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452A - 비닐하우스용 부필름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부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452A
KR20050103452A KR1020050069953A KR20050069953A KR20050103452A KR 20050103452 A KR20050103452 A KR 20050103452A KR 1020050069953 A KR1020050069953 A KR 1020050069953A KR 20050069953 A KR20050069953 A KR 20050069953A KR 20050103452 A KR20050103452 A KR 20050103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vinyl house
sub
house
plant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선심
Original Assignee
이진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노 filed Critical 이진노
Priority to KR102005006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3452A/ko
Publication of KR2005010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4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할때, 비닐하우스에 설치되는 부필름으로서, 비닐하우스 내부 및 주변부에 잡초의 생육이 증대되는 지역에 대한 광투과를 억제하므로써, 잡초를 제거하거나 그 발생을 억제하여 비닐하우스내 작물의 생육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비닐하우스용 부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부필름{SUB-FILM FOR VINYL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할때, 비닐하우스에 설치되는 부필름으로서, 비닐하우스 내부 및 주변부에 잡초의 생육이 증대되는 지역에 대한 광투과를 억제하므로써, 잡초를 제거하거나 그 발생을 억제하여 비닐하우스내 작물의 생육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비닐하우스용 부필름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는 채소류의 촉성재배(促成栽培) 또는 열대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비닐 필름을 씌운 온실로서, 작물재배에 있어 중요한 원예시설이다. 비닐하우스는 피복제가 가볍기 때문에 골격재료도 유리온실에 비하여 크게 축소되어 구축비(構築費)가 크게 절감되므로 시설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예전에는 대나무나 목재가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철파이프, 철재(鐵材), 경질 PVC 파이프 등이 많이 사용된다. 철재는 ㄱ형 앵글이나 V형이 많다. 최근에는 경합금의 골재도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지붕도 모양에 따라 외쪽지붕식, 3/4식, 양면식, 아치형 등으로 구분되며, 또 이들이 단동(單動)이냐 연동(連動)이냐에 따라 단동식, 2연동식, 3연동식 등으로 그 구조가 다양하다.
농업용 비닐하우스에 사용되는 필름의 공급형태는 일반적으로 도1과 같이 한쪽이 절개된 두겹 형태로 공급된다. 이러한 형태의 필름은 일반적으로 하우스에 적용하기에는 편리하다. 하지만, 하우스 농사는 1년 내내 경작이 행해지므로 겨울철과 여름철에는 심한 온도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작물에 고온장애가 유발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해 하우스에 환기구멍을 형성하여 주어야 하지만 낮과 밤의 온도차가 큰 봄, 가을의 경우에는 작물이 적응하기에는 그 온도차이가 너무 커 곤란하다. 따라서 계절 및 기온의 변화에 따라 환기 및 온도 유지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 하방 양측부에 측창 환기구를 설치하고, 이런 환기구를 제어하기 위하여 도2에서와 같이 주필름(1)에 또 다른 필름(이하 '부필름'이라고 한다)(2)을 별도로 부착한다.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에 비닐하우스 내부는 식물이 생육하기 이상적인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에 재배하고자 하는 작물뿐만 아니라 잡초의 생육 또한 촉진된다. 이러한 잡초는 비닐하우스 관리자가 재배하고자 하는 작물의 생장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제거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이러한 잡초의 제거를 위하여 제초제가 사용되어오고 있으나, 농약의 사용은 환경오염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새로이 야기시킴으로써 돌이킬 수 없는 자연환경의 파괴와 회복불능의 환경을 만들어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하우스 내는 밀폐된 환경이기 때문에, 농약을 살포하는 농민들의 경우 맹독성의 농약을 인체에 흡입하므로써 인체 내의 축적과 불치의 유전병이 생성되게 되고, 잔류농약의 흡수에 의해 소비자들에게도 치명적인 건강상의 손실을 유발시키게 된다.
또한, 설치된 비닐하우스 내부중 비닐하우스의 골조가 타설된 토양의 인접지역에 발생하는 잡초는 비닐하우스 관리자가 접근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서는 그 제거가 곤란하다. 또한, 비닐하우스가 설치된 근처의 외부에 발생하는 잡초, 특히 비닐하우스와 비닐하우스의 사이에 발생하는 잡초의 경우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제거하면 설치된 비닐하우스의 기반이 약화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제초제를 살포한다면 비닐하우스 측면에 설치된 환기구를 통하여 비닐하우스 내부로 제초제 성분이 유입되어 잔류하기 때문에, 재배하는 작물의 품질 뿐만 아니라 재배자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의 내부 및 외부에 발생하는 잡초에 있어서, 특히 비닐하우스의 골조가 타설된 토양의 인접지역의 외부 및 내부의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생장억제기능이 부가된 비닐하우스용 부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부필름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부필름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필름 제조과정 중에서 공지의 사항에 대한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부필름은, 일반적인 비닐하우스용 부필름과 동일한 투명필름(11), 상기 투명필름(11) 하부에 부착되어 광투과를 차단하는 식물성장억제필름(12), 상부에는 비닐하우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투명필름측에 설치된 고정끈 삽입홈(13) 및 고정끈(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투명필름(11)은 종래에 사용되던 비닐하우스용 부필름과 동일한 것으로서, 주로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로 제조된다. 또한 용도에 따라 당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기능을 가진 기능성 첨가제, 예컨대, 비닐하우스내의 온도를 작물생육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 보존시키기 위하여 실리카, 알루미나계 화합물(Al2O3, SiO2)을 사용한 보온제를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장억제필름(12)은 재질 및 그 제조원료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11)과 동일하지만, 잡초와 같이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하여 파장이 400~700nm인 광합성유효광량자속(PPF) 투과율이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가 되도록 유색의 색소를 함유하고 있다. 도4에 파장이 400~700nm인 광합성유효광량자속(PPF) 투과율에 대하여 대표적인 작물인 파프리카(도4a), 오이(도4b) 및 토마토(도4c)의 파종후 14일 이후의 생존율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상기 도4a, 도4b 및 도4c로부터 상기 PPF 투과율이 50%보다 높으면 식물의 생장이 촉진되지만, 50% 이하가 되면 식물의 개체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40% 이하가 되면 식물개체수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이는 PPF 투과율이 50%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당해 식물의 키, 줄기길이, 마디사이 등의 신장이 억제되어 식물체가 왜소하게 되고, 식물체 내에 포함된 단위체적당 엽록소, 비타민, 단백질 등의 영양소량도 감소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식물성장억제필름(12)에 사용되는 유색의 색소는 상기와 같이 파장이 400~700nm인 광합성유효광량자속(PPF)의 투과율이 50% 이하가 되도록 400~700nm 사이에 흡수대를 가진 색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토퀴논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식물성장억제필름(12)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광투과를 90% 이상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카본블랙과 같은 흑색안료를 첨가한 흑색필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끈 삽입홈(13)은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부필름을 비닐하우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끈(14)과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 끝이 관통되어 있는 원통형 구조로서 상기 투명필름(11)측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끈 삽입홈(13)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필름(11)의 끝부분을 한번 접어붙여 만들 수 있으며, 양 끝이 관통된 원통형의 구조로서 고정끈(14)을 끼워넣어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부필름을 비닐하우스에 고정할 수 있다면 그 제조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부필름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11) 및 상기 식물성장억제필름(12)은 일체화되어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투명필름(11)의 원료 및 식물성장억제필름(12)의 원료를 각각 별개의 호퍼 넣고, 각각 별개의 스크류를 통하여 각각의 필름의 원료를 혼합한 다음, 상기 두 혼합된 원료를 동일한 다이스에 주입하므로써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비닐하우스용 부필름은 투명필름(11) 및 식물성장억제필름(12)의 경계선이 필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이다.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부필름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11) 및 상기 식물성장억제필름(12)이 상기와 같이 일체화된 하나의 필름으로 결합되어 제조되지 않고, 각각 별개의 필름 형태로 제조되어 결합되는 경우에는, 예컨대 압착롤러에 의하여 결합되는 경우에는 그 연결부위인 압착자국선이 쉽게 찢어질 수 있기 때문에, 비닐하우스 하방 양측부에 설치된 측창 환기구를 제어하지 못하게 되어, 특히 겨울철에 농작물이 냉해를 받을 위험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부필름에 있어서 투명필름(11)의 폭은, 상기 투명필름(11)에 연결된 식물성장억제필름(12)이 태양광선을 차단하므로써 비닐하우스 내부에 발생한 잡초가 자라지 못하도록 하면서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는 작물에까지 태양광선이 차단되지는 않도록 당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필름(11)은 상기 고정끈(14)을 이용하여 부필름을 비닐하우스에 설치하였을때, 투명필름(11)과 식물성장억제필름(12)의 경계선이 지상으로부터 30cm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부필름을 사용하면, 비닐하우스를 사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에 있이서, 농약과 같이 자연환경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유해한 수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비닐하우스의 골조가 타설된 토양의 인접지역의 외부 및 내부의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농업용 비닐하우스에 사용되는 필름의 공급형태로서의 단면도이다.
도2는 환기창과 부필름이 부착된 비닐하우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부필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파장이 400~700nm인 광합성유효광량자속(PPF) 투과율에 대한 파프리카(a), 오이(b), 토마토(c)의 개체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주필름 2. 부필름
3. 환기창
11. 투명필름 12. 식물성장억제필름
13. 고정끈 삽입홈 14. 고정끈

Claims (6)

  1. 투명필름(1),
    상기 투명필름(1) 하부에 부착되어 광투과를 차단하는 식물성장억제필름(2),
    상부에는 비닐하우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투명필름측에 설치된 고정끈 삽입홈(3), 및
    상기 고정끈 삽입홈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끈(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부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 및 식물성장억제필름은 폴리에틸렌,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부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장억제필름은 파장이 400~700nm인 광합성유효광량자속(PPF) 투과율이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부필름.
  4. 제 3항에 있어서,
    파장이 400~700nm인 광합성유효광량자속(PPF)의 투과율이 50% 이하가 되도록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토퀴논 화합물 또는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을 착색안료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부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 및 상기 식물성장억제필름은 일체화되어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부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장억제필름은 광투과를 차단하는 흑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부필름.
KR1020050069953A 2005-07-30 2005-07-30 비닐하우스용 부필름 KR20050103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953A KR20050103452A (ko) 2005-07-30 2005-07-30 비닐하우스용 부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953A KR20050103452A (ko) 2005-07-30 2005-07-30 비닐하우스용 부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452A true KR20050103452A (ko) 2005-10-31

Family

ID=37281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953A KR20050103452A (ko) 2005-07-30 2005-07-30 비닐하우스용 부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34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7884A (zh) * 2018-03-30 2018-07-24 苏州维洛克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组装式保温透气大棚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7884A (zh) * 2018-03-30 2018-07-24 苏州维洛克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组装式保温透气大棚膜
CN108307884B (zh) * 2018-03-30 2024-04-26 孙琪 一种组装式保温透气大棚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nke et al. The use of high tunnels to produce fruit and vegetable crops in North America
Alemu Effect of tree shade on coffee crop production
Bavougian et al. Mulch and groundcover effects on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surface reflectance, grapevine water potential, and vineyard weed management
JP2009153398A (ja) 農業用シート、そのシートを使用した農作物の栽培・管理方法及び栽培した農作物
CN102835244A (zh) 一种生态茶园立体复合种植方法
WO2012046601A1 (ja) オタネニンジンの栽培方法
JP5133121B2 (ja) 栽培用ハウス
ES2330117T3 (es) Pelicula de plastico fotobiologica termoplastica.
KR20050103452A (ko) 비닐하우스용 부필름
Wien et al. Use of high tunnels in the Northeastern USA: Adaptation to cold climates
Lenka Cultivation of Crops under Shade-Net Greenhouse
Kumari et al. Microclimatic alteration through protective cultivation and its effect on tomato yield
KR102035668B1 (ko) 인삼 공정육묘 재배방법 및 우량 인삼 공정육묘 재배용 하우스
Manjunatha et al. Impact of different colour low tunnel shade nets and mulches on water use efficiency and nutrient use efficiency in Chrysanthemum
KR200362835Y1 (ko) 딸기 재배용 멀칭 필름
Mutwiwa et al. Effects of a near infrared-reflecting greenhouse roof cover on the microclimate and production of tomato in the tropics
Singh et al. Horticultural crops
KR102555085B1 (ko) 농작물 보호용 다용도 멀칭캡
JPH1094336A (ja) 土壌被覆シート
CN219844300U (zh) 模块化果树防草壳
KR200362994Y1 (ko) 비닐하우스용 치마필름
Kratky Plastic-covered rainshelters for vegetable production in the tropics
Satasiya et al. Development of a poly-cum-shade net house for capsicum cultivation for Saurashtra region of Gujarat state
Pramod Rai et al. Off season bottle gourd cultivation using plastic mulch and low tunnel.
Singh et al. Protected Horticulture in India: An Over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