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085B1 -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 - Google Patents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085B1
KR102555085B1 KR1020200156003A KR20200156003A KR102555085B1 KR 102555085 B1 KR102555085 B1 KR 102555085B1 KR 1020200156003 A KR1020200156003 A KR 1020200156003A KR 20200156003 A KR20200156003 A KR 20200156003A KR 102555085 B1 KR102555085 B1 KR 102555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s
cap
mulching
ra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8807A (ko
Inventor
남대우
Original Assignee
남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대우 filed Critical 남대우
Priority to KR1020200156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085B1/ko
Publication of KR2022006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43Protective shelters for young plants, e.g. tubular slee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육묘 또는 종묘의 발아 모종시 밭을 옮긴 후에 태양광선과 각종 해충 및 온도, 비바람, 태풍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의 변화로부터 모종을 보호하여 우수한 생산성을 획득할 수 있는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중앙에 환기공(12)이 형성되고, 용기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를 구비하여 태양광선과 비바람으로부터 모종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부(102)와; 상기 보호캡부(102)의 하변부에 연장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어 비바람 및 태풍으로부터 흔들리지 않고 지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고정 쐐기부(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은, 모종이 이루어진 육묘를 소나기, 태양광선, 서리 등으로부터 보호하여 뿌리를 잘 내리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고, 지면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하여 모종이 10일 이내에 성장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강한 바람이나 태풍의 영향으로부터 육묘를 보호하여 농작물의 품질을 우수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손실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A mulching cap}
본 발명은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육묘 또는 종묘의 발아 모종시 밭을 옮긴 후에 태양광선과 각종 해충 및 온도, 비바람, 태풍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의 변화로부터 모종을 보호하여 우수한 생산성을 획득할 수 있는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멀칭필름은 각종 양배추, 배추, 무 등의 농작물의 재배시 토양의 지면 바닥을 덮는 필름으로 잡초 발생의 방지, 토양수분 증발의 억제, 토양의 유실방지 등과 같은 기능을 함으로써 외부환경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학 고품질 고소득의 농작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로 하기 위한 필름이다.
그러나 농작물의 재배시 농업용 필름을 사용할 경우 토양의 지면을 덮어 토양 내에 수분 함유량과 토양의 온도를 유지하는 장점도 있지만 오이, 고추 등과 같은 일부 농작물의 모종은 지상부의 환경보다 지하부에 영향을 주어 수분, 통기성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생육과 수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농작물들은 농업용 멀칭필름을 사용할 경우 생육이 부진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농작물의 각종 모종은 성장조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광합성 및 엽록소 작용에 유효한 광파장 흡수율이 대단히 중요하다.
자연 태양광 또는 인공광에는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 등 이외의 다수의 광 파장이 존재하며, 광합성 반응에 기여하는 파장대역은 청색 파장대역(450mm-550mm)과 적색 파장대역(550mm-700mm)으로 알려져 있고 주로 비닐하우스용 필름을 대상으로 광합성 파장 대역 광선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멀칭필름을 농작물에 씌우는 경우에는 모종이 태양광선과 높은 온도로 인하여 타서 죽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농작물을 모종을 하는 경우에는 모종후 10일 이내에 모종의 뿌리가 뿌리를 잘 내려서 성장해야 하는바, 8월 및 9월 등 여름에 모종을 심는 경우에는 수분증발로 인하여 수분공급이 어렵거나 강한 햇빛에 타서 죽는 경우가 있었고 장마시 굵은 빗줄기에 맞아서 모종이 죽는 경우가 매우 많았고, 3,4월 계절의 변화에 따라 서리가 내리는 경우에는 서리로 인하여 모종이 죽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10-0863006호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10-09843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태양광선으로부터 보호되고 수분증발을 방지하여 모종이 죽지 않고 성장하도록 하기 위한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봄, 여름 또는 가을, 겨울 등 계절에 따른 외부 환경의 변화, 장마, 소나기, 서리 등으로부터 모종을 보호할 수 있는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농작물의 모종을 옮겨 심은 후 10일 이내에 육묘가 뿌리를 잘 내릴 수 있도록 바람, 태풍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종을 심은 후 육묘의 상부에 덮어서 지면에 캡과 일체료 형성된 쐐기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 중앙에 환기공(12)이 형성되고, 용기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를 구비하여 태양광선과 비바람으로부터 모종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부(102)와; 상기 보호캡부(102)의 하변부에 연장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어 비바람 및 태풍으로부터 흔들리지 않고 지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고정 쐐기부(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쐐기부(104)는, 몸체(10)의 하변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편상의 쐐기몸체(14)와; 상기 쐐기몸체(14)의 하단부에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력으로부터 항력이 발생하도록 형성된 쐐기 고정부(1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쐐기 고정부(16)는. 적어도 2곳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은, 모종이 이루어진 육묘를 소나기, 태양광선, 서리 등으로부터 보호하여 뿌리를 잘 내리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고, 지면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하여 모종이 10일 이내에 성장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강한 바람이나 태풍의 영향으로부터 육묘를 보호하여 농작물의 품질을 우수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손실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의 상부개방캡을 열었을 때의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중앙에 환기공(12)이 형성되고, 용기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를 구비하여 태양광선과 비바람으로부터 모종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부(102)와; 상기 보호캡부(102)의 하변부에 연장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어 비바람 및 태풍으로부터 흔들리지 않고 지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고정 쐐기부(104)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5는 본 발명의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을 설명하여보면, 먼저,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용도 멀칭캡(100)은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태양광선 및 비바람으로부터 배추, 양배추, 무 등의 농작물 모종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부(102)와, 상기 보호캡부(102)의 상부에 덮개로 덮이듯이 덮어져서 햇빛을 방지하고, 일측부가 보호캡부(102)에 부착 연장되어 힌지방식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형성된 상부개방캡(101과, 상기 보호캡부(102)의 하부에 연장하여 형성된 비바람이나 태풍으로부터 흔들리지 않고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쐐기부(104)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캡부(102)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 몸체(10)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부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공기가 순환공급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환기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는 반투명 또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반투명 재질의 PE, PP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는 태양광선으로부터 모종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색상과 형태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크기는 가로는 10-12Cm, 높이는 6-10Cm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모종이 뿌리를 내려서 잘 자라는 시기가 10일 정도이므로 10일 이내에 모종이 자랄 수 있는 크기를 산정하여 모종이 충분히 자랄 수 있는 크기에 적합하도록 형성하기 위함이다. 몸체(10)의 크기가 가로 10Cm, 높이 6Cm 이하일 경우에는 모종이 자라면서 멀칭캡(100)을 밀어내거나 멀칭캡과 밀착되어 모종의 형태가 불균일하게 되고, 몸체(10)의 크기가 가로 12Cm, 높이 10Cm 이상일 경우에는 불필요한 재료의 손실이 많기 때문이다.
상기 몸체(10)는 밥그릇을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상부개방캡(1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개방캡(101)이 닫힐 경우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0)의 하부 변부에는 아랫방향으로 연장되어 쐐기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별도의 투명창(도시안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투명창(도시안함)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에서 육안을 통하여 육묘의 상태 및 성장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개방캡(101)은 일측이 몸체(10)와 연결 형성되어 연결부위가 힌지역활을 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이루어지며, 일단 끝부에는 고정돌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부(13)는 닫히는 경우 상기 고정홈(11)에 끼움 고정되어 비바람에도 흔들리거나 벗겨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부개방캡(101)은 육묘에게 햇빛이 필요한 경우 오픈하거나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몸체(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열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쐐기부(104)는 수직하게 하향으로 형성된 편상의 쐐기몸체(14)와, 상기 쐐기몸체(14)의 하부엔 형성된 쐐기 고정부(16)로 형성된다.
상기 쐐기 몸체(14)는 상기 몸체(10)의 하변부와 동일한 면에 연장 형성되고 쐐기부(16)는 쐐기 몸체(14)의 좌우 측면으로 돌출턱이 연장 형성되어 하향 연결되어져서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쐐기부(10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소 120도 간격으로 세곳에 형성되어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4곳 또는 5곳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쐐기부(104)는 탄력적이면서도 강성이 있는 플라스틱 강화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합성수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쐐기부(104)는 지면에 깊숙히 박힘과 동시에 쐐기 고정부(16)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비바람이나 태풍으로부터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태양광선으로부터 모종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쐐기부(104)는 120도 간격으로 지면게 고정됨으로써 전후좌우에서 작용하는 외력으로 부터 흔들리지 않고 제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한방향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 두곳의 쐐기 고정부(16)가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개방캡(101)을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육묘에게 햇빛을 공급하고 내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개방캡(101)은 몸체(10)의 일측부에 연결 형성되어 화살표 방향과 같이 힌지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용도 멀칭캡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여 보면, 우선,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태양광선 및 비바람으로부터 배추, 양배추, 무 등의 농작물 모종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부(102)와, 상기 보호캡부(102)의 하부에 연장하여 형성된 비바람이나 태풍으로부터 흔들리지 않고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쐐기부(105)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캡부(102)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 몸체(10)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부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공기가 순환공급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환기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는 반투명 또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반투명 재질의 PE, PP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는 태양광선으로부터 모종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색상과 형태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0)는 밥그릇을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하부 변부에는 아랫방향으로 연장되어 쐐기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쐐기부(105)는 수직하게 하향으로 형성되되, 몸체(1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편상의 쐐기몸체(18)와, 상기 쐐기몸체(18)의 하부엔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쐐기 고정부(20)로 형성된다.
상기 쐐기 몸체(18)는 상기 몸체(10)의 하변부와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고 쐐기 고정부(20)에는 상기 몸체(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흔들림 방지턱(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쐐기 고정부(20)의 흔들림 방지턱(22)은 하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갈고리 형상이 되도록 이루어져서 일측방향에서 힘을 가할 경우 타측에 형성된 흔들림 방지턱(22)은 쐐기 고정부(20)가 더욱 깊숙히 지면에 파고들면서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흔들림방지턱(22)은 지면 위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퍼올리듯이 지면과 강하게 접촉된다.
상기 쐐기 고정부(20)는 본 발명에서는 흔들림 방지턱(22)을 구비하여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더 나아가서는 전후좌우 4방향 또는 3방향으로 형성된 낚시바늘 형태의 갈고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쐐기부(105)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소 120도 간격으로 세곳에 형성되어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4곳 또는 5곳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쐐기부(105)는 탄력적이면서도 강성이 있는 플라스틱 강화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합성수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쐐기부(105)는 지면에 깊숙히 박힘과 동시에 쐐기 고정부(20)에 의해 상기 몸체(10)가 비바람이나 태풍으로부터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태양광선으로부터 모종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쐐기부(105)는 120도 간격으로 지면게 고정됨으로써 전후좌우에서 작용하는 외력으로 부터 흔들리지 않고 제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외력이 하나의 쐐기 고정부(20)에 작용하는 경우, 나머지 두개의 쐐기 고정부(20)에 항력이 발생하여 반대방향으로 버티게 됨으로써 반대 방향의 쐐기 고정부(20)가 지면을 파고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외력이 강하면 강할 수록 몸체(10)가 지면에 고정되는 힘이 강해짐으로써 육묘의 손실과 보호캡부(102)가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되게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로서, 지면에 모종을 심고 모종 위에 본 발명의 다용도 멀칭캡(100)을 씌워서 고정시킨 형태이다.
이때, 상기 몸체(10)의 환기공(12)을 통해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이 이루어지고, 태양광선은 몸체(10)에 가로막혀서 수분증발이 방지됨으로써 모종은 성장에 도움이 되도록 수분을 유지하여 성장이 빨라진다.
한편,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쐐기부(104)는 지면에 깊숙히 박혀서 고정됨으로써 모종이 비바람에 날려가지 않도록 보호하고 해충으로부터 보호하여 농작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용도 멀칭캡(100)은 상기 고정 쐐기부(104,105)를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두 곳 이상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개방캡(101)을 열어서 공기의 순환과 햇빛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발명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10 : 몸체 12 : 환기공
14 : 쐐기몸체 16 : 쐐기 고정부
18 : 쐐기몸체 20 : 쐐기 고정부
22 : 흔들림 방지고정턱
100 : 다용도 멀칭캡 101 : 상부개방캡
102 : 보호캡부
104,105 : 쐐기부

Claims (3)

  1. 상부 중앙에 환기공(12)이 형성되고, 용기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를 구비하여 태양광선과 비바람으로부터 모종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부(102)와;
    상기 보호캡부(102)의 하변부에 연장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어 비바람 및 태풍으로부터 흔들리지 않고 지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고정 쐐기부(104)를 포함하되,
    상부개방캡(101)은 일측이 몸체(10)와 연결 형성되어 연결부위가 힌지역활을 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이루어지며, 일단 끝부에는 고정돌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단 내측 변 좌측부에는 고정홈(1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부(13)가 상기 고정홈(11)에 끼움 고정되되,
    상기 고정돌부(13)가 닫히는 경우 상기 고정홈(11)에 끼움 고정되어 비바람에도 흔들리거나 벗겨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며,
    육묘에게 햇빛이 필요한 경우 상기 상부개방캡(101)을 오픈하여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몸체(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

  2. 삭제
  3. 삭제
KR1020200156003A 2020-11-19 2020-11-19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 KR102555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003A KR102555085B1 (ko) 2020-11-19 2020-11-19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003A KR102555085B1 (ko) 2020-11-19 2020-11-19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807A KR20220068807A (ko) 2022-05-26
KR102555085B1 true KR102555085B1 (ko) 2023-07-18

Family

ID=8180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003A KR102555085B1 (ko) 2020-11-19 2020-11-19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0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907Y1 (ko) * 2006-07-10 2006-09-20 서상원 작물 보온 재배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006B1 (ko) 2007-05-30 2008-10-13 에이티알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유기발광체를 함유하는 광전환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광전환 필름
KR100984329B1 (ko) 2008-02-05 2010-09-30 욱성화학주식회사 광 선택 투과성을 갖는 기능성 농업용 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907Y1 (ko) * 2006-07-10 2006-09-20 서상원 작물 보온 재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807A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ng et al. Ten years of studies on systems to modify sweet cherry production environments: Retractable roofs, high tunnels, and rain-shelters
KR101178837B1 (ko) 잡초제거장치
KR102555085B1 (ko)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
ES2330117T3 (es) Pelicula de plastico fotobiologica termoplastica.
KR100906406B1 (ko) 채소류 생장 보호구
KR20160143342A (ko) 농작물 지지대
Aman et al. Potentiality of protected cultivation in fruit crops: An overview
KR20220068803A (ko) 다용도 멀칭캡을 이용한 육묘배양방법
Lenka Cultivation of Crops under Shade-Net Greenhouse
Sideman Row covers
Pritts et al. Protected culture for strawberries using low tunnels
US20230016989A1 (en) Seed/seedling protection device
Schrader Plasticulture in California vegetable production
JP2020054324A (ja) 植物栽培用簡易ハウス
Kratky Plastic-covered rainshelters for vegetable production in the tropics
KR101204488B1 (ko) 나무 재배용 포트
KR101378971B1 (ko) 수직조립식 화분
Villalobos et al. Manipulating the crop environment
US20220264810A1 (en) Plant cover device with tubular shape and base member and related methods
JP4781340B2 (ja) 育苗用保護カバー
Pahal et al. Vegetable Production in Green House
Pramod Rai et al. Off season bottle gourd cultivation using plastic mulch and low tunnel.
GB2598287A (en) Horticultural apparatus
Kushwaha et al. Protected Cultivation of Vegetable Crops-A Way to get Quality Veggies
KR20050103452A (ko) 비닐하우스용 부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