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655B1 - 액체음료 과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음료 과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655B1
KR102554655B1 KR1020210096798A KR20210096798A KR102554655B1 KR 102554655 B1 KR102554655 B1 KR 102554655B1 KR 1020210096798 A KR1020210096798 A KR 1020210096798A KR 20210096798 A KR20210096798 A KR 20210096798A KR 102554655 B1 KR102554655 B1 KR 102554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freeze
evaporator
evaporator pipe
pip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5541A (ko
Inventor
박정열
Original Assignee
박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열 filed Critical 박정열
Priority to KR1020210096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655B1/ko
Publication of KR20230015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3Transport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8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육면체의 가장자리 변부를 구성하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부 중 하면측 개방부에 설치되고 저면에 바퀴를 구비고 있는 바닥면과, 상기 개방부 중 상면측 개방부에 설치되는 여닫이식 도어(7a)와, 상기 개방부 중 측면측 개방부들에 설치되는 측면(7b)과, 상기 측면(7b) 중 길이방향측의 양측면에 구성되는 오픈도어(7c)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서 물의 어는점 이하에서도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부동액(1a)을 내부에 수용하여 설치되는 부동액 저장탱크(1);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에 수용된 부동액 내의 전체에 걸쳐서 수직으로 층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1 증발기 배관(8a), 및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을 상하로 연통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배관(8b)를 포함하는 증발기(8); 및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의 일단부에 연결된 제1 도관(L4)에 일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된 압축기(4), 상기 압축기(4)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 도관(L1)에 일단부가 연결된 응축기(3), 상기 응축기(3)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3 도관(L2)에 일단부가 연결된 여과기(5), 및 상기 여과기(5)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된 팽창밸브(6), 및 상기 팽창밸브(6)의 타단부와 제1 증발기 배관(8a)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4 도관(L3)를 포함하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음료 과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음료 과냉각장치{SUPERCOOLING APPARATUS FOR LIQUID BEVERAGE}
본 발명은 직육면체의 가장자리 변부를 구성하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부 중 하면측 개방부에 설치되고 저면에 바퀴를 구비고 있는 바닥면과, 상기 개방부 중 상면측 개방부에 설치되는 여닫이식 도어(7a)와, 상기 개방부 중 측면측 개방부들에 설치되는 측면(7b)과, 상기 측면(7b) 중 길이방향측의 양측면에 구성되는 오픈도어(7c)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서 물의 어는점 이하에서도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부동액(1a)을 내부에 수용하여 설치되는 부동액 저장탱크(1);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에 수용된 부동액 내의 전체에 걸쳐서 수직으로 층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1 증발기 배관(8a), 및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을 상하로 연통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배관(8b)를 포함하는 증발기(8); 및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의 일단부에 연결된 제1 도관(L4)에 일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된 압축기(4), 상기 압축기(4)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 도관(L1)에 일단부가 연결된 응축기(3), 상기 응축기(3)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3 도관(L2)에 일단부가 연결된 여과기(5), 및 상기 여과기(5)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된 팽창밸브(6), 및 상기 팽창밸브(6)의 타단부와 제1 증발기 배관(8a)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4 도관(L3)를 포함하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음료 과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냉각은 (Supercooling) 응고점 이하에서 고체가 되지 않으면서 액체 상태로 낮추는 과정이다.
표준 동결점을 통과하는 액체는 결정 구조가 형성될 수 있는 시드 결정(seed crystal) 또는 핵이 존재하여야 결정화되고 고체를 생성할 것이며 그러한 시드 결정 또는 핵이 존재하지 않으면, 액체 상태는 계속 유지 될 수 있다. 물은 일반적으로 0℃에서 얼지만, 표준 압력에서 거의 균일한 결정 핵 생성까지 약 -48.3℃까지 "과냉각"될 수 있다.
과냉각 공정은 물이 순수하고 핵 형성 사이트가 없어야 하며, 이는 역삼투 또는 화학적 탈회와 같은 공정으로 달성할 수 있지만 냉각 자체에는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는다.
과냉각액 상태로 있는 것을 열역학적으로는 준 안정(metastable) 상태라고 하며 주변에서 외란이 가해질 경우 순간적으로 고상으로 상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과냉각 상태로 냉각된 액체음료를 차가운 컵에 따르거나 과냉각 상태의 액체음료에 충격, 진동 등을 가하면 완전히 얼거나 녹지 않은 상태의 액상 음료로 상변화 되는데, 이와 같이 고상으로 상변화된 액상 음료를 슬러시(Slush)라 한다.
공개 특허 10-2007-007566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적인 과냉각 장치는 차가운 기체가 순환하는 공간에 액체음료를 어는점 이하로 떨어뜨려 과냉각 상태가 되게 하고 외부 충격이 없게 보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과냉각 장치에서는 외부에서 작은 충격이나 진동이 있으면 과냉각 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과냉각 상태의 음료에 충격이 전달되어 고체상으로 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실용신안 제20-2020-0001489호(2020.07.06.)에서는 "상부 부분(10); 및 하부 부분(60)을 포함하는 액상 음료를 과냉각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부 부분(10)의 내부에는 냉각 액체를 보관할 수 있고, 액상 음료의 용기는 상기 냉각 액체에 담겨진 상태로 상기 액상 음료가 과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종래의 상기 공개실용신안 제20-2020-0001489호의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는 액상음료를 직접 냉각하는 전열매개체를 액상인 냉각 액체를 적용하게 함으로서, 액상음료를 빙점온도 이하의 목표온도로 냉각하는 속도를 빠르게 하는 효과와 목표온도 도달 과정 및 목표온도 도달 후 과냉각상태의 불안정성의 주원인인 온도의 불안정성과 장치 진동 및 외부 진동 등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상기 공개실용신안 제20-2020-0001489호의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에 있어서는, 냉매증발관(40)이 상부 부분(10)의 내벽과 접촉하면서 상부 부분(10)의 안에 수용된 냉각 액체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어서 냉각 액체의 가장자리부는 금방 냉각이 이루어지지만 냉각 액체의 중심부는 냉기의 전달에 시간이 소요되므로 냉각 액체의 가장자리부와 중심부가 동시에 냉각되는 경우에 비하여 냉각 액체가 전체적으로 냉각되는 데에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상기 공개실용신안 제20-2020-0001489호의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에 있어서는, 냉매증발관(40)이 냉각 액체의 수표면까지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냉각 액체의 수직 높이에서 중간 부분 인접부까지만 배치되기 때문에 냉각 액체의 가장자리부의 냉각조차도 전체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냉매증발관(40)이 배치된 냉각 액체의 주변부위만 국부적으로 가냉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냉각 액체의 수직 높이에서 중간 부분 인접부보다 위에 있는 냉각 액체는 냉기의 전달에 더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상기 공개실용신안 제20-2020-0001489호의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냉매증발관(40)의 상부에는 측면 플레이트(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음료 플레이트(30)가 놓여지고, 음료 플레이트(30)의 개구(33)에 액상 음료수를 보관한 용기가 놓여져 있는데, 이러한 용기를 개구(33)에 넣어 보관하였다가 다시 꺼낼 때 용기 외면에는 냉각 액체가 묻어 있어 음료수를 음용하려는 사람의 손을 적시거나 또는 용기 외면으로부터 냉각 액체가 흘러 내려서 주위의 바닥면이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20-0001489호(2020.07.06.)
본 발명에 의한 액체음료 과냉각장치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동액 저장탱크 내에 수용된 부동액의 가장자리부와 중심부가 동시에 냉각되게 함으로써 부동액이 전체적으로 냉각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액체음료 과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동액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의 저면벽과 측벽을 공간을 둔 두겹으로 형성하고 두겹 사이에 열매체유를 수용되게 하며 다시 열매체유의 안에 다른 증발기 배관을 수직으로 층을 이루어 배치함으로써 열매체유가 균일하게 냉기를 전달받고 그에 따라 열매체유의 냉기가 다시 부동액으로 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액체음료 과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체음료가 수용된 하나 이상의 병을 하우징 내에 수용된 부동액 내에 넣어 보관하였다가 다시 꺼낼 때 상기 병의 외면에 묻어 있는 부동액을 닦아 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우징의 외면 또는 부동액 저장탱크의 측벽의 내면에 설치되는 링형 스퀴지(1c)를 구비한 액체음료 과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액체음료 과냉각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직육면체의 가장자리 변부를 구성하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부 중 하면측 개방부에 설치되고 저면에 바퀴를 구비고 있는 바닥면과, 상기 개방부 중 상면측 개방부에 설치되는 여닫이식 도어(7a)와, 상기 개방부 중 측면측 개방부들에 설치되는 측면(7b)과, 상기 측면(7b) 중 길이방향측의 양측면에 구성되는 오픈도어(7c)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서 물의 어는점 이하에서도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부동액(1a)을 내부에 수용하여 설치되는 부동액 저장탱크(1);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에 수용된 부동액 내의 전체에 걸쳐서 수직으로 층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1 증발기 배관(8a), 및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을 상하로 연통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배관(8b)를 포함하는 증발기(8); 및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의 일단부에 연결된 제1 도관(L4)에 일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된 압축기(4), 상기 압축기(4)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 도관(L1)에 일단부가 연결된 응축기(3), 상기 응축기(3)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3 도관(L2)에 일단부가 연결된 여과기(5), 및 상기 여과기(5)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된 팽창밸브(6), 및 상기 팽창밸브(6)의 타단부와 제1 증발기 배관(8a)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4 도관(L3)를 포함하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 내에서 액체음료가 수용된 병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의 수직으로 배치된 각 층은 평면상에서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저면벽과 측벽은 두겹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겹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열매체유(1b)가 수용되며, 상기 열매체유(1b)의 안에, 수직으로 층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2 증발기 배관(8c) 및 상기 제2 증발기 배관(8c)을 상하로 연통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배관(8d)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증발기 배관(8c)은 제3 연결배관(8e)을 통해 제1 증발기 배관(8a)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저면벽의 두겹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열매체유(1b)의 안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증발기 배관(8c)과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측벽의 두겹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열매체유(1b)의 안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증발기 배관(8c)은 제4 연결배관(8f)을 통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부동액 저장탱크 내에 수용된 부동액의 가장자리부와 중심부가 동시에 냉각되게 함으로써 부동액이 전체적으로 냉각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액체음료 과냉각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부동액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의 저면벽과 측벽을 공간을 둔 두겹으로 형성하고 두겹 사이에 열매체유를 수용되게 하며 다시 열매체유의 안에 다른 증발기 배관을 수직으로 층을 이루어 배치함으로써 열매체유가 균일하게 냉기를 전달받고 그에 따라 열매체유의 냉기가 다시 부동액으로 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액체음료 과냉각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액체음료가 수용된 하나 이상의 병을 하우징 내에 수용된 부동액 내에 넣어 보관하였다가 다시 꺼낼 때 상기 병의 외면에 묻어 있는 부동액을 닦아 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우징의 외면 또는 부동액 저장탱크의 측벽의 내면에 설치되는 링형 스퀴지(1c)를 구비한 액체음료 과냉각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체음료 과냉각장치를 정면측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액체음료 과냉각장치를 후면측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액체음료 과냉각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는 부동액 저장탱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길이방향 종단면도.
도 6은 도 4의 평면도.
도 7은 도 4의 폭방향 종단면도.
도 8은 도 1의 부동액 저장탱크의 부동액 내에 배치되는 증발기의 양단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냉각부의 개략도.
도 9는 도 3의 실시예에 링형 스퀴지가 추가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링형 스퀴지의 사시도와 액체음료가 수용된 하나 이상의 병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
도 12는 도 4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동액 저장탱크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B-B'선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길이방향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체음료 과냉각장치를 정면측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액체음료 과냉각장치를 후면측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액체음료 과냉각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는 부동액 저장탱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길이방향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폭방향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부동액 저장탱크의 부동액 내에 배치되는 증발기의 양단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냉각부의 개략도이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음료 과냉각장치는, 하우징, 부동액 저장탱크(1), 증발기(8), 및 냉각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직육면체의 가장자리 변부를 구성하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부 중 하면측 개방부에 설치되고 저면에 바퀴를 구비고 있는 바닥면과, 상기 개방부 중 상면측 개방부에 설치되는 여닫이식 도어(7a)와, 상기 개방부 중 측면측 개방부들에 설치되는 측면(7b)과, 상기 측면(7b) 중 길이방향측의 양측면에 구성되는 오픈도어(7c)를 포함한다. 이처럼 하우징을 구성하는 바닥면의 저면에 바퀴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음료 과냉각장치는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음료 과냉각장치는 여닫이식 도어(7a)를 가지되 이 여닫이식 도어(7a)가 프레임(2)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부 중 상면측 개방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면측 개방부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으며 개방시에는 음료가 든 병을 개방된 상면측 개방부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투입 및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오픈도어(7c)를 측면(7b)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분리되어 노출된 개방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냉각부에 대한 접근이 가능해져서 상기 냉각부에 대한 유지보수가 가능하고 필요시 교환도 가능해진다.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서 물의 어는점 이하에서도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부동액(1a)을 내부에 수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부동액(1a)의 안에 액체음료가 수용된 병을 배치하면 부동액(1a)이 물의 어는점 이하로 냉각되었을 때에도 상기 병을 과냉각할 수 있으면서도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부동액(1a)의 안에 투입 및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8)는,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에 수용된 부동액(1a) 내의 전체에 걸쳐서 수직으로 층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1 증발기 배관(8a), 및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을 상하로 연통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배관(8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 증발기 배관(8a)과 제1 연결배관(8b)의 배치 및 연결관계에 의해 부동액 저장탱크(1)에 수용된 부동액(1a)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의 일단부에 연결된 제1 도관(L4)에 일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된 압축기(4), 상기 압축기(4)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 도관(L1)에 일단부가 연결된 응축기(3), 상기 응축기(3)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3 도관(L2)에 일단부가 연결된 여과기(5), 및 상기 여과기(5)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된 팽창밸브(6), 및 상기 팽창밸브(6)의 타단부와 제1 증발기 배관(8a)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4 도관(L3)를 포함한다. 여기서, 압축기(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를 통해 모터에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냉매는 제1 증발기 배관(8a)에서 증발되며 부동액(1a)를 냉각시키면서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로 배출되고 제1 도관(L4)을 통해 압축기(4)로 보내진다. 압축기(4)에서 고온 고압의 기체로 압축이 되며 이는 제2 도관(L1)을 통해 응축기(3)로 보내지고 냉매는 고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된다. 고온 고압의 액체는 제3 도관(L2)를 통해 먼지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기(5)를 거쳐 팽창밸브(6)로 보내지며 제3 도관(L2)에서 냉매는 상온 고압의 액체 상태로 이송이 되고 팽창밸브(6)에서 저온 저압의 기체로 팽창한다. 상기 저온 저압의 기체는 부동액(1a)에 담겨진 제1 증발기 배관(8a)과 제1 연결배관(8b)을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기체로 되면서 흡열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3)는 수냉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냉매를 냉각시키기 위해 수냉식 냉각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공냉식 냉각 장치에 비하여 설치 공간에서 유리하게 된다.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 내에서 액체음료가 수용된 병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의 수직으로 배치된 각 층은 평면상에서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증발기 배관(8a) 내에서 액체음료가 수용된 병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 증발기 배관(8a)이 부동액(1a) 내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배치되어 있어 부동액(1a)의 냉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9는 드레인 밸브인데, 이러한 드레인 밸브(9)는 부동액 저장탱크(1) 내의 부동액(1a)을 드레인(drain)시키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 9는 도 3의 실시예에 링형 스퀴지가 추가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링형 스퀴지의 사시도와 액체음료가 수용된 하나 이상의 병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구성에다, 본 발명의 액체음료 과냉각장치는, 액체음료가 수용된 하나 이상의 병의 외면에 묻어 있는 부동액을 닦아 내도록 상기 병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 또는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측벽의 내면에 설치되는 링형 스퀴지(1c)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다. 이에 따르면, 링형 스퀴지(squeegee)(1b)의 내부로 액체음료가 수용된 하나 이상의 병을 통과시키는 과정에 의해 병의 외면에 묻어 있는 부동액을 닦아 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형 스퀴지(1c)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 또는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측벽의 내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측방 돌출부; 상기 측방 돌출부의 자유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C'자형 횡단면을 가져서 탄성을 가지며, 내면에서 서로 설정간격을 가지고 측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측방 돌출돌기(1bep)를 가지는 탄성지지체(1be); 상기 측방 돌출돌기(1bep)들 사이의 공간에 아래에서 위로 차례대로 끼워지고 측방 돌출돌기(1bep)들을 덮도록 배치되는 러버 스퀴지 유리병 닦개(1ba), 스폰지(1bb), 및 천(1bc)으로 구성되는 와이퍼; 및 상기 러버 스퀴지 유리병 닦개(1ba), 스폰지(1bb), 및 천(1bc)을 측방 돌출돌기(1bep)에 고정되게 하도록, 측방 돌출돌기(1bep), 러버 스퀴지 유리병 닦개(1ba), 스폰지(1bb), 및 천(1bc)을 관통하는 볼트(B), 및 상기 볼트(B)에 체결되는 너트(N)로 구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병을 링형 스퀴지(1c)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링형 스퀴지(1c)의 안으로 측방으로 삽입시킨 후 상기 병을 위로 잡아 당기면 상기 와이퍼를 구성하는 러버 스퀴지 유리병 닦개(1ba), 스폰지(1bb), 및 천(1bc)의 내면이 상기 병의 외면에 묻어 있는 부동액을 닦아낼 수 있다. 특히, 상기 병을 링형 스퀴지(1c)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링형 스퀴지(1c)의 안으로 측방으로 삽입시킨 후 상기 병을 위로 잡아 당겨서 상기 병의 외면에 묻어 있는 부동액을 닦아낼 때 1차적으로 러버 스퀴지 유리병 닦개(1ba)가 상기 병의 외면에 묻어 있는 부동액을 긁어 내고 2차적으로 스폰지(1bb)가 긁어내어진 부동액을 닦으며 마지막 3차적으로 천(1bc)이 상기 병의 외면에 묻어 있는 나머지 부동액을 모두 깨끗이 닦아낼 수 있다. 또한, 탄성지지체(1be)에 대해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러버 스퀴지 유리병 닦개(1ba), 스폰지(1bb), 및 천(1bc)은 상기 볼트(B) 및 너트(N)를 체결해제 함으로써 분리되어 새로운 러버 스퀴지 유리병 닦개(1ba), 스폰지(1bb), 및 천(1bc)으로 교체되어 다시 탄성지지체(1be)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러버 스퀴지 유리병 닦개(1ba), 스폰지(1bb), 및 천(1bc)은 반드시 모두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하나만 구성될 수도 있고 러버 스퀴지 유리병 닦개(1ba), 스폰지(1bb), 및 천(1bc) 중 하나 또는 두개 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병의 외면에 묻어 있는 부동액을 닦아낼 수 있는 것이라면 또 다른 형태의 어떤 와이퍼라도 구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2는 도 4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동액 저장탱크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길이방향 종단면도이다.
상기 제3 실시예는,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저면벽과 측벽은 두겹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겹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열매체유(1b)가 수용되며, 상기 열매체유(1b)의 안에, 수직으로 층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2 증발기 배관(8c) 및 상기 제2 증발기 배관(8c)을 상하로 연통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배관(8d)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증발기 배관(8c)은 제3 연결배관(8e)을 통해 제1 증발기 배관(8a)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저면벽의 두겹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열매체유(1b)의 안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증발기 배관(8c)과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측벽의 두겹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열매체유(1b)의 안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증발기 배관(8c)은 제4 연결배관(8f)을 통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다.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저면벽과 측벽에 구성된 두겹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열매체유(1b)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열매체유(1b)의 안에, 수직으로 층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2 증발기 배관(8c) 및 상기 제2 증발기 배관(8c)을 상하로 연통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배관(8d)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증발기 배관(8c)은 제3 연결배관(8e)을 통해 제1 증발기 배관(8a)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저면벽의 두겹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열매체유(1b)의 안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증발기 배관(8c)과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측벽의 두겹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열매체유(1b)의 안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증발기 배관(8c)은 제4 연결배관(8f)을 통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팽창밸브(6)로부터 팽창되어 나온 저온 저압의 기체가 부동액(1a)에 담겨진 제1 증발기 배관(8a)과 제1 연결배관(8b)을 통과한 후,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측벽의 두겹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열매체유(1b)의 안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증발기 배관(8c)들로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음과 동시에, 제2 증발기 배관(8c)으로부터 열매체유가 균일하게 냉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저면벽의 두겹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열매체유(1b)의 안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증발기 배관(8c)은 제1 도관(L4)을 통해 압축기(4)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어서 제2 증발기 배관(8c)을 통해 열매체유의 냉기가 다시 부동액(1a)으로 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측벽의 두겹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열매체유(1b)의 안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증발기 배관(8c)들이 제4 연결배관(8f)을 통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팽창밸브(6)로부터 팽창되어 나온 저온 저압의 기체가 부동액(1a)에 담겨진 제1 증발기 배관(8a)과 제1 연결배관(8b)을 통과한 후,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측벽의 두겹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열매체유(1b)의 안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증발기 배관(8c)들로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 대신에 제2 증발기 배관(8c)의 일단부를 제1 도관(L4)의 일단부에 연통되게 연결하고 다시 제1 도관(L4)의 타단부를 압축기(4)에 연통되게 연결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에 의하면 제2 증발기 배관(8c)에 의해 열매체유(1b)가 먼저 냉각되어 냉기를 부동액(1b)으로 전달하고 이어서 제1 증발기 배관(8a)에 의해 부동액(1b)이 냉각되어 부동액(1b)은 가장자리부와 중심을 포함한 전체가 신속히 냉각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의 일단부와 제2 증발기 배관(8c)의 일단부를 모두 제1 도관(L4)의 일단부에 연통되게 연결하고 다시 제1 도관(L4)의 타단부를 압축기(4)에 연통되게 연결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에 의하면 제1 증발기 배관(8a)과 제2 증발기 배관(8c)에 의해 열매체유(1b)와 부동액(1b)이 동시에 신속히 냉각되어 부동액(1b)은 가장자리부와 중심을 포함한 전체가 더욱 신속히 냉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부동액 저장탱크 1a 부동액
1b : 열매체유 1ba : 러버 스퀴지 유리병 닦개
1bb : 스폰지 1bc : 천
1be : 탄성지지체 1bep : 측방 돌출돌기
1c : 링형 스퀴지 2 :프레임
3 : 응축기 4 : 압축기
5 : 여과기 6 : 팽창밸브
7a : 여닫이식 도어 7b : 측면
7c : 오픈도어 8 : 증발기
8a : 제1 증발기 배관 8b : 제1 연결배관
8c : 제2 증발기 배관 8d : 제2 연결배관
8e : 제3 연결배관 8f : 제4 연결배관
9 : 드레인
B : 볼트 N ; 너트
L1 : 제2 도관 L2 : 제3 도관
L3 : 제4 도관 L4 : 제1 도관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직육면체의 가장자리 변부를 구성하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부 중 하면측 개방부에 설치되고 저면에 바퀴를 구비고 있는 바닥면과, 상기 개방부 중 상면측 개방부에 설치되는 여닫이식 도어(7a)와, 상기 개방부 중 측면측 개방부들에 설치되는 측면(7b)과, 상기 측면(7b) 중 길이방향측의 양측면에 구성되는 오픈도어(7c)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서 물의 어는점 이하에서도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부동액(1a)을 내부에 수용하여 설치되는 부동액 저장탱크(1);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에 수용된 부동액 내의 전체에 걸쳐서 수직으로 층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1 증발기 배관(8a), 및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을 상하로 연통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배관(8b)를 포함하는 증발기(8); 및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의 일단부에 연결된 제1 도관(L4)에 일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된 압축기(4), 상기 압축기(4)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 도관(L1)에 일단부가 연결된 응축기(3), 상기 응축기(3)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3 도관(L2)에 일단부가 연결된 여과기(5), 및 상기 여과기(5)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된 팽창밸브(6), 및 상기 팽창밸브(6)의 타단부와 제1 증발기 배관(8a)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4 도관(L3)를 포함하는 냉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 내에서 액체음료가 수용된 병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증발기 배관(8a)의 수직으로 배치된 각 층은 평면상에서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저면벽과 측벽은 두겹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겹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열매체유(1b)가 수용되며,
    상기 열매체유(1b)의 안에, 수직으로 층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2 증발기 배관(8c) 및 상기 제2 증발기 배관(8c)을 상하로 연통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배관(8d)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증발기 배관(8c)은 제3 연결배관(8e)을 통해 제1 증발기 배관(8a)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저면벽의 두겹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열매체유(1b)의 안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증발기 배관(8c)과 상기 부동액 저장탱크(1)의 측벽의 두겹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열매체유(1b)의 안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증발기 배관(8c)은 제4 연결배관(8f)을 통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음료 과냉각장치.
KR1020210096798A 2021-07-23 2021-07-23 액체음료 과냉각장치 KR102554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798A KR102554655B1 (ko) 2021-07-23 2021-07-23 액체음료 과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798A KR102554655B1 (ko) 2021-07-23 2021-07-23 액체음료 과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541A KR20230015541A (ko) 2023-01-31
KR102554655B1 true KR102554655B1 (ko) 2023-07-13

Family

ID=8510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798A KR102554655B1 (ko) 2021-07-23 2021-07-23 액체음료 과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6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5544A (ja) 2007-12-04 2011-02-24 ハイネケン サプライ チェーン べー.フェー. 瓶および缶等の飲料容器を冷却するための冷却器および冷却方法
WO2017072531A1 (en) * 2015-10-30 2017-05-04 Cornelius Beverage Technologies Limited Beverage cooling systems
KR200489423Y1 (ko) * 2018-12-26 2019-06-14 오현주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
KR102092161B1 (ko) 2018-10-16 2020-03-23 김경옥 슬러시 제조용 냉각고와 이를 이용한 슬러시 제조방법
KR102239097B1 (ko) 2019-11-18 2021-04-09 김흥섭 슬러시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302Y1 (ko) 2019-05-27 2021-03-09 오현주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5544A (ja) 2007-12-04 2011-02-24 ハイネケン サプライ チェーン べー.フェー. 瓶および缶等の飲料容器を冷却するための冷却器および冷却方法
WO2017072531A1 (en) * 2015-10-30 2017-05-04 Cornelius Beverage Technologies Limited Beverage cooling systems
KR102092161B1 (ko) 2018-10-16 2020-03-23 김경옥 슬러시 제조용 냉각고와 이를 이용한 슬러시 제조방법
KR200489423Y1 (ko) * 2018-12-26 2019-06-14 오현주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
KR102239097B1 (ko) 2019-11-18 2021-04-09 김흥섭 슬러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541A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1787B2 (en) Refrigeration-type dryer apparatus and method
US7174736B2 (en) Low-temperature delivery vehicle
KR102554655B1 (ko) 액체음료 과냉각장치
US5272887A (en) Portable refrigeration hold-over pack
KR100969204B1 (ko) 저압 냉동기로부터의 냉매 정제/회수 장치 및 그 방법
KR200320682Y1 (ko) 축냉식 냉장고 선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아이스박스
KR200493302Y1 (ko)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
US20050066668A1 (en) Refrigeration-type dryer apparatus and method
KR101998814B1 (ko) 냉각 효율이 개선된 냉동기용 증발기
KR200489423Y1 (ko)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
KR20110054760A (ko) 제빙기
CN207881316U (zh) 冷藏冷冻双功能疫苗柜
KR101256415B1 (ko) 제빙기 및 이에 구비된 냉각장치
US20050061015A1 (en) System for trapping airborne water in cooling and freezing devices
KR200406573Y1 (ko) 동결건조기의 직팽식 열판
JP4152992B2 (ja) 自動販売機
JP2761610B2 (ja) 製氷装置
US3003326A (en) figure
US6101834A (en) Ice cream machine having an evaporator tank which evenly freezes ice cream
KR200461337Y1 (ko) 제품 냉장 진열장치
JPH04106380A (ja) 製氷装置
CN214426493U (zh) 一种具有循环功能的冷却器
KR101935833B1 (ko) 냉각 테이블
JP4540046B2 (ja) スタティック型水冷媒ヒートポンプ製氷システム
JPH11257694A (ja) 氷蓄冷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