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389B1 -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 - Google Patents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389B1
KR102324389B1 KR1020210093597A KR20210093597A KR102324389B1 KR 102324389 B1 KR102324389 B1 KR 102324389B1 KR 1020210093597 A KR1020210093597 A KR 1020210093597A KR 20210093597 A KR20210093597 A KR 20210093597A KR 102324389 B1 KR102324389 B1 KR 102324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tirring
shaft
spraying
live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황원규
서성희
Original Assignee
강원도 횡성군
김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도 횡성군, 김영석 filed Critical 강원도 횡성군
Priority to KR1020210093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2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provided with auxiliary arrangements, e.g. pumps, agitators,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14Portable or transportable devices, e.g. transport containers or tru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게는 트렉터와 같은 동력 이동장치에 연결되어 부숙제의 공급량을 조절하며 분무 또는 살포하고, 축사용 분뇨를 정기적으로 교반시켜 부숙되도록 함으로써 가축분뇨의 사용기간을 늘리고 부숙된 퇴비로 만들어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교반작업으로 이동시에 교반장치를 좌측과 우측 중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동중에 장애물이 걸리지 않아 부숙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PTO 축으로 PTO 연결축에서 동력이 연결되는 기어박스와 동력전달축이 연결되어 회전하는 교반 회전축에 교반날이 연결되며, 연결대가 연결되는 연결봉을 연결축이 관통되고 상기 연결봉에 설치한 받침대에 실린더 연결대와 기어박스 및 안내축이 관통하는 안내봉이 연결된 교반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교반장치의 덮개부에 설치되고 제1 실린더축이 연결되는 제1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와 고정되고 제2 실린더축이 연결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실린더가 동시에 신축 구동되어 교반장치의 덮개부 위치를 좌측과 우측으로 이동시켜 장애물을 피해가는 양쪽 폭 조절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Bidirectional transportable disembarkation during excreta stirring and spraying of homework for livestock use.}
본 발명은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게는 트렉터와 같은 동력 이동장치에 연결되어 부숙제의 공급량을 조절하며 분무 또는 살포하고, 축사용 분뇨를 정기적으로 교반시켜 부숙되도록 함으로써 가축분뇨의 사용기간을 늘리고 부숙된 퇴비로 만들어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교반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교반장치를 좌측과 우측 중 어느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이동시켜 이동중에 장애물이 걸리지 않아 부숙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가축을 대량으로 기르는 농장 등에서는 가축 사양을 위한 축사가 축조된다. 그리고 이러한 축사의 바닥에는 가축으로부터 배설되는 분뇨가 매일 일정량씩 발생되고 적절히 제거되지 않는 경우 왕겨 또는 깔짚 등과 섞여 상당히 빠른 시간에 많은 량이 쌓이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축사에는 바닥에 쌓이는 분뇨를 제거하기 위한 특별한 시스템이 적용되지 못하고 있어서, 작업자가 개별적인 수도구를 이용하여 분뇨를 제거하거나 또는 트랙터 및 스키드로더를 이용하여 분뇨를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분뇨제거에 상당한 인력이 소모되고 있다. 또한 제거된 분뇨는 적절한 퇴비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축사 인근에 야적되거나 토양에 살포돼 축사 인근 악취 및 농경지 토양오염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축산농가의 전업화 현상으로 대규모 사육 농가가 증가함에 따라 특정지역에서 다량 발생되는 가축분뇨를 신속하게 제거 및 처리하지 않을 경우 축사 내에 축적된 가축분뇨는 가축질병을 야기하거나 악취 등을 발생시키는 주원인으로 작용해 축산농가에게 경제적인 손실을 끼칠 분만 아니라 축사를 농촌 거주환경 저해요인으로 인식되도록해 빈번한 민원을 초래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축사로부터 분뇨를 너무 자주 제거하면 인력 과다 투입으로 인해 생산비가 상승될 우려가 있으며 가축분뇨 제거시기가 너무 지연될 경우 다량으로 축사바닥에 쌓인 분뇨가 바닥면에 눌어붙게 돼 제거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발생한다.
더불어, 기존에 수도구 및 트랙터나 스키드로더 탈부착용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축사바닥의 분뇨를 제거할시, 갈고리 및 수거장치의 양측으로 축사분뇨가 누출되어, 확실한 축사분뇨 제거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축사바닥의 폭이 증감시에는 이러한 분뇨수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관련법규가 강화되면서 부숙되지 않은 가축분뇨를 외부로 배출할 수 없도록 하였으며, 부숙을 위해서는 다양한 미생물로 이루어진 부숙제를 액체와, 분말 또는 알갱이 중 어느 하나로 가축분뇨에 공급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교반 또는 혼합시켜야 하지만, 이러한 경우 가축이 축사에 그대로 상주하고 있는 상태에서 교반 또는 혼합시켜야 하므로 다양한 어려움과 함께 수분이 포함된 분뇨의 경우 정상적으로 혼합되지 못하여 부숙효과를 누릴 수 없어 별도로 모아서 부속화시키는 처리과정을 거쳐야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었다.
이에, 동력장치에 교반장치를 연결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축사의 내부에 다양한 장애물이 설치되어 있고, 한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반장치를 회전시켜 이동해야 하지만, 축사의 내부가 비좁은 관계로 회전이 불가능하므로 전진한 방향에서 그대로 후진하면서 가축분노를 교반시키며 이동하게 되는 과정에서 측면의 작업시 교반장치가 장애물에 걸리게 되므로 장애물 사이에서 교반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공간이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교반되지 못하는 공간에서 부숙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0976378호(2010. 08. 11.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1867335호(2018. 06. 07.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1507926호(2015. 03. 26.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1796033호(2017. 11. 03.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트랙터나 스키드로더 또는 다양한 농기계의 동력 이동장치에 연결되어 전진하면서 미생물을 포함한 액체와 분말 또는 알갱이로 이루어지는 부숙제를 공급하며 가축분뇨를 교반시키고 다시 후진하며 교반시켜 부숙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가축분뇨의 바닥을 긁으면서 이동할 수 있는 바닥 평탄화수단을 적용해 바닥을 균일한 높이에서 이동하면서 잔여물이 없이 골고루 교반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가축이 축사에 상주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축사용 부숙장치가 이동하면서 가축분뇨를 교반시키며 부숙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전진과 후진을 반복 수행하면서 가축분뇨를 교반시키는 과정에서 장애물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유압 등을 구동시켜 교반장치를 좌측과 우측 중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동시에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가축분뇨를 교반시켜 부숙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축사의 바닥 전체면을 골고루 교반시켜 부숙제를 살포함으로써 모기와 파리 등의 성충과 서식을 방지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PTO 축으로 PTO 연결축에서 동력이 연결되는 기어박스와 동력전달축이 연결되어 회전하는 교반 회전축에 교반날이 연결되며, 연결대가 연결되는 연결봉을 연결축이 관통되고 상기 연결봉에 설치한 받침대에 실린더 연결대와 기어박스 및 안내축이 관통하는 안내봉이 연결된 교반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교반장치의 덮개부에 설치되고 제1 실린더축이 연결되는 제1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와 고정되고 제2 실린더축이 연결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실린더가 동시에 신축 구동되어 교반장치의 덮개부 위치를 좌측과 우측으로 이동시켜 장애물을 피해가는 양쪽 폭 조절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교반장치는 양쪽의 패널 한쪽에 바닥 평탄화수단을 더 설치하는 것과;
상기 양쪽 폭 조절장치는 덮개부에 설치한 제1 연결부에 제1 실린더축이 연결되는 제1 실린더가 제1 고정부에 고정되어 제1, 3 연결잭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에 설치한 제2 연결부에 제2 실린더축이 연결되는 제2 실린더가 제2 고정부에 고정되어 제2, 4 연결잭이 형성되는 것과;
상기 제1, 2 실린더는 제1, 2 연결잭이 제1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제1 연결관으로 공급되는 유압을 동시에 공급해 구동되도록 설치하는 것과;
상기 제1, 2 실린더는 제3, 4 연결잭이 제2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제2 연결관으로 공급되는 유압을 동시에 공급해 구동되도록 설치하는 것과;
상기 제1, 2 실린더축이 연결되는 제1, 2 연결부는 연결핀으로 결합하고, 상측에서 고정부재의 양쪽으로 고정너트가 관통되어 고정하는 것과;
삭제
본 발명은 트랙터나 스키드로더 또는 다양한 농기계의 동력 이동장치에 연결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전진 및 후진하면서 미생물을 포함한 액체와 분말 또는 알갱이로 이루어지는 부숙제를 공급하며 가축분뇨를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뒤집는 과정을 통하여 교반시켜 부숙효과를 통해 공기의 통풍을 통한 미생물의 성장이 잘되어 오랫동안 축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부숙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퇴비 등으로 배출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사지게 설치하는 바닥 평탄화 수단을 통하여 바닥을 균일한 높이에서 이동하면서 잔여물이 없이 골고루 교반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일정한 부숙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축이 축사에 상주하고 있는 상태에서 축사용 부숙장치가 이동하면서 부숙제를 공급해 가축분뇨를 교반시키어 부숙되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공간이 필요없이 부숙을 수행항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진하면서 가축분뇨를 교반시키는 과정에서 장애물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유압 등을 구동시켜 교반장치를 좌측과 우측 중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동시에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가축분뇨를 교반시켜 부숙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후진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장애물이 걸리는 경우에도 장애물에 걸리지 않도록 구동시켜 이동중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곧바로 구동해 장애물에 절리지 않고 축사의 모든 면적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축사의 바닥 전체면을 골고루 교반시켜 부숙제를 살포하여 가축분뇨를 교반시킴으로써 모기와 파리 등의 성충과 서식을 예방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양쪽 폭 조절장치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양쪽 폭 조절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양쪽 폭 조절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양쪽 폭 조절장치에 대한 작동상태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양쪽 폭 조절장치에 대한 연결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양쪽 폭 조절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연결상태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양쪽 폭 조절장치에 대한 유압 연결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 본 발명의 양쪽 폭 조절장치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양쪽 폭 조절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양쪽 폭 조절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양쪽 폭 조절장치에 대한 작동상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양쪽 폭 조절장치에 대한 연결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양쪽 폭 조절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연결상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크게 가축이 축사에 상주하고 있는 상태에서 트렉터와 스키드로더 또는 독립되게 설치한 동력장치를 통하여 후방으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이동하며 가축분료를 교반하는 교반장치(10)와, 상기 교반장치(10)의 한쪽 하측에 설치되어 가축분뇨를 남김없이 긁어 배출되도록 하는 바닥 평탄화수단(80) 및 상기 바닥 평탄화수단(80)의 상측에서 교반장치(10)에 연결되어 미생물이 포함된 액체와 분말 또는 알갱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부숙제를 저장해 이동하면서 가축분뇨에 공급하는 부숙 배출수단(7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교반장치(10)는 트렉터 또는 다양한 농기계의 동력을 공급하는 PTO축(11)이 는 PTO 연결축(12)이 돌출되어 공급된 동력을 변환시키는 기어박스(13)로 이루어지는 교반장치(10)와;
상기 교반장치(10)를 따라 이동하며 필요한 경우 높이를 조절하고, 바닥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축사의 바닥에 있는 가숙분뇨를 긁어 교반시키는 부숙 배출수단(8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교반장치(10)는 상측의 중앙에 설치된 실린더 연결대(19)의 전방으로 견인 실린더(19b)가 연결되는 실린더 연결부(19a)가 설치되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들어 올려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교반장치(10)는 PTO축(11)이 연결되는 PTO 연결축(12)이 돌출되는 기어박스(13)는 통상적으로 동력을 공급받아 기어의 연결구조에 의해 동력전달방향을 변환시키거나 회전수를 감속 또는 가속시키는 것을 통하여 동력전달축(14)으로 전달되도록 한 후 동력기어(15)에 동력을 공급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동력기어(15)는 패널(34)의 한쪽에서 중간기어(16)에 동력이 감속되어 전달되도록 한 후 중간기어(16)와 하측의 교반 회전축(18)에 설치한 교반기어(17)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교반 회전축(18)에는 다수개의 교반날(18a)이 설치되어 고속 회전하면서 가축분뇨를 교반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교반날(18a)은 정면도를 기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가축분뇨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교반시켜 혼합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교반 회전축(18)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의 연결판이 설치된 후 원주방향을 따라 2∼4개의 교반날(18a)을 설치해 바닥의 가축분뇨를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혼합해 교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교반날(18a)은 선단부분에서 한쪽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며, 연결판에 설치되는 교반날(18a)의 선단이 휘어지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패널(34)의 폭 내에서 모든 가축분뇨를 교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교반 회전축(18)에 설치한 연결판은 다각형 형태로도 가능하며, 하나의 연결판에 1∼5개의 범위에서 서로 같은 방향과 다른방향을 선택하여 설치해 작업 폭에서 모든 폭을 교반하는 작업을 할 수 있는 폭이 가능하도록 하고, 회전방향이 축사 바닥에 있는 가축 분뇨를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혼합 및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 평탄화수단(80)은 패널(34)의 한쪽으로 설치되어 교반날(18a)의 이동을 따라 이동하면서 바닥을 긁어 평탄하게 하는 것으로,
패널(34)의 한쪽으로 돌출되게 연결한 후 교반 회전축(18)과 같은 방향으로 길고 경사지게 평탄화판이 설치되어 바닥을 편평하게 고르는 평탄화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평탄화판은 하측 부분이 바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서 바닥의 가축분뇨를 한번 더 교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바닥의 전체면을 평탄하게 긁어주는 과정을 통하여 모든 가축분뇨의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대(53)가 양쪽으로 결합하는 연결부재(52)는 봉 형태의 연결봉(50) 양쪽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봉(50)을 연결축(51)이 관통되어 양쪽 선단으로 패널(34)의 전방 부분(트렉터 방향)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봉(50)과 받침대(60) 및 기어박스(13)와 안내봉(65)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덮개부(40)의 상측에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봉(50)의 상측에는 실린더 연결대(19)가 상측으로 설치되고, 양쪽의 외측에는 받침대(60)가 길게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받침대(60)의 선단이 연결되는 안내봉(65)에는 안내축(66)이 관통되어 양쪽 선단으로 패널(34)과 연결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덮개부(40)에 설치되는 양쪽 폭 조절장치(20)는 교반장치(10)의 덮개부(40)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작업중 장애물이 발생되는 경우 전진과 후진을 수행하면서 장애물에 걸리지 않도록 피해가며 작업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양쪽 폭 조절장치(20)는 고정된 제1 연결부(27)와 제1 고정부(30)에 제1 실린더축(21a)과 제1 실린더(21)의 선단이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실린더(21)의 한쪽 방향에 일체형으로 고정되거나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제2 실린더(22)와 제2 실린더축(22a)의 선단은 제2 고정부(28)와 제2 연결부(29)에 선단이 연결되어 제1, 2 실린더(21, 22)와 동시에 구동되어 교반장치(1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실린더(21)와 제2 실린더(22)는 서로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것이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실린더축(21a)과 제2 실린더축(22a)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2 실린더(21, 22)의 양쪽에는 제1, 2, 3, 4 연결잭(23, 24, 25, 26)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연결부(23)와 제1 고정부(28) 및 제2 연결부(29)는 연결핀(27a)으로 꽂아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핀(27a)의 상측에서 고정부재(27b)의 양쪽으로 고정너트(27c)를 결합하여 쉽게 풀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다.
즉, 양쪽 폭 조절장치(20)의 제1, 2 실린더(21, 22)가 구동되어 연결봉(50)과 실린더 연결대(19), 기어박스(13) 및 안내봉(65)은 그대로 있고, 연결축(51)과 동력 전달축(14) 및 안내축(66)의 안내를 받아 교반장치(10)의 덮개부(4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택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 2 실린더(21, 22) 중 제2 실린더(22)의 선단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26)는 연결봉(50)의 한쪽에 용접되어 일체형으로 고정되며, 제1, 2 실린더(21, 22)의 선단으로 돌출되어 돌출 길이가 제어되는 제1, 2 실린더축(21a, 22a)의 제1, 2 연결부(27, 29)는 덮개부(40)에 고정되도록 하고, 제1 실린더(21)의 선단이 연결되는 제2 고정부(28)는 제2 실린더(22)에 용접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렉터 등에 연결되는 실린더 연결대(19)와 받침대(60)가 일체형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봉(50)과 기어박스(13) 및 안내봉(65)이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2 실린더(21, 22)가 연결봉(5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제공하면, 양쪽 폭 조절장치(20)의 구동으로 교반장치(10)의 패널(34)을 비롯한 덮개부(40)가 동력 전달축(14)과 연결축(51) 및 안내축(66)을 통하여 좌측과 우측으로 이동되며 장애물에 걸리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교반장치(10)에 설치되는 부숙 배출수단(70)은 저장탱크(71)의 하측으로 비산방지 커버를 설치해 비산되는 부숙제를 일정범위에서 배출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비산방지 커버의 내부에는 하측 방향에 살포모터를 설치한 후, 상기 살포모터의 상측에 회전축으로 연결된 살포 회전날을 설치해 낙하되는 분말 또는 알갱이로 이루어지는 비산제를 분산 또는 살포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살포 회전날의 상측에는 저장탱크(71)의 하측 선단에 배출량 조절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다.
저장탱크(71)의 하측으로 연결되는 구동 스프라켓(74)에는 구동체인(73)이 모터(75)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저장탱크(71)는 모터 설치대(72)와 덮개부(40) 또는 패널(34)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쪽 폭 조절장치에 대한 유압 연결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연결봉(50)의 상측에서 양쪽으로 고정된 받침대(60)에 실린더 연결대(19)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 연결대(19)의 하측에서 기어박스(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대(60)의 선단에 고정된 안내봉(65)이 함께 설치되는 것이다.
제1, 2 실린더(21, 22)의 같은 방향에 설치되는 제1, 2 연결잭(23, 24)은 제1 연결부재(31)에 연결된 후 제1 연결관(32)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유압장치에 연결되어 유압을 한번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제1, 2 실린더(21, 22)의 같은 방향에서 제1, 2 연결잭(23, 24)과 반대방향에 설치되는 제3, 4 연결잭(25, 26)은 제2 연결부재(35)에 연결된 후 제2 연결관(36)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유압장치에 연결되어 유압을 한번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제1, 2 실린더(21, 22)는 제1, 2 연결잭(23, 24) 방향 또는 제3, 4 연결잭(25, 26) 방향을 선택하여 유압을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제1, 2 실린더축(21a, 22)이 신축되며 교반장치(10)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장애물을 피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축사의 바닥에 왕겨 또는 깔짚 등을 깔고 그 상측에 가축을 기르게 되므로 가축으로부터 배설되는 분뇨가 매일 일정량씩 발생되고 함께 섞여 상당히 빠른 시간에 많은 량이 쌓이게 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가축분뇨와 왕겨 또는 깔짚을 교반시켜 미생물에 의한 공기의 원활한 공급으로 미생물이 성장되는 부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축분뇨와 왕겨 또는 깔짚 등을 교반하는 경우 교반장치(10)를 트렉터 등 각종 농기계에서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트렉터 등에 연결하는 경우, PTO 축(11)을 통하여 기어박스(13)의 PTO 연결축(12)에 연결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며, 견인실린더(19b)를 통하여 교반장치(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들어올려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 바닥으로 내려 견인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린더 연결대(19)의 한쪽에 설치한 기어박스(13)로 PTO 축(11)에서 전달되는 동력은 변환되어 동력 전달축(14)에서 동력기어(15)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이와 하측에서 연결된 중간기어(16)를 통하여 하측의 교반 회전축(18)에 연결된 교반 기어(17)를 도 1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교반 회전축(18)이 회전되면서 교반날(18a)이 회전하게 되므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일정한 간격의 교반날(18a)이 가축분뇨와 왕겨 및 깔짚을 하측에서부터 퍼올려 상측으로 뒤집어 지도록 혼합 및 교반하게 되므로 바닥부분에서 약간 높은 위치에 있는 가축분뇨와 왕겨 및 깔짚을 교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교반날(18a)의 일측에서는 부숙 배출수단(70)을 통하여 가축분뇨와 왕겨 및 깔짚에는 액체와 분말 및 알갱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부숙제가 공급되는 것이며, 부숙제와 가축분뇨, 왕겨 및 깔짚이 교반되어 지므로 교반을 통해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미생물의 성장으로 가축분뇨의 냄새를 제거하며 부숙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교반날(18a)을 통하여 가축분뇨와 왕겨 및 깔짚이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교반 및 혼합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가축분뇨가 뭉쳐지지 않고 분리되는 과정을 통해 미생물이 공기와의 접촉을 활발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미생물의 성장을 도와 부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교반날(18a)이 가축분뇨 등의 교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일측에 설치한 바닥 평탄화수단(80)에 경사지게 설치된 평탄화판은 바닥면에 하측의 경사면이 닿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서 이동하면서 바닥을 평탄하게 밀어 교반되지 않는 가축분뇨와 왕겨 및 깔짚이 모두 교반되도록 하는 것을 통하여 교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 평탄화수단(80)은 원하는 높이로 미세하게 조절해 가면서 교반작업을 통한 부숙화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숙 배출수단(70)은 구동모터(75)의 동력이 구동체인(73)을 통하여 저장탱크(71)의 하측게 설치한 구동 스프라켓(74)을 회전시서 공급된 부숙제를 교반시켜 부숙제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부숙제의 배출량을 조절해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부숙 배출수단(70)은 모터 설치대(72)를 포함하여 패널(34)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조립하여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교반장치(10)를 트렉터 등에 연결시켜 전진하면서 작업을 수행한 후에는 축사의 내부가 좁아 돌려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없으므로, 전진한 상태에서 위치를 이용해 그대로 후진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며, 전진 및 후진하면서 부숙작업을 수행할 때 교반장치(10)의 좌측 또는 우측이 축사의 내부 장애물에 걸려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워 작업범위가 좁아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교반장치(10)를 이용한 도 4와 같은 상태로 작업 중 장애물이 걸리는 위치에 이르게 되면, 도 5와 같이 제1 연결관(32)을 통해 제1 연결부재(31)에서 제1, 2 연결잭(23, 24)에 유압이 공급되어 제1, 2 실린더(21, 22)가 동시에 구동되어 연결축(51)이 관통되는 연결봉(50)과 실린더 연결대(19), 동력 전달축(14)이 관통하는 기어박스(13) 및 안내축(66)이 관통되는 안내봉(65)이 각각 관통하는 부분의 안내를 받아 이동하여 전체적으로 하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제공하므로 작업중인 교반방치(10)는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위치를 하측(또는 좌측)으로 이동시킨 후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1, 실린더(21, 22)가 구동하게 되면 제1, 2 실린더축(21a, 22a)이 노출된 부분에서 제1 연결부(27)와 제2 연결부(29)에서만 제1, 2 실린더축(21a, 22a)의 길이가 동시에 가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장애물을 통과한 후에는 제2 연결관(36)을 통해 제2 연결부재(35)에서 제3, 4 연결잭(25, 26)에 유압이 공급되어 제1, 2 실린더(21, 22)가 상기와 반대방향에서 동시에 구동되어 연결축(51)이 관통되는 연결봉(50)과 실린더 연결대(19), 동력 전달축(14)이 관통하는 기어박스(13) 및 안내축(66)이 관통되는 안내봉(65)이 각각 관통하는 부분의 안내를 받아 이동하여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제공하므로 작업중인 교반방치(10)는 원상태로 복귀되어 작업을 연속해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교반장치(10)를 후진하며 작업하는 경우에 장애물이 나타나게 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구동시켜 교반장치(10)를 더 상측(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장애물을 통과한 후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켜 작업할 수 있게 되므로, 교반작업시 전진과 후진에 관계없이 양쪽 폭 조절장치(20)를 설치하여 장애물의 발생시 원하는 좌측과 우측 또는 상측과 하측으로 이동방향에 따라 장애물이 걸리지 않도록 간편하게 구동시켜 통과하면서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빈 공간이 없이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양쪽 폭 조절장치(20)는 제1, 2 실린더(21, 22)의 양쪽으로 각각 제1, 2, 3, 4 연결잭(23, 24, 25, 26)을 설치해 제1, 2 실린더축(21a, 22a)이 동시에 구동하면서 신축방향으로 선택함으로써 교반장치(10)의 패널(34)과 덮개부(4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장애물을 피해 모든 공간을 편리하게 뒤집는 부숙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액제와 분말 및 알갱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부숙제를 가축분뇨에 골고루 공급하면서 바닥을 평탄화시키도록 긁어주어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교반날의 회전으로 부숙제가 혼합되면서 골고루 교반시켜 미생물을 통한 부숙효과를 높이고, 부숙제의 공급시 배출량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곧바로 퇴비로 활용하는 부숙효과를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교반장치 11 : PTO 축
12 : PTO 연결축 13 : 기어박스
14 : 동력 전달축 15 : 동력기어
16 : 중간기어 17 : 교반기어
18 : 교반 회전축 18a : 교반날
19 : 실린더 연결대 19a : 견인 실린더
20 : 양쪽 폭 조절장치 21 : 제1 실린더
21a : 제1 실린더축 22 : 제2 실린더
22a : 제2 실린더축 23 : 제1 연결잭
24 : 제2 연결잭 25 : 제3 연결잭
26 : 제4 연결잭 27 : 제1 연결부
2a : 연결핀 27b : 고정부재
27c : 고정너트 28 : 제2 고정부
29 : 제2 연결부 30 : 제1 고정부
31 : 제1 연결부재 32 : 제1 연결관
34 : 패널 35 : 제2 연결부재
36 : 제2 연결관 40 : 덮개부
50 : 연결봉 51 : 연결축
52 : 연결대 60 : 받침대
65 : 안내봉 66 : 안내축
70 : 부숙 배출수단 71 : 저장탱크
72 : 모터 설치대 73 : 구동체인
74 : 구동 스프라켓 80 : 바닥 평탄화수단

Claims (7)

  1. PTO 축(11)으로 PTO 연결축(12)에서 동력이 연결되는 기어박스(13)와 동력전달축(14)이 연결되어 회전하는 교반 회전축(18)에 교반날(18a)이 연결되며, 연결대(53)가 연결되는 연결봉(50)을 연결축(51)이 관통되고 상기 연결봉(50)에 설치한 받침대(60)에 실린더 연결대(19)와 기어박스(13) 및 안내축(66)이 관통하는 안내봉(65)이 연결된 교반장치(10)로 이루어지되;
    상기 교반장치(10)의 덮개부(40)에 설치되고 제1 실린더축(21a)이 연결되는 제1 실린더(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21)와 고정되고 제2 실린더축(22a)이 연결되는 제2 실린더(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실린더(21, 22)가 동시에 신축 구동되어 교반장치(10)의 덮개부(40) 위치를 좌측과 우측으로 이동시켜 장애물을 피해가는 양쪽 폭 조절장치(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장치(10)는 양쪽의 패널(34) 한쪽에 바닥 평탄화수단(80)을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폭 조절장치(20)는 덮개부(40)에 설치한 제1 연결부(27)에 제1 실린더축(21a)이 연결되는 제1 실린더(21)가 제1 고정부(30)에 고정되어 제1, 3 연결잭(23, 25)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40)에 설치한 제2 연결부(29)에 제2 실린더축(22a)이 연결되는 제2 실린더(22)가 제2 고정부(28)에 고정되어 제2, 4 연결잭(24, 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실린더(21, 22)는 제1, 2 연결잭(23, 24)이 제1 연결부재(31)에 연결되어 제1 연결관(32)으로 공급되는 유압을 동시에 공급해 구동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실린더(21, 22)는 제3, 4 연결잭(25, 26)이 제2 연결부재(35)에 연결되어 제2 연결관(36)으로 공급되는 유압을 동시에 공급해 구동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실린더축(21, 22)이 연결되는 제1, 2 연결부(27, 29)는 연결핀(27a)으로 결합하고, 상측에서 고정부재(27b)의 양쪽으로 고정너트(27c)가 관통되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
  7. 삭제
KR1020210093597A 2021-07-16 2021-07-16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 KR102324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597A KR102324389B1 (ko) 2021-07-16 2021-07-16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597A KR102324389B1 (ko) 2021-07-16 2021-07-16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389B1 true KR102324389B1 (ko) 2021-11-11

Family

ID=7851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597A KR102324389B1 (ko) 2021-07-16 2021-07-16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3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804B1 (ko) 2022-10-27 2023-07-14 김영석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KR102647994B1 (ko) 2023-03-24 2024-03-15 김영석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 부숙제 살포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974A (ja) * 1994-05-19 1995-12-05 Brown Bear Corp 有機物の堆肥化装置
KR200166152Y1 (ko) * 1999-07-30 2000-02-15 김명수 써레용 실린더의 유압 차단 장치
KR100847097B1 (ko) * 2007-02-09 2008-07-18 차석진 트랙터용 퇴비살포기
KR100976378B1 (ko) 2010-06-07 2010-08-18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하수 및 축산 찌꺼기의 부숙토 제조용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1507926B1 (ko) 2014-08-30 2015-11-20 정현덕 축사분뇨처리장치
KR101796033B1 (ko) 2016-02-12 2017-11-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상주시용 축사분뇨 수거이송장치
KR101867335B1 (ko) 2016-02-12 2018-06-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구획형성된 축사 하단부를 통과하는 처리효율이 상승된 건조재 또는 기능성 도포재 살포장치를 포함하는 가축 상주시에 적용되는 축사분뇨의 수거이송 장치
KR102095373B1 (ko) * 2019-11-15 2020-04-01 농업회사법인 합자회사 와이에치 퇴비 배합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974A (ja) * 1994-05-19 1995-12-05 Brown Bear Corp 有機物の堆肥化装置
KR200166152Y1 (ko) * 1999-07-30 2000-02-15 김명수 써레용 실린더의 유압 차단 장치
KR100847097B1 (ko) * 2007-02-09 2008-07-18 차석진 트랙터용 퇴비살포기
KR100976378B1 (ko) 2010-06-07 2010-08-18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하수 및 축산 찌꺼기의 부숙토 제조용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1507926B1 (ko) 2014-08-30 2015-11-20 정현덕 축사분뇨처리장치
KR101796033B1 (ko) 2016-02-12 2017-11-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상주시용 축사분뇨 수거이송장치
KR101867335B1 (ko) 2016-02-12 2018-06-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구획형성된 축사 하단부를 통과하는 처리효율이 상승된 건조재 또는 기능성 도포재 살포장치를 포함하는 가축 상주시에 적용되는 축사분뇨의 수거이송 장치
KR102095373B1 (ko) * 2019-11-15 2020-04-01 농업회사법인 합자회사 와이에치 퇴비 배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804B1 (ko) 2022-10-27 2023-07-14 김영석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KR102647994B1 (ko) 2023-03-24 2024-03-15 김영석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 부숙제 살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027B1 (ko)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KR102324389B1 (ko)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
KR102304935B1 (ko) 가축의 상주 가능한 축사용 분뇨의 부숙을 위한 교반장치
US5601362A (en) Vertical feed mixer with feed deflectors
KR100717718B1 (ko) 유기질비료 제조용 발효물질 교반 이송장치
US5879931A (en) Aerobic fermentation promoting device of excrements, aerobic fermentation system using it and compost therefrom
KR102386144B1 (ko) 부숙장치용 스크레퍼
Vanderholm Agricultural waste manual
CN108686565B (zh) 复合肥料的生产装置
KR102554804B1 (ko)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CN202310815U (zh) 免冲洗生态环保宠物屋
JP3866807B2 (ja) 家畜飼育設備および飼育方法
KR102323517B1 (ko) 가축의 상주 가능한 축사용 분뇨의 교반을 통한 부숙장치
CN206576026U (zh) 一种防堵塞自动投料饲料槽
CN206970436U (zh) 一种粪污发酵处理收集装置
KR102647994B1 (ko)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 부숙제 살포장치
KR102054152B1 (ko) 비료 교반 장치
CN211509766U (zh) 一种牵引式搅拌抛肥装置
CN218951276U (zh) 一种利用秸秆和粪便快速制备有机肥的装置
CN212937439U (zh) 一种蚯蚓粪收集装置
CN216853457U (zh) 一种生态水产养殖用鱼料投喂装置
CN216756226U (zh) 一种家禽养殖用饲料搅拌装置
CN215586084U (zh) 一种水剂农药混合加工用搅拌罐
CN216722759U (zh) 一种可移动式布料投食装置
CN220276792U (zh) 一种有机肥生产搅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