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144B1 - 부숙장치용 스크레퍼 - Google Patents

부숙장치용 스크레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144B1
KR102386144B1 KR1020210127966A KR20210127966A KR102386144B1 KR 102386144 B1 KR102386144 B1 KR 102386144B1 KR 1020210127966 A KR1020210127966 A KR 1020210127966A KR 20210127966 A KR20210127966 A KR 20210127966A KR 102386144 B1 KR102386144 B1 KR 102386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manure
stirring
present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황원규
서성희
진정용
홍석문
Original Assignee
강원도 횡성군
김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도 횡성군, 김영석 filed Critical 강원도 횡성군
Priority to KR1020210127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32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scrapers or the like moving to-and-fro or step-by-ste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2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provided with auxiliary arrangements, e.g. pumps, agitators,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3Distributing devices, e.g. for rotating, thr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rtilizer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숙장치용 스크레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렉터와 같은 동력 이동장치에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부숙제의 공급량을 조절하며 분무 또는 살포하고, 축사용 분뇨를 정기적으로 교반시켜 부숙되도록 함으로써 분뇨의 사용기간을 늘리고 부숙된 퇴비로 만들어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부숙장치에 설치되어 교반된 분뇨를 바닥에서 이동하며 한번 더 뒤집고 평탄작업을 수행하는 스크레퍼로 이루어지는 부숙장치용 스크레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쪽의 측판 프레임 사이에서 설치된 교반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교반날이 콘크리트 바닥에서 상승된 위치에서 회전되는 교반장치를 포함하며,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레퍼의 양쪽으로 측판 프레임에 연결되는 측면 고정대로 이루어지는 스크레퍼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레퍼는 양쪽 선단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측면 경사 연결대를 절곡시켜 연결하며, 상기 측면 경사 연결대의 폭 이내에서 교반날의 가장 외측부분이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고정대는 하측부분에 스크레퍼의 선단보다 더 크게 부숙장치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대가 돌출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교반날은 콘크리트 바닥에서 15∼40mm 상승된 위치에서 가축분뇨를 교반하는 것이며, 가장 선단에 위치하는 부분이 측면 경사 연결대의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다.

Description

부숙장치용 스크레퍼{Scrapper for dormitories}
본 발명은 부숙장치용 스크레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렉터와 같은 동력 이동장치에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부숙제의 공급량을 조절하며 분무 또는 살포하고, 축사용 분뇨를 정기적으로 교반시켜 부숙되도록 함으로써 분뇨의 사용기간을 늘리고 부숙된 퇴비로 만들어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부숙장치에 설치되어 교반된 분뇨를 바닥에서 이동하며 한번 더 뒤집고 평탄작업을 수행하는 스크레퍼로 이루어지는 부숙장치용 스크레퍼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가축을 대량으로 기르는 농장 등에서는 가축 사양을 위한 축사가 축조된다. 그리고 이러한 축사의 바닥에는 가축으로부터 배설되는 분뇨가 매일 일정량씩 발생되고 적절히 제거되지 않는 경우 왕겨 또는 깔짚 등과 섞여 상당히 빠른 시간에 많은 량이 쌓이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축사에는 바닥에 쌓이는 분뇨를 제거하기 위한 특별한 시스템이 적용되지 못하고 있어서, 작업자가 개별적인 수도구를 이용하여 분뇨를 제거하거나 또는 트랙터 및 스키드로더를 이용하여 분뇨를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분뇨제거에 상당한 인력이 소모되고 있다. 또한 제거된 분뇨는 적절한 퇴비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축사 인근에 야적되거나 토양에 살포돼 축사 인근 악취 및 농경지 토양오염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축산농가의 전업화 현상으로 대규모 사육 농가가 증가함에 따라 특정지역에서 다량 발생되는 가축분뇨를 신속하게 제거 및 처리하지 않을 경우 축사 내에 축적된 가축분뇨는 가축질병을 야기하거나 악취 등을 발생시키는 주원인으로 작용해 축산농가에게 경제적인 손실을 끼칠 분만 아니라 축사를 농촌 거주환경 저해요인으로 인식되도록해 빈번한 민원을 초래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축사로부터 분뇨를 너무 자주 제거하면 인력 과다 투입으로 인해 생산비가 상승될 우려가 있으며 가축분뇨 제거시기가 너무 지연될 경우 다량으로 축사바닥에 쌓인 분뇨가 바닥면에 눌어붙게 돼 제거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발생한다.
더불어, 기존에 수도구 및 트랙터나 스키드로더 탈부착용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축사바닥의 분뇨를 제거할시, 갈고리 및 수거장치의 양측으로 축사분뇨가 누출되어, 확실한 축사분뇨 제거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축사바닥의 폭이 증감시에는 이러한 분뇨수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관련법규가 강화되면서 부숙되지 않은 가축분뇨를 외부로 배출할 수 없도록 하였으며, 부숙을 위해서는 다양한 미생물로 이루어진 부숙제를 액체와, 분말 또는 알갱이 중 어느 하나로 가축분뇨에 공급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교반 또는 혼합시켜야 하지만, 이러한 경우 가축이 축사에 그대로 상주하고 있는 상태에서 교반 또는 혼합시켜야 하므로 다양한 어려움과 함께 수분이 포함된 분뇨의 경우 정상적으로 혼합되지 못하여 부숙효과를 누릴 수 없어 별도로 모아서 부속화시키는 처리과정을 거쳐야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었다.
특히,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등록번호 제2288027호(2021. 08. 04. 등록)는 교반장치가 이동하면서 회전을 통하여 가축분뇨를 교반시키게 되고, 교반된 분뇨에 부숙제가 공급된 후 후방에서 따라가는 스크레퍼가 분뇨를 한번 더 교반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스크레퍼의 양족 선단에서 측판 프레임와 연결되는 부분이 "ㄴ"형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교반날의 폭 보다 더 넓은 폭에서 따라가며 바닥을 긁어야 하므로 교반날에 의해 교반되지 않은 부분까지 긁는 과정에서 부숙장치가 상측으로 타고넘으면서 들려 정상적인 교반이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스크레퍼와의 충돌에 의해 쉽게 변형 및 마모되어 자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 및 바닥에 붙은 분뇨를 정상적으로 교반해 부숙시키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하는 과정 또는 정지 상태에서 부숙장치가 스크레퍼장치 방향으로 넘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0976378호(2010. 08. 11.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1867335호(2018. 06. 07.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1507926호(2015. 03. 26.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1796033호(2017. 11. 03. 등록) [문헌 5] 특허등록번호 제2288027호(2021. 08. 04.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트랙터나 스키드로더 또는 다양한 농기계의 동력 이동장치에 연결되어 전진하면서 미생물을 포함한 액체와 분말 또는 알갱이로 이루어지는 부숙제를 공급하며 가축분뇨를 교반시켜 부숙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교반날이 교반한 분뇨와 콘크리트 바닥의 분뇨를 긁어 교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가축분뇨의 바닥을 긁으면서 이동할 수 있는 스크레퍼장치의 양쪽 선단에서 측면 경사 연결대를 통하여 교반날이 교반한 폭 이내에서 바닥을 긁어 분뇨를 교반해 스크레퍼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스크레퍼의 양쪽에서 경사지게 연결되는 측면 경사 연결대의 상측으로 측면 고정대를 결합해 스크레퍼의 마모시 손쉽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스크레퍼장치의 양쪽에 지지대를 설치해 부숙장치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쪽의 측판 프레임 사이에서 설치된 교반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교반날이 콘크리트 바닥에서 상승된 위치에서 회전되는 교반장치를 포함하며,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레퍼의 양쪽으로 측판 프레임에 연결되는 측면 고정대로 이루어지는 스크레퍼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레퍼는 양쪽 선단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측면 경사 연결대를 절곡시켜 연결하며, 상기 측면 경사 연결대의 폭 이내에서 교반날의 가장 외측부분이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고정대는 하측부분에 스크레퍼의 선단보다 더 크게 부숙장치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대가 돌출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교반날은 콘크리트 바닥에서 15∼40mm 상승된 위치에서 가축분뇨를 교반하는 것이며, 가장 선단에 위치하는 부분이 측면 경사 연결대의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트랙터나 스키드로더 또는 다양한 농기계의 동력 이동장치에 연결되거나 교반장치의 후방에 설치되는 스크레퍼장치를 통하여 이동하면서 미생물을 포함한 액체와 분말 또는 알갱이로 이루어지는 부숙제를 공급하며 가축분뇨를 교반시켜 부숙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교반날이 교반한 분뇨와 콘크리트 바닥의 분뇨를 긁어 교반장치로 교반된 후 부숙제와 함께 분뇨를 한번 더 교반시켜 부숙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축분뇨의 바닥을 긁으면서 이동할 수 있는 스크레퍼장치의 양쪽 선단에서 측면 경사 연결대를 통하여 돌출되어 전방의 교반날이 교반한 폭 이내에서 바닥을 긁어 분뇨를 교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크레퍼가 손상되지 않고 분뇨를 교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숙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크레퍼의 양쪽에서 경사지게 연결되는 측면 경사 연결대의 상측으로 측면 고정대를 측판 프레임와 고정보울트 및 고정너트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해 스크레퍼의 마모시 신속하게 교환해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크레퍼장치의 양쪽에 지지대를 길게 돌출되도록 설치해 부숙장치가 스크레퍼장치 방향으로 넘어질 때 지지대가 먼저 바닥에 닿아 넘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부숙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교반장치와 스크레퍼장치에 대한 측면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교반장치와 스크레퍼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스크레퍼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스크레퍼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도 2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부숙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교반장치와 스크레퍼장치에 대한 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교반장치와 스크레퍼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크레퍼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크레퍼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크게 가축이 축사에 상주하고 있는 상태에서 동력에 의해 이동하며 동력을 제공하는 부숙장치(10)와, 상기 부숙장치(10)의 한쪽에 설치되어 미생물이 포함된 액체와 분만 또는 알갱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부숙제를 저장해 이동하면서 가축분뇨에 공급하는 부숙제 공급장치(40)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숙장치(10)는 양쪽으로 설치되는 측판 프레임(11)의 내부에 교반장치(20)가 설치되어 동력장치를 통하여 이동하면서 가축분뇨를 교반시키도록 하고, 교반된 가축분뇨에 부숙제 공급장치(40)로부터 부숙제가 공급되면 스크레퍼장치(30)가 뒤따라 이동하면서 큰크리트 바닥(50)의 바로 상측을 긁어 부숙제와 가축분뇨가 교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부숙장치(10)는 트렉터 또는 다양한 농기계의 동력을 공급하는 조인트축이 연결되어 동력을 변환시켜 동력축(12)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동력축(12)은 양쪽의 측판 프레임(11)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동력축(12)의 하측에는 교반축(21)이 설치되어 동력체인(13)으로 연결된 후 회전동력이 제공되어 교반축(21)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교반장치(20)는 측판 프레임(11)의 폭 내에서 교반축(21)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날 고정판(22)에 2∼6개의 범위에서 교반날(23)이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가축분뇨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교반날(23)의 가장 하측은 콘크리트 바닥(50)에서부서 상측으로 15∼35cm 정도 높은 위치에 위치해 회전시 콘크리트 바닥(50)과 충돌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측판 프레임(11)에 연결되는 스크레퍼장치(30)는 10∼45°의 범위를 갖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레퍼(31)는 선단이 측판 프레임(11)의 사이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교반날(23) 보다 더 안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며, 콘크리트 바닥(50)과 거의 닿도록 설치되는 교반날(23) 방향의 하측부분에는 평탄날(36)과 같이 칼날형태로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스크레퍼(31)의 양쪽 선단에서는 일정한 간격를 갖도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측면 경사 연결대(32)를 절곡시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 경사 연결대(32)의 폭 이내에서 교반날(23)의 가장 외측부분이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 경사 연결대(32)의 외측 선단에는 상측으로 수직방향이 되도록 절곡되는 측면 고정대(33)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 고정대(33)는 일부가 측판 프레임(11)의 안쪽 또는 외측에서 만나도록 설치하고, 상기 측면 고정대(33)와 측판 프레임(11)에 다수개의 고정볼트(34)와 고정너트(35)를 사용하여 체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 고정대(33)는 스크레퍼(31)의 평탄날(36)이 마모되는 경우 고정볼트(34)와 고정너트(25)를 풀어 하측으로 한칸 더 이동시킨 상태로 결합하여 스크레퍼(31)의 마모에 따라 하측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 고정대(33)의 하측부분에서는 스크레퍼(31)의 선단보다 더 크게 돌출되어 도 2를 기준으로 우측방향에 부숙장치(10)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대(38)가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스크레퍼(31)는 경사지게 설치되어 가축분뇨를 한번 더 교반시키도록 하며, 경사지게 설치되는 형태가 일직선(도 6)이 되도록 설치하거나, 곡면형태(도 7)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도 2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에 관한 것으로, 부숙장치(10)에 설치되어 교반장치(20)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 과정이 동력체인(13)에 의존하지 않고 동력축(12)에 설치한 동력기어(15)와 교반축(21)에 설치하는 종동기어(17)의 사이에 중간기어(16)를 설치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동력기어(15)와 중간기어(16) 및 종동기어(17)의 크기와 잇수를 회전수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축사의 바닥에 왕겨 또는 깔짚 등을 깔고 그 상측에 가축을 기르게 되므로 가축으로부터 배설되는 분뇨가 매일 일정량씩 발생되고 함께 섞여 상당히 빠른 시간에 많은 량이 쌓이게 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가축분뇨와 왕겨 또는 깔짚을 교반시켜 미생물에 의한 공기의 원활한 공급으로 미생물이 성장되는 부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축분뇨와 왕겨 또는 깔짚 등을 교반하는 경우 부숙장치(10)를 트렉터 등 각종 농기계에서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트렉터 등에 연결하는 경우, 조인트축을 기어박스에 연결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며, 부숙장치(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들어올려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 바닥으로 내려 견인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숙장치(10)는 스크레퍼(31)가 콘크리트 바닥(50)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의 위치에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여러 단계로 조절해 스크레퍼(31)는 물론 교반날(23)이 콘크리트 바닥(50)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는 바닥을 콘크리트 바닥(50)과 같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와겨 또는 깔짚을 깔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교반날(23)은 콘크리트 바닥(50)에서 15∼40mm의 높이가 상승된 위치에서 회전하며 가축분뇨 등을 교반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mm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이동간에 높이의 변형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50)에 닿을 수 있으며, 40mm 이상이 되면 가축분뇨 등을 교반시키고 남은 것이 너무 많고 두께가 두꺼워 스크레퍼(31)를 통하여 끓어져 제거되지 않거나 스크레퍼(31)의 손상이 발생되므로 바람직하게는 20mm 정도 상승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에서 공급되는 동력으로 인하여 동력축(12)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동력축(12)에 연결된 동력체인(13)을 통하여 교반축(21)이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는 것이며, 교반축(21)에 설치된 날 고정판(22)에 연결한 2∼6개의 교반날(23)이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부숙장치(10)가 이동하면서 교반장치(20)에 전달되는 동력으로 교반축(21)을 통하여 교반날(23)이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측판 프레임(11)의 사이 내부에서 가축분뇨를 로타리 작업과 같은 상태로 교반하게 되는 것이다.
가축분뇨가 교반되면 부숙제 공급장치(40)에서 다양한 부숙제 중 어느 하나의 부숙제가 하측으로 공급되어 교반된 가축분뇨에 골고루 공급되고, 부숙장치(10)의 이동과 함께 교반장치(20)의 후방에 설치된 스크레퍼장치(30)가 따라 이동하면서 가축분뇨를 한번 더 교반시키는 것이다.
상기 스크레퍼장치(30)의 스크레퍼(31)는 경사지게 설치되어 콘크리프 바닥(50)에 거의 닿을 정도로 높이가 조절되어 이동하게 되며, 이동하면서 교반날(23)이 교반시킨 가축분뇨의 폭 이내에 있는 가축분뇨를 긁어 한번더 교반시키는 것이다.
상기 스크레퍼(31)는 하측에서 콘크리트 바닥(50)과 닿을 정도의 높이에는 평탄날(36)가 같이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콘크리트 바닥(50)에 있는 가축분뇨와 부숙제가 혼합되는 교반된 가축분뇨를 긁거나 교반시키어 스크레퍼(31)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부숙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스크레퍼(31)는 콘크리트 바닥(50)에 가축분뇨가 남지 않도록 긁어 교반되도록 하며, 교반날(23)로 교반된 폭 이내에서 한번 더 교반되도록 함으로써 가축분뇨의 교반을 통한 부숙효과의 향상과 바닥면을 수평면이 되도록 긁어 바닥의 정리와 스크레퍼(3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크레퍼(31)의 양쪽 선단은 교반날(23)의 전체 폭에 비하여 더 좁게 설치되는 것이며, 스크레퍼(31)의 선단에서 측면 경사 연결대(32)를 경사지게 돌출시켜 스크레퍼(31)가 교반날(23)로 인하여 교반되는 가축분뇨의 전체 폭 보다 더 좁아 스크레퍼(31)의 손상을 방지하고, 측면 경사 연결대(32)의 폭 이내에서 교반날(23)의 가장 외측 선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반폭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측면 경사 연결대(32)의 상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측면 고정대(33)를 돌출시켜 측판 프레임(11)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측면 고정대(33)와 측판 프레임(11)에는 다수개의 고정볼트(34)와 고정너트(35)를 통하여 체결 고정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크레퍼(31)를 측판 프레임(11)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스크레퍼(31)의 마모시 고정볼트(34)와 고정너트(35)를 풀어 측면 고정대(33)를 하측으로 한칸씩 더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스크레퍼(31)의 높이를 마모에 따라 낮추어 고정시킴으로써 높이를 조절해 스크레퍼(31)의 사용율을 높이거나 너무 마모가 심한 경우에는 새로운 것으로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스크레퍼장치(30)의 양쪽에 길게 돌출된 지지대(38)는 부숙장치(10)의 정지와 세워둠 또는 이동간에 부숙장치(10)가 스크레퍼장치(30) 방향으로 넘어지려 하는 경우에 지지대(38)가 먼저 콘크리트 바닥(50)에 닿게 되므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부숙장치(10)의 손상과 고장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크레퍼장치(30)는 부숙장치(10)의 교반장치(20) 후방에 설치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교반하는 기능 또는 바닥을 긁어 평탄화하는 작업으로 독립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가축분뇨 부숙장치(10)에 적용하는 실시예를 하나로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축분뇨를 교반장치가 회전하며 교반시킨 후 교반된 가축분뇨의 폭에서 바닥을 수평하게 긁어주며 부숙제를 공급하며 한번 더 교반시켜 부숙효과를 높이고, 부숙제의 공급시 배출량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곧바로 퇴비로 활용하는 부숙효과를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교반장치 11 : 측판 프레임
12 : 동력축 13 : 동력체인
20 : 교반장치 21 : 교반축
22 : 날 고정판 23 : 교반날
30 : 스크레퍼장치 31 : 스크레퍼
32 : 측면 경사 연결대 33 : 측면 고정대
34 : 고정볼트 35 : 고정너트
38 : 지지대 40 : 부숙제 공급장치
50 : 콘크리트 바닥

Claims (6)

  1. 양쪽의 측판 프레임(11) 사이에서 설치된 교반축(21)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교반날(23)이 콘크리트 바닥(50)에서 상승된 위치에서 회전되는 교반장치(20)를 포함하며,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레퍼(31)의 양쪽으로 측판 프레임(11)에 연결되는 측면 고정대(33)로 이루어지는 스크레퍼장치(30)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레퍼(31)는 양쪽 선단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측면 경사 연결대(32)를 절곡시켜 연결하며, 상기 측면 경사 연결대(32)의 폭 이내에서 교반날(23)의 가장 외측부분이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고정대(33)는 하측부분에 스크레퍼(31)의 선단보다 더 크게 부숙장치(10)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대(38)가 돌출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교반날(23)은 콘크리트 바닥에서 15∼40mm 상승된 위치에서 가축분뇨를 교반하는 것이며, 가장 선단에 위치하는 부분이 측면 경사 연결대(32)의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숙장치용 스크레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127966A 2021-09-28 2021-09-28 부숙장치용 스크레퍼 KR102386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966A KR102386144B1 (ko) 2021-09-28 2021-09-28 부숙장치용 스크레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966A KR102386144B1 (ko) 2021-09-28 2021-09-28 부숙장치용 스크레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144B1 true KR102386144B1 (ko) 2022-04-14

Family

ID=8121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966A KR102386144B1 (ko) 2021-09-28 2021-09-28 부숙장치용 스크레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1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804B1 (ko) 2022-10-27 2023-07-14 김영석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KR102647994B1 (ko) 2023-03-24 2024-03-15 김영석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 부숙제 살포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378B1 (ko) 2010-06-07 2010-08-18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하수 및 축산 찌꺼기의 부숙토 제조용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120118970A (ko) * 2011-04-20 2012-10-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배지교반장치
KR101507926B1 (ko) 2014-08-30 2015-11-20 정현덕 축사분뇨처리장치
KR20150131856A (ko) * 2014-05-16 2015-11-25 손갑천 가금류 농장 바닥에 깔린 수분조절제 처리장치
KR101796033B1 (ko) 2016-02-12 2017-11-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상주시용 축사분뇨 수거이송장치
KR101867335B1 (ko) 2016-02-12 2018-06-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구획형성된 축사 하단부를 통과하는 처리효율이 상승된 건조재 또는 기능성 도포재 살포장치를 포함하는 가축 상주시에 적용되는 축사분뇨의 수거이송 장치
KR102288027B1 (ko) 2021-04-14 2021-08-11 강원도 횡성군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KR102304935B1 (ko) * 2021-02-09 2021-09-27 강원도 횡성군 가축의 상주 가능한 축사용 분뇨의 부숙을 위한 교반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378B1 (ko) 2010-06-07 2010-08-18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하수 및 축산 찌꺼기의 부숙토 제조용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120118970A (ko) * 2011-04-20 2012-10-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배지교반장치
KR20150131856A (ko) * 2014-05-16 2015-11-25 손갑천 가금류 농장 바닥에 깔린 수분조절제 처리장치
KR101507926B1 (ko) 2014-08-30 2015-11-20 정현덕 축사분뇨처리장치
KR101796033B1 (ko) 2016-02-12 2017-11-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상주시용 축사분뇨 수거이송장치
KR101867335B1 (ko) 2016-02-12 2018-06-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구획형성된 축사 하단부를 통과하는 처리효율이 상승된 건조재 또는 기능성 도포재 살포장치를 포함하는 가축 상주시에 적용되는 축사분뇨의 수거이송 장치
KR102304935B1 (ko) * 2021-02-09 2021-09-27 강원도 횡성군 가축의 상주 가능한 축사용 분뇨의 부숙을 위한 교반장치
KR102288027B1 (ko) 2021-04-14 2021-08-11 강원도 횡성군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804B1 (ko) 2022-10-27 2023-07-14 김영석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KR102647994B1 (ko) 2023-03-24 2024-03-15 김영석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 부숙제 살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6144B1 (ko) 부숙장치용 스크레퍼
KR102304935B1 (ko) 가축의 상주 가능한 축사용 분뇨의 부숙을 위한 교반장치
KR102288027B1 (ko)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CN108012972B (zh) 一种水产养殖用饲料均匀喷撒装置
KR102324389B1 (ko)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부숙제 살포용 작업중 양방향 이동 가능한 부숙장치
CN109906949A (zh) 一种链条式刮粪机
CN210538025U (zh) 一种牛场自动清粪机
KR102554804B1 (ko)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와 분말 부숙제 살포 가능한 부숙장치
CN214694210U (zh) 适用于畜禽养殖场的小型畜禽粪便好氧发酵罐
CN209473337U (zh) 一种新型肉鸽养殖全自动投料机
KR102323517B1 (ko) 가축의 상주 가능한 축사용 분뇨의 교반을 통한 부숙장치
CN216909947U (zh) 一种微生物肥料生产用防粘壁搅拌装置
CN211947002U (zh) 一种养鸡食料益生菌发酵装置
CN206576026U (zh) 一种防堵塞自动投料饲料槽
CN215613559U (zh) 一种粮食加工清洗设备
CN212974821U (zh) 一种酵素有机肥配料装置
CN211407180U (zh) 一种畜牧养殖清洁装置
CN212283692U (zh) 一种养殖饲料混合装置
CN213756310U (zh) 一种螺旋刮板式防堵排料、翻抛的昆虫养殖饲喂设备
CN111764450B (zh) 一种有机肥搅拌铲斗及一种车辆
KR102647994B1 (ko) 축사용 분뇨의 교반과 액체 부숙제 살포장치
CN219812848U (zh) 一种猪养殖饲料槽
CN218499803U (zh) 一种农牧使用的环保型饲喂装置
CN218951276U (zh) 一种利用秸秆和粪便快速制备有机肥的装置
CN215774843U (zh) 一种猪饲喂用的料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