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494B1 -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494B1
KR102553494B1 KR1020220146750A KR20220146750A KR102553494B1 KR 102553494 B1 KR102553494 B1 KR 102553494B1 KR 1020220146750 A KR1020220146750 A KR 1020220146750A KR 20220146750 A KR20220146750 A KR 20220146750A KR 102553494 B1 KR102553494 B1 KR 102553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film
winding
roller devic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경
Original Assignee
김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경 filed Critical 김태경
Priority to KR1020220146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8Attaching the leading end of the web to the replacement web-roll core or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8Arrangements for positively securing end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30Arrangements to facilitate driving or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19Starting winding process
    • B65H2301/41426Starting winding process involving suction means, e.g. core with vacuum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는, 필름을 권취하기 위한 코어가 구비되는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만큼 절단 형태로서 필름이 권취되는 원통 형상의 코어; 상기 코어 양단에 설치되어 필름을 상기 코어에 권취시키기 위해 상기 코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수단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코어에 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 중공부 공간에 잔존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ROLLER DEVICE FOR FILM WINDING}
본 발명은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코어에 필름을 권취하기 위해, 최초 코어의 필름 부착 시작지점에 필름이 부착되어 연속적으로 권취될 때, 필름 두께에 따른 단차가 발생하지 않고 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코어에 최초 필름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필름이 코어의 정확한 부착면 위치에 위치되고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필름의 권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필름의 권취 불량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막 형태의 필름은 최초 제조된 이후 코어에 권취되어 유통된다.
이때, 필름은 원통형 관 형태의 코어에 반복적으로 권취되게 되는데, 필름은 코어의 외주면 일측에 필름의 시작 단부가 부착된 이후 롤러 장치의 회전에 따라 코어의 반복적인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필름 권취 작업이 이루어진다.
즉, 필름은 시작 단부에 접착제가 구비되며 코어의 외주면 일측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부착된 이후 코어가 회전함에 따라 연속적인 필름 권취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필름의 시작 단부가 코어에 부착된 상태에서 권취 작업이 진행될 때, 필름의 두께에 의해 필름이 한 바퀴 권취된 이후 두 번째 권취가 이루어지면서 필름이 겹쳐지면서 단차(유격)가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필름이 단차가 발생된 상태로 코어에 권취되다 보면 필름이 규격 이상으로 신장되는 일이 발생하거나 주름이 발생된 상태로 권취됨으로써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필름이 변형되지 않고 코어에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하는 기술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루프형 파일 필름 롤 코어(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25302)'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루프형 파일 필름 롤 코어'는 필름의 두께에 따른 필름의 시작 단부에 발생하는 단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름 롤 코어의 원통형 튜브 외주면 표면에 탄성 루프형 파일 천을 구비함으로써 필름 두께의 의한 단차를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 탄성 루프형 파일 천 외주면에 필름을 권취하여 필름의 시작 단부의 단차를 해결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탄성 루프형 파일 천 표면에 필름을 부착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필름이 필름 롤 코어에 확실히 부착된 상태에서 필름 권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어, 필름이 코어로부터 밀리는 일이 발생하여 후속되는 권취 작업 시 필름의 특정 구간에서 접히거나 겹쳐져 필름의 원활한 권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이러한 필름의 권취 작업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결국 필름 롤 제품의 불량률이 증가하게 되어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25302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코어에 필름을 권취하기 위해, 최초 코어의 필름 부착 시작지점에 필름이 부착되어 연속적으로 권취될 때, 필름 두께에 따른 단차가 발생하지 않고 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코어에 최초 필름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필름이 코어의 정확한 부착면 위치에 위치되고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필름의 권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필름의 권취 불량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는, 필름을 권취하기 위한 코어가 구비되는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만큼 절단 형태로서 필름이 권취되는 원통 형상의 코어; 상기 코어 양단에 설치되어 필름을 상기 코어에 권취시키기 위해 상기 코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수단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코어에 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 중공부 공간에 잔존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는, 필름을 부착시 필름 두께에 의한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외주면 일측의 필름 부착 시작지점에 길이방향으로 접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홈은, 적어도 필름 두께만큼 외주면과의 높이차를 가지도록 단턱지게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홈은, 일측은 외주면에 대해 직각되게 형성되는 직각면부; 및 상기 직각면부에서부터 상기 코어의 외주면까지 이어지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상기 코어의 중공부분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공기흡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코어 양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코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 및 양측의 상기 밀폐부에 각각 설치되고, 회전축이 상기 밀폐부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부 및 상기 코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는, 양단 부분 측면에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에는,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도록 내측면 테두리 부분에 복수 개의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밀폐부가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 시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홈은, 각각이 외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부는, 내측 테두리 부분에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의 양단부분에는, 상기 테두리부가 끼움될 수 있도록 측면 테두리 부분이 단턱진 형상의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장치는, 상기 밀폐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 중공부 공간에 잔존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펌프; 및 상기 흡입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펌프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제어부는, 상기 코어에 필름이 권취될 때, 설정 횟수만큼 필름이 권취되면 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제어부는, 상기 감지모듈을 통해 상기 코어에 설정 횟수만큼 필름이 권취된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 흡입 동작을 정지하도록 상기 흡입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코어에 필름이 권취될 경우 필름이 상기 코어의 외주면과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밀착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감지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필름이 상기 코어의 접착홈에 부착된 이후 코어가 회전하면서 필름이 권취되는 과정에서 필름이 다시 상기 접착홈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필름의 권취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도록, 상기 코어의 접착홈 부근의 외주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코어의 접착홈 부근의 외주면상에 설치되되, 필름 내측면과 접촉함으로써 가압되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탄성을 가진 상태로 상기 코어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가압핀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핀은, 평상시 돌출된 형태로 유지되고, 필름이 상기 코어에 권취됨에 따라 필름과의 접촉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코어 외주면 위치까지 압축되고, 압축에 의해 위치가 변화하여 설정 위치에 도달하면 필름이 상기 코어의 설정 위치에 권취된 것으로 인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핀은, 필름이 상기 코어에 권취되어 압축된 상태가 되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는, 코어에 필름을 권취하기 위해, 최초 코어의 필름 부착 시작지점에 필름이 부착되어 연속적으로 권취될 때, 코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접착홈에 필름 시작부분이 부착됨으로써, 필름 두께에 따른 단차가 발생하지 않고 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홈상에 일정 간격마다 공기흡입홀을 형성하고 공기흡입장치를 통해 코어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코어에 최초 필름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필름이 코어의 정확한 부착면 위치에 위치되고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필름 시작부분이 코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후속적으로 권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필름의 주름에 의한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어, 필름의 권취 불량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의 코어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의 코어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의 코어 부분 사시도.
도 5는 감지모듈이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의 코어 부분 사시도.
도 6은 감지모듈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는, 코어에 필름을 권취하기 위해, 최초 코어의 필름 부착 시작지점에 필름이 부착되어 연속적으로 권취될 때, 필름 두께에 따른 단차가 발생하지 않고 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코어에 최초 필름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필름이 코어의 정확한 부착면 위치에 위치되고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필름의 권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필름의 권취 불량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의 코어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의 코어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크게 코어(10), 회전수단(20) 및 공기흡입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는 박막 형태의 필름을 유통하기 위해 권취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최초 원단 형태로 준비되는 필름을 일정 단위 양만큼씩 나누어 개별적인 롤 형태로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코어(10)는 일정 길이만큼 절단 형태로서 필름이 권취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어(10)는 원통 형상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예: 플라스틱)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중공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10)는 일정 양의 필름이 권취되기 위해 외주면이 평평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10)는 필름을 부착시 필름 두께에 의한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외주면 일측의 필름 부착 시작지점에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접착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필름은 단부에는 상기 코어(10)에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부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필름은 접착제 부분의 단부가 상기 코어(10)에 부착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권취될 경우 필름의 두께에 의한 단차를 없앨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접착홈(11)은 적어도 필름 두께만큼 외주면과의 높이차를 가지도록 단턱지게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10)는 기본적으로 외주면이 평평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로 인해, 코어(10)에 필름이 부착된 상태로 권취되게 되면 필름의 두께로 인해 필름이 겹쳐진 상태로 권취되면 필름의 시작지점에 도달할 경우 필름의 두께만큼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름 두께에 의한 단차를 없애기 위해 필름의 두께에 대응하는 상기 접착홈(11)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접착홈(11)은 일측은 상기 코어(10)의 외주면에 대해 직각되게 형성되는 직각면부(12) 및 상기 직각면부(12)에서부터 상기 코어(10)의 외주면까지 이어지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필름은 시작부분의 단부가 상기 직각면부(12)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어 상기 곡면부(13)까지 연결되도록 부착된 상태로 코어(10)에 권취되면 이후 필름이 코어(10)에 권취되기 위해 시작단부까지 권취되더라도 유격없이 단차가 없는 상태로 연속적으로 권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필름의 시작단부에 구비되는 접착제는 상기 곡면부(13)에 밀착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면적까지 도포되거나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곡면부(13)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상기 코어(10)의 중공부분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공기흡입홀(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홀(14)은 후술하는 공기흡입장치(30)를 통해 상기 코어(10)의 중공부분에 잔존하는 공기가 흡입될 경우 코어(10)에 밀착된 필름의 시작부분이 코어(10)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필름이 코어(10)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필름이 들뜨거나 주름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필름이 연속적으로 권취될 경우 필름이 코어(10) 또는 필름과 필름 사이에 공간이 생성되지 않고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필름이 코어(10)에 불량없이 권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회전수단(20)은 상기 코어(10) 양단에 설치되어 필름을 상기 코어(10)에 권취시키기 위해 상기 코어(10)를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수단(20)은 상기 코어(10) 양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코어(10)의 중공된 공간을 밀폐시키는 밀폐부(21) 및 양측의 상기 밀폐부(21)에 각각 설치되고, 회전축(26)이 상기 밀폐부(21)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부(21) 및 상기 코어(1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21)는 기본적으로 원판 형태로서 상기 코어(10)의 개방된 양단에 설치되어 코어(10)의 중공된 내부공간을 폐쇄시키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밀폐부(21)는 상기 구동부(24)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상기 코어(10)를 함께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밀폐부(21)는 중심부분에 상기 구동부(24)의 회전축(2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4)는 기본적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5)와 상기 모터(25)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밀폐부(21)에 결합되는 회전축(26)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24)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모터(25)의 회전축(26)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26)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코어(10)를 회전시켜 필름을 권취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공기흡입장치(30)는 상기 회전수단(20) 즉, 상기 밀폐부(21)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코어(10)에 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10) 중공부 공간에 잔존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흡입장치(30)는 상기 코어(10)의 접착홈(11)에 필름의 시작단부가 부착될 경우 필름이 코어(10)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고 접착되어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코어(10)의 중공부 내에 잔존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흡입홀(14)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고, 공기 흡입에 의해 필름이 상기 코어(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모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흡입장치(30)는 상기 밀폐부(21)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10) 중공부 공간에 잔존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펌프(31) 및 상기 흡입펌프(31)의 동작을 제어하는 펌프제어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펌프(31)는 유체(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회전력을 통해 일방향으로 유체가 이동하여 흡입력 또는 진공 상태를 발생시키기 위한 펌프의 일종이다.
이러한 상기 흡입펌프(31)는 방식에 따라 실린더 왕복운동에 의한 회전력을 발생시켜 흡입구를 통해 유체가 흡입되고 배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방식이나 또는 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흡입구를 통해 유체가 흡입되고 배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어느 한 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펌프제어부(32)는 상기 코어(10)에 필름이 권취될 때, 설정 횟수만큼 필름이 권취되면 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모듈(33)을 더 포함하고, 이때, 상기 펌프제어부(32)는, 상기 감지모듈(33)을 통해 상기 코어(10)에 설정 횟수만큼 필름이 권취된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 흡입 동작을 정지하도록 상기 흡입펌프(3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흡입장치(30)는 상기 코어(10)에 필름이 권취될 경우 최초 1회전 코어(10)가 회전할 때까지 필름의 시작단부가 접착되어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므로, 상기 공기흡입장치(30)는 코어(10)에 필름이 권취될 때 최초 1회전만큼 코어(10)가 회전하여 필름이 권취된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펌프(31)의 가동을 중지시키기 위해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의 코어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코어(10)는, 양단 부분 측면에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의 체결홈(15)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21)에는, 상기 체결홈(15)에 대응하도록 내측면 테두리 부분에 복수 개의 체결돌기(22)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15)에 상기 체결돌기(22)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밀폐부(21)가 상기 회전수단(20)의 구동부(24)에 의해 회전 시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홈(15)은 각각이 외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부(21)는 내측 테두리 부분에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10)의 양단부분에는, 상기 테두리부(23)가 끼움될 수 있도록 측면 테두리 부분이 단턱진 형상의 단턱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밀폐부(21)의 상기 테두리부(23)와 상기 코어(10)의 단턱부(16)를 통해, 상기 코어(10)의 양단부에 상기 밀폐부(21)가 부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돌기(22)가 상기 체결홈(15)의 위치까지 원활하게 안내되어 체결되도록 도모하고, 정확한 위치에 상기 밀폐부(21)가 정렬된 상태로 상기 코어(10)에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감지모듈이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의 코어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감지모듈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모듈(33)은 상기 코어(10)에 필름이 권취될 경우 필름이 상기 코어(10)의 외주면과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밀착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모듈(33)은 필름이 상기 코어(10)의 접착홈(11)에 부착된 이후 코어(10)가 회전하면서 필름이 권취되는 과정에서 필름이 다시 상기 접착홈(11)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필름의 권취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도록, 상기 코어(10)의 접착홈(11)부근의 외주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33)은 상기 코어(10)의 접착홈(11) 부근의 외주면상에 설치되되, 필름 내측면과 접촉함으로써 가압되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탄성을 가진 상태로 상기 코어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가압핀(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압핀(34)은 평상시 돌출된 형태로 유지되고, 필름이 상기 코어에 권취됨에 따라 필름과의 접촉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코어(10) 외주면 위치까지 압축되고, 압축에 의해 길이에 대한 위치가 변화하여 설정 위치에 도달하면 필름이 상기 코어(10)의 설정 위치에 권취된 것으로 인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필름이 상기 코어(10)에 권취되면서 상기 가압핀(34)을 가압한 상태가 되면 상기 펌프제어부(32)의 제어에 의해 상기 흡입펌프(31)의 동작이 정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핀(34)은 필름이 상기 코어(10)에 권취되어 압축된 상태가 되면 다시 원래 돌출된 위치로 복원되려는 성질에 의해 감지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핀(34)은 일종의 푸쉬스위치 방식으로서 한번 압축된 상태가 되면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는, 코어에 필름을 권취하기 위해, 최초 코어의 필름 부착 시작지점에 필름이 부착되어 연속적으로 권취될 때, 코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접착홈에 필름 시작부분이 부착됨으로써, 필름 두께에 따른 단차가 발생하지 않고 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접착홈상에 일정 간격마다 공기흡입홀을 형성하고 공기흡입장치를 통해 코어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코어에 최초 필름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필름이 코어의 정확한 부착면 위치에 위치되고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필름 시작부분이 코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후속적으로 권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필름의 주름에 의한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어, 필름의 권취 불량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코어 11: 접착홈
12: 직각면부 13: 곡면부
14: 공기흡입홀 15: 체결홈
16: 단턱부 20: 회전수단
21: 밀폐부 22: 체결돌기
23: 테두리부 24: 구동부
25: 모터 26: 회전축
30: 공기흡입장치 31: 흡입펌프
32: 펌프제어부 33: 감지모듈
34: 가압핀

Claims (15)

  1. 필름이 권취되는 원통 형상의 코어; 상기 코어 양단에 설치되어 필름을 상기 코어에 권취시키기 위해 상기 코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코어에 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 중공부 공간에 잔존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외주면 일측의 필름 부착 시작지점에 적어도 필름 두께만큼 외주면과의 높이차를 가지도록 외주면에 대해 직각되게 형성되는 직각면부와 상기 직각면에서부터 상기 코어의 외주면까지 이어지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하는 접착홈; 상기 곡면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상기 코어의 중공부분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공기흡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흡입장치는, 상기 공기흡입홀을 통해 상기 코어 중공부 공간에 잔존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펌프; 상기 흡입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펌프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펌프제어부는, 상기 코어에 필름이 권취될 때, 설정 횟수만큼 필름이 권취되면 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코어 양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코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 및 양측의 상기 밀폐부에 각각 설치되고, 회전축이 상기 밀폐부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부 및 상기 코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양단 부분 측면에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에는,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도록 내측면 테두리 부분에 복수 개의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밀폐부가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 시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각각이 외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내측 테두리 부분에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의 양단부분에는, 상기 테두리부가 끼움될 수 있도록 측면 테두리 부분이 단턱진 형상의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제어부는, 상기 감지모듈을 통해 상기 코어에 설정 횟수만큼 필름이 권취된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 흡입 동작을 정지하도록 상기 흡입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코어에 필름이 권취될 경우 필름이 상기 코어의 외주면과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밀착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필름이 상기 코어의 접착홈에 부착된 이후 코어가 회전하면서 필름이 권취되는 과정에서 필름이 다시 상기 접착홈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필름의 권취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도록, 상기 코어의 접착홈 부근의 외주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
  14. 삭제
  15. 삭제
KR1020220146750A 2022-11-07 2022-11-07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 KR102553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750A KR102553494B1 (ko) 2022-11-07 2022-11-07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750A KR102553494B1 (ko) 2022-11-07 2022-11-07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494B1 true KR102553494B1 (ko) 2023-07-07

Family

ID=8715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750A KR102553494B1 (ko) 2022-11-07 2022-11-07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49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79B1 (ko) * 2011-07-01 2011-09-30 주식회사제이에스텍 진공흡입형 원단피딩롤
KR20110136315A (ko) * 2010-06-14 2011-12-21 주식회사 베스텍 단차가 가공된 말대
KR20130019637A (ko) * 2011-08-17 2013-02-27 성진크리베이션 주식회사 필름 권취용 보빈
JP2016199338A (ja) * 2015-04-08 2016-12-01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シート材巻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巻取りロールの生成方法
KR102125302B1 (ko) 2012-10-04 2020-06-2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루프형 파일 필름 롤 코어
KR20220088846A (ko) * 2019-10-31 2022-06-28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조노 권취체, 권취체용 심체, 권취체와 지지축의 조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315A (ko) * 2010-06-14 2011-12-21 주식회사 베스텍 단차가 가공된 말대
KR101068879B1 (ko) * 2011-07-01 2011-09-30 주식회사제이에스텍 진공흡입형 원단피딩롤
KR20130019637A (ko) * 2011-08-17 2013-02-27 성진크리베이션 주식회사 필름 권취용 보빈
KR102125302B1 (ko) 2012-10-04 2020-06-2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루프형 파일 필름 롤 코어
JP2016199338A (ja) * 2015-04-08 2016-12-01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シート材巻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巻取りロールの生成方法
KR20220088846A (ko) * 2019-10-31 2022-06-28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조노 권취체, 권취체용 심체, 권취체와 지지축의 조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6352B1 (en) High speed applicator for adhesive tape
US84027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lating and sealing packing cushions with rotary sealing mechanism
US8616258B2 (en) Tape for mass-sealing bottles and similar containers, and apparati for its application and removal
US7310926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film tube from film strip
US7980504B2 (en) Automated unwind system with auto-splice
US93817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lating and sealing packing cushions with rotary sealing mechanism
AU650979B2 (en) Tire labeling apparatus
US869684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neumatic tire
JP2014217953A (ja) タイヤ製造方法およびタイヤ
KR102553494B1 (ko) 필름 권취용 롤러 장치
KR101155362B1 (ko) 웹의 와인딩을 전환시키는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2390178B1 (ko) 청소용 점착테이프롤 및 청소용 점착테이프롤 제조 장치
JP5388376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10131783A (ja) プラスチック袋の製造方法および製袋機
WO2006089099A1 (en) Electrostatic tension control of webs
JPS6059140B2 (ja) 可撓性シ−ト状タイヤ構成材料の巻付方法およびその装置
WO2009090296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moving a glue protection at a joint in a paper reel
JP2007030989A (ja) 梱包機に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を供給するための自動装置
JP2001232694A (ja) 未加硫タイヤのカーカスの成型方法
JP3769506B2 (ja) フィルム貼付装置
JP3390273B2 (ja) 帯状材料の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197202B1 (ko)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
KR100426145B1 (ko) 타이어 벨트부의 검 엣지 인장력 제어장치
JP2021133961A (ja) 製袋充填包装機
JPH11301898A (ja) ウエブ巻取端の検出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