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617A - 관주 장치 및 관주 방법, 파종기 - Google Patents

관주 장치 및 관주 방법,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617A
KR20210074617A KR1020190165470A KR20190165470A KR20210074617A KR 20210074617 A KR20210074617 A KR 20210074617A KR 1020190165470 A KR1020190165470 A KR 1020190165470A KR 20190165470 A KR20190165470 A KR 20190165470A KR 20210074617 A KR20210074617 A KR 20210074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rigation
pipe
fluid
unit
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0847B1 (ko
Inventor
김성안
최진경
안호섭
김영범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190165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8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9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movable installations on wheels or the like
    • A01G25/097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movable installations on wheels or the like guided or propelled along a water supply line with supply line traver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01B49/065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the soil-working tools being active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4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drawn by animal or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주 장치 및 관주 방법,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관주 장치; 로타베이터부; 상기 로타베이터부와 연결된 프레임; 상기 로타베이터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로타베이터부에 의해 정리된 지면에 두둑을 형성하는 두둑성형부; 상기 두둑성형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두둑을 덮는 비닐 드럼이 장착되는 드럼 결합부; 및 상기 드럼 결합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두둑에 씨앗을 뿌리는 파종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주 장치는 상기 드럼 결합부와 상기 두둑성형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두둑에 유체를 공급한다.

Description

관주 장치 및 관주 방법, 파종기{Liquid injection apparatus and liquid injection method, sowing machine}
본 발명은 관주 장치 및 관주 방법,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식물은 수분 및 산소가 잘 통하며 양분이 있는 토양으로 이루어지는 논, 밭 등의 노지에서 씨앗을 파종하거나 모종을 심어서 재배한다. 씨앗을 파종하거나 모종을 심을 때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수분과 온도 등을 유지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씨앗을 파종한 후 물을 뿌리거나, 모종을 심을 경우 종자나 모종이 위치한 곳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물 공급은 씨앗의 파종 또는 모종 이식 전후 인력을 투입하여 수행하게 되었다. 인력을 이용하게 되면서 작업이 번거롭고 인력난을 가중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1850호 (2017.12.1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39895호 (2014.09.03.)
본 발명은 씨앗을 파종할 때 인력을 이용하지 않고 씨앗이 파종되는 지면에 씨앗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유체를 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주 장치는, 로타베이터와 연결된 프레임에 설치된 설치용 부재; 그리고 상기 설치용 부재에 배치되어 있고 씨앗이 파종될 지면에 유체를 공급하는 관주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주부는,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관주수조; 상기 관주수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체를 압송할 수 있는 관주펌프; 분사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치용 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관주배관; 및 상기 관주배관과 상기 관주펌프를 연결하는 관주유동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주부는, 상기 설치용 부재와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관주배관이 힌지 연결되어 있는 이동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주부는, 상기 관주배관과 상기 설치용 부재를 연결하는 텐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주부는, 상기 관주수조와 상기 관주유동관을 연결하는 관주우회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주 장치는, 상기 분사홀이 형성된 상기 관주배관의 하부측과 유체를 공급할 지면의 간격을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주배관은 상기 설치용 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프레임과 힌지 연결된 제1 로드; 그리고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관주배관을 연결하는 제2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는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프레임과 힌지 연결된 너트; 상기 너트와 체결되어 일측이 상기 관주배관과 연결된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타측과 연결된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주 장치는, 상기 관주부에 설치되어 있고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분사제어밸브; 파종기의 파종속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 파종기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에서 감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전송부에서 받아들인 상기 파종속도 및 상기 이동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주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는, 상기와 같이 기재된 관주 장치; 로타베이터부; 상기 로타베이터부와 연결된 프레임; 상기 로타베이터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로타베이터부에 의해 정리된 지면에 두둑을 형성하는 두둑성형부; 상기 두둑성형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두둑을 덮는 비닐 드럼이 장착되는 드럼 결합부; 및 상기 드럼 결합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두둑에 씨앗을 뿌리는 파종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주 장치는 상기 드럼 결합부와 상기 두둑성형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두둑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주 방법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정의된 관주 장치를 이용하여 씨앗을 파종할 지면에 유체를 공급하는 것으로, 분사홀이 형성된 관주배관의 하부측과 상기 유체를 공급할 지면의 간격을 설정하고, 관주수조에 담긴 유체를 상기 관주배관으로 이송하여 상기 지면에 상기 유체를 공급한다.
상기 관주수조에 담긴 유체는 관주펌프의 작동 또는 상기 관주펌프를 우회하는 우회배관을 통해 상기 관주배관과 연결된 관주유동관으로 이송되며, 이송된 상기 유체는 상기 관주배관의 분사홀을 통해 상기 지면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관주수조에 담긴 유체는 관주펌프의 작동 또는 상기 관주펌프를 우회하는 관주우회배관을 통해 상기 관주배관과 연결된 관주유동관으로 유동하며, 상기 관주유동관을 유동하는 유체는 파종기의 파종속도와 이동속도에 따라 프로세스부에 의해 관주위치가 결정된 지점에 관주가 될 수 있도록 상기 관주부에 설치된 분사제어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관주배관의 분사홀을 통해 공급할 수 잇다.
상기 관주수조에 담긴 유체는 관주펌프의 작동 또는 상기 관주펌프를 우회하는 관주우회배관을 통해 상기 관주배관과 연결된 관주유동관으로 유동하며, 상기 관주유동관을 유동하는 유체는 파종기의 파종속도와 이동속도에 따라 프로세스부에 의해 관주위치가 결정된 지점이 아닌 곳에 관주가 되지 않도록 관주부에 설치된 분사제어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관주배관의 분사홀을 통해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관주부의 분사제어밸브를 부분 개방하여 상기 관주배관의 분사홀을 통해 상기 지면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동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종기가 이동하면서 두둑에 씨앗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액체 또는 유체를 공급하고 씨앗을 뿌리므로 씨앗 파종 또는 모종의 이식 작업을 수행하며 관주를 하므로 추가적인 작업 시간 소모 및 그에 따른 노동력 투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인건비, 노동력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관주 장치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도 3의 관주 장치 확대도.
도 5는 도 4의 관주배관이 설치용 부재에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관주배관의 조절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7은 도 4의 위치 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4의 위치 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관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주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주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파종기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관주 장치가 적용된 파종기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는, 관주 장치를 이용한 토양 관수 작업 등의 수행으로 노동력 절감을 도모한다.
두둑 등과 같은 토양에 종자를 파종하거나 이삭 등을 정식(또는 이식)하는 경우에 있어 파종이나 이식(또는 정식)과 더불어 물 등을 급수하거나 살균제, 제초제 및 그 밖의 농약 등을 살포할 수 있도록 한다.
종자 파종 또는 작물의 이식 작업을 수행하며 관주를 하므로 추가적인 작업 시간 소모 및 그에 따른 노동력 투입 등을 할 필요가 없다. 관주를 위한 시설 설치 또는 장치 등의 구입 불필요하므로 농가는 비용 절감에 효과가 있다. 관주를 위해 투입되는 노동력 절감하므로 인건비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관주 장치를 통해 급수뿐만 아니라 살균제, 제초제, 농약 살포 등의 작업도 동시에 시행할 수 있다.
관주 장치는, 물과 같은 액체(액상 비료, 영양성분, 농약 등 포함), 젤과 같은 상태로 존재하는 물질 및 고체 등을 토양에 공급할 수 있다.
관주 장치는, 두둑 성형기 본체에 부착하거나 두둑 성형기와 함께 트랙터 등에 연결할 수 있다.
관주 장치의 이동 동력은 두둑 성형기 자체에 동력을 마련하여 이동하거나, 트랙터 등과 같은 농기계 동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관주 장치의 관주는 트랙터 등과 같은 농기계에 물통과 함께 펌프를 부착하여 펌프의 동력을 이용하여 유체를 이송하고 토양에 관주한다. 트랙터 등과 같은 농기계에 관주수조를 관주배관보다 높은 곳에 위치시켜 중력에 의해 이송하고 유체를 토양에 관주한다.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 외부에 별도의 관주수조와 동력원을 두고 이와 관주부와 연결하여 관주펌프 등을 이용하여 유체를 이송하고 두둑에 관주한다. 트랙터 등과 같은 농기계 외부에 관주배관을 관주배관보다 높은 곳에 위치시켜 중력에 의해 이송하고 유체를 두둑에 관주한다.
길이 조절부에 의한 관주배관의 직선운동 → 상하 운동할 수 있다. 관주배관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용 부재와 연결되어 관주배관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분사홀이 형성된 관주배관의 하부측과 두둑의 간격을 조절한다.
관주배관의 진행방향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하고 이동 장치를 부착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관주배관의 일부분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핀과 부재 등으로 회전축을 마련해주고 회전 장치를 부착하여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관주배관의 진행방향과 회전축은 ⅰ) 수직을 이루거나 또는 ⅱ) 수직을 이루지 않으며 위치하고, 이렇게 위치한 회전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관주노즐이 회전을 하며 진행방향의 좌우측에 물과 같은 유체의 분사 가능하다.
한편, 관주배관에 굴착장치를 연결하고 관주배관의 길이를 늘려 지중에도 관주를 할 수 있다.
관주배관에 분사제어밸브를 설치하고 분사제어밸브를 조절하여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트랙터 등의 농기계의 이동 속도/속력에 따른 펌프 회전수 연동을 통한 유량 조절한다.
바이패스(By-Pass)관로(관주우회배관)를 형성하여 관주수조에서 관주펌프로 유입되는 유로에 분기점, 관주펌프에서 토출되는 유로에 분기점을 두고 이 두 분기점을 관주우회배관으로 연결하여 관주수조의 유체가 관주펌프를 경유하지 않도록 하며 관주펌프를 보호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관주 장치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관주 장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4의 관주배관이 설치용 부재에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관주배관의 조절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며, 도 7은 도 4의 위치 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4의 위치 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1)는 로타베이터부(10), 프레임(20), 두둑성형부(30), 관주 장치(40), 드럼 결합부(50) 및 파종부(60)를 포함하며 씨앗을 파종할 때 인력을 이용하지 않고 두둑에 씨앗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유체를 공급한다. 유체는 액상 비료, 영양성분, 농약, 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로타베이터부(10)는 토양을 정리하는 것으로 트랙터 등과 연결될 수 있는 견인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로타베이터부(10)는 자체 동력으로 구동하거나 농기계의 동력으로 구동할 수 있다.
프레임(20)은 로타베이터부(10)의 양측에 배치되어 파종기(1)의 이동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프레임(20)은 내부가 빈 사각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두둑성형부(30), 관주 장치(40), 드럼 결합부(50) 및 파종부(60)는 프레임(20)에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두둑성형부(30)는 로타베이터부(10)에 의해 정리된 토양에 두둑(R)을 형성하고 관주 장치(40)는 두둑에 유체를 공급한다. 드럼 결합부(50)는 두둑(R)을 덮는 비닐 따위가 롤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비닐롤은 파종기(1)가 이동할 때 풀리면서 두둑에 깔린다. 파종부(60)는 비닐이 깔린 두둑에 씨앗을 파종한다. 한편, 파종부(60)는 씨앗을 두둑에 파종하지 않고 모종을 두둑(R)에 심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파종기(1)의 로타베이터부(10), 두둑성형부(30), 드럼 결합부(50) 및 파종부(60)의 세부 구조는 널리 공지된 파종기의 로타베이터부, 두둑성형부, 드럼 결합부 및 파종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8을 더 참고하여 관주 장치(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주 장치(40)는 설치용 부재(41), 그리고 관주부(42)를 포함하며, 씨앗을 파종할 두둑에 유체를 공급한다. 관주 장치(40)는 위치 조절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치용 부재(4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파종기(1)의 진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프레임(20)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설치용 부재(41)가 프레임(20)에 베어링 하우징(411)으로 연결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설치용 부재(41)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용 부재(41)는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할 수도 있다.
관주부(42)는, 관주수조(421), 관주펌프(422), 관주유동관(423) 및 관주배관(424)을 포함하며 두둑(R)에 유체를 공급한다.
관주수조(421)는 내부에 유체가 채워질 수 있다. 관주수조(421)는 로타베이터부(10) 또는 파종기(1)를 견인하는 트랙터에 배치될 수 있다. 관주수조(421)는 별도의 이동수단(도시하지 않음)에 놓여 파종기(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관주수조(421)는 두둑이 형성되는 지면에 놓일 수도 있다. 관주수조(421)에 담긴 유체를 확인하기 위해 관주수조(421)에는 수위 표시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관주수조(421)는 지면을 기준으로 관주배관(424)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
관주펌프(422)는 관주수조(421)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관주펌프(422)는 로타베이터부(10), 이동수단 또는 지면에 배치될 수 있다. 관주펌프(422)는 입구와 출구를 가지며 입구는 관주수조(421)와 연결되어 있다. 관주펌프(422)의 작동으로 관주수조(421)에 수용된 유체는 두둑으로 공급될 수 있다.
관주배관(424)은 설치용 부재(41)에 상부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측은 지면을 향하고 있다. 관주배관(424)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하부에는 분사홀(424a)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관주배관(424)은 주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주배관(424)은 주름부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다.
한편, 관주배관(424)은 도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몸체(425)와 힌지 연결되고, 이동몸체(425)는 설치용 부재(41)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이동몸체(425)와 설치용 부재(41)는 스플라인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설치용 부재(41)는 스플라인축을 포함하고, 이동몸체(425)는 스플라인 보스를 포함한다.
관주유동관(423)은 관주펌프(422)의 출구와 관주배관(424)을 연결하고 있다. 관주유동관(423)는 구부러질 수 있는 플랙시블관을 포함한다. 관주유동관(423)을 플랙시블관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관주펌프(422)의 구동은 관주수조(421)의 유체는 관주유동관(423)을 유동하여 관주배관(424)으로 유동하며, 관주배관(424)의 유체는 분사홀(424a)을 통해 지면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관주배관(424) 또는 관주유동관(423)에는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분사제어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분사제어밸브를 통해 유체의 분사 여부, 분사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관주부(42)는 분사되는 유체는 견인장치인 트랙터의 이동 속도/속력에 따른 관주펌프(422)의 회전 수 연동을 통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유량 조절은 견인장치의 이동 속도, 공급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주부(42)는 관주우회배관(4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주우회배관(426)의 일측은 관주수조(421)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관주유동관(423)과 연결되어 있다. 관주우회배관(426)에는 우회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관주펌프(422)가 구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관주우회배관(426)의 우회밸브가 개방되면 관주수조(421)의 유체는 관주우회배관(426)을 통해 관주유동관(423)으로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다. 지면을 기준으로 관주수조(421)가 관주배관(424)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므로 우회밸브가 개방되면 관주수조(421)의 유체는 자연스럽게 관주배관(424)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유체의 유동량은 우회밸브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체는 분사제어밸브로 유동량이 조절될 수 있다.
위치 조절부(43)는 프레임(20)에 배치되어 설치용 부재(41)와 연결되어 있으며 설치용 부재(41)를 회전시켜 관주배관(424)의 하부측 위치를 설정한다. 위치 조절부(43)의 구동으로 관주배관(424)의 분사홀(424a)과 두둑(R)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더 참고하면, 위치 조절부(43)는 제1 로드(431a)와 제2 로드(431b))로 이루어진 로드부 및 고정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로드부의 제1 로드(431a)와 제2 로드(431b))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제1 로드(431a)의 내부는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1 로드(431a)의 상부는 프레임(20)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제1 로드(431a)는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로드(431a)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홀(도시하지 않음)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제2 로드(431b))는 제1 로드(431a)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로드(431a)의 하부를 통해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제2 로드(431b))의 내부로 제1 로드(431a)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제2 로드(431b))의 상부는 제1 로드(431a)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하부는 설치용 부재(41)와 결합된 브래킷(434)과 힌지 연결되어 있다.
고정부재는 제2 로드(431b))에 결합되어 있으며 걸림돌기와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탄성부재는 제2 로드(431b))의 내부에 걸림돌기가 제2 로드(431b))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걸림돌기가 복수의 고정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일치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선택된 고정홀에 삽입된다. 걸림돌기가 고정홀에 삽입되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 로드(431b))는 제1 로드(431a)에 고정된다.
제2 로드(431b))가 제1 로드(431a)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로드부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브래킷(434)을 밀게 되며 설치용 부재(41)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관주배관(424)의 하부측은 두둑(R)과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두둑(R)에 유체를 공급하게 된다(도면 도 6의 (a) 참조).
이와 반대로, 제2 로드(431b))가 제1 로드(431a)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로드부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브래킷(434)을 당기게 되면서 설치용 부재(611)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관주배관(424)의 하부측은 두둑(R)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분사홀(424a)에서 분사되는 유체는 두둑(R)에 넓게 분사될 수 있다(도면 도 6의 (b) 참조).
다음으로 도 7을 더 참고하여, 위치 조절부(43a)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부(43a)는 너트(432a), 스크류(432b) 및 레버(432f)를 포함한다.
너트(432a)는 설치용 부재(41)와 떨어져 프레임(20)에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스크류(432b)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외부 둘레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는 너트(432a)와 체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스크류(432b)의 일측은 프레임(20)의 위에 위치한다. 스크류(432b)는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크류(432b)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스크류(432b)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432f)가 결합되어 있다.
스크류(432b)의 타측에는 볼(432c)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432c)에는 볼(432c)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볼홈(432e)이 형성된 캡(432d)이 결합되어 있다. 캡(432d)은 볼(432c)의 2/3이상 감싸고 있다. 캡(432d)은 설치용 부재(41)와 연결된 브래킷(434)과 결합되어 있다. 스크류(432b)는 볼(432c)과 캡(432d)에 의해 회전 시 설치용 부재(41)와 간섭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회전하는 스크류(432b)는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브래킷(434)을 밀거나 당긴다. 밀어지는 브래킷(434)에 의해 설치용 부재(41)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당겨지는 브래킷(434)에 의해 설치용 부재(41)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스크류(432b)의 이동으로 관주배관(424)과 두둑(R)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위치 조절부(43, 43a)는 제1 로드(431a)와 제2 로드(431b)), 스크류(432b)를 생략하고, 작동유체 또는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더 참고하여, 위치 조절부(43b)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위 설명에서 위치 조절부가 프레임(20)에 배치되어 설치용 부재(41)와 연결된 것으로 하였으나, 프레임(20)에 설치용 부재(41)와 평행하게 고정바(44)가 설치되고, 고정바(4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부(43b)가 배열될 수 있다. 배열된 위치 조절부(43)의 개수는 관주배관(424)의 개수와 같다. 이에, 위치 조절부(43b)의 일측은 고정바(44)와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관주배관(424)과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관주배관(424)의 상부측은 이동몸체(425a)로 설치용 부재(41)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관주배관(424)들에 위치 조절부(43b)가 각각 연결되면서 관주배관(424)들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두둑(R)과 관주배관(424)들의 간격을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관주배관(424)의 하부측과 두둑(R)의 간격이 조절된 상태에서 관주펌프(422)의 작동으로 관주수조(421)에 채워진 유체는 로타베이터부(10)와 드럼 결합부(50)의 사이에 위치한 관주배관(424)으로 유동할 수 있다. 유체는 관주배관(424)의 분사홀(424a)을 통해 두둑으로 배출된다. 이때 두둑과 관주배관(424)의 하부측 간격에 따라 분사홀(424a)에서 배출되는 유체는 두둑에 전체적으로 뿌려져 공급되거나 씨앗이 파종되는 부분만 집중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두둑에 씨앗의 생장에 도움이 되는 유체가 공급되어 씨앗의 생장 효율이 높아진다.
한편, 관주배관(424)에 굴착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하고 굴착장치를 이용하여 두둑을 파내어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관주배관(424)의 길이를 조절하여 관주배관(424)의 분사홀(424a)이 형성된 하부측이 두둑의 홈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에 지중에 관주를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관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2)는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2)의 관주부(42)는 텐션부재(4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위치 조절부는 생략될 수 있다. 관주부(42)의 관주배관(424)은 설치용 부재(41)의 회전으로 회전하거나, 관주배관(424)이 이동몸체로 설치용 부재(41)에 회전할 수 있게 힌지 연결되어 있다.
텐션부재(45)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텐션부재(45)의 일측은 프레임(20)에 배치된 텐션 브래킷(451)과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관주배관(424)과 결합되어 있다.
텐션부재(45)는 관주배관(424)의 하단부가 두둑을 향하도록 관주배관(424)에 탄성력을 가한다. 텐션부재(45)의 탄성력에 의해 관주배관(424)은 관주 중 그 하단이 들리더라도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아울러, 텐션부재(45)의 탄성력에 의해 관주 중인 관주배관(424)의 하단과 지면은 항상 같은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제1 센서부(46a), 제2 센서부(46b), 전송부(47) 및 프로세스부(48)를 더 포함한다.
도면 도 12를 더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제1 센서부(46a)는 파종부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파종부의 파종속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2 센서부(46b)는 로타베이터부 또는 프레임에 배치되어 파종기의 이동속도를 감지한다. 제2 센서부(46b)는 파종기(1, 2)를 견인하는 트랙터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센서부(46a)와 제2 센서부(46b)는 공지의 속도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전송부(47)는 제1 센서부(46a) 및 제2 센서부(46b)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전송부(47)는 제1 센서부(46a) 및 제2 센서부(46b)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1 센서부(46a)의 감지 데이터, 제2 센서부(46b)의 감지 데이터는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스부(48)는 전송부(47)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파종부의 파종속도, 파종기의 이동속도 테이터를 처리하며 관주 위치를 결정한다. 프로세스부(48)는 관주부(42)와 연결되어 있다. 관주부(42)는 프로세스부(48)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지면에 유체를 공급한다.
따라서, 관주수조(421)에 담긴 유체는 관주펌프(422)의 작동 또는 관주우회배관(426)을 통해 관주배관(424)과 연결된 관주유동관(423)으로 유동한다. 프로세스부(48)는 파종속도, 이동속도에 따라 관주위치가 결정된 지점에 관주가 될 수 있도록 분사제어밸브를 개방하여 관주배관(424)의 분사홀(424a)을 통해 유체를 분사하여 지면에 공급한다.
이와 반대로, 프로세스부(48)는 파종속도와 이동속도에 따라 관주위치가 결정된 지점이 아닌 곳에 관주가 되지 않도록 분사제어밸브를 폐쇄하여 관주배관(424)의 분사홀(424a)을 통해 유체가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부(48)는 관주위치와 구속되지 않고 분사제어밸브를 부분 개방하여 유동량을 제어한다. 이때 관주배관(424)의 분사홀(424a)을 통해 유체는 지면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위 설명과 도면에서는 관주부가 씨앗을 뿌리는 두둑에 유체를 공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관주 장치는 씨앗을 파종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모종을 심는 농기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주 장치의 권리범위는 씨앗을 뿌리는 파종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씨앗을 뿌리고 모종 등을 심은 농기계에 적용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파종기 10: 로타베이터부
20: 프레임 30: 두둑성형부
40: 관주 장치 41: 설치용 부재
411: 베어링 하우징 42: 관주부
421: 관주수조 422: 관주펌프
423: 관주유동관 424: 관주배관
424a: 분사홀 425, 425a: 이동몸체
426: 관주우회배관 43, 43a, 43b: 위치 조절부
431a: 제1 로드 431b: 제2 로드
432a: 너트 432b: 스크류
432c: 볼 432d: 캡
432e: 볼홈 432f: 레버
434: 브래킷 44: 고정바
45: 텐션부재 451: 텐션 브래킷
46a: 제1 센서부 46b: 제2 센서부
47: 전송부 48: 프로세스부
50: 드럼 결합부 60: 파종부

Claims (15)

  1. 로타베이터와 연결된 프레임에 설치된 설치용 부재; 그리고
    상기 설치용 부재에 배치되어 있고 씨앗이 파종될 지면에 유체를 공급하는 관주부;
    를 포함하는 관주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관주부는,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관주수조;
    상기 관주수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체를 압송할 수 있는 관주펌프;
    분사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치용 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관주배관; 및
    상기 관주배관과 상기 관주펌프를 연결하는 관주유동관;
    을 포함하는
    관주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관주부는,
    상기 설치용 부재와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관주배관이 힌지 연결되어 있는 이동몸체;를 더 포함하는 관주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관주부는,
    상기 관주배관과 상기 설치용 부재를 연결하는 텐션부재를 더 포함하는 관주 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관주부는,
    상기 관주수조와 상기 관주유동관을 연결하는 관주우회배관을 더 포함하는 관주 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분사홀이 형성된 상기 관주배관의 하부측과 유체를 공급할 지면의 간격을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관주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관주배관은 상기 설치용 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프레임과 힌지 연결된 제1 로드; 그리고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관주배관을 연결하는 제2 로드;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는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관주 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관주배관은 상기 설치용 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프레임과 힌지 연결된 너트;
    상기 너트와 체결되어 일측이 상기 관주배관과 연결된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타측과 연결된 레버;
    를 포함하는
    관주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관주부에 설치되어 있고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분사제어밸브;
    파종기의 파종속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
    파종기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에서 감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전송부에서 받아들인 상기 파종속도 및 상기 이동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주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부;
    를 더 포함하는 관주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관주 장치;
    로타베이터부;
    상기 로타베이터부와 연결된 프레임;
    상기 로타베이터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로타베이터부에 의해 정리된 지면에 두둑을 형성하는 두둑성형부;
    상기 두둑성형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두둑을 덮는 비닐 드럼이 장착되는 드럼 결합부; 및
    상기 드럼 결합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두둑에 씨앗을 뿌리는 파종부;
    를 포함하며,
    상기 관주 장치는 상기 드럼 결합부와 상기 두둑성형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두둑에 유체를 공급하는
    파종기.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정의된 관주 장치를 이용하여 씨앗을 파종할 지면에 유체를 공급하는 것으로,
    분사홀이 형성된 관주배관의 하부측과 상기 유체를 공급할 지면의 간격을 설정하고, 관주수조에 담긴 유체를 상기 관주배관으로 이송하여 상기 지면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관주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관주수조에 담긴 유체는 관주펌프의 작동 또는 상기 관주펌프를 우회하는 우회배관을 통해 상기 관주배관과 연결된 관주유동관으로 이송되며, 이송된 상기 유체는 상기 관주배관의 분사홀을 통해 상기 지면으로 공급되는 관주 방법.
  13. 제11항에서,
    상기 관주수조에 담긴 유체는 관주펌프의 작동 또는 상기 관주펌프를 우회하는 관주우회배관을 통해 상기 관주배관과 연결된 관주유동관으로 유동하며, 상기 관주유동관을 유동하는 유체는 파종기의 파종속도와 이동속도에 따라 프로세스부에 의해 관주위치가 결정된 지점에 관주가 될 수 있도록 상기 관주부에 설치된 분사제어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관주배관의 분사홀을 통해 공급하는 관주 방법.
  14. 제11항에서,
    상기 관주수조에 담긴 유체는 관주펌프의 작동 또는 상기 관주펌프를 우회하는 관주우회배관을 통해 상기 관주배관과 연결된 관주유동관으로 유동하며, 상기 관주유동관을 유동하는 유체는 파종기의 파종속도와 이동속도에 따라 프로세스부에 의해 관주위치가 결정된 지점이 아닌 곳에 관주가 되지 않도록 관주부에 설치된 분사제어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관주배관의 분사홀을 통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관주 방법.
  15. 제11항에서,
    상기 관주부의 분사제어밸브를 부분 개방하여 상기 관주배관의 분사홀을 통해 상기 지면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관주 방법.
KR1020190165470A 2019-12-12 2019-12-12 관주 장치 및 관주 방법, 파종기 KR102400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470A KR102400847B1 (ko) 2019-12-12 2019-12-12 관주 장치 및 관주 방법,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470A KR102400847B1 (ko) 2019-12-12 2019-12-12 관주 장치 및 관주 방법,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17A true KR20210074617A (ko) 2021-06-22
KR102400847B1 KR102400847B1 (ko) 2022-05-24

Family

ID=7660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470A KR102400847B1 (ko) 2019-12-12 2019-12-12 관주 장치 및 관주 방법,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8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3493A (zh) * 2021-12-20 2022-04-12 沈春利 一种农田灌排用推土设备
KR102554804B1 (ko) * 2022-10-27 2023-07-14 김영석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1021A (ja) * 1990-09-19 1992-05-01 Kobashi Kogyo Co Ltd トンネルマルチ作業機
KR100271372B1 (ko) * 1998-10-26 2000-12-01 염호 액비 뿌림과 주입장치
KR20000073331A (ko) * 1999-05-10 2000-12-05 이영범 곡물종자 종자끈의 파종장치
KR200283821Y1 (ko) * 2002-04-22 2002-07-27 헌 호 임 트랙터용 쟁기의 폭 및 위치조절장치
JP2013078269A (ja) * 2011-10-03 2013-05-02 Minoru Industrial Co Ltd 薬剤散布装置
KR101439895B1 (ko) 2012-10-04 2014-09-12 주식회사 장 자동화 농작물 경작용 일관작업기
KR101811850B1 (ko) 2015-12-09 2017-12-22 주식회사 장 자동화 경운 및 두둑 성형, 파종, 비닐 타공, 피복 및 복토, 진압을 순차적으로 한 번에 수행하는 농업기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1021A (ja) * 1990-09-19 1992-05-01 Kobashi Kogyo Co Ltd トンネルマルチ作業機
KR100271372B1 (ko) * 1998-10-26 2000-12-01 염호 액비 뿌림과 주입장치
KR20000073331A (ko) * 1999-05-10 2000-12-05 이영범 곡물종자 종자끈의 파종장치
KR200283821Y1 (ko) * 2002-04-22 2002-07-27 헌 호 임 트랙터용 쟁기의 폭 및 위치조절장치
JP2013078269A (ja) * 2011-10-03 2013-05-02 Minoru Industrial Co Ltd 薬剤散布装置
KR101439895B1 (ko) 2012-10-04 2014-09-12 주식회사 장 자동화 농작물 경작용 일관작업기
KR101811850B1 (ko) 2015-12-09 2017-12-22 주식회사 장 자동화 경운 및 두둑 성형, 파종, 비닐 타공, 피복 및 복토, 진압을 순차적으로 한 번에 수행하는 농업기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3493A (zh) * 2021-12-20 2022-04-12 沈春利 一种农田灌排用推土设备
CN114303493B (zh) * 2021-12-20 2023-09-01 衡东楚鑫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农田灌排用推土设备
KR102554804B1 (ko) * 2022-10-27 2023-07-14 김영석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847B1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68568B (zh) 用于相对于农田的农业植株进行定点施用的机具和施用单元
US11589502B2 (en) Implements and application units for placement of applications with respect to agricultural plants of agricultural fields
US20210321602A1 (en) Implements and application units having sensors for sensing agricultural plants of agricultural fields
RU2495556C2 (ru) Секционный отсекатель дозатора 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й агрегат, содержащий его
RU2511768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сеялка с управлением включения/выключения отдельных рядных секций на основе данных глобальной системы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gps)
US7395769B2 (en) Individual row rate control of farm implements to adjust the volume of crop inputs across wide implements in irregularly shaped or contour areas of chemical application, planting or seeding
US20100101466A1 (en) Modular liquid metering system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KR102400847B1 (ko) 관주 장치 및 관주 방법, 파종기
KR101240337B1 (ko) 다기능 복합 파종기
KR101478036B1 (ko) 다목적 농기계
US20140020609A1 (en) Remote supply device for a single seeder and single seeder using such a supply device
US4729514A (en) Means for seeding through a center pivot irrigation system
CN114206101A (zh) 具备防止土堵塞功能的覆土覆盖装置
US4660775A (en) Means for seeding through a center pivot irrigation system
KR20120023938A (ko) 관주장치
KR102467255B1 (ko) 지중 관주 장치 및 지중 관주 방법, 파종기
WO2008150239A1 (en) Distributor head for an agricultural machine
KR100531242B1 (ko)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방제 시스템
JPH1189359A (ja) 追肥機
JPH1189361A (ja) 追肥機
JPH1189358A (ja) 追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