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310B1 - 멸균 장치 및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멸균 장치 및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310B1
KR102556310B1 KR1020200124912A KR20200124912A KR102556310B1 KR 102556310 B1 KR102556310 B1 KR 102556310B1 KR 1020200124912 A KR1020200124912 A KR 1020200124912A KR 20200124912 A KR20200124912 A KR 20200124912A KR 102556310 B1 KR102556310 B1 KR 102556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sterilization device
gas
fragranc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547A (ko
Inventor
임유봉
김준영
이윤지
이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라즈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라즈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라즈맵
Priority to KR1020200124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3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5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멸균 장치는 피처리물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과 상기 멸균 장치의 외부 간에 기체가 이동하는 경로들을 형성하는 배관부 및 상기 배관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경로들 중에서, 상기 멸균 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납 공간 측으로 기체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기체에 향기를 더하는 향기 발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멸균 장치 및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STERILIZA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멸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멸균 장치의 외부로부터 피처리물이 수납된 수납 공간 측으로 외부 기체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 배치된 향기 발생부를 통하여 향기가 더해진 외부 기체를 수납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멸균 장치 및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멸균제를 이용하는 방식의 의료용 멸균 장치의 상당수는 피처리물인 의료 용품들을 멸균처리하는 과정에서 과산화수소를 멸균제로 사용하고 있다.
과산화수소 등의 멸균제는 피처리물을 멸균처리하는 데에 있어서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보관 과정에서 기화된다거나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안정적인 보관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멸균제에 의해 피처리물을 멸균 처리한 이후에는, 피처리물이 수납되어 있던 수납 공간에 잔존하는 멸균제를 배기하는 과정을 거치지만, 잔존하는 멸균제를 모두 배기시킨 이후에도 수납 공간에는 좋지 않은 냄새가 남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멸균 장치는 사람들이 자주 접하는 공간에 배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멸균 장치의 외부로부터 피처리물이 수납된 수납 공간 측으로 외부 기체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 배치된 향기 발생부를 통하여 향기가 더해진 외부 기체를 수납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멸균 장치 및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멸균 장치는 피처리물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과 상기 멸균 장치의 외부 간에 기체가 이동하는 경로들을 형성하는 배관부 및 상기 배관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경로들 중에서, 상기 멸균 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납 공간 측으로 기체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기체에 향기를 더하는 향기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배관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경로들은, 상기 멸균 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납 공간 측으로 기체가 유입되는 제1경로와,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상기 멸균 장치의 외부로 기체가 배출되는 제2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향기 발생부는 상기 제1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경로 상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 필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공기 정화 필터는, 상기 제1경로 상에서, 상기 향기 발생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수납 공간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향기 발생부는, 서로 다른 향의 방향제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향기 발생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향기 발생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향기 발생부들 각각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이동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밸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멸균 장치는, 상기 제1경로 상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기체에 항균 처리를 하는 향균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멸균 장치는, 상기 제2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멸균 장치는, 상기 수분 제거 필터에 의해 수집된 수분을 보관하는 포집수분 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포집수분 보관부는, 포집된 수분의 량이 상기 멸균 장치의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보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배관부는, 설정에 따라, 상기 수분 제거 필터를 거치지 않고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배출된 기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우회 경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은 피처리물이 수납된 수납 공간에 멸균제를 유입시켜 멸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수납 공간 내의 상기 멸균제가 잔존하는 내부 기체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단계 및 멸균 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납 공간 측으로 외부 기체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 배치된 향기 발생부를 통하여 향기가 더해진 상기 외부 기체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향기 발생부를 통하여 향기가 더해진 상기 외부 기체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단계는,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 상태의 상기 수납 공간을 벤트(vent)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향기 발생부를 통하여 향기가 더해진 상기 외부 기체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향기 발생부를 통하여 향기가 더해진 상기 외부 기체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수납 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납 공간 내의 상기 멸균제가 잔존하는 내부 기체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단계에서의 배기 후 상기 수납 공간 내부의 압력보다, 상기 향기 발생부를 통하여 향기가 더해진 상기 외부 기체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수납 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단계에서의 배기 후 상기 수납 공간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은 멸균 처리 이후에, 멸균 장치의 외부로부터 피처리물이 수납된 수납 공간 측으로 외부 기체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 배치된 향기 발생부를 통하여 향기가 더해진 외부 기체를 수납 공간으로 유입시킴으로써 멸균 처리 이후에 멸균제에 의해 잔존하는 냄새를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은 멸균 처리 이후에 피처리물이 수납된 수납 공간 내에 잔존하는 냄새를 개선시키는 데에 최적화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은 동작 모드에 따라 적절한 향기를 선택하여, 수납 공간에 유입되는 공기에 선택된 향기를 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멸균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우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멸균제 보관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1기체 처리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도 5의 멸균 장치의 동작에 따른 피처리물의 수납 공간 내의 압력 상태의 일 예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3기체 처리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품도와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APU(Accelerate Processor Unit), DSP(Drive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과 같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memory)와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멸균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우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멸균제 보관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멸균 장치(100)는 챔버(chamber; 110), 카트리지(cartridge; 115), 멸균제 추출기들(141, 142), 복수의 밸브들(valves; 144, 145, 151~155), 기화기(vaporizer, 147), 멸균제 주입기(149), 복수의 기체 처리부들(161~165), 포집수분 보관부(166), 및 펌프(pump; 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멸균 장치(100)가 챔버(110)에 멸균하고자 하는 대상물, 즉 피처리물을 수납하여 멸균처리를 수행하는 챔버모드 또는 파우치(120)에 피처리물을 수납하여 멸균처리를 수행하는 파우치모드로 모두 동작할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멸균 장치(100)는 챔버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구성만을 포함하거나, 파우치모드로만 동작하기 위한 구성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챔버모드에서는 챔버(110)가 피처리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이 될 수 있고, 파우치모드에서는 파우치(120)가 피처리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이 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챔버(110)는 멸균하고자 하는 피처리물을 내부에 직접 수납하거나, 피처리물이 수납된 카트리지(115)를 지지하거나 내부에 수납하기 공간을 구비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카트리지(115)는 파우치(pouch; 120)와 멸균제 보관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카트리지(115)는 챔버(110)의 일측에 고정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파우치(120)의 일측은 멸균제 보관 장치(130)와 결합되며, 파우치(120)의 타측은 피처리물이 수납되기 전에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었다가, 피처리물이 수납된 이후에는 밀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파우치(120)의 개방된 일면은 열압착 등의 방식으로 밀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열압착띠(121)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파우치(120)는 기체를 투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로 돌아와서, 멸균제 보관 장치(130)는 복수의 멸균제 보관 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멸균제 보관 장치(130)를 구성하는 멸균제 보관 유닛들(131, 132) 각각은 내부에 멸균제를 보관할 수 있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멸균제 보관 장치(130)는 멸균제 보관 장치(130)의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frame, 135), 프레임(135) 내에 구비된 멸균제 보관 유닛들(131, 132), 및 후술할 멸균제 주입기(149)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인 멸균제 주입 통로(13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로 돌아와서, 멸균제 추출기(141, 142)는 멸균제 보관 유닛들(131, 132)을 관통하여 멸균제 보관 유닛들(131, 132) 각각에 보관된 멸균제를 추출하고, 추출된 멸균제를 기화기(147)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멸균 장치(100)는 멸균제 추출기(141, 142)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추출된 멸균제의 흐름은 제1밸브(144)와 제2밸브(14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밸브(144)와 제2밸브(145)는 멸균제 추출 과정에서는 개방되었다가, 멸균제 추출 과정이 종료되면 폐쇄될 수 있다.
기화기(147)는 멸균제 추출기(141, 142)를 통하여 추출된 멸균제를 기화시키고, 기화된 멸균제를 멸균제 주입기(149)를 통하여 카트리지(115)의 파우치(120) 내로 주입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파우치 모드를 기준으로 멸균제가 카트리지(115)의 파우치(120) 내로 주입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멸균 장치(100)가 챔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멸균제 주입기(149)는 기화된 멸균제를 챔버(110) 내로 주입할 수 있다.
멸균 장치(100)에는 피처리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예컨대,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과 멸균 장치(100)의 외부 간에 기체가 이동하는 경로들을 형성하는 배관부(150-1~150-5)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파우치 모드에서, 파우치(120) 내의 피처리물의 멸균처리의 이전 또는 이후에, 파우치(120) 내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3밸브(151)과 제5밸브(153)는 폐쇄되고, 제4밸브(152)와 제6밸브(154)는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파우치(120) 내의 공기는 멸균제 주입기(149)를 통하여 제2배관부(150-2)와 제4배관부(150-4)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를 통하여 멸균 장치(100)의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챔버 모드에서, 챔버(110) 내의 피처리물의 멸균처리의 이전 또는 이후에, 챔버(110) 내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4밸브(152)과 제5밸브(153)는 폐쇄되고, 제3밸브(151)와 제6밸브(154)는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챔버(110) 내의 공기는 제1배관부(150-1)와 제4배관부(150-4)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를 통하여 멸균 장치(100)의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파우치 모드에서, 파우치(120) 내를 대기압 상태로 벤트(vent)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3밸브(151)과 제6밸브(154)는 폐쇄되고, 제4밸브(152)와 제5밸브(153)는 개방될 수 있다. 예컨대, 파우치(120)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낮게 유지된 상태에서 벤트되는 경우, 멸균 장치(100) 외부로부터 외부 공기가 제3배관부(150-3)와 제2배관부(150-2)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를 통하여 파우치(120)로 유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챔버 모드에서, 챔버(110) 내를 대기압 상태로 벤트(vent)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4밸브(152)과 제6밸브(154)는 폐쇄되고, 제3밸브(151)와 제5밸브(153)는 개방될 수 있다. 예컨대, 챔버(110)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낮게 유지된 상태에서 벤트되는 경우, 멸균 장치(100) 외부로부터 외부 공기가 제3배관부(150-3)와 제1배관부(150-1)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를 통하여 챔버(110)로 유입될 수 있다.
제1기체 처리부(161), 제2기체 처리부(162), 및 제3기체 처리부(163)는 멸균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피처리물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예컨대,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 측으로 기체가 유입되는 경로(예컨대, 제3배관부(150-3)) 상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기체에 상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기체 처리부(161)는 유입되는 기체에 향기를 더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향기 발생부"로 일컬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기체 처리부(161)는 유입되는 기체에 향기를 더하기 위한 방향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기체 처리부(162)는 유입되는 기체에 항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2기체 처리부(162)는 항균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3기체 처리부(163)는 유입되는 기체에 정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3기체 처리부(163)는 기체 정화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3기체 처리부(163)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2기체 처리부(162)와 제3기체 처리부(163)는 항균 처리와 정화 처리를 함께 할 수 있는 하나의 필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3기체 처리부(163)는 기체가 유입되는 경로(예컨대, 제3배관부(150-3)) 상에서, 제1기체 처리부(16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피처리물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예컨대,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4기체 처리부(164) 및 제5기체 처리부(165)는 피처리물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예컨대,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으로부터 멸균 장치(100)의 외부로 기체가 배출되는 경로(예컨대, 제4배관부(150-4)) 상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기체에 상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4기체 처리부(164)는 멸균 장치(100)의 외부로 기체가 배출되기 이전에 배출되는 기체를 정화 처리한 이후에 배출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4기체 처리부(164)는 기체 정화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4기체 처리부(164)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5기체 처리부(165)는 기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제5기체 처리부(165)는 수분 제거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5기체 처리부(165)에 의해 수집된 수분은 포집수분 보관부(166)에 보관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포집수분 보관부(166)는 투명한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현되어 포집된 수분의 량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포집수분 보관부(166)에 보관된 수분의 량은, 멸균 장치(100) 외부의 별도의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포집수분 보관부(166)는 포집된 수분의 량이 멸균 장치(100)의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6밸브(154)와 제7밸브(155)는, 피처리물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예컨대,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으로부터 제4배관부(150-4)를 통하여 배출되는 기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6밸브(154)가 개방되고 제7밸브(155)가 폐쇄되는 경우, 수납 공간(예컨대,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으로부터 제4배관부(150-4)를 통하여 배출되는 기체는 제5기체 처리부(165)를 거쳐서 이동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6밸브(154)가 폐쇄되고 제7밸브(155)가 개방되는 경우, 수납 공간(예컨대,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으로부터 제4배관부(150-4)를 통하여 배출되는 기체는 제5기체 처리부(165)를 거치지 않고 우회 경로(예컨대, 제5배관부(150-5))를 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멸균 장치(100)에서의 설정에 따라, 제6밸브(154) 및 제7밸브(155)의 개폐가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우회 경로를 이용할 것인지 여부가 선택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설정은 피처리물의 종류, 멸균 장치(100)의 동작 모드(챔버모드 또는 파우치모드), 사용자의 외부 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펌프(170)는 파우치(120) 또는 챔버(110) 내의 멸균제 또는 공기를 배기하기 위하여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펌프(170)는 멸균처리 이전에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을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펌프(170)는 멸균처리 이후에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에 남아 있는 멸균제를 배기하기 위하여,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펌프(170)는 멸균처리 이후의 방향 처리 과정에서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 내의 내부 기체를 배기하기 위하여,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실시 예에 따라, 펌프(170)의 앞단(챔버(110) 측 방향)에는 멸균제를 분해하기 위한 멸균제 분해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멸균제 분해 장치는 플라즈마 소스(plasma source)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제1기체 처리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기체 처리부(161), 즉 향기 발생부는 복수의 서브 향기 발생부들(1611, 1612) 및 복수의 밸브들(1621, 1622, 1631, 16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개의 서브 향기 발생부들(1611, 1612)이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나, 서브 향기 발생부들의 개수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복수의 서브 향기 발생부들(1611, 1612) 각각은 서로 다른 향의 방향제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밸브들(1621, 1622, 1631, 1632)은 복수의 서브 향기 발생부들(1611, 1612) 각각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이동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유입되는 기체에 제1서브 향기 발생부(1611)에 의해 발생되는 향기를 더하려고 하는 경우에 제8밸브(1621)과 제9밸브(1622)는 개방되고, 이 때 제10밸브(1631)와 제11밸브(1632)는 폐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유입되는 기체에 제2서브 향기 발생부(1612)에 의해 발생되는 향기를 더하려고 하는 경우에 제8밸브(1621)과 제9밸브(1622)는 폐쇄되고, 이 때 제10밸브(1631)와 제11밸브(1632)는 개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밸브들(1621, 1622, 1631, 1632)은, 멸균 장치(100)가 사용하는 멸균제의 종류, 멸균제의 량, 피처리물의 종류, 멸균 장치(100)의 동작 모드(챔버모드 또는 파우치모드), 사용자의 외부 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복수의 서브 향기 발생부들(1611, 1612) 각각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이동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멸균 장치(100)는 피처리물이 수납된 수납 공간(예컨대,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에 멸균제를 유입시켜 피처리물의 멸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510).
S510 단계를 통해 피처리물이 멸균 처리된 이후에, 멸균 장치(100)는 수납 공간(예컨대,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 내의 멸균제가 잔존하는 내부 기체를 멸균 장치(100)의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다(S520).
실시 예에 따라, 멸균 장치(100)는 펌프(170)를 통하여 수납 공간(예컨대,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 내의 멸균제가 잔존하는 공기를 배기하기 위하여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멸균 장치(100)는 향기 발생부(예컨대, 제1기체 처리부(161))를 통하여 향기가 더해진 외부 기체를 피처리물이 수납된 수납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S530).
도 6은 도 5의 멸균 장치의 동작에 따른 피처리물의 수납 공간 내의 압력 상태의 일 예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멸균 처리 과정에서 최초에 멸균 효과 향상을 위하여 수납 공간(예컨대,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 내의 기체를 완전히 배기(배기1)시켜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 때, 수납 공간(예컨대,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 내의 압력은 0기압(진공 상태)에 가까운 수준으로 내려갈 수 있다.
멸균 장치(100)는 진공 상태에서 수납 공간(예컨대,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에 멸균제를 주입함으로써 멸균처리(멸균1)를 수행할 수 있다.
멸균처리(멸균1) 이후에, 멸균 장치(100)는 수납 공간(예컨대,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을 벤트처리 함으로써 수납 공간(예컨대,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벤트처리(벤트1) 이후에, 멸균 장치(100)는 다음 멸균처리를 위하여 수납 공간(예컨대,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을 다시 배기(배기2)시키면서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멸균처리(멸균2), 벤트처리(벤트2), 배기처리(배기3)가 반복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멸균 처리의 정도에 따라 반복 횟수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 예에 따라, 멸균처리(멸균2), 벤트처리(벤트2), 배기처리(배기3)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멸균 처리 과정이 완료되면, 수납 공간(예컨대,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 내에 잔존하는 냄새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방향 처리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방향 처리 과정에서 멸균 장치(100)는 벤트처리(벤트3~벤트5)와 배기처리(배기4~배기6)의 조합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방향 처리 과정에서 벤트처리(벤트3~벤트5)와 배기처리(배기4~배기6)를 반복 횟수는 멸균 장치(100)의 동작 모드(예컨대, 챔버모드 또는 파우치모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방향 처리 과정에서 벤트처리(벤트3~벤트5)와 배기처리(배기4~배기6)를 반복 횟수는 파우치모드에서 보다 챔버모드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멸균 장치(100)는 멸균 처리 과정에서 내부 기체를 외부로 배기(예컨대, 배기1, 배기2, 또는 배기3)시킬 때의 배기 후 수납 공간 내부의 압력(예컨대, 0)보다, 방향 처리 과정에서 수납 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기(예컨대, 배기4, 배기5, 또는 배기 6)시킬 때의 배기 후 수납 공간 내부의 압력(예컨대, P1)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방향 처리 과정에서 수납 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기(예컨대, 배기4, 배기5, 또는 배기 6)시킬 때의 수납 공간 내부의 압력(예컨대, P1)은 멸균 장치(100)의 동작 모드(예컨대, 챔버모드 또는 파우치모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방향 처리 과정에서 수납 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기(예컨대, 배기4, 배기5, 또는 배기 6)시킬 때의 배기 후 수납 공간 내부의 압력(예컨대, P1)은 파우치모드에서 보다 챔버모드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멸균 장치(100)는 멸균 처리 과정에서의 멸균 반복 횟수(예컨대, 2회)보다 방향 처리 과정에서의 배기 반복 횟수(예컨대, 3회)가 더 많도록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3기체 처리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품도와 조립도이다.
도 1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기체 처리부(163A)는 도 1에 도시된 제2기체 처리부(162)의 일 예시(1632)와 제3기체 처리부(163)의 일 예시(1633)가 하나의 모듈로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3기체 처리부(163A)는 외부 하우징(1631), 향기 발생부(1632), 지지부(1633), 기체 정화부(1634), 및 외기 흡입경로(1635)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631)은 제3기체 처리부(163A)의 골격을 형성하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진다.
실시 예에 따라, 외부 하우징(1631)의 중심부에는 향기 발생부(1632)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 제1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외부 하우징(1631)의 가장자리에는 외부 기체가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2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향기 발생부(1632)는 기체가 투과될 수 있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향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향제가 충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방향제는 액상의 방향제일 수 있다.
향기 발생부(1632)는 외부 하우징(1631)에 결합되어, 지지부(1633) 및 기체 정화부(1634)와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지부(1633)는 향기 발생부(1632)와 기체 정화부(1634) 사이에 배치되어, 외기 유입 시 향기 발생부(1632)가 기체 정화부(1634)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지지부(1633)는 기체가 원활하게 유입되면서도 향기 발생부(1632)가 기체 정화부(1634)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립(rib)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체 정화부(1634)는 유입되는 외기를 정화하여 외기 흡입경로(1635)를 통하여 피처리물의 수납 공간(예컨대, 도 1의 챔버(110) 또는 파우치(1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기체 정화부(1634)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멸균 장치
110 : 챔버
120 : 파우치
130 : 멸균제 보관 장치
161~165 : 기체 처리부
166 : 포집수분 보관부

Claims (15)

  1. 멸균 장치에 있어서,
    피처리물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과 상기 멸균 장치의 외부 간에 기체가 이동하는 경로들을 형성하는 배관부; 및
    상기 배관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경로들 중에서, 상기 멸균 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납 공간 측으로 기체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기체에 향기를 더하는 향기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경로들은 상기 멸균 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납 공간 측으로 기체가 유입되는 제1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향기 발생부는 상기 제1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경로 상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고 상기 향기 발생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공기 정화 필터가 더 구비되고,
    상기 향기 발생부는,
    서로 다른 향의 방향제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향기 발생부들 및 상기 복수의 서브 향기 발생부들 각각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이동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밸브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밸브들은 상기 멸균 장치가 사용하는 멸균제의 종류, 멸균제의 량, 피처리물의 종류, 멸균 장치의 동작 모드 및 사용자의 외부 입력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향기 발생부들 각각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이동 경로를 제어하는, 멸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경로들은,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상기 멸균 장치의 외부로 기체가 배출되는 제2경로를 더 포함하는, 멸균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필터는,
    상기 제1경로 상에서, 상기 향기 발생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수납 공간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멸균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 장치는,
    상기 제1경로 상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기체에 항균 처리를 하는 향균 필터를 더 포함하는, 멸균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 장치는,
    상기 제2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 필터를 더 포함하는, 멸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 장치는,
    상기 수분 제거 필터에 의해 수집된 수분을 보관하는 포집수분 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멸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수분 보관부는,
    포집된 수분의 량이 상기 멸균 장치의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보이도록 배치되는, 멸균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는,
    설정에 따라, 상기 수분 제거 필터를 거치지 않고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배출된 기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우회 경로를 더 포함하는, 멸균 장치.
  12. 피처리물이 수납된 수납 공간에 멸균제를 유입시켜 멸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수납 공간 내의 상기 멸균제가 잔존하는 내부 기체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단계; 및
    멸균 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납 공간 측으로 외부 기체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 배치된 향기 발생부를 통하여 향기가 더해진 상기 외부 기체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멸균 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납 공간 측으로 외부 기체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고 상기 향기 발생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공기 정화 필터가 더 구비되고
    상기 향기 발생부는,
    서로 다른 향의 방향제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향기 발생부들 및 상기 복수의 서브 향기 발생부들 각각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이동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밸브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향기 발생부를 통하여 향기가 더해진 상기 외부 기체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밸브들을 이용하여, 상기 멸균 장치가 사용하는 멸균제의 종류, 멸균제의 량, 피처리물의 종류, 멸균 장치의 동작 모드 및 사용자의 외부 입력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향기 발생부들 각각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이동 경로를 제어하는,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생부를 통하여 향기가 더해진 상기 외부 기체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단계는,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 상태의 상기 수납 공간을 벤트(vent)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향기 발생부를 통하여 향기가 더해진 상기 외부 기체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향기 발생부를 통하여 향기가 더해진 상기 외부 기체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수납 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 내의 상기 멸균제가 잔존하는 내부 기체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단계에서의 배기 후 상기 수납 공간 내부의 압력보다, 상기 향기 발생부를 통하여 향기가 더해진 상기 외부 기체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수납 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단계에서의 배기 후 상기 수납 공간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동작하는,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00124912A 2020-09-25 2020-09-25 멸균 장치 및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556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912A KR102556310B1 (ko) 2020-09-25 2020-09-25 멸균 장치 및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912A KR102556310B1 (ko) 2020-09-25 2020-09-25 멸균 장치 및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547A KR20220041547A (ko) 2022-04-01
KR102556310B1 true KR102556310B1 (ko) 2023-07-18

Family

ID=81183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912A KR102556310B1 (ko) 2020-09-25 2020-09-25 멸균 장치 및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3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77847Y (zh) 2008-02-19 2009-01-07 冯剑锋 一种手机投币加香消毒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3552A (ko) * 2005-07-26 2007-01-31 구홍식 운송수단의 실내 소독 장치
KR20120028413A (ko) * 2010-09-14 2012-03-23 (주)메디칼어플라이언스 과산화수소, 오존 및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독 멸균장치 및 방법
CA2970350C (en) * 2014-12-22 2023-07-25 Ivy Creative Labs, Inc. Plasma treatment device and method of treating items
KR102536043B1 (ko) * 2018-04-17 2023-05-25 주식회사 플라즈맵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멸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77847Y (zh) 2008-02-19 2009-01-07 冯剑锋 一种手机投币加香消毒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547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5170B2 (ja) 滅菌方法及び装置
JP4388555B2 (ja) エンクロージャ用生物汚染浄化装置
JP2006204889A5 (ko)
JP2010051351A (ja) アイソレータシステム
KR20120028413A (ko) 과산화수소, 오존 및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독 멸균장치 및 방법
CN102971015A (zh) 灭菌方法和灭菌设备
CN107106713A (zh) 等离子体处理装置及物品处理方法
KR101215928B1 (ko) 오존을 이용한 소독 멸균장치 및 방법
KR102556310B1 (ko) 멸균 장치 및 멸균 장치의 동작 방법
JPH10328276A (ja) 滅菌装置および滅菌方法
CN113195007B (zh) 灭菌方法以及灭菌装置
KR20170102676A (ko) 과산화수소 플라즈마 멸균장치
CN108853539A (zh) 一种低温等离子体臭氧灭菌器及灭菌方法
CN216890101U (zh) 制氧设备
KR200438487Y1 (ko) 복수의 멸균 챔버를 구비한 멸균 장치
US20220054679A1 (en) Sterilization system comprising independent pump module and sterilization method thereof
WO2021192230A1 (ja) 滅菌方法及び滅菌装置
KR20190075753A (ko) 순환식 잔존-오존 처리 방식의 순수-플라즈마 멸균장치
KR20200000149U (ko) 순환식 잔존-오존 처리 방식의 순수-플라즈마 멸균장치
JPH07227322A (ja) 殺菌ロッカー
CN113440634B (zh) 灭菌方法以及灭菌装置
US20210299312A1 (en) Sterilizing method and sterilizer
WO2021192330A1 (ja) 滅菌方法及び滅菌装置
WO2003103729A1 (ja) ガス滅菌の方法及び装置
KR102049727B1 (ko) 독립형 펌프모듈을 갖는 멸균 시스템 및 이의 멸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