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687B1 -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687B1
KR102555687B1 KR1020210060258A KR20210060258A KR102555687B1 KR 102555687 B1 KR102555687 B1 KR 102555687B1 KR 1020210060258 A KR1020210060258 A KR 1020210060258A KR 20210060258 A KR20210060258 A KR 20210060258A KR 102555687 B1 KR102555687 B1 KR 102555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wash
terminal
vehicle
business trip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2834A (ko
Inventor
박상준
최상규
Original Assignee
박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준 filed Critical 박상준
Priority to KR1020210060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687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호, 지역, 세차비 및 제공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세차 데이터를 입력하여 등록신청을 하고, 세차업무가 할당되면 할당된 업무를 출력하고 스케줄을 업데이트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 지역 및 차량정보를 입력하고 결제를 한 후, 세차 결과를 안내받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을 등록할 때 기 설정된 검증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등록여부를 결정하고, 등록승인을 받은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을 세차 데이터와 매핑하여 인력풀(Pool)을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세차요청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로 세차업무를 할당하는 할당부, 세차 결과를 세차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안내하는 보고부를 포함하는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ON-DEMAND MOBILE CAR WASH SERVICE WITH VEHICLE MAINTENANCE}
본 발명은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리스 및 장기렌트의 계약주체인 캐피털사와 사용자 간 약정에 세차 프로그램을 포함시킨 후 주기적으로 세차 및 유지보수를 함으로써 차량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따라 물류 스타트업이 주도하는 생활물류 서비스가 급성장하고 있다. 이들은 물류 틈새시장에서 기존 물류 기업들과는 차별화되는 고객의 편의성 제고에 중점을 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모바일 앱을 구축하여 온디맨드, O2O(Online To Offline), 편의물류, 역물류, 라스트 마일 배송을 구현하고 있다. 물류 스타트업 주도로 소화물뿐만 아니라, 음식배달, 원룸 이사, 세탁물 배송, 출장 세차, 출장 자동차정비 등 생활물류 서비스가 성장하고 있다. 생활물류 스타트업의 주요 성공요인 중 하나는 사용성이 높은 모바일 앱을 구축하여 고객의 충성도를 높이는 일이다. 출장 세차는 고객의 차를 세차장으로 가지고 가서 세차한 다음 다시 고객에게 되돌려 주는 서비스를 한다. 수거하고 서비스를 한 후에는 되돌려 준다는 점에서 역물류로 볼 수 있다. 역물류란 반품, 리콜처럼 고객에게 배달된 물건이 고객에서부터 공급자에게로 거꾸로 이동하는 물류를 말한다.
이때, 출장세차를 위하여 인력을 중개해주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20-0126175호(2020년11월06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6-0119006호(2016년10월12일 공개)에는, 출장스팀세차 요청이 수신되면, 대상 차량의 전자키를 세차 단말로 전송하고 세차 프로세스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구성과, 세차 작업을 수행하는 세차 업자와, 세차를 받고자 하는 고객이 위치, 세차범위, 가격, 시간 등의 특정 조건을 제시하면, 양자간의 조건이 서로 부합하는 상대를 매칭하여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은 언제 어디에서든 필요한 범위의 출장세차를 받을 수가 있고, 세차 업자 역시 본인의 요구 조건에 맞는 고객을 확보하여 세차 작업을 진행하도록 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환기도 잘 안되는 지하주차장에서 세차를 하는 업체에 대한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입주자대표회의에서 출입금지결정까지 했음에도 세차업체가 지속적으로 방문 및 영업을 함에 따라 건조물침입을 인정한 대법원 판례가 있다. 기계소음과 먼지가 발생하고 실내 세차까지 하면서 먼지를 지하에서 그대로 털어버리기 때문이다. 또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서 아파트 주차장에서 입주민 차량을 외부 세차업체가 세차를 해주고 돈을 받을 수 있는 권리인 세차권을 둘러싸고 세차 전쟁도 벌어지고 있는데, 일부 세차권은 수천만 내지 수억 원의 뒷돈을 건네주는 방식으로 암암리에 거래되며, 고급 아파트에서는 수 십억 원이 넘는 금액으로 거래된다. 이에, 검증된 업체를 선별하여 아파트별로 관리하고 CS 업무를 대신하며 세차 프로그램을 차량의 판매 및 대여에 포함시킴으로써 체계적으로 관리를 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을 수신하여 관리하고, 각 집합건물별로 검증된 업체 또는 개인을 포함하는 세차 단말을 배정한 후 관련 민원이나 CS를 담당하며, 차량을 판매 또는 대여할 때부터 세차 프로그램을 약정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차량을 세차하면서 유지보수 서비스까지 함께 제공하여 차량관리상태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보험사와의 연계를 통하여 세차업체 및 고객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호, 지역, 세차비 및 제공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세차 데이터를 입력하여 등록신청을 하고, 세차업무가 할당되면 할당된 업무를 출력하고 스케줄을 업데이트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 지역 및 차량정보를 입력하고 결제를 한 후, 세차 결과를 안내받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을 등록할 때 기 설정된 검증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등록여부를 결정하고, 등록승인을 받은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을 세차 데이터와 매핑하여 인력풀(Pool)을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세차요청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로 세차업무를 할당하는 할당부, 세차 결과를 세차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안내하는 보고부를 포함하는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을 수신하여 관리하고, 각 집합건물별로 검증된 업체 또는 개인을 포함하는 세차 단말을 배정한 후 관련 민원이나 CS를 담당하며, 차량을 판매 또는 대여할 때부터 세차 프로그램을 약정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차량을 세차하면서 유지보수 서비스까지 함께 제공하여 차량관리상태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보험사와의 연계를 통하여 세차업체 및 고객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캐피털사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캐피털사 서버(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캐피털사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출장세차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로부터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 가능시간, 위치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기 설정된 심사 프로세스를 거쳐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등록을 진행하여 인력풀(Pool)을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세차요청이 수신되거나 리스 또는 장기렌트 계약시 약정으로 세차 프로그램이 포함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로 세차업무를 할당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집합건물과 계약이 되었으나 집합건물 내 세차가 금지된 경우 [회수->세차->유지점검->반환]의 프로세스인 역물류를 거쳐 세차 및 유지보수를 진행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결과를 보고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집합건물 입주민으로부터 민원이 제기되는 경우, 즉시 민원이 발생된 지역 및 시간에 세차업무를 할당받은 세차 단말(400)로 이동명령을 전송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고, 소음 및 진동을 측정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기 지정된 세차장으로 이동하여 세차 서비스를 진행할 것을 강제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유지보수 결과를 세차 단말(400)로부터 업로드받고 사용자 단말(100)로 필요한 교체, 교환 등을 받으라는 안내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은,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업체 또는 개인을 등록하고,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세차업무를 할당받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세차 단말(400)은,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OBD 스캐너(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코드와 매핑하여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고, 세차 과정을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캐피털사 서버(500)는,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와 장기렌트 또는 리스 계약을 하고, 계약서 내 세차 프로그램에 대한 약정이 포함된 경우,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를 전송하고,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세차 및 유지보수 결과를 수신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캐피털사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캐피털사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캐피털사 서버(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 할당부(320), 보고부(330), 약정수행부(340), 유지보수부(350), 전달부(360), CS부(370), 패널티부(380), 경고부(390), 제어부(391) 및 운휴관리부(39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캐피털사 서버(500)로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캐피털사 서버(500)는,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캐피털사 서버(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장세차 서비스는 캐피털사 뿐만 아니라 보험사와의 연계를 통하여 고객의 DB를 구축하고 서비스를 확장시킬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을 등록할 때 기 설정된 검증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등록여부를 결정하고, 등록승인을 받은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을 세차 데이터와 매핑하여 인력풀(Pool)을 구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은, 상호, 지역, 세차비 및 제공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세차 데이터를 입력하여 등록신청을 할 수 있다.
<수동 회수 & 반납>
할당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세차요청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로 세차업무를 할당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은, 세차업무가 할당되면 할당된 업무를 출력하고 스케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할당부(320)는, 세차 단말(400)로 별도의 물리적인 자동차 키가 없어도 차량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제어권을 부여할 수 있다. 물론, 사람이 수동으로 자동차 키를 전달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이때, 차량 원격 제어를 시행해야 하는데, 차량 원격 제어는 차량과 연동되어 있는 통신 유닛을 통해서 수신된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차량이 제어되는 기능이다. 이때, 차량 연결 모델 및 플랫폼 구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인 텔레매틱스(Telematics Multimedia System) 서버, 즉 TMS 서버와 차량 내 TMS(Telematics Multimedia System)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TMS 유닛은 차량 내 정보 송수신을 위한 단말 기기로써 TMS 서버를 통해 외부와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TMS 서버와 TMS 유닛간의 인터페이스로써 HTTP,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SMS(Short Message Service) 적용이 가능하며,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때, TMS 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TMS 서버와의 접속을 통하 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차량 네트워크에서 외부 연결 게이트 역할을 맡고 있다. 차량 내 기능들을 특성별로 분류하고 기능별 최적화된 통신 프로토콜 제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차량과 외부 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MS 유닛에서 내부 장착 부품들과의 연동을 위해서 CAN 및 Ethernet 네트워크와의 호환성을 둔 변환 모듈을 탑재하여 내외부를 연결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하여, SAL(Secure Access Lock) 모듈을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공유 서비스를 위한 도어 개폐 장치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SAL 모듈은, 기존 도어락이나 제품 잠금 장치의 교체 없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안정성과 효율성 재고를 위하여 물리적 잠금 보안 장치에 연결이 가능하다. SAL 모듈은 이종 자원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스마트 기기의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사용자 인증과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며, 사용자 스마트 기기와 SAL 모듈간 디바이스 근접 또는 원격 제어를 위한 고정 인터페이스 모듈일 수 있다. SAL 모듈은 스마트 도어락 및 제품 잠금장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유무선 통신(BLE, WiFi, NFC, LAN, PLC) 기능, 기계적 개폐기능, 수동 개폐기능이 가능하며, 다양한 센서(Gyro, Vibrator, touch) 장착을 통해 사용자 편의 중심 동작 인터페이스와 도난 파손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자동 회수 & 반납>
이때, 최근 문제가 발생한 지하주차장 출입금지명령 및 대법원 판례와 같이, 지하주차장에서 세차를 하게 되면 소음 및 진동 문제 뿐만 아니라, 먼지, 옆 차 긁힘 및 찍힘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가장 가까운 세차장으로 차량을 이동시켜주는 소위 역물류가 진행되고 있다. 이때, 상술한 SAL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는 사람이 직접 가서 세차를 하거나 사람이 차량을 세차장으로 운반해주는 것인데, 작년 2020년 7월부터는 운전자가 운전대를 잡지 않더라도 자율주행시스템이 스스로 안전하게 차선을 유지하면서 주행하고 긴급 상황 등에 대응하는 자동차로유지기능이 탑재된 레벨 3 자율주행차량의 국내 출시 및 판매가 가능해졌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레벨 3 기준으로 차량의 [회수-세차-유지보수-반납] 과정에서, 회수 및 반납을 자동으로 해줄 수 있는 방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파트-세차장 간의 거리가 최소화 또는 경로가 최적인 밀리지 않는 도로를 우선으로 운행하므로 레벨 3 기준의 차량이 자율주행으로 회수-반납될지라도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은 크게 줄어들고 인력 및 시간 낭비도 없어진다.
이때, 레벨 3 부분 자율주행차량이란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J3016에서 정의한 조건부 자율주행 차량으로 미리 정의된 운행설계영역(Operational Design Domain, ODD)내에서 자율주행을 수행하고, ODD 영역을 벗어날 경우 인간 운전자가 차량을 제어해야 하는 자율주행 차량이다. 국토교통부는 자율주행차가 안전하게 제작되고 상용화될 수 있도록 부분 자율주행차(레벨3) 안전기준을 세계 최초로 도입했고,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국토교통부령 제 577호) 의 별표 27 부분 자율주행시스템의 안전 기준은 부분 자율주행 시스템의 작동 및 해제, 운전전환요구, 운전자와 자동차 간 상호작용(HMI), 위험 최소화 운행, 비상운행, 고장에 대한 안전기준,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성능 기준을 정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격에서 상황에 따라 제어권을 넘겨받을 수 있는 방법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연구된 많은 부분 자율주행자동차 연구 및 국내외 부분 자율차 안전기준(부분 자율주행시스템의 안전기준, UNECE/WP.29 ACSF 기준)은 주로 제어권 전환 직전의 상황 및 운전전환요청 제공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규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에 더하여 제어권 전환 후의 차량 거동 안정화 시간에 대한 고려를 할 수 있다. 자율주행에서 수동운전으로 전환 즉시 인간운전자는 차량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없다. 수동운전 전환 후 차량 거동이 안정화될 때까지 차량 거동 안정화 시간이 필요하다. 운전전환요청 시점부터 제어권 전환 후 차량 거동 안전화 시점까지의 구간을 고려함으로써 부분 자율차량의 치명적인 안전문제를 완화하고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제어권 전환 전후의 운전자, 자동차 및 환경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조건부 자율주행차량 시뮬레이터와 인간 운전자 관찰을 위한 다양한 센서들을(카메라, ECG 및 모션센서) 이용하여 실험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조건부 자율주행차량 시뮬레이터는 제어권 전환 버튼을 누르면 자동운전모드와 수동주행모드 전환이 이루어진다. 조건부 자율주행 차량 시뮬레이터는 차량의 laneGap, X축 속도, Y축 속도, Z축 속도, 선행차량과의 거리, 주행모드 등의 차량 정보와 주행도로지도, 날씨, 주야간 등의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수동으로 전환되어야 할 시기에 원격에 위치한 각 담당자가 제어권을 넘겨받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원격자율주행 서비스는 원격제어(Remote Control, Teleoperation, Teleoperated driving)기술을 통하여 자율주행자동차가 원격 운전자의 주행제어 명령에 의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원격운전자가 센터에서 도로상의 자율주행자동차와 통신하여 다수 혹은 특정 차량에 대하여 운전하는 경우와 자율주행차량의 비상상황을 대처하기 위하여 운행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G기반 V2X 통신을 통해 차량 및 도로 인프라를 모니터링하고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고, 도로 위에서 발생한 사고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주행중인 차량 내 위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관제센터에서 원격제어를 통한 즉각적인 개입으로 차량 사고를 최소화하는 시스템이다. 관제센터에서 차량과 5G기반 초고화질 영상통화가 가능하며, 필요시 의료진과의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구급차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근접한 구급차를 호출하고, 자율주행차의 경로를 원격에서 지정하여 구급차를 만날 수 있는 최적 경로를 설정하며, 차량의 빠른 이동을 위하여 원격에서 교통신호를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 & 업체 매칭>
이때, 사용자와 업체를 매칭하는 과정은 딥러닝 기반 다중 매칭을 이용할 수 있다. 의뢰인인 사용자에게 최적의 차량관리자 또는 협력사를 선정하는 과정은, 후보 객체(차량관리자 또는 협력사)를 식별하는 Candidate Generation Model과, 후보 객체 중 적합성을 고려하여 객체 순위를 매기는 Ranking Model로 크게 두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할당부(320)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에 DB화된 협력사 풀(Pool)을 탐색한다. 이때, 할당부(320)는, 매칭을 위하여 후보 객체를 선별하도록 소프트맥스 함수를 이용해 분류(Classification)할 수 있다. 분류를 위해 사용된 훈련 데이터는 전체 차량점검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관리자 및 협력사 풀을 기반으로 증가할 수 있다.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할 때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워드 임베딩에서 사용하는 네거티브 샘플링(Negative Sampling) 기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대량의 트래픽으로 인한 학습 모델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마다 고정된 양의 샘플을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차량관리자 및 협력사 풀로 딥러닝을 이용하여 학습시키면 이 모델은 매트릭스 인수분해(Matrix Factorization) 부담으로 실제 적용이 어려운 User-User 협업 필터링을 간접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후보 차량관리자 또는 협력사 리스트 가운데 매칭 그룹을 결정할 수 있는 모델인 랭킹 모델(Ranking Model)을 학습시킨다. 랭킹 모델은, 후보 차량관리자 또는 협력사 중 원하는 후보 매칭 그룹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데, 각 후보 차량관리자 또는 협력사 리스트의 경력이나 특징 정보와, 보유기계, 인력의 수, 경력 등의 제약 사항 정보를 랭킹 모델에 입력 데이터로 하여 딥러닝으로 학습하고, 학습한 랭킹 모델을 통해 추천 매칭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모델링할 수 있다.
할당부(320)는, 차량관리자의 스케줄 데이터 또는 각 협력사의 스케줄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주기, 빈도, 및 수량 미만의 작업할당량을 가지는 차량관리자나 협력사를 자동으로 분류 및 추출하여 우선순위로 매칭시킬 수 있다. 일정관리는, 주어진 기간 내 프로젝트를 완수시키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액티비티를 결정하고 선후행 관계를 정립하여 연결하는 것은 일정관리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인데, 스케줄링을 하더라도 작업할당량을 적절히 수주하지 못하여 일이 몰리거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m 개의 협력사에 n 개의 작업을 할당하는 할당문제는, 예를 들어, 헝가리안 알고리즘(Hungarian Algorithm)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할당문제를 Polynomial 시간에 해결할 수 있는 최적해 알고리즘인데, 다수의 작업과 기계가 존재하는 상황과, 각 작업을 특정 기계에서 수행하는 작업시간이나 비용이 다른 상황을 가정한다. 하나의 작업은 반드시 하나의 기계에서만 작업이 이루어진다는 가정하에, 처리시간이나 비용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최적해를 구하도록, 각 작업들을 각 기계를 보유한 협력사나 차량관리자에게 배정하는 문제이다.
이를 할당 문제(Assignment Problem)라 하는데, 균형 할당 문제(Balanced Assignment Problem), 불균형 할당 문제(Unbalanced Assignment Problem)를 포함하므로, 할당문제는 균형과 불균형의 2가지 경우가 존재한다. 할당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헝가리안(Hungarian) 알고리즘이나,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지만, 불균형 할당 문제에 대해서는 최적 해를 찾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비용이 모두 0인 가상의 행이나 열을 추가하여 균형 할당문제로 변환시킬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며,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보고부(330)는, 세차 결과를 세차 단말(400)로부터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지역 및 차량정보를 입력하고 결제를 한 후, 세차 결과를 안내받을 수 있다.
약정수행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캐피털사 서버(5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와의 장기렌트 및 리스계약 내에 세차 프로그램이 선택된 것으로 전달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차량 세차 주기, 요일 및 시간을 선택받은 후, 차량이 세차되는 날짜 및 시간에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로 세차업무를 할당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캐피털사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와 차량을 장기렌트 또는 리스계약을 진행할 수 있다.
유지보수부(350)는, 약정수행부(340)에서 세차업무를 세차 단말(400)로 할당한 후, 세차 단말(400)로부터 사용자의 차량의 상태정보(Status Information)를 수집하여 업로드받을 수 있다. 이때, 후술할 OBD를 통하여 차량 내부의 결함이나 고장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 외에도, 장기렌트나 리스에서 감가상각이 되는 항목들을 기준으로 차량의 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전달부(360)는, 유지보수부(350)에서 차량의 상태정보를 업로드받은 후, 차량의 상태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캐피털사 서버(5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렇게 전달된 상태정보는 장기렌트나 리스가 나간 차에 대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히스토리 로그를 만들어주게 되고, 이후 사고가 발생하거나 고장이 발생한 경우 원시적 하자인지 사용자에 의한 과실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증거로 이용될 수 있다.
CS(Customer Service)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집합건물별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을 관리하고, 적어도 하나의 집합건물의 주민 단말(미도시)로부터 수신된 민원 메세지를 처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단말(미도시)로 분배할 수 있다.
패널티부(380)는, 적어도 하나의 집합건물별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에 누적된 민원의 수, 주기 및 빈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패널티를 부과하여 세차업무를 할당하는 수, 주기 및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일방의 민원제기로 업체나 기사가 을의 위치에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명 절차를 거칠 수 있다.
경고부(390)는, 적어도 하나의 집합건물별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에 세차업무가 할당된 후, 차량의 세차가 적어도 하나의 집합건물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소음 및 진동 측정 데이터를 업로드하도록 하고, 업로드된 소음 및 진동이 기 설정된 소음 및 진동을 초과하는 경우 기 지정된 세차장으로 이동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로 경고할 수 있다. 만약 쿨링포그(Cooling Fog)와 같은 미세물분자를 이용하여 먼지를 땅으로 가라앉히거나,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기를 이용하여 기준값 이하로 먼지를 낮추는 경우에는 예외로 할 수 있다. 이때, 비정상적인 방전, 즉 역전리(Back Corona)가 발생되면 분진 집진 효율은 상당히 낮아진다. 높은 비저항 값을 갖는 먼지에 대해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상술한 쿨링포그를 함께 이용하여 습식 전기집진기를 이용하여 집진판에 부착된 먼지 층에 물을 분사하여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방법 이외에도, 먼지의 저항 값을 조정하거나 먼지층의 전류를 제어하는 방법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전기집진기의 전원장치는 주로 DC 하전장치가 사용되는데, 고비저항 먼지의 역전리에 의해 발생되는 집진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펄스 하전장치(Micro Pulse System, MPS)를 더 이용할 수 있다. 이때,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위상제어방식의 일반적인 MPS가 아닌 고주파 인버터와 고주파 변압기를 적용하여 총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제거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리포트 하는 경우에는 강제이동명령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민원이 발생하면 즉시이동명령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391)는,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로 OBD(On-Board Diagnostics) 스캐너와 연동되도록 연결채널을 제공하고, OBD 스캐너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코드와 함께 매핑하여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OBD는 자동차 자가 진단을 위한 장치로써, OBD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고장진단을 수행하고, 고장진단된 차량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차량에는 성능과 안전·편의성 향상을 위해 ECU(Electric Control Unit),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ACU(Airbag Control Unit), ABS(Anti-lock Braking System) 등과 같은 제어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데, 각 제어 모듈은 필요에 따라 다른 모듈의 데이터 값을 공유함으로써 전체의 기능을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제어모듈(ECM)을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이용한다.
이때, ECM은, 차량 운행중 배출가스 제어 부품이나 차량 전자 제어 시스템을 자가진단하게 되며, 고장으로 판정되면 고장코드(DTC, Diagnostic Trouble Code)를 저장하고 고장 경고등(MIL)이 켜지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OBD-II(On-Board Diagnosis)시스템이라 한다. 이때, OBD-II는 OBD에서 배기가스규제가 추가된 시스템인데, 이를 본 발명에서 이용하게 되면, 진단 기능 및 차량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차량의 진단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에 문제가 생겼을 때 원격에서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때, 진단 기능은, ELM 실행, 유틸리티 실행, 센서 출력, 데이터 파형, 데이터 출력, 고장진단 출력 등을 포함하고, 차량 접속 기능은, 차량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차량과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OBD는, OBD 커넥터에 연결되어 차량의 OBD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을 경유하여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OBD는 차량에서 시동을 거는 경우, 전원이 공급되면서 작동이 시작된다. 이때, OBD는 포팅된 코드에 의해 엔진 RPM과, 차량의 속도정보를 차량으로부터 획득하고, 이동거리는 S=VT라는 공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3 가지의 차량 OBD 정보를 구분하기 위하여 변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기기 간 시리얼 통신을 통하여 OBD의 작동을 확인하기 이전에, 시리얼 통신의 정상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도 있으며, OBD에서 진단하는 차량진단모드는 이하 표 1과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ode Description
MODE 1 Show current data
MODE 2 Show freeze frame data
MODE 3 Show stored Diagnostic Trouble Codes
MODE 4 Clear Diagnostic Trouble Codes and stored values
MODE 5 Test result, oxygen sensor monitoring
MODE 6 Test results, other component/system monitoring
MODE 7 Show pending Diagnostic Trouble Codes
MODE 8 Control operation of on-board component/system
MODE 9 Request vehicle information
OBD의 송신단에서 OBD 정보를 전송하고, OBD의 수신단에서는 에코 코드를 포팅(Porting)하여 수신한 정보를 그대로 다시 보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OBD의 수신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와, 송신단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시리얼 통신의 동작 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기기 간 통신을 할 경우에, 송신단으로부터 취득된 OBD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수신단에서는 데이터를 구분할 수가 없다. 따라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TLV(Type, Length, Value)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취득된 정보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정보는 프레임의 OP코드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데이터는 프레임 내에 채워져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수신측의 과부하를 막기 위하여,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송신단에서 OBD 정보를 송신할 때 딜레이를 주어 정상적으로 수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 바이트씩 전송하더라도 수신측에서는 전체적으로 프레임 구조가 유지되고, 각각의 정보가 순서대로 정상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또, AP 이전에 와이파이 모듈이 더 구비되는 경우, OBD와 와이파이 모듈 간 UDP 소켓 설정을 통하여 기 정의된 통신을 설정해야 한다. 이때, 와이파이 모듈은 스테이션으로 설정되고, 기 설정된 SSID 암호에 따라 일반 AP와 연결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소켓 설정이 끝나면, 시리얼 통신 설정을 통하여 OBD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설정이 끝나면, 와이파이 모듈은, OBD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의 정상유무를 확인한 후, 정상적인 데이터만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모듈은, 버퍼에 저장된 각각의 OBD 정보를 헤더를 붙여 프레임 구조로 AP로 전송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OP코드 뒤에 실려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프레임 구조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정보가 어디에 저장되었는지를 확인 및 추출할 수 있고, 고장 진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DTG는, 차량운행기록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장치로써, 차량의 GPS, 속도, RPM, 제동유무, 이동거리 등 차량운행 관련 데이터가 1초 단위로 기록되는 장치이다. 차량 운행 패턴 및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DTG 데이터의 빠른 처리가 필수적이며, 특히 대용량 DTG 데이터를 가공 및 변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플랫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오픈소스 기반의 빅데이터 프레임워크인 예를 들어, 스파크(Spark)를 이용하여 대용량 DTG 데이터의 전처리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고, 실제 대용량 DTG 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변환 및 지도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스파크는 하둡(Hadoop)이 추구하는 맵 리듀스 방식을 벗어나 RDD(Resilient Distributed Dataset)이라는 고유의 자료구조를 생성해 빅데이터 분석을 처리한다. 또한, 스파크는 자바, 스칼라, 파이썬, R 등 프로그래밍에 친화적인 API를 제공하며, SQL, 스트리밍 데이터, 머신러닝 및 그래프 처리를 지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빅데이터 처리 뿐만 아니라 통계분석까지 활용할 수 있는 SparkR API를 사용할 수 있다.
DTG 데이터 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DTG 데이터 요소들은 이하 표 2와 같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DTG 데이터의 특징은 운행차량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차량 상태정보와 위치 정보가 함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간 데이터 분석을 위해 스파크가 제공하는 지오스파크(Geo-Spark)를 이용하여 차량의 GPS와 새주소 도로 형상을 적재 및 처리하고 WGS84 좌표계 기반에서 미터단위의 평면좌표계로 통일하여 분석할 수도 있다.
설명 자료형 단위
정보발생일시 String -
총 누적주행거리(km) Unsigned integer km
총 누적주행거리(m) Unsigned integer m
일일 주행거리 Unsigned integer km
자동차 속도 Unsigned integer km/h
분당엔진 회전수 Unsigned integer RPM
브레이크 신호 Unsigned integer -
차량위치,GPSx Integer -
차량위치,GPSy Integer -
GPS 방위각 Unsigned integer -
가속도x Integer m/s2
가속도y Integer m/s2
운휴관리부(393)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 또는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차량의 운휴시간 및 운휴위치를 추출하여 업로드받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정기권을 결제하거나 세차 프로그램을 선택한 경우, 기 설정된 주기 마다 운휴시간 및 운휴위치에 세차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로 세차업무를 할당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상용화된 자율주행기술은 제한적인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3 단계 조건부 자율주행인데, 이를 이용하면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배달 및 회수는 자율주행을 이용하여 가능해지고, 코로나19로 비대면이 강조되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상호간 만나지 않고도 배달 및 회수가 가능해진다.
단계 구분 내용
0단계 비자동화 자율주행 기능이 없는 일반 자동차
1 단계 운전자 지원 기능 자동 브레이크, 자동 속도조절 등 운전 보조
2 단계 부분적 자율주행 2 가지 이상의 자동화 기능이 동시에 작동. 부분 자율주행 운전자 상시 감독 필요
3 단계 조건부 자율주행 제한적인 자율주행이 가능하나 특정 상황에 따라 운전자의 개입이 반드시 필요함
4 단계 고급 자율주행 시내 주행을 포함한 도로환경에서 주행 시 운전자 개입이나 모니터링이 필요하지 않은 상태
5 단계 완전 자동화 모든 환경 하에서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하지 않음
이때, 현재 개발된 자율주행차량이 3 단계라는 것에 기반하여, 원격지에서 주행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주차위치가 역삼동이고 배달위치가 선릉역이라면 거리는 짧아서 기 설정된 거리 조건을 만족하지만 시내교통이 복잡해서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높다. 자율주행 차량은 주변환경을 인식하여 위험 판단, 경로 계획 등 스스로 판단하고 운전자의 조작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제어하는데, 자율주행 차량은 차량의 내/외적 주행 상황을 인지하기 위해서 각종 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가 통합적이고 복합적인 형태로 시스템이 설계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율주행차량의 내부 상태 및 주변 상황 계측 데이터를 시각화할 수 있는데, 우선, 실차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양한 자율주행 시나리오에서의 차량 내/외부 상황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설계의 간편성을 확보하기 위해 Matlab/Simulink 기반의 간단한 함수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첫 번째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해 Vision, Radar가 장착된 차량을 이용하여 데이터 수집을 실시할 수 있다. 다양한 자율 주행 시나리오를 통해 차량 내/외부 상황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으며, 수집한 데이터는 차량 내부 상태 정보와 외부 환경 정보 2가지로 나누어 구성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이를 위한 프로그램 구조 중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10ms Sampling time 아래 작동하며, 수집하는 신호마다 Sampling time이 상이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현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 모니터링에 있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차량의 데이터 그래프가 동일한 시간 축에 맞춰 실시간으로 나타날 수 있다. 수집한 데이터의 구성은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INS(Inertial Navigation System)에서 획득한 경도, 위도, Yaw rate, 횡 가속도 등으로 위치 및 자세정보를 얻으며, 차속과 Roll, Pitch, Head Angle을 포함하여 제어기 설계에 필요한 차량 내부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Vision과 Radar의 융합에 의해 획득된 앞, 옆차 간 거리로 외부환경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상태 정보, 도로 정보 등 다양한 신호들이 통합적으로 시각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격지에서 사람의 개입이 요구될 때 관리자 단말(미도시)에서 배달 또는 회수시 즉각적으로 관여하여 배달 또는 회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자율주행은 스스로 판단하여 주행을 한다기보다는, 한 지점에서 다른 한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이미 정해진 경로, 즉 현재 차량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추종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자율주행차량을 원격에서 제어하여 무인차량의 방법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 프로그램(Vehicle Control Program)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OBD 포트를 통해서 전장 시스템 내부 상태를 모니터하고, 조향 휠, 가속 및 감속 페달, 기어 스틱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제어는 센싱, 판단, 실행의 3 단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 원격 제어는 판단 부분만을 원격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은, 차량 센서들로부터 읽어들인 센서 값들을 실시간으로 가져오고, 이를 기반으로 사람 또는 소프트웨어가 판단 작업을 수행한 후에 다시 차량 제어 프로그램이 관리하는 액츄에이터들에게 전달할 명령들을 실시간으로 전송해야 한다. 이때, 인터페이스에서 특정 센서의 값, 특정 모터에게 전달되는 명령 등은 모두 파라미터(Parameter)로 모델링될 수 있다.
즉, 차량의 현재 속도는 "Actual Velocity"라는 파라미터 값을 차량 제어 프로그램이 가져오는 것이고, 차량의 목표 속도를 설정하는 명령은 "Target Velocity"라는 파라미터 값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센서로부터 파생되는 파라미터들을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에 동적 파라미터로 정의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파라미터들은 모두 정적 파라미터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하게 되는데,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입장에서는 차량 내부에서 동작하는 자율 주행 프로그램도 클라이언트이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동작하는 차량 제어 애플리케이션도 클라이언트이다. 따라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주고받는 메세지 형식을 직렬화 형식으로 정의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각기 다른 언어로 작성 및 호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직렬화 형식은 구글의 Protobuf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예를 들어, C++ 언어, Java 언어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파라미터 객체는 로그로 저장되어 이후 분석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 제어 프로그램은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통신할 때 항상 응답 메세지를 받을 수 있고,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내부 오류가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피공유자는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 내부의 문제를 최대한 빨리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차량 제어 프로그램은 OS(Operating System) 플랫폼 위에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통신을 담당하는 에이전트 서비스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액티비티로 분리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에이전트 서비스는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항상 접속 상태를 유지하고,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관리하는 파라미터 값들의 복사본을 유지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더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에이전트 서비스는 주기적으로 파라미터 복사본을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 내부 파라미터들과 동기화하게 된다. 만약 에이전트와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 사이에 통신 오류가 발생하면 에이전트는 연결 복구를 시도하게 된다. 그러나 수 차례 복구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에는,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한 다른 클라이언트가 정해진 규칙에 의해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제어의 우선순위를 자연스럽게 상속받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차량 원격 제어 도중 다른 제어가 없다면 사고의 위험이나 차량 손상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법이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완전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원격제어는 필요없겠지만 이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으므로, 무인차량의 초기 단계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400)로부터 지역, 경력, 제공가능한 서비스, 제공 서비스별 요금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스케줄 정보도 함께 수집하여 이후 업무를 할당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를 마련한다. 그리고, (b)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캐피털 서버(500)로부터 장기렌트 또는 리스 계약시 세차 프로그램을 약정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풀(Customer Pool)을 구축한다. 그리고, (c)와 같이 사용자가 일부러 시간과 장소를 설정하지 않아도,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운휴시간, 날짜, 장소 등을 추출하여 세차 단말(400)의 스케줄과 매칭되는 퍼센트대로 내림차순정렬하여 상위 N 개의 날짜, 시간 및 장소를 추출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제안을 하는 방식으로 스케줄을 잡을 수 있다. (d) 여러 개의 스케줄 옵션 중 사용자 단말(100)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수동 또는 자동으로 차량을 회수하여 세차-유지보수 한 후 반납을 해줄 수 있다. 만약, 차량이 주차된 곳에서 세차가 허용되었다면 회수-반납의 과정은 삭제될 수 있다.
도 4의 (a)와 같이 최근 논란이 되는 지하주차장 세차금지에 따라 아파트 규약에 따라 금지된 곳은 이동하여 세차하도록 하고, 금지는 되지 않았지만 소음, 진동 및 먼지 등의 규제가 있는 곳은 이를 측정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소음, 진동 및 먼지가 발생하는 경우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세차 단말(400)로 즉시 적어도 하나의 세차장으로 이동명령할 수 있다.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세차장도 미리 협력사 풀로 포함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해두고, 세차 공간을 빌려주고 그 대차비를 받도록 플랫폼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b)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세차 단말(400)에서 리포트하는 교체요구나 관찰요구가 되는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이 교체 승인을 한 경우 바로 세차 단말(400)로 전송하여 교체 및 세차된 차량을 반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세차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정비)까지 한 번에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시간을 내서 세차나 정비소에 들를 필요가 없고, 세차업체나 개인은 지속적인 정기권을 가진 멤버쉽 회원을 보유할 수 있으므로 매출에 대한 걱정을 덜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을 등록할 때 기 설정된 검증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등록여부를 결정하고, 등록승인을 받은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을 세차 데이터와 매핑하여 인력풀(Pool)을 구축한다(S5100).
그리고,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세차요청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로 세차업무를 할당하고(S5200) 세차 결과를 세차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안내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상호, 지역, 세차비 및 제공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세차 데이터를 입력하여 등록신청을 하고, 세차업무가 할당되면 할당된 업무를 출력하고 스케줄을 업데이트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
    지역 및 차량정보를 입력하고 결제를 한 후, 세차 결과를 안내받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을 등록할 때 기 설정된 검증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등록여부를 결정하고, 등록승인을 받은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을 상기 세차 데이터와 매핑하여 인력풀(Pool)을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세차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로 상기 세차업무를 할당하는 할당부, 상기 세차 결과를 상기 세차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안내하는 보고부, 적어도 하나의 집합건물별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을 관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집합건물의 주민 단말로부터 수신된 민원 메세지를 처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단말로 분배하는 CS(Customer Service)부를 포함하는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차량을 장기렌트 또는 리스계약을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피털사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피털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의 상기 장기렌트 및 리스계약 내에 세차 프로그램이 선택된 것으로 전달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량 세차 주기, 요일 및 시간을 선택받은 후, 상기 차량이 세차되는 날짜 및 시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로 세차업무를 할당하는 약정수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약정수행부에서 상기 세차업무를 상기 세차 단말로 할당한 후, 상기 세차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차량의 상태정보(Status Information)를 수집하여 업로드받는 유지보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유지보수부에서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를 업로드받은 후,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피털사 서버로 전달하는 전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집합건물별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에 누적된 민원의 수, 주기 및 빈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패널티를 부과하여 상기 세차업무를 할당하는 수, 주기 및 빈도를 감소시키는 패널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상호, 지역, 세차비 및 제공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세차 데이터를 입력하여 등록신청을 하고, 세차업무가 할당되면 할당된 업무를 출력하고 스케줄을 업데이트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
    지역 및 차량정보를 입력하고 결제를 한 후, 세차 결과를 안내받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을 등록할 때 기 설정된 검증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등록여부를 결정하고, 등록승인을 받은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을 상기 세차 데이터와 매핑하여 인력풀(Pool)을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세차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로 상기 세차업무를 할당하는 할당부, 상기 세차 결과를 상기 세차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안내하는 보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집합건물별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에 상기 세차업무가 할당된 후, 차량의 세차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집합건물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소음 및 진동 측정 데이터를 업로드하도록 하고, 업로드된 소음 및 진동이 기 설정된 소음 및 진동을 초과하는 경우 기 지정된 세차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로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로 OBD(On-Board Diagnostics) 스캐너와 연동되도록 연결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OBD 스캐너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코드와 함께 매핑하여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 또는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차량의 운휴시간 및 운휴위치를 추출하여 업로드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정기권을 결제하거나 세차 프로그램을 선택한 경우, 기 설정된 주기 마다 상기 운휴시간 및 운휴위치에 세차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세차 단말로 세차업무를 할당하는 운휴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060258A 2021-05-10 2021-05-10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55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258A KR102555687B1 (ko) 2021-05-10 2021-05-10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258A KR102555687B1 (ko) 2021-05-10 2021-05-10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834A KR20220152834A (ko) 2022-11-17
KR102555687B1 true KR102555687B1 (ko) 2023-07-14

Family

ID=8423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258A KR102555687B1 (ko) 2021-05-10 2021-05-10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6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2107A (ja) * 2015-02-24 2015-07-02 コスモ石油株式会社 リース契約車両への洗車サービスの提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285A (ko) * 2014-09-26 2016-04-06 두레엔주식회사 콜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20170070531A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드로우하트 세차정보관리시스템 및 세차정보관리방법
KR20200125001A (ko) * 2019-04-25 2020-11-04 전재환 차량 정기 방문관리 서비스 방법
KR102244088B1 (ko) * 2019-07-03 2021-04-23 주락구 차주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41440A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팀와이퍼 날씨 정보를 이용한 세차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2107A (ja) * 2015-02-24 2015-07-02 コスモ石油株式会社 リース契約車両への洗車サービスの提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834A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2435B2 (en) Apparatus for a dynamic, score-based, telematics connection search engine and aggregator and corresponding method thereof
US11595779B2 (en) System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tock anomalies in a fleet management system
Zhang et al. OpenVDAP: An open vehicular data analytics platform for CAVs
CN109690606B (zh) 基于远程信息处理的系统及其相应的方法
US10032317B2 (en) Integrated fleet vehicle management system
US2020018459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nalyzing Roadside Assistance Service of Vehicles in Real Time
US98307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ecuting custom fleet vehicle management scripts
CN108076043A (zh) 用于交通工具维修的虚拟密钥
CN107074200A (zh) 使用软件狗的用于去往和来自交通工具的服务递送的端到端系统
CN105554059A (zh) 基于北斗导航技术的物流运输智能感知与位置服务系统
US20190227569A1 (en) Task Management Platform for Autonomous Vehicles
US20180082342A1 (en) Predicting automobile future value and operational costs from automobile and driver information for service and ownership decision optimization
Tsybunov et al. Interactive (intelligent) integrated system for the road vehicles’ diagnostics
US20220164895A1 (en) Predictive claims platform for managing repairs
US202204145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data annotations
US20240095686A1 (en) Autonomous car repair
Weis et al. Rapid deployment of IoT enabled system for automobile fuel range and gas price location
Hou et al. Initial assessment and modeling framework development for automated mobility districts
CN112036594B (zh) 一种乘车订单管理的方法及系统
KR102227244B1 (ko)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55687B1 (ko) 차량의 유지보수와 연계한 출장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65764A (ko) 공유경제플랫폼의 인공지능 비대면 차량가용유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BULUT et al. Cloud based vehicle and traffic information sharing application architecture for industry 4.0 (iot)
Bulut Ibrahim et al. Cloud-based architecture development to share vehicle and traffic information for industry 4.0
CN110111449A (zh) 一种车辆监控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