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426B1 - 속눈썹용 롯드 - Google Patents

속눈썹용 롯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426B1
KR102556426B1 KR1020230018435A KR20230018435A KR102556426B1 KR 102556426 B1 KR102556426 B1 KR 102556426B1 KR 1020230018435 A KR1020230018435 A KR 1020230018435A KR 20230018435 A KR20230018435 A KR 20230018435A KR 102556426 B1 KR102556426 B1 KR 102556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lashes
base portion
base
us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8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아리
Original Assignee
김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아리 filed Critical 김아리
Priority to KR1020230018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48Eyelash curlers; Eyebrow curl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1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single-piece type, e.g. stiff rods or tubes with or without cord, band, or the like as hair-fastening means
    • A45D2/18Flexible cur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는,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베이스부의 직선 부분을 따라 베이스부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위치된 몸체부를 포함하되, 베이스부가 사용자의 눈꺼풀에 위치된 상태에서, 몸체부에는 사용자의 속눈썹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속눈썹용 롯드{rod for eyelashes}
본 발명은 속눈썹용 롯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속눈썹에 대한 연화, 컬링(curling), 염색 등과 같은 시술이 이루어질 때 사용자의 눈꺼풀에 위치시켜 속눈썹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속눈썹용 롯드에 관한 것이다.
미용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속눈썹 성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눈을 타인에게 크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속눈썹을 상측을 향하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속눈썹을 상측을 향하도록 하는 데에 있어 뷰러(eyelash curler)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뷰러는 단순히 속눈썹에 버릇을 들게 하는 데에 불과하고, 속눈썹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람들은 하루에도 수차례 뷰러를 사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속눈썹에 컬링을 하거나, 속눈썹에 염색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속눈썹에 컬링을 하거나 염색을 하기 위해서는 속눈썹을 원하는 형태로 고정하거나, 눈으로 약제, 염료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눈꺼풀에 속눈썹용 롯드를 부착한 후, 속눈썹용 롯드에 속눈썹을 지지하여 속눈썹에 컬링을 하거나 염색을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속눈썹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속눈썹용 롯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속눈썹에 대한 시술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속눈썹용 롯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는,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베이스부의 직선 부분을 따라 베이스부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위치된 몸체부를 포함하되, 베이스부가 사용자의 눈꺼풀에 위치된 상태에서, 몸체부에는 사용자의 속눈썹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의 상면은 곡면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베이스부의 상면에 연결되고 베이스부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측면과 동일 곡률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의 상면에는 몸체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몸체 공간은 베이스부의 직선 부분을 따라 베이스부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몸체부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되 몸체 공간의 상면을 폐쇄하도록 위치되고, 몸체 공간에 수용된 유체에 의해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몸체 공간에 수용된 유체가 배출되어, 몸체부는 평평한 시트 형태로 복원되도록 수축되어 베이스부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속눈썹용 롯드는,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몸체 공간에 유체를 주입하거나, 몸체 공간으로부터 유체를 흡입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유체가 몸체 공간에 주입된 상태에서, 몸체부는 평평한 시트 형태로 유지되고, 조절부가 몸체 공간에 유체를 주입할 때, 몸체부는 평평한 시트 형태로부터 신장되어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 부분이 베이스부의 측면에 삽입되어 몸체 공간에 연결되는 조절관; 및 조절관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에 연결되어, 유체를 조절관으로 주입하거나 조절관으로부터 흡입하는 조절 몸체를 포함하되, 조절관의 제 2 종단 부분에는 조절관을 개폐하는 개폐 조절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가 베이스부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때, 사용자의 속눈썹은 몸체부에 위치되어 연화 처리되고, 몸체부가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위치될 때, 사용자의 속눈썹은 몸체부에 위치되어 컬링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되, 몸체부의 내부에는 감지체가 베이스부의 직선 부분을 따라 베이스부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베이스부가 사용자의 눈꺼풀에 위치되고, 몸체부에 사용자의 속눈썹이 위치된 상태에서, 감지체는 속눈썹을 감지할 수 있고, 겹쳐진 속눈썹을 감지할 때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속눈썹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시술될 수 있도록 한다.
(2) 속눈썹에 대한 시술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를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100)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100)는 베이스부(101) 및 몸체부(102)를 포함하고, 눈꺼풀에 위치되어 속눈썹(10)에 대한 연화, 컬링(curling), 염색 등과 같은 시술을 실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베이스부(101)는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01)의 두께는 얇고, 베이스부(101)의 직선 부분은 눈꺼풀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1)의 직선 부분은 베이스부(101)에서 지름 방향을 따라 위치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01)는 실리콘(silicone), 고무 등과 같은 연질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몸체부(102)는 베이스부(10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부(101)의 직선 부분을 따라 베이스부(101)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2)의 상면은 곡면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연결되고 베이스부(101)의 직선 부분에 대응되는 측면과 동일 곡률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02)는 실리콘(silicone), 고무 등과 같은 연질 재료로 제조되되, 베이스부(101)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고 베이스부(10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속눈썹용 롯드(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부(101)가 사용자의 눈꺼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베이스부(101)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는 사용자의 속눈썹(10)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2 참조). 여기서, 몸체부(102)는 베이스부(101)의 직선 부분을 따라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속눈썹(10)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1)의 직선 부분의 하면은 사용자의 속눈썹(1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속눈썹(10)은 베이스부(101)의 직선 부분에 대응되는 측면 및 몸체부(102)의 상면에 걸쳐 위치되고, 처리액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속눈썹(10)은 베이스부(101)의 측면과 몸체부(102)의 상면을 조합한 곡면에 대응되는 곡률로 컬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100)는 사용자의 눈꺼풀에 위치되어 속눈썹을 전체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속눈썹은 전체적으로 속눈썹용 롯드(100)에 위치되어 균일하면서 용이하게 시술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300)를 도시하는 사시도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300)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300)는 베이스부(301), 몸체부(302) 및 조절부(303)를 포함하고, 속눈썹(10)에 대한 연화, 컬링(curling), 염색 등과 같은 시술을 실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베이스부(301)는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301)의 두께는 얇고, 베이스부(301)의 직선 부분은 눈꺼풀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301)의 직선 부분은 베이스부(301)에서 지름 방향을 따라 위치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301)는 실리콘(silicone), 고무 등과 같은 연질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301)의 상면에는 몸체 공간(31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잇다. 몸체 공간(310)은 베이스부(301)의 직선 부분을 따라 베이스부(301)의 직선 부분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몸체 공간(31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302)는 베이스부(301)의 상면에서 베이스부(301)의 직선 부분을 따라 베이스부(301)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특히, 몸체부(302)는 몸체 공간(310)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되, 몸체 공간(310)의 상면을 폐쇄하면서 베이스부(301)의 상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302)는 몸체 공간(3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02)는 실리콘(silicone), 고무 등과 같은 연질 재료로 제조되되, 베이스부(301)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고 베이스부(30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 공간(310)에는 유체(예를 들어, 공기, 물 등)가 수용되어, 몸체부(302)는 베이스부(301)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몸체부(302)는 평평한 시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4(a) 참조).
몸체 공간(310)에 수용된 유체의 양이 증가될 때, 몸체부(302)는 평평한 시트 형태로부터 신장되어 베이스부(30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도 4(b) 참조). 여기서, 몸체부(302)는 곡면 형태로 이루어지되, 몸체부(302)의 상면은 베이스부(301)의 상면에 연결되고 베이스부(301)의 직선 부분에 대응되는 측면과 동일 곡를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302)가 베이스부(30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변형된 상태에서, 몸체 공간(310)에 수용된 유체의 양이 감소될 때, 몸체부(302)는 다시 평평한 시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조절부(303)는 베이스부(301)에 연결되어 몸체 공간(310)에 유체를 주입하거나, 몸체 공간(310)으로부터 유체를 흡입할 수 있다. 즉, 조절부(303)는 몸체부(302)의 형태를 제어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유체가 몸체 공간(310)에 주입된 상태에서, 몸체부(302)는 평평한 시트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부(303)가 몸체 공간(310)에 유체를 주입할 때, 몸체부(302)는 평평한 시트 형태로부터 신장되어 베이스부(30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부(303)는 몸체부(302)를 베이스부(30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유지할 수 있고, 몸체부(302)의 돌출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조절부(303)가 몸체부(302)를 베이스부(30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조절부(303)는 유체를 몸체 공간(310)으로부터 유체를 흡입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302)는 베이스부(301)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변형되어, 평평한 시트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절부(303)는 조절관(331) 및 조절 몸체(33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관(331)은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 부분은 베이스부(301)에 삽입되어 몸체 공간(310)에 연결될 수 있고,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에는 개폐 조절기(33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조절기(330)는 조절관(331)을 개폐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조절 몸체(333)는 조절관(331)의 제 2 종단 부분에 연결되고, 유체를 조절관(331)으로 주입하거나 조절관(331)으로부터 흡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절 몸체(333)는 유체를 조절관(331)을 통해 몸체 공간(310)에 주입할 수 있거나, 몸체 공간(310)으로부터 유체를 흡입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조절관(331)의 제 2 종단 부분은 조절 몸체(333)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개폐 조절기(330)가 조절관(331)을 개방한 상태에서, 조절 몸체(333)는 조절관(331)을 통해 유체를 몸체 공간(310)에 주입하거나 몸체 공간(310)으로부터 흡입할 수 있다. 개폐 조절기(330)가 조절관(331)을 폐쇄한 상태에서, 유체는 몸체 공간(310)에 주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속눈썹용 롯드(3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부(301)가 사용자의 눈꺼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베이스부(301)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는 사용자의 속눈썹(10)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몸체 공간(310)에 수용되고, 몸체부(302)는 베이스부(301)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베이스부(301)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어, 평평한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02)가 평평한 시트 형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조절부(303)에서 조절관(331)은 개폐 조절기(330)에 의해 폐쇄되고, 조절 몸체(333)는 조절관(33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몸체부(302)는 몸체 공간(310)에 수용된 유체로 인해 평평한 시트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속눈썹(10)은 베이스부(301)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측면 및 몸체부(302)의 상면에 걸쳐 위치되고, 연화제로 도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속눈썹은 컬이 형성된 상태에서도 연화제로 인해 평평한 시트 형태의 몸체부(302)의 상면을 따라 직선 형태로 펼쳐지고 연화될 수 있다.
또한, 속눈썹의 연화가 완료된 상태에서, 조절부(303)에서 조절 몸체(333)는 조절관(331)에 연결되고, 조절관(331)은 개폐 조절기(330)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 몸체(333)는 조절관(331)을 통해 몸체 공간(310)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몸체 공간(310)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은 증가되어, 몸체부(302)는 신장되어 평평한 시트 형태로부터 베이스부(30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조절 몸체(333)는 몸체 공간(310)에 수용된 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원하는 속눈썹의 컬을 고려하여 몸체부(302)의 돌출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몸체부(302)의 돌출된 정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한 이후에, 개폐 조절기(330)는 조절관(331)을 폐쇄하고, 조절 몸체(333)는 조절관(33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속눈썹(10)은 베이스부(301)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측면 및 몸체부(302)의 상면에 걸쳐 위치되고, 처리제로 도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속눈썹은 베이스부(301)와 몸체부(302)의 조합에 따른 곡률로 컬링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속눈썹이 몸체부(302)의 곡률에 따른 컬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 공간(310)에 수용된 유체가 공기인 경우에, 조절관(331)이 개폐 조절기(330)에 의해 개방될 때, 몸체부(302)는 평평한 시트 형태로 복원되도록 수축되어 조절관(331)을 통해 몸체 공간(310)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고, 배출된 공기는 몸체부(302)에 분사되어 컬링된 속눈썹을 몸체부(302)로부터 분리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몸체 공간(310)에 수용된 유체가 물인 경우에, 베이스부(301)는 몸체부(302)와 함께 사용자의 속눈썹 및 눈꺼풀로 분리되고, 조절관(331)은 개폐 조절기(330)에 의해 개방되고, 몸체부(302)는 평평한 시트 형태로 복원되도록 수축되어 물을 조절관(331)을 통해 몸체 공간(310)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고, 배출된 물은 베이스부(301) 및 몸체부(302)에 분사되어 베이스부(301) 및 몸체부(302)를 세척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300)는 베이스부(301)의 상면에 위치된 몸체부(302)의 돌출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속눈썹에 대한 시술에 있어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5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500)는 베이스부(501) 및 몸체부(502)를 포함하고, 눈꺼풀에 위치되어 속눈썹(10)에 대한 연화, 컬링(curling), 염색 등과 같은 시술을 실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베이스부(501)는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501)의 두께는 얇고, 베이스부(501)의 직선 부분은 눈꺼풀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501)의 직선 부분은 베이스부(501)에서 지름 방향을 따라 위치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501)는 실리콘(silicone), 고무 등과 같은 연질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몸체부(502)는 베이스부(50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부(501)의 직선 부분을 따라 베이스부(501)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502)의 상면은 곡면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베이스부(501)의 상면에 연결되고 베이스부(501)의 직선 부분에 대응되는 측면과 동일 곡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502)는 실리콘(silicone), 고무 등과 같은 연질 재료로 제조되되, 베이스부(501)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고 베이스부(50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몸체부(502)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몸체부(502)의 내부에는 베이스부(501)의 직선 부분을 따라 감지체(520)가 베이스부(501)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감지체(520)는 몸체부(502)의 상면에 위치된 속눈썹(10)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감지체(520)가 겹쳐진 속눈썹(10)을 감지할 때, 감지체(520)는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용 롯드(500)에 대한 작업자는 제어 단말기(3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 서버(미도시 됨)에 접속하여 운영 서버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알림 신호는 감지체(520)로부터 생성되어 운영 서버에 전송될 수 있고, 제어 단말기(30)는 알림 신호를 운영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제어 단말기(30)를 통해 알림 신호를 확인하고, 알림 신호에 대응되는 감지체(520)의 속눈썹용 롯드(500)에 대응되는 속눈썹(10)을 조절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300, 500: 속눈썹용 롯드
101, 301, 501: 베이스부
102, 302, 502: 몸체부
303: 조절부

Claims (10)

  1.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베이스부의 직선 부분을 따라 베이스부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위치된 몸체부를 포함하되,
    베이스부가 사용자의 눈꺼풀에 위치된 상태에서, 몸체부에는 사용자의 속눈썹이 위치되며,
    베이스부의 상면에는 몸체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몸체 공간은 베이스부의 직선 부분을 따라 베이스부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몸체부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되 몸체 공간의 상면을 폐쇄하도록 위치되고, 몸체 공간에 수용된 유체에 의해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몸체 공간에 수용된 유체가 배출되어, 몸체부는 평평한 시트 형태로 복원되도록 수축되어 베이스부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롯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속눈썹용 롯드는,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몸체 공간에 유체를 주입하거나, 몸체 공간으로부터 유체를 흡입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유체가 몸체 공간에 주입된 상태에서, 몸체부는 평평한 시트 형태로 유지되고,
    조절부가 몸체 공간에 유체를 주입할 때, 몸체부는 평평한 시트 형태로부터 신장되어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롯드.
  5. 제4항에 있어서, 조절부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 부분이 베이스부의 측면에 삽입되어 몸체 공간에 연결되는 조절관; 및
    조절관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에 연결되어, 유체를 조절관으로 주입하거나 조절관으로부터 흡입하는 조절 몸체를 포함하되,
    조절관의 제 2 종단 부분에는 조절관을 개폐하는 개폐 조절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롯드.
  6. 제4항에 있어서,
    몸체부가 베이스부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때, 사용자의 속눈썹은 몸체부에 위치되어 연화 처리되고,
    몸체부가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위치될 때, 사용자의 속눈썹은 몸체부에 위치되어 컬링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롯드.
  7.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베이스부의 직선 부분을 따라 베이스부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위치된 몸체부를 포함하되,
    베이스부가 사용자의 눈꺼풀에 위치된 상태에서, 몸체부에는 사용자의 속눈썹이 위치되며,
    몸체부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되, 몸체부의 내부에는 감지체가 베이스부의 직선 부분을 따라 베이스부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베이스부가 사용자의 눈꺼풀에 위치되고, 몸체부에 사용자의 속눈썹이 위치된 상태에서, 감지체는 속눈썹을 감지할 수 있고 겹쳐진 속눈썹을 감지할 때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롯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30018435A 2023-02-13 2023-02-13 속눈썹용 롯드 KR102556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435A KR102556426B1 (ko) 2023-02-13 2023-02-13 속눈썹용 롯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435A KR102556426B1 (ko) 2023-02-13 2023-02-13 속눈썹용 롯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426B1 true KR102556426B1 (ko) 2023-07-14

Family

ID=8715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435A KR102556426B1 (ko) 2023-02-13 2023-02-13 속눈썹용 롯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4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587A (ja) * 2003-05-08 2004-11-25 Tomoe Yamada まつげパーマ用の補助具および該補助具を用いたまつげパーマ方法
JP2005058422A (ja) * 2003-08-11 2005-03-10 Top Elegance:Kk ロ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睫成形具
JP2007275608A (ja) * 2007-05-16 2007-10-25 Preanfa:Kk 睫毛カール用ロッド部材
KR102361695B1 (ko) * 2021-04-20 2022-02-14 김주현 아이패치와 조립 가능한 롯드를 이용한 속눈썹 펌 시술방법 및 그 방법의 수행을 위한 속눈썹 펌 시술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587A (ja) * 2003-05-08 2004-11-25 Tomoe Yamada まつげパーマ用の補助具および該補助具を用いたまつげパーマ方法
JP2005058422A (ja) * 2003-08-11 2005-03-10 Top Elegance:Kk ロ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睫成形具
JP2007275608A (ja) * 2007-05-16 2007-10-25 Preanfa:Kk 睫毛カール用ロッド部材
KR102361695B1 (ko) * 2021-04-20 2022-02-14 김주현 아이패치와 조립 가능한 롯드를 이용한 속눈썹 펌 시술방법 및 그 방법의 수행을 위한 속눈썹 펌 시술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7202A (en) Eye drop dispensing device
US8464733B2 (en) Original eyelash butterfly guard
US8939159B2 (en) Eyeliner application aid
US3495898A (en) Makeup eyeglasses
US6220252B1 (en) Eyelash curling apparatus
US7219674B1 (en) Template and method for applying makeup to eyebrows
JP2001000237A (ja) 製品を塗布するための塗布具、及び皮膚表面に製品を塗る際のその使用
TW200539829A (en) Hair curling tool and method of curling hair
US20190358083A1 (en) Apparatus for eye treatment
US20150150350A1 (en) Hair Styling Device
KR102361695B1 (ko) 아이패치와 조립 가능한 롯드를 이용한 속눈썹 펌 시술방법 및 그 방법의 수행을 위한 속눈썹 펌 시술세트
KR102556426B1 (ko) 속눈썹용 롯드
KR20180095018A (ko) 눈 화장용 도포구 및 눈 화장 용구
CN209983684U (zh) 化妆品涂抹器工具系统
KR200493458Y1 (ko) 콘택트렌즈 장착용 개안 장치
US2343157A (en) Eye shield and sinus compressor
KR102326850B1 (ko) 뿌리 볼륨 파마용 롯드
CN208436051U (zh) 一种防侧漏眼科授水器
JP2004358049A (ja) まつ毛用ロット
US201602282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ing the eyes of persons with nocturnal lagophthalmos
JP2014217429A (ja) 睫毛をカーリングするためのアイラッシュカーラー
KR101793930B1 (ko) 점안 보조장치
CN107440832A (zh) 一种可伸缩眼药水瓶支架
KR200242063Y1 (ko) 가속눈썹 부착 미용구
CN106580546B (zh) 一种适合纹眉的眼球防护装置以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