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479B1 - 화재진압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화장치 - Google Patents

화재진압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479B1
KR102554479B1 KR1020220157372A KR20220157372A KR102554479B1 KR 102554479 B1 KR102554479 B1 KR 102554479B1 KR 1020220157372 A KR1020220157372 A KR 1020220157372A KR 20220157372 A KR20220157372 A KR 20220157372A KR 102554479 B1 KR102554479 B1 KR 102554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er
connecting pipe
liquid
installatio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7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원
이이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이앤지
Priority to KR1020220157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6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all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4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rangible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01N21/81Indicating humid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진압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설치몸체(10)와, 소화기기(20)와, 소방수분사감지기구(30)와, 급속화재진압기기(40)를 포함하여, 액상소화기를 이용해 화재진압의 효율성을 높이고, 폐쇄형 스프링클러에서 누수가 발생할 시 폐쇄형 스프링클러에 누수발생을 색상 표시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재진압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화장치{Extinguishing Equipment for Fighting the Fire}
본 발명은 화재진압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는 건물의 천정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소화용 급수 배관라인에 연결되어 화재발생시 소화용 급수 배관라인에서 급수되는 소화수를 방출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장치이다.
스프링클러 중 폐쇄형 스프링클러(1, 습식 스프링클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열체(1a, 일예로 유리벌브)를 구비하고, 감열체(1a)에 화재 열이 가해지면, 감열체(1a)가 파열됨에 따라 소화수가 방출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소방수를 통해서만 화재진압이 이루어져, 화재진압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폐쇄형 스프링클러의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시 이를 육안으로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어 폐쇄형 스프링클러의 누수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어려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494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액상소화기를 이용해 화재진압의 효율성을 높이고, 폐쇄형 스프링클러에서 누수가 발생할 시 폐쇄형 스프링클러에 누수발생을 색상 표시하는 소방용 방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설치몸체(10)와, 소화기기(20)와, 소방수분사감지기구(30)와, 급속화재진압기기(40)를 포함하는 소방용 방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몸체(10)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제1삽입홀(11)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삽입홀(11)에 이웃하게 구비되는 제2삽입홀(12)를 갖추고서, 천장(C)에서 하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소화기기(20)는,
상단이 설치몸체(10)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단이 설치몸체(10)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제1삽입홀(11)에 설치되는 메인연결파이프(21); 하단이 메인연결파이프(21)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단이 천장(C)에 위치하는 소방급수배관(P)과 연결되는 유연한 재질의 플렉서블파이프(22); 연결관부(23a)의 하단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염료체수용홈(23a1)을 구비하여, 메인연결파이프(21)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나사산 체결되되, 염료체수용홈(23a1)의 측방이 메인연결파이프(21)에 의해 개폐되는 연결관부(23a)와, 외측방으로 개구되게 날개부(23b)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측이 염료체수용홈(23a1)의 하측과 연통되는 표시홈(23b1)을 구비하여, 연결관부(2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바 형상의 적어도 2개 이상의 날개부(23b)와, 날개부(23b)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부(23c)와, 지지부(23c)의 하측에 구비되는 디플렉터(23d)와, 하단이 지지부(23c)에 설치되고 상단이 연결관부(23a)의 하단에 삽입설치되는 감열체(23e)와, 표시홈(23b1) 내부에 설치되어 날개부(23b)를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반원형 돌기 형상의 돌출표시부(23f)를 갖춘 폐쇄형스프링클러(23); 연결관부(23a)의 염료체수용홈(23a1)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물에 녹는 재질의 고상형 수용성염료체(24);로 구성되고,
상기 소방수분사감지기구(30)는, 압력변화감지센서(31)와, 압력변화감지센서(31)에 설치되는 감지막(32)를 갖추고서, 폐쇄형스프링클러(23)의 날개부(23b)에 설치되고, 감지막(32)에 압력이 작용하면 압력변화감지센서(31)가 감지막(32)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급속화재진압기기(40)는,
하측이 개구되고, 측부에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통과홀(41a)이 형성되며, 설치몸체(10)에 설치되는 액상소화기수용기구(41); 액상 소화물질이 수용되고 충격 시 파괴되는 소화물질수용부(42a)와, 측방으로 개구된 걸이홀(42b1)을 구비하여 소화물질수용부(42a)의 상측에 위치하는 걸이부(42b)를 갖추고서, 액상소화기수용기구(41) 내부에 배치되는 액상형소화기(42); 액상형소화기(42)에 이웃하게 설치몸체(10)에 설치되는 고정바이동장치(43a)와, 일단이 액상소화기수용기구(41)의 통과홀(41a)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걸이부(42b)의 걸이홀(42b1)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고정바이동장치(43a)에 설치되는 고정바(43b)를 갖추며, 고정바이동장치(43a)에 의해 고정바(43b)가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되, 고정바이동장치(43a)가 압력변화감지센서(31)로부터 압력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고정바(43b)가 고정바이동장치(43a)에 의해 우방으로 이동하는 소화기고정기구(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설치몸체(10)와, 소화기기(20)와, 소방수분사감지기구(30)와, 급속화재진압기기(40)를 포함하여, 액상소화기를 이용해 화재진압의 효율성을 높이고, 폐쇄형 스프링클러에서 누수가 발생할 시 폐쇄형 스프링클러에 누수발생을 색상 표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폐쇄형스프링클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일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폐쇄형스프링클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일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4 상에서의 X축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하고, 도 4 상에서의 Y축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며, 도 4 상에서의 Z축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하여, 본 발명 구성의 방향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화장치는, 설치몸체(10)와, 소화기기(20)와, 소방수분사감지기구(30)와, 급속화재진압기기(40)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제1삽입홀(11)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삽입홀(11)에 이웃하게 구비되는 제2삽입홀(12)를 갖추고서, 천장(C)에서 하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설치몸체(10)는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기구(S)를 매개로 천장(C)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삽입홀(12)는 제1삽입홀(11)의 우방에 위치한다.
상기 소화기기(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연결파이프(21)와, 플렉서블파이프(22)와, 폐쇄형스프링클러(23)와, 수용성염료체(24)를 갖춘다.
상기 메인연결파이프(21)는, 상단이 설치몸체(10)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단이 설치몸체(10)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제1삽입홀(11)에 설치된다.
상기 플렉서블파이프(22)는, 하단이 메인연결파이프(21)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단이 천장(C)에 위치하는 소방급수배관(P)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플렉서블파이프(22)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소방급수배관(P)으로부터 소방수가 공급된다. 한편 소방급수배관(P)은 별도의 고정바(F)에 위해 위치고정된다.
상기 폐쇄형스프링클러(23)는, 연결관부(23a)와, 날개부(23b)와, 지지부(23c)와, 디플렉터(23d)와, 감열체(23e)와, 돌출표시부(23f)를 갖춘다.
상기 연결관부(23a)는, 연결관부(23a)의 하단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염료체수용홈(23a1)을 구비하여, 메인연결파이프(21)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나사산 체결되되, 염료체수용홈(23a1)의 측방이 메인연결파이프(21)에 의해 개폐된다. 본 발명에서 연결관부(23a)는 메인연결파이프(21)에 나사산체결될 시, 염료체수용홈(23a1)이 메인연결파이프(21)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폐쇄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염료체수용홈(23a1)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부(23b)는, 외측방으로 개구되게 날개부(23b)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측이 염료체수용홈(23a1)의 하측과 연통되는 표시홈(23b1)을 구비하여, 연결관부(2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날개부(23b)는 바 형상을 이루고,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날개부(23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꺾인 형상의 단면을 이룬다. 한편 본 발명에서 표시홈(23b)은 날개부(23b)의 측면에 구비되지만, 날개부(23b)의 전면 및 후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23c)는, 날개부(23b)의 하측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지지부(23c)는 패널 형상을 이룬다.
상기 디플렉터(23d)는, 지지부(23c)의 하측에 구비된다.
상기 감열체(23e)는, 하단이 지지부(23c)에 설치되고 상단이 연결관부(23a)의 하단에 삽입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감열체(23e)는, 평상시에는 연결관부(23a)에 수용된 소방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파괴되어 연결관부(23a)의 소방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감열체(23e)의 상단에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23e1)이 구비되는 데, 실링부재(23e1)는 연결관부(23a)의 하단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돌출표시부(23f)는, 표시홈(23b1) 내부에 설치되어 날개부(23b)를 따라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돌출표시부(23f)는 반원형 돌기 형상을 이루고, 다수개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돌출표시부(23f)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수용성염료체(24)는, 연결관부(23a)의 염료체수용홈(23a1)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수용성염료체(24)는, 물에 녹는 재질로 이루어져 고상형을 이룬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수용성염료체(24)는 다양한 색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수용성염료체(24)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방수분사감지기구(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변화감지센서(31)와, 압력변화감지센서(31)에 설치되는 감지막(32)를 갖추고서, 폐쇄형스프링클러(23)의 날개부(23b)에 설치되고, 감지막(32)에 압력이 작용하면 압력변화감지센서(31)가 감지막(32)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소방수분사감지기구(30)는, 폐쇄형스프링클러(23)의 디플렉터(23d)에 의해 확산(분사)되는 소방수가 감지막(32)과 접촉하면, 감지막(32)에 가해지는 압력변화를 압력변화감지센서(31)가 감지하여 압력감지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압력변화감지센서(31)가 감지막(32)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압력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기술은, 통상적으로 주지된 기술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소방수분사감지기구(30)는 디플렉터(23d)에 의해 확산되는 소방수를 감지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의 감지기구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급속화재진압기기(4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소화기수용기구(41)와, 액상형소화기(42)와, 소화기고정기구(43)를 갖춘다.
상기 액상소화기수용기구(41)는, 하측이 개구되고, 측부에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통과홀(41a)이 형성되며, 설치몸체(1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액상소화기수용기구(4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액상형소화기(42)는, 액상 소화물질이 수용되고 충격 시 파괴되는 소화물질수용부(42a)와, 측방으로 개구된 걸이홀(42b1)을 구비하여 소화물질수용부(42a)의 상측에 위치하는 걸이부(42b)를 갖추고서, 액상소화기수용기구(41)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액상 소화물질은 소화물질수용부(42a)에서 방출될 시 기화되고, 이를 통해 주변 온도 및 산소농도를 낮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액상형소화기(42)는 통상의 투척형 소화기가 적용가능하다.
상기 소화기고정기구(43)는, 액상형소화기(42)에 이웃하게 설치몸체(10)에 설치되는 고정바이동장치(43a)와, 일단이 액상소화기수용기구(41)의 통과홀(41a)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걸이부(42b)의 걸이홀(42b1)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고정바이동장치(43a)에 설치되는 고정바(43b)를 갖추며, 고정바이동장치(43a)에 의해 고정바(43b)가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되, 고정바이동장치(43a)가 압력변화감지센서(31)로부터 압력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고정바(43b)가 고정바이동장치(43a)에 의해 우방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 소화기고정기구(43)는 솔레노이드 타입의 고정 방식을 이루지만, 액상형소화기(4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면 다양한 타입의 고정 방식이 적용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가 압력변화감지센서(31)로부터 압력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고정바이동장치(43a)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급속화재진압기기(40)가 설치몸체(10)의 일정 위치(일예로 화재시 대피로의 인근 위치)에 서로 이격되게 듬성듬성 설치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되, 도 7은 도 6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폐쇄형스프링클러(23)의 감열체(23e)가 파괴되면서, 연결관부(23a)가 개방되고, 연결관부(23a)를 통해 소방수가 방출분사된다(도 6 화살표 참조). 그러면 폐쇄형스프링클러(23) 주변의 화재가 진압된다.
이때, 디플렉터(23d)에 부딪힌 소방수는, 주변으로 확산(분사)되면서(도 7의 화살표 방향 참조), 소방수분사감지기구(30)의 감지막(32)과 부딪히고, 감지막(32)은 살짝 회전한다.
여기서, 압력변화감지센서(31)는, 감지막(32)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압력감지신호를 소화기고정기구(43)의 고정바이동장치(43a)로 출력한다.
이후, 고정바이동장치(43a)는 고정바(43b)를 우방으로 이동시키고, 고정바(43b)는 액상형소화기(42)의 걸이부(42b)에서 이탈하면서 액상형소화기(42)가 하방으로 낙하한다(도 6 참조).
그러면, 액상형소화기(42)는 바닥과 부딪히면서 파괴되고, 액상형소화기(42) 내부의 액상형 소화물질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액상형 소화물질이 기화되면서 주변의 온도 및 산소농도가 낮아져, 폐쇄형스프링클러(23)에 의한 화재진압에 더해 냉각 및 질식을 통한 화재진압이 이루어집니다.
또한,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메인연결파이프(21)와 연결관부(23a) 간의 결속에 문제가 발생하여, 메인연결파이프(21)와 연결관(23a) 사이에 미세한 누수가 발생하면, 누숫물은 연결관부(23a)의 염료체수용홈(23a1)으로 유입되고, 상기 누숫물에 의해 수용성염료체(24)가 녹는다(도 8의 화살표 방향 참조).
이때, 수용성염료체(24)가 녹은 색상용액은 날개부(23b)의 표시홈(23b1)을 따라 조금씩 흐르고, 상기 색상용액이 마르면 표시홈(23b1)의 표면을 따라 표식이 이루어진다(도 8의 화살표 방향 참조).
그러면, 관리자는 날개부(23b)의 표시홈(23b1)에 표시된 표식을 통해 소화기기(20)에 누수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색상용액이 날개부(23b)의 표시홈(23b1)을 흐를 시, 상기 색상용액은 돌출표시부(23f)에 의해 저지되어 천천히 흐르고, 상기 색상용액은 표시홈(23b1) 및 돌출표시부(23f)와 접촉한다. 이때 상기 색상용액이 돌출표시부(23f)를 타고 넘을 시, 상기 색상용액은 돌출표시부(23f)의 일부에만 접촉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색상용액이 돌출표시부(23f)와 접촉하면, 표시홈(23b)에 한 줄로 색상 표식이 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무늬)로 표식될 수 있어, 누수의 표식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돌출표시부(23f)가 색상용액의 흐름을 더디게 하여, 상기 색상용액이 표시홈(23b)에서 이탈하기 전에 충분한 응고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화재발생으로 폐쇄형스프링클러(23)의 작동과 함께 액상형소화기(42)가 바닥에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폐쇄형스프링클러(23)를 통한 소방수 이용 화재진압에 더해, 액상형소화기(42)를 통한 냉각 및 질식 이용 화재진압을 하여, 화재진압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쇄형스프링클러(23)에서 미세한 누수가 발생할 시, 폐쇄형스프링클러(23)의 날개부(23b)에 색상표식이 쉽게 표시되도록 하여, 누수 발생을 육안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성염료체(24)가 녹은 색상용액이 날개부(23b)의 표시홈(23b)를 흐를 시, 돌출표시부(23f)를 통해 색상용액의 이동속도를 더디게 하여, 색상용액의 응고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돌출표시부(23f)와 표식홈(23b)에 묻은 색상용액을 통해 보다 식별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소방수를 이용한 화재진압 구조에, 냉각 및 질식을 이용한 화재진압 구조 등 화재진압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화재진압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화장치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소방용 방화장치로 정의한다.
10: 설치몸체 11: 제1삽입홀
12: 제2삽입홀 20: 소화기기
21: 연결파이프 22: 플렉서블파이프
23: 폐쇄형스프링클러 24: 수용성염료체
30: 소방수분사감지기구 31: 압력변화감지센서
32: 감지막 40; 금속화재진압기기
41: 액상소화기수용기구 42: 액상형소화기
43: 소화기고정기구 1: 폐쇄형스프링클러
C: 천장 F: 고정바
P: 소방급수배관 S: 지지기구

Claims (1)

  1. 설치몸체(10)와, 소화기기(20)와, 소방수분사감지기구(30)와, 급속화재진압기기(40)를 포함하는 소방용 방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몸체(10)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제1삽입홀(11)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삽입홀(11)에 이웃하게 구비되는 제2삽입홀(12)를 갖추고서, 천장(C)에서 하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소화기기(20)는,
    상단이 설치몸체(10)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단이 설치몸체(10)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제1삽입홀(11)에 설치되는 메인연결파이프(21); 하단이 메인연결파이프(21)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단이 천장(C)에 위치하는 소방급수배관(P)과 연결되는 유연한 재질의 플렉서블파이프(22); 연결관부(23a)의 하단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염료체수용홈(23a1)을 구비하여, 메인연결파이프(21)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나사산 체결되되, 염료체수용홈(23a1)의 측방이 메인연결파이프(21)에 의해 개폐되는 연결관부(23a)와, 외측방으로 개구되게 날개부(23b)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측이 염료체수용홈(23a1)의 하측과 연통되는 표시홈(23b1)을 구비하여, 연결관부(2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바 형상의 적어도 2개 이상의 날개부(23b)와, 날개부(23b)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부(23c)와, 지지부(23c)의 하측에 구비되는 디플렉터(23d)와, 하단이 지지부(23c)에 설치되고 상단이 연결관부(23a)의 하단에 삽입설치되는 감열체(23e)와, 표시홈(23b1) 내부에 설치되어 날개부(23b)를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반원형 돌기 형상의 돌출표시부(23f)를 갖춘 폐쇄형스프링클러(23); 연결관부(23a)의 염료체수용홈(23a1)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물에 녹는 재질의 고상형 수용성염료체(24);로 구성되고,
    상기 소방수분사감지기구(30)는, 압력변화감지센서(31)와, 압력변화감지센서(31)에 설치되는 감지막(32)를 갖추고서, 폐쇄형스프링클러(23)의 날개부(23b)에 설치되고, 감지막(32)에 압력이 작용하면 압력변화감지센서(31)가 감지막(32)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급속화재진압기기(40)는,
    하측이 개구되고, 측부에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통과홀(41a)이 형성되며, 설치몸체(10)에 설치되는 액상소화기수용기구(41); 액상 소화물질이 수용되고 충격 시 파괴되는 소화물질수용부(42a)와, 측방으로 개구된 걸이홀(42b1)을 구비하여 소화물질수용부(42a)의 상측에 위치하는 걸이부(42b)를 갖추고서, 액상소화기수용기구(41) 내부에 배치되는 액상형소화기(42); 액상형소화기(42)에 이웃하게 설치몸체(10)에 설치되는 고정바이동장치(43a)와, 일단이 액상소화기수용기구(41)의 통과홀(41a)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걸이부(42b)의 걸이홀(42b1)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고정바이동장치(43a)에 설치되는 고정바(43b)를 갖추며, 고정바이동장치(43a)에 의해 고정바(43b)가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되, 고정바이동장치(43a)가 압력변화감지센서(31)로부터 압력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고정바(43b)가 고정바이동장치(43a)에 의해 우방으로 이동하는 소화기고정기구(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방화장치.
KR1020220157372A 2022-11-22 2022-11-22 화재진압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화장치 KR102554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7372A KR102554479B1 (ko) 2022-11-22 2022-11-22 화재진압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7372A KR102554479B1 (ko) 2022-11-22 2022-11-22 화재진압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479B1 true KR102554479B1 (ko) 2023-07-13

Family

ID=8716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372A KR102554479B1 (ko) 2022-11-22 2022-11-22 화재진압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4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949B1 (ko) 2012-12-07 2014-07-04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엔씨테크 유리벌브형 스프링클러
KR102031857B1 (ko) * 2019-06-04 2019-10-15 금정엔지니어링(주) 스프링클러의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방재장치
KR200491807Y1 (ko) * 2019-09-27 2020-06-08 주식회사 피에프이엔씨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949B1 (ko) 2012-12-07 2014-07-04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엔씨테크 유리벌브형 스프링클러
KR102031857B1 (ko) * 2019-06-04 2019-10-15 금정엔지니어링(주) 스프링클러의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방재장치
KR200491807Y1 (ko) * 2019-09-27 2020-06-08 주식회사 피에프이엔씨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77905C1 (ru) Распыляющая головка и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ES2318140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extinguir un incendio.
KR200491807Y1 (ko)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망
KR102582140B1 (ko) 스프링클러 누수확인기능 탑재 소방방재장치
KR102554479B1 (ko) 화재진압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화장치
CN109475766B (zh) 自动自灭火装置及防火方法
KR102554482B1 (ko) 화재발생 대피 유도를 위한 소방피난유도장치
CN112274831A (zh) 防火自动喷淋喷头
KR102209985B1 (ko) 드라이 팬턴트 조립체
ES2249845T3 (es) Metodo mejorado para extinguir fuego con dos agentes.
KR20120134353A (ko) 소방기기의 스마트 헤드 자동작동장치
KR20110021450A (ko)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US3726344A (en) Electrically actuated sprinkler
KR102582141B1 (ko) 소화 및 제연 기능이 강화된 안전형 소방 분사장치
KR101414949B1 (ko) 유리벌브형 스프링클러
US6732808B1 (en) Fire-extinguishing device
KR20200082696A (ko) 방화문 내부 공간의 온도 표시 장치
KR20090096027A (ko) 스프링클러 헤드
KR102445453B1 (ko) 신속 화재진압이 가능한 화재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PT1413333E (pt) Cabeça de aspersão para sistemas de combate a incêndios
JP5759631B2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装置
KR20090120145A (ko) 스프링클러 헤드
KR102478593B1 (ko)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
KR20210039031A (ko) 스프링클러 헤드 조립체
KR200420213Y1 (ko) 기류 감응 확장형 스프링클러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