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707B1 - 바닥 방음 조립체 - Google Patents

바닥 방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707B1
KR102553707B1 KR1020230006817A KR20230006817A KR102553707B1 KR 102553707 B1 KR102553707 B1 KR 102553707B1 KR 1020230006817 A KR1020230006817 A KR 1020230006817A KR 20230006817 A KR20230006817 A KR 20230006817A KR 102553707 B1 KR102553707 B1 KR 102553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plate
coupling
viewed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창현
Original Assignee
채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창현 filed Critical 채창현
Priority to KR1020230006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방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하면에 복수 개의 제1 결합부를 구비한 상판부; 상면에 상기 상판부의 제1 결합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결합부를 구비한 하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판부에는 전체 두께에 대해 서로 이격하는 복수개의 함몰부를 형성하되, 상기 함몰부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오목부를 구성하고, 하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돌출부를 구성하며,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를 결합시켰을 때,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서로 체결되며, 상기 상판부 하면과 상기 하판부의 오목부 사이의 공간에 의해 에어 포켓이 형성되고, 서로 결합된 상판부와 하판부는 상기 하판부의 돌출부 하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래브층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수직 하중의 진동 및 소음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어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닥 방음 조립체{Floor Soundproof Assembly}
본 발명은 바닥 방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나 복합 건축물의 층간 기초 바닥면에 시공되어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바닥 방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과 같은 건축물의 바닥면은 콘크리트 재질의 슬래브층과, 상기 슬래브층의 상면에 적층된 경량 콘크리트층과, 상기 경량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설치된 온수파이프와, 상기 온수파이프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된 몰타르층과, 상기 몰타르층의 상면에 적층된 마감재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면 구성의 바닥면은 방음 성능이 떨어져 발생된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므로 아파트 등 집합건물에서 층간소음의 문제가 항상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슬래브층과 경량 콘크리트층의 사이에 방음판을 설치하여 상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양한 기술이 시도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음판은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스티로폼 재질로 구성되는데, 상기 스티로폼 재질이 저경도일 경우에는 경량 충격음과 고주파의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가 크고, 고경도일 경우 중량 충격음과 저주파의 소음을 차단하는 특성을 가진다.
한편, 방음판의 시공은, 슬래브층 위에 다수개의 방음판을 둘레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배치한 후, 그 상면에 경량 콘크리트층을 타설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이 시공된 방음판의 방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각각의 방음판의 둘레면이 이웃하여 위치된 다른 방음판의 둘레면과 밀착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각각의 방음판을 상기 슬래브의 상면에 배치하게 되므로, 각각의 방음판이 상호 밀착되지 못하고, 방음판 사이에 틈이 발생되어 방음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
또한, 방음판의 하면이 편형한 면을 이루고 있어 하면 전체가 상기 슬래브층에 밀착되는 것으로 인해 방음성능이 더욱 더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피하기 위해, 방음판을 상하 2개의 블록 조립체로 구성하고 그 사이에 에어 포켓을 형성하여 방음 성능을 높일 뿐, 소음과 함께 전달되는 진동에 대해서는 효과적으로 저감시키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29884호(2020.03.19) 특허문헌 2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266434호(2021.06.1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이나 복합 건축물의 층간 기초 바닥면에 시공되어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 모두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바닥 방음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방음 조립체는, 하면에 복수 개의 제1 결합부를 구비한 상판부; 상면에 상기 상판부의 제1 결합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결합부를 구비한 하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판부에는 전체 두께에 대해 서로 이격하는 복수개의 함몰부를 형성하되, 상기 함몰부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오목부를 구성하고, 하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돌출부를 구성하며,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를 결합시켰을 때,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서로 체결되며, 상기 상판부 하면과 상기 하판부의 오목부 사이의 공간에 의해 에어 포켓이 형성되고, 서로 결합된 상판부와 하판부는 상기 하판부의 돌출부 하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하판부의 함몰부는 돌출부 하면을 향해 네모뿔 형상을 가지며, 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함몰부의 바닥은 함몰부 시작 위치의 사각형보다 크기가 작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판부의 제2 결합부는 함몰부 테두리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의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결합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판부의 돌출부 하면에 단면이 원형인 바닥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판부의 함몰부는 함몰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복수 개의 보강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리브는 오목부와 돌출부의 각각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서로 직교하는 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목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강리브는 오목부의 영역 내에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강리브는 인접하는 돌출부의 보강리브와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판부의 돌출부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강리브에 단면이 원형인 바닥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하판부에 오목부와 돌출부를 함께 구현한 함몰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슬래브층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수직 하중의 진동 및 소음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어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하판부는 복수개의 함몰부 구성에 의해 하판부 자체가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을 가지게 되므로 강한 수직 하중의 압력이 상기 상판부를 통해 하판부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하판부가 상하방향으로 탄성 유동하여 완충재 역할을 매우 유용하게 실현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충격 진동 및 소음을 한층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방음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방음 조립체를 슬래브층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하판부의 함몰부를 윗쪽과 아래쪽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방음 조립체는, 슬래브층(10)과 온수배관이 매립되는 마감재층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면에 복수 개의 제1 결합부(110)를 구비한 상판부(100) 및 상면에 상기 상판부(100)의 제1 결합부(110)의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결합부(210)를 구비한 하판부(21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상판부(100)는 상기 마감재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소음을 1차 저감시키는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부(10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제1 결합부(1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부(110)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의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판부(200)는 상기 상판부(100)의 하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상판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소음에 대해 2차적으로 저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하판부(200)의 상면에는 상기 상판부(100)의 제1 결합부(110)의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결합부(2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부(210)는 내측으로 함몰된 홈의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판부(100)와 하판부(200)는 상기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210)에 의해 서로 착탈이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러한 상기 상판부(100)와 하판부(200)는 공지의 일반적인 방음 소재(합성수지,스티로폼 등)를 채택하여 제작한다. 따라서, 외부의 하중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소음을 완충작용으로부터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판부(200)의 제2 결합부(210)는 후술할 함몰부(220)의 테두리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100)의 제1 결합부(110)는 상기 제2결합부(21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판부(200)에는 전체 두께에 대해 서로 이격하는 복수개의 함몰부(220)를 형성하되, 상기 함몰부(220)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오목부(221)를 구성하고, 하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돌출부(222)를 구성한다.
즉, 상기 함몰부(220)는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오목부(221) 또는 돌출부(222)로 표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하판부(200)의 함몰부(220)는 돌출부(222) 하면을 향해 네모뿔 형상을 가지며, 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함몰부(220)의 바닥은 함몰부(220) 시작 위치의 사각형보다 크기가 작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함몰부(220)는 앞서 설명한 제2 결합부(210)의 테두리 안쪽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판부(200)의 표면을 프레스 가압 또는 금형 틀을 이용하여 하면을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돌출시키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상기 함몰부(220)의 구성은 상기 상판부(100)와 하판부(200)를 결합시켰을 때, 상기 상판부(100) 하면과 상기 하판부(200)의 오목부(221) 사이의 공간에 에어 포켓(S1)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 포켓(S1)의 구성에 의해 수직 하중이 상기 상판부(100)로 전달될 때 발생하는 충격 진동 및 소음이 상기 에어 포켓(S1)에 의해 직접 아래로 전달되지 못하고 양 측방향으로 우회하여 전달되는 분산효과에 의해 감쇄가 이루어지므로 건물의 기초 슬래브층(10)에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판부(200)를 슬래브층(10) 위에 설치하면, 상기 함몰부(220)의 돌출부(220) 구조에 의해 상기 하판부(200)와 슬래브층(10) 사이에 다른 공간을 형성하는 추가 에어 포켓(S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추가 에어 포켓(S2)은 상기 에어 포켓(S1)에 의해 우회하여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소음을 다시 한번 감쇄시킴으로써, 상기 슬래브층(10)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포켓(S1)과 추가 에어 포켓(S2)은 순차적으로 연속 반복되는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판부(200)는 복수개의 함몰부(220) 구성에 의해 하판부(200) 자체가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을 가지게 되므로 강한 수직 하중의 압력이 상기 상판부(100)를 통해 하판부(200)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하판부(200)가 상하방향으로 탄성 유동하여 완충재 역할을 매우 유용하게 실현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충격 진동 및 소음을 한층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하판부(200)는 상기 슬래브층(10)에 대해 돌출부(222)의 하면이 지지되는 부분적 지지구조이므로 상기 슬래브층(1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적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판부(200)의 돌출부(222) 하면에 단면이 원형인 바닥 지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지지부(230)는 상기 슬래브층(10)에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안정적으로 면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하판부(200)의 함몰부(220)에는 함몰부(220)의 두께보다 두꺼운 복수 개의 보강리브(240a,240b)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리브(240a,240b)는 오목부(221)와 돌출부(222)의 각각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서로 직교하는 띠 형상이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리브(240a,240b)는 오목부(221)와 돌출부(222)의 각 바닥면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2 개의 띠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목부(22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강리브(240a)는 오목부의 영역 내에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2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강리브(240b)는 인접하는 돌출부(222)의 보강리브(240b)와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보강리브(240a,240b)는 상기 하판부(200)가 상하방향으로 탄성 유동하는데 있어 상기 함몰부(220)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돌출부(222)의 표면에 형성되는 보강리브(240b)의 경우에는 수직 하중의 진동 및 소음을 이웃하는 주변의 돌출부(222)쪽으로 연속 전달하여 분산시킴으로써 진동 및 소음을 한층 효율적으로 저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하판부(200)의 돌출부(222) 하면에 보강리브(240b)를 형성한 경우, 상기 원형인 바닥 지지부(230)를 상기 보강리브(240b)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판부(200)에는 복수개의 바닥 방음 조립체를 서로 연결하여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끼움 체결부(25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하판부(200)의 4개의 테두리변 중 직교하는 방향의 2개의 테두리변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측변부 돌기(251)를 형성하며, 다른 2개의 테두리변에 상기 측변부 돌기가 진입할 수 있도록 측변부 단차홈(252)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상판부
110... 제1 결합부
200... 하판부
210... 제2 결합부
220... 함몰부
221... 오목부
222... 돌출부
230... 바닥 지지부
240a, 240b... 보강리브

Claims (8)

  1. 하면에 복수 개의 제1 결합부를 구비한 상판부;
    상면에 상기 상판부의 제1 결합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결합부를 구비한 하판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판부에는 전체 두께에 대해 서로 이격하는 복수개의 함몰부를 형성하되, 상기 함몰부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오목부를 구성하고, 하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돌출부를 구성하며,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를 결합시켰을 때,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서로 체결되며, 상기 상판부 하면과 상기 하판부의 오목부 사이의 공간에 의해 에어 포켓이 형성되고, 서로 결합된 상판부와 하판부는 상기 하판부의 돌출부 하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오목부와 돌출부에는 각각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강리브가 형성되되,
    상기 오목부의 강리브는 오목부의 영역 내에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보강리브는 인접하는 돌출부의 보강리브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방음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하판부의 함몰부는 돌출부 하면을 향해 네모뿔 형상을 가지며,
    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함몰부의 바닥은 함몰부 시작 위치의 사각형보다 크기가 작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방음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의 제2 결합부는 함몰부 테두리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의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결합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방음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의 돌출부 하면에 단면이 원형인 바닥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방음 조립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의 돌출부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강리브에 단면이 원형인 바닥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방음 조립체.
KR1020230006817A 2023-01-17 2023-01-17 바닥 방음 조립체 KR102553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817A KR102553707B1 (ko) 2023-01-17 2023-01-17 바닥 방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817A KR102553707B1 (ko) 2023-01-17 2023-01-17 바닥 방음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707B1 true KR102553707B1 (ko) 2023-07-07

Family

ID=8715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817A KR102553707B1 (ko) 2023-01-17 2023-01-17 바닥 방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7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4040A (ko) * 2012-02-15 2013-08-23 금호케미칼 주식회사 난방배관용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
KR20170080042A (ko) * 2015-12-31 2017-07-10 유인섭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패드
KR101860050B1 (ko) * 2017-07-26 2018-07-06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및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설치 공정
KR20200029884A (ko) 2018-09-11 2020-03-19 채창현 방음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102266434B1 (ko) 2020-09-25 2021-06-18 채창현 바닥 방음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4040A (ko) * 2012-02-15 2013-08-23 금호케미칼 주식회사 난방배관용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
KR20170080042A (ko) * 2015-12-31 2017-07-10 유인섭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패드
KR101860050B1 (ko) * 2017-07-26 2018-07-06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및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설치 공정
KR20200029884A (ko) 2018-09-11 2020-03-19 채창현 방음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KR102266434B1 (ko) 2020-09-25 2021-06-18 채창현 바닥 방음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943B1 (ko)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구조체
JP6409137B2 (ja) 床材
KR102319558B1 (ko) 펜타월 방진구조를 갖는 층간소음 방지재
KR100684686B1 (ko) 층간차음재
KR102077086B1 (ko) 건물 바닥충격음 방지구조체
KR200406673Y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KR102553707B1 (ko) 바닥 방음 조립체
KR101765673B1 (ko) 조립형 차음 스터드
KR200385010Y1 (ko) 층간차음재
KR200236412Y1 (ko) 건물 바닥재용 방음보드
KR102266434B1 (ko) 바닥 방음 조립체
KR200392795Y1 (ko) 차음보드
KR102017659B1 (ko) 기초 바닥용 패널구조체
KR102279285B1 (ko) 층간소음 방지재
KR101628224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102108770B1 (ko) 흡음바닥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흡음바닥패널조립체
KR101055360B1 (ko) 소음저감용 돌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 구조물
KR102361502B1 (ko) 층간 차음용 단독 패널
KR101761242B1 (ko) 층간소음 저감용 반 건식난방패널
KR20170003543U (ko) 보강재가 내장된 방음판용 프레임
KR20100117297A (ko) 중앙 지지대를 갖는 조립형 방음판
KR102587651B1 (ko) 층간소음방지구조
KR20160046062A (ko) 댐핑패널과 바닥구조물 및 댐핑패널의 제조방법
KR102110470B1 (ko) 방음벽용 방음패널
KR102207134B1 (ko) 배수판 및 그 공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