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652B1 -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 Google Patents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652B1
KR102553652B1 KR1020210112076A KR20210112076A KR102553652B1 KR 102553652 B1 KR102553652 B1 KR 102553652B1 KR 1020210112076 A KR1020210112076 A KR 1020210112076A KR 20210112076 A KR20210112076 A KR 20210112076A KR 102553652 B1 KR102553652 B1 KR 102553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lamping plate
chain
carrying mechanism
fixed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0171A (ko
Inventor
징-산 장
Original Assignee
산제트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제트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산제트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10112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652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23Q3/1571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 B23Q3/157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the storage device comprising rotating or circulating storing means
    • B23Q3/15724Chain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23Q3/1571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 B23Q3/157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the storage device comprising rotating or circulating storing means
    • B23Q3/1575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the storage device comprising rotating or circulating storing means the storage means rotating or circulating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로서, 프레임, 트랙, 이동 유닛 및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고, 여기서, 트랙은 프레임에 설치되고 호형 구간을 구비하며, 이동 유닛은 트랙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동 유닛은 공구 포트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할 수 있는 공구 클램프를 구비하며, 작동 실린더은 프레임에 편향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작동 실린더의 푸시풀 로드는 상기 이동 유닛을 밀거나 당겨, 공구 포트가 두 고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공구 포트의 스윙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TOOL TRANSPORTATION MECHANISM OF CHAIN-TYPE TOOL MAGAZINE}
본 발명은 머시닝 센터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작 기계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은 체인 상에 복수개의 공구 포트가 장착되어 있고, 공구 포트에 공구 생크가 삽입되어 있으며, 공구 생크에 가공에 사용되는 공구가 결합되어 있다. 체인을 회전시킴으로써, 공구 생크의 위치를 변경하여 후속 공구 취출 작업에서 적절한 공구를 정확하게 꺼내서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가공 환경의 요구에 따라, 기존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이 제공하는 공구 취출 방식은 소정의 위치에 대만 특허 공보 제I496654호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가이드 기구」, 제I424899호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가이드 기구(3)」와 같은 공구 가이드 기구를 설치하여, 공구 가이드 기구를 통해 직접 해당 부분의 공구 포트를 밖으로 밀어내 90도 회전시킴으로써, 공구 교환 기구의 공구 교환 암이 상기 공구 포트 상의 공구 생크에 순조롭게 클램핑되어 꺼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있고; 또한 소정의 위치에 푸시 이동 기구를 설치하여, 체인 상의 공구 포트가 밖으로 평행 이동하게 밀어내 체인과 분리시키며, 공구 포트가 공구 클램핑 위치로 끌려가 공구 교환 기구의 공구 교환 암에 의해 클램핑되도록 하며, 상기 기술은 대만 특허 공보 제I424899호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푸시 이동 보조 기구」와 같다.
상기 공구 가이드 기구를 구비한 특허 기술에서의 공구 포트는 체인과 분리된 적이 없으며, 제자리에서만 90도 회전하므로, 적용 범위를 무의식적으로 제한하게 되며; 상기 푸시 이동 기구를 구비한 특허 기술은 비록 공구 포트를 밖으로 밀어내 체인과 분리시킬 수 있지만, 공구 포트는 평행 이동 방식으로 밀려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 범위가 여전히 제한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공구 포트를 체인과 분리시킬 수 있고 공구 포트의 스윙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를 두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를 제공하며, 상기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는 프레임, 트랙, 이동 유닛 및 작동 실린더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랙은 프레임에 설치되고 호형 구간을 구비하며; 이동 유닛은 슬라이드 및 공구 클램프를 포함하고, 슬라이드는 트랙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공구 클램프는 고정 클램핑판 및 이동 클램핑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클램핑판은 상기 슬라이드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이동 클램핑판과 상기 고정 클램핑판이 상기 공구 포트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도록 상기 이동 클램핑판은 상기 고정 클램핑판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으며; 작동 실린더는 작용력을 받아 전후 이동할 수 있는 푸시풀(push-pull)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푸시풀 로드가 전후 이동하면 상기 트랙의 호형 구간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공구 포트가 두 위치 사이에서 왕복하도록 구동하고, 동시에 공구 포트의 스윙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체인형 공구 매거진이 더욱 다양한 선택 및 응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구 운반 기구를 포함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구 운반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구 운반 기구의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고, 공구 포트가 대기 위치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공구 운반 기구 중 일부 구성 요소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평면도로서, 공구 포트가 공구 클램핑 위치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구 운반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공구 운반 기구 중 일부 구성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구 운반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공구 운반 기구 중 일부 구성 요소의 분해도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공구 운반 기구 중 일부 구성 요소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더욱 명백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면과 결합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구 운반 기구(100)를 포함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200)이고, 상기 체인형 공구 매거진(200)은 베이스(201) 및 제어를 받으면서 베이스(201) 주변을 따라 회전할 수 있는 체인(202)을 포함하고, 체인(202) 상에는 복수개의 공구 포트(203)가 탑재되고, 공구 포트(203)는 내부에 공구 생크(204)가 삽입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공구 운반 기구(100)는 베이스(201)의 일측에 장착되어, 공구 포트(203)가 두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하며, 공구 포트(203)는 두 위치에 위치할 때의 스윙 방향이 다르고, 상기 두 위치는 각각 대기 위치와 공구 클램핑 위치이며, 상기 대기 위치는 공구 포트(203)의 체인(202) 상의 소정 위치를 의미하고, 상기 공구 클램핑 위치는 공구 교환 암이 공구 포트를 클램핑하여 취출하도록 공구 포트(203)가 소정 위치에서 공구 교환 기구(미도시)에 가깝게 이동된 위치를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공구 운반 기구(100)는 프레임(10), 트랙(20), 이동 유닛(30) 및 작동 실린더(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10)은 베이스(201)에 고정 연결되며; 트랙(20)은 프레임(10)의 표면에 설치되고, 트랙(20)은 호형 구간(22), 제1 직선 구간(24) 및 제2 직선 구간(26)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직선 구간(24) 및 상기 제2 직선 구간(26)은 상기 호형 구간(22)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직선 구간(24) 및 상기 제2 직선 구간(26)의 연장 방향은 수직되게 교차 설치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 유닛(30)은 공구 포트(203)가 트랙(2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이며, 슬라이드(31), 풀리(32), 공구 클램프(33), 가이드 로드(34), 스프링(35), 위치 제한 로드(36), 스윙 암(37), 힌지축(38) 및 중간 부재(39)를 포함한다. 여기서, 슬라이드(31)는 밑판(311) 및 두 스티어링 베이스(312)를 포함하고, 밑판(311)의 밑면에 두 기둥(313)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두 스티어링 베이스(312)의 중간 부위에 대응되는 기둥(313)이 각각 연결 설치되어 기둥(31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스티어링 베이스(312)의 회전 원활성을 향상시키도록 스티어링 베이스(312)와 기둥(313) 사이에 베어링(314)이 장착된다. 풀리(32)의 개수는 복수개이고, 둘씩 짝을 이루는 방식으로 스티어링 베이스(312)의 양단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풀리(32)들은 트랙(20)의 양측에 분포되어 트랙(20)에 접촉하여, 슬라이드(31)가 트랙(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바람직하게, 트랙(20)의 둘레에 리브(28)가 있고, 풀리(32)는 리브(28)와 세팅되는 오목홈(32a)을 구비하고, 이로써 슬라이드(31)가 트랙(20)에 결합되는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공구 클램프(33)는 공구 포트(203)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기 위한 것이다. 공구 클램프(33)는 고정 클램핑판(331) 및 이동 클램핑판(332)을 포함하며, 고정 클램핑판(331)은 슬라이드(31)에 고정 연결되고, 이동 클램핑판(332)은 상기 슬라이드(31)에 접촉하지 않지만 상기 고정 클램핑판(33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클램핑판(331)은 상기 밑판(311)에 수직되게 고정 연결되고, 고정 클램핑판(331)은 가로 방향의 절개홈(331a) 및 가로 방향으로 돌출된 클램핑 블록(331b)을 구비하고, 고정 클램핑판(331)은 상기 절개홈(331a)을 경계로 상하 부분에 각각 관통홀(331c)을 구비한다. 이동 클램핑판(332)은 개수가 상기 관통홀(331c)과 상당한 가이드 로드(34)가 고정 연결되고, 가이드 로드(34)의 일단은 대응되는 관통홀(331c)을 관통하고, 또한 스프링(35)과 와셔(40)를 차례로 관통하여 너트(41)로 구성된 멈춤부가 잠금 고정되고, 이로써, 이동 클램핑판(332)은 편향되지 않으면서 상기 고정 클램핑판(331)에 상대적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공구 클램프(33)가 정상 상태일 경우, 즉 체인(202)이 제어를 받으면서 작동할 경우, 공구 포트(203)는 체인(202)의 작동에 따라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상기 고정 클램핑판(331)과 상기 이동 클램핑판(332)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5)의 양단은 각각 상기 고정 클램핑판(331) 및 상기 너트(41)에 작용하며, 공구 포트(203)가 대기 위치를 이탈하면, 스프링(35)의 탄력은 상기 이동 클램핑판(332)이 상기 고정 클램핑판(331)에 가까워지도록 하여(도 8에서 가상선은 이동 클램핑판(332)이 고정 클램핑판(331)에 가까워지는 것을 의미함), 공구 포트(203)가 고정 클램핑판(331)의 클램핑 블록(331b)과 이동 클램핑판(332) 사이에 안정적으로 클램핑되도록 보장하며; 반대로, 이동 클램핑판(332)이 고정 클램핑판(331)에서 상대적으로 멀어지면, 공구 포트(203)은 언클램핑될 수 있다. 특히, 클램핑된 공구 포트(203)가 실수로 공구 클램프(33)로부터 미끄러져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클램핑 블록(331b)과 이동 클램핑판(332)에 미끄럼 방지 구조를 추가 설치하거나, 또는 본 실시예와 같이 공구 포트(203)에 위치 고정홀(204a)로 구성된 위치 고정 오목부가 설치되고, 이동 클램핑판(332)에 돌출 블록(332a)으로 구성된 위치 고정 돌출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돌출 블록(332a)이 위치 고정홀(204a)에 삽입되는 것을 이용하여 공구 포트(203)가 부주의로 미끄러져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상기 돌출 블록(332a)은 물론 필요에 따라 고정 클램핑판(331)의 클램핑 블록(331b)에 설치하거나, 또는 동시에 이동 클램핑판(332)과 클램핑 블록(331b)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위치 고정홀(204a) 및 돌출 블록(332a)은 치환될 수 있고 개수는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 클램핑판(331)에 하나 이상의 위치 제한 로드(36)를 고정 연결하고, 이동 클램핑판(332)에 개수가 상기 위치 제한 로드(36)에 상당하는 관통홀(332b)을 설치할 수 있으며, 위치 제한 로드(36)는 관통홀(332b)을 관통하고, 이로써 이동 클램핑판(332)이 고정 클램핑판(33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유닛(30)의 스윙 암(37)은 상기 힌지축(38)을 통해 프레임(10)에 피벗 연결되고, 스윙 암(37)은 긴 슬롯(37a)을 구비하며, 조립 시 먼저 중간 부재(39)를 긴 슬롯(37a)에 배치한 다음, 중간 부재(39)를 상기 절개홈(331a) 내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축(42)을 상기 고정 클램핑판(331)에 관통시켜 상기 중간 부재(39)에 맞춰 관통시킴으로써, 스윙 암(37)이 상기 고정 클램핑판(331)에 대해 분리될 수 없게 하고, 스윙 암(37)은 힌지축(38)을 받침 점으로 하여 스윙할 수 있지만 상기 긴 슬롯(37a)의 길이 범위 내에서만 스윙할 수 있다. 상기 중간 부재(39)는 긴 슬롯(37a)의 벽면과 항상 접촉하기 때문에, 중간 부재(39)는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회전할 수 있으면 좋고, 바람직하게, 중간 부재(39)는 베어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부재(39)는 고정 클램핑판(331)에 연결 설치되지만, 실무에 있어서는, 고정 클램핑판(331)과 슬라이드(31)의 밑판(311)이 일체로 제작될 경우, 중간 부재(39)가 슬라이드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공구 운반 기구(100)의 작동 실린더(50)는 편향 가능한 방식으로 프레임(10)에 연결 설치되어, 이동 유닛(30)을 밀거나 당겨 공구 포트(203)가 도 4에 도시된 대기 위치(P1)와 도 9에 도시된 공구 클램핑 위치(P2)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작동 실린더(50)는 실린더 본체(52) 및 푸시풀 로드(54)를 포함하며, 여기서, 실린더 본체(52)의 후단(52a)은 프레임(10)에 피벗 연결되고, 푸시풀 로드(54)의 일부는 실린더 본체(52)의 선단(52b)으로부터 실린더 본체(52) 내로 삽입되며, 푸시풀 로드(54)는 실린더 본체(52)의 내부 작용력의 변화를 견디면서 전후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작용력의 변화는 기압 또는 유압과 같은 압력 변화이다. 상기 푸시풀 로드(54)의 실린더 본체(52)의 외부로 노출된 일단은 축(56)을 통해 상기 스윙 암(37)에 피벗 연결되고, 본 실시예에서, 푸시풀 로드(54)와 스윙 암(37)이 피벗 연결된 부위는 상기 힌지축(38)과 상기 긴 슬롯(37a) 사이에 있고, 스윙 암(37)의 긴 슬롯(37a)의 설계와 결합하면, 푸시풀 로드(54)가 실린더 본체(52)에 대해 신장 또는 수축하도록 제어될 경우, 스윙 암(37)은 상기 슬라이드(31)가 트랙(20)의 제1 직선 구간(24), 호형 구간(22) 및 제2 직선 구간(26)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동하여, 공구 포트(203)를 먼저 평행 이동하게 밀어내고 방향을 90도 돌린 후 계속하여 일정 거리만큼 평행 이동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실린더 본체(52)는 적시적으로 편향하여 슬라이드(31)의 슬라이딩이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트랙(20)에 호형 구간(22)만 있고 직선 구간이 없는 설계일 경우, 상기 스윙 암(37)은 긴 슬롯(37a)을 설치할 필요 없이 슬라이드(31)가 상기 호형 구간(22)의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직접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공구 포트(203)가 대기 위치(P1) 및/또는 공구 클램핑 위치(P2)에 확실히 멈추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프레임(10)에 멈춤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선택하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일측에 멈춤판(11)이 고정 연결되고, 멈춤판(11)의 중간 부위에 볼트(12)로 구성된 멈춤 부재가 잠금 연결되며, 이동 클램핑판(332)의 외측면이 상기 볼트(12)의 헤드에 닿으면 공구 포트(203)가 공구 클램핑 위치(P2)(도 9 참조)에 멈춘 것을 의미하고; 멈춤판(11)의 일측에는 또 받침 홀더(13)가 설치되어 있고, 받침 홀더(13)는 호형 접촉면을 구비하여 공구 생크(204)의 일부 외주면이 맞닿도록 한다. 또한, 프레임(10)의 일측에는 또 기둥체(14)가 세워 설치되어 있고, 기둥체(14)에 본 발명에서 정의한 멈춤 부재를 구성하는 볼트(15)가 잠금 연결되어 있으며, 공구 포트(203)가 공구 클램핑 위치(P2)에서 대기 위치(P1)(도 4 참조)로 당겨지면, 이동 유닛(30)의 가이드 로드(34)의 너트(41)가 잠금 고정된 일단은 가장 먼저 볼트(15)의 헤드에 닿으면서 이동 클램핑판(332)이 계속 이동할 수 없게 하지만, 이때의 슬라이드(31)는 여전히 작동 실린더(50)에 의해 당겨지면서 단거리 이동하고, 상기 단거리는 고정 클램핑판(331)과 이동 클램핑판(332)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하므로, 공구 포트(203)가 언클램핑될 수 있고, 언클램핑된 공구 포트(203)는 동시에 체인(202)에 결합되어 체인(202)에 의해 회전하며, 공구 포트(203)와 체인(202) 사이의 결합 또는 분리는 본 발명의 중점이 아니므로,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볼트(15)가 기둥체(14)에 잠기는 깊이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가이드 로드(34)가 볼트(15)의 헤드에 닿는 시점을 변경하여, 공구 포트(203)가 언클램핑되는 시점에 동시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물론, 공구 포트(203)의 언클램핑 시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고려하지 않으면, 볼트(15)를 설치할 필요 없이 기둥체(14)로 멈춤 부재를 직접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구 운반 기구(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구 운반 기구(100A)이며, 상기 제1 실시예와 유사한 프레임(10A), 트랙(20A), 이동 유닛(30A) 및 작동 실린더(50A)를 구비하고, 다른 점이라면, 상기 이동 유닛(30A) 중의 중간 부재(43)는 고정 클램핑판(44)의 상측에 직접 설치되고, 이동 유닛(30A)의 스윙 암(45)은 힌지축(46)을 경계로 제1 암 구간 및 제2 암 구간으로 구분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윙 암(45)은 축관(451)이 힌지축(46)에 끼워지고 축관(451)의 상단 및 하단이 상부 암(452)과 하부 암(453)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되며, 하부 암(453)은 본 발명에서 정의한 제1 암 구간을 구성하고 긴 슬롯(454)을 구비하며, 상기 중간 부재(43)는 긴 슬롯(454) 내에 위치하고, 상부 암(452)은 본 발명에서 정의한 제2 암 구간을 구성한다. 상기 작동 실린더(50A)는 실린더 본체(57)의 선단 부위의 축대(57a)로 두 클램핑판(58) 사이에 피벗 연결되어 편향될 수 있고, 작동 실린더(50A)의 푸시풀 로드(59)의 일단은 상기 상부 암(452)의 자유단 부위에 피벗 연결되며, 이로써, 푸시풀 로드(59)가 실린더 본체(57)에 대해 신장 또는 수축하도록 제어될 경우, 상기 스윙 암(45)은 슬라이드(47)가 트랙(20A)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공구 포트가 두 위치 사이에서 왕복하도록 구동하고 동시에 스윙 방향을 변경하는 목적을 실현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기반한 트랙(20A)도 마찬가지로 호형 구간의 양단에 수직으로 교차하게 설치되는 직선 구간이 각각 연결되고, 힌지축(46)은 두 작용단(즉 푸시풀 로드(59)가 상부 암(452)에 피벗 연결된 부위 및 상기 중간 부재(43)가 위치하는 위치) 사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긴 슬롯(454)은 한 직선 구간(454a) 및 두 터닝 구간(454b)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 터닝 구간(454b)은 직선 구간(454a)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직선 구간(454a)에 대해 편각을 이루는 방식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드(47)가 트랙(20A) 위에서 순조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상기 각 실시예의 작동 실린더(50)(50A)는 편향 가능한 방식으로 프레임(10)(10A)에 연결 설치되나, 기타 실시예에서, 작동 실린더가 프레임에 고정되어 편향되지 않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 및 목적을 실현할 수 있고,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구 운반 기구(100B)가 바로 하나의 예이며, 상기 공구 운반 기구(100B)는 구조 특징이 상기 각 실시예와 유사한 프레임(10B), 트랙(20B), 이동 유닛(30B) 및 작동 실린더(50B)를 구비하고, 이하 본 실시예와 상기 실시예의 다름 점을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 유닛(30B) 중의 중간 부재(60)는 슬라이드(61)의 밑판(61a)에 연결 설치되며, 힌지축(62)는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프레임(10B)에 관통 설치되고, 힌지축(62)의 상반부는 프레임(10B) 외부에 위치하고, 힌지축(62)의 하반부는 프레임(10B) 내부에 위치하고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기어부(62a)를 구비한다. 스윙 암(63)의 일단은 긴 슬롯(63a)을 구비하고, 중간 부재(60)는 상기 긴 슬롯(63a) 내에 위치하며, 스윙 암(63)의 타단은 상기 힌지축(62)에 연결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스윙 암(63)과 힌지축(62) 사이는 구속 블록(64)을 통해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속 블록(64)은 축홀(64a)을 구비하고, 힌지축(62)의 상반부는 축홀(64a)을 관통하며, 축홀(64a)의 둘레에 복수개의 나사홀(64b)이 분포되어 있고, 상기 스윙 암(63)은 복수의 볼트(65)가 스윙 암(63) 상의 관통홀(63b)을 관통하여 구속 블록(64)의 대응되는 나사홀(64b)에 잠기는 것을 통해 힌지축(62)과 고정 연결되는 목적을 실현하며; 상기 구속 블록(64)은 또 한 절개홈(64c) 및 두 잠금홀(64d)을 구비하고, 절개홈(64c)은 축홀(64a)과 외부를 연통시키고, 잠금홀(64d)에는 볼트(66)가 잠기고, 볼트(66)가 잠금홀(64d)에 잠기는 깊이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절개홈(64c)의 폭을 변경하여, 구속 블록(64)이 축홀(64a)의 벽면으로 힌지축(62)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구속 블록(64)이 힌지축(62)을 클램핑할 경우, 상기 스윙 암(63)은 회전하는 힌지축(62)에 의해 구동되어 스윙할 수 있고; 상기 구속 블록(64)이 힌지축(62)을 언클램핑한 상태에서, 구속 블록(64)은 힌지축(62)에 대해 조정되면서 회전할 수 있어, 상기 스윙 암(63)의 편향 각도를 추가로 변경하여, 구속 블록(64)이 다시 힌지축(62)을 클램핑할 경우, 스윙 암(63)이 슬라이드(61)를 구동하여 트랙(20B)을 따라 순조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속 블록(64)의 설치는 구성 부재의 장착을 더욱 유연성 있게 하지만, 스윙 암(63)의 편향 각도와 슬라이드(61)의 이동 원활성 사이의 구성 관계를 정밀하게 계산하면, 구속 블록(64)을 생략하여, 스윙 암(63)을 힌지축(62)에 직접 고정 연결할 수 있다.
공구 운반 기구(100B)의 작동 실린더(50B)는 실린더 본체(67) 및 푸시풀 로드(68)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본체(67)는 프레임(10B)에 고정 연결되어 편향할 수 없으며, 푸시풀 로드(68)은 마찬가지로 실린더 본체(67)의 내부 작용력의 변화를 견디면서 전후 이동하고, 본 실시예의 푸시풀 로드(68)는 맞물림 전동 방식을 통해 상기 힌지축(62)을 구동하여 회전시키며,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푸시풀 로드(68)의 일단은 프레임(10B)을 관통하고 래크(69)에 연결 설치되며, 래크(69)는 상기 푸시풀 로드(68)의 전후 이동에 따라 동시에 직선 이동하고, 래크(69)와 힌지축(62) 상의 링기어부(62a)는 피니언(70)를 사이에 두고 연동되며, 이로써, 작동 실린더(50B)가 편향할 수 없는 경우에 힌지축(62)을 간접적을 회전시키고, 상기 스윙 암(63)을 통해 슬라이드(61)가 트랙(20B)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공구 포트(203)가 상기 대기 위치(P1)와 공구 클램핑 위치(P2)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목적을 실현한다. 참고로, 상기 피니언(70)는 힘의 전달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래크(69)가 힌지축(62) 상의 링기어부(62a)에 직접 맞물리고, 힌지축(62)의 회전 방향이 기대에 부합할 경우, 피니언(70)의 장착을 생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래크(69)를 힌지축(62)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바꿔 장착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안정 부재(71)를 래크(69)의 일측에 추가로 장착하여, 래크(69)가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정 부재(71)는 본 실시예의 휠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공구 운반 기구(100B)는 공구 포트(203)가 상기 대기 위치(P1)와 공구 클램핑 위치(P2)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구 포트(203)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지지 유닛은 평행되게 설치된 상부 지지판(72)과 하부 지지판(73)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은 호형 판재이고 트랙(20B)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부 지지판(72)의 일측은 연결판(74)을 통해 기둥체(75)에 고정 연결되고, 지지판(72)의 타측은 멈춤판(76)에 직접 고정 연결되어, 상부 지지판(72)은 높이 떠있게 설치하고; 하부 지지판(73)은 프레임(10B)에 직접 고정 연결되도록 하며, 상부 지지판(72)과 하부 지지판(73)이 서로 마주하는 일면이 지지면을 구성하고, 공구 포트(203)가 이동 유닛(30B)에 의해 구동되어 대기 위치(P1)를 이탈하여 상부 지지판(72)과 하부 지지판(73)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할 경우, 공구 포트(203)의 일부 외주면이 상기 지지면에 접촉하면서 안정적인 지지 효과를 얻는다. 상기 지지 유닛은 상부 지지판(72) 및 하부 지지판(73)을 포함하나, 실제 요구에 따라, 하부 지지판만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공구 포트(203)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지지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의 구조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설명해야 할 것은, 지지 유닛은 사용 상의 선택에 속하며, 공구 클램프가 공구 포트(203)를 안정적을 클램핑할 수 있으면, 지지 유닛은 선택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공구 운반 기구는 더욱 다양한 선택 및 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를 응용한 등가 변화는 모두 본 발명의 특허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100A, 100B: 공구 운반 기구
10, 10A, 10B: 프레임
11: 멈춤판
12: 볼트
13: 받침 홀더
14: 기둥체
15: 볼트
20, 20A, 20B: 트랙
22: 호형 구간
24: 제1 직선 구간
26: 제2 직선 구간
28: 리브
30, 30A, 30B: 이동 유닛
31: 슬라이드
311: 밑판
312: 스티어링 베이스
313: 기둥
314: 베어링
32: 풀리
32a: 오목홈
33: 공구 클램프
331: 고정 클램핑판
331a: 절개홈
331b: 클램핑 블록
331c: 관통홀
332: 이동 클램핑판
332a: 돌출 블록
332b: 관통홀
34: 가이드 로드
35: 스프링
36: 위치 제한 로드
37: 스윙 암
37a: 긴 슬롯
38: 힌지축
39: 중간 부재
40: 와셔
41: 너트
42: 축
43: 중간 부재
44: 고정 클램핑판
45: 스윙 암
451: 축관
452: 상부 암
453: 하부 암
454: 긴 슬롯
454a: 직선 구간
454b: 터닝 구간
46: 힌지축
47: 슬라이드
50, 50A, 50B: 작동 실린더
52: 실린더 본체
52a: 후단
52b: 선단
54: 푸시풀 로드
56: 축
57: 실린더 본체
57a: 축대
58: 클램핑판
59: 푸시풀 로드
60: 중간 부재
61: 슬라이드
61a: 밑판
62: 힌지축
62a: 링기어부
63: 스윙 암
63a: 긴 슬롯
63b: 관통홀
64: 구속 블록
64a: 축홀
64b: 나사홀
64c: 절개홈
64d: 잠금홀
65: 볼트
66: 볼트
67: 실린더 본체
68: 푸시풀 로드
69: 래크
70: 피니언
71: 안정 부재
72: 상부 지지판
73: 하부 지지판
74: 연결판
75: 기둥체
76: 멈춤판
200: 체인형 공구 매거진
201: 베이스
202: 체인
203: 공구 포트
203a: 위치 고정홀
204: 공구 생크
P1: 대기 위치
P2: 공구 클램핑 위치

Claims (15)

  1.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포트를 두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호형 구간을 구비한 트랙;
    슬라이드 및 공구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트랙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공구 클램프는 고정 클램핑판 및 이동 클램핑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클램핑판은 상기 슬라이드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이동 클램핑판과 상기 고정 클램핑판이 상기 공구 포트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도록 상기 이동 클램핑판은 상기 고정 클램핑판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는 이동 유닛; 및
    작용력을 받아 전후 이동할 수 있는 푸시풀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푸시풀 로드가 전후 이동하면 상기 트랙의 호형 구간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를 구동할 수 있는 작동 실린더;
    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은 제1 직선 구간 및 제2 직선 구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직선 구간 및 상기 제2 직선 구간은 상기 호형 구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직선 구간 및 상기 제2 직선 구간의 연장 방향은 수직되게 교차 설치되며; 상기 이동 유닛은 스윙 암, 힌지축 및 중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윙 암은 상기 힌지축을 통해 상기 프레임에 피벗 연결되며, 상기 스윙 암은 긴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고정 클램핑판 또는 상기 슬라이드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긴 슬롯 내에 위치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실린더는 편향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푸시풀 로드의 일단은 상기 스윙 암에 피벗 연결되고, 피벗 연결부는 상기 힌지축과 상기 긴 슬롯 사이에 위치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램핑판은 절개홈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절개홈 내에 위치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실린더는 편향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스윙 암은 상기 힌지축을 경계로 제1 암 구간 및 제2 암 구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암 구간은 상기 긴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푸시풀 로드의 일단은 상기 제2 암 구간에 피벗 연결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긴 슬롯은 한 직선 구간 및 두 터닝 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두 터닝 구간은 편각 방식으로 상기 직선 구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암은 상기 힌지축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작동 실린더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 연결되고, 푸시풀 로드는 맞물림 전동 방식으로 상기 힌지축을 구동하여 회전시키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푸시풀 로드에 연결 설치된 래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은 링기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래크는 상기 링기어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힌지축의 외부에 끼워지는 구속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 블록은 상기 힌지축에 대해 조정되면서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힌지축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스윙 암은 상기 구속 블록에 고정 연결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공구 포트가 두 위치 사이에 이동할 때, 상기 공구 포트는 상기 지지면에 접촉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평행되게 설치된 상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지판 및 상기 하부 지지판의 서로 마주하는 일면은 상기 지지면을 구비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로드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로드는 상기 고정 클램핑판을 관통하고 일단은 상기 이동 클램핑판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로드의 타단은 멈춤부를 구성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로드에 끼워지고 양단이 상기 멈춤부와 상기 고정 클램핑판에 각각 작용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제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제한 로드의 일단은 상기 고정 클램핑판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 클램핑판을 관통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의 멈춤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 실린더의 상기 푸시풀 로드가 상기 슬라이드를 구동하여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멈춤 부재는 상기 가이드 로드의 상기 멈춤부를 구비한 일단에 닿거나, 또는 상기 이동 클램핑판에 닿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포트와 상기 이동 클램핑판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돌출부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위치 고정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 클램핑판과 상기 고정 클램핑판이 상기 공구 포트를 클램핑할 경우, 상기 위치 고정 돌출부와 상기 위치 고정 오목부는 맞물리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15. 삭제
KR1020210112076A 2021-08-25 2021-08-25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KR102553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076A KR102553652B1 (ko) 2021-08-25 2021-08-25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076A KR102553652B1 (ko) 2021-08-25 2021-08-25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171A KR20230030171A (ko) 2023-03-06
KR102553652B1 true KR102553652B1 (ko) 2023-07-07

Family

ID=8550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076A KR102553652B1 (ko) 2021-08-25 2021-08-25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75842B (zh) * 2023-05-09 2023-09-29 冈田智能(江苏)股份有限公司 一种刀套外圆截面偏差检测装置、方法及链式刀库
CN116714950B (zh) * 2023-07-31 2023-09-29 常州睿科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车用减震器的自动化输送和储存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627B1 (ko) * 2016-10-31 2018-08-02 현대위아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공구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678A (ko) * 2014-07-31 2016-02-15 현대위아 주식회사 머시닝 센터용 툴포트 선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627B1 (ko) * 2016-10-31 2018-08-02 현대위아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공구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171A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3652B1 (ko)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JP5696095B2 (ja) 固定振れ止め
KR101022844B1 (ko) 클램핑 장치
KR102106522B1 (ko) 툴 매거진의 공구 교환 장치
JP5418997B2 (ja) クランプ装置
KR101761759B1 (ko) 클램프 장치
CN101172339B (zh) 具有多级传动装置的电动工具
KR101497075B1 (ko) 수치제어 공작기계
KR20150023698A (ko) 클램프 장치
US9597760B1 (en) Table clamp device and pallet changer
KR20010049285A (ko) 클램프장치
KR101927753B1 (ko) 파렛트 클램핑 장치
JP2002263736A (ja) ベンディングプレスのための板金追従装置
US6367135B1 (en) Device for producing relative motion with two translational degrees of freedom
JP3234582U (ja) チェーン式工具マガジンの工具搬送機構
US10877508B2 (en) Robot including stopper
US6582168B2 (en) Machine tool
JP2006297510A (ja) テレスコカバー装置
CN216357537U (zh) 压脚切换机构和钻孔机
CN100551579C (zh) 驱动装置
US5388934A (en) Machine tools
CN115609318A (zh) 链条式刀库的运刀机构
JP7180895B2 (ja) 位置決めテーブル
CN215432702U (zh) 链条式刀库的运刀机构
CN113560622B (zh) 一种机械加工钻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