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804B1 -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 Google Patents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804B1
KR102554804B1 KR1020220140607A KR20220140607A KR102554804B1 KR 102554804 B1 KR102554804 B1 KR 102554804B1 KR 1020220140607 A KR1020220140607 A KR 1020220140607A KR 20220140607 A KR20220140607 A KR 20220140607A KR 102554804 B1 KR102554804 B1 KR 102554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composting
manure
connecto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황원규
홍석문
서성희
Original Assignee
김영석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석,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filed Critical 김영석
Priority to KR1020220140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3/00Treating manure; Manuring
    • A01C3/02Storage places for manure, e.g. cisterns for liquid manure; Installations for fermenting man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2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provided with auxiliary arrangements, e.g. pumps, agitators, cut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40Treatment of liquids or slur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21Devices in which the material is conveyed essentially horizontally between inlet and discharge means
    • C05F17/929Cylinders or drum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게는 트렉터와 같은 동력 이동장치에 연결되어 축사용 분뇨를 정기적으로 교반시켜 부숙되도록 하고, 분뇨를 교반시키는 과정에서 액체를 분무하거나 분말을 살포하는 배출제어장치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뇨의 사용기간을 늘리고 부숙된 퇴비로 만들어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조인트축으로 동력이 연결되는 기어박스에서 교반 회전축에 교반날이 연결된 부숙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숙장치를 따라 이동하며 높이를 조절하면서 바닥을 향하여 경사게 설치되어 축사 바닥의 가축분뇨를 긁어 교반시키는 바닥 평탄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부숙장치에서 액체 또는 분말 부숙제를 선택 공급하는 배출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 제어장치는 일정한 간격으로 장공이 형성되는 급수 제어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공에 설치되는 급수 연결축이 연결된 후 급수탱크의 하측으로 일정한 간격에 다수개의 급수밸브와 연결되어 회전 이동으로 한쪽에서 급수밸브를 개폐하며 다른 한쪽은 급수 연결축에 연결되어 급수 제어대의 수평 구동에 따라 급수량을 조절하는 급수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제어대의 한 부분에 연결축이 돌출되어 제어선의 선단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축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어 설치대가 설치되어 연결축에 선단이 연결된 제어선의 다른 부분이 연결된 후 상기 제어 설치대에서 제어선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재가 기어박스의 일측에 설치한 구동레버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 제어대의 한 부분에는 복귀 스프링의 한쪽 선단이 고정되고 상기 복귀 스프링의 다른쪽 선단은 급수탱크의 하측에 설치한 스프링 고정구에 연결되어 제어선으로 강제 이동한 급수 제어대의 이동력이 제어되면 복귀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Boiling device capable of stirring livestock manure and spraying liquid and powder moxibustion}
본 발명은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게는 트렉터와 같은 동력 이동장치에 연결되어 축사용 분뇨를 정기적으로 교반시켜 부숙되도록 하고, 분뇨를 교반시키는 과정에서 액체를 분무하거나 분말을 살포하는 배출제어장치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뇨의 사용기간을 늘리고 부숙된 퇴비로 만들어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가축을 대량으로 기르는 농장 등에서는 가축 사양을 위한 축사가 축조된다. 그리고 이러한 축사의 바닥에는 가축으로부터 배설되는 분뇨가 매일 일정량씩 발생되고 적절히 제거되지 않는 경우 왕겨 또는 깔짚 등과 섞여 상당히 빠른 시간에 많은 량이 쌓이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축사에는 바닥에 쌓이는 분뇨를 제거하기 위한 특별한 시스템이 적용되지 못하고 있어서, 작업자가 개별적인 수도구를 이용하여 분뇨를 제거하거나 또는 트랙터 및 스키드로더를 이용하여 분뇨를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분뇨제거에 상당한 인력이 소모되고 있다. 또한 제거된 분뇨는 적절한 퇴비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축사 인근에 야적되거나 토양에 살포돼 축사 인근 악취 및 농경지 토양오염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축산농가의 전업화 현상으로 대규모 사육 농가가 증가함에 따라 특정지역에서 다량 발생되는 가축분뇨를 신속하게 제거 및 처리하지 않을 경우 축사 내에 축적된 가축분뇨는 가축질병을 야기하거나 악취 등을 발생시키는 주원인으로 작용해 축산농가에게 경제적인 손실을 끼칠 분만 아니라 축사를 농촌 거주환경 저해요인으로 인식되도록해 빈번한 민원을 초래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축사로부터 분뇨를 너무 자주 제거하면 인력 과다 투입으로 인해 생산비가 상승될 우려가 있으며 가축분뇨 제거시기가 너무 지연될 경우 다량으로 축사바닥에 쌓인 분뇨가 바닥면에 눌어붙게 돼 제거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발생한다.
더불어, 기존에 수도구 및 트랙터나 스키드로더 탈부착용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축사바닥의 분뇨를 제거할시, 갈고리 및 수거장치의 양측으로 축사분뇨가 누출되어, 확실한 축사분뇨 제거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축사바닥의 폭이 증감시에는 이러한 분뇨수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관련법규가 강화되면서 부숙되지 않은 가축분뇨를 외부로 배출할 수 없도록 하였으며, 부숙을 위해서는 다양한 미생물로 이루어진 부숙제를 액체와, 분말 또는 알갱이 중 어느 하나로 가축분뇨에 공급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교반 또는 혼합시켜야 하지만, 이러한 경우 가축이 축사에 그대로 상주하고 있는 상태에서 교반 또는 혼합시켜야 하므로 다양한 어려움과 함께 수분이 포함된 분뇨의 경우 정상적으로 혼합되지 못하여 부숙효과를 누릴 수 없어 별도로 모아서 부속화시키는 처리과정을 거쳐야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수분이 포함된 분뇨가 위치한 축사의 내부로 직접 들어가 이동하면서 액체 또는 분말로 이루어진 부숙제를 공급하면서 교반시켜 퇴비를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구입자의 희망에 따르거나, 축사의 다양한 상태에 따라 액체와 분말을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되지만, 액체 도는 분말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배출 제어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어렵고, 복잡하며 선택하기 위한 과정으로 인한 현장 적용이 매우 어려운 결점이 발생하였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2386144호(2022. 04. 08.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2304935호(2021. 09. 15.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2324389호(2021. 11. 04.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2288027호(2021. 08. 04.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트랙터나 스키드로더 또는 다양한 농기계의 동력 이동장치에 연결되어 전진하면서 미생물을 포함한 액체와 분말(알갱이 포함)로 이루어지는 부숙제를 선택 공급하며 가축분뇨를 교반시켜 부숙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축사의 상황에 따라 액체와 분말을 선택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액체를 선택하는 경우 급수탱크의 하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급수밸브를 자유롭고 정확하게 구동해 급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인트축으로 동력이 연결되는 기어박스에서 교반 회전축에 교반날이 연결된 부숙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숙장치를 따라 이동하며 높이를 조절하면서 바닥을 향하여 경사게 설치되어 축사 바닥의 가축분뇨를 긁어 교반시키는 바닥 평탄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부숙장치에서 액체 또는 분말 부숙제를 선택 공급하는 배출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 제어장치는 일정한 간격으로 장공이 형성되는 급수 제어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공에 설치되는 급수 연결축이 연결된 후 급수탱크의 하측으로 일정한 간격에 다수개의 급수밸브와 연결되어 회전 이동으로 한쪽에서 급수밸브를 개폐하며 다른 한쪽은 급수 연결축에 연결되어 급수 제어대의 수평 구동에 따라 급수량을 조절하는 급수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제어대의 한 부분에 연결축이 돌출되어 제어선의 선단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축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어 설치대가 설치되어 연결축에 선단이 연결된 제어선의 다른 부분이 연결된 후 상기 제어 설치대에서 제어선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재가 기어박스의 일측에 설치한 구동레버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 제어대의 한 부분에는 복귀 스프링의 한쪽 선단이 고정되고 상기 복귀 스프링의 다른쪽 선단은 급수탱크의 하측에 설치한 스프링 고정구에 연결되어 제어선으로 강제 이동한 급수 제어대의 이동력이 제어되면 복귀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상기 급수탱크는 하측의 일정한 간격에 연결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구와 일치하는 부분에 부숙 연결구를 설치해 상기 연결구와 부숙 연결구가 만나는 부분에서 고정볼트와 너트로 연결 및 분리되는 것과;
본 발명의 상기 급수밸브는 "ㄴ"형으로 형성된 급수 연결구와 급수 제어대을 연결하고, 급수탱크의 하측으로 일정한 간격에는 "∩"자 형태의 봉 안내구가 급수 제어대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 하는 것과;
본 발명의 상기 배출 제어장치는 전자 마그네트와 연결된 구동바가 연결된 급수 제어대를 통하여 급수밸브를 개폐시키도록 설치 하고, 삽이 급수 제어대의 하측에는 급수밸브의 갯수와 같게 일정한 간격으로 장공을 설치해 연결축을 각각 연결하고 급수 연결구의 상측으로 핀으로 연결함으로써 급수밸브의 구동을 장공의 폭에서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트랙터나 스키드로더 또는 다양한 농기계의 동력 이동장치에 연결되어 전진하면서 미생물을 포함한 액체와 분말(알갱이 포함)로 이루어지는 부숙제를 선택 공급하며 가축분뇨를 교반시켜 부숙효과를 통해 공기의 통풍을 통한 미생물의 성장이 잘되어 오랫동안 축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부숙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퇴비 등으로 배출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축사의 상황에 따라 액체 부숙제와 분말 부숙제을 선택하여 배출 제어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퇴비의 제조가 잘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액체를 선택하는 경우 급수탱크의 하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급수밸브를 간편한 구동으로 자유롭고 정확하게 구동해 급수량을 정확하게 조절해 가축분뇨를 교반시키어 부숙되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공간이 필요없이 부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를 설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가 보이도록 설치한 다른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구동 및 동력전달 상태가 보이도록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설치상태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설치상태 확대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액체탱크에 게이지를 설치한 주요 부분의 설치상태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액체탱크를 교반장치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급수밸브의 주요부분 연결상태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급수 제어대 설치상태 정면도
본문에 게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싱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설치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면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면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設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는 것이지, 하나 도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이해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를 설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가 보이도록 설치한 다른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 및 동력전달 상태가 보이도록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설치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설치상태 확대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액체탱크에 게이지를 설치한 주요 부분의 설치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액체탱크를 교반장치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급수밸브의 주요부분 연결상태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크게 가축이 축사에 상주하고 있는 상태 또는 외부의 일정한 위치에 보관된 상태에서 동력에 의해 이동하며 동력을 제공하는 부숙장치(10)와, 상기 부숙장치(10)의 한쪽에 설치되어 미생물이 포함된 액체와 분말(알갱이 포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부숙제를 저장해 이동하면서 가축분뇨에 공급하는 배출 제어장치(3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부숙장치(10)는 트렉터 또는 다양한 농기계의 동력을 공급하는 조인트축이 연결되어 동력을 변환시켜 동력 전달축(12)을 통하여 전달 및 회전되며 가축분뇨를 교반시키고,
상기 부축장치(10)를 따라 이동하며 필요한 경우 높이를 조절하고, 바닥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축사의 바닥에 있는 가축분뇨를 긁어 교반시키는 바닥 평탄화수단(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부숙장치(10)는 상측에 실린더 연결대가 설치되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들어 올려 이동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부축장치(10)는 죠인트축이 연결되는 기어박스(11)는 통상적으로 동력을 공급받아 기어의 연결구조에 의해 동력전달방향을 변환시키거나 회전수를 감속 또는 가속시키는 것을 통하여 교반 회전축(16)이 회전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기어박스(11)의 동력이 교반 회전축(16)에 전달되고. 상기 교반 회전축(16)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축분을 교반시키는 교반날(17)이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가축분뇨를 골고루 교반시키는 것이다.
상기 교반날(17)은 정면도를 기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가축분뇨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교반시켜 혼합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교반 회전축(16)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의 연결판이 설치된 후 원주방향을 따라 2∼4개의 교반날(17)을 설치해 바닥의 가축분뇨를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혼합해 교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교반날(17)은 선단부분에서 한쪽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며, 연결판에 설치되는 교반날(17)의 선단이 휘어지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일정한 폭 내에서 모든 가축분뇨를 교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교반 회전축(16)에 설치한 연결판은 다각형 형태로도 가능하며, 하나의 연결판에 1∼5개의 범위에서 서로 같은 방향과 다른방향을 선택하여 설치해 작업 폭에서 모든 폭을 교반하는 작업을 할 수 있는 폭이 가능하도록 하고, 회전방향이 축사 바닥에 있는 가축 분뇨를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혼합 및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교반날(17)의 전방에 설치되는 바닥 평탄화수단(20)은 교반날(17)의 이동을 따라 이동하면서 바닥을 긁어 평탄하게 하는 것으로,
교반날(17)의 한쪽으로 돌출되게 연결한 판 연결대(21)의 하측에는 평탄화판(22)이 설치되어 바닥을 편평하게 고르는 평탄화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평탄화판(22)은 하측 부분이 바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서 바닥의 가축분뇨를 한번 더 교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바닥의 전체면을 평탄하게 긁어주는 과정을 통하여 모든 가축분뇨의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부숙장치(10)의 한쪽에는 바닥 평탄화수단(20)에 액체 또는 분말로 이루어지는 부숙제를 공급해 교반에 의해 부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출 제어장치(30)를 설치하는 것이다.
배출 제어장치(30)는 액체와 분말의 부숙제를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교환해 적용하는 것으로,
배출 제어장치(30)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한 연결구(50)와, 상기 연결구(50)와 일치하는 부분에 부숙 연결구(19)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해, 상기 연결구(50)와 부숙 연결구(19)가 만나는 부분에서 볼트와 너트를 적어도 한곳 이상에서 체결해 서로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 제어장치(30)는 급수탱크(31)의 경우에 상측으로 급수관(32)이 연결되어 내부에 액체를 충진할 수 있도록 설치한 후 급수관(32)의 외부에 급수마개(33)를 설치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탱크(31)는 원형과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쪽 선단에서 상측과 하측에 수직방향으로 게이지(35)를 설치해 외부에서 급수탱크(31)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탱크(31)의 하측 중앙에서 하측으로 일정한 간격에 급수밸브(36)를 설치해 저장된 액체의 급수여부와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탱크(31)의 하측으로 일정한 간격에는 "∩"자 형태로 봉 안내구(35)가 설치되어 봉 또는 관으로 이루어지는 급수 제어대(34)의 왕복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급수 제어대(34)에는 일정한 간경으로 급수 연결축(34a)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급수밸브(36)에 연결되어 회전 이동하며 급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급수 연결구(37)의 한쪽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급수 연결구(37)는 한쪽은 급수밸브(36)를 개폐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다른 한쪽은 급수 연결축(34a)에 연결되어 급수 제어대(34)의 수평 구동에 따라 급수밸브(36)의 개폐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 연결구(37)는 "ㄴ"자 형태로 연결되거나, 경사지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 제어대(34)의 한 부분에는 연결축(42)이 돌출되어 제어선(41)의 선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축(42)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어 설치대(40)가 설치되어 연결축(42)에 선단이 연결된 제어선(41)의 다른 부분이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 설치대(40)에서 제어선(41)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재(39)가 기어박스(11)의 일측에 설치한 구동레버(38)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급수 제어대(34)의 한 부분에는 복귀 스프링(43)의 한쪽 선단이 고정되고, 상기 복귀 스프링(43)의 다른쪽 선단은 급수탱크(31)의 하측에 설치한 스프링 고정구(44)에 연결되어 제어선(41)으로 강제 이동한 급수 제어대(34)의 이동동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력으로 원상태 복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레버(38)가 작동되는 부분에는 구동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제어선(41)을 통한 급수 제어대(34)의 이동폭을 조절해 급수 연결구(37)를 통한 급수밸브(36)의 미세한 개폐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에 관한 것으로, 배출 제어장치(30)는 분말 또는 알갱이를 공급하는 경우 선택할 수 있는 예시도로써, 공급탱크(31a)는 분말 또는 알갱이를 저장해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구성요고와 공급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등록번호 제2324389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배출 제어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급수 제어대 설치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배출 제어장치(30)는 급수탱크(31)의 하측으로 일정한 간격에 설치되는 급수밸브(36)에 급수 제어대(34)가 연결되고, 상기 급수 제어대(34)를 구동레버(38)를 통하여 수동으로 구동하지 않고 전자 마그네트(60)를 통하여 한 방향에 연결된 구동바(61)를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급수 제어대(34)와 연결하는 것이며, 상기 급수 제어대(34)의 하측에는 급수밸브(36)의 갯수와 같게 일정한 간격으로 장공(55)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장공(55)에는 급수 연결축(34a)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급수 연결축(34a)에는 급수 연결구(37)의 상측을 핀(56)으로 연결함으로써 "ㄴ"형으로 형성된 급수 연결구(37)의 하측에서 급수밸브(36)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급수밸브(36)의 구동을 장공(55)의 폭에서 미세하게 조절해 급수량이 다수개의 급수밸브(36)에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축사의 바닥에 왕겨 또는 깔짚 등을 깔고 그 상측에 가축을 기르게 되므로 가축으로부터 배설되는 분뇨가 매일 일정량씩 발생되고 함께 섞여 상당히 빠른 시간에 많은 양이 쌓이게 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가축분뇨와 왕겨 또는 깔짚을 교반시켜 미생물에 의한 공기의 원활한 공급으로 미생물이 성장되는 부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축분뇨와 왕겨 또는 깔짚 등을 교반하는 경우 부숙장치(10)를 트렉터 등 각종 농기계에서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트렉터 등에 연결하는 경우, 조인트축을 기어박스(11)에 연결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며, 유압실린더를 통하여 부숙장치(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들어올려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 바닥으로 내려 견인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어박스(11)로 조인트축에서 전달되는 동력은 변환되어 동력 전달축(12)에서 도시하지 않은 스프라켓과 교반체인을 통하여 교반 회전축(16)을 정면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교반 회전축(16)이 회전되면서 교반날(17)이 회전하게 되므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일정한 간격의 교반날(17)이 가축분뇨와 왕겨 및 깔짚을 하측에서부터 퍼올려 상측으로 뒤집어 지도록 혼합 및 교반하게 되므로 바닥부분에서 약간 높은 위치에 있는 가축분뇨와 왕겨 및 깔짚을 교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교반날(17)의 일측에서는 배출 제어장치(30)를 통하여 가축분뇨와 왕겨 및 깔짚에는 액체와 분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부숙제가 공급되는 것이며, 부숙제와 가축분뇨, 왕겨 및 깔짚이 교반되어 지므로 교반을 통해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미생물의 성장으로 가축분뇨의 냄새를 제거하며 부숙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교반날(17)을 통하여 가축분뇨와 왕겨 및 깔짚이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교반 및 혼합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가축분뇨가 뭉쳐지지 않고 분리되는 과정을 통해 미생물이 공기와의 접촉을 활발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미생물의 성장을 도와 부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교반날(17)이 가축분뇨 등의 교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일측에 설치한 바닥 평탄화수단(20)의 평탄화판(22)은 바닥면에 하측의 경사면이 닿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서 이동하면서 바닥을 평탄하게 밀어 교반되지 않는 가축분뇨와 왕겨 및 깔짚이 모두 교반되도록 하는 것을 통하여 교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 평탄화수단(20)은 원하는 높이로 미세하게 조절해 가면서 교반작업을 통한 부숙화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 제어장치(30)는 액체를 부숙제로 공급하는 경우 급수탱크(31)의 하측에 연결구(50)가 설치되어 부숙 연결구(19)와 일치시켜 고정볼트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분말 또는 알갱이를 부숙제로 공급하는 경우 공급탱크(31a)의 하측에 연결구(50)가 설치되어 부숙 연결구(19)와 일치시켜 고정볼트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 액체와 분말 중 어느 하나를 부숙제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어 부숙제의 선택이 용이하고 축사의 상황에 따라 간편하게 선택 설치 및 교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액체를 부숙제로 선택하여 사용하는 배출 제어장치(30)는 급수탱크(31)의 상측으로 설치한 급수마개(33)를 개방시켜 급수관(32)을 통하여 액체를 공급해 급수탱크(31)에 저장한 후 급수마개(33)를 닫아 부숙장치(10)를 이동하며 부숙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부숙장치(10)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부숙제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구동레버(38)를 당기면 제어부재(39)를 통하여 제어 설치대(40)에 연결되는 제어선(41)을 당김에 따라 연결축(42)에서 급수 제어대(34)를 도 4와 도 5의 좌측으로 수평 이동시키게 되므로 급수 제어대(34)이 이동하며 후방의 급수 연결축(34a)을 통하여 급수 연결구(37)를 회전 이동시켜 급수밸브(36)를 서서히 개방시키게 된다.
급수 연결구(37)의 회전 이동으로 급수밸브(36)가 개방되면서 급수탱크(31)에 연결된 액체의 부숙제가 급수밸브(36)에서 하측으로 배출되어 분뇨에 공급되는 것이다.
부숙장치(10)가 이동하면서 급수탱크(31)에 저장된 액체 부숙제를 급수밸브(36)에서 분뇨에 공급해 교반날(17)을 통해 골고루 교반되는 동시에 바닥 평탄화수단(20)의 평탄화판(22)을 통하여 퇴비로 부숙되는 것이다.
상기 급수밸브(36)는 제어선(41)과 제어부재(29)를 통해 구동레버(38)의 이동에 따라 여러단계로 미세하게 개방되며 액체 부숙제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급수 제어대(34)의 수평이동은 봉 안내구(35)가 "∩"형태로 설치되어 정확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동시에 "ㄴ"형의 급수 연결구(37)를 회전 이동시켜 급수밸브(36)의 개폐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구동레버(38)를 통하여 급수밸브(36)를 개방 제어하는 힘이 제거되면 급수 제어대(34)의 한 부분에 연결된 복귀 스프링(43)의 탄성력이 스프링 고정구(44)를 통하여 상승되었다가 당기는 힘이 제거되므로 탄성력이 급수 제어대(34)에 작용되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급수밸브(36)를 닫아 액체 부숙제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급수탱크(31)는 한쪽으로 게이지(45)가 설치되어 있어서 외부에서 액체 부숙제의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확인에 의해 급수마개(33)를 개방시켜 액체 부숙제를 충진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 제어방치(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급수탱크(31) 또는 공급탱크(31a)에 설치된 연결구(50)와 부숙 연결구(19)를 고정하던 고정볼트와 너트를 해체하여 간편하게 분리해 보관함으로써 사용 및 비사용을 명확하고 편리하게 선택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출 제어장치(30)를 설치하게 되면 급수 제어대(34)의 왕복이동으로 급수 연결구(37)를 통하여 급수밸브(36)가 개방되며 동시에 다수개에서 액체가 공급되도록 설치하였으나, 각각의 급수밸브(36)에서 미세한 개방량의 차이가 있어 각각 다른 양의 액체가 공급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급수밸브(36)를 미세하게 조절해 동일한 조절상태에서 동일한 양의 액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급수탱크(31)의 하측에 설치된 다수의 급수밸브(36)는 실험시 급수 연결구(37)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급수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지만 다수개의 급수밸브(36)가 동일하게 급수할 수 없게 되므로, 밸브의 개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급수 제어대(34)의 하측에 형성한 장공(35)에 급수 연결축(34a)을 결합하되; 장공(35)에 결합된 급수 연결축(34a)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급수밸브(36)가 급수 제어대(34)의 움직임에 따라 급수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장공(35)의 중앙에서 좌측으로 더 이동시킨 상태에서 급수 연결구(37)와 연결되도록 하고, 급수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는 장공(35)의 중앙에서 우측으로 더 이송시킨 상태로 급수 연결구(37)와 연결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전가 마그네트(50)를 통하여 구동바(61)를 구동시켜 급수 제어대(34)가 이동함에 따라, 다수개의 장공(35)에서 각각 연결된 급수 연결구(37)를 통하여 각각의 급수밸브(36)가 동일한 회전범위를 제공해 동일한 개방을 제공하게 되므로 급수탱크(31)에 있는 액체 부숙제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급수 연결축(34a)은 장공(55)의 범위에서 언제든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중에 급수밸브(36)의 액체 부숙제를 다른곳과 차이가 있게 배출되는 경우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해 일정량의 액체 부숙제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자 마그네트(60)를 이용한 구동바(61)의 미세한 구동으로 급수 제어대(34)의 미세한 왕복 이동을 안내해 급수밸브(36)를 통한 균일하고 일정한 액체 부숙제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액체와 분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부숙제를 가축분뇨에 골고루 공급하면서 바닥을 평탄화시키도록 긁어주어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교반날의 회전으로 부숙제가 혼합되면서 골고루 교반시켜 미생물을 통한 부숙효과를 높이고, 액체와 분말 부숙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액체의 공급시 구동레버를 통한 제어부재로 제어선을 구동시켜 급수밸브의 조절로 공급시 배출량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곧바로 퇴비로 활용하는 부숙효과를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부숙장치 11 : 기어박스
12 : 동력 전달축 16 : 교반 회전축
17 : 교반날 19 : 부숙 연결구
20 : 바닥 평탄화수단 21 : 판 연결대
22 : 평탄화판 30 : 배출 제어장치
31 : 급수탱크 31a : 공급탱크
32 : 급수관 33 : 급수마개
34 : 급수 제어대 34a : 급수 연결축
35 : 봉 안내구 36 : 급수밸브
37 : 급수 연결구 38 : 구동레버
39 : 제어부재 40 : 제어 설치대
41 : 제어선 42 : 연결축
43 : 복귀 스프링 44 : 스프링 고정구
45 : 게이지 50 : 연결구
55 : 장공 56 : 핀
60 : 전자 마그네트 61 : 구동바

Claims (8)

  1. 조인트축으로 동력이 연결되는 기어박스(11)에서 교반 회전축(16)에 교반날(17)이 연결된 부숙장치(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숙장치(10)를 따라 이동하며 높이를 조절하면서 바닥을 향하여 경사게 설치되어 축사 바닥의 가축분뇨를 긁어 교반시키는 바닥 평탄화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부숙장치(10)에서 액체 또는 분말 부숙제를 선택 공급하는 배출 제어장치(30)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 제어장치(30)는 일정한 간격으로 장공(55)이 형성되는 급수 제어대(34)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공(55)에 설치되는 급수 연결축(34a)이 연결된 후 급수탱크(31)의 하측으로 일정한 간격에 다수개의 급수밸브(36)와 연결되어 회전 이동으로 한쪽에서 급수밸브(36)를 개폐하며 다른 한쪽은 급수 연결축(34a)에 연결되어 급수 제어대(34)의 수평 구동에 따라 급수량을 조절하는 급수 연결구(37)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제어대(34)의 한 부분에 연결축(42)이 돌출되어 제어선(41)의 선단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축(42)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어 설치대(40)가 설치되어 연결축(42)에 선단이 연결된 제어선(41)의 다른 부분이 연결된 후 상기 제어 설치대(40)에서 제어선(41)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재(39)가 기어박스(11)의 일측에 설치한 구동레버(38)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 제어대(34)의 한 부분에는 복귀 스프링(43)의 한쪽 선단이 고정되고 상기 복귀 스프링(43)의 다른쪽 선단은 급수탱크(31)의 하측에 설치한 스프링 고정구(44)에 연결되어 제어선(41)으로 강제 이동한 급수 제어대(34)의 이동력이 제어되면 복귀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31)는 하측의 일정한 간격에 연결구(50)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구(50)와 일치하는 부분에 부숙 연결구(19)를 설치해 상기 연결구(50)와 부숙 연결구(19)가 만나는 부분에서 고정볼트와 너트로 연결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36)는 "ㄴ"형으로 형성된 급수 연결구(37)와 급수 제어대(34)을 연결하고, 급수탱크(31)의 하측으로 일정한 간격에는 "∩"자 형태의 봉 안내구(35)가 급수 제어대(34)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제어장치(30)는 전자 마그네트(60)와 연결된 구동바(61)가 연결된 급수 제어대(34)를 통하여 급수밸브(36)를 개폐시키도록 설치 하고, 삽이 급수 제어대(34)의 하측에는 급수밸브(36)의 갯수와 같게 일정한 간격으로 장공(55)을 설치해 연결축(34a)을 각각 연결하고 급수 연결구(37)의 상측으로 핀(56)으로 연결함으로써 급수밸브(36)의 구동을 장공(55)의 폭에서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8. 삭제
KR1020220140607A 2022-10-27 2022-10-27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KR102554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607A KR102554804B1 (ko) 2022-10-27 2022-10-27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607A KR102554804B1 (ko) 2022-10-27 2022-10-27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804B1 true KR102554804B1 (ko) 2023-07-14

Family

ID=8715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607A KR102554804B1 (ko) 2022-10-27 2022-10-27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64402A (zh) * 2023-08-31 2023-12-05 甘肃省科学院生物研究所 一种带有自动加菌功能的双轨道自走式物料腐熟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331Y1 (ko) * 1997-12-30 1999-11-01 김종규 비료살포기의 비료배출 제어장치
KR20210074617A (ko) * 2019-12-12 2021-06-22 전라남도 관주 장치 및 관주 방법, 파종기
KR102288027B1 (ko) 2021-04-14 2021-08-11 강원도 횡성군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KR102304935B1 (ko) 2021-02-09 2021-09-27 강원도 횡성군 가축의 상주 가능한 축사용 분뇨의 부숙을 위한 교반장치
KR102324389B1 (ko) 2021-07-16 2021-11-11 강원도 횡성군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
KR102386144B1 (ko) 2021-09-28 2022-04-14 강원도 횡성군 부숙장치용 스크레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331Y1 (ko) * 1997-12-30 1999-11-01 김종규 비료살포기의 비료배출 제어장치
KR20210074617A (ko) * 2019-12-12 2021-06-22 전라남도 관주 장치 및 관주 방법, 파종기
KR102304935B1 (ko) 2021-02-09 2021-09-27 강원도 횡성군 가축의 상주 가능한 축사용 분뇨의 부숙을 위한 교반장치
KR102288027B1 (ko) 2021-04-14 2021-08-11 강원도 횡성군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KR102324389B1 (ko) 2021-07-16 2021-11-11 강원도 횡성군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
KR102386144B1 (ko) 2021-09-28 2022-04-14 강원도 횡성군 부숙장치용 스크레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64402A (zh) * 2023-08-31 2023-12-05 甘肃省科学院生物研究所 一种带有自动加菌功能的双轨道自走式物料腐熟装置
CN117164402B (zh) * 2023-08-31 2024-02-27 甘肃省科学院生物研究所 一种带有自动加菌功能的双轨道自走式物料腐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027B1 (ko)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KR102304935B1 (ko) 가축의 상주 가능한 축사용 분뇨의 부숙을 위한 교반장치
KR102554804B1 (ko)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KR100717718B1 (ko) 유기질비료 제조용 발효물질 교반 이송장치
KR102324389B1 (ko)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
KR102386144B1 (ko) 부숙장치용 스크레퍼
CN107593008A (zh) 一种农业种植用小型松土施肥装置
CN208549427U (zh) 一种农业大棚用具有搅拌功能的施肥装置
CN212086923U (zh) 一种深度可调型农业机械用施肥装置
CN206013952U (zh) 一种育苗用托盘的基质装载机的供料装置
KR102647994B1 (ko)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 부숙제 살포장치
CN203827726U (zh) 一种用于发酵有机肥的施肥装置
CN208317316U (zh) 一种多功能农业播种机械
CN208691706U (zh) 一种农业施肥装置
CN110583119A (zh) 一种农家肥深松施加机具
CN103959969B (zh) 一种用于发酵有机肥的施肥装置
CN216163209U (zh) 一种养殖专业合作社用土地施肥用翻土装置
CN207430888U (zh) 一种园林土壤修复用土壤混合整理装置
KR102323517B1 (ko) 가축의 상주 가능한 축사용 분뇨의 교반을 통한 부숙장치
CN213348456U (zh) 一种畜禽养殖粪尿垫料生产有机肥装置
JP3437175B2 (ja) 堆肥攪拌装置
CN209994859U (zh) 一种易安装固定的有机肥施肥桶
KR101303788B1 (ko) 배지교반장치
CN107310596A (zh) 一种农业机械用多功能施肥小推车
CN208583289U (zh) 一种混合均匀的肥料混合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