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770B1 - 흡음바닥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흡음바닥패널조립체 - Google Patents

흡음바닥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흡음바닥패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770B1
KR102108770B1 KR1020190140889A KR20190140889A KR102108770B1 KR 102108770 B1 KR102108770 B1 KR 102108770B1 KR 1020190140889 A KR1020190140889 A KR 1020190140889A KR 20190140889 A KR20190140889 A KR 20190140889A KR 102108770 B1 KR102108770 B1 KR 102108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floor panel
panel unit
absorbing floo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대환
Original Assignee
지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대환 filed Critical 지대환
Priority to KR1020190140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770B1/ko
Priority to CN202011215957.XA priority patent/CN112780045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흡음바닥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흡음바닥패널조립체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은 판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제 1테두리부(111), 상기 몸체부(100)의 바닥면에 상기 제 1테두리부(111)에 의하여 공간이 형성되는 제 1공간부(112), 상기 제 1공간부(112)의 바닥면에 상기 제 1테두리부(111)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제 1요철부(113), 상기 제 1테두리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되는 제 1홈부(114), 상기 제 1홈부(114)에 삽입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흡음부재(1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흡음바닥패널유닛을 이용하여 흡음바닥패널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음바닥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흡음바닥패널조립체{A Sound Absorbing Floor Panel Unit and Sound Absorbing Floor Panel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흡음바닥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흡음바닥패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상으로 형성된 몸체부에 테두리부, 공간부와 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부에 흡음부재를 구비하여 층간소음 저감 효율을 증대시킨 흡음바닥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흡음바닥패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닥난방시설은 콘크리트 바닥 슬라브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바닥에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을 할 수 있는 난방배관을 설치하고, 분배기를 통해 난방배관에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건식(또는 반 건식) 바닥난방은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바닥재에 직접 열을 가하므로 난방 시작 후에 빠르게 목적온도에 도달할 수 있어 난방효율이 좋은 장점이 있다. 현재의 대부분의 건식 난방은 일정한 형태 및 크기를 갖도록 제작된 패널을 조립하여 바닥에 깔고, 이 패널 상에 난방배관을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산업의 발달로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 건물에서의 층간소음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소재 및 바닥구조를 갖는 패널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완충성 재질로 이루어진 방진재나 우레탄 발포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재를 제작하여 슬라브 상부에 배치하는 공법이 소개되었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방진재의 두께가 감소하거나 비용 및 시공방법 등의 경제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바닥슬라브와 일정 폭을 갖도록 이격배치되어 뜬바닥을 형성함으로써 소음을 감쇄시키는 뜬바닥 구조에 관한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하지만, 뜬바닥 구조는 장시간 경과시 뜬바닥을 형성하는 돌기들이 함몰되어 공기층이 무너지는 경우가 많아 수리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층간소음 저감효과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기술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1550호)에는 자체 탄성을 가지는 지지부를 하부에 구비하여 바닥슬라브와 뜬바닥 구조를 형성하면서, 상부에 받침봉을 구비하여 지지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층간 소음방지용 바닥패널이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층간 소음방지용 바닥 패널은 뜬바닥 구조가 형성된 영역의 측면이 개구되어 있어 층간소음에 의한 충격에너지 및 진동이 수평방향으로 전달된다. 이에, 건축물의 측벽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 및 진동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측벽차음재가 수반되어 개선이 필요하다.
(특허번호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1550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충격에너지의 수직이동전달 뿐만 아니라 수평이동전달도 동시에 저감시킬 수 있는 흡음바닥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흡음바닥패널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뜬바닥 구조를 형성하는 요철부의 함몰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뜬바닥 구조의 구현이 가능한 흡음바닥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흡음바닥패널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바닥슬라브와 난방패널 사이에서 다중(이중 또는 삼중)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층간소음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흡음바닥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흡음바닥패널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제 1테두리부(111), 상기 몸체부(100)의 바닥면에 상기 제 1테두리부(111)에 의하여 공간이 형성되는 제 1공간부(112), 상기 제 1공간부(112)의 바닥면에 상기 제 1테두리부(111)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제 1요철부(113), 상기 제 1테두리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되는 제 1홈부(114), 상기 제 1홈부(114)에 삽입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흡음부재(1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바닥패널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천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제 2테두리부(121), 상기 몸체부(100)의 천장면에 상기 제 2테두리부(121)(121)에 의하여 공간이 형성되는 제 2공간부(122), 상기 제 2공간부(122)의 바닥면에 상기 제 2테두리부(121)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제 2요철부(123), 상기 제 2테두리부(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되는 제 2홈부(124), 상기 제 2홈부(124)에 삽입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흡음부재(1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공간부(112)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요철부(113)와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제 1요철부고정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요철부(113)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공간부(112)를 구획하는 제 1격벽(11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제 1공간부(112)를 갖는 하부판(110), 상기 제 2공간부(122)를 갖는 상부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판(110) 및 상기 상부판(120)이 접촉면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중공형태로 공간이 형성되는 제 3공간부(1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공간부(131)에 내장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3흡음부재(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에 상기 제 3공간부(131)와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개폐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제 1항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을 이용하여, 하나의 제 1흡음바닥패널유닛(10)을 바닥에 위치시키고, 다른 하나의 제 2흡음바닥패널유닛(20)을 상기 제 1흡음바닥패널유닛(10)의 제 1홈부(114)와 상기 제 2흡음바닥패널유닛(20)의 제 1홈부(214)가 서로 직교되어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바닥패널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은 테두리부 및 공간부의 구조적 특징을 통해 흡음바닥패널유닛에 전달되는 층간소음에 따른 충격에너지의 수직이동전달과, 수평이동전달을 모두 감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은 요철부를 둘러싸는 테두리부를 구성하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요철부의 함몰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뜬바닥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은 바닥슬라브와 난방패널 사이에서 다중(이중 또는 삼중)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층간소음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은 몸체부, 제 1요철부, 제 3흡음부재를 실시예에 따라 서로 상이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각각의 구성요소의 고유진동수가 달라지면서 공진을 회피할 수 있어, 층간소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조립체는 다수개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의 배열방법을 조절하여 각각의 영역이 흡음부재로 둘러싸인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패널 측면 사이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다만,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을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바닥패널유닛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을 A-A`로 절단한 절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바닥패널유닛의 절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바닥패널유닛의 제 3공간부(131)를 보인 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바닥패널유닛의 제 3공간부(131)의 개폐부(135)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바닥패널유닛의 제 1측면홈부(141) 및 제 1측면돌기부(143)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을 B-B`로 절단한 절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바닥패널유닛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바닥패널조립체를 구성하는 흡음바닥패널유닛의 설치방법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흡음바닥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흡음바닥패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은 건축물의 바닥구조(이하, "바닥 슬라브(slave)"로 칭함.)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시공방법에 따라 건식, 반건식 및 습식 난방패널 구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의 몸체부(100)의 바닥면은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을 바닥슬라브 상에 배치했을 때, 상기 바닥슬라브와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하부방향에 놓이는 면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의 몸체부(100)의 천장면은 상기 바닥슬라브와 접촉되지 않으며 상부방향으로 노출되는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면과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흡음"은 층간소음으로 발생되는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에 따른 충격에너지, 진동, 및 기타 소음 등을 감쇄, 감소 또는 저감 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 또한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바닥패널유닛의 저면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은 판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제 1테두리부(111), 상기 몸체부(100)의 바닥면에 상기 제 1테두리부(111)에 의하여 공간이 형성되는 제 1공간부(112), 상기 제 1공간부(112)의 바닥면에 상기 제 1테두리부(111)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제 1요철부(113), 상기 제 1테두리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되는 제 1홈부(114), 상기 제 1홈부(114)에 삽입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흡음부재(1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바닥패널유닛은 판상 형상의 몸체부(100)의 하부면에 상기 제 1테두리부(111), 상기 제 1공간부(112), 상기 제 1요철부(113)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상기 제 1홈부(114)와, 상기 제 1흡음부재(115)는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 1의 A-A`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인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 1홈부(114) 및 상기 제 1흡음부재(115)는 상기 상부면을 관통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테두리부(111)는 상기 몸체부(100)의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돌출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형상에 따라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등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테두리부(111)가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을 바닥슬라브 상에 배치시, 상기 제 1테두리부(111)는 상기 바닥슬라브와 접촉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테두리부(111)에 의해 상기 몸체부(100)의 중앙에는 상기 제 1공간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을 바닥슬라브 상에 배치시, 상기 제 1공간부(112)는 상기 제 1테두리부(111)에 의해 바닥슬라브로부터 일정 폭만큼 떨어진 공간을 형성하면서,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공간부(112)에 의해 바닥슬라브와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은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 상부영역에서 전해지는 충격에너지를 감쇄시켜 바닥슬라브로 전달되는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은 종래의 바닥패널유닛이 하부방향으로 요철부만 구비하는 것과 달리, 상기 제 1테두리부(111)를 구비하여 상기 제 1공간부(112)의 공기층을 더욱 폐쇄시킴에 따라 전달되는 충격에너지가 수평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종래의 바닥패널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가 수평방향으로 전달되어 측벽에고 도달하여 측벽소음을 발생시켰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은 바닥 뿐만 아니라, 측벽을 통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층간소음 또한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공간부(11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 1요철부(113)는 상기 제 1테두리부(111)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공간부에 형성되는 공기층을 구획함으로써, 공기층을 단위셀 크기로 분할하는 것일 수 있다. 단위셀 크기로 분할된 공기층은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각각의 공간으로 분리시켜 감쇄시킬 수 있으므로, 층간소음 저감효과는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요철부(113)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공간부(112)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요철부(113)와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제 1요철부고정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공간부(112)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1요철부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 1요철부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요철부(113)가 상기 제 1요철부고정홈에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은 흡음 및 진동감쇄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예에 따라 상기 제 1요철부(113)를 상기 몸체부(100)와 상이한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은 상기 제 1테두리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홈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홈부(114)는 상기 제 1흡음부재(115)를 상기 몸체부(100)에 배치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은 사각형태의 판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1테두리부(111)가 4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제 1홈부(114)는 상기 제 1테두리부(111) 4개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과 같이, 상기 제 1홈부(114)는 상기 제 1테두리부(111) 중 서로 마주보는 제 1테두리부(111)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제 1흡음부재(115)는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흡음부재(115) 사이에 상기 제 1공간부(112)에서 감쇄된 충격에너지, 진동, 및/또는 소음 등이 이웃하는 패널 또는 벽체 등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홈부(114)는 상기 제 1테두리부(111) 중 서로 직교하는 제 1테두리부(111)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흡음부재(115)는 r자, 또는 역ㄱ자, 또는 ㄴ자, 또는 역ㄴ자 형상으로 상기 제 1홈부(11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후술하는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조립체는 상기 제 1흡음부재(115)가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의 전체 방향으로 모두 배치되도록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의 결합 및 배치구조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 1공간부(112)에서 감쇄된 충격에너지나 진동 등이 측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홈부(114)는 상기 제 1테두리부(111)의 각각의 방향, 즉, 전체영역에 전부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제 1흡음부재(115)가 상기 몸체부(10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흡음바닥패널유닛 사이로 충격에너지나 진동의 전달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 1흡음부재(115)는 상기 제 1홈부(11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홈부(114)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흡음부재(115)는 흡음기능을 갖는 다양한 소재를 실시예에 따라 적합한 소재를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바닥패널유닛의 절단면을 보인 단면도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은 상기 몸체부(100)의 천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제 2테두리부(121), 상기 몸체부(100)의 천장면에 상기 제 2테두리부(121)에 의하여 공간이 형성되는 제 2공간부(122), 상기 제 2공간부(122)의 바닥면에 상기 제 2테두리부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제 2요철부(123), 상기 제 2테두리부(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되는 제 2홈부(124), 상기 제 2홈부(124)에 삽입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흡음부재(1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은 판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바닥면 및 천장면에는 각각 상기 제 1테두리부(111) 및 상기 제 2테두리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0)의 바닥면 및 천장면에는 각각 상기 제 1공간부(112) 및 상기 제 2공간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공간부(112)에는 상기 제 1요철부(113)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 2공간부(122)에는 제 2요철부(123)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1테두리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되는 상기 제 1홈부(114) 및 상기 제 1홈부(114)에 삽입되는 상기 제 1흡음부재(115)가 배치되고,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의 천장면에는 상기 제 2테두리부(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되는 상기 제 2홈부(124) 및 상기 제 2홈부(124)에 삽입되는 상기 제 2흡음부재(125)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은 바닥면과 천장면이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바닥면과 천장면이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은 몸체부(100)의 바닥면 및 천장면에 테두리부, 공간부, 요철부, 홈부 및 흡음부재를 각각 구성함으로써, 바닥슬라브와의 뜬바닥 구조 뿐만 아니라,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 상부에 배치되는 난방패널구조와의 사이에서도 제 2의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을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 이중의 공기층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의 충격에너지 감쇄 효과 및 측면으로의 진동 전달 등의 효과는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제 2테두리부(121), 상기 제 2공간부(122), 상기 제 2요철부(123), 상기 제 2홈부(124), 및 상기 제 2흡음부재(125)에 대한 상술한 구성은 상기 제 1테두리부(111), 상기 제 1공간부(112), 상기 제 1요철부(113), 상기 제 1홈부(114) 및 상기 제 1흡음부재(115)의 특징 및 구조 등을 참고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은 상기 제 1요철부(113)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공간부(112)를 구획하는 제 1격벽(11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은 상기 제 1공간부(112)를 구획하는 제 1격벽(117)을 선택적으로 추가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1테두리부(111)와 접촉되는 바닥슬라브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바닥슬라브 상에 배치된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 1격벽(117)은 실시예에 따라 다수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바닥패널유닛의 제 3공간부(131)를 보인 절단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의 몸체부(100)는 상기 제 1공간부(112)를 갖는 하부판(110)과 상기 제 2공간부(122)를 갖는 상부판(120)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하부판(110)은 상기 제 1테두리부(111), 상기 제 1공간부(112), 상기 제 1요철부(113), 상기 제 1홈부(114), 상기 제 1흡음부재(115)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상부판(120)은 상기 제 2테두리부(121), 상기 제 2공간부(122), 상기 제 2요철부(123), 상기 제 2홈부(124), 상기 제 2흡음부재(125)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하부판(110) 및 상기 상부판(120)이 접촉면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의 몸체부(100)의 내부에 중공형태로 공간이 형성되는 제 3공간부(1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3공간부(131)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3공간부(131)는 상기 하부판(110)과 상기 상부판(120)의 접촉면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판(110)과 상기 상부판(120)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3공간부(131)는 폐쇄된 구조로 제 3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에너지 또는 진동 감쇄를 위한 흡음공간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공간부(131)는 그 자체의 공간으로도 층간소음 저감 효과를 가질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3공간부(131) 내에 별도의 흡음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시예에서, 상기 제 3공간부(131)에 내장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3흡음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3공간부(131)에 상기 제 3흡음부재를 배치한 이후에, 상기 상부판(120)과 상기 하부판(110)을 결합시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바닥패널유닛의 제 3공간부(131)의 개폐부(135)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공간부(131)에 제 3흡음부재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에 상기 제 3공간부(131)와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개폐부(135)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개폐부(135)에 의해 상기 제 3공간부(131)에 제 3흡음부재를 선택적으로 내장시키거나, 교체, 교환 또는 제거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3흡음부재는 상기 제 1흡음부재(115) 및 상기 제 2흡음부재(125)와 동일한 재질이거나 또는 상이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은 몸체부(100)의 내부에 제 3의 공기층 또는 제 3의 흡음부재 수납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층간소음 저감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바닥패널유닛의 제 1측면홈부(141) 및 제 1측면돌기부(143)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을 B-B`로 절단한 절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의 몸체부(100)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 1측면홈부(141), 상기 몸체부(100)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측면홈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인접 배치되는 상기 제 1측면홈부(141)에 끼움결합가능한 제 1측면돌기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측면홈부(141) 및 상기 제 1측면돌기부(143)는 상기 흡음바닥패널유닛 다수개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흡음바닥패널유닛(1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 1측면홈부(141)는 제 2음바닥패널유닛(2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측면돌기부(143)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통해 본 발명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은 시공시 다수개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결합된 흡음바닥패널유닛은 하나의 흡음바닥패널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바닥패널조립체를 구성하는 흡음바닥패널유닛의 설치방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조를 갖는 흡음바닥패널유닛 다수개를 이용하여 하나의 흡음바닥패널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나의 흡음바닥패널조립체는, 하나의 제 1흡음바닥패널유닛(10)을 바닥에 위치시키고, 다른 하나의 제 2음바닥패널유닛(20)을 상기 제 1흡음바닥패널유닛(10)의 제 1홈부(114)와 상기 제 2음바닥패널유닛(20)의 제 1홈부(114)가 서로 직교되어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3흡음바닥패널유닛(30)을 상기 제 1흡음바닥패널유닛(10)의 제 1홈부(114)와 상기 제 3흡음바닥패널유닛(30)의 제 1홈부(314)와 서로 직교되어 위치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제 4흡음바닥패널유닛(40)의 제 1홈부(414)을 상기 제 2흡음바닥패널유닛(20)의 제 1홈부(214)와 서로 직교되어 위치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흡음바닥패널조립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홈부 및 상기 제 1홈부(114)에 삽입되는 제 1흡음부재(115)만이 구비된 제 1흡음바닥패널유닛(10)이 이웃하는 제 2음바닥패널유닛(2) 및 제 3흡음바닥패널유닛에 의해 상기 제 1흡음바닥패널유닛(10)의 모든 방향에 제 1흡음부재(115)가 배치된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흡음바닥패널조립체는 흡음효율 향상과 제조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노출면에는 복수개의 리브(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부(100)의 노출면 중 하나인 상기 제 1측면돌기부(143)에 복수개의 리브를 형성함에 따라 측면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에너지를 더욱 감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흡음바닥패널조립체 10: 제1 흡음바닥패널유닛
20: 제2 흡음바닥패널유닛 30: 제 3흡음바닥패널유닛
40: 제 4흡읍바닥패널유닛 100: 몸체부
110: 하부판 111: 제 1테두리부
112: 제 1공간부 113: 제 1요철부
114: 제 1홈부 115: 제 1흡음부재
117: 격벽 120: 상부판
121: 제 2테두리부 122: 제 2공간부
123: 제 2요철부 124: 제 2홈부
125: 제 2흡음부재 131: 제 3공간부
133: 제 3흡음부재 135: 개폐부
141: 제 1측면홈부 143: 제 1 측면돌기부

Claims (9)

  1. 판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4개로 형성된 제 1테두리부(111);
    상기 몸체부(100)의 바닥면에 상기 제 1테두리부(111)에 의하여 공간이 형성되는 제 1공간부(112);
    상기 제 1공간부(112)의 바닥면에 상기 제 1테두리부(111)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제 1요철부(113);
    상기 제 1테두리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되는 제 1홈부(114);
    상기 제 1홈부(114)에 삽입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흡음부재(11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홈부(114)는 상기 제 1테두리부(111) 4개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바닥패널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천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제 2테두리부(121);
    상기 몸체부(100)의 천장면에 상기 제 2테두리부(121)에 의하여 공간이 형성되는 제 2공간부(122);
    상기 제 2공간부(122)의 바닥면에 상기 제 2테두리부(121)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제 2요철부(123);
    상기 제 2테두리부(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되는 제 2홈부(124);
    상기 제 2홈부(124)에 삽입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흡음부재(1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바닥패널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간부(112)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요철부(113)와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제 1요철부고정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바닥패널유닛.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요철부(113)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공간부(112)를 구획하는 제 1격벽(11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바닥패널유닛.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제 1공간부(112)를 갖는 하부판(110);
    상기 제 2공간부(122)를 갖는 상부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판(110) 및 상기 상부판(120)이 접촉면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바닥패널유닛.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중공형태로 공간이 형성되는 제 3공간부(1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바닥패널유닛.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공간부(131)에 내장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3흡음부재(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바닥패널유닛.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에 상기 제 3공간부(131)와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개폐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바닥패널유닛.
  9. 제 1항의 흡음바닥패널유닛을 이용하여,
    하나의 제 1흡음바닥패널유닛(10)을 바닥에 위치시키고, 다른 하나의 제 2흡음바닥패널유닛(20)을 상기 제 1흡음바닥패널유닛(10)의 제 1홈부(114)와 상기 제 2흡음바닥패널유닛(20)의 제 1홈부(214)가 서로 직교되어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바닥패널조립체.
KR1020190140889A 2019-11-06 2019-11-06 흡음바닥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흡음바닥패널조립체 KR102108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889A KR102108770B1 (ko) 2019-11-06 2019-11-06 흡음바닥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흡음바닥패널조립체
CN202011215957.XA CN112780045A (zh) 2019-11-06 2020-11-04 吸音地板镶板单元及利用其的吸音地板镶板组装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889A KR102108770B1 (ko) 2019-11-06 2019-11-06 흡음바닥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흡음바닥패널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770B1 true KR102108770B1 (ko) 2020-05-08

Family

ID=7067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889A KR102108770B1 (ko) 2019-11-06 2019-11-06 흡음바닥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흡음바닥패널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8770B1 (ko)
CN (1) CN1127800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313A (ko) * 2021-09-09 2023-03-16 이광우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패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1959A (ko) * 2003-03-17 2004-09-23 이실근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
KR100748945B1 (ko) * 2006-05-11 2007-08-14 김재열 바닥시공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01550B1 (ko) 2013-06-24 2013-08-28 유인섭 층간 소음방지용 바닥패널
KR101454900B1 (ko) * 2013-06-17 2014-11-03 양동을 층간차음재
KR20180114683A (ko) * 2017-04-11 2018-10-19 지용남 공동주택용 층간소음 방지용 강화마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2873A (ja) * 1993-05-19 1994-11-22 Nitsuseki House Kogyo Kk 断熱・遮音構造床及びその構成方法
CN100363579C (zh) * 2005-09-29 2008-01-23 黄清华 多隔音层地板
CN201217932Y (zh) * 2008-05-13 2009-04-08 孙小耕 低噪音增强型钢质活动地板
CN202202526U (zh) * 2011-03-08 2012-04-25 陈良朴 模块可填入式地面覆盖板
CN202081611U (zh) * 2011-04-14 2011-12-21 深圳市建辰实业有限公司 复合塑胶地板
CN103924770A (zh) * 2014-05-06 2014-07-16 湖州市南浔祥龙木业制造厂 一种隔音木地板
CN207332205U (zh) * 2017-05-26 2018-05-08 浙江龙森木业有限公司 减震静音复合地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1959A (ko) * 2003-03-17 2004-09-23 이실근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용 조립판넬
KR100748945B1 (ko) * 2006-05-11 2007-08-14 김재열 바닥시공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54900B1 (ko) * 2013-06-17 2014-11-03 양동을 층간차음재
KR101301550B1 (ko) 2013-06-24 2013-08-28 유인섭 층간 소음방지용 바닥패널
KR20180114683A (ko) * 2017-04-11 2018-10-19 지용남 공동주택용 층간소음 방지용 강화마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313A (ko) * 2021-09-09 2023-03-16 이광우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패널
KR102557475B1 (ko) * 2021-09-09 2023-07-18 이광우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80045A (zh)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JP6409137B2 (ja) 床材
KR20110020099A (ko) 공기층으로 소음을 유도하는 층간소음 방지장치
KR101480328B1 (ko) 복층구조의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
KR102108770B1 (ko) 흡음바닥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흡음바닥패널조립체
KR200406673Y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KR200494718Y1 (ko) 난방 배관 판넬
KR100684686B1 (ko) 층간차음재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101492208B1 (ko) 공동주택의 바닥과 벽체로 전달되는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KR200433766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236412Y1 (ko) 건물 바닥재용 방음보드
KR200393594Y1 (ko) 진동량 저감을 위한 바닥층 댐핑부재
KR102438047B1 (ko) 건축용 바닥 패널 조립체
KR100645116B1 (ko) 제진 기능을 갖는 바닥 시스템
KR100638852B1 (ko) 진동량 저감을 위한 댐핑부재가 내장된 바닥 시공방법
KR200473232Y1 (ko) 층간소음재
KR101699725B1 (ko) 건축물용 층간 차음재
KR20160046062A (ko) 댐핑패널과 바닥구조물 및 댐핑패널의 제조방법
KR100692315B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200315058Y1 (ko) 공동주택의 층간 충격음 차단판
KR100825889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914333B1 (ko) 층간 소음 및 진동 저감 부재와 이를 사용한 시공 방법
KR101639372B1 (ko) 주택의 실내 바닥 구조체와 이의 시공방법
KR200475111Y1 (ko) 모서리 보강 구조를 갖는 건축물 슬래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