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329B1 - 애자활용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 Google Patents

애자활용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329B1
KR102553329B1 KR1020220180537A KR20220180537A KR102553329B1 KR 102553329 B1 KR102553329 B1 KR 102553329B1 KR 1020220180537 A KR1020220180537 A KR 1020220180537A KR 20220180537 A KR20220180537 A KR 20220180537A KR 102553329 B1 KR102553329 B1 KR 102553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oil
transformer
jumper wire
present
distribu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0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려에프에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려에프에이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려에프에이엠씨
Priority to KR1020220180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01F27/12Oil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Architectur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금고정기구(10)와, 완금(20)과, 길이조절기구(100)와, 이격기구(110)와, 조류퇴치기구(120)와, 변압기(30)와, 냉각기구(40)과, 애자(50)와, 고정클램프(60)와, 점퍼선(70)과, 누전감지센서(80)와, 절연유공급장치(90)를 포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고, 가공배전선 간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며,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를 순환시켜 변압기의 냉각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면서 절연유를 활용하여 육안으로 누전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애자활용 가공배전선 고정기기{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 Fixing Equipment Using an Insulator}
본 발명은 애자활용 가공배전선 고정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로부터의 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 및 완금(1)을 매개로 가설되는 가공배전선(2)를 통해, 각 수용가로 배전된다.
이때, 완금에는 현수애자(3)가 설치되어, 현수애자(3)를 통해 가공배전선(2)이 지지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가공배전선(2)으로 조류가 접근할 시 가공배전선(2) 및 주변 가공배전설비가 조류에 의해 손상될 위험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다수의 가공배전선(2)이 가설될 시 가공배전선(2) 간에 충돌이 발생하여 안전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전주에는 변압기가 설치되는 데 종래에는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웠다.
그리고, 종래에는 가공배전설비에서 누전이 발생할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육안 확인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5465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고, 가공배전선 간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며,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를 순환시켜 변압기의 냉각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면서 절연유를 활용하여 육안으로 누전을 확인하도록 하는 가공배전선 고정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완금고정기구(10)와, 완금(20)과, 길이조절기구(100)와, 이격기구(110)와, 조류퇴치기구(120)와, 변압기(30)와, 냉각기구(40)과, 애자(50)와, 고정클램프(60)와, 점퍼선(70)과, 누전감지센서(80)와, 절연유공급장치(9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완금고정기구(10)는, 전주(P)에 설치되고,
상기 완금(20)은, 완금고정기구(10)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조절기구(100)는, 완금(20)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조절기구본체(101)와, 길이조절기구본체(101)에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102)와, 이동체(102)의 선단에 설치되는 연결체(103)를 갖추고,
상기 이격기구(110)는, 회전축(111a)를 구비하고, 회전축(111a)을 매개로 연결체(10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이격기구본체(111); 이격기구본체(111)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바(112); 호 형상의 안착체(113a)와, 안착체(113a)에 회전가능가면서 위치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닫음체(113b)를 구비하여, 각각의 지지바(112)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걸이체(113);를 갖추고,
상기 조류퇴치기구(120)는, 이격기구본체(111)에 설치되는 바 형상의 지지대(121)와, 지지대(121)의 상단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122)와, 회전체(122)의 측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반사리본(123)을 갖추고,
상기 변압기(30)는, 완금(20)의 하방에 위치하게 전주(P)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기구(40)는, 변압기(30)에 설치되고, 변압기(30)에서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는 절연유가 통과하고,
상기 애자(50)는, 완금(20)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클램프(60)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게 클램프베이스(61)의 일측에 구비되고 절연유탱크(91)로부터 절연유를 공급받는 유입구(61a)와, 전측이 개구되게 유입구(61a)의 하방에 위치하며 일측 상부가 유입구(61a)의 하측과 연통되는 형광파우더수용홈(61b)과,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 상방에 위치하고 하측이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과 연통되는 이동홈(61c)과, 전측 및 하측이 개구되고 상측이 이동홈(61c)의 상측과 연통되는 점퍼선연결홈(61d)과, 전측 및 타측이 개구되고 클램프베이스(61)의 타측에 구비되는 가공배전선연결홈(61e)를 갖춘 도전재질의 클램프베이스(61); 점퍼선연결홈(61d)에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점퍼선연결부(62); 가공배전선연결홈(61e)에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가공배전선연결부(63); 형광파우더수용홈(61b)에 수용되는 형광파우더(64);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이 밀폐되도록,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65);로 구성되어, 애자(50)에 설치되고,
상기 점퍼선(70)은, 점퍼선연결부(62)에 설치되고, 점퍼선연결홈(61d)의 하측을 통과하여 고정클램프(60)의 하방으로 인출되며,
상기 누전감지센서(80)는, 완금(20)에 설치되고,
상기 절연유공급장치(90)는, 절연유가 저장되는 절연유탱크(91); 절연유탱크(91)의 절연유가 변압기(30) 내부 또는 고정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고, 변압기(30) 내부의 절연유가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게 하는 순환펌프(92); 절연유탱크(91)에서 배출되는 절연유가 변압기(30)로 공급되거나, 고정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도록 공급방향을 선택하는 공급방향선택유닛(93); 순환펌프(92) 및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작동제어하고,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절연유탱크(91)로부터의 절연유가 고정클램프(60)의 유입구(61a)를 향하도록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제어하는 제어유닛(94);을 갖추고서, 완금(2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완금고정기구(10)와, 완금(20)과, 길이조절기구(100)와, 이격기구(110)와, 조류퇴치기구(120)와, 변압기(30)와, 냉각기구(40)과, 애자(50)와, 고정클램프(60)와, 점퍼선(70)과, 누전감지센서(80)와, 절연유공급장치(90)를 포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고, 가공배전선 간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며,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를 순환시켜 변압기의 냉각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면서 절연유를 활용하여 육안으로 누전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완금고정기구 및 완금 부분 및 길이조절기구 및 이격기구 및 조류퇴치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X-X'선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고정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클램프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고정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조류퇴치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절연유와 연관된 구성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완금고정기구 및 완금 부분 및 길이조절기구 및 이격기구 및 조류퇴치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X-X'선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고정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클램프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고정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조류퇴치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절연유와 연관된 구성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8 상에서의 X축 방향을 일측에서 타측으로의 방향으로 하고, 도 8 상에서의 Y축 방향을 전측에서 후측으로의 방향으로 하며, 도 8 상에서의 Z축 방향을 하측에서 상측으로의 방향으로 하여, 본 발명 구성의 방향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고정기기는, 완금고정기구(10)와, 완금(20)과, 길이조절기구(100)와, 이격기구(110)와, 조류퇴치기구(120)와, 변압기(30)와, 냉각기구(40)과, 애자(50)와, 고정클램프(60)와, 점퍼선(70)과, 누전감지센서(80)와, 절연유공급장치(90)를 포함한다.
상기 완금고정기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P)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완금고정기구(10)는 링 형상을 이룬다. 본 발명에서 완금고정기구(10)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전주(P)에 설치된다.
상기 완금(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금고정기구(10)에 설치된다.
상기 길이조절기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기구본체(101)와, 이동체(102)와, 연결체(103)을 갖춘다.
상기 길이조절기구본체(101)는, 완금(20)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길이조절기구본체(101)는 길이가 긴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이동체(102)는, 길이조절기구본체(101)에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이동체(102)는 길이조절기구본체(101)에 삽입나사산 연결되어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연결체(103)은, 이동체(102)의 선단에 설치된다.
상기 이격기구(11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기구본체(111)와, 한 쌍의 지지바(112)와, 한 쌍의 걸이체(113)를 갖춘다.
상기 이격기구본체(111)는, 회전축(111a)를 구비하고, 회전축(111a)을 매개로 연결체(10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이격기구본체(111)는 길이가 긴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지지바(112)는, 이격기구본체(111)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걸이체(113)는, 호 형상의 안착체(113a)와, 안착체(113a)에 회전가능가면서 위치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닫음체(113b)를 구비하여, 각각의 지지바(112)에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걸이체(113)에는 볼트-너트 체결방식의 체결체(113c)가 구비되어, 안착체(113a) 및 닫음체(113b)가 체결체(113c)를 매개로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안착체(113a) 및 닫음체(113b)의 결합이 체결체(113c)를 통해 이루어지지만, 안착체(113a) 및 닫음체(113b)의 결합은 통상의 다양한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걸이체(113)는 가공배전선(L)을 감싸 가공배전선(L)에 연결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의 연결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조류퇴치기구(1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1)와, 회전체(122)와, 반사리본(123)을 갖춘다.
상기 지지대(121)는, 이격기구본체(111)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지지대(121)는 바 형상을 이루어 직립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122)는, 지지대(121)의 상단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회전체(122)는 원통 형상을 이룬다.
상기 반사리본(123)은, 다수 개가 구비되어 회전체(122)의 측면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반사리본(123)은 빛 반사가 이루어진다.
상기 변압기(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금(20)의 하방에 위치하게 전주(P)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변압기(30)는 내부에 절연유가 구비되고, 절연유공급부(31)를 통해 절연유가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변압기로(30)로 인입되는 인입전선(DL, 일예로 가공배전선으로부터 분기된 분기선) 상에는 컷아웃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냉각기구(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30)에 설치되고, 변압기(30)에서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는 절연유가 통과한다. 본 발명에서 냉각기구(40)은 방열핀(41)을 갖추고, 절연유가 냉각기구(40)을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냉각기구(40)은, 변압기(30) 내부와 연통되어 변압기(30)로부터의 절연유가 통과하고, 냉각기구(40)의 내부를 통과한 절연유가 절연유배출부(42)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냉각기구(40)은, 변압기(30)에서 배출되는 절연유를 냉각시킬 수 있으면, 냉각팬을 이용한 기술 등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애자(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금(2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애자(50)는 현수애자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쇄클 등을 매개로 완금본체(21)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애자(5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완금본체(21)의 전후측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길이조절기구(100)는 애자(50) 사이에 위치하게 완금본체(21)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클램프(60)는, 도 2,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베이스(61)와, 점퍼선연결부(62)와, 가공배전선연결부(63)와, 형광파우더(64)와, 덮개(65)를 갖추고서, 애자(60)에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61)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게 클램프베이스(61)의 일측에 구비되고 절연유탱크(91)로부터 절연유를 공급받는 유입구(61a)와, 전측이 개구되게 유입구(61a)의 하방에 위치하며 일측 상부가 유입구(61a)의 하측과 연통되는 형광파우더수용홈(61b)과,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 상방에 위치하고 하측이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과 연통되는 이동홈(61c)과, 전측 및 하측이 개구되고 상측이 이동홈(61c)의 상측과 연통되는 점퍼선연결홈(61d)과, 전측 및 타측이 개구되고 클램프베이스(61)의 타측에 구비되는 가공배전선연결홈(61e)를 갖춘다. 본 발명에서 클램프베이스(61)는 도전재질로 이루어져, 애자(50)에 설치된다.
상기 점퍼선연결부(62)는, 점퍼선연결홈(61d)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점퍼선연결부(62)는 도전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점퍼선연결부(62)는 돌기 형상을 이룬다.
상기 가공배전선연결부(63)는, 가공배전선연결홈(61e)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가공배전선연결부(63)는 도전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가공배전선연결부(63)는 돌기 형상을 이루고, 가공배전선(L)이 연결된다.
상기 형광파우더(64)는, 형광파우더수용홈(61b)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서 형광파우더(64)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통상의 형광파우더가 적용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색상을 나타내며, 절연유와 혼합되어 흐를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의 색상물질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덮개(65)는,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이 밀폐되도록,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덮개(65)는, 기밀유지를 위해, 클램프베이스(61)와 덮개(64) 사이에 위치하는 개스킷(65a)을 더 갖출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고정클램프(60)는, 유입구(61a)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배관(66)이 구비된다.
상기 점퍼선(70)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퍼선연결부(62)에 설치되고, 점퍼선연결홈(61d)의 하측을 통과하여 고정클램프(60)의 하방으로 인출된다. 본 발명에서 점퍼선(70)은 점퍼선연결부(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누전감지센서(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금(2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누전감지센서(80)는, 완금(20)에 전기가 흐르면 이를 감지하여 누전감지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누전감지센서(80)는, 완금(20)에 설치되는 가공배전설비로부터의 누전을 감지할 수 있으면, 다양한 위치에 설치가능하다.
상기 절연유공급장치(90)는, 도 2, 도 4,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유탱크(91)와, 순환펌프(92)와, 공급방향선택유닛(93)과, 제어유닛(94)를 갖추고서, 완금(20)에 설치된다.
상기 절연유탱크(91)는, 절연유가 저장된다.
상기 순환펌프(92)는, 절연유탱크(91)의 절연유가 변압기(30) 내부 또는 고정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고, 변압기(30) 내부의 절연유가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절연유탱크(91)와 변압기(30)를 연결하는 공급라인(미인출)에 위치한다.
상기 공급방향선택유닛(93)은, 절연유탱크(91)에서 배출되는 절연유가 변압기(30)로 공급되거나, 고정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도록 공급방향을 선택한다. 본 발명에서 공급방향선택유닛(93)은 상기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순환펌프(92)를 통과한 절연유의 이동방향을 선택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공급방향선택유닛(93)은 밸브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유닛(94)은, 순환펌프(92) 및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작동제어하고,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절연유탱크(91)로부터의 절연유가 고정클램프(60)의 유입구(61a)를 향하도록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완금(20)은 2개가 구비될 수 있고, 완금(20)에 가설되는 가공배전선(L)의 개수에 따라 다수 개의 애자(50) 및 고정클램프(60) 및 절연유공급장치(9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로 나란하게 이웃하는 가공배전선(L)에 각각의 걸이체(113)를 연결하면, 도 4와 같이 길이조절기구(100) 및 이격기구(110)에 의해 가공배전선(L) 간의 간격이 유지되어 가공배전선(L) 간의 충돌이 방지된다. 이때 도 12와 같이 각각의 걸이체(113)의 닫음체(113b)를 열어, 각각의 걸이체(113)의 안착체(113a)에 각각의 가공배전선(L)을 위치시킨 후 각각의 닫음체(113b)를 닫고, 각각의 걸이체(113)의 체결체(113c)를 통해 각각의 안착체(113a)와 각각의 닫음체(113b)를 고정시키면, 각각의 걸이체(113)를 가공배전선(L)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3과 같이 이동체(102)를 이동시켜, 길이조절기구(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L)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의 걸이체(113)를 가공배전선(L)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길이조절기구본체(101)가 완금(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가공배전선(L)의 상하 흔들림에 대응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4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되면, 조류퇴치기구(120)의 반사리본(123)에서 빛이 반사되어, 가공배전선(L) 및 가공배전설비 주변으로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바람이 불면, 조류퇴치기구(120)의 회전체(122)가 도 14와 같이 회전하고, 다수의 반사리본(123)이 펄럭이면서 다수의 반사리본(123)에 의한 빛 반사가 더욱 잘 이루어진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 절연유를 이용한 변압기(30)의 냉각관리 및 절연유를 이용한 누전 발생 표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연유공급장치(90)의 제어유닛(94)은,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제어하여, 절연유탱크(91)로부터의 절연유가 변압기(30)를 향해 흐르도록 설정한 후, 순환펌프(92)를 구동하여, 절연유탱크(91)의 절연유가 변압기(3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유닛(94)은 주기적으로(또는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 온도에 따라) 절연유탱크(91)의 절연유(30)가 변압기(3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변압기(30) 내부의 절연유는 냉각기구(40)을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변압기(30) 내부의 절연유는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누전감지센서(80)가 누전을 감지하여 누전감지신호를 절연유공급장치(90)의 제어유닛(94)으로 출력하면, 제어유닛(94)은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제어하여, 절연유탱크(91)로부터의 절연유가 고정클램프(60)를 향해 흐르도록 설정한 후, 순환펌프(92)를 구동하여, 절연유탱크(91)의 절연유가 클램프베이스(61)의 유입구(61a)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클램프베이스(61)의 유입구(61a)로 유입된 절연유는 형광파우더수용홈(61b)를 통과하면서 형광파우더(64)와 접촉한다.
이때, 형광파우더(64)는 절연유와 혼합되고, 절연유 및 형광파우더는 클램프베이스(61)의 이동홈(61c) 및 클램프베이스(61)의 점퍼선연결홈(61d)를 통과하여, 클램프베이스(61) 외부로 배출된다(도 15의 화살표 방향 참조).
여기서, 절연유 및 형광파우더(64)는 점퍼선(70)의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흐르면서, 점퍼선(70)의 표면에 색상 표식이 되고, 이를 통해 외부에서 누전 발생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L) 주변에 조류퇴치기구(120)를 설치하여, 조류퇴치기구(120)의 빛 반사를 통해 조류가 가공배전선(L) 주변으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조절기구(100) 및 이격기구(110)를 통해 가공배전선(L) 간의 이격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 등에 의해 가공배전선(L)이 흔들릴 시 가공배전선(L)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압기(30)에 절연유를 용이하게 공급하여 변압기(30)의 냉각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고, 점퍼선(70) 및 가공배전선(L)을 연결하는 고정클램프(60)와, 변압기(30) 용 절연유를 활용하여, 가공배전설비에서 누전이 발생할 시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애자(50)를 활용하여 가공배전선(L)을 고정하는 구조에,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구조 등 가공배전을 위한 다양한 구조를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애자활용 가공배전선 고정기기'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가공배전선 고정기기'로 정의한다.
10: 완금고정기구 20: 완금
30: 변압기 40: 냉각기구
50: 애자 60: 고정클램프
61: 클램프베이스 62: 점퍼선연결부
63 가공배전선연결부 64: 형광파우더
65: 덮개 70: 점퍼선
80: 누전감지센서 90: 절연유공급장치
91: 절연유탱크 92: 순환펌프
93: 공급방향선택유닛 94: 제어유닛
100: 길이조절기구 101: 길이조절기구본체
102: 이동체 103: 연결체
110: 이격기구 111: 이격기구본체
111a: 회전축 112: 지지바
113: 걸이체 113a: 안착체
113b: 닫음체 120: 조류퇴치기구
121: 지지대 122: 회전체
123: 반사리본

Claims (1)

  1. 완금고정기구(10)와, 완금(20)과, 길이조절기구(100)와, 이격기구(110)와, 조류퇴치기구(120)와, 변압기(30)와, 냉각기구(40)과, 애자(50)와, 고정클램프(60)와, 점퍼선(70)과, 누전감지센서(80)와, 절연유공급장치(9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완금고정기구(10)는, 전주(P)에 설치되고,
    상기 완금(20)은, 완금고정기구(10)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조절기구(100)는, 완금(20)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조절기구본체(101)와, 길이조절기구본체(101)에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102)와, 이동체(102)의 선단에 설치되는 연결체(103)를 갖추고,
    상기 이격기구(110)는, 회전축(111a)를 구비하고, 회전축(111a)을 매개로 연결체(10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이격기구본체(111); 이격기구본체(111)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바(112); 호 형상의 안착체(113a)와, 안착체(113a)에 회전가능가면서 위치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닫음체(113b)를 구비하여, 각각의 지지바(112)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걸이체(113);를 갖추고,
    상기 조류퇴치기구(120)는, 이격기구본체(111)에 설치되는 바 형상의 지지대(121)와, 지지대(121)의 상단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122)와, 회전체(122)의 측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반사리본(123)을 갖추고,
    상기 변압기(30)는, 완금(20)의 하방에 위치하게 전주(P)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기구(40)는, 변압기(30)에 설치되고, 변압기(30)에서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는 절연유가 통과하고,
    상기 애자(50)는, 완금(20)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클램프(60)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게 클램프베이스(61)의 일측에 구비되고 절연유탱크(91)로부터 절연유를 공급받는 유입구(61a)와, 전측이 개구되게 유입구(61a)의 하방에 위치하며 일측 상부가 유입구(61a)의 하측과 연통되는 형광파우더수용홈(61b)과,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 상방에 위치하고 하측이 형광파우더수용홈(61b)의 타측과 연통되는 이동홈(61c)과, 전측 및 하측이 개구되고 상측이 이동홈(61c)의 상측과 연통되는 점퍼선연결홈(61d)과, 전측 및 타측이 개구되고 클램프베이스(61)의 타측에 구비되는 가공배전선연결홈(61e)를 갖춘 도전재질의 클램프베이스(61); 점퍼선연결홈(61d)에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점퍼선연결부(62); 가공배전선연결홈(61e)에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가공배전선연결부(63); 형광파우더수용홈(61b)에 수용되는 형광파우더(64);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이 밀폐되도록, 클램프베이스(61)의 전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65);로 구성되어, 애자(50)에 설치되고,
    상기 점퍼선(70)은, 점퍼선연결부(62)에 설치되고, 점퍼선연결홈(61d)의 하측을 통과하여 고정클램프(60)의 하방으로 인출되며,
    상기 누전감지센서(80)는, 완금(20)에 설치되고,
    상기 절연유공급장치(90)는, 절연유가 저장되는 절연유탱크(91); 절연유탱크(91)의 절연유가 변압기(30) 내부 또는 고정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고, 변압기(30) 내부의 절연유가 절연유탱크(91)로 회수되게 하는 순환펌프(92); 절연유탱크(91)에서 배출되는 절연유가 변압기(30)로 공급되거나, 고정클램프(60)의 유입구(61a)로 공급되도록 공급방향을 선택하는 공급방향선택유닛(93); 순환펌프(92) 및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작동제어하고,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절연유탱크(91)로부터의 절연유가 고정클램프(60)의 유입구(61a)를 향하도록 공급방향선택유닛(93)을 제어하는 제어유닛(94);을 갖추고서, 완금(2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KR1020220180537A 2022-12-21 2022-12-21 애자활용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KR102553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0537A KR102553329B1 (ko) 2022-12-21 2022-12-21 애자활용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0537A KR102553329B1 (ko) 2022-12-21 2022-12-21 애자활용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329B1 true KR102553329B1 (ko) 2023-07-10

Family

ID=8715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0537A KR102553329B1 (ko) 2022-12-21 2022-12-21 애자활용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32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432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절연유 열화측정 센서를 구비한 유입 변압기
KR101354017B1 (ko) * 2013-07-24 2014-01-23 (주)콥스 갭리스 타입의 애자형 피뢰기
KR101381347B1 (ko) * 2014-02-18 2014-04-04 (주)토우엔지니어링 특고압 가공배전선의 지지완금
KR102254652B1 (ko) 2020-09-25 2021-05-21 주식회사 명신엔지니어링 가공배전라인 이탈 방지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2343417B1 (ko) * 2021-06-09 2021-12-27 주식회사 테라기술단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KR102434501B1 (ko) * 2021-11-15 2022-08-22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432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절연유 열화측정 센서를 구비한 유입 변압기
KR101354017B1 (ko) * 2013-07-24 2014-01-23 (주)콥스 갭리스 타입의 애자형 피뢰기
KR101381347B1 (ko) * 2014-02-18 2014-04-04 (주)토우엔지니어링 특고압 가공배전선의 지지완금
KR102254652B1 (ko) 2020-09-25 2021-05-21 주식회사 명신엔지니어링 가공배전라인 이탈 방지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2343417B1 (ko) * 2021-06-09 2021-12-27 주식회사 테라기술단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KR102434501B1 (ko) * 2021-11-15 2022-08-22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3329B1 (ko) 애자활용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USRE39093E1 (en) Mast-type outdoor lighting system
US20080236045A1 (en) Safety gate system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KR102553330B1 (ko) 가공배전선 충돌 차단형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US7660508B2 (en) Terminal shields for protecting optical components in optical assemblies
US4313111A (en) Nozzle condition monitor
CN102768298B (zh) 浪涌电流检测装置
US7686888B2 (en) Cooling system for chamber of ingot growth arrangement
CN210075371U (zh) 一种基于物联网的室内安全环境监控摄像机
KR102548496B1 (ko) 전주 탈착형 기능성 향상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548497B1 (ko) 누전감지기능 탑재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고정클램프기기
KR102548498B1 (ko) 편이성 향상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고정기구
EP1504689B1 (en) Umbrella adapted to incorporate heater
EP0737346A1 (en) Miniature bank with an automatic device for dispensing money
CN210838611U (zh) 一种市政安全配电箱
US3343041A (en) Electrical power center
CN207305148U (zh) 多媒体箱
CN207176080U (zh) 一种阴极保护测试桩
CN206535994U (zh) 一种电磁搅拌器线圈与电控系统驱动电源的连接装置
DE4419103C2 (de) Kernschutz für Schlösser, insbesondere für Profilzylinder bzw. Blockschlösser von Einbruchmeldeanlagen
CN214412154U (zh) 一种主动防潮型高压电缆分支箱
CN215066897U (zh) 一种防水电表箱
ES2218475T3 (es) Sistema de barra conductora de alto voltaje.
CN111712083B (zh) 一种防人为破坏伪造的电气设备保护机构
CA1123646A (en) Weatherized housing assembly for a surveillance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