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384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384B1
KR102555384B1 KR1020180069176A KR20180069176A KR102555384B1 KR 102555384 B1 KR102555384 B1 KR 102555384B1 KR 1020180069176 A KR1020180069176 A KR 1020180069176A KR 20180069176 A KR20180069176 A KR 20180069176A KR 102555384 B1 KR102555384 B1 KR 102555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steam
water
hous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092A (ko
Inventor
심훈섭
양재경
양학순
이수찬
이용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9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384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3Details moisturising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26Automatic feed-contro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공급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태의 스팀 생성부가 형성되는 주물 소재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스팀 생성부로부터 양 측방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상기 스팀 생성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부; 상기 스팀 생성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에서 분지되어 조리실로 연결되는 제 2 유로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 유로; 및 상기 제 1 유로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 공급 유로 내의 응축수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스팀 공급 장치를 구비한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오븐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는,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익히는 가전 기기이다. 최근에는 조리실 내부로 증기를 제공하여, 음식물의 식감을 높이고 음식물에 포함된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조리 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스팀 공급 장치의 스팀 발생 효율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스팀 생성부의 형상과, 히터의 위치에 따른 열전달 양상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그리고, 스팀 공급 장치의 작동 중에 일정하게 유지되는 스팀 생성부 내의 수위는, 스팀 발생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스팀 발생시 튀어 오르는 토출수의 최소화와 스팀 발생부의 온도 제어를 통한 신뢰성 확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28643호(2018년03월19일)
본 발명은 스팀을 발생시켜서 조리실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 공급부의 형상을 개선하고 최적화하여, 스팀 발생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리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장착되는 워터 탱크;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장착되는 스팀 공급 장치; 상기 워터 탱크와 상기 스팀 공급 장치를 연결하는 급배수 유로; 및 상기 급배수 유로 상에 놓이는 펌프 모듈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이고, 상기 급배수 유로는, 상기 워터 탱크의 급수 포트에 연결되는 급수 유로; 상기 워터 탱크의 배수 포트에 연결되는 배수 유로; 및 상기 급수 유로와 배수 유로가 만나는 지점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팀 공급 장치의 급수구에 연결되는 공통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모듈은, 상기 급수 유로 상에 장착되는 급수 펌프; 및 상기 배수 유로 상에 장착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 공급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단에 상기 급수구가 형성되며, 상단에 스팀 토출을 위한 토출 포트가 형성되는 스팀 생성부; 상기 스팀 생성부를 가열하여 스팀이 생성되도록 하는 히터; 상기 스팀 생성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에서 분지되어 조리실로 연결되는 제 2 유로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 유로; 및 상기 제 1 유로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 공급 유로 내의 응축수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부는, 상면에 상기 제 1 유로의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스팀 공급 유로 내에서 형성된 응축수가 모이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공통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에 모인 응축수가 상기 스팀 생성부로 재공급 가능도록 순환 유로를 형성하는 회수 유로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 스팀 생성부가 수직하게 연장되는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팀 생성부의 양 측방에서 상기 스팀 생성부의 길이 방향으로 히터가 연장되게 설치됨으로써, 스팀 생성부로의 열전달을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스팀 생성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내부에 상기 히터가 매립되고, 상기 케이스가 주물 타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열전달 효과가 더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공급부의 구조에 의하면, 스팀 발생 효율을 극대화하면서도 토출수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스팀 발생부의 신뢰성이 효과적으로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스팀 공급 유로를 따라 발생하는 응축수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가 상기 스팀 공급부의 외측에 장착되고, 스팀 공급 과정에서 발생하는 토출수 및 응축수를 상기 스팀 생성부로 재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워터 탱크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고, 회수부로 모인 응축수를 조리 기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로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회수부 내의 수위가 곧 스팀 생성부 내의 수위에 해당하므로, 수위 센서를 고온의 스팀 생성부 내부에 직접 장착하지 않고 회수부 내에 장착하면 되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스팀 생성부 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서 고온에 잘 견디는 전극 타입 수위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수위 센서의 수명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전극 타입 수위 센서를 회수부 하우징의 상면에 장착하되, 하우징에 연결되는 스팀 공급 유로의 양 측방에 공통 전극과 동작 전극을 각각 분리 배치함으로써, 수위 센서의 오작동 및 노이즈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수위 센서를 구성하는 전극의 단부에 테프론 코팅 처리함으로써 센서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덟째, 스팀 공급 유로와 수위 센서를 구성하는 전극 사이에 해당하는 회수부 하우징의 상면에 함몰부 형태의 응축수 유입 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스팀 공급 유로를 따라 흐르는 응축수가 수위 센서의 전극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홉째, 스팀 생성부와 회수부의 하우징을 연결하는 스팀 공급 유로의 일 지점에서 조리실과 연통하는 연결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물공급 과정에서 스팀 생성부와 회수부의 하우징 내부 압력이 대기압으로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선행 기술에서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성, 즉 회수부의 하우징 내부를 대기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벤트홀이나 압력 강하를 위한 관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공급 장치의 좌측 사시도.
도 3은 상기 스팀 공급 장치의 우측 사시도.
도 4는 도 2의 4-4를 따라 절개되는 스팀 공급부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2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2의 6-6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조리 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11)와, 상기 캐비티(11)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2)와, 상기 캐비티(11)의 상면에 놓이는 워터 탱크(13)와, 상기 캐비티(11)의 배면에 장착되는 스팀 공급 장치(20)와, 상기 워터 탱크(13)와 상기 스팀 공급 장치(20)를 연결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 상에 연결되는 펌프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티(11) 내부에는 음식물 조리를 위한 가열 장치와, 조리실 내부의 열기 순환을 위한 순환팬 등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12)의 상측에는 조작부를 포함한 컨트롤 패널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13)는 상기 도어의 상부 일측에 드로어 타입으로 제공되고, 상기 캐비티(1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13)는 탱크 하우징 내부에 인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탱크 하우징은 상기 캐비티(11)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 하우징의 배면에는 급수 포트(131)와 배수 포트(132)가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는 휘어짐이 가능한 튜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 모듈(30)은, 상기 워터 탱크(13) 내의 물을 상기 스팀 공급 장치(20)로 공급하는 급수 펌프(31)와, 상기 스팀 공급 장치(20)에 남아 있는 물을 상기 워터 탱크(13)로 되돌리는 배수 펌프(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펌프(32)는 상기 스팀 공급 장치(20)의 물을 상기 워터 탱크(13)로 되돌리는 기능을 하므로 회수 펌프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는, 상기 급수 포트(131)에 연결되는 급수 유로(133)와, 상기 배수 포트(132)에 연결되는 배수 유로(134)와, 상기 급수 유로(133)와 배수 유로(134)가 만나는 지점에 연결되는 공통 유로(13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 유로(133) 상에 상기 급수 펌프(31)가 장착되고, 상기 배수 유로(134) 상에 상기 배수 펌프(3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펌프(31)와 배수 펌프(32)의 출구측에서 연장되는 급수 유로 및 배수 유로의 단부들은 한 지점에서 만나고, 상기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공통 유로(135)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공통 유로(135)의 출구단은 상기 스팀 공급 장치(2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유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워터 탱크(13)에 채워진 물은, 상기 급수 펌프(31)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급수 유로(133)와 상기 공통 유로(135)를 따라서 상기 스팀 공급 장치(20)로 공급된다. 그리고, 스팀 공급이 완료된 후 상기 스팀 공그 장치(20)에 남아있는 물은, 상기 배수 펌프(32)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공통 유로(35) 및 상기 배수 유로(134)를 따라 상기 워터 탱크(13)로 되돌아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팀 공급 장치(20)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공급 장치의 좌측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스팀 공급 장치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공급 장치(20)는, 스팀을 발생시키고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21)와, 상기 스팀 공급부에서 발생한 스팀을 상기 캐비티(11) 내부로 안내하는 스팀 공급 유로(25)와, 상기 스팀 공급 유로(25)의 일단에 연결되어 스팀 공급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모으는 회수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팀 공급부(21)는, 주물 타입의 케이스(22)와, 상기 케이스(22) 내부에 매립되는 스팀 발생을 위한 히터(23)와, 상기 케이스(22)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22)의 과열을 방지하는 써미스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수부(26)는 체결 브라켓(29)에 의하여 상기 스팀 공급부(21)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2)는, 대략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는 히터 매립부(221)와, 상기 히터 매립부(221)의 일 측면에서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써미스터(24)가 장착되는 써미스터 장착부(222)와, 상기 히터 매립부(221)의 중간 부위에 실린더 형태로 연장되는 스팀 생성부(223)와, 상기 히터 매립부(221)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급수구(224)로 이루어진다.
상기 히터(23)는 U자형 씨즈 히터일 수 있고, 상기 히터(23)의 양 단부는 상기 케이스(22), 구체적으로는 상기 히터 매립부(221)의 상면에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23)의 양 단부 사이에 상기 스팀 생성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히터 매립부(221)는 좌우 폭보다 상하 방향 길이가 더 길고, 상기 히터(23)의 직경보다 큰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팀 생성부(223)는 스팀과 물이 채워지도록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후단은 상기 히터 매립부(221)의 후단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전단부가 상기 히터 매립부(221)의 전면으로부터 더 돌출되도록,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내경이 상기 히터 매립부(221)의 두께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스팀 생성부(223)는 내경이 동일한 실린더 형태 또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절단된 콘형(truncated cone type) 실린더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상단은 상기 히터 매립부(221)(또는 케이스(22))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더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히터 매립부(2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상측 부분은 토출 포트(225)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 공급 유로(25)는, 상기 토출 포트(225)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승부(251)와, 상기 상승부(251)의 상단으로부터 휘어져서 연장되는 연장부(252)와, 상기 연장부(252)의 단부에서 휘어져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강부(253)와, 상기 하강부(253)의 어느 지점에서 연장되는 캐비티 연결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52)는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티 연결부(254)는, 상기 하강부(25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대략 S자 형태로 휘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티 연결부(254)는, 상기 하강부(253)의 어느 지점에서 수평하게 연장된 후 휘어져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다시 휘어져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 연결부(254)의 단부는 상기 캐비티(11)의 후면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11) 내부와 연통한다. 따라서, 상기 스팀 공급 유로(25)를 따라 흐르는 스팀이 상기 캐비티 연결부(253)를 통하여 캐비티(11) 내부로 공급된다.
여기서, 실린더 형태의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체적이 작기 때문에, 스팀 생성부(223)로 공급된 물이 가열되면 비등(boiling)이 격렬이 일어나고, 특히 돌비 현상(bumping)이 발생하면, 스팀과 함께 고온의 물이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외부로 넘쳐 흐르게 된다.
이때, 끓어 넘치는 물이 캐비티(11)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스팀 공급 유로(25)의 형상을 적절히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팀 공급 유로(25)는 n자 형태로 휘어져서 끓어 넘치는 물이 캐비티(11)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하강부(253)의 일측에서 캐비티 연결부(254)가 분지되고,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스팀 공급 유로(25) 상의 액체와 기체 중 기체만이 상기 캐비티(11)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스팀 공급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상기 캐비티(11)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스팀 생성부(223) 내부로 회수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강부(253)의 단부에 상기 회수부(2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수부(26)의 내부에는 응축수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회수부(26)의 저면에는 회수 유로(273)가 연장된다.
상기 회수 유로(273)의 단부는 상기 펌프 모듈(30)과 상기 급수구(224)를 연결하는 상기 공통 유로(135)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회수 유로(273)를 따라 배출되는 응축수는 상기 공통 유로(135)를 따라 공급되는 물과 함께 상기 스팀 생성부(223)로 재공급된다.
한편, 상기 스팀 공급부(21)와 상기 하우징(27)을 연결하는 n자형 유로를 제 1 유로로 정의하고, 상기 제 1 유로에서 분지되는 상기 상기 캐비티 연결부(254)를 제 2 유로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팀 공급부(21)와 상기 회수부(26)의 단면 구조 및 내부 구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4-4를 따라 절개되는 스팀 공급부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6-6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중심축(C1)과 상기 급수구(224)의 중심축(C2)이 일치하지 않고,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두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히터 매립부(221)에 상기 스팀 생성부(223)를 생성함과 동시에 U자로 휘어지는 상기 히터(23)를 매립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U자 형상을 이루는 상기 히터(23)의 하단부가 상기 스팀 생성부(223)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하단부가 상기 히터(23)의 하단부를 피해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그 결과, 상기 급수구(224)가 상기 히터 매립부(221)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치우치는 지점에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하단부와 상기 급수구(224)를 연결하는 유로의 직경이 급수구(224)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형상을 설명하면, 상기 히터(23)의 하단부가 지나는 지점에서 상기 스팀 생성부(223)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단차지는 면의 상측에 정의되는 스팀 생성부(223)의 직경이 상기 단차지는 면의 하측에 정의되는 스팀 생성부(22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수부(26)의 하우징(27) 내부에는 수위 센서(28)가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27) 내부의 수위가 측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7)의 내부 공간과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내부 공간이 상기 공통 유로(135)와 상기 회수 유로(273)에 의하여 연통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7) 내부의 수위는 곧 상기 스팀 생성부(223) 내부의 수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 생성부(223) 내부에 수위 센서를 장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팀 공급부(21)의 제조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수위 센서는(28)는 전극 타입 수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타입 수위 센서는, 정전 용량 센서와 같은 다른 형태의 수위 센서들에 비하여 고온에서도 잘 견디는 내열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전극 타입의 상기 수위 센서(28)는 상기 하우징(27)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27) 내부로 수직하게 삽입되어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수위 센서(28)가 상기 하우징(27)의 측면에서 가로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수위 센서(28)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스팀 생성부(223)에 공급된 물이 누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위 센서(28)는 누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27)의 상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전극 타입의 수위 센서는 고온의 열에 견디는 능력이 정전 용량 센서에 비하여 뛰어나기 때문에, 고온의 수증기에 노출되는 상황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상세히, 상기 수위 센서(28)는, 공통 전극(281)과, 저수위 전극(282), 및 고수위 전극(28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통 전극(281)의 하단부는 상기 저수위 전극(282)의 하단부와 동일한 높이에 있거나, 상기 하우징(27)의 바닥부에 더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고수위 전극(283)의 하단부는 상기 저수위 전극(282)의 하단부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7) 내부에 물이 차서, 수위가 상기 저수위 전극(282)의 하단부에 이르면, 전류가 상기 공통 전극(281)으로 빠지면서 저수위가 감지된다. 그리고, 수위가 상기 고수위 전극(282)의 하단부에 닿으면 고수위로 감지된다.
한편, 상기 수위 전극들(281,282,283)의 하단부에는 테프론 코팅 처리가 되어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 전극(281)과, 동작 전극에 해당하는 상기 저수위 전극(282) 및 고수위 전극(283)을 상기 하강부(253)를 기준으로 한 쪽에 배치할 경우, 흘러내리는 물에 의하여 오작동 및 노이즈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공통 전극(281)과 동작 전극의 장착 위치를 상기 하강부(253)를 기준으로 서로 분리함으로써, 전극 오작동으로 인한 노이즈의 발생 가능성과 발생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공통 전극(281)과 동작 전극이 서로 반대 편에 나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강부(253)를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공통 전극(281)과 동작 전극 모두를 따라서 흘러서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통 전극(281)은 상기 하강부(253)의 좌측에 배치하고, 상기 동작 전극은 상기 하강부(253)의 우측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 빈도, 다시 말하면 수면과 접촉 빈도가 높은 전극일수록 상기 스팀 공급 유로(25)의 상기 하강부(253)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수면과 접촉 빈도가 가장 많은 상기 공통 전극(281)이 상기 하강부(253)로부터 먼 지점에 위치하도록 하여, 스팀 발생 과정에서 발생하는 토출수와, 스팀 공급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상기 하강부(253)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다가 상기 전극부를 타고 흘러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저수위 전극(282)의 사용 빈도가 상기 고수위 전극(283)의 사용 빈도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저수위 전극(282)이 상기 고수위 전극(283)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강부(253)로부터 가장 먼 쪽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강부(253)와 전극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27)의 상면에는, 토출수 및 응축수가 상기 전극들(281,282,283)을 타고 흐르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지부는 상기 하우징(27)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우징(27)의 외부에서 보면 상기 방지부는 함몰부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27)의 내부에서 보면 돌출부 또는 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방지부는 제 1 방지부(271)와 제 2 방지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방지부(271)는, 상기 하강부(253)와 상기 공통 전극(281)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27)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방지부(272)는, 상기 하강부(253)와 상기 고수위 전극(283)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27)의 상면에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방지부(271)는, 상기 하강부(253)의 하단에서 상기 공통 전극(281) 쪽으로 경사지는 제 1 내측 경사면(271a)과, 상기 제 1 내측 경사면(271a)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경사지는 제 1 외측 경사면(271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측 경사면(271a)과 제 1 외측 경사면(271b)이 대략 V 자 단면 형상을 이룸으로써, 상기 하강부(253)의 내주면을 타고 흐르는 물은 상기 제 1 내측 경사면(271a)과 제 1 외측 경사면(271b)이 만나는 첨단부에서 표면 장력이 최소가 되어 상기 하우징(27)의 바닥으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강부(253)를 타고 흐르는 물이 상기 공통 전극(281)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측 경사면(271a)과 제 1 외측 경사면(271b)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는 수평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외측 경사면(271b)이 이루는 각이,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내측 경사면(271a)이 이루는 각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물이 상기 공통 전극(281) 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방지부(272)도, 상기 제 1 방지부(271)와 마찬가지로, 제 2 내측 경사면(272a)과 제 2 외측 경사면(272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내측 경사면(272a)과 제 2 외측 경사면(272b)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외측 경사면(272b)의 경사각이 상기 제 2 내측 경사면(272a)의 경사각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 방지부(272)의 함몰 길이가 상기 제 1 방지부(271)의 함몰 깊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동작 전극이 장착되는 상기 하우징(27)의 상면부 면적이 상기 공통 전극(281)이 장착되는 상기 하우징(27)의 상면부 면적보다 넓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함몰부의 깊이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U자형 씨즈 히터(23)가 매립되고, 중앙에 실린더형 스팀 생성부(233)를 가지는 주물 타입 케이스(22)를 가지는 스팀 공급부(21)의 온도를 180℃로 유지하는 조건에서 상기 스팀 생성부(223) 내의 수위(h)가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높이(H)의 25%로 유지할 때 최적의 스팀 발생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스팀 생성부(233)의 내부가 저수위로 유지될 경우, 스팀 생성부(233)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과열 방지를 위하여 히터(23)가 꺼진다. 그 결과 스팀 발생 시간이 짧아지게 되어 스팀 발생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반대로, 스팀 생성부(233)의 내부가 고수위로 유지될 경우, 스팀 생성부(233)의 온도가 적정 온도보다 낮아져서, 스팀 생성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스팀 생성부(233)의 출구 쪽으로 스팀과 물이 함께 토출되는 돌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23)의 출력에 따라 최적의 스팀 발생 효율을 낼 수 있는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내경이 다르게 설정되어야 한다.
예컨대, 상기 히터(23)의 출력이 1000W 미만인 경우,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내경은 9mm ~ 11mm가 적절하고, 1000W 이상 ~ 1500W 미만인 경우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내경은 14mm ~ 16mm가 적절하며, 1500W 이상인 경우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내경은 17mm ~ 19mm가 적절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히터(23)의 출력이 1000W 미만인 경우,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내경은 10mm가 적절하고, 1000W 이상 ~ 1500W 미만인 경우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내경은 15mm가 적절하며, 1500W 이상인 경우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내경은 18mm가 적절하다.
한편, 상기 스팀 공급 유로(25) 중 상기 캐비티 연결부(254)의 형성 위치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캐비티 연결부(254)는 상기 연장부(252)의 중심보다 더 낮은 지점에서 형성되어야, 스팀 생성 과정에서 튀어오르는 토출수가 상기 연장부(25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캐비티 연결부(254)가 상기 연장부(252)와 동일한 높이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 토출수가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캐비티 연결부(254)는 상기 하강부(253)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하단에 너무 가까운 지점에 형성되면, 상기 수위 센서(28)의 장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 연결부(254)는 상기 하우징(27)의 상면으로부터 적어도 50mm 이상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캐비티 연결부(254)는 상기 하강부(253)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기보다, 수평으로 연장된 후 상측으로 휘어지는 부분이 존재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하강부(253)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가 상기 캐비티 연결부(254)를 따라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상단에서 상기 단차지는 면까지의 길이(a1)는, 상기 단차지는 면에서 상기 케이스(22)의 하단까지의 길이(a2)의 약 8배로 설계되는 것이 좋다. 만일, 8배를 초과할 경우 U자형 히터의 라운드진 하단부와 스팀 생성부(223)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져서, 상기 스팀 생성부(223)의 전체 면이 균일한 속도로 가열되지 못하고, 상기 단차지는 면이 급격히 가열되는 가열 불균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8배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단차지는 면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가열 속도가 느려지는 가열 불균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차지는 면이 상기 스팀 생성부의 하단으로 정의되고, 상기 단차지는 면과 상기 급수구(224)의 상단까지의 유로는 별도의 연결 유로로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써미스터 매립부(222)에는 써미스터가 수용되기 위한 써미스터 수용홈(222a)이 형성될 수 있다.

Claims (11)

  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장착되는 워터 탱크;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장착되는 스팀 공급 장치;
    상기 워터 탱크와 상기 스팀 공급 장치를 연결하는 급배수 유로; 및
    상기 급배수 유로 상에 놓이는 펌프 모듈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급배수 유로는,
    상기 워터 탱크의 급수 포트에 연결되는 급수 유로;
    상기 워터 탱크의 배수 포트에 연결되는 배수 유로; 및
    상기 급수 유로와 배수 유로가 만나는 지점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팀 공급 장치의 급수구에 연결되는 공통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모듈은,
    상기 급수 유로 상에 장착되는 급수 펌프; 및
    상기 배수 유로 상에 장착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 공급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단에 상기 급수구가 형성되며, 상단에 스팀 토출을 위한 토출 포트가 형성되는 스팀 생성부;
    상기 스팀 생성부를 가열하여 스팀이 생성되도록 하는 히터;
    상기 스팀 생성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에서 분지되어 조리실로 연결되는 제 2 유로를 포함하는 스팀 공급 유로; 및
    상기 제 1 유로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 공급 유로 내의 응축수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부는,
    상면에 상기 제 1 유로의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스팀 공급 유로 내에서 형성된 응축수가 모이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공통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에 모인 응축수가 상기 스팀 생성부로 재공급 가능도록 순환 유로를 형성하는 회수 유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센서는, 공통 전극과 동작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타입 센서이고,
    상기 동작 전극은, 저수위 전극과 고수위 전극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U자형 씨즈 히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과열 방지를 위하여 상기 스팀 생성부에 장착되는 써미스터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토출 포트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의 단부에서 휘어져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휘어져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연결되는 하강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하강부의 어느 지점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69176A 2018-06-15 2018-06-15 조리기기 KR102555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176A KR102555384B1 (ko) 2018-06-15 2018-06-15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176A KR102555384B1 (ko) 2018-06-15 2018-06-15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092A KR20190142092A (ko) 2019-12-26
KR102555384B1 true KR102555384B1 (ko) 2023-07-13

Family

ID=6910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176A KR102555384B1 (ko) 2018-06-15 2018-06-15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3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4068A (ja) * 2004-09-14 2006-03-30 Deed Corp 蒸気発生装置
JP2012072990A (ja) * 2010-09-29 2012-04-12 Miura Co Ltd ボイ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48567B4 (de) * 2007-10-09 2011-11-24 Miele & Cie. Kg Verfahren zur Reinigung eines Systems, bestehend aus einem Tank und einem Durchlauferhitzer, sowie System
KR20100019658A (ko) * 2008-08-11 2010-02-19 주식회사 홈파워 급속 가열식 스팀 보일러
DE102009055148A1 (de) * 2009-12-22 2011-06-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81739 Dampferzeugungssystem für ein Haushaltsgerät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s solchen Dampferzeugungssystems
KR102549150B1 (ko) 2016-09-09 2023-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4068A (ja) * 2004-09-14 2006-03-30 Deed Corp 蒸気発生装置
JP2012072990A (ja) * 2010-09-29 2012-04-12 Miura Co Ltd ボイ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092A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174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11382449B2 (en) Steam generator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steam generator
JP6018328B1 (ja) 温水マット用温水ボイラー
US10871291B2 (en) Cooking appliance
KR102013850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106923653B (zh) 蒸汽烹饪装置
KR101931364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
KR100731858B1 (ko) 가열조리장치
US11166467B2 (en) Cooking appliance
WO2020094293A1 (en) A cooking device comprising a steam generator
KR200425391Y1 (ko) 오버히트 방지부가 구비된 스팀 발생기
KR102555384B1 (ko) 조리기기
KR102490845B1 (ko) 스팀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KR102490846B1 (ko) 스팀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KR102433053B1 (ko)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전자 조리 기기
KR20070060219A (ko) 부분가열 스팀발생장치
KR102126485B1 (ko)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전자 조리 기기
WO2006006187A1 (en) Steaming device, particularly for electric household appliances
KR20090082991A (ko) 전기 보일러
JP5059711B2 (ja) 加熱調理器
CN112301712A (zh) 蒸汽式整平装置
CN114165774A (zh) 加热器和家用电器
KR200423072Y1 (ko) 스팀 발생기
CN117469662A (zh) 蒸汽发生器和使用蒸汽的电器
JP4994479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