会社 消火ガス噴射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ガス消火装置
JP2015086968A (ja) * 2013-10-31 2015-05-07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多段減圧装置およびボイラ
WO2015098389A1 (ja) * 2013-12-27 2015-07-0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低騒音減圧装置及び燃焼装置
DE102014203043B3 (de) * 2014-02-19 2015-03-05 Minimax Gmbh & Co. Kg Löschfluiddüsensystem, insbesondere Löschgasdüsensystem für stationäre Feuerlöschsysteme, sowie Löschfluiddüse und -blende für selbiges
CN204922051U (zh) * 2015-07-13 2015-12-30 哈托利海托阀门(杭州)有限公司 减压型闸阀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6118A1 (en) * 2002-11-28 2004-12-23 Kidde-Fenwal Inc. Fire extinguisher discharge method and apparatus
KR101352714B1 (ko) * 2009-10-23 2014-01-16 에어·워터 보우사이 가부시키가이샤 가스소화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0557C0 (en) 2024-02-28
JP6363318B1 (ja) 2018-07-25
PH12019501473A1 (en) 2020-03-02
US20200353300A1 (en) 2020-11-12
CN110099725A (zh) 2019-08-06
MY195932A (en) 2023-02-27
CN115463367B (zh) 2023-12-08
EP3560557B1 (en) 2024-02-28
RU2725359C1 (ru) 2020-07-02
CN115463367A (zh) 2022-12-13
EP3560557A1 (en) 2019-10-30
CA3048359A1 (en) 2018-07-05
KR20190100204A (ko) 2019-08-28
TWI732078B (zh) 2021-07-01
JPWO2018123656A1 (ja) 2018-12-27
EP3560557A4 (en) 2020-07-29
WO2018123656A1 (ja) 2018-07-05
TW201832799A (zh) 2018-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6716B1 (ko) 가스계 소화 설비용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 및 그 보관·조립 방법
JP2018008128A5 (ko)
KR101946323B1 (ko) 가스계 소화 설비용의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
CN106139480A (zh) 建筑物内的设备室、气体灭火方法和设备、及消音装置
JP5276730B1 (ja)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
JP5276728B1 (ja)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
KR102624816B1 (ko) 액화 소화제용 분사 헤드
CN112312975B (zh) 液化灭火剂用喷射头
US10603532B2 (en) Foam-water sprinkler
JP6182632B1 (ja)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
JP5989591B2 (ja)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
JP6305688B2 (ja)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
JP6027189B2 (ja) 消火ガス噴射装置
US20220323805A1 (en) Fire suppression nozzles and systems
JP2011120797A (ja) 消火ガス噴射装置
KR20150128094A (ko) 장착용 소화용 노즐 장치
JP2013000195A (ja) ノズル構造体
JP2014079633A (ja) 消火ガス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