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971B1 - 수직조립식 화분 - Google Patents

수직조립식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971B1
KR101378971B1 KR1020120042875A KR20120042875A KR101378971B1 KR 101378971 B1 KR101378971 B1 KR 101378971B1 KR 1020120042875 A KR1020120042875 A KR 1020120042875A KR 20120042875 A KR20120042875 A KR 20120042875A KR 101378971 B1 KR101378971 B1 KR 101378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rame bar
nutrient solution
body por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9794A (ko
Inventor
박청일
Original Assignee
박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청일 filed Critical 박청일
Priority to KR1020120042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971B1/ko
Publication of KR20130119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25Wind breakers, i.e. devices providing lateral protection of th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15Leaf crops, e.g. lettuce or spina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1/00Planting
    • Y10S111/906Specialized commodity
    • Y10S111/913Vegetable, i.e. small s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부(상기 몸체부의 상면에는 삽입공간이 함몰 형성된다); 복수 개의 개구들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공간 내부에 위치되는 채반부(상기 채반부의 하면은 상기 삽입공간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채반부의 중앙에 위치되고, 영양액을 저장하는 영양액 저장부; 상기 영양액 저장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채반부의 상면에 걸쳐 위치되는 영양액 유도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삽입공간을 덮으면서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커버부(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영양액 저장부에 대응되는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1 관통홀을 주위를 따라 상기 채반부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 2 관통홀들이 형성된다)를 포함하되, 화초 또는 과채류는 상기 제 2 관통홀들을 통과하여 상기 몸체부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조립식 화분은 저렴한 비용으로도 채소나 과채류의 성장을 향상시키고, 옥외 공간에서는 채소나 과채류를 비나 바람으로부터 보호한다.

Description

수직조립식 화분{PERPENDICULAR ASSEMBLY POT}
본 발명은 수직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초나 과채류의 성장을 향상시키고 옥외에서도 안정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수직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이다.
한국인의 평균수명이 80세에 이르게 됐으나 건강한 삶이라야 행복한 노년이라 할 수 있기에 건강식품, 장수식품을 찾는 이가 많아지고, 특히 육식을 줄이고 채식을 선호하는 추세다. 그래서 화학농약을 뿌리지 않고 재배한 청정한 과채류가 몸에 좋을 수밖에 없으므로 자신이 직접 베란다, 옥상, 마당에서 과채류를 재배하는 도시농업이 유행하고 있다.
한편, 화초나 과채류 재배는 크게 노지재배와 온실재배로 나누고 토경재배, 수경재배, 분무재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재배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은 시설 비용이 높다든지, 산소가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하든지, 자주 물을 공급하지 않으면 고사한다든지 하는 적어도 한가지의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각종 재배방법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고, 시설비용이 저렴하면서도 흙 없이도 화초나 과채류를 재배할 수 있으며, 좁은 면적에서도 많은 화초나 과채류를 재배할 수 있는 화분이 요구된다. 또한, 옥상과 같은 옥외 공간은 상대적으로 많은 햇볕을 이용할 수 있지만, 옥외 공간에는 외부환경요소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상태이다. 특히, 비나 바람은 화초나 과채류를 훼손시켜 성장을 방해한다. 이로 인해, 온실효과를 제공하면서 보다 간편한 화분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흙이 불필요하고 자주 영양액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며 저렴한 비용으로도 채소나 과채류의 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직조립식 화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옥외 공간에서 채소나 과채류를 외부환경요소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수직조립식 화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면에 발근공간이 함몰 형성된 몸체부; 복수 개의 개구들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근공간 내부에 위치되며, 하면은 상기 발근공간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채반부; 상기 채반부의 중앙에 위치되고, 영양액을 저장하는 영양액저장부; 상기 영양액저장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채반부의 상면에 걸쳐 위치되는 영양액유도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발근공간을 덮으면서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영양액저장부에 대응되는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1 관통홀 주위를 따라 상기 채반부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 2 관통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채반부 상에는 배지가 덮이고, 화초 또는 과채류는 상기 제 2 관통홀들을 통과하여 상기 채반부 상에 식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조립식 화분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수직조립식 화분은, 상기 결합된 몸체부와 덮개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된 몸체부와 덮개부를 덮는 지지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조립식 화분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지지하우징부는, 상기 결합된 몸체부와 덮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들; 상기 지지프레임들을 연결하여, 상기 결합된 몸체부와 덮개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결합된 몸체부와 덮개부를 둘러싸는 연결프레임들; 및 상기 연결프레임들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몸체부와 덮개부를 둘러싸면서 차단하는 프레임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덮개 상에는 적어도 한 쌍의 통기구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조립식 화분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결합된 몸체부와 덮개부의 외주면 상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되는 메인프레임바아; 상기 메인프레임바아의 상부 종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관통홀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바아를 상기 결합된 몸체부와 덮개부의 외주면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바아; 상기 몸체부의 외부를 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바아의 상부 종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부프레임바아; 상기 상부프레임바아와 대응되고, 상기 메인프레임바아의 하부 종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하부프레임바아; 및 상기 상부프레임바아의 종단과 상기 하부프레임바아의 종단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조립식 화분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바아와 상기 연결프레임바아가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하부프레임바아와 상기 연결프레임바아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각각 결합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결합구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조립식 화분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덮개는, 상기 통기구 상에 설치되어 적어도 상기 통기구의 일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조립식 화분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덮개는 투명한 직물이나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조립식 화분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홀에는 다른 수직조립식 화분의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수직조립식 화분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조립식 화분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조립식 화분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에 따른 수직조립식 화분은 몸체부, 채반부, 영양액저장부, 영양액유도부 및 덮개부를 포함하여, 영양액을 이용하여 화초나 과채류를 재배하는 데에 이용된다. 화초나 과채류가 몸체부의 발근공간에 위치된 채반부 위에 식재되어 배치될 때, 화초나 과채류의 뿌리는 영양액저장부로부터 영양액유도부에 의해 유도되는 영양액을 섭취하여 성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직조립식 화분은 영양액을 가끔씩 공급하여도 화초나 과채류의 성장을 향상시키고, 흙이 없어도 화초나 과채류를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2) 본 발명에 따른 수직조립식 화분은 지지하우징부를 더 포함한다. 지지하우징부는 지지프레임들, 연결프레임 및 프레임덮개를 이용하여 결합된 몸체부와 덮개부를 둘러싸는 공간을 외부환경요소로부터 차단한다. 특히, 프레임덮개는 지지프레임들과 연결프레임들에 의한 뼈대를 의지하여 몸체부에 식재된 화초나 과채류를 옥외의 외부환경요소(예를 들어, 비, 바람 등)로부터 보호하고 온실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프레임 덮개에는 복수 개의 통기구들이 형성되고, 통기구 상에는 통기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덮개도 설치된다. 이는 바람에 의해 화초나 과채류뿐 아니라 프레임덮개가 훼손되거나 조립식 화분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직조립식 화분은 옥외에서 화초나 과채류를 보호하면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조립식 화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직조립식 화분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직조립식 화분이 복수 개로 이루어져 적층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조립식 화분(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직조립식 화분(100)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조립식 화분(100)은 몸체부(101), 채반부(102), 영양액저장부(103), 영양액유도부(104) 및 덮개부(105)를 포함하여, 영양액을 이용하여 화초나 과채류(미도시 됨)를 재배하는 데에 이용된다.
몸체부(101)는 상면에 함몰 형성된 발근공간(111)을 갖는다. 발근공간(111)에는 물이 저장되고, 화초나 과채류의 뿌리가 식재될 수 있다.
채반부(102)는 복수 개의 개구(121)들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개구(121)들은 그물망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사각형, 삼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채반부(102)는 발근공간(111)의 내부에 위치되고, 특히, 채반부(102)의 하면은 발근공간(11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121)의 크기는 화초나 과채류의 뿌리가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양액저장부(103)는 채반부(102)의 중앙에 위치되고, 채반부(102)와 조합하여 거꾸로 놓은 밀집모자와 같은 형상을 이룬다. 이때, 영양액저장부(103)는 채반부(102)로부터 분리가능 할 수도 있고, 채반부(102)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영양액저장부(103)에는 영양액이 저장된다.
영양액유도부(104)는 영양액저장부(103)에 삽입된 상태로 채반부(102)의 상면에 걸쳐 위치된다. 이때, 영양액유도부(104)는 영양액저장부(103)에 저장된 영양액을 흡수하고, 영양액유도부(104)가 위치된 채반부(102)의 상면으로 영양액을 유도한다. 이때, 영양액유도부(104)는 면, 마 등과 같은 흡수성이 우수한 천연 물질로 이루어지고, 짜인 직물의 형태이다. 또한, 채반부(102) 상에는 배지(culture medium)로서 기능을 하는 암면이 덮인다. 영양액유도부(104)는 배지가 항상 충분한 수분을 유지하도록 한다. 하지만, 배지는 암면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영양액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코코넛 껍질, 이끼류(예를 들어, 피스모트 등), 왕겨훈탄, 코코피트 등이다.
덮개부(105)는 몸체부(101)의 상면에 위치되어 발근공간(111)을 덮으면서 몸체부(101)와 결합된다. 덮개부(105)에는 제 1 관통홀(151)과 제 2 관통홀(153)들이 형성된다.
덮개부(105)가 몸체부(101)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관통홀(151)은 영양액저장부(103)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 2 관통홀(153)들은 제 1 관통홀(151) 주위를 따라 채반부(102)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영양액은 제 1 관통홀(151)을 통해 필요에 따라 영양액저장부(103)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화초나 과채류는 제 2 관통홀(153)들을 통과하여 채반부(102) 위에 식재된다.
한편, 제 1 관통홀(151)은 복수 개의 수직조립식 화분(100)들을 적층시킬 때에 이용된다. 하나의 수직조립식 화분의 제 1 관통홀에 다른 하나의 조립식 화분의 일부, 특히 하부가 삽입됨으로써, 수직조립식 화분(100)들은 적층된 상태, 즉 상하 방향으로 연결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직조립식 화분(100)에 화초나 과채류가 식재된 상태에서, 화초나 과채류의 뿌리는 영양액유도부(104)에 접촉된다. 이때, 영양액유도부(104)가 흡수한 영양액은 화초나 과채류의 뿌리에 도달하게 되고, 화초나 과채류의 뿌리는 영양액을 충분하게 섭취하게 된다. 이로 인해, 화초나 과채류는 분무재배의 단점을 보완한 공중양액재배로 재배되고, 화초나 과채류의 성장은 토양재배나 수경재배보다 향상된다.
또한, 영양액이 영양액저장부(103)에 최소량 이상으로 공급된 상태로 유지된다면, 화초나 과채류의 뿌리는 영양액을 안정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된 복수 개의 수직조립식 화분(100)들로 딸기와 상추를 재배하는 경우, 평상시에는 최상층에 위치하는 수직조립식 화분의 제 1 관통홀에 영양액을 한 방울씩 지속적으로 공급하지만, 공급에 있어 이상이 생겨 1 주일만에 한번 영양액이 공급되어도 딸기와 상추는 수분의 부족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직조립식 화분(100)은 지지하우징부(106)를 추가로 포함한다.
지지하우징부(106)는 결합된 몸체부(101)와 덮개부(105)에 결합되어, 결합된 몸체부(101)와 덮개부(105)를 덮는다. 이때, 지지하우징부(106)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지지하우징부(106)는 제 2 관통홀(153)을 관통하여 채반부(102)에 식재되어 배치된 화초나 과채류를 외부환경요소(예를 들어, 비, 바람 등)로부터 보호하고, 온실과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지지하우징부(106)는 지지프레임(161)들, 연결프레임(163)들 및 프레임덮개(165)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61)들은 결합된 몸체부(101)와 덮개부(105)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지지프레임(161)들은 제 2 관통홀(153)에 삽입되어 상호 간에 대하여 간격을 갖게 된다. 또한, 지지프레임(161)들은 비용이나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하여 3개 내지 4개로 이루어지고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지지프레임(161)은 메인프레임바아(161a), 고정프레임바아(161b), 상부프레임바아(161c), 하부프레임바아(161d) 및 연결프레임바아(161e)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바아(161a)는 결합된 몸체부(101)와 덮개부(105)의 외주면 상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되고, 고정프레임바아(161b)는 메인프레임바아(161a)의 상부 종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제 2 관통홀(153a)에 삽입된다. 이때, 고정프레임바아(161b)는 제 2 관통홀(153a)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메인프레임바아(161a)를 결합된 몸체부(101)와 덮개부(105)의 외주면 상에 고정시킨다. 즉, 고정프레임바아(161b)는 메인프레임바아(161a)와 조합하여 집게와 같이 작용하여, 지지프레임부(106)를 하나의 제 2 관통홀(153a)에 대하여 결합된 몸체부(101)와 덮개부(105)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부프레임바아(161c)는 몸체부(101)의 외부를 향하면서 메인프레임바아(161a)의 상부 종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기울어진다.
하부프레임바아(161d)는 상부프레임바아(161c)와 대응되고, 메인프레임바아(161a)의 하부 종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기울어진다. 즉, 하부프레임바아(161d)는 몸체부(101)로부터 점점 멀어질수록 상부프레임바아(161c)와의 간격이 점점 증가하게 된다.
연결프레임바아(161e)는 상부프레임바아(161c)의 종단과 하부프레임바아(161d)의 종단을 연결한다. 이때, 상부프레임바아(161c)과 하부프레임바아(161d)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63)들은 지지프레임(161)들에 연결하고, 결합된 몸체부(101)와 덮개부(105)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 몸체부(101)와 덮개부(105)를 둘러싼다. 이때, 연결프레임(163)들은 지지프레임(161)들과 조합하여 지지하우징부(106)의 뼈대를 형성한다.
또한, 연결프레임(163)들은 상하 방향으로 상호 간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특히, 연결프레임(163)들은 각각 상부프레임바아(161c)와 연결프레임바아(161e)가 연결되는 부분, 및 하부프레임바아(161d)와 연결프레임바아(161e)가 연결되는 부분에 연결됨으로써, 지지프레임(161)에 연결된다. 이때, 연결프레임(163)들이 지지프레임(161)들을 연결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부프레임바아(161c)와 연결프레임바아(161e)가 연결되는 부분, 및 하부프레임바아(161d)와 연결프레임바아(161e)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각각 결합구(미도시 됨)가 관통 형성된다. 연결프레임(163)들은 각각 결합구를 관통함으로써 지지프레임(161)들을 연결한다. 여기서, 연결프레임(163)들의 형상에 의해 전체적인 지지하우징부(106)의 형상이 결정된다.
한편, 연결 프레임(163)이 지지프레임(161)들을 연결할 때, 결합구를 이용하는 방법 대신에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프레임덮개(165)는 연결프레임(163)들에 결합되고, 결합된 몸체부(101)와 덮개부(105)를 둘러싼다. 이때, 프레임덮개(165)에 의해 결합된 몸체부(101)과 덮개부(105)를 외부로부터 차단한다. 즉, 몸체부(101)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케이스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지지하우징부(106)는 몸체부(101)에 식재된 화초나 과채류를 외부환경요소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온실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덮개(165)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기 위하여, 투명한 얇은 면직물이나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덮개(165)에는 상호 간에 마주하는 통기구(165a)들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바람은 통기구(165a)들을 통과하여 유동하기에, 바람에 의해 수직조립식 화분(100)이 넘어지지 않고, 화초나 과채류뿐 아니라 프레임덮개(165)도 훼손되지 않는다.
또한, 프레임덮개(165)는 개폐덮개(165b)를 더 포함한다. 개폐덮개(165b)는 프레임덮개(165)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기구(165a) 상에 설치되어 통기구(165a)를 개폐시킨다. 이로 인해, 바람이 불면, 개폐덮개(165b)는 적어도 통기구(165a)의 일부를 개방시키고, 바람은 개방된 통기구(165a)의 일부를 통과하여 반대방향으로 유동한다. 이로 인해, 바람에 의해 수직조립식 화분(100)이 넘어지지 않고, 화초나 과채류뿐 아니라 프레임덮개(165)도 훼손되지 않는다. 또한, 비가 오는 경우, 개폐 덮개(165b)는 통기구(165a)를 폐쇄시키는 경우, 빗물이 프레임덮개(165)와 조합하여 흘러내리도록 한다. 이로 인해, 화초나 과채류는 비에 젖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개폐덮개(165b)는 프레임덮개(165)에 통기구(165a)의 형성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통기구(165a)가 프레임덮개(165)에 형성할 때, 통기구(165a)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표식이 프레임덮개(165)에 형성되고, 표식에 따라 프레임덮개(165)가 절개될 때, 절개되어 바람에 의해 유동하는 프레임덮개(165)의 일부분이 개폐덮개(165b)로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식에 따라 프레임덮개(165)가 2시 방위에서 10시까지만 절개되고, 나머지 10시 방위에서 2시 방위까지만 절개되지 않을 때, 절개된 프레임덮개(165)는 개폐덮개(165b)로서 이용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직조립식 화분(100)이 복수 개로 이루어져 적층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수직조립식 화분(100)들은 하나의 조립식 화분의 하부가 다른 하나의 수직조립식 화분의 제 1 관통홀(151a)에 삽입됨으로써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수직조립식 화분에 공급된 영양액은 영양액저장부(103)를 가득 채우며, 남은 영양액이 채반부(102)의 개구(121)들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고, 수직조립식 화분의 하면을 통과하여 다른 하나의 수직조립식 화분의 제 1 관통홀(151a)을 통해 다른 하나의 수직조립식 화분의 영양액저장부(103)에 공급된다. 즉, 최상층의 수직조립식 화분에만 영양액이 공급되면 복수 개의 수직조립식 화분에 식재된 화초나 과채류가 영양액으로 재배될 수 있다.
프레임덮개(16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수직조립식 화분(100)들에 상응하도록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적층된 수직조립식 화분(100)들이 3개로 이루어진 예시로 도시되고 있는 데, 최상층 수직조립식 화분과 최하층 수직조립식 화분에만 지지하우징부(106)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적층된 수직조립식 화분(100)들은 상기와 같은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로 적층될 수도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수직조립식 화분
101: 몸체부
111; 발근공간
102: 채반부
121: 개구
103: 영양액저장부
104: 영양액유도부
105: 덮개부
151: 제 1 관통홀
153: 제 2 관통홀
106: 지지하우징부
161: 지지프레임
161a: 메인프레임바아
161b: 고정프레임바아
161c: 상부프레임바아
161d: 하부프레임바아
161e: 연결프레임바아
163: 연결프레임
165: 프레임덮개
165a: 통기구
165b: 개폐덮개

Claims (8)

  1. 상면에 발근공간이 함몰 형성된 몸체부;
    복수 개의 개구들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근공간 내부에 위치되며, 하면은 상기 발근공간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채반부;
    상기 채반부의 중앙에 위치되고, 영양액을 저장하는 영양액저장부;
    상기 영양액저장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채반부의 상면에 걸쳐 위치되는 영양액유도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발근공간을 덮으면서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영양액저장부에 대응되는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1 관통홀 주위를 따라 상기 채반부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 2 관통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채반부 상에는 배지가 덮이고, 화초 또는 과채류는 상기 제 2 관통홀들을 통과하여 상기 채반부 상에 식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조립식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조립식 화분은,
    상기 결합된 몸체부와 덮개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된 몸체부와 덮개부를 덮는 지지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조립식 화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하우징부는,
    상기 결합된 몸체부와 덮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들;
    상기 지지프레임들을 연결하여, 상기 결합된 몸체부와 덮개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결합된 몸체부와 덮개부를 둘러싸는 연결프레임들; 및
    상기 연결프레임들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몸체부와 덮개부를 둘러싸면서 차단하는 프레임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덮개 상에는 적어도 한 쌍의 통기구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조립식 화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결합된 몸체부와 덮개부의 외주면 상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되는 메인프레임바아;
    상기 메인프레임바아의 상부 종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관통홀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바아를 상기 결합된 몸체부와 덮개부의 외주면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바아;
    상기 몸체부의 외부를 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바아의 상부 종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부프레임바아;
    상기 상부프레임바아와 대응되고, 상기 메인프레임바아의 하부 종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하부프레임바아; 및
    상기 상부프레임바아의 종단과 상기 하부프레임바아의 종단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조립식 화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바아와 상기 연결프레임바아가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하부프레임바아와 상기 연결프레임바아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각각 결합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결합구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조립식 화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덮개는,
    상기 통기구 상에 설치되어 적어도 상기 통기구의 일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조립식 화분.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덮개는 투명한 직물이나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조립식 화분.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홀에는 다른 수직조립식 화분의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수직조립식 화분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조립식 화분.

KR1020120042875A 2012-04-24 2012-04-24 수직조립식 화분 KR101378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75A KR101378971B1 (ko) 2012-04-24 2012-04-24 수직조립식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75A KR101378971B1 (ko) 2012-04-24 2012-04-24 수직조립식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794A KR20130119794A (ko) 2013-11-01
KR101378971B1 true KR101378971B1 (ko) 2014-04-02

Family

ID=4985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875A KR101378971B1 (ko) 2012-04-24 2012-04-24 수직조립식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9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425B1 (ko) * 2014-11-05 2016-01-04 이탁수 시각장애인용 욕실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842A (ko) * 2002-06-18 2003-12-31 홍학표 가정용 간이 배지경 재배기
KR20080001458U (ko) * 2006-11-27 2008-05-30 박청일 조립식화분
JP2008253165A (ja) 2007-04-03 2008-10-23 Toda Biosystem:Kk 栽培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栽培装置
JP2010510806A (ja) 2006-11-27 2010-04-08 パク,チョンイル 組立式植木鉢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842A (ko) * 2002-06-18 2003-12-31 홍학표 가정용 간이 배지경 재배기
KR20080001458U (ko) * 2006-11-27 2008-05-30 박청일 조립식화분
JP2010510806A (ja) 2006-11-27 2010-04-08 パク,チョンイル 組立式植木鉢
JP2008253165A (ja) 2007-04-03 2008-10-23 Toda Biosystem:Kk 栽培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栽培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425B1 (ko) * 2014-11-05 2016-01-04 이탁수 시각장애인용 욕실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794A (ko) 201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2306B2 (en) Planting box device
US20100132255A1 (en) Eco-friendly vertical plant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10139555A (zh) 用于在室内栽培植物的气候密封气候控制室
KR101121032B1 (ko) 옥상 텃밭용 작물 재배상자
Ummyiah et al. Protected cultivation of vegetable crops under temperate conditions
KR200444397Y1 (ko) 통기성이 우수한 난 재배용 화분
KR101331404B1 (ko)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KR101160879B1 (ko) 블루베리 묘목재배용 화분제조방법
KR101378971B1 (ko) 수직조립식 화분
JP2018191560A (ja) 一般家庭向け簡易水耕栽培装置
JP2013106584A (ja) 植物栽培法及び植物栽培装置
JP6296515B2 (ja) 一般家庭向け簡易水耕栽培装置
CN215269931U (zh) 一种新型二培种植杯
CN213280821U (zh) 一种兰花育苗用可分解的营养杯
KR200461953Y1 (ko) 조립식 화분
CN211152939U (zh) 一种收口式防草育苗袋
WO2019160435A1 (ru) Способ разведения рассады
JP2005080623A (ja) 植物養液栽培方法
KR101540258B1 (ko) 이중 용기로 된 구근식물용 컨테이너
KR200466148Y1 (ko) 채소 재배용 용기
van Heurn AD23E Protected cultivation
WO2022265488A1 (es) Empaque para cultivo hidropónico con trampa atrayente para insectos
GB2464319A (en) Fleece bag for growing plants
KR101327216B1 (ko) 식물재배용기와 식물배지가 일체화된 텃밭팩
JPH0729816Y2 (ja) 果菜類の受け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